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963B1 -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963B1
KR101957963B1 KR1020160029679A KR20160029679A KR101957963B1 KR 101957963 B1 KR101957963 B1 KR 101957963B1 KR 1020160029679 A KR1020160029679 A KR 1020160029679A KR 20160029679 A KR20160029679 A KR 20160029679A KR 101957963 B1 KR101957963 B1 KR 10195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holder
hole
stat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53A (ko
Inventor
김재진
정종욱
김승하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2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963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179746.9A priority patent/EP3900756A1/en
Priority to JP2018548092A priority patent/JP6711921B2/ja
Priority to CN201780016241.7A priority patent/CN109069726B/zh
Priority to PCT/KR2017/002577 priority patent/WO2017155333A1/ko
Priority to CN202111354820.7A priority patent/CN114082043A/zh
Priority to EP17763594.3A priority patent/EP3415184B1/en
Publication of KR2017010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53A/ko
Priority to US16/128,323 priority patent/US107866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963B1/ko
Priority to US17/003,278 priority patent/US202003909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07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 A61M2205/353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using mechanical means, e.g. subcutaneous push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correc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Abstract

니들 홀더가 일시에 슬라이딩되고,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함으로써, 니들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환자에게 삽입되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liquid}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 주입 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 이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를 통해 주입되는 약액은 환자가 장기간 복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는 약액 주입 장치의 니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삽입되는 고통을 겪게 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이 토출되는 니들을 갖고 이 니들이 환자의 몸에 삽입되어야 하는 데, 이 과정에서 환자는 니들의 삽입으로 인한 고통을 필연적으로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니들 삽입에 대한 고통은 환자가 약액 주입 장치에 대해 공포감을 갖게 하며, 결과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다. 아울러 니들 삽입에 대한 공포감은 니들이 충분히 환자에게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환자의 객관적 인지가 어렵게 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니들이 충분히 삽입되지도 않았음에도 환자가 약물을 주입하는 조작을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니들 삽입에 대한 고통 및 공포감을 최소화하고, 니들의 삽입 여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니들 관통공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버튼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니들과 결합되며, 상기 니들 관통공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니들 홀더와,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센싱 부재와, 상기 니들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센싱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한 제2 센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알림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알림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약액의 주입을 실시하도록 구비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과 상기 니들 홀더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를 지지하는 가이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니들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니들과 결합되며,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니들 홀더와,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센싱 부재와, 상기 니들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센싱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한 제2 센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알림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알림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약액의 주입을 실시하도록 구비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홀더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진행할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니들 홀더가 일시에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니들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환자에게 순간 삽입될 수 있다.
니들의 순간 삽입으로 인해, 환자가 받는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니들에 의한 환자의 공포감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약액을 제공받아야 하는 환자가 약액 주입 장치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환자에게 약액이 원활히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및/또는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니들이 충분히 토출되어 환자에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환자의 감각이 아닌 니들의 토출 여부의 감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약액 주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니들이 충분히 토출된 상태에서만 약액 주입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정확한 타이밍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약물이 목표한 부분에 정확히 투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액 주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니들 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케이싱의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및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니들 홀더 및 가이딩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는, 일 면에 버튼(120)이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타 면으로는 니들 커버 조립체(1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120)은 사용자가 가압 및/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있다. 상기 니들 커버 조립체(190)는 니들을 보호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약액 주입 장치(100)를 사용할 때에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케이싱은 서로 결합되는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110)은 사용자가 약액 주입 장치를 몸에 장착한 후에도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 되며, 일부에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111)를 통해 버튼(120)이 통과되고, 버튼(120)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는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50)의 사이, 즉, 케이싱의 내부에는, 버튼(120), 스프링(130), 니들 홀더(140), 펌프(160), 약액 저장부(170), 센서(183) 및 컨트롤러(180)가 위치할 수 있다.
