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983B1 -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 Google Patents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983B1
KR101958983B1 KR1020170098622A KR20170098622A KR101958983B1 KR 101958983 B1 KR101958983 B1 KR 101958983B1 KR 1020170098622 A KR1020170098622 A KR 1020170098622A KR 20170098622 A KR20170098622 A KR 20170098622A KR 101958983 B1 KR101958983 B1 KR 10195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rane
contact
roll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4755A (en
Inventor
유석진
홍완기
김원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8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98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Abstract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는 회전하는 크레인에 매달린 집게장치로 슬라브를 집어서 이송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블록이 삽입되고 블록을 지지하는 두 개의 기둥축을 구비하는 블록지지면; 및 집게장치가 슬라브를 집을 때 발생되는 오프셋을 보상하도록, 집게장치의 크로스암과 슬라브의 접촉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마련된 롤러와, 블록지지면과 면접촉지지면을 연결하는 스프링 및 롤러가 크로스암과 슬라브의 접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오프셋차단바; 를 포함하되, 블록지지면 및 롤러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브와 직접 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 상에 설치된다.A crane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is disclosed. The block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supporting surface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a slab by a clamping device suspended from a rotating crane,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having two column shafts into which blocks are inserted and which support the blocks; And a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y driven in a direction of contact between the cross arm and the slab of the clamping device so as to compensate for an offset generated when the clamping device grips the slab, and a spring and a roller connecting the block supporting face and the face- An offset blocking bar for restricting rotational dri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direction of the slab; Wherein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and the roller are provided in a planar shape and are provided on a surface of an interview pendan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lab.

Description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0001]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0002]

본 발명은 수직하중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capable of mitigating an impact from a vertical load.

일반적으로 통크레인은 집게장치에 의하여 슬라브와 같은 제품을 집어서 주행 레일을 따라서 전진 이동함으로써 목적지에 슬라브를 내려는 놓는 슬라브 이동장치이다. Generally, a barrel crane is a slab-moving device that picks up a slab, such as a slab, by means of a pliers and moves it forward along the running rail, thereby releasing the slab to its destination.

이를 위하여 통크레인은 집게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집게장치는 와이어 또는 바 장치를 통하여 크레인에 매달리게 된다.To this end, the barrel cranes are equipped with a clamping device which is hung on the crane through a wire or bar device.

통크레인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방법에는 통크레인 슬라브간의 충격속도를 제어하거나, 통크레인 슬라브을 접촉시키지 않고 이송하거나, 상기 접촉시 접촉방식에 변화를 주는 방법 등이 존재하였다.Methods for reducing the impact of the crane cranes include controlling the impact speed between the crane slabs, transporting the crane slabs without touching them, or changing the contact method during the contact.

다만, 상술한 방법들에 의할 때에도, 고온슬라브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한 장치의 형태변형 및 이에 따른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However, even with the above-mentioned methods, it is possible to cause the deformation of the apparatus due to the heat conducted from the hot slab and the failure thereof.

또한, 통크레인이 하강하면서 크레인을 구성하는 상, 하부 자체 무게에 의한 충격이 슬라브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크레인이 파손되거나 슬라브 표면이 손상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In addition,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impact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rane constituting the crane is transmitted to the slab while the crane is descending, thereby damaging the crane or damaging the slab surface.

아울러, 통크레인의 집게장치는 크로스암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슬라브의 좌우측을 집도록 설계되어 있다. 슬라브를 집기 위하여 집게장치를 하강시키면 지지블록이 슬라브에 닿게되고 운전자가 이를 판단하여 집게장치의 하강을 중지시킨다.In addition, the clamping device of the barrel crane is designed such that the crossarm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to grip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b. When the clamping device is lowered to pick up the slab, the supporting block contacts the slab, and the driver judges this and stops the descent of the clamping device.

이와 같이 구성된 집게 크레인은 제품, 즉 슬라브를 집기 위하여 먼저 집게를 내려 슬라브 위에 블록을 안착시킨다. In order to pick up the product, ie the slab, the clamping cranes thus constructed are first lowered to place the block on the slab.

