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815B1 -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815B1
KR101957815B1 KR1020120038322A KR20120038322A KR101957815B1 KR 101957815 B1 KR101957815 B1 KR 101957815B1 KR 1020120038322 A KR1020120038322 A KR 1020120038322A KR 20120038322 A KR20120038322 A KR 20120038322A KR 101957815 B1 KR101957815 B1 KR 10195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cover member
optical member
reg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736A (ko
Inventor
윤덕현
김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81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Abstract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리플렉터(reflector)와, 제 2 리플렉터와, 제 1 리플렉터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과, 제 1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와, 광학 부재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cover member)와,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buffer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 및 커버 부재에 접촉하는 완충 부재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적은,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 면적(overlapped area)보다 더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illumination unit and display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실시예는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운라이트(Down light; 매립등)는 천장에 홀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 방식으로서, 조명과 건물을 일체화시키는 건축 조명기법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매립등은 천장에 매입되는 구조로서 조명기구의 노출이 거의 없어 천장면이 정돈되어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더욱이 천장면이 어두워지는 특징이 있어 분위기 있는 실내공간을 연출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유닛은, 광원 모듈(1)과, 광원 모듈(1)에서 발광된 빛의 출사 지향각을 설정하는 리플렉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광원 모듈(1)은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b) 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1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플렉터(2)는 LED 광원(1a)에서 발광되는 광을 집속하여 일정 지향각을 가지고 개구부를 통하여 출사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면에는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LED 광원(1a)을 집속하여 빛을 얻는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 내에 매입되어 리플렉터(2)의 개구부 측이 노출되게 장착 될 수 있도록 하는 매입등(다운라이트)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명 유닛 구조는 넓은 실내 공간보다는 좁은 실내 공간에 적합하고, 많은 수의 LED 광원(1a)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적은 수의 LED 광원으로도 넓은 실내 공간에 적합한 조명 유닛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실시예는,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완충 부재를 배치하여, 조명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광학 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일부 경사면을 갖는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넓은 실내 공간에 적합한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제 1 리플렉터(reflector)와, 제 2 리플렉터와, 제 1 리플렉터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과, 제 1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와, 광학 부재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cover member)와,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buffer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 및 커버 부재에 접촉하는 완충 부재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적은,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 면적(overlapped area)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의 면적은 중첩 면적의 10 - 80%를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는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연속적으로 한 개가 배치되는 일체형(one body type)일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는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분리형(separation type)일 수 있다.
이어, 다수 개의 완충 부재들 중, 서로 인접하는 완충 부재들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음, 완충 부재의 측면은 커버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거리는 약 1 - 10mm일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의 측면은 광학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2 수직선으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는데, 제 2 거리는 약 1 - 10mm일 수 있다.
이어, 완충 부재의 측면은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으로부터 제 3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는데, 제 3 거리는 약 1 - 9mm일 수 있다.
다음, 완충 부재는, 커버 부재에 인접하는 상부면과, 광학 부재에 인접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완충 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제 4 거리는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제 5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제 4 거리는 약 0.1 - 2mm일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의 상부면은 커버 부재에 접촉되고, 완충 부재의 하부면은 광학 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의 상부면은 커버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완충 부재의 하부면은 광학 부재에 접촉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완충 부재의 상부면은 커버 부재에 접촉되고, 완충 부재의 하부면은 광학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어, 완충 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과,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과 광원 모듈의 발광면 사이의 제 6 거리는,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과 광원 모듈의 발광면 사이의 제 7 거리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다음, 커버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과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사이의 제 8 거리와,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과 광원 모듈의 발광면 사이의 제 7 거리 사이의 비율은, 약 1 : 2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하고, 변곡점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 1, 제 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는 커버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은,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며,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제 1 영역에 완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제 2 영역과 커버 부재 사이의 거리는, 제 1 영역과 커버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까울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제 2 영역의 두께는 제 1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는 광학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은,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제 3 영역과, 제 3 영역에 인접하는 제 4 영역을 포함하며,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제 3 영역에 완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제 4 영역과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는, 제 3 영역과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까울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제 4 영역의 두께는 제 3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제 1 리플렉터(reflector)와, 제 2 리플렉터와, 제 1 리플렉터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과, 제 1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와, 광학 부재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cover member)와,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buffer member)를 포함하고, 커버 부재는, 광학 부재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며, 커버 부재의 하부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돌출부가 배치되고, 커버 부재의 하부면과 광학 부재 사이의 제 11 거리는 커버 부재의 돌출부와 광학 부재 사이의 제 12 거리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1 거리와 제 12 거리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의 돌출부는 완충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커버 부재의 돌출부 측면과 커버 부재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다음, 커버 부재의 돌출부의 표면은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는,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완충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조명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광학 