KR100937363B1 -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363B1
KR100937363B1 KR1020090011510A KR20090011510A KR100937363B1 KR 100937363 B1 KR100937363 B1 KR 100937363B1 KR 1020090011510 A KR1020090011510 A KR 1020090011510A KR 20090011510 A KR20090011510 A KR 20090011510A KR 100937363 B1 KR100937363 B1 KR 10093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high frequency
switchgear
re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to KR102009001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23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from sources with high internal resistance by means of measuring circuits with high input impedance, e.g. OP-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하여 수배전반 고압선로의 절연상태 감지를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수배전반내 나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전력설비 중 고장점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받아 수용가가 사용가능한 저압로 변환해주는 변압기부와, 고압 및 저압에서 이상시 동작하는 차단부와, 전압과 전류, 역률을 계산하기 위한 계측부와, 고압선로를 인입/인출하는 인입부 및 인출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 또는 인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압선로의 고주파 신호를 검출하는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에서 검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고주파 신호를 Qmax기법과 Oscillogram 기법으로 분석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고 절연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배전반에 있어서 절연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 전기적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를 인입부와 인출부에 각각 설치하여, 전력설비의 절연열화 및 결함검출 뿐아니라 여러개의 전력설비중 고장점의 위치 및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수배전반, 고압선로, 절연상태, 감지, 고장점

Description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function of real-time insulation sensing and error point detecting for power equipmen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하여 수배전반 고압선로의 절연상태 감지를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그 고장점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전력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여 수용가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의 전력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설비, 강압된 전기를 빌딩내 각부의 전기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설비, 스위치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절연 특성 시험은 1년에 1~2회 정기 점검을 통해 이뤄지고 있고, tanδ나 Mega Ω 측정을 통해 절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의 실험은 정전을 시키고 실시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간헐적인 측정법이기에 열화에 대한 사고의 반응이 빠르지 못하다. 또한, 수배전반의 고압과 저압이 각각 동일 선상에 연결되어 있기에 열화로 인한 부분방전 이상신호 발생시 그 위치와 위험 상태를 파악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진단 방법은 1년에 한두번 정도 간헐적으로 휴전을 시키고 진단을 하는 방법으로 휴전이 불가능한 곳은 정밀 진단이 힘든 상황이고, 계측 항목 또한 절연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수배전반 내의 전력설비의 열화상태를 진단하기 위해선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무정전 검사가 우선적이어야 하고, 간헐적 검침이 아닌 실시간으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 발생시 수배전반 내의 수많은 전력설비 중 어느 장비가 문제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 검증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배전반에 있어서 절연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 전기적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를 인입부와 인출부에 각각 설치하여, 전력설비의 절연열화 및 결함검출 뿐 아니라 수배전반에 나열되어 설치된 다수의 전력설비중 고장점의 위치 파악 및 절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은, 전력을 공급받아 수용가가 사용가능한 저압으로 변환해주는 변압기부와, 고압 및 저압에서 이상시 동작하는 차단부와, 전압과 전류, 역률을 계산하기 위한 계측부와, 고압선로를 인입/인출하는 인입부 및 인출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 또는 인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압선로의 고주파 신호를 검출하는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에서 검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고주파 신호를 큐맥스(Qmax)기법과 오실로그램(Oscillogram) 기법으로 분석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고 절연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부 분방전 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은, 상기 고주파 신호를 Qmax기법과 Oscillogram 기법으로 분석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고 절연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부분방전 메모리 맵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상기 제어부로 및 메모리 맵이 형성된 메모리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고, 맵핑(mapping)하여 LCD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그래픽 콘트롤러; 부저 경광등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방전발생을 경고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앰프 및 필터는 신호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하여 일체화된 센서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은, 무정전(활선)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 검출 방식의 부분방전 검출을 통하여 절연상태를 파악하고, 수배전반 내에 나열되어 설치된 전력설비들을 여러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동기화된 크기 비교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내의 22.9kV 고압에 설치 가능하고 1pC 검출이 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절연형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이다.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 또는 인출부와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는 고분자 폴리머 절연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인입부와 인출부에 각각 설치된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하여 전력설비의 절연열화 및 결함을 검출할 뿐아니라 수배전반 내에 나열되어 설치된 여러개의 전력설비중 고장점의 위치 및 방향성을 파악함으로써, 수배전반의 실시간 절연진단을 통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별 독립된 친환경적 소화 시스템으로 국제 규격 만족 및 인명과 재산 피해를 극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활선상태의 상시감시가 가능한 절연진단의 실시간 상태파악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가 가능하고 더불어 정확한 위치 판정을 통해 즉각적인 사고원의 전력설비 교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배전반(100), 센서모듈(200) 및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배전반(100)은 22.9kV의 MV(Middle voltage)전력을 공급받아 수용가가 사용가능한 저압(LV:Low voltage)로 변환해주는 변압기부(110)와, 고압 및 저압에서 이상시 동작하는 LBS, AISS, ASS, VCB, ACB등의 차단부(120) 및 전압과 전류, 역률을 계산하기위한 CT/PT, MOF와 같은 계측부(13)로 크게 나뉜다.