그 다음 집게장치를 들어올리면 슬라브의 하중에 의하여 슬라브가 집게장치에 물리게 된다. 집게장치에 슬라브가 물리게 되면 슬라브를 집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이동하여 슬라브의 목적 위치에서 다시 집게장치를 내려서 슬라브를 이동시키게 된다.Then, lifting the clamping device causes the slab to be bitten by the clamping device by the load of the slab. When the slab is snapped on the clamping device, the crane moves while holding the slab and moves the slab by moving the clamping device again from the target position of the slab.

일반적으로는 집게장치를 구성하는 크로스암은 양측 구성이 동시에 슬라브에 접촉하지 않는다. Generally, the cross arms constituting the clamping device do not contact the slabs at the same time on both sides.

즉, 슬라브는 크로스암에 시간차를 가지고 접촉하기 때문에 크레인 하부에 슬라브와 접촉하는 롤러가 움직이는 오프셋이 발생하게 되며 롤러를 적용하여 슬라브에 긁힘 및 충격없이 오프셋에 대응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slab contacts with the cross arm with a time difference, an offset occurs in which the roller contacting the slab is moved under the crane, and the roller can be applied to offset the slab without scratches and impacts.

그러나 여기에 적용되는 롤러는 슬라브와 초기 접촉시 통크레인 자체 무게를 선접촉시 롤러와 슬라브 표면간의 선접촉에 의한 집중하중이 가해져 슬라브표면에 크랙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a concentrated load due to a line contact between the roller and the slab surface is applied during the initial contact of the slab with the slab, thereby causing cracks on the surface of the slab.

따라서, 롤러의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의 장치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complemen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roll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라브 표면에 발생 가능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possible defects on the slab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크레인 자체 무게에 의한 충격하중을 보상하는 동시에 크로스암에 의한 오프셋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는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act reducing device capable of compensating an impact load due to the weight of a crane itself and coping with an offset by a cross ar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열변형에 대한 저항이 가능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ranes impact reduction device capable of resistance to thermal de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에 매달린 집게장치로 슬라브를 집어서 이송하는 통크레인의 충격 저감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블록이 삽입되고 상기 블록을 지지하는 두 개의 기둥축을 구비하는 블록지지면 및 상기 집게장치가 상기 슬라브를 집을 때 발생되는 오프셋을 보상하도록, 상기 집게장치의 크로스암과 상기 슬라브의 접촉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마련된 롤러와, 상기 블록지지면과 상기 면접촉지지면을 연결하는 스프링 및 상기 롤러가 상기 크로스암과 상기 슬라브의 접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오프셋차단바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지지면 및 롤러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브와 직접 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 상에 설치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er of a barrel crane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a slab by a clamping device suspended from a crane, comprising: a block supporting surface having two column shafts inserted therein and supporting the block; A roller arranged to rotate in a direction of contact between the cross arm of the clamp device and the slab so as to compensate for an offset generated when the clamp device grips the slab; a spring connecting the block support surface and the contact- And an offset blocking bar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ll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ontact direction of the cross arm and the slab, wherein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and the roller are provided in a planar shape, A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is provided on a crane.

상기 롤러는 상기 블록지지면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롤러의 회전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위치가 상기 블록지지면의 중심부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Wherein the roll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and the spring allows the position of the surface of the contact pacing surface to be returned to the center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roller .

상기 오프셋차단바는,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상면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기둥축 사이에 마련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offset blocking bar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view pile and provided between the two pillar shafts.

상기 슬라브에 의한 열변형에 저항하기 위한 열변형차단바를 더 포함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d a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for resisting thermal deformation by the slab.

상기 열변형차단바는,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상면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ce of the interview pendant.

상기 스프링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상면에 마련된 회전고리를 더 포함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ring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iercing surface so that the spring can rotate.

상기 슬라브에 의한 상기 회전고리의 열변형에 저항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면접촉지지면과 상기 회전고리 사이의 경계면에 구비되는 세라믹페이퍼를 더 포함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d a ceramic paper provided to resist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rotary ring by the slab, the ceramic paper being provided on an interface between the face to be interviewed and the rotary r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는 크레인의 하중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impact of a crane c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mpact from the load of the cra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는 크로스 암에 의한 오프셋을 극복할 수 있다.The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offset caused by the crossa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는 슬라브에 의한 열변형에 저항할 수 있다. The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ist thermal deformation by the slab.

