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67B1 -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 Google Patents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67B1
KR101958167B1 KR1020180073629A KR20180073629A KR101958167B1 KR 101958167 B1 KR101958167 B1 KR 101958167B1 KR 1020180073629 A KR1020180073629 A KR 1020180073629A KR 20180073629 A KR20180073629 A KR 20180073629A KR 101958167 B1 KR101958167 B1 KR 10195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rush
bolt
auxiliary
auxiliar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종
박희정
이동식
박종서
조하진
채승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7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1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73Brush for cleaning specific unusual places not otherwise covered, e.g. gutters, golf clubs, tops of tin cans, cor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comprises: a head (10); brush bristles (20) having one end fixated to the head (10); an auxiliary head (30) having an inserted hole (31), into which the brush bristles (20) ar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head (10) to be able to move between a surface of the head (10) and an end of the brush bristles (20); and a driving means (40) moving and fixating the auxiliary head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head is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head and the brush bristles such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a friction force and thus, a cleaning effect can be increased by moving the auxiliary head close to the end of the brush bristles and fixing the same without cutting the long brush brist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head is moved toward the head to be fixed in a state the brush bristles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auxiliary head are worn out such that the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can continuously exhibit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without discard of the brush bristles.

Description

문화재 세척용 솔{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본 발명은 문화재 세척용 솔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보조헤드를 이용하여 브러쉬모의 실질적 길이 조절이 이루어져 문화재 세척시 불필요하게 브러쉬모를 커팅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여 불필요한 자원 및 예산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문화재 세척용 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in which a movable auxiliary head is used to adjust a substantial length of a bristle so as to prevent unnecessary resource and budget wastage by continuously using the bristle brush without cutting unnecessary brush- , And cultural property cleaning brushes.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역사가 깊은 나라로서 석기시대로부터의 문화재가 전래되어 오고 있으며 문화재 중 석탑, 불상 등 석조문화재가 모든 문화재의 절반 가까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In general, Korea is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and cultural assets from the Stone Age have been imported. Among the cultural properties, stone pagodas and stone statues such as Buddhist statues occupy a high proportion of nearly half of all cultural properties.

국가 국보급 석조문화재를 포함하여 보물급 이상의 문화재만 해도 천여 건 이상에 달하고 있으나 대부분 규모가 커서 야외에 위치하고 있다.National National Treasures There are more than 1,000 cultural assets including treasures, including stone artifacts, but they are mostly located outdoors because they are large in size.

또한, 비바람, 동결, 융해 및 산성비로 인한 환경오염 등 물리, 화학적 요인과 이끼, 미생물 등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하여 석조문화재의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such as wind and rain, freezing, melting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acid rain, and biological factors such as moss and microorganisms are seriously deteriorating stone cultural properties.

야외에 위치한 대부분의 문화재는 각종 오염물질과 이끼, 박테리아 등 미생물로 피복되어 있고 이들은 석조물의 외관을 훼손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훼손을 촉진시키므로 석조문화재의 장기 보존을 위해서는 반드시 세척할 필요가 있다.Most of the cultural assets located in the outdoors are covered with various contaminants, microorganisms such as mosses and bacteria, which not only undermines the appearance of the stone, but also accelerates the destr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stone cultural property for long-term preservation.

이러한 문화재 세척에 관한 기술을 살펴보면, "석재 구조물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그 제거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5091호, 특허문헌 1)에는 석재 구조물에 유동기체와 물을 공급하여 세척하면서 석재구조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0003] In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cleaning of cultural properties,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from a stone structure and a method for removing the sam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75091, Patent Document 1) A technique of sucking foreign matter from a structure is disclosed.

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문화재 표면의 이물질 제거 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7231호, 특허문헌 2)를 출원하기도 하였는데, 특허문헌 2에서는 저압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파우더 모양이 둥근 블라스팅 처리를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so filed a patent applica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77231, Patent Document 2) for a method of removing foreign matters on the surface of cultural properties. In Patent Document 2, A technique of round blasting is disclosed.

특허문헌 1이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이 고압 공기 분사, 물 분사, 연마 방식이 적용됨에 있어서 이러한 공정의 전, 중간, 후에는 솔을 이용한 브러싱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high-pressure air injection, water injection, and polishing are applied as in Patent Document 1 or Patent Document 2, brushing using a brush is performed before, during, and after such a process.

통상적으로 문화재 세척시 사용하는 솔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솔을 사용해 왔다.Traditionally, brushes used for washing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brushes.