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조명 유닛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부 경사면을 갖는 에어 가이드용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 공간에 적합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완충 부재의 면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완충 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완충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완충 부재와 광학 부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완충 부재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완충 부재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완충 부재의 요철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커버 부재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 커버 부재 및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 커버 부재 및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도 2a의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는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돌출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커버 부재의 돌출부와 완충 부재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a 및 도 20b는 커버 부재의 돌출부의 측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은 커버 부재의 돌출부의 요철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a 내지 도 22d는 광원 모듈과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a 내지 도 23d는 경사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a 내지 도 24d는 반사 패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은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27 및 도 28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2a는 1 에지 타입(one edge type)의 조명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2 에지 타입(two edge type)의 조명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광원 모듈(100), 제 1 리플렉터(reflector)(300), 제 2 리플렉터(200), 제 3 리플렉터(400),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 커버 부재(cover member)(500), 및 완충 부재(buffer member)(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리플렉터(200) 또는 제 1 리플렉터(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에 동시에 접촉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원(100a)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00b)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b)에서 생성된 광을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앙영역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어,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Red phosphor)과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 레드 인광(Red phosphor) 및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 제 2 리플렉터(200)는, 도 2a와 같이, 1 에지 타입일 경우, 제 1 리플렉터(300)의 일측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제 3 리플렉터(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타측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리플렉터(200)가, 도 2b와 같이, 2 에지 타입일 경우, 제 1 리플렉터(300)의 양측 가장 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리플렉터(2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끝단(end portion)에 비접촉(non-contact)되도록,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 사이의 빈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air guide)을 갖도록,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는 일정 간격 떨어져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200)의 반사면는 제 1 리플렉터(3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데, 광원 모듈(100)로부터 생성된 광을 제 1 리플렉터(30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리플렉터(200)의 반사면 위에는 톱니형태의 반사 패턴이 형성되고, 반사 패턴의 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도 있다.
제 2 리플렉터(200)의 반사면에 반사 패턴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 모듈(100)에서 생성된 광을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앙 영역 및 가장 자리 영역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조명 유닛의 중앙 영역 및 가장 자리 영역에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어, 제 3 리플렉터(400)는, 도 2a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의 타측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리플렉터(400)는, 제 1 리플렉터의 타측 끝단(end portion)에 접촉되어, 광원 모듈(1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3 리플렉터(400)는, 제 1 리플렉터의 타측 끝단(end portion)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3 리플렉터(400)의 반사면은 광원 모듈(1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리플렉터(400)의 반사면 위에는 톱니형태의 반사 패턴이 형성되고, 반사 패턴의 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도 있다.
이어, 제 1 리플렉터(300)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일부에 경사면(inclined surface)을 가질 수 있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 및 제 2 리플렉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일 수 있고, 경사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볼록면(convex surface), 평면(flat surf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inclined surface)과 적어도 하나의 평면(fla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평면은 제 2 리플렉터(200)와 평행한 면일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적어도 2개 경사면을 포함하고, 변곡점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 1, 제 2 경사면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경사면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제 1 곡률 반경을 가지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경사면은 제 2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곡률 반경과 제 2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정반사면이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경사면은 정반사면 또는 난반사면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리플렉터(300)는, 다수의 변곡점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 변곡점 P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경사면들의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air guide)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600)는 광원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확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광학 부재(600)는 여러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 패턴은 최상층 또는 어느 한 층의 표면에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요철 패턴은 광원 모듈(100)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요철 패턴은 광학 부재(600) 표면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준다.
또한, 커버 부재(cover member)(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완충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부재(500)의 끝단 영역에는, 돌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에 돌출부가 배치되는 이유는,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힘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완충 부재(buffer member)(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를 배치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마찰로 인한 광학 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완충 부재(700)는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700)의 면적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의 중첩 면적(overlapped area)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의 면적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면적의 약 10 - 80%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연속적으로 한 개가 배치되는 일체형(one body type)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분리형(separation type)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완충 부재(70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완충 부재(700)들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은 커버 부재(500)로부터 이격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은 광학 부재(600)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완충 부재(700)를 배치함으로써, 조명 유닛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광학 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조명 유닛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부 경사면을 갖는 에어 가이드용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 공간에 적합하다.
