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172B1 -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172B1
KR101957172B1 KR1020170137706A KR20170137706A KR101957172B1 KR 101957172 B1 KR101957172 B1 KR 101957172B1 KR 1020170137706 A KR1020170137706 A KR 1020170137706A KR 20170137706 A KR20170137706 A KR 20170137706A KR 101957172 B1 KR101957172 B1 KR 10195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coupling
coupling member
cavity fil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재용
양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3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1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combining a cross-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a cavity filter. The disclosed method is a method for combining a cross-coupling member to a cavity filter by using an automat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oading portions in which cross-coupling members of different sizes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output portions which output the cross-coupling members stacked on the loading portion. The method comprises: a step (a) of determining cross-coupling members to be combined, and outputting one of the cross-coupling members through the corresponding output portion from the loading portion where the determined cross-coupling members are stacked; a step (b) of placing the output one of the cross-coupling members at a fastening portion by using a gripping arm of the automatic device; a step (c) of pressing a coupling bar of the cross-coupling member located at the fastening portion to strengthen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bar; a step (d) of inserting the coupling bar fastened in the step (c) into an insertion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vity filter by using the gripping arm; and a step (e) of repeating the steps (a) to (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further cross-coupling member to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present invention, coupling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when cross-coupling members of various sizes are combined to the cavity filter.

Description

캐비티 필터 제조를 위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coupling member coupl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vity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티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티 필터 제조를 위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vity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for manufacturing a cavity filter.

이동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필터, 듀플렉서, 멀티플렉서 등과 같은 RF 장비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RF 장비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등과 같은 곳에서 신호의 필터링, 신호의 분리 및 전달에 이용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F equipment such as filters, duplexers, multiplexers and the like. RF equipment is used for signal filtering, signal separation and transmission, such as in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F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같이 하이 파워가 요구되는 장치에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캐비티 필터가 주로 사용된다. An RF filter is a device for passing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a cavity filter having a cavity structure is mainly used for a device requiring high power such as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 고감도의 송수신 성능을 요구하고 있으며 양호한 통화 품질 및 데이터 전송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과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필터는 저손실을 가지면서 불요파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가파른 감쇄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increasingly demanding high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and good call quality and data transmission are indispensable. Therefore, a filter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base station needs to have a steep attenuation characteristic capable of reliably removing unnecessary waves while having a low loss.

이러한 감쇄 특성을 위해 캐비티 필터에는 크로스 커플링 기술이 도입되었다. 크러스 커플링은 캐비티를 형성하는 격벽 사이에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하여 폐쇄된 캐비티 사이에 추가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For this attenuation characteristic, cross-coupling technology was introduced in the cavity filter. The crossover coupling is a technique of inserting a cross-coupling member between the partitions forming the cavity to form additional coupling between the closed cavities.

이러한 크로스 커플링을 위해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졌다. 하나의 캐비티 필터의 다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결합될 경우, 요구되는 크로스 커플링 특성과 전체적인 필터 특성으로 인해 서로 다른 사이즈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사용된다.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기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각각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사이즈가 다른 이유로 인해 수작업에 의해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결합될 때 적절하지 않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훼손되거나 작업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insertion of the cross-coupling member for this cross-coupling was manually done by the operator. When multiple cross-coupling members of a single cavity filter are combined, cross-coupling members of different sizes are used due to the required cross-coupling characteristics and overall filter characteristics. The cross-coupling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preformed insertion groove, by inserting a cross-coupling member that is not appropriate when the cross-coupling member is manually engaged by hand for reasons other than the size of each cro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ng member is damaged or work delay is frequently generated.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캐비티 필터에 결합될 때 결합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ross-coupling member engaging method that can reduce coupling time and cost when cross-coupling members of various sizes are coupled to the cavity fil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이 적층되는 다수의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적층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장치를 이용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캐비티 필터에 결합 방법으로서, 결합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적층하고 있는 로딩부로부터 상기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 하나를 해당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a); 상기 출력된 하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상기 자동화 장치의 파지 아암을 이용하여 체결부에 위치시키는 단계(b); 상기 체결부에 위치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 바를 가압하여 상기 커플링 바의 체결을 강화시키는 단계(c); 및 상기 단계(c)에서 체결된 커플링 바를 상기 파지 아암을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 필터의 미리 설정된 위치의 삽입 홈에 삽입하는 단계(d); 및 추가로 삽입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계(a) 내지 (d)를 반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oss-coupling device using an automation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loading portions in which cross-coupling members of different sizes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output portions outputting cross- A method of coupling a ring member to a cavity filter,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a cross-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cross-coupling member through a corresponding output from a loading unit stacking the determined cross- ; (B) placing the output one of the cross-coupling members in the fastening portion using the gripping arm of the automatic apparatus; (C) pressing the coupling bar of the cross-coupling member located at the coupling portion to strengthen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bar; And (d) inserting the coupling bar fastened in step (c) into an insertion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vity filter using the gripping arm; And (e) repeating the steps (a) to (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further cross-coupling member to be inserted.