통상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솔은 브러쉬 헤드로부터 모의 길이가 3 ~ 10cm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The brush which is usually purchased and used has a simulation length of about 3 to 10 cm from the brush head.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솔의 경우 헤드와 모 단부와의 사이 거리가 길기 때문에 충분한 세척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바, 작업자들은 일부러 모의 단부를 잘라내어 세척에 사용하고, 사용 후 폐기하곤 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general brush,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end portion is long, a sufficient cleaning effect can not be achieved. Therefore, the workers have deliberately cut out the mock end to use it for cleaning and dispose of it after use.

따라서, 브러쉬모가 잘라내어 폐기되어 버리고, 모 길이가 짧아진 솔은 모가 마모되어 사용이 어려울 정도로 짧아지면 폐기되어 버리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bristles are cut off and discarded, and the bristles having a shorter brush length are wasted if they become worn so that the bristles become so short as to be difficult to use, resulting in unnecessary waste of resources.

KR 10-1675091 (2016.11.04)KR 10-1675091 (2016.11.04) KR 10-2010-0077231 (2010.07.08)KR 10-2010-0077231 (July 10, 2010)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와 브러쉬모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헤드를 구비함으로써 길이간 긴 브러쉬모를 잘라 쓰지 않더라도 보조헤드를 브러쉬모 단부 가까이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마찰강도를 높여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ush for cleaning a cultural property, comprising: an auxiliary head for reciprocating between a head and a brush,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by increasing the friction strength by fixing the brush near the end portion of the brush.

또, 보조헤드 단부로 돌출된 브러쉬모가 마모된 상태에서 보조헤드를 헤드 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브러쉬모의 폐기 없이도 지속적으로 우수한 세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문화재 세척 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ural property cleaning brush capable of continuously exhibiting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without disposal of a brush model by using the auxiliary head moved to the head side while the brush head protrud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head is worn.

특히, 브러쉬모가 보조헤드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홀의 내경을 브러쉬모 단부 측을 향해 점차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보조헤드의 끼움홀 주변에서 브러쉬모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세척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Particularly, it is intended that the bristles gradually become smaller toward the brim end side by mak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auxiliary head to be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bristle end side, thereby firmly supporting the brush bristles around the fitting hole of the auxiliary head.

더불어, 보조헤드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따라 브러쉬모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브러쉬가압부재가 구비되어 보조헤드를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브러쉬모의 탱탱한 정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율의 제고는 물론, 세척 대상이 되는 문화재의 손상까지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a brush pressing member which is movable on the auxiliary head and which firmly supports the brush bristles according to the movement is provided to adjust the degree of bristle tufting as necessary while using the auxiliary head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To prevent damage to cultural property.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10)와;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10)에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모(20)와; 상기 브러쉬모(20)가 끼워지는 끼움홀(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10)와 연결되어 있되, 헤드(10) 표면과 브러쉬모(20) 단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보조헤드(30)와; 상기 보조헤드(30)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10); A brush bristle (2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ead (10); An auxiliary head (not shown) formed to be able to move between the surface of the head 10 and the end of the brush bristles 20 is provided with a fitting hole 31 into which the brush bristles 20 are inserted, 30); And driving means (40) for moving and fixing the auxiliary head (30).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헤드(10)에는 볼트수용홀(1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볼트수용홀(14) 상부에는 볼트수용홀(14)보다 중앙 측으로 돌출된 볼트이탈방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수용홀(14) 하부에는 볼트수용홀(14)보다 중앙 측으로 돌출된 하부단턱부(16)가 형성되어 있고,A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in the head 10 and a bolt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on the bolt receiving hole 14, A lower step portion 16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상기 보조헤드(30)에는 상기 볼트수용홀(14)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돌출부(35)의 상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홀(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돌출부(35)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단턱부(16)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The auxiliary head 30 is formed with an upper projection 35 inserted into the bolt receiving hole 14. A bolt fastening hole 36 having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projection 35, And an engaging portion 37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35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ep portion 16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35,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볼트체결홀(3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돌출부(3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트몸체부(44)와, 상기 볼트몸체부(44)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이탈방지부(15)에 끼워져 볼트몸체부(44)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이동방지홈(45)와, 상기 이동방지홈(45)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볼트몸체부(44)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4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ans 40 includes a bolt body portion 44 screw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36 to move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35 up and down and a bolt body portion 44 formed on the bolt body portion 44, A movement preventing groove 45 which is fitted in the bol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15 and suppresse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olt body portion 44 and a bolt body portion 44 And a knob portion 46 for rotating the knob portion 46. As shown in Fig.

또는, 상기 헤드(1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삽입홀(11)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에는 볼트삽입홀(11)과 동일축선상에 심부측이 표층부에 비해 내경이 큰 이탈방지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4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트삽입홀(11)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홈(32)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확경부(42)와, 상기 몸체부(41) 상부에 연결되어 몸체부(4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4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lt insertion hole 11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10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ead 10. The auxiliary head 30 has a bolt insertion hole 11, The driving means 40 includes a body portion 41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1, (42)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 and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etachment prevention groove (32), and a body portion (41) And a handle (43) for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the apparatus.

