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648B1 - Module type drone - Google Patents

Module type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648B1
KR101956648B1 KR1020180008904A KR20180008904A KR101956648B1 KR 101956648 B1 KR101956648 B1 KR 101956648B1 KR 1020180008904 A KR1020180008904 A KR 1020180008904A KR 20180008904 A KR20180008904 A KR 20180008904A KR 101956648 B1 KR101956648 B1 KR 10195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unit
docking
shape
modul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윤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케팅위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케팅위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케팅위너
Priority to KR102018000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C2201/024
    • B64C2201/108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type dro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one, wherein a body unit and a rotor unit are formed in an independent module shape, such that coupling and decoupling are selectively and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type drone comprises: the body unit having a recep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docking unit protruding in a radi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otor unit including a rotor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docking unit to be rotated; and a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body unit to operate the rotor unit and execute a preset program. Accordingly, provided are effects of independently modularizing the body unit and the rotor unit, and effectively coupling and decoupling a modularized drone.

Description

모듈타입드론{Module type drone}Module type drone

본 발명은 모듈타입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부, 로터부가 독립적인 모듈형태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어 드론 이외에도 자동차, 로봇, 배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모듈형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type dr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e type drones in which a body part and a rotor part are formed in independent module forms, Lt; RTI ID = 0.0 > modular < / RTI >

'드론(Drone)'이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하며, 주로 표적용, 정찰용, 감시용 등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민간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Drone' means an airplane or a helicopter-shaped airplane fly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by people without burning, and was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ticket application, reconnaissance, surveillance, etc. Recently, Are also used for various purposes.

예를 들어, 화산 분화구 촬영처럼 사람이 직접 가서 촬영하기 어려운 장소를 촬영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의 무인(無人) 택배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드론을 원격 조정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헬리 캠이 방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등 드론의 활용분야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shoot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go and shoot, such as shooting a volcanic crater, or as an unmanned courier service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In recent years,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drones has been widely used, in which heli-cam for shooting images while mounting the camera on the dron and remote-controlling the dron is widely used for broadcasting.

그러나, 드론을 안전하게 조작하는 것은 쉽지 않고 드론을 착륙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드론이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나, 드론의 구조나 조립 방법 또는 조종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어 드론에 관련한 각종 정보나 조종 방법을 숙지하지 못해 사고를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not easy to safely operate the drones, and the drones often break down due to the shocks caused when the drones are landed. However, there is no opportunity to receive training on the drones' structure, assembly methods,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ident can not be avoided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s related to the vehicle.

또한, 종래의 드론은 몸체부와 비행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복수의 비행체 중 어느 하나만 파손되더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고, 착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몸체부에 그대로 전달되어 충격에 약한 부품이 파손될 수 있다.Also, in the conventional drones, even if one of the plurality of flight bodies is broken due to the body part and the flying body being integrally formed, the normal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and the impact generated during the landing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body part, .

따라서 일부 고장 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어, 드론의 고장 시,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형태의 모듈 조립형 드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dule assembly type dron th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in the event of a failure, so that the efficiency of use can be improved when the dron fails.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조립이 용이한 드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6285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로터의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드론 전체적으로 조립용이성을 높여 드론의 고장 시, 대응효율을 높인 것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in the related art, a 'dragon that is easy to assemb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816285,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rotor is not made up of one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not be solv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6285호 (2018.01.02)Korean Patent No. 10-1816285 (2018.01.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디부와 로터부를 독립적으로 모듈화 시킬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e capable of modularizing the body part and the rotor part independently.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 된 드론의 효과적인 결합 및 해제가 실시될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 that can be effectively combined and released with modular dron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킹부가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도킹부에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하는 로터가 형성되는 로터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부의 구동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provided with a docking portion radially protruding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ody so that the rotor unit can be driven and a preset program can be executed.

본 발명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은, 바디부와 로터부를 독립적으로 모듈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dule typ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dependently modulating the body part and the rotor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은, 모듈화 된 드론의 효과적인 결합 및 해제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that the modularized drones can be effectively combined and rel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일부 로터부가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끼움결합수용부 및 끼움결합돌기부의 결합 형태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로터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로터부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단자결합수용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의 단자결합수용부를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1 is an overall plan view of a module typ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part of the rotor of the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fitting type receiving portion and a fitting coupling portion of a module typ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or portion of a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rotor part of a module typ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coupling receptacle of a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coupling receptacle of a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모듈타입드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킹부(11)가 마련되는 바디부(1), 상기 도킹부(11)에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하는 로터가 형성되는 로터부(2), 상기 바디부(1)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부(2)의 구동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module type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provided with a docking part 11 radially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rotor 2 connected to the docking unit 11 so as to be rotated and formed with a rotatable rotor therein and a rotor 2 provided inside the body 1 for driving the rotor 2 and performing a preset program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먼저, 상기 바디부(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킹부(11)가 마련된다.First, the body part (1) is provided with a docking part (11) having a receiving space inside and protruding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바디부(1)는, 드론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하기의 제어부(미도시) 및 전자제어장비 및 배선이 내장될 수 있는 형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part 1 may be a body of a drone,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such that the following control part (not shown) and electronic control equipment and wiring can be embedded therein.

또한, 상기 바디부(1)는, 무게를 최소화하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the weight and maintaining the strength.

또한, 상기 바디부(1)의 상부에는, 발광부(12)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 emitting portion 1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1.