도 1은 종래 통크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통크레인의 크로스암이 슬라브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크로스암 접촉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프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에서 세라믹페이퍼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세라믹페이퍼를 적용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ault cran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oss arm of a conventional vat crane is in contact with a slab.
FIG. 3 is a view showing offsets generated in the crossarm contact process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eramic paper in a crane cran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applying the ceramic paper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parts of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은 종래 통크레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통크레인의 크로스암이 슬라브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크로스암 접촉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프셋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에서 세라믹페이퍼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세라믹페이퍼를 적용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ault crane,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ross arm of a conventional vault crane is in contact with a slab, FIG. 3 is an illustration of an offset generated in the cross-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eramic paper in a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applying the ceramic paper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내부에 블록(4)이 삽입되고 블록(4)을 지지하는 두 개의 기둥축을 구비하는 블록지지면(4b), 집게장치(1)가 슬라브(5)를 집을 때 발생되는 오프셋을 보상하도록, 집게장치(1)의 크로스암(2)과 슬라브(5)의 접촉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마련된 롤러(4a)와, 블록지지면(4b)과 면접촉지지면(6a)을 연결하는 스프링(7) 및 롤러(4a)가 크로스암(2)과 슬라브(5)의 접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오프셋차단바(6b)를 포함한다. 1 to 5, a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support 4 having two pillar shafts into which a block 4 is inserted and which supports a block 4, A roller 4 arrang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contact between the cross arm 2 of the clamping device 1 and the slab 5 so as to compensate an offset generated when the clamp device 1 picks up the slab 5, The spring 7 and the roller 4a connecting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and the contact surface 6a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direction of the cross arm 2 and the slab 5, And an offset blocking bar 6b for restricting the driving.

이 때, 블록지지면(4b) 및 롤러(4a)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브(5)와 직접 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6a) 상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and the roller 4a are provided in a planar shape and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piercing surface 6a in direct contact with the slab 5.

도 1 및 도 2를 참조해보면, 통크레인은 양측으로 각각 집게장치가 설치되어 슬라브의 좌우 양측을 집도록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arrel cranes are provided with clamping devices on both sides to grip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b.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브(5)를 집기 위하여 집게장치(1)를 하강시키면 블록(4)이 슬라브에 닿게 되고 운전자가 이를 판단하여 집게장치의 하강을 중지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lamping device 1 is lowered to pick up the slab 5, the block 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ab, and the driver judges that the slab 5 is stopped and stops the descent of the clamping device.

이와 같이 구성된 통크레인은 제품, 즉 슬라브(5)를 집기 위하여 먼저 집게장치(1)를 내려 슬라브(5) 위에 블록(4)을 안착시킨다. 그 다음 집게장치(1)를 구성하는 크로스암(2) 및 조우(3)가 슬라브(5) 양쪽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브(5)를 들어올리면 슬라브(5)가 그 하중에 의해 집게장치(1)에 물리게 된다. The barrel crane constructed in this way descends first the clamping device 1 to place the block 4 on the slab 5 in order to pick up the product, i.e. the slab 5. The slab 5 is lifted up with the cross arms 2 and jaws 3 constituting the clamping device 1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lab 5, 1).

집게장치(1)에 슬라브(5)가 물리게 되면 슬라브(5)를 집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이동하여 슬라브(5)의 목적 위치에서 다시 집게장치(1)를 내려서 슬라브(5)를 이동시키게 된다. When the slab 5 is pinched by the pinching device 1, the crane moves while holding the slab 5 and moves the slab 5 again by lowering the pinching device 1 at the target position of the slab 5 .

한편, 상술한 크로스암(2)이 작동할 때에는, 양쪽에 설치된 조우(3)가 슬라브(5) 좌우 양면에 동시 접촉하는 경우가 아닌 시간차를 두고 슬라브(5)의 좌우 양면에 접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ross arm 2 described above is operated, the jaws 3 provided on both sides can contac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b 5 with a time difference, not when both sides of the slab 5 are simultaneously contacted .