도 3은 완충 부재의 면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의 면적 S2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 면적(overlapped area) S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면적 S2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면적 S1의 약 10 - 80%를 차지할 수 있다.
만일, 완충 부재(700)의 면적 S2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면적 S1의 약 10% 이하일 경우,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완충 부재(700)가 무너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완충 부재(700)의 손상으로 인하여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가 마찰됨으로써, 광학 부재(600)가 마모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완충 부재(700)의 면적 S2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면적 S1의 약 80% 이상일 경우, 완충 부재(700)의 일부가 광학 부재(600)의 투과 영역으로 침범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명 유닛의 휘도를 저하시키고, 광학 부재(600)의 그림자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700)의 면적 S2를,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 면적(overlapped area) S1보다 더 작게 제작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마찰로 인한 광학 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완충 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4a는 일체형이고, 도 4b는 분리형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의 면적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 면적(overlapped area)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면적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면적의 약 10 - 80%를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와 같이,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연속적으로 한 개가 배치되는 일체형(one body type)일 수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분리형(separation type)일 수도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들은,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 완충 부재(700a)와,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2 완충 부재(7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 부재(700a)는, 제 1 길이 L1을 가지고, 제 2 완충 부재(700b)는, 제 2 길이 L2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길이 L1과 제 2 길이 L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완충 부재(70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완충 부재(700)들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수 개의 완충 부재(70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완충 부재(700)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 1 완충 부재(700a) 및 제 2 완충 부재(7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수 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완충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면(700a)과 제 2 측면(7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도 5a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으로부터 제 1 거리 D1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과,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 사이의 제 1 거리 D1은, 약 1 - 10mm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5b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완충 부재와 광학 부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면(700a)과 제 2 측면(7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은, 도 6a와 같이, 광학 부재(600)의 끝단(6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2 수직선 V2로부터 제 2 거리 D2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과, 광학 부재(600)의 끝단(6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2 수직선 V2 사이의 제 2 거리 D2은, 약 1 - 10mm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6b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은, 광학 부재(600)의 끝단(6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2 수직선 V2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은, 광학 부재(600)의 끝단(6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2 수직선 V2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완충 부재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면(700a)과 제 2 측면(7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완충 부재(700)의 제 2 측면(700b)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도 7a와 같이,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으로부터 제 3 거리 D3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 사이의 제 3 거리 D3은, 약 1 - 9mm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7b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완충 부재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는,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을 포함할 수 있는데,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인접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인접할 수 있다.
이때, 도 8a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 사이의 제 4 거리 D4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제 5 거리 D5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 사이의 제 4 거리 D4는 약 0.1 - 2mm일 수 있다.
즉,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로부터 이격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8b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 사이의 제 4 거리 D4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제 5 거리 D5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 사이의 제 4 거리 D4는 약 0.1 - 2mm일 수 있다.
즉,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8c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 사이의 제 4 거리 D4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제 5 거리 D5와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 사이의 제 4 거리 D4 및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제 5 거리 D5는 약 0.1 - 2mm일 수 있다.
즉,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완충 부재의 요철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는, 상부면(700c)과 하부면(700d)을 포함할 수 있는데,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인접하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 및 하부면(70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요철 패턴을 가지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편평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요철 패턴을 갖는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편평한 평면을 갖는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9b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편평한 평면을 가지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편평한 평면을 갖는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요철 패턴을 갖는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9c와 같이,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제 1 요철 패턴을 가지고,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제 2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요철 패턴을 갖는 완충 부재(700)의 상부면(700c)은 커버 부재(500)에 접촉되고, 제 2 요철 패턴을 갖는 완충 부재(700)의 하부면(700d)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요철 패턴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700)에 요철 패턴을 배치하는 이유는, 완충 부재(7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접촉 면적, 또는 완충 부재(7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광학 부재(6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커버 부재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은,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에 비해, 광원 모듈(10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은,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에 비해, 광원 모듈(100)에 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0b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은, 서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은,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 커버 부재 및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은 제 6 거리 D6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은 제 7 거리 D7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 사이의 제 6 거리 D6는,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 사이의 제 7 거리 D7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 사이의 제 6 거리 D6는,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 사이의 제 7 거리 D7와 동일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 커버 부재 및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는, 제 8 거리 D8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은 제 7 거리 D7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 사이의 제 8 거리 D8는,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 사이의 제 7 거리 D7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500)의 끝단(502)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 V1과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 사이의 제 8 거리 D8와,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200a)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 V3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의 발광면(110) 사이의 제 7 거리 D7 사이의 비율은, 약 1 : 2 - 5일 수 있다.