상기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상기 유전체 몸체부 및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중앙부까지 형성되는 장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커플링 바를 포함하며, 상기 장홀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기 중앙부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진다. The cross-coupling member includes the coupling bar inserted through an elongated hole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dielectric body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electric body portion, and the elongated hole has a larger diamet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electric body portion.

상기 단계(c)는 상기 커플링 바가 상기 장홀의 상기 중앙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커플링 바를 가압한다. Wherein the step (c) presses the coupling bar such that the coupling bar is fasten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 hole.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d) 이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가압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further includes pressing the cross-coupling member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after step (d).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가압은 상기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가압한다. And the pressing of the cross-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resses the cross-coupling member to be engaged with the insertion groov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캐비티 필터에 결합될 때 결합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upling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when the cross-coupling members of various sizes are coupled to the cavity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에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이 적용되어 생산되는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결합되는 격벽의 삽입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캐비티 필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장치의 파지 아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에서 유전체 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utomation apparatus used for 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vity filter produced by applying the cross-coupling member joi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ross coupling member;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sertion groove of a partition wall to which the cross-coupling member shown in Fig. 3 is coupled; Fig.
Figure 5 illustrates a cross-coupling member coupled to a cavity fil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rip arm of a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electric body portion in the cross-coupling member;
FIG. 8 is a flow chart showing an overall flow of a method of engaging a cross-coupling member of a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이 적용되어 생산되는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vity filter produced by applying the cross coupling member joi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되는 캐비티 필터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105)들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캐비티(110), 상기 캐비티(110)에 수용되는 다수의 공진기(120) 및 다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130, 131, 132, 133)를 포함한다.2, the cavity filter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vities 110 defined by a housing 100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05 formed 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resonators 120 and a plurality of cross coupling members 130, 131, 132, and 13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캐비티 필터는 입력되는 RF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캐비티 필터의 통과 대역은 캐비티의 사이즈 및 공진기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The cavity filter as shown in FIG. 2 functions to pass only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from an input RF signal. The pass band of the cavity filter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cavity and the structure of the resonator.

캐비티 필터의 감쇠 특성은 공진기(120)와 캐비티(110)의 수에 의해 결정되며, 캐비티(110) 및 공진기(120)의 수가 늘어날수록 양호한 감쇄 특성을 가지게 된다. 다만, 캐비티와 공진기의 수가 늘어날 경우 삽입 손실이 증가되어 감쇄 특성과 삽입 손실은 트레이트 오프 관계에 있게 된다.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cavity filter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he resonator 120 and the number of the cavities 110. As the number of the cavities 110 and the resonator 120 increases, However, when the number of cavities and resonators increases, the insertion loss increases, and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insertion loss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한편, 크로스 커플링은 캐비티를 정의하는 격벽에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설치하여 트랜스미션 제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높은 감쇄 특성을 요구하는 필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크로스 커플링이 두 개의 공진기 사이에서 이루어질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트랜스미션 제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트랜스미션 제로는 보다 양호한 감쇄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On the other hand, cross-coupling is a technique commonly used in a filter requiring high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which a cross-coupling member is provided on a partition wall defining a cavity to form a transmission zero. When cross-coupling occurs between two resonators, transmission zero is formed in a certain frequency band and such transmission zero enables better attenuation characteristics to be realized.