이러한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스암(2)이 먼저 접촉하여 밀어내는 방향으로 슬라브(5)는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브(5) 상부에 접촉되어 있는 롤러(4a) 역시 구동회전하여 이동한다. 이어서, 크로스암(2)이 후차적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슬라브(5)와 롤러(4a)는 이동하게 된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3, the slab 5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ss arm 2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and pressed, and the roller 4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lab 5 in the same direction, Rotate and move. Subsequently, the slab 5 and the roller 4a ar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ross arm 2 pushes up later.

즉, 크로스암(2)의 슬라브(5) 좌우 양면에 대한 접촉시간 차에 따른 오프셋이 발생하게 되고, 이 때, 롤러(4a)의 반복적인 구동회전으로 인해 슬라브(5) 표면은 파손될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That is, an offset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contact tim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b 5 of the cross arm 2, and at this time, there is a risk that the surface of the slab 5 is broken due to repetitive driving rotation of the roller 4a Can exist.

상술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집게장치(1)의 크로스암(2)과의 접촉방향으로 슬라브(5)와 접촉하여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롤러(4a)와, 블록지지면(4b)과 면접촉지지면(6a)을 연결하는 스프링(7)을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6 is provided with a roller 4a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y driven in contact with the slab 5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cross arm 2 of the pinching device 1, 4b and the contact surface 6a.

이에 따라,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오프셋이 발생되었을 때, 롤러(4a)는 슬라프(5)의 표면이 아닌 면접촉지지면(6a)상에서 구동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이로써 오프셋에 의해 야기되는 슬라브(5) 표면에 대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offset shown in FIG. 3 is generated, the roller 4a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driving and rotating on the surface 6a of the contact pads 6a, not on the surface of the slab 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slab 5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술한 스프링(7)은 블록지지면(4b)과 면접촉지지면(6a)을 연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롤러(4a)의 회전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면접촉지지면(6a)의 위치가 상기 블록지지면(4b)의 중심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 spring 7 connects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and the face of the face to be contacted 6a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ace 6a of the face to be interviewed corresponds to the rotation of the roller 4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상술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상술한 스프링(7)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면접촉지지면(6a) 상면에 마련되는 회전고리(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rane impact suppression device 6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ring 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target surface 6a so that the above-described spring 7 can rotate.

도 4를 참조하면, 기존 서포팅블록 블록지지면(4b) 및 면접촉지지면(6a)를 연결하는 스프링(7)을 회전고리(8)로 연결하고, 스프링(7)의 인장과 압축방향을 제외한 회전에 대한 구속력을 제거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4, a spring 7 connecting an existing supporting block block supporting surface 4b and an interview paging surface 6a is connected by a rotary ring 8, and the tension and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spring 7 are excluded Durability can be ensured by eliminating the restraining force against rotation.

아울러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오프셋이 발생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크로스암(2)에 의한 오프셋이 발생했을 때 롤러(4a)가 크로스암(2)과의 접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오프셋차단바(6b)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hen the offset shown in FIG. 3 is generated, referring to FIG. 4, the crane impact reduction device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ffset by the cross arm 2 And an offset blocking bar 6b for restricting the roller 4a from rot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crossarm 2 when the roller 4a is generated.

여기서, 오프셋차단바(6b)는 면접촉지지면(6a) 상면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Here, the offset blocking bar 6b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upper face of the face for urging the interviewer 6a.

또한, 블록지지면(4b)을 구성하는 두 개의 기둥 축 사이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O)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O between the two column shafts constituting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is adjustable so that the above-described offset can be generated.

즉, 오프셋 발생 예정 거리(O)가 상술한 두 기둥 축 사이의 거리보다 클 경우, 오프셋차단바(6b)가 상기 기둥 축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된다. That is, when the offset occurrence expected distance O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two column shafts, the offset blocking bar 6b is caught by any one of the column shafts.

이에 따라, 상술한 블록지지면(4b)의 좌우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블록지지면(4b)의 좌우 하단에 설치된 롤러(4a) 역시 회전구동이 제한됨으로써, 결국 상술한 오프셋이 차단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can be restricted, and the rotation of the rollers 4a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4b is limited, have.

상술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가 접촉하는 슬라브(5)는 800도가 넘는 고온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열전도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Since the slab 5 to which the above-described crane impact suppression device 6 is brought in contact has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exceeding 800 degre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rmal deformation due to heat conduction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열변형차단바(6c)를 더 포함함으로써, 슬라브(5)의 열전도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bottom crane impact reducer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6c, thereby preventing thermal deformation of the slab 5 due to thermal conduction.