약액 저장부(17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약액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저장조만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약액은 예컨대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약액 저장부(170)는 펌프(160)에 튜브와 같은 액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160)는 약액을 니들 홀더(140)의 방향으로 펌핑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펌핑 주기에 따라 일정한 양의 약액을 펌핑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160)는 도시되지 아니한 별도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180)는 펌프(160)를 통해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펌프(160)는 약액 저장부(170)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니들 홀더(140)로 토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16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 등이 있다.
상기 펌프(160)는 튜브(TU) 및 커넥터(CN)를 거쳐 니들 홀더(140)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160)에 연결된 튜브(TU)는 커넥터(CN)에 연결되고, 이는 니들 홀더(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니들(ND)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60)로부터 토출된 약액은 튜브(TU) 및 커넥터(CN)를 거쳐 니들(ND)을 통해 토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니들 홀더(140)는 니들(ND)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니들 홀더(140)는 버튼(1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니들 홀더(140)와 버튼(120)의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개재될 수 있다. 버튼(120), 스프링(130) 및 니들 홀더(140)는 축(AX)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축(AX)은 도면의 Z축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약액 저장부(170) 및 펌프(160)는 개략적인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나타낸 것으로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또는 배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싱 내에는 센서(183)가 더 위치하는 데, 상기 센서(183)는 상기 니들 홀더(140)가 제2 케이싱(150)에 형성된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183)는 니들이 커버 밖으로 토출되는 제2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가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에 접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183)는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센싱 부재(183a)와, 니들 홀더(140)에 결합된 제2 센싱 부재(18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부재(183a)는 제2 케이싱(150)에 결합될 수 있는 데, 제1 센싱 부재(183a)와 제2 센싱 부재(183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센싱 부재(183a)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FPC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트롤러(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120)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버튼(120)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축(AX)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버튼(120)의 Z축 방향의 표면(121)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120)을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회전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회전 홈(122)에 손톱 또는 동전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버튼(120)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0)은 원통형 측면(123)을 구비할 수 있는 데, 이 측면(123) 상단부근에는 링 부재(OR)가 삽입되어 있다. 이 링 부재(OR)는 오링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버튼(120)과 제1 케이싱(110)의 개구(111) 사이로 약액이 누수될 염려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링 부재(OR)는 버튼(120)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때에 이 가압에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버튼(120)이 눌러진 후에 쉽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측면(123)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체결 개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개구(127)는 측면(123)의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개구(127)는 측면(123)의 Z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체결 개구(127)에 가장자리는 체결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개구(127)는 후술하는 스토퍼에 체결되고, 이 때 체결대(123a)가 스토퍼에 걸리게 됨으로써 버튼(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개구(127)는 버튼(120)이 스토퍼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123)의 외주면을 따라 X-Y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23)의 체결 개구(127)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1 홈(12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홈(128a)은 체결 개구(127)가 스토퍼에 체결될 때에 소정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체결 개구(127)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123)에는 제2 홈(128b)이 더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 버튼(120)이 니들 홀더(140)와 결합했을 때에 커넥터(CN)가 제2 홈(128b)을 통해 측면(123)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0)의 내측, 예컨대 니들 홀더(140)에 대향된 면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결합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25)는 후술하는 니들 홀더(140)의 제2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니들 홀더(14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된 제1-1 결합 돌기(125a)와 제1-2 결합 돌기(125b)를 갖고, 상기 제1-1 결합 돌기(125a)와 제1-2 결합 돌기(125b)의 사이에 간극(125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합부(125)는 후술하는 제2 결합부와 반드시 고정적으로 체결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버튼(120)을 가압함에 따라 제2 결합부와 맞물리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할 때에 버튼(120)의 회전력을 니들 홀더(14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홀더(140)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홀더(140)는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대략 원판 형태의 몸체(141)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60)와 연결된 커넥터(CN)는 상기 몸체(14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41)에는 버튼(120)과 반대측 방향을 향해 니들(ND)이 결합되어 있는 데, 이 니들(ND)은 커넥터(CN)와 연결되고, 결국 튜브(TU)와 연통된다. 