도 13은 도 2a의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광원 모듈(100), 제 1 리플렉터(reflector)(300), 제 2 리플렉터(200), 및 제 3 리플렉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2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3 리플렉터(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리플렉터(2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일측 끝단(end portion)에 비접촉(non-contact)되어, 제 1 리플렉터(3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리플렉터(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타측 끝단(end portion)에 접촉되어, 광원 모듈(1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IP)을 갖는 적어도 2개 경사면(inclin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변곡점(IP)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 1, 제 2 경사면의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변곡점(IP)을 중심으로 양 측에 제 1, 제 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경사면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제 1 곡률 반경 R1을 가지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경사면은 제 2 곡률 반경 R2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곡률 반경 R1과 제 2 곡률 반경 R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정반사면이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경사면은 정반사면 또는 난반사면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리플렉터(300)는, 다수의 변곡점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 변곡점 P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경사면들의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inclined surface)과 적어도 하나의 평면(fla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평면은 제 2 리플렉터(200)와 평행한 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일 수 있고, 경사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볼록면(convex surface), 평면(flat surf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이유는, 도광판 없이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4는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커버 부재(50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데,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1 영역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 2 영역은 제 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1 영역에는 완충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700)를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1 영역에 배치하는 이유는, 완충 부재(700)의 일부가 광학 부재(600)의 투과 영역으로 침범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명 유닛의 휘도를 저하시키고, 광학 부재(600)의 그림자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커버 부재(50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데,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1 영역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 2 영역은 제 1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1 영역에는 완충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5a와 같이,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2 영역과 커버 부재(500) 사이의 거리 d2는, 제 1 영역과 커버 부재(500) 사이의 거리 d1보다 더 가까울 수 있다.
즉,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2 영역의 두께 t2는 제 1 영역의 두께 t1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의 제 2 영역과 커버 부재(500) 사이의 거리 d2가,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의 제 1 영역과 커버 부재(500) 사이의 거리 d1보다 더 가까운 이유는,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힘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도 15b와 같이,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2 영역과 커버 부재(500) 사이의 거리 d2는, 제 1 영역과 커버 부재(500) 사이의 거리 d1와 동일할 수도 있다.
즉, 광학 부재(600)의 중첩 영역 중, 제 2 영역의 두께 t2는 제 1 영역의 두께 t1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6는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데,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은 제 3 영역과 제 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3 영역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 4 영역은 제 3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3 영역에는 완충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700)를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3 영역에 배치하는 이유는, 완충 부재(700)의 일부가 광학 부재(600)의 투과 영역으로 침범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명 유닛의 휘도를 저하시키고, 광학 부재(600)의 그림자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커버 부재의 중첩 영역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데,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은 제 3 영역과 제 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3 영역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 4 영역은 제 3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3 영역에는 완충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7a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4 영역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 d4는, 제 3 영역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 d3보다 더 가까울 수 있다.
즉,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4 영역의 두께 t4는 제 3 영역의 두께 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의 제 4 영역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 d4가,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의 제 3 영역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 d3보다 더 가까운 이유는,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힘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도 17b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4 영역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 d4는, 제 3 영역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 d3와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커버 부재(500)의 중첩 영역 중, 제 4 영역의 두께 t4는 제 3 영역의 두께 t3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8은 돌출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는 광원 모듈(100)이 배치되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돌출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는, 광학 부재(600)로부터 제 12 거리 D1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제 11 거리 D11는,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제 12 거리 D12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거리 D11와 제 12 거리 D12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끝단 영역에, 돌출부(550)를 배치하는 이유는,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힘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완충 부재(700)를 배치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마찰로 인한 광학 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완충 부재(700)는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700)의 면적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의 중첩 면적(overlapped area)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700)의 면적은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의 중첩 면적의 약 10 - 80%를 차지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커버 부재의 돌출부와 완충 부재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돌출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는, 광학 부재(6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는,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도 19a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는 완충 부재(7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는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을 마주보는 측면(550a)을 포함하고, 완충 부재(700)는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을 마주보는 제 1 측면(700a)를 포함하는데,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과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 사이의 일정 간격 d5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9b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과 완충 부재(700)의 제 1 측면(700a)은 서로 접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끝단 영역에, 돌출부(550)를 배치하는 이유는,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간격을 더 좁힘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완충 부재(700)를 배치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커버 부재(50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마찰로 인한 광학 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커버 부재의 돌출부의 측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돌출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는 완충 부재(700)를 마주보는 측면(550a)을 포함하는데,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은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500b)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즉, 도 20a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과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500b) 사이의 각도 θ11는 둔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20b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과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500b) 사이의 각도 θ11는 직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측면(550a)과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500b) 사이의 각도 θ11을 직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가 안정적으로 커버 부재(500)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이기 때문이다.