또, 상기 헤드(10)에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head 10 and a guide bar 2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on the auxiliary head 30.

또한, 상기 끼움홀(31)은 브러쉬모(20)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단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tting hole 31 has a taper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brush bristles 20.

더불어, 상기 보조헤드(30)의 바닥면에 판상의 브러쉬가압부재(5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가압부재(50)에는 브러쉬가압부재(50)의 이동 경로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끼움홀(31)과 일직선을 이루는 보조끼움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홀(31)과 보조끼움홀(51)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가압부재(50)를 보조헤드(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head 30 such that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movable in one direction. An auxiliary fitting hole 51 is formed at a specific point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tting hole 31.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fitting hole 51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hole 31 and the auxiliary fitting hole 51 are misaligned And fixing means (60) for fixing to the head (30).

본 발명에 의해, 헤드와 브러쉬모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헤드를 구비함으로써 길이간 긴 브러쉬모를 잘라 쓰지 않더라도 보조헤드를 브러쉬모 단부 가까이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마찰강도를 높여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auxiliary head for making reciprocal movement between the head and the brush moth, the auxiliary head can be moved and fixed near the bristle end portion without cutting the long brush moth between the lengths, do.

또, 보조헤드 단부로 돌출된 브러쉬모가 마모된 상태에서 보조헤드를 헤드 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브러쉬모의 폐기 없이도 지속적으로 우수한 세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문화재 세척 솔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head is moved to the head side in a state where the brush bristle project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head is worn, the bristle brush is provided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exhibiting excellent cleaning effect without disposal of the brush bristles.

특히, 브러쉬모가 보조헤드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홀의 내경을 브러쉬모 단부 측을 향해 점차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보조헤드의 끼움홀 주변에서 브러쉬모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세척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bristles gradually reduc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auxiliary head toward the bristle end side, the bristles can be firmly supported around the fitting hole of the auxiliary head, thereby enhancing the cleaning effect.

더불어, 보조헤드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따라 브러쉬모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브러쉬가압부재가 구비되어 보조헤드를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브러쉬모의 탱탱한 정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율의 제고는 물론, 세척 대상이 되는 문화재의 손상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brush pressing member which is movable on the auxiliary head and which firmly supports the brush bristles according to the movement is provided to adjust the degree of bristle tufting as necessary while using the auxiliary head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cultural properties.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의 저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의 보조헤드 끼움홀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브러쉬가압부재가 구비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구성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프링이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구동수단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ate of the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head insertion hole of a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rush press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ring is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rush for cleaning a cultural proper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문화재 세척용 솔은 크게 헤드(10), 브러쉬모(20), 보조헤드(30) 및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d 10, a brush bristle 20, an auxiliary head 30 and a driving means 40.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헤드(10)는 브러쉬모(20)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통상의 솔과 마찬가지로,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head 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one end of the brush bristles 20 and is made of a metal, plastic, wood, or the like, like a normal brush.

브러쉬모(20)의 고정은 본딩,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고정, 가압 클램핑 드으이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Fixation of the brush bristles 20 can be fixed by bonding, insert injection molding, or pressure clamping.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브러쉬모(20)가 고정되는 평평한 타원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단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의 손잡이(13)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an arcuate knob 13 connecting both end portions is formed in a flat elliptical plate on which the brush bristles 20 are fixed.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브러쉬모(20)는 전술한 것처럼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rush bristles 2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 to the head 10 at one side and free ends at the other side.

이러한 브러쉬모(20)는 통상의 솔처럼 다수 개가 하나의 무리를 이루고, 각 무리별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ush bristles 20 may be fixed to the head 10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brush bristles 20 form a single brush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bristles.

브러쉬모(20)는 통상의 솔과 같이 경질 또는 연질 압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동물의 털이나 실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rush bristles 20 may be made of a hard or soft extruded plastic material such as an ordinary brush, or may be made of animal hair or thread.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보조헤드(30)는 상기 브러쉬모(20)가 끼워지는 끼움홀(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10)와 연결되어 있되, 헤드(10) 표면과 브러쉬모(20) 단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auxiliary head 30 a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itting hole 31 into which the brush bristles 20 are inserted and is connected to the head 10 so that the surface of the head 10 and the bristles 20).

헤드(10) 표면과 브러쉬모(20) 단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10)에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22)이 형성되어 가이드봉(22)이 가이드홈(12)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헤드(10) 표면과 브러쉬모(20) 단부 사이를 이동하게 할 수 있다.A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head 10 to allow movement between the surface of the head 10 and the end of the brush bristles 20, A guide rod 2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2 so that the surface of the head 10 and the end of the brush bristles 20 As shown in FIG.