상기 니들(ND)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141)의 바닥면(149) 정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141)의 커넥터(CN)와 결합된 부분의 반대측에는 지지대(145)가 Z축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5)는 몸체(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튜브(TU)의 장력에 의해 니들 홀더(140)가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니들 홀더(140)가 니들(ND)의 삽입 방향(K)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1)의 버튼(120)을 향한 면에는 제2 결합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142)는 전술한 제1 결합부(125)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버튼(12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제2-1 결합 돌기(142a) 및 제2-2 결합 돌기(142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1 결합 돌기(142a) 및 제2-2 결합 돌기(142b)는 사용자가 버튼(120)을 가압함에 따라 제1 결합부(125)와 맞물리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할 때에 버튼(120)의 회전력이 니들 홀더(14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제1 결합부(125)와 제2 결합부(142)가 서로 결합할 때에 상기 제2-1 결합 돌기(142a) 및 제2-2 결합 돌기(142b)의 사이로 상기 제1-1 결합 돌기(125a)와 제1-2 결합 돌기(125b)의 사이에 간극(125c)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25)와 제2 결합부(142)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스프링(130)은 일단으로 제1 결합부(125)가 삽입되고 타단으로 제2 결합부(142)가 삽입되어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30)은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의 사이에 압축 상태가 아닌 정상 상태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니들 홀더(140)는 제1 서포트(146) 및 가이딩 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146)는 니들 홀더(140)가 회전하기 전인 제1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딩 부재(155, 도 10 참조)에 지지되어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140)는 베이스(151)로부터 Z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 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은 상기 제1 서포트(146)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는 데,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가이딩 홈(144)은 상기 제1 서포트(146)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R1)에 반대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은 상기 몸체(141)에 소정의 너비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몸체(141)를 니들(ND) 삽입 방향(K), 예컨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은 니들 홀더(140)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딩 부재(155)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홈(144)에 가이딩 부재(155)가 끼워지게 되고, 이 때 스프링(130)에 의해 니들 홀더(140)는 니들(ND) 삽입 방향(K)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서포트(146)는 몸체(141)의 상기 삽입 방향(K)을 향한 면에 Z축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된 서포트 홈(146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서포트 홈(146a)는 상기 가이딩 홈(144)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서포트 홈(146a)과 가이딩 홈(144)의 사이에는 서포트 스토퍼(146b)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스토퍼(146b)는 서포트 홈(146a)이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홈(146a)에는 제1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딩 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서포트 스토퍼(146b)는 상기 니들 홀더(14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될 때, 즉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에 이 회전에 소정 정도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저항력 이상의 힘으로 버튼을 회전시키면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니들 홀더(140)에는 제2 센싱 부재(183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부재(183b)는 몸체(141)의 바닥면(149)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들 홀더(140)가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를 향해 구동되어,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부재(183b)는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 때에 제2 케이싱(150)에 설치되는 제1 센싱 부재와 접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 센싱 부재와 컨택 가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부재(183b)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센싱 부재(183a)와 접함에 따라 니들 홀더(140)의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싱 부재(183b)는 반드시 컨트롤러(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접지 상태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싱(15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제2 케이싱(150)의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제1 케이싱(110)과 결합되는 제2 케이싱(150)은 베이스(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는 제2 케이싱(150)의 일부일 수 있는 데, 제2 케이싱(150)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제2 케이싱(150)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51)의 대략 중앙부에는 니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니들 관통공(153)이 형성될 수 있다.
니들 관통공(153)의 주위로는 대략 원통 형상의 가이드 월(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152)은 베이스(151)로부터 제1 케이싱을 향해 Z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월(152)의 평면 외경은 버튼(120)의 측면(123) 내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120)이 눌려졌을 때에 버튼(120)의 측면(123)이 가이드 월(152)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결국 버튼(120)이 가이드 월(152)을 따라 니들 홀더(140)를 향한 방향, 즉, 니들 삽입 방향(K)을 따라 직선 형태의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152)의 일부에는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151)로부터 그 반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절개홈(152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52h)을 통해 니들 홀더(140)의 커넥터(CN)가 통과될 수 있다.