또한, 수배전반(100)은 고압선로의 인입부(140)와 인출부(150)를 포함한다.
센서모듈(200)은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 앰프(220), 필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는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140) 또는 인출부(150)에 설치되어 상기 고압선로의 고주파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140) 또는 인출부(150)와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는 고분자 폴리머 절연체(210)로 연결된다.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는 상기 수배전반 내의 22.9kV 고압에 설치 가능하고 1pC 검출이 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절연형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이다.
또한,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140) 또는 인출부(150)와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는 고분자 폴리머 절연체(205)로 연결된다.
일예로, 상기 고분자 폴리머 절연체(205)는 그 표면에 센서를 일체화 작업하고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140) 또는 인출부(150)를 감싸도록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므로 여기서 그 세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앰프(220)는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에서 검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고, 필터(230)는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센서와 시스템의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가 매우 나빠진다. 이는 고압 인가 전압은 22.9kV임에 비해, 부분방전 신호가 크기가 겨우 수~수백 mV수준이며, 주파수 특성은 수 GHz 대역에 이르는 임펄스 형태의 고주파 성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거리에서도 신호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선 수십~수백mV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미리 선형적인 증폭을 통해 신호를 시스템에 전달해야 신호의 왜곡 및 높은 SNR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를 적용하였다.
또한, 신호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210), 앰프(220), 필터(230)를 포함하여 일체화된 센서모듈(200)을 구성하였고, 이는 수배전반 내의 장거리를 하나의 시스템(LU : Local Unit)에서 높은 SNR의 데이터를 획 득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센서모듈(200)을 통해 얻어진 높은 SNR의 데이터는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300)으로 보내져 분석하게 된다.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300)은 제어부(310), 그래픽 콘트롤러(320), LCD 디스플레이부(330), 알람부(340), 부저 경광등(350), 내부 메모리(360), 외부 메모리(37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Qmax기법과 Oscillogram 기법으로 분석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고 절연 상태를 실시간 감지한다.
여기서, 측정된 고주파 신호가 실제 부분방전 신호인지 구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은 통상의 국제적인 규격에 의거하여 판별하고, 오실로그램(oscillogram)은 유일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부분방전 해석 방법이다. 참고로, IEEE std 1291-1993, CIGRE TF 15-33.03.05, IEEE60270이 상기 패턴에 대한 노이즈와의 구분법과 실험 방법에 대해 정의되고 있는 국제 규격이다. 이를 참고하여 측정된 고주파 신호가 실제 부분방전 신호인지 구별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부분방전이 일어난 고장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수배전반 내의 고장점의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한다. 예로서, 일반적인 수배전반 내의 고장점의 위치 결정은 다음과 같다. 비접지 방식의 변압기 특성상 고압선이 상별로 공통으로 병렬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방전이 발생하여도 고압선로를 통해 방전 신호가 다른 설비에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고압선로에서 패턴의 크기로 판정하는 기법을 이용하는데, 이는 인입선에서 전력설비(몰드 변압기)까지 선로가 케이블로 이루어 졌는데 이 22.9kV XLPE케이블은 유전율이 높은 커패시터와 같다. 커패시터는 주파수가 높으면 임피던스가 낮아지기에 (여기서, Z=R+wL+1/wC에서 w=2pif로 주파수(f)에 반비례함) 부분방전과 같은 고주파의 임펄스 파형은 커패시터(케이블의 XLPE)를 거쳐 접지로 소멸되기에 부분방전 신호가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현장에서 측정시 동일 패턴이 병렬로 연결된 고압 전력설비에서 발생될 시 방전원은 가장 방전량이 큰 전력설비가 PD source일 확률이 매우 높다. 결론적으로 전력설비 진단 결과 동일 패턴이 검출된 경우 열반된 전력설비중 크기가 가장 크게 표시되는 전력설비가 문제의 방전원임을 밝힐 수 있다. 노이즈와의 판별 또한 부하성 노이즈는 3상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2상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3상 고압 모두에게 부하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3상 모두의 패턴을 크기로만 비교하여도 그 고장점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그래픽 콘트롤러(320)는 상기 제어부(310)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고, 맵핑(mapping)하여 LCD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상기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300)은 상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ASIC으로 제작된 그래픽 컨트롤러(320)와 부분방전 진단 알고리즘 DSP를 내장한 프로세서 제어부(310)를 이용한다. 단일 코어를 통해 그래픽 LCD와 데이터 분석을 동시에 이뤄짐으로써 제품의 고속 처리와 경제화가 가능해졌다.