이때, 가이드홈(12)과 가이드봉(22)은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12 and the guide rod 22 may be replaced with a rail and a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rail.

또, 가이드홈(12) 내부에 원통형의 피니언기어가 설치되는 한편, 가이드봉(22)은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로 이루어져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봉(22)이 가이드홈(12)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guide pin 22 is formed of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The guide rod 22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Or may be configured to move outwardly.

또, 가이드홈(12) 내주면이 쐐기 모양의 단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가이드봉(22)의 단부는 쐐기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tep with a wedge-shap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2, while a protrusion that catches the wedg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rod 22.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동수단(40)는 상기 보조헤드(30)로 하여금 헤드(10) 측 또는 브러쉬모(20) 단부측으로 양방향 이동하게 하거나,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driving means 40 constituting the constitue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uxiliary head 30 to move in both directions toward the head 10 side or the end side of the brush bristles 20 or to be fixed in a moving state.

이를 위한 구동수단(40)의 예로, 모터나, 엑츄에이터 등 외부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driving means 40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operating by an external power such as a motor or an actuator can be applied.

일예로, 헤드(10)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에 배터리가 내장됨과 더불어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나 엑츄에이터의 동작으로 전환하기 위한 회로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가 이동부재에 기어 맞춤식으로 연결되거나, 전기 엑츄에이터가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외부 전원 공급을 통해 필요한 만큼 보조헤드(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 space for storing a battery is formed in the head 10, a battery is incorporated in the space, and a circuit for switch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or the actuator is provided. Or if the electric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auxiliary head 30 as much as necessary through the external power supply.

랙과 피니언기어로 연결되는 방식 역시 양방향 모터를 피니언기어와 연결되도록 하고,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 및 스위치를 헤드(10) 외측에 설치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터의 정지와 동작, 회전 방향 전환 등을 통해 보조헤드(30)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two-way motor is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and a circuit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re installed outside the head 10 to stop and operate the motor and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The auxiliary head 30 can be driven.

그러나, 이러한 외부 동력 방식의 경우 제조 단가의 상승이 발생하게 되며, 수분에 의한 고장 우려가 커진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external power system, the manufacturing unit price is increased,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due to moisture is increased.

따라서, 외부 동력이 아닌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적합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manual method instead of an external power.

도 1 내지 3은 단순하면서도 조작이 용이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show an example of simple but easy to operate.

도시된 예에서 상기 헤드(1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삽입홀(11)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에는 볼트삽입홀(11)과 동일축선상에 심부측이 표층부에 비해 내경이 큰 이탈방지홈(32)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ead 10 is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11 having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auxiliary head 30 is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11, Preventing groove 32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urface layer.

또한 구동수단(4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트삽입홀(11)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홈(32)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확경부(42)와, 상기 몸체부(41) 상부에 연결되어 몸체부(4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43)로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means 40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41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1 and a lower port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 And a grip portion 43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 to rotate the body portion 41. [

이러한 구성은 구동수단(40)은 마치 손잡이가 달린 볼트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단부가 보조헤드(3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이탈방지홈(32)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구동수단(40)의 회전운동이 보조헤드(30)의 직선운동으로 제공되게 하는 방식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e driving means 40 takes the form of a bolt with a handle, and the end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head 30 but is installed in a freely rotatable structure within the departure prevention groove 32, So that the rotary motion of the auxiliary head 40 is provided in the linear motion of the auxiliary head 30. [

이때, 이탈방지홈(32) 내주면과 확경부(42)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2a)이 설치되어 보조헤드(30)의 불필요한 회전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bearing 32a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3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2 to minimize unnecessary rotation of the auxiliary head 30.

이러한 구성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3)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삽입홀(11)과 나사결합된 몸체부(41)가 회전하면서 가이드홈(12)에 삽입된 가이드봉(22)이 점차 빠져나오면서 보조헤드(30)가 헤드(10)로부터 이격되게 된다.1,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43 and rotates, the body 41, which is screwed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11,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The auxiliary head 30 is spaced apart from the head 10. As a result,

이때, 몸체부(41) 단부측의 확경부(42)는 이탈방지홈(32) 내부에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격되거나, 베어링(32a)에 의해 지지되어 자유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2 on the end side of the body portion 41 is spaced apart from the release preventing groove 32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or is supported by the bearing 32a and freely rotated.

따라서, 보조헤드(30)는 가이드홈(12)에 삽입된 가이드봉(22)에 의해 몸체부(41)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단순히 헤드(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The auxiliary head 30 is not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41 by the guide bar 22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12 but is simply moved away from the head 10. [

이렇게 되면 보조헤드(30)에 브러쉬모(20) 중간 부분이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문화재 세척시 마찰 강도를 높여 세척 효율을 보다 높여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rush bristles 2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ead 30 to prevent the brush bristles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ush bristles 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strength.