도 21은 커버 부재의 돌출부의 요철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완충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00)는, 광학 부재(600)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 부재(500)의 하부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돌출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표면은 요철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는, 광학 부재(600)를 마주보는 하부면(550d)을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의 하부면(550d)은,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이유는,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커버 부재(500)의 돌출부(550)와 광학 부재(600) 사이의 마찰로 인한 광학 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광원 모듈과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는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b는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에 동시에 접촉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2c는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d는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됨과 동시에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되는 광원 모듈(1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는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제 1 거리 d31만큼 이격되고,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제 2 거리 d3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거리 d31과 제 2 거리 d3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거리 d31은 제 2 거리 d32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거리 d31이 제 2 거리 d32 보다 더 클 경우, 핫 스팟(hot spot)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와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1, 제 2 리플렉터(200, 300)에 접촉됨으로써, 핫 스팟 방지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먼 영역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되고,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거리 d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됨으로써, 핫 스팟 방지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먼 영역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되고,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거리 d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도 23a 내지 도 23d는 경사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3a는 경사면이 평면인 경우이고, 도 23b, 도 23c 및 도 23d는 경사면이 곡면인 경우이다.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를 마주보는 제 2 리플렉터(200)의 일측 표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타측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는 제 2 리플렉터(200)의 타측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1 - 85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리플렉터(200)의 두께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할 수도 있고, 또는 점차 증가할 수도 있다.
즉, 제 2 리플렉터(200)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와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도 23a 및 도 23b와 같이,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이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보다 더 클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3c 및 도 23d와 같이,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이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또한, 도 23d와 같이, 제 2 리플렉터(200)는 경사면과 평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 2 리플렉터(200)에서,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은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길이 L1은 평면의 길이 L2와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에는 소정의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반사 패턴을 갖는 제 1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a는 반사 패턴(220)이 톱니형상이고, 반사 패턴(220)의 표면은 평면이며, 도 24b 및 도 24c는 반사 패턴(220)이 톱니형상이고, 반사 패턴(220)의 표면은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4b는 반사 패턴(220)의 표면이 오목한 곡면이고, 도 24c는 반사 패턴(220)의 표면이 볼록한 곡면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24d와 같이, 반사 패턴(220)의 크기가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에서 오픈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리플렉터(200) 위에 반사 패턴(220)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의 반사뿐만 아니라, 광을 균일하게 퍼지게 하는 확산 효과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사 패턴(220)은 백라이트의 전체 휘도 분포에 따라, 해당 영역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5은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여러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 패턴(620)은 최상층 또는 어느 한 층의 표면에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준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확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광학 부재(600)의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620)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 패턴(620)은 광원 모듈(100)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요철 패턴(620)은 광학 부재(600) 표면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완충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조명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고, 광학 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조명 유닛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부 경사면을 갖는 에어 가이드용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 공간에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광학 부재, 커버 부재, 완충 부재, 제 1, 제 2 리플렉터 및 광원 모듈은 이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LED를 집속하여 빛을 얻는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 내에 매입되어 셰이드의 개구부 측이 노출되게 장착 될 수 있도록 하는 매입등(다운라이트)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6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디스플레이 패널(800) 및 백라이트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서로 마주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810)과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82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기판(810, 820)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830) 및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컬러필터 기판(810)의 상면에 상부 편광판(830)이 배치되고, TFT 기판(820)의 하면에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측면에는 패널(8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둘러싸는 프론트 커버(30) 및 백 커버(35),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 및 구동부(55)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4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0)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백 커버(35)는 프론트 커버(3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35)의 일면에는 구동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55)는 구동 제어부(55a), 메인보드(55b) 및 전원공급부(55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5a)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각 드라이버 IC에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구동부이고, 메인보드(55b)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V싱크, H싱크 및 R, G, B 해상도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이며, 전원 공급부(55c)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이다.