가이드 월(152)의 내측면에는 가이딩 부재(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부재(155)는 니들 삽입 방향(K), 예컨대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레일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 부재(155)는 전술한 제2 상태에서 가이딩 홈(144)에 삽입되고, 니들 홀더(140)는 가이딩 부재(155)를 따라 삽입 방향(K)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딩 부재(155)의 일단, 즉, 가이딩 부재(155)의 제1 케이싱(110)을 향한 단부에는 전술한 제1 상태에서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포트(154)는,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2-1 서포트부(154a) 및 제2-2 서포트부(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서포트부(154a) 및 제2-2 서포트부(154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데, 상기 제2-1 서포트부(154a)는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서포트부(154b)는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1 서포트부(154a)가 상기 제2-2 서포트부(154b)보다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위치함으로 말미암아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에 이 회전에 소정 정도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저항력 이상의 힘으로 버튼을 회전시키면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 월(152)의 외측면에는 스토퍼(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7)는 가이드 월(152)의 외측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될 수 있는 데,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월(152)의 외주면을 따라 X-Y 평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7)는 상기 버튼(120)의 Z축 방향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Z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된 제1 스토퍼(157a) 및 제2 스토퍼(15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57a) 및 제2 스토퍼(157b)는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버튼(120)의 체결 개구(127)에 삽입되며, 체결대(123a)가 제1 스토퍼(157a) 및 제2 스토퍼(157b)에 걸려 있게 되어 버튼(120)이 삽입 방향(K)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57a)는 버튼(120)이 가압되기 전 상태에서 체결 개구(127)에 체결되고, 제2 스토퍼(157b)는 버튼(120)이 가압된 상태에서 체결 개구(127)에 체결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케이싱(150)에는 제1 센싱 부재(183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부재(183a)는 FPCB에 설치되고, FPCB가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FPCB를 통해 상기 제1 센싱 부재(183a)는 컨트롤러(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컨트롤러(180)가 제1 센싱 부재(183a)와 동일한 FPCB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싱 부재(183a)가 설치된 FPCB와는 별개의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센싱 부재(183a)는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가이드 월(152)의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커넥터(CN)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월(152)의 절개부를 통해 가이드 월(152)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83) 및 컨트롤러(18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8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컨트롤러(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뿐 아니라, 상기 센서(1830를 통해 니들 홀더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180)는 제1 프로세서(181) 및 제2 프로세서(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81)은 펌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182)은 센서(183)를 통해 니들 홀더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니들 홀더가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에만 상기 제1 프로세서(181)을 통해 약액의 주입이 이뤄지도록 한다. 따라서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약물 주입 조작을 한다고 하더라도 주입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하였다는 것은 니들이 충분히 제2 케이싱 외측으로 토출된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국 니들이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로세서(182)은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 것으로 센싱되면, 환자의 신체에 니들이 충분히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프로세서(181)에 의한 약액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니들이 환자에게 충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약액 주입이 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약액이 외부로 세어 나간다던지, 또는 약액이 목표 개소에 투입되지 않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181)과 제2 프로세서(182)은 분리된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 및/또는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저장매체일 수 있고, 단일 프로세서 및/또는 저장매체에서 프로그램의 구분된 영역을 실행하기 위해 구획된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180)는 알림 소자(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소자(184)는 상기 센서(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 경우 알림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소자(184)는 빛으로 알림 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 상기 알림 소자(184)는 소리로서 알림 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 상기 알림 소자(184)는 화면의 표시로서 알림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상기 알림 소자(184)는 컨트롤러(180)에 포함되는 구성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소자(184)는 센서(18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제1 프로세서(181) 및/또는 제2 프로세서(1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183)에 의한 센싱 뿐 아니라 다른 동작 상태에 대해서도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 약액 주입 장치(100)를 사용할 부위에 제2 케이싱(150)의 외면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0)을 가압함으로써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가 서로 결합하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130)의 탄성에 의해 니들 홀더(140)가 니들(ND) 삽입 방향(K)으로 슬라이딩되어 니들(ND)의 순간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버튼(120)의 가압에 따라 스프링(130)은 충분히 압축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스프링(130)의 탄성을 이용한 니들(ND)의 순간 삽입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니들(ND)의 순간 삽입으로 말미암아 환자의 통증과 공포감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때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에 인접한지 여부, 즉 니들 홀더(140)가 니들 관통공(153) 주위의 제2 케이싱(150)의 부분에 접하게 되었는지를 센싱함으로써, 니들(ND)이 니들 관통공(153)을 지나 충분히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약액의 손실 없이 정확한 타이밍에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니들 삽입에 대한 공포감으로 인하여 니들의 삽입을 망설이게 되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도 10a에서 볼 수 있듯이, 니들 홀더(140)가 회전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는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니들은 환자의 몸에 삽입되기 전이 된다. 