데이터 분석으로는 데이터의 한주기(16.7ms)동안의 최대값을 계측하여 표현하는 Qmax기법과 한주기 파형을 관찰하는 Oscillogram 기법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IEC 규격에 의한 패턴인 경우만 프로세서가 선택하여 보여줌으로써 개폐 및 서지성 노이즈와 진성 부분방전의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Oscillogram 과 Qmax의 이중 동시 분할 모드로 계측함으로써, Qmax의 노이즈 유입의 오차를 극소화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360) 및 외부 메모리(370)는 상기 제어부(31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부분방전 메모리 맵을 작성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은 국제 규격에 준하는 Oscillogram의 패턴이 발생시 Qmax 값과 Oscillogram 파형을 동시에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저장하고, 1년동안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사고로 인한 정전시에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인 NAND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였기에 데이터 영구 보존이 가능하다.
알람부(340)는 부저 경광등(350)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방전발생을 경고한다.
이때, 사용자는 방전 발생 경고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내장된 알람(ALARM) 알고리즘으로 분석후 사용자 정의값과 비교하여 부저나 경광등의 깜빡임 등으로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게 된다.
상기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300)은, 무정전(활선)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 검출 방식의 부분방전 검출을 통하여 절연상태를 파악하고, 수배전반 내에 나열되어 설치된 전력설비들을 여러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동기화된 크기 비교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Qmax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현장에서 이상부분이 감지되면 장비를 장착해두어 장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기 마련이다. 본 발명은 현장 측정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 최대 방전량을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분석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Qmax 모드는 최대 방전량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모드로 검침원의 여러 개소 측정과 장시간 측정 시 현장에 없어도 계측장비가 독립적으로 실시간 측정 및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그리고 최대 순간 방전이 발생하였을 때의 Oscillogram 실제파형의 데이터를 SD카드와 같은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나중에 검침원이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방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Oscillogram 기법은 국제규격(IEEE/IEC60270)에 의한 Oscillogram 기법으로 고장점 위치를 파악 분석하고 절연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여러 개소에 장착된 센서에서 동시에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파셜 디스챠지(Partial Discharge)는 그중에서 절연의 문제로 발생하는 방전 이므로 것이기에 피디 소오스(PD source)는 가장 큰 방전량을 가진다.
따라서, 수배전반내에 열반된 전력설비중 동시간에 가장 큰 매그니튜 트(magnitude)를 갖는 것이 PD source에 근접한 것이다. (고압선로가 다 연결된 상황이기에 수배전반 회로를 생각하기 바람.)
이러한 진단 기법을 Oscillogram을 통해 LU(local unit)에서 확인 가능하다.
Qmax algorithm은 또 다른 하나의 부분방전 분석 알고리즘이다. 이는 일정시간(End user가 설정가능) 동안의 가장 큰 값을 표시하여 관측하는 알고리즘으로 항시 모니터를 관찰할 수 없기에 이 알고리즘을 통해 일정한 방전의 추이가 검출되면 정밀한 감시를 관찰하되 앞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방전의 크기만으로 고장점의 위치를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배전반 110 : 변압부
120 : 차단부 130 : 계측부
140 : 인입부 150 : 인출부
205 : 고분자 폴리머 절연체 200 : 센서모듈
210 :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220 : 앰프
230 : 필터 300 :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310 : 제어부 320 : 그래픽 콘트롤러
330 : LCD 디스플레이부 340 : 알람부
350 : 부저 경광등 360 : 내부 메모리
370 : 외부 메모리

Claims (6)

  1. 삭제
  2. 전력을 공급받아 수용가가 사용가능한 저압로 변환해주는 변압기부; 고압 및 저압에서 이상시 동작하는 차단부; 전압과 전류, 역률을 계산하기 위한 계측부; 고압선로를 인입/인출하는 인입부 및 인출부;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 또는 인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압선로의 고주파 신호를 검출하는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에서 검출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고주파 신호를 분석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고 절연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은,
    상기 고주파 신호를 Qmax기법과 Oscillogram 기법으로 분석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고 절연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부분방전 메모리 맵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상기 제어부로 및 메모리 맵이 형성된 메모리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고, 맵핑(mapping)하여 LCD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그래픽 콘트롤러; 및
    부저 경광등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방전발생을 경고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며,