한편, 도 8에는 구동수단(40)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means 40. Fig.

도면의 실시예는, 헤드(10)에 볼트수용홀(1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볼트수용홀(14) 상부에는 볼트수용홀(14)보다 중앙 측으로 돌출된 볼트이탈방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수용홀(14) 하부에는 볼트수용홀(14)보다 중앙 측으로 돌출된 하부단턱부(16)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 a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in the head 10, and a bolt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on the bolt receiving hole 14 And a lower step portion 16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또, 보조헤드(30)에는 상기 볼트수용홀(14)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돌출부(35)의 상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홀(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돌출부(35)의 상단에는 외경이 상기 하부단턱부(16) 측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향 이동시 상기 하부단턱부(16)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부(37)가 형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head 30 is provided with an upper projection 35 inserted into the bolt receiving hole 14. A bolt fastening hole 36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rojection 35,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35 protrudes outwar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rotrusion 35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protrusion 16, A portion 37 is formed.

여기서 구동수단(40)은 상기 볼트체결홀(3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돌출부(3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트몸체부(44)와, 상기 볼트몸체부(44)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이탈방지부(15)가 내측으로 끼워져 볼트몸체부(44)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이동방지홈(45)와, 상기 이동방지홈(45)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볼트몸체부(44)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46)로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means 40 includes a bolt body portion 44 screw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36 to move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35 up and down and a bolt body portion 44 formed on the bolt body portion 44, A movement preventing groove 45 for prevent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olt body portion 44 by inserting the bol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15 inwardly; And a handle 46 for rotating the handle 44.

이러한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손잡이부(46)의 상하 이동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13)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편리하며, 불필요한 베어링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grip portion 46 is prevented from being vertically moved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1,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grip 13 and the grip 13 is prevented, and unnecessary bearings are not required to be installed. .

도 8의 상부는 보조헤드(30)가 헤드(10)에 근접한 상태이며, 도 8의 하부는 손잡이부(46)를 돌림에 따라 구동수단(40)은 상하 이동하지 않은 채 상부돌출부(35)와 볼트몸체부(44)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부돌출부(35)가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돌출부(35)가 결합된 보조헤드(30)가 그대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것처럼 헤드(10)에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46)를 돌림에 따라 보조헤드(30)가 수평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하게 되는 구성이다.
8 i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head 3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head 10 and the lower part of FIG. 8 is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rojection 35 without moving up and down as the knob part 46 is turned. The upper projection 35 is moved downward by the screwing of the bolt body 44 and the auxiliary head 30 coupled with the upper projection 35 is moved downward as it is.
Since 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head 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guide bar 2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head 30, The auxiliary head 3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without rotating horizontally as the portion 46 is rotated.

한편, 도 7에는 확경부(42)의 높이가 이탈방지홈(32) 깊이에 꽉 끼일 정도로 형성되지 않고 여유 있게 이격되도록 이탈방지홈(32)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편, 확경부(42)의 저부측에 스프링설치홈(42a)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설치홈(42a)에 스프링(42b)이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7, the height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2 is not formed so as to fit tightly at the depth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32 bu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32 so as to be spaced apart with a margin, An example in which a spring mounting groove 42a is provided on the bottom side and a spring 42b is provided in the spring mounting groove 42a is shown.

이 경우로 이루어질 경우 가이드봉(22)이 상기 가이드홈(12)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2) 내경이 가이드봉(22)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12 is mad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rod 22 so that the guide rod 22 can flow in the guide groove 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은 보조헤드(30)가 수평상으로 유동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별도의 외부 조작 없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힘을 주는 방향에 따라 보조헤드(30)의 유동을 통해 보조헤드(30)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브러쉬모(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미세한 브러싱까지도 가능하게 해준다.This arrangement allows the auxiliary head 30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auxiliary head 3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low of the auxiliary head 30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The length of the brush bristles 20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rush bristles 30 can be adjusted to enable fine brushing.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비록 브러쉬모(20)의 중간 부분이 끼움홀(31)에 끼워져 변형을 억제하기는 하나, 브러쉬모(20)의 길이가 매우 길거나 부드러운 붓과 같이 연질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세척 대상물과 부딪혀 압박되면서 휘어져 보조헤드(30)와 헤드(10) 사이 공간에 위치한 부분이 크게 변형되거나, 종국에는 끼움홀(31)로부터 이탈하여 브러싱 능력을 잃게 될 수 있다.Alth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bristles 20 is fitted in the fitting hole 31 to suppress the deformation of the brush bristles 20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bristles 20 are very long or soft like a brush, It may be bent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the portion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uxiliary head 30 and the head 10 may be largely deformed or eventually deviated from the fitting hole 31 to lose the brushing ability.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홀(31)은 브러쉬모(20)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단면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tting hole 31 may have a taper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of the bristles 20, as shown in FIG.