이 제1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의 제1 서포트(146)는 가이딩 부재(155)의 제2 서포트(154)와 맞닿아 서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포트(146)와 제2 서포트(154)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고, 이에 따라 서포트 홈(146a)과 제2-1 서포트부(154a)가 서로 접하고, 서포트 스토퍼(146b)와 제2-2 서포트부(154b)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는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딩 부재(155)의 단부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함으로써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서포트 스토퍼(146b)와 제2-1 서포트부(154a)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니들 홀더(140)에 줄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 저항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버튼(120)을 돌림으로써 니들 홀더(140)에 상기 저항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가해지면 서포트 스토퍼(146b)가 제2-1 서포트부(154a)를 넘어 지나가게 되고, 가이딩 홈(144)으로 가이딩 부재(155)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과 가이딩 부재(155)는 각각 X축 방향으로 제1 너비(W1)및 제2 너비(W2)를 갖는다. 가이딩 홈(144)에 가이딩 부재(155)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너비(W1)는 제2 너비(W2)를 초과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함으로써 니들 홀더(140)가 완전히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가 되면 도 10b에서 볼 수 있듯이, 니들 홀더(140)는, 가이딩 홈(144)에 가이딩 부재(155)가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딩 부재(155)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를 향해 니들 홀더(140)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나들(ND)은 환자의 몸에 삽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스프링의 압축된 힘을 순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니들 홀더가 베이스를 향해 구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니들 홀더에 결합된 니들이 환자의 몸에 순간 삽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니들 홀더의 회전에 저항력을 주고, 사용자에게 이 저항력을 넘는 회전력을 버튼에 가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니들 홀더의 제1 서포트(146)와 가이딩 부재(155)의 제2 서포트(154)를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드시 니들 홀더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에 의한 니들 홀더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니들 홀더가 빠르기 슬라이딩 구동하고, 이에 따라 니들이 환자의 몸에 순간 삽입 가능하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니들 커버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커버 조립체(190)의 사시도이다.
니들 커버 조립체(190)는 커버 플레이트(191)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커버 플레이트(191)는 평판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고, 일단이 손잡이(191a)가 되어 사용자가 이 손잡이(191a)를 이용해 니들 커버 조립체(190)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190)는 니들 커버(19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니들 커버(192)는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에 구비된 니들 관통공(153)에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니들 커버(192)는 밀폐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밀폐 공간으로 니들의 첨단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밀폐 공간은 공기는 통과하나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부분 또는 체적 변화가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전, 니들 내부 및/또는 튜브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프라이밍(Priming) 작업 시 약액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니들 관통공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버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니들과 결합되며, 상기 니들 관통공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니들 홀더;
    상기 버튼과 상기 니들 홀더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딩 부재;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버튼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니들 홀더는,
    니들 홀더가 회전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지지되는 제1 서포트; 및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도록 구비된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센싱 부재; 및
    상기 니들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센싱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한 제2 센싱 부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알림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알림 소자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약액의 주입을 실시하도록 구비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5. 삭제
  6. 니들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니들과 결합되며,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니들 홀더;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딩 부재;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한 경우에만 상기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이 이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버튼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니들 홀더는,
    니들 홀더가 회전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지지되는 제1 서포트; 및
    상기 제1 서포트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딩 부재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구비된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센싱 부재; 및
    상기 니들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센싱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한 제2 센싱 부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알림이 발생되도록 구비된 알림 소자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니들을 통한 약액의 주입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니들 관통공에 인접할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약액의 주입을 실시하도록 구비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홀더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진행할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니들 관통공을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약액 주입 장치.