즉, 면접촉지지면(6a) 상면에 전후 및 좌우 위치의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오프셋차단바(6b) 및 열변형차단바(6c)를 포함함으로써, 슬라브(5)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해 장치가 열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offset blocking bar 6b and the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6c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ce 6a to be symmetrical about th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heat conduction from the slab 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한편, 종래 통크레인이 슬라브(5)와 접촉하는 방식은 크레인이 수직으로 하강하여 롤러(4a)가 슬라브(5) 표면과 선접촉하는 방식에 의하였고, 이를 통해 통크레인을 고정시켰다. 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rane is in contact with the slab 5, the crane is vertically lowered and the roller 4a comes into lin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lab 5, thereby fixing the crane.

이 때, 롤러(4a)와 슬라브(5)의 접촉방식이 선접촉에 의할 경우에는 통크레인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슬라브(5) 표면을 가하게 되어 그 표면에는 크랙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roller 4a and the slab 5 are brought into lin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essure due to the load of the barrel cran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lab 5, .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슬라브(5)와 기존의 롤러(4a)의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써, 크레인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면접촉지지면(6a)을 포함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surface contact method not the line contact between the slab 5 and the conventional roller 4a, (6a) for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user.

한편, 상술한 스프링(7)이 면접촉지지면(6a)과 연결되는 부분은 열변형차단바(6c)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이에 따라 스프링(7)은 상술한 면접촉지지면(6a)과 접촉하고 있는 고온의 슬라브(5)로부터 전도된 열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ion where the spring 7 is connected to the face 6a is not provided with the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6c, so that the spring 7 is in contact with the face 5a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deformed by the heat conducted from the hot slab 5 having a high temperatur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회전고리(8)와 면접촉지지면(6a)사이의 경계면에 마련된 세라믹페이퍼(9)를 더 포함한다. 5, the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ne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for crushing a crane crane, which is provided on a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rotating ring 8 and the contact- (9).

즉, 세라믹페이퍼(9)가 고온의 슬라브(5)와 직접 접촉해있는 면접촉지지면(6a)으로부터 오는 열이 스프링(7)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스프링(7)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o s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spring 7 by preventing the heat from the contact surface 6a of the ceramic paper 9 in direct contact with the hot slab 5 from being conducted to the spring 7 .

도 6은 도 5의 세라믹페이퍼를 적용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술한 세라믹페이퍼(9)를 설치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열전도 차단효과를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applying the ceramic paper of Fig. 5, showing the thermal conduction blocking effect that can be generated by installing the ceramic paper 9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통크레인이 하강함에 따라 상술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와 슬라브(5)가 접촉할 당시 전도되는 열에 의한 스프링(7)의 온도상승에 대하여, 세라믹페이퍼(9) 적용 전의 경우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으며, 세라믹 페이퍼(9) 적용 후의 경우는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More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pring 7 due to the heat conducted at the time when the barrel crane is lowered and the slab 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bove-mentioned crane impact suppression device 6, , And the solid pape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eramic paper 9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도 6을 참조해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프링(7)의 온도 조건은 100도이상의 차이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6, over time,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spring 7 shows a difference of more than 100 degrees.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6)는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세라믹페이퍼(9)를 포함함으로써 스프링(7)으로의 열전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apparatus for crushing the impact of the crane crane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eramic paper 9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the heat conduction to the spring 7 can be block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O: 오프셋 발생가능 거리
1: 집게장치
2: 크로스암
3: 조우
4: 블록
4a: 롤러
4b: 블록지지면
5: 슬라브
6: 충격 저감장치
6a: 면접촉지지면
6b: 오프셋차단바
6c: 열변형차단바
7: 스프링
8: 회전고리
9: 세라믹페이퍼
O: Offset distance
1: clamping device
2: Cross-rock
3: Encounters
4: Block
4a: Rollers
4b: block supporting surface
5: Slab
6: Shock Absorber
6a: Face to face interview
6b: offset bar
6c: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7: Spring
8: Swivel
9: Ceramic paper

Claims (7)

