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877B1 - 드론조종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조종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877B1
KR101956877B1 KR1020180105370A KR20180105370A KR101956877B1 KR 101956877 B1 KR101956877 B1 KR 101956877B1 KR 1020180105370 A KR1020180105370 A KR 1020180105370A KR 20180105370 A KR20180105370 A KR 20180105370A KR 101956877 B1 KR101956877 B1 KR 10195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drone
support
pedesta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종
신성웅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빛고을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빛고을드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빛고을드론
Priority to KR102018010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받침대에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상부우측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받침대를 구비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와, 이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받침대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이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드론을 설치하여 상기 드론이 구동되어 비행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드론이 상, 하, 좌, 우로 비행되는 비행이동을 구속되게 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초보단계에서 숙련단계에 갈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의 조종연습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드론 비행시 드론에 대한 상, 하, 좌, 우의 비행방향의 구속장치 없이 드론 조종연습시에 발생되는 드론의 파손 및 분실과, 드론조종의 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드론조종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조종연습장치{Apparatus for drone controling for practice}
본 발명은 드론조종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받침대에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상부우측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받침대를 구비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와, 이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받침대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이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드론을 설치하여 상기 드론이 구동되어 비행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드론이 상, 하, 좌, 우로 비행되는 비행이동을 구속되게 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초보단계에서 숙련단계에 갈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의 조종연습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드론 비행시 드론에 대한 상, 하, 좌, 우의 비행방향의 구속장치 없이 드론 조종연습시에 발생되는 드론의 파손 및 분실과 드론조종의 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드론조종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UAV: unmaned aerial vehicle/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 최초에는 군사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민간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민간분야에 있어서 드론의 대표적인 사용예는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람이 직접 가서 촬영하기 어려운 위험한 장소를 촬영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의 무인택배서비스, 농약살포 및 영화나 티브이 드라마의 항공촬영, 내비게이션용 로드 뷰 촬영 등 다양한 용도로 그 활용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 이러한 드론이 개인 취미활동을 위한 놀이기구로 개발되어 보급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놀이기구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드론은 무인비행체로서, 유인비행체에 비해 크기나 무게가 작다고는 하지만 상당한 중량을 가지며 로터의 크기나 회전수는 사람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므로 충분한 테스트가 요구되며, 드론의 운전(또는 조종)은 초보자에게 매우 어려워 직접 운전을 행하기 전에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드론은 실제 비행시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드론을 자유자재로 조종하면서 비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놀이도구나 운동도구와 마찬가지로 드론 또한 직접 구입한 후에 무선조종기를 조작하면서 직접 비행을 해보면서 사용자가 무선조종기의 조작방법을 익히면서 드론의 조종기술을 습득하게 되므로 드론을 처음 조작하는 초보자들의 경우, 초기 드론의 조작시 다양한 사고가 발생됨은 물론 고가의 드론이 파손되고, 드론을 분실하거나, 심지어는 인명에 손상을 가할 정도로 위험한 놀이도구로 돌변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받침대에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상부우측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받침대를 구비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와, 이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받침대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이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드론을 설치하여 상기 드론이 구동되어 비행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드론이 상, 하, 좌, 우로 비행되는 비행이동을 구속되게 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초보단계에서 숙련단계에 갈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의 조종연습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드론 비행시 드론에 대한 상, 하, 좌, 우의 비행방향의 구속장치 없이 드론 조종연습시에 발생되는 드론의 파손 및 분실과, 드론조종의 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새로운 드론조종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받침대의 우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의 우측하부면에 설치된 제2받침대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의 우측 하부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의 우측에 설치된 상기 제2받침대의 상부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연결부재와; 상, 하, 좌, 우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사이에 연결설치된 드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된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상,하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좌,우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에 