    무정전(활선)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 검출 방식의 부분방전 검출을 통하여 절연상태를 파악하고, 수배전반 내에 나열되어 설치된 전력설비들을 여러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동기화된 크기 비교하여 고장점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앰프 및 필터는 신호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하여 일체화된 센서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내의 22.9kV 고압에 설치 가능하고 1pC 검출이 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절연형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선로의 인입부 또는 인출부와 상기 고주파 부분방전 센서는 고분자 폴리머 절연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0090011510A 2009-02-12 2009-02-12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093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10A KR100937363B1 (ko) 2009-02-12 2009-02-12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10A KR100937363B1 (ko) 2009-02-12 2009-02-12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363B1 true KR100937363B1 (ko) 2010-01-20

Family

ID=4180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10A KR100937363B1 (ko) 2009-02-12 2009-02-12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3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707A (ko) * 2013-11-05 2015-05-13 한국전력공사 지중송전케이블 준공시험용 부분방전 진단장치
KR101507921B1 (ko) * 2014-08-01 2015-06-25 진성전기(주) 하이테크 수배전반
KR20160005480A (ko)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20160030023A (ko) * 2014-09-05 2016-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3상 송전선로의 절연 열화 진단 방법 및 그의 절연 열화 진단 장치
KR101803252B1 (ko) * 2013-11-14 2017-12-28 (주)파워피디 부분방전 판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56A (ko) * 2001-06-11 2001-09-07 강창원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KR20060072566A (ko) * 2004-12-23 2006-06-28 한국전기연구원 전력기기의 부분 방전 검출 및 처리 장치
KR20070096498A (ko) * 2006-03-24 2007-10-02 (주)엠파워 전력케이블의 부분 방전 측정 시스템
KR20080030185A (ko) * 2006-09-29 2008-04-04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변압기 초음파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56A (ko) * 2001-06-11 2001-09-07 강창원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KR20060072566A (ko) * 2004-12-23 2006-06-28 한국전기연구원 전력기기의 부분 방전 검출 및 처리 장치
KR20070096498A (ko) * 2006-03-24 2007-10-02 (주)엠파워 전력케이블의 부분 방전 측정 시스템
KR20080030185A (ko) * 2006-09-29 2008-04-04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변압기 초음파 진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707A (ko) * 2013-11-05 2015-05-13 한국전력공사 지중송전케이블 준공시험용 부분방전 진단장치
KR102039869B1 (ko) * 2013-11-05 2019-11-04 한국전력공사 지중송전케이블 준공시험용 부분방전 진단장치
KR101803252B1 (ko) * 2013-11-14 2017-12-28 (주)파워피디 부분방전 판단 방법
KR20160005480A (ko)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101507921B1 (ko) * 2014-08-01 2015-06-25 진성전기(주) 하이테크 수배전반
KR20160030023A (ko) * 2014-09-05 2016-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3상 송전선로의 절연 열화 진단 방법 및 그의 절연 열화 진단 장치
KR102179618B1 (ko) 2014-09-05 2020-11-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3상 송전선로의 절연 열화 진단 방법 및 그의 절연 열화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832B1 (ko)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이상 검출 방법
US859495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vent
RU2660128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состояния обрыва фазы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KR100937363B1 (ko)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290294B1 (ko) 비접촉 위상측정센서를 이용한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KR102117938B1 (ko)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KR102231150B1 (ko) 부싱 진단 시스템
KR20220126381A (ko) 고전압 전력 설비에 대한 전압 계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전압 전력 설비
KR20130015382A (ko) 고조파형 분석에 의한 변압기 진단장치
US10520539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in high-voltag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KR101917664B1 (ko) 아크 종류 및 위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시스템
KR101581018B1 (ko) 변압기의 콘덴서 부싱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5075482A (ja) 部分放電検知プローブと携帯型部分放電測定器及び測定方法
KR20090107770A (ko) 전력기기의 위험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EP2482090A1 (en) System for measuring partial discharges in power lines
KR101731861B1 (ko) 현장용 지상개폐기 진단기록장치
JP2006200898A (ja) 割込絶縁計測装置
JP2009210541A (ja) エポキシ絶縁形電気機器の部分放電検出方法および部分放電検出装置
JP6118627B2 (ja) 真空バルブの真空漏れ監視装置
CN107884737A (zh) 无线高精度同步的现场容性设备在线监测校验系统及方法
JP2004347424A (ja) 活線絶縁劣化診断方法及びその装置
EP2681572A1 (en) Method for adaptation of ground fault detection
KR101413788B1 (ko) 변압기 이상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120093023A (ko) 고장점 위치 측정 장치
KR20220004429A (ko) 배전선로 지중함 전력케이블 진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