이 경우 내경이 줄어드는 끼움홀(31) 하부 측에서 브러쉬모(20)들이 견고하게 눌려 과도한 변형과 이탈을 방지하여 실질적으로 길이가 짧은 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하고, 이에 걸맞는 세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istles 20 are pressed firmly on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hole 31 where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to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and dislocation, thereby providing a feeling of using a brush having a substantially short length, Can be provided.

이때, 테이퍼진 각도가 크면 클수록 브러쉬모(20)를 잡아주는 힘이 커지는 장점이 있으나, 보조헤드(30)를 헤드(10)로부터 멀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브러쉬모(20) 표면과 끼움홀(31) 내주면 마찰이 커져 브러쉬모(20)가 끊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move the auxiliary head 30 away from the head 10 and to move the auxiliary head 30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orsional angle of the bristles 20, 20)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riction of the fitting hole 31 become large and damage such as breakage of the brush bristles 20 may occur.

즉, 끼움홀(31) 벽면의 테이퍼진 각도의 한계가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일 구성 예가 도 5, 6에 도시되어 있다.That is, there is a limit in the taper angle of the wal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31, and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that can overcome such a problem is shown in FIGS.

도면의 예는 상기 보조헤드(30)의 바닥면에 판상의 브러쉬가압부재(5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가압부재(50)에는 브러쉬가압부재(50)의 이동 경로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끼움홀(31)과 일직선을 이루는 보조끼움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홀(31)과 보조끼움홀(51)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가압부재(50)를 보조헤드(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이 구비된 예이다.A brush pressing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head 30 such that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moved An auxiliary fitting hole 51 is form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path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fitting hole 31.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hole 31 and the auxiliary fitting hole 51 are displaced, And a fixing means 60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diode 10 to the auxiliary head 30 ar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살펴보면 보조헤드(30)에는 헤드(10)를 향한 측의 반대편 표면에 내부 폭이 넓은 형태의 레일홈(33)이 형성되어 있고,5, the auxiliary head 30 is formed with a rail groove 33 having a wide inner width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head 10,

브러쉬가압부재(50)에는 보조헤드(30)를 마주보는 표면에 이 레일홈(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52)가 끼워져 있다.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52 on the surface facing the auxiliary head 3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groove 33.

따라서, 이동부재(52)가 이동하게 되면서 브러쉬가압부재(50)는 보조헤드(30)로부터 이탈은 방지되면서 어느 한 쪽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refore, as the moving member 52 moves,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head 30, and can be moved to either side.

이러한 이동부재(52)와 레일홈(33)은 브러쉬가압부재(50)와 보조헤드(30)의 접촉 표면 중 여러 군데 동일 방향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일홈(33)의 길이는 1cm 미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무리의 브러쉬모(20) 직경의 1/2 미만 정도만 되어도 충분하다 할 것이다.The moving member 52 and the rail groove 33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mong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and the auxiliary head 30, and the length of the rail groove 33 is less than 1 cm , More specifically, less than half of the diameter of a group of brush bristles 20 may suffice.

한편, 도 5에는 고정수단(60)으로써, 보조헤드(30)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두 개의 지지봉(34)과, 브러쉬가압부재(50)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져 있되, 낚시 바늘처럼 단부측에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걸림바늘(53)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다.5, the fixing means 60 includes two support rods 34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head 30, and two support rods 34 which are provided on the end sides of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and have sharp ends And two hook needles 53 having barbs formed on the end side like a fishing needle.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두 걸림바늘(5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한 채 브러쉬가압부재(50)를 지지봉(34) 측을 향해 미량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압한 힘을 풀게 되면 걸림바늘(53)의 미늘 부분이 지지봉(34)에 걸려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구성이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two pressing needles 53 are moved toward the side of the supporting rod 34 while slightly pressing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The barb portion of the barb 34 is caught by the support bar 34 and restrained from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때, 걸림바늘(53)이 지지봉(34)에 걸리는 상태일 때가 끼움홀(31)과 보조끼움홀(51)이 살짝 어긋나, 브러쉬모(20)가 가압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hole 31 and the auxiliary fitting hole 51 are slightly shifted and the brush bristles 20 are pressed when the engaging needle 53 is caught by the supporting rod 34 .

더하여 도시된 고정수단(60)은 일 예일 뿐, 상술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클램핑 방식, 자석식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고정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illustrated fastening means 60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known fastening means such as a clamping system, a magnet system and the like can be applied.