다수개의 제1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좌측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2볼트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우측에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우측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연결되게 구비된 이동부재와, 상기 제1,2볼트공들에 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의 좌측에 다수개의 제3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의 좌측하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4볼트공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좌측하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2볼트공이 형성된 수직부로 구비된 이동부재와, 상기 제3,4볼트공들에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2볼트공들은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제1볼트공들에 볼트가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제1받침대의 우측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5볼트공이 형성된 제1수평지지대와, 상기 제1수평지지대의 우측하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6볼트공이 형성된 제2수평지지대와, 상기 제5,6볼트공들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제2수평지지대의 우측의 하부면은 제2받침대의 좌측면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하부받침대에 형성된 이동공과, 상기 이동공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제1,2스프링이 설치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좌측에 우측이 연결설치된 상기 제1스프링의 좌측은 상기 이동공의 좌측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설치된 상기 제2스프링의 우측은 상기 이동공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의 외측둘레에 보호구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구의 상,하부를 상기 연결부재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받침대에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상부우측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받침대를 구비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와, 이 상기 상부수평지지대와 상기 제2받침대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이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드론을 설치하여 상기 드론이 구동되어 비행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드론이 상, 하, 좌, 우로 비행되는 비행이동을 구속되게 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초보단계에서 숙련단계에 갈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의 조종연습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드론 비행시 드론에 대한 상, 하, 좌, 우의 비행방향의 구속장치없이 드론 조종연습시에 발생되는 드론의 파손 및 분실과, 드론조종의 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부의 상,하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부의 좌,우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부의 좌,우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받침대에 형성된 이동공에 설치된 이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설치된 보호구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부의 상,하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부의 좌,우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수평지지대에 설치된 이동부의 좌,우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받침대에 형성된 이동공에 설치된 이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설치된 보호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조종연습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조종연습장치는 제1받침대(10a)와, 제2받침대(10b)와, 수직지지대(20)와, 상부수평지지대(30a)와, 하부수평지지대(30b)와, 연결부재(40)와, 드론(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받침대(10a)는 일정한 중량을 갖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받침대(10a)의 외형의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수직지지대(20)는 상기 제1받침대(10a)의 중앙 상부면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하부는 상기 제1받침대(10a)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하부는 상기 제1받침대(10a)의 상부면에 기립되어 설치되거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공(b1)과 상기 제1받침대(10a)에 형성된 볼트공(b1)에 볼트(b)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는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우측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는 상기 제1받침대(10a)의 우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받침대(10b)는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의 우측하부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는 상기 제1받침대(10a)와 상기 제2받침대(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받침대(10a)의 우측에 형성된 홈부(c)에 형성된 볼트공(b1)과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에 좌측에 형성된 볼트공(b1)이 서로 일치된 후에 볼트(b)가 결합되고, 상기 제2받침대(10b)의 좌측에 형성된 홈부(c)에 형성된 볼트공(b1)과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에 우측에 형성된 볼트공(b1)이 서로 일치된 후에 볼트(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우측 하부와, 상기 제2받침대(10b)의 상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탄성력이 우수한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는 탄성력이 우수한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연결부재(40)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기 드론(50)이 상, 하, 좌, 우로 용이하게 움직이기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40)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드론(5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드론(50)은 상, 하, 좌, 우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0)의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에 하부로 하강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의 우측에 연결설치된 상기 제2받침대(10b)의 상부로 상승되게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의 