크레인에 매달린 집게장치로 슬라브를 집어서 이송하는 통크레인의 충격 저감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블록이 삽입되고 상기 블록을 지지하는 두 개의 기둥축을 구비하는 블록지지면; 및
상기 집게장치가 상기 슬라브를 집을 때 발생되는 오프셋을 보상하도록,
상기 집게장치의 크로스암과 상기 슬라브의 접촉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마련된 롤러와,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브와 직접 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 및 상기 블록지지면을 연결하는 스프링과, 상기 롤러가 상기 크로스암과 상기 슬라브의 접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오프셋차단바;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지지면 및 롤러는
상기 면접촉지지면 상에 설치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CLAIMS 1. A shock absorber of a crane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a slab with a clamping device suspended from the crane,
A block support surface having two column shafts into which blocks are inserted and which support the blocks; And
To compensate for an offset occurring when the clamping device picks up the slab,
A roller arranged to be rotatably driven in a direction of contact between the cross arm of the pinching device and the slab, a spring provided in a planar shape to connect the slip to the slip contact surface and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And an offset blocking bar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sla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ontact direction of the slab,
The block support surface and the roller
And a crane impact reducing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for urging the inter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블록지지면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롤러의 회전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위치가 상기 블록지지면의 중심부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The sprin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ace of the contact pens can be return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lock suppor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차단바는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상면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기둥축 사이에 마련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ffset blocking bar
And a crankshaft impact reduc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two pillar shafts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view paging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 의한 열변형에 저항하도록 마련된 열변형차단바를 더 포함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provided to resist thermal deformation by the sla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차단바는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상면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ermal deformation blocking bar
And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view-prompting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면접촉지지면의 상면에 마련되는 회전고리를 더 포함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ring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said face-to-face contact surface so that said spring is rotata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 의한 상기 회전고리의 열변형에 저항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면접촉지지면과 상기 회전고리 사이의 경계면에 구비되는 세라믹페이퍼를 더 포함하는 통크레인 충격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eramic paper which is provided to resist thermal deformation of the rotary ring by the slab and is provided on an interface between the face to be interviewed and the rotary ring.

KR1020170098622A 2017-08-03 2017-08-03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KR101958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2A KR101958983B1 (en) 2017-08-03 2017-08-03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2A KR101958983B1 (en) 2017-08-03 2017-08-03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55A KR20190014755A (en) 2019-02-13
KR101958983B1 true KR101958983B1 (en) 2019-03-15

Family

ID=6536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22A KR101958983B1 (en) 2017-08-03 2017-08-03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98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6377U (en) * 1984-09-14 1986-04-15
KR20040107601A (en) * 2003-06-05 2004-12-23 주식회사 포스코 Tongs crane with arm distance adjustmen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55A (en)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50039U (en) Bar baiting structure and bar diced system
CN204470700U (en) Bar handling equipment and bar diced system
KR20150119257A (en) Clamp system, gripping device therefore and method of using the clamp system
JP5716348B2 (en) Coil lifter
KR101958983B1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tong crane
CN203902573U (en) Rail clamping device and rail traveling mechanism
US20180347294A1 (en) Spinner tool with floating carriage device
JP2709271B2 (en) Hanger floating positioning device
JPWO2017221580A1 (en) Electric equipment panel standing equipment and electric equipment panel standing method
CN103879929B (en) A kind of auxiliary device for the transport of heavy caliber cable coil and using method thereof
JP4922870B2 (en) Board lift device
JP2011190082A (en) Suspension device for shape steel
JPH1095590A (en) Cargo hoisting equipment
KR102106715B1 (en) Lifting Jig for Guide Rail of Elevator
KR101945377B1 (en) Tong crane for slab and protecting device for slab in tong crane
KR101654213B1 (en) clamping head
CN219906695U (en) Lifting appliance for large-size glass plate
CN219546454U (en) Hoisting device for H steel production
JP4795865B2 (en) Concrete block suspension
KR102247447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CN218114737U (en) Hoisting accessory is used in toughened glass transport
CN204079257U (en) Self-locking suspender and hoisting crane
JP2004269184A (en) Segment transport device
JP3248427B2 (en) Slab tong
NO20160186A1 (en) Lubricator hand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