KR1020160029679A 2016-03-11 2016-03-11 약액 주입 장치 KR10195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79A KR101957963B1 (ko) 2016-03-11 2016-03-11 약액 주입 장치
JP2018548092A JP6711921B2 (ja) 2016-03-11 2017-03-10 薬液注入装置
CN201780016241.7A CN109069726B (zh) 2016-03-11 2017-03-10 化学流体注射装置
PCT/KR2017/002577 WO2017155333A1 (ko) 2016-03-11 2017-03-10 약액 주입 장치
EP21179746.9A EP3900756A1 (en) 2016-03-11 2017-03-10 Chemical fluid injection device
CN202111354820.7A CN114082043A (zh) 2016-03-11 2017-03-10 化学流体注射装置
EP17763594.3A EP3415184B1 (en) 2016-03-11 2017-03-10 Chemical fluid injection device
US16/128,323 US10786623B2 (en) 2016-03-11 2018-09-11 Chemical fluid injection device
US17/003,278 US20200390971A1 (en) 2016-03-11 2020-08-26 Chemical fluid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79A KR101957963B1 (ko) 2016-03-11 2016-03-11 약액 주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21A Division KR20190026730A (ko) 2019-03-07 2019-03-07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53A KR20170106053A (ko) 2017-09-20
KR101957963B1 true KR101957963B1 (ko) 2019-07-04

Family

ID=5978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679A KR101957963B1 (ko) 2016-03-11 2016-03-11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86623B2 (ko)
EP (2) EP3900756A1 (ko)
JP (1) JP6711921B2 (ko)
KR (1) KR101957963B1 (ko)
CN (2) CN114082043A (ko)
WO (1) WO20171553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12A (ko) * 2019-07-24 2021-02-03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963B1 (ko) 2016-03-11 2019-07-04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약액 주입 장치
KR101928297B1 (ko) * 2016-09-08 2018-12-12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장치
KR102111732B1 (ko) * 2018-08-14 2020-05-15 이오플로우(주)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USD950713S1 (en) * 2019-10-31 2022-05-03 Eoflow Co., Ltd. Medicine injector
KR102359280B1 (ko) * 2019-12-11 2022-02-08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약액 주입 장치
KR102463878B1 (ko) * 2020-09-16 2022-11-07 이오플로우(주)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08069B1 (ko) * 2020-09-16 2023-12-01 이오플로우(주)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WO2022059944A1 (ko) * 2020-09-16 2022-03-24 이오플로우(주)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48189B1 (ko) * 2020-10-20 2023-06-28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1718A1 (en) * 2006-08-23 2008-02-28 Medtronic Minimed, Inc. Infusion medium delivery system, device and method with needle inserter and needle inserter device and method
US20120221036A1 (en) 2011-02-25 2012-08-30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somark tattooing devices
EP2331190B1 (fr) * 2008-07-18 2012-10-17 Eveon Dispositif d'injection miniaturise a usage medical a cartouche amovible
JP2013533069A (ja) * 2010-08-10 2013-08-22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薬物再構成および送達装置
KR101550203B1 (ko) * 2013-12-30 2015-09-04 오수진 투여부위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인슐린 펜 및 투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1133A (en) * 1995-06-01 1996-11-05 Yoon; Inbae Penetrating instrument with sequential indication of entry into anatomical cavities
US6171276B1 (en) * 1997-08-06 2001-01-09 Pharmacia & Upjohn Ab Automate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DE10222235A1 (de) * 2002-05-16 2003-11-27 Roche Diagnostics Gmbh Blutentnahmesystem
DE602004005597T2 (de) * 2003-07-08 2008-02-14 Novo Nordisk A/S Tragbares medikamentenabgabegerät mit einer eingekapselten nadel
EP1535637A1 (en) 2003-11-28 2005-06-01 Woo Young Medical Co., Ltd. Automatic dose infusion apparatus