이러한 크로스 커플링 구현을 위해 캐비티를 정의하는 격벽에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모두 수작업에 의해 결합되었으며 따라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결합에는 상당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었다.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cross-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must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defining the cavity, and these cross-coupling members are all manually engaged so that the coupling of the cross-coupling members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도 2에는 4개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130, 131, 132, 133)가 도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필터에 적용되는 다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 각각은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사이즈는 요구되는 크로스 커플링 특성 및 전체 필터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삽입되는 격벽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wo cross-coupling members 130, 131, 132 and 133 are shown in Fig.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ross-coupling members, which are generally applied to the filter, have different sizes. Because the size of the cross coupling member affects the required cross coupling characteristics and the overall filter characteristics, it is generally implemented in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partition walls to be inserted.

따라서, 수작업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때 맞지 않는 사이즈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에 대한 삽입을 시도하여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며 삽입 오류로 인해 결합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when the coupling is manually performed, the insertion of the cross-coupling member of an unsuitable size is attempted, so that breakage of the cross-coupling member often occurs. there wa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결합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assembling a cross-coupling member by using an automation equipment to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 when such a conventional cross-coupling member is engaged.

도 3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ross coupling member.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유전체 몸체부(300)와 커플링 바(310)를 포함한다. 유전체 몸체부(300)는 격벽에 삽입되는 몸체부로 기능하며, 유전체 몸체부(300)에 형성된 홀에 커플링 바(310)가 삽입된다. 일례로, 유전체 몸체부(300)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3, the cross-coupling member includes a dielectric body 300 and a coupling bar 310. The dielectric body 300 functions as a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and the coupling bar 31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dielectric body 300. For example, the dielectric body 300 may be made of Tefl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플링 바(3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이나 양단이 중심부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가진 구조로 형성된다. 커플링 바(310)의 양단 각각은 공진기에 인접하여 공진기간 크로스 커플링을 발생시킨다. The coupling bar 3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a larger diameter at both ends than the center portion. Eac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coupling bar 310 generates a resonance period cross-coupling adjacent to the resonato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캐비티를 정의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된다. The cross-coupling member as shown in Fig. 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partition defining the cavity.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결합되는 격벽의 삽입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sertion groove of a partition wall to which the cross-coupling member shown in FIG. 3 is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격벽(105)의 일부를 절개하여 삽입홈(400)을 형성하며, 해당 삽입홈(400)으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에는 삽입 홈의 측부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305)이 삽입 홈의 측부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가이드 홈(305)의 간격은 격벽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art of the partition wall 105 is cut to form an insertion groove 400, and a cross-coupling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400. The cross-coupling member shown in FIG. 3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305 corresponding to a side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guide groove 305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interval of the guide grooves 305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도 7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에서 유전체 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electric body portion in the cross-coupling member;

유전체 몸체부(300)에는 유전체 몸체부의 하단에서부타 중단까지 길게 형성되는 장(長)홀(330)이 형성되며, 해당 장홀을 통해 커플링바(310)가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은 중앙부의 사이즈가 더 크며 따라서 중앙부에 커플링바(310)가 삽입되면 삽입 방향으로 이탈되지는 않는다. A long hole 330 is formed in the dielectric body 300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dielectric body to the stop, and the coupling bar 310 is inserted through the long hole. As shown in FIG. 7, the elongated hole has a larger central portion, and therefore is not relea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coupling bar 31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캐비티 필터에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upling the cross-coupling member as shown in Fig. 3 to the cavity filter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에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utomation apparatus used for 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을 위한 자동화 장치는 제1 로딩부(200), 제2 로딩부(202), 제3 로딩부(204), 제4 로딩부(206), 제1 출력부(210), 제2 출력부(212), 제3 출력부(214), 제4 출력부(216) 및 체결부(218)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utomatic apparatus for 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ading unit 200, a second loading unit 202, a third loading unit 204, A first output unit 210, a second output unit 212, a third output unit 214, a fourth output unit 216, and a coupling unit 218. The loading unit 206, the first output unit 210, the second output unit 212,