구동부(55)는 백 커버(35)에 구비되어 구동부 커버(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백 커버(35)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과 구동부(55)가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스탠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5)의 구동 제어부(55a)는 백 커버(35)에 구비되고,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는 스탠드(6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 커버(40)는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만을 감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를 각각 따로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통합보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광학 부재, 커버 부재, 완충 부재, 제 1, 제 2 리플렉터 및 광원 모듈은, 이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LED를 집속하여 빛을 얻는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 내에 매입되어 셰이드의 개구부 측이 노출되게 장착 될 수 있도록 하는 매입등(다운라이트)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원 모듈 200 : 제 2 리플렉터
300 : 제 1 리플렉터 400 : 제 3 리플렉터
500 : 커버 부재 600 : 광학 부재
700 : 완충 부재

Claims (15)

  1. 제 1 리플렉터(reflector);
    제 2 리플렉터;
    상기 제 1 리플렉터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
    상기 제 1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
    상기 광학 부재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cover member); 그리고,
    상기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buffer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적은,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 면적(overlapped area)보다 더 작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은, 상기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완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제 2 영역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상기 광학 부재의 제 1 영역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상기 광학 부재의 제 2 영역의 두께는, 상기 광학 부재의 제 1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조명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하는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적은 상기 중첩 면적의 10 - 80%를 차지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인접하는 상부면과, 상기 광학 부재에 인접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제 4 거리는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제 5 거리보다 더 작은 조명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중첩 영역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분리형(separation type)인 조명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광학 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과,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조명 유닛.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광학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1 수직선과, 상기 제 2 리플렉터의 끝단의 어느 한 점을 지나는 제 3 수직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조명 유닛.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리플렉터(reflector);
    제 2 리플렉터;
    상기 제 1 리플렉터와 제 2 리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
    상기 제 1 리플렉터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
    상기 광학 부재의 끝단(end portion)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cover member); 그리고,
    상기 광학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buffer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광학 부재와 마주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의 하부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광학 부재 사이의 제 11 거리는 상기 커버 부재의 돌출부와 상기 광학 부재 사이의 제 12 거리보다 더 넓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은, 상기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의 중첩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완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제 2 영역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상기 광학 부재의 제 1 영역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상기 광학 부재의 제 2 영역의 두께는, 상기 광학 부재의 제 1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조명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완충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돌출부 측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인 조명 유닛.
  14. 삭제
  15. 제 1 항, 제 2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유닛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38322A 2012-04-13 2012-04-13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22A KR101957815B1 (ko) 2012-04-13 2012-04-13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22A KR101957815B1 (ko) 2012-04-13 2012-04-13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36A KR20130115736A (ko) 2013-10-22
KR101957815B1 true KR101957815B1 (ko) 2019-03-13

Family

ID=4963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22A KR101957815B1 (ko) 2012-04-13 2012-04-13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9937A1 (en) 2004-06-07 2005-12-08 Nobuyuki Mitsuhash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299573A (ja) * 2006-04-28 2007-11-15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液晶表示装置
JP2010097924A (ja) * 2008-09-18 2010-04-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20110222267A1 (en) * 2011-01-14 2011-09-15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9937A1 (en) 2004-06-07 2005-12-08 Nobuyuki Mitsuhash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299573A (ja) * 2006-04-28 2007-11-15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液晶表示装置
JP2010097924A (ja) * 2008-09-18 2010-04-3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20110222267A1 (en) * 2011-01-14 2011-09-15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36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4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시스템
US9243775B2 (en) Light unit having asymmetric reflector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943447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05365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94814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2266737B1 (ko) 렌즈,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
KR101902394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80136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8357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4740652A (zh) 背光模组、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60161086A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1992361B1 (ko) 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JP608750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57815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4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02397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3445B1 (ko) 조명 시스템
KR10194814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81859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2395B1 (ko) 조명 유닛
KR10193399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933999B1 (ko) 조명 시스템
KR102034711B1 (ko) 조명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4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140028429A (ko) 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