KR100516727B1 (ko) * 2003-11-28 2005-09-22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멀티 센서가 내설된 휴대용 약물 주입펌프
US9233203B2 (en) 2005-05-06 2016-01-12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needles for damping motion
WO2007033103A1 (en) * 2005-09-14 2007-03-22 Acist Medical Systems, Inc. Medical fluid injection system
EP2713517B1 (en) * 2006-01-31 2018-01-03 Ares Trading S.A. Injection device with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US8882710B2 (en) * 2009-09-02 2014-11-11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EP2332600A1 (en) * 2009-12-09 2011-06-15 F. Hoffmann-La Roche AG A method of filling a container with a liquid drug
EP2673035B1 (en) * 2011-02-09 2020-04-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fusion device with automatic insertion and introducer needle retraction
US20140129151A1 (en) * 2012-11-07 2014-05-08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glycemic variability
JP2016513673A (ja) * 2013-03-15 2016-05-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パーソナルケア物品の形成方法
US9222996B2 (en) 2013-03-15 2015-12-29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Needle placement manipulator with two rotary guides
CN105492051A (zh) * 2013-09-05 2016-04-13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针插入组合体的驱动机构
CA2943686C (en) * 2014-04-24 2023-04-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insertion device
JP6817074B2 (ja) * 2014-06-03 2021-01-20 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制御可能な薬物送達システム及び使用方法
TWI689326B (zh) 2014-08-06 2020-04-01 加拿大商複製細胞生命科學公司 注射裝置
US9872633B2 (en) * 2014-09-29 2018-01-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nnula insertion detection
KR101957963B1 (ko) 2016-03-11 2019-07-04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1718A1 (en) * 2006-08-23 2008-02-28 Medtronic Minimed, Inc. Infusion medium delivery system, device and method with needle inserter and needle inserter device and method
EP2331190B1 (fr) * 2008-07-18 2012-10-17 Eveon Dispositif d'injection miniaturise a usage medical a cartouche amovible
JP2013533069A (ja) * 2010-08-10 2013-08-22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薬物再構成および送達装置
US20120221036A1 (en) 2011-02-25 2012-08-30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somark tattooing devices
KR101550203B1 (ko) * 2013-12-30 2015-09-04 오수진 투여부위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인슐린 펜 및 투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12A (ko) * 2019-07-24 2021-02-03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KR102255338B1 (ko) 2019-07-24 2021-05-25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53A (ko) 2017-09-20
CN109069726B (zh) 2021-11-16
US10786623B2 (en) 2020-09-29
US20190009020A1 (en) 2019-01-10
JP6711921B2 (ja) 2020-06-17
CN109069726A (zh) 2018-12-21
EP3415184A1 (en) 2018-12-19
EP3900756A1 (en) 2021-10-27
CN114082043A (zh) 2022-02-25
EP3415184A4 (en) 2019-11-06
WO2017155333A1 (ko) 2017-09-14
US20200390971A1 (en) 2020-12-17
EP3415184B1 (en) 2021-07-28
JP2019507665A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963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190026730A (ko) 약액 주입 장치
US11400209B2 (en) Infusion device system and apparatus
US9168337B2 (en) Fluid injecting apparatus
KR20180028232A (ko) 약액 주입장치
WO201007200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edicament infusion
US20230405222A1 (en)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KR20170004117A (ko) 정량 주입되는 약액공급장치
CN116350162A (zh) 施药胶囊、施药胶囊系统
JP2013153863A (ja) シリンジポンプ
JP2012105791A (ja) 長時間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