제1 로딩부(200)에는 제1 사이즈를 갖는 제1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1 로딩부(200)에 적층된 제1 크로스 커플링 부재(200)는 아래에서부터 제1 출력부(210)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A first cross coupling member having a first size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loading section (200). The first cross coupling member 200 stacked on the first loading section 200 is sequentially output from below through the first output section 210.

제2 로딩부(202)에는 제2 사이즈를 갖는 제2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2 로딩부(202)에 적층된 제2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아래에서부터 제2 출력부(212)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And a second cross coupling member having a second size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2. [ The second cross coupling member stacked on the second loading portion 202 is sequentially output from below through the second output portion 212.

제3 로딩부(204)에는 제3 사이즈를 갖는 제3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3 로딩부(204)에 적층된 제3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아래에서부터 제3 출력부(214)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A third cross coupling member having a third size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third loading portion 204. [ The third cross coupling member stacked on the third loading section 204 is sequentially output from below through the third output section 214.

제4 로딩부(206)에는 제4 사이즈를 갖는 제4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4 로딩부(206)에 적층된 제4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아래에서부터 제4 출력부(216)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A fourth cross coupling member having a fourth size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ourth loading section 206. [ The fourth cross coupling member stacked on the fourth loading portion 206 is sequentially output from below through the fourth output portion 216. [

도 1에는 4 종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각각 로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크로스 커플링 부재 종류의 수는 결합하는 필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FIG. 1 shows a case of loading four types of cross coupling members, the number of types of cross coupling members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coupling filter.

한편, 제1 로딩부(200) 내지 제4 로딩부(206)에 적층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은 유전체 몸체부(300)에 커플링바(310)가 가체결된 상태이며, 여기서 가체결은 커플링바(310)가 장홀(330)의 중앙부까지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Meanwhile, the cross coupling members stacked on the first loading unit 200 to the fourth loading unit 206 are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ar 310 is fastened to the dielectric body 300, (310)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 hole (330).

체결부(220)는 커플링바가 제1 출력부(210) 내지 제4 출력부(216) 중 어느 하나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체결부(220)에는 커플링바(31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가 구비되며, 출력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바(310)가 장홀(330)의 중앙부까지 삽입되도록 커플링바(310)를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은 커플링바(310)에 대한 물리적 타격을 제공하는 작업일 수도 있으며, 커플링바(310)를 푸쉬하는 작업일 수도 있다. The coupling portion 220 functions to couple the cross coupling member output from the output portion of any one of the first output portion 210 to the fourth output portion 216 with the coupling bar. The coupling part 22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coupling bar 310 so that the coupling bar 310 of the output cross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long hole 330, do. Where pressurization may be a task that provides a physical blow to the coupling bar 310, or may be a push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bar 3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a method of 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of a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자동화 장치의 로딩부에 종류별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적층시킨다(단계 800).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인 커플링바(310)가 유전체 몸체부(300)에 가체결된 크러스 커플링 부재들이며, 이는 커플링바(100)가 유전체 몸체부(300)의 장홀의 중앙부에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8, cross-coupling members of the type are first stacked on the loading part of the automation apparatus (step 80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bar 310, which is a cross-coupling member to be laminated, is a crus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dielectric body 300.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bar 100 is connected to the dielectric body 300, It means that it is not completely fasten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long hole of the endoscope.