도 6에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 6 shows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도면을 보면 끼움홀(31)들과 동일하게 보조끼움홀(51)이 배치된 브러쉬가압부재(50)가 어느 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mm 단위 정도만 이동하기만 하면 브러쉬모(20)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s long as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n which the auxiliary fitting hole 51 is disposed, is moved only in the unit of mm in a certain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fitting holes 31, the bristles 20 are firmly held You can see that the role is to play a role.

이러한 방식은 브러쉬가압부재(50)를 간편하게 다른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브러쉬모(2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어 보조헤드(30)의 양방향 이동이 자유로우면서 브러쉬모(20)의 가압 고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In this way,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can be easily moved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brush bristle 20 can be selectively pressurized or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released, so that the auxiliary head 30 can be moved in both directions freely, 20) is selectively made.

본 발명에 따른 문화재 세척용 솔은 문화재 외의 여러 세척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나, 다양한 역사 문화재의 세척에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할 것이다.The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washing fields other than cultural properties, but it can exert the optimum effect when used for washing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10 : 헤드 11 : 볼트삽입홀
12 : 가이드홈 13 : 손잡이
14 : 볼트수용홀 15 : 볼트이탈방지부
16 : 하부단턱부
20 : 브러쉬모 22 : 가이드봉
30 : 보조헤드 31 : 끼움홀
32 : 이탈방지홈 32a : 베어링
33 : 레일홈 34 : 지지봉
35 : 상부돌출부 36 : 볼트체결홀
37 : 걸림부
40 : 구동수단 41 : 몸체부
42 : 확경부 42a : 스프링설치홈
42b : 스프링 43 : 손잡이부
44 : 볼트몸체부 45 : 이동방지홈
46 : 손잡이부
50 : 브러쉬가압부재 51 : 보조끼움홀
52 : 이동부재 53 : 걸림바늘
60 : 고정수단
10: Head 11: Bolt insertion hole
12: guide groove 13: handle
14: bolt receiving hole 15: bol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16: Lower step jaw
20: bristles 22: guide rods
30: auxiliary head 31: insertion hole
32: Disengagement prevention groove 32a: Bearing
33: rail groove 34: support rod
35: upper protrusion 36: bolt fastening hole
37:
40: driving means 41:
42: diameter enlarged portion 42a: spring mounting groove
42b: spring 43: handle portion
44: bolt body part 45: movement preventing groove
46: Handle portion
50: brush pressing member 51: auxiliary fitting hole
52: moving member 53: hooking needle
60: Fixing means

Claims (6)

삭제delete 문화재 세척용 솔에 있어서,
헤드(10)와;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10)에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모(20)와;
상기 브러쉬모(20)가 끼워지는 끼움홀(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10)와 연결되어 있되, 헤드(10) 표면과 브러쉬모(20) 단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보조헤드(30)와;
상기 보조헤드(30)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드(10)에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10)에는 볼트수용홀(1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볼트수용홀(14) 상부에는 볼트수용홀(14)보다 중앙 측으로 돌출된 볼트이탈방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수용홀(14) 하부에는 볼트수용홀(14)보다 중앙 측으로 돌출된 하부단턱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헤드(30)에는 상기 볼트수용홀(14)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돌출부(35)의 상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홀(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돌출부(35)의 상단에는 외경이 상기 하부단턱부(16) 측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향 이동시 상기 하부단턱부(16)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볼트체결홀(3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돌출부(3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트몸체부(44)와, 상기 볼트몸체부(44)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이탈방지부(15)가 내측으로 끼워져 볼트몸체부(44)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이동방지홈(45)와, 상기 이동방지홈(45)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볼트몸체부(44)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4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세척용 솔.
In brushes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ies,
A head 10;
A brush bristle (2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ead (10);
An auxiliary head (not shown) formed to be able to move between the surface of the head 10 and the end of the brush bristles 20 is provided with a fitting hole 31 into which the brush bristles 20 are inserted, 30);
And driving means (40) for moving and fixing the auxiliary head (30)
A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head 10,
A guide rod 2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on the auxiliary head 30,
A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in the head 10 and a bolt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on the bolt receiving hole 14, A lower step portion 16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receiving hole 14,
The auxiliary head 30 is formed with an upper projection 35 inserted into the bolt receiving hole 14. A bolt fastening hole 36 having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projection 35,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35 is protruded outwar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rotrusion 35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protrusion 16, (37)
The driving means 40 includes a bolt body portion 44 screw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36 to move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35 up and down and a bolt body portion 44 formed on the bolt body portion 44, A movement preventing groove 45 for prevent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olt body portion 44 by inserting the bol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15 inwardly; And a handle (46) for rotating the handle (44).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31)은 브러쉬모(20)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단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세척용 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tting hole (31) has a taper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brush bristles (20)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헤드(30)의 바닥면에 판상의 브러쉬가압부재(5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가압부재(50)에는 브러쉬가압부재(50)의 이동 경로상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끼움홀(31)과 일직선을 이루는 보조끼움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홀(31)과 보조끼움홀(51)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가압부재(50)를 보조헤드(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세척용 솔.
3. The method of claim 2,
A brush pressing member 50 of a plate sha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head 30 so as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is formed with an auxiliary fitting hole 51 which is in line with the fitting hole 31 at a specific point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And a fixing means (60) for fixing the brush pressing member (50) to the auxiliary head (30)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hole (31) and the auxiliary fitting hole (51) are misaligned.
Brush for cleaning cultural property.
KR1020180073629A 2018-06-26 2018-06-26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KR101958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29A KR101958167B1 (en) 2018-06-26 2018-06-26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29A KR101958167B1 (en) 2018-06-26 2018-06-26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167B1 true KR101958167B1 (en) 2019-03-20