사이에 상기 드론(5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드론(50)의 외측둘레에 보호구(50a)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구(50a)의 상,하부를 상기 연결부재(40)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보호구(50a)의 내부상부에 설치된 상부연결지지대(50b)와 상기 보호구(50a)의 내부하부에 설치된 하부연결지지대(50c)의 사이에 상기 드론(50)이 설치되어 상기 드론(50)이 상기 보호구(50a)를 통해 외부의 물리적 힘 또는 외부물체에 부딪칠 때 상기 드론(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대(20)에 설치된 상,하이동수단(a)과, 상기 상,하부수평지지대(30a,30b)에 설치된 좌,우이동수단(c1,c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수단(a)은 상기 수직지지대(20)에 다수개의 제1볼트공(b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좌측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2볼트공(b2)이 형성된 수직부(6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부(61)의 우측에 수평부(6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62)의 우측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와 연결되게 구비된 이동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2볼트공(b1,b2)들에 볼트(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형성된 상기 제1볼트공(b1)들에 상기 수직부(61)에 형성된 상기 제2볼트공(b2)들을 일치하되, 상기 수직지지대(20)를 상기 수직부(61)에서 상승길이를 정한 후에,
상기 수직지지대(20)의 형성된 상기 제1볼트공(b1)들과 상기 수직부(61)에 형성된 상기 제2볼트공(b2)을 일치되게 한 후,
상기 제1,2볼트공(b1,b2)들에 상기 볼트(b)를 결합하여 상기 수직지지대(20)에서 상기 수직부(61)의 높이를 상,하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수직부(61)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하부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a)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에 구비된 상기 드론(50) 비행의 높이를 상,하로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드론(50)의 조종에 숙련될 경우, 상기 수직부(61)를 상기 수직지지대(20)에서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부(61)와 연결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의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40)에 설치된 상기 드론(50)의 상,하비행을 상,하로 넓히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에 설치된 상기 좌,우이동수단(c1)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좌측에 다수개의 제3볼트공(b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좌측하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4볼트공(b4)이 형성된 수평부(6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62)의 좌측하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2볼트공(b2)이 형성된 수직부(61)로 구비된 이동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제3,4볼트공(b3,b4)들에 볼트(b)가 결합되고, 상기 제2볼트공(b2)들은 수직지지대(20)에 형성된 제1볼트공(b)들에 볼트(b)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형성된 상기 제3볼트공(b3)들에 상기 수평부(62)에 형성된 상기 제4볼트공(b4)들을 일치하되,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를 상기 수평부(62)에서 좌,우길이를 정한 후에,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형성된 상기 제3볼트공(b3)들과 상기 수평부(62)에 형성된 상기 제4볼트공(b4)을 일치되게 한 후,
상기 제3,4볼트공(b3,b4)들에 상기 볼트(b)를 결합하여 상기 수평부(62)에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20)의 폭을 좌,우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수평부(62)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하부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a)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에 구비된 상기 드론(50)의 비행을 좌,우로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드론(50)의 조종에 숙련될 경우, 상기 수평부(62)에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좌,우 폭을 조절하여 상기 수평부(62)와 연결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의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의 좌,우 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40)에 설치된 상기 드론(50)의 좌,우비행을 좌,우로 넓히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에 설치된 상기 좌,우이동수단(c2)은 상기 제1받침대(10a)의 우측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5볼트공(b5)이 형성된 제1수평지지대(31a)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31a)의 우측하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제6볼트공(b6)이 형성된 제2수평지지대(31b)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5,6볼트공(b5,b6)들에 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된다.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의 우측의 하부면은 제2받침대(10b)의 좌측면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지지대(31a)의 형성된 상기 제5볼트공(b5)들에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에 형성된 상기 제6볼트공(b6)들을 일치하되, 상기 제1수평지지대(31a)에서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의 좌,우의 길이를 정한 후에,
상기 제1수평지지대(31a)의 형성된 상기 제5볼트공(b5)들과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에 형성된 상기 제6볼트공(b6)을 일치되게 한 후,
상기 제5,6볼트공(b5,b6)들에 상기 볼트(b)를 결합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대(31a)에서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의 폭을 좌,우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에 설치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에 구비된 상기 드론(50)의 비행을 좌,우로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드론(50)의 조종에 숙련될 경우, 상기 제1수평지지대(31a)에서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의 좌,우 폭을 조절하여 상기 제2수평지지대(31b)와 연결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는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40)의 좌,우 폭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40)에 설치된 상기 드론(50)의 좌,우비행을 좌,우로 넓히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하부받침대(10b)에 형성된 이동공(81)과, 상기 이동공(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제1,2스프링(s1,s2)가 