자동화 장치의 제어부는 삽입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 하나를 출력한다(단계 802).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장치에서 제1 로딩부 내지 제4 로딩부에 적층된 4종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 중 어느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이며, 결정된 종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1 로딩부(200)에 적층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삽입이 결정된 경우, 제1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제1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된다. The control unit of the autom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cross-coupling member to be inserted, and outputs one of the determined cross-coupling members (step 802). In the autom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it is determined whether to insert a cross coupling member among the four kinds of cross coupling members stacked on the first loading portion to the fourth loading portion, The member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For example, when insertion of the cross-coupling member stacked on the first loading portion 200 is determined, the first cross-coupling member is output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ion 210.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출력되면, 자동화 머신의 파지 아암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파지하여 체결부(220)로 이동시킨다(단계 804). When the determined cross coupling member is output, the grip arm of the automated machine grasps the cross coupling member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nd moves to the coupling unit 220 (step 80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장치의 파지 아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rip arm of an automa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파지 아암(600)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파지하며, 파지 구조는 일반적인 집게 형식의 파지 구조와 동일하다. 파지 아암은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파지한 후 체결부(220)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gripping arm 600 grips the cross-coupling member, and the gripping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gripping type gripping structure. The gripping arm grips the cross coupling member output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6, and moves the gripping member 220 to the gripping member.

파지 아암에 의해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체결부(220)로 이동되면, 체결부(220)는 가체결된 커플링바를 가압하여 유전체 몸체부와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806). When the cross coupling member is moved to the coupling part 220 by the phage arm, the coupling part 220 presses the coupled coupling bar to complete the coupling with the dielectric body (step 806).

체결이 완료되면, 파지 아암은 체결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파지하고 지정된 위치의 삽입홈에 삽입한다(단계 808). 파지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삽입될 삽입홈의 위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파지 아암은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에 따라 파지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전체 몸체부의 가이드홈이 결합홈의 측부를 따라 삽입된다. When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gripping arm grips the fastened cross-coupling member and inserts it into the insertion groove at the designated position (step 808). Since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gripped cross-coupling member is to be inserted is set in advance, the gripping arm inserts the gripped cross-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 preset contro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s of the dielectric body are inserted along the sides of the coupling grooves.

파지 아암에 의해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삽입되면, 펀치 등에 의해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가압하여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완전히 결합되도록 한다(단계 810).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별도의 가압 부재가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례로,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전한 억지끼움 결합을 위해 가압 부재를 통해 외력을 가하는 것이다. When the cross coupling member is inserted by the gripping arm, the cross coupling member inserted by a punch or the like is pressed so that the cross coupling member is fully engaged (Step 810). Although not show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ross-coupling member inserted with a separate pressing member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inserted cross-coupling member so as to be engaged. In one example, the cross-coupling member can be coupled by an interference fit and exerts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biasing member for secure interference f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캐비티 필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ross-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a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기 형성된 삽입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pre-formed insertion groov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캐비티 필터에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결합되면, 결합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더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결합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더 있을 경우, 다음에 결합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802 단계가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When the determined cross-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avity fil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other cross-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If there are more cross coupling members to be coupled, then the next step of determining and outputting the cross 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is continuously repeated.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결합될 경우, 적절하지 않은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삽입 홈에 삽입함으로써 파손 및 작업 지연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삽입이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수작업에 의한 결합에 비해 결합에 요구되는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cross coupling member is manually engaged by the operator, breakage and operation delay occur by inserting an inappropriate cross-coupling member into the insertion groov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do. Further, since the insertion of the cross-coupling memb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automatic apparat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ing time and the operation cost required for the coupling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manual coupl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5)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이 적층되는 다수의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적층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들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장치를 이용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캐비티 필터에 결합 방법으로서,
결합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적층하고 있는 로딩부로부터 상기 결정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 하나를 해당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a);
상기 출력된 하나의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상기 자동화 장치의 파지 아암을 이용하여 체결부에 위치시키는 단계(b);
상기 체결부에 위치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 바를 가압하여 상기 커플링 바의 체결을 강화시키는 단계(c); 및
상기 단계(c)에서 체결된 커플링 바를 상기 파지 아암을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 필터의 미리 설정된 위치의 삽입 홈에 삽입하는 단계(d); 및
추가로 삽입할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계(a) 내지 (d)를 반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
A method for coupling a cross-coupling member to a cavity filter using an automation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loading portions in which cross-coupling members of different sizes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output portions for outputting cross-coupling members stacked on the loading portion As a result,
(A) determining a cross-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cross-coupling member through the corresponding output from a loading portion where the determined cross-coupling member is stacked;
(B) placing the output one of the cross-coupling members in the fastening portion using the gripping arm of the automatic apparatus;
(C) pressing the coupling bar of the cross-coupling member located at the coupling portion to strengthen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bar; And
(D) inserting the coupling bar fastened in step (c) into the insertion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vity filter using the gripping arm; And
(E) repeating the steps (a) to (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further cross-coupling member to be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커플링 부재는 유전체 몸체부 및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중앙부까지 형성되는 장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커플링 바를 포함하며, 상기 장홀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기 중앙부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coupling member includes a dielectric body and the coupling bar inserted through an elongated hole formed from a lower end of the dielectric body to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elongated hole having a larger diamet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electric body portion Wherein the cross-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ross-coupl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커플링 바가 상기 장홀의 상기 중앙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커플링 바를 가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c) comprises pressing the coupling bar such that the coupling bar is fasten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를 가압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essing and engaging a cross-coupling member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after step (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크로스 커플링 부재의 가압은 상기 크로스 커플링 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가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커플링 부재 결합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ssing of the cross-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resses the cross-coupling member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KR1020170137706A 2017-10-23 2017-10-23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KR101957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06A KR101957172B1 (en) 2017-10-23 2017-10-23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06A KR101957172B1 (en) 2017-10-23 2017-10-23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172B1 true KR101957172B1 (en) 2019-03-14