Family

ID=6603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29A KR101958167B1 (en) 2018-06-26 2018-06-26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16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162A (en) * 2019-07-26 2019-12-03 安徽省潜山县富源特种制刷有限公司 A kind of interchangeable double-deck industrial brush
CN114869190A (en) * 2022-05-16 2022-08-09 宁波长青藤日用品有限公司 Built-in comb tooth cleaning structure and dustpan
CN116571475A (en) * 2023-07-14 2023-08-11 临沂国程家具有限公司 Rotary wood clean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827U (en) * 1986-12-15 1988-06-21
US7213293B1 (en) * 2003-01-06 2007-05-08 Steven Schraga Bristle orientation assembly for a toothbrush
KR20100077231A (en) 2008-12-29 2010-07-08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The plastic blasting for the use of removal a rust on the surface of artifacts
KR101675091B1 (en) 2015-01-08 2016-11-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f stone structure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US20170172288A1 (en) * 2015-12-18 2017-06-22 Robert Bart Brush having adjustable scrubbing streng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827U (en) * 1986-12-15 1988-06-21
US7213293B1 (en) * 2003-01-06 2007-05-08 Steven Schraga Bristle orientation assembly for a toothbrush
KR20100077231A (en) 2008-12-29 2010-07-08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The plastic blasting for the use of removal a rust on the surface of artifacts
KR101675091B1 (en) 2015-01-08 2016-11-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f stone structure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US20170172288A1 (en) * 2015-12-18 2017-06-22 Robert Bart Brush having adjustable scrubbing strengt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162A (en) * 2019-07-26 2019-12-03 安徽省潜山县富源特种制刷有限公司 A kind of interchangeable double-deck industrial brush
CN114869190A (en) * 2022-05-16 2022-08-09 宁波长青藤日用品有限公司 Built-in comb tooth cleaning structure and dustpan
CN114869190B (en) * 2022-05-16 2023-12-26 宁波长青藤日用品有限公司 Built-in comb tooth cleaning structure and dustpan
CN116571475A (en) * 2023-07-14 2023-08-11 临沂国程家具有限公司 Rotary wood cleaning device
CN116571475B (en) * 2023-07-14 2023-09-12 临沂国程家具有限公司 Rotary wood clea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167B1 (en) brushing tools for cultural properties
CA2589607C (en) Electric toothbrushes
US7819487B2 (en) Method of molding a cleaning device with a squeegee
RU2004102501A (en) DENTAL BRUSH CASE
GB2247297A (en) Power-operated toothbrush
KR100844219B1 (en) Multi direction toothbrush for protecting tooth
CN204544895U (en) A kind of floating seedling tray reciprocating vibrating type cleaning equipment
KR200464635Y1 (en) Electric toothbrush
KR200268631Y1 (en) A improved handy scrubbing tool for cleaning
KR200477882Y1 (en) Electric toothbrush
KR101794483B1 (en) A mop
JP3881373B1 (en) Sponge for cleaning member, coupling core for cleaning member, and assembly device for cleaning member
CN203407990U (en) Carpet cleaning machine with combined brush structure
KR200486155Y1 (en) Aquarium Cleaning Device
KR101619417B1 (en) Cleaning brush
CN212438481U (en) Antiwind mechanism, round brush, self-cleaning equipment
CN108642841B (en) Automatically controlled swing electrostatic clothes nursing mechanism
CN217244181U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leaning appliance
CN216147935U (en) Toilet brush with replaceable brush head and brush head thereof
KR20110096942A (en)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
CN215687591U (en) Water squeezing bucket and mop assembly
CN204353159U (en) The medical test tubes brush of easy cleaning
CN219020473U (en) Adjustable laboratory glass container cleaning brush
CN211155650U (en) Steel wire cleaning ball cutting ferrule
CN221022403U (en) Button hole device is beaten to air brushing cl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