설치된 이동부(8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80)의 좌측에 우측이 연결설치된 상기 제1스프링(s1)의 좌측은 상기 이동공(81)의 좌측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80)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설치된 상기 제2스프링(s1)의 우측은 상기 이동공(81)의 우측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80)에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부가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하부받침대(10b)에 형성된 상기 이동공(81)의 내에서 탄발력을 갖는 양상기 제1,2스프링(s1,s2)로 인해 상기 이동부(80)가 상, 하, 좌, 우로 유동되게 하여 상기 이동부(80)에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에 상부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40)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드론(50)이 상,하로 승강비행과 좌,우로 이동비행을 할 시 상기 드론(50)이 상승시 상기 제1,2스프링(s1,s2)의 탄발력으로 자동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드론(50)이 좌로 이동시 상기 제1,2스프링(s1,s2)의 탄발력으로 좌로 복원시키고, 상기 드론(50)이 우로 이동시 상기 제1,2스프링(s1,s2)의 탄발력으로 우로 복원시켜 상기 드론(50)의 조종연습 효과를 높여 상기 드론(50)의 조종에 대한 숙련도를 한층 높이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제1받침대(10a)에 설치된 상기 수직지지대(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의 상부우측에 설치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와, 상기 수직지지대(10)의 하부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받침대(10b)를 구비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와, 이 상기 상,하부수평지지대(30a,30b)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40)를 설치하고 이 상기 연결부재(40)에 상기 드론(50)을 설치하여 상기 드론(50)이 구동되어 비행시 상기 연결부재(40)에 의해 상기 드론(50)이 상, 하, 좌, 우로 비행되는 비행이동을 구속되게 하여 상기 드론(50)의 비행을 초보단계에서 숙련단계에 갈 수 있도록 상기 드론(50)의 조종연습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드론 비행시 드론에 대한 상, 하, 좌, 우의 비행방향의 구속장치없이 드론 조종연습시에 발생되는 드론의 파손 및 분실과, 드론조종의 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a: 제1받침대 10b: 제2받침대
20: 수직지지대 30a: 상부수평지지대
31a: 제1수평지지대 31b: 제2수평지지대
30b: 하부수평지지대 40: 연결부재
50: 드론 50a: 보호구
60: 이동부재 61: 수직부
62: 수평부 80: 이동부
81: 이동공 a: 상,하이동수단
b: 볼트 b1~b6: 제1볼트공~제6볼트공
c1.c2: 좌,우이동수단 s1: 제1스프링
s2: 제2스프링

Claims (8)

  1. 제1받침대(10a)와;
    상기 제1받침대(10a)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수직지지대(20)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30a)와;
    상기 제1받침대(10a)의 우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30b)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의 우측하부면에 설치된 제2받침대(10b)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대(30a)의 우측 하부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30b)의 우측 에 설치된 상기 제2받침대(10b)의 상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연결부재(40)와;
    상, 하, 좌, 우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0)의 사이에 연결설치된 드론(50)으로 구성되는 드론조종연습장치에 있어서,
    제2하부받침대(10b)에 형성된 이동공(81)과, 상기 이동공(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제1,2스프링(s1,s2)가 설치된 이동부(80)와, 상기 이동부(80)의 좌측에 우측이 연결설치된 상기 제1스프링(s1)의 좌측은 상기 이동공(81)의 좌측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80)의 우측에 좌측이 연결설치된 상기 제2스프링(s1)의 우측은 상기 이동공(81)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80)에 상기 연결부재(40)의 하부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조종연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05370A 2018-09-04 2018-09-04 드론조종연습장치 KR10195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70A KR101956877B1 (ko) 2018-09-04 2018-09-04 드론조종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70A KR101956877B1 (ko) 2018-09-04 2018-09-04 드론조종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877B1 true KR101956877B1 (ko) 2019-03-11

Family

ID=6575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370A KR101956877B1 (ko) 2018-09-04 2018-09-04 드론조종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8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49U (ko) * 2007-08-21 2009-02-25 최영대 무선조정모형헬리콥터의 비행연습장치
KR20180048065A (ko) * 2016-11-02 2018-05-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49U (ko) * 2007-08-21 2009-02-25 최영대 무선조정모형헬리콥터의 비행연습장치
KR20180048065A (ko) * 2016-11-02 2018-05-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2954B2 (ja) シミュレータ乗り物
KR101882227B1 (ko) 낙하 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170331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US20190318646A1 (en) Freefall training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using same
CN104436664B (zh) 一种跳楼机及跳楼机观影系统
KR101551827B1 (ko) 모의 낙하훈련 장치
KR101808106B1 (ko) 다차원 시뮬레이터
KR101956877B1 (ko) 드론조종연습장치
CN106880947A (zh) Vr体验装置及方法
KR20190020439A (ko) 드론 조정용 교구
TWI717709B (zh) 劇場和劇場的控制方法
CN206473787U (zh) Vr体验装置
KR20200005504A (ko) 드론 조종연습시스템
KR102012328B1 (ko) 고공 점프 훈련 장치 및 방법
CN106275481B (zh) 一种室内飞行安全保障系统及其运行方法
CN112245885B (zh) 一种适用于地形模拟的全向运动设备及其地形模拟方法
WO2023237867A1 (en) A skydiving simulator system
KR20230109572A (ko) 드론과 드론모선을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 및 방법
JPS61284268A (ja) ハンググライダ−練習装置
KR20230131161A (ko) 실기동 및 합동훈련을 위한 헬리콥터 시뮬레이터
JPH11178968A (ja) スキー練習装置
WO2017217724A1 (ko) 가상 현실 기반 활강 체험 시스템
KR20240081578A (ko) 드론 테스트 장치
KR20180117080A (ko) 자유낙하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JPH0712196U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ヘリコプター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