Family

ID=6575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706A KR101957172B1 (en) 2017-10-23 2017-10-23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1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842A (en) * 2001-12-31 2005-05-19 コンダクタ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esonator tuning assembly and method
KR100761801B1 (en) * 2006-10-31 2007-10-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adio frequency filter and tuning method thereof
JP2011044900A (en) * 2009-08-21 2011-03-03 Panasonic Corp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88270A (en) * 2011-08-05 2015-10-2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adio frequency filter employing notch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842A (en) * 2001-12-31 2005-05-19 コンダクタ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esonator tuning assembly and method
KR100761801B1 (en) * 2006-10-31 2007-10-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adio frequency filter and tuning method thereof
JP2011044900A (en) * 2009-08-21 2011-03-03 Panasonic Corp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88270A (en) * 2011-08-05 2015-10-2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adio frequency filter employing notch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1626B2 (en) Radio frequency filter with cavity structure
KR102241217B1 (en) Ceramic Waveguide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3612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onator of RF Filter and RF filter Having the Same
KR102344664B1 (en) Ceramic Waveguide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280299A1 (en) Waveguide band pass filter using short-circuit stub for rej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CN101317299A (en) Waveguide bandstop filter
KR101957172B1 (en) Method for Combining Cross Coupling Member for Producing Cavity Filter
US20120092089A1 (en) Dielectric Resonator Rod and Method in a Radio Frequency Filter
KR20210130676A (en) Waveguide filter
CN102265455A (en) Coupling structures for microwave filters
EP3764461B1 (en) Dual mode resonator, filter, and radiofrequency unit
KR1021944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high frequency cavity filter
KR20200044372A (en) Cavity filter having structure for self-lock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30206082A1 (en) Waveguide filter with reduced harmonics
KR20220001664A (en) RF Cavity Filter Where Tuning is Performed by Forming
EP1662603B1 (en) Generalized multiplexing network
CN103545580A (en) Miniaturized adjustable band stop filter
KR101958653B1 (en) Method for Producing Cavity Filter
CN212659656U (en) Dielectric resonator convenient to drawing of patterns and multimode dielectric filter
KR102527996B1 (en) RF cavity filter with non-resonator
WO2023097569A1 (en) Triple-mode resonator and waveguide filter comprising the same
CN216818584U (en) Cavity filter for antenna
EP3968452A1 (en) Multi-type filter assembly
CN113036328B (en) Dual-channel filter with different center frequencies
CN110911791B (en) High-rectangular-coefficient waveguide band-pass filter and desig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