상기 발광부(12)는, LED가 삽입되어 상기 드론의 작동 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unit 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apable of emitting light when the LED is inserted and the drones are operated.

이때, 상기 발광부(12)는, 하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하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패턴으로 발광이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12 may be controlled by the following control unit (not show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12 can emit light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the following control unit (not shown).

또한, 상기 바디부(1)의 하부 또는 측면에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촬영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hotographing unit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r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

또한, 상기 바디부(1)의 하부에는 지지부(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portion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under the body portion 1.

상기 지지부(미도시)는, 상기 드론이 지면에 착지 시, 상기 바디부(1)의 하부가 지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로 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portion (not show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rones land on the g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지지부(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 하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바 형태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bars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 toward the ground.

또한, 상기 지지부(미도시)의 단부에는 바퀴가 마련되어 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할 수있고, 지면에서의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heel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unit (not shown) to stably support the ground, and the ground can be easily moved.

또한, 상기 바디부(1)는, 사방이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art (1)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in all dir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는,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동일한 형태의 도킹부(11)가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body part (1) is provided with a docking part (11) of the same shape radi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도킹부(11)는, 하기의 로터부(2)를 상기 바디부(1)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하기의 로터부(2)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ocking unit 11 is provided so that the following rotor unit 2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body unit 1 so as to easily couple the rotor unit 2 to the body unit 1. [

이때, 상기 도킹부(11)는, 외주면을 향해 오목면이 형성되는 ‘V’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cking portion 11 is provided in a 'V' shape in which a concave surface is formed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이때, 상기 도킹부(11)는 상기 바디부(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 마련되되, 4, 6, 8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ocking part 11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adial shap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ocking part 11 is provided in any one of 4, 6, and 8.

도 1 내지 도 3에는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도킹부(11)가 6개 마련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FIGS. 1 to 3 show an embodiment in which six docking units 11 are provided.

상기 도킹부(11)가 복수개 마련되는 이유는, 상기 드론을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docking units 11 are provided is to stably raise and lower the drones.

구체적으로, 상기 도킹부(11)가 4개 미만으로 형성되면, 하기의 로터부(2)가 4개 미만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상기 드론의 상승 및 하강이 어려워질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number of the docking portions 11 is less than four, since the number of the rotor portions 2 is less than four,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drones may be more difficult.

또한, 상기 도킹부(11)가 8개를 초과할 시, 하기의 로터부(2)가 8개를 초과하여 연결되므로, 불가피하게 무게가 상승하게 되고, 이미 충분한 부력은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he docking portions 11 exceeds 8, since the following rotor portions 2 are connected in excess of 8, the weight is inevitably increased, and sufficient buoyancy can be secured, A disadvantage of falling may occur.

또한, 상기 도킹부(11)는, 짝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docking unit 11 is preferably formed in an even number.

이는, 로터의 회전에 의한 반작용으로 드론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drones from rotating due to the reacti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구체적으로, 상기 도킹부(11)가 짝수로 형성됨으로 인해, 하기의 로터부(2) 역시 짝수로 형성될 수 있고, 하기의 로터부(2)는, 짝수로 형성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응되게 회전되는 로터가 마련되어 반작용에 의한 드론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since the docking unit 11 is formed in an even number, the following rotor unit 2 can also be formed in an even number, and the following rotor unit 2 is formed in an even number, A rotor rotatable in a forward direction is provided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dron by the rea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로터부(2)에서의 회전방향이 서로 대응될 수 있게 회전되어야 상기 드론이 로터부(2)의 회전에 의한 반작용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when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rotor section 2 described below is rotat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dron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eaction of the rotation of the rotor section 2 .

또한, 상기 도킹부(11)는, 하기의 로터부(2)와의 효율적인 결합을 위해, 끼움결합수용부(111) 및 단자결합수용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ocking unit 11 includes a fitting engagement portion 111 and a terminal engagement portion 112 for efficient coupling with the rotor portion 2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끼움결합수용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형태로 마련되는 양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 형태로 마련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fit-engagement receiving portion 111 is provided in a groove shape which is recessed inward on both sides provided in the 'V' shape.

상기 끼움결합수용부(111)는, 하기의 끼움결합돌기부(24)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고, 하기의 로터부(2)가 상방 및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 및 단차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tting engagement receiving portion 111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ollowing fitting fitting projection 24 can be received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24 to prevent the following rotor portion 2 from being separate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a stepped shape.

다음으로, 상기 단자결합수용부(112)는, 도3, 도 6, 도7,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형태의 내측단부에 복수개의 돌기형태로 전력의 이동이 가능하고, 자력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3, 6, 7, and 8, the terminal coupling receptacle 112 is capable of moving electric powe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at the inner end of the 'V' shape , So that a magnetic force can be formed.

상기 단자결합수용부(112)는, 하기의 단자결합돌기부(25)를 효과적으로 수용하여 하기의 로터부(2)의 이탈을 방지하고, 로터부(2)의 구동이 실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The terminal fitting accommodating portion 112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accommodate the following terminal fitting protrusion 25 to prevent the following detachment of the rotor portion 2 and to enable the driving of the rotor portion 2 to be.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결합수용부(1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연결부(1121) 및 자력형성부(1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7,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112 includes a power connection portion 1121 and a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The power coupling portion 1121 and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are formed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전력연결부(1121)는, 상기 단자결합수용부(112)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First, a plurality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s 1121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112.

이때, 상기 전력연결부(1121)는, 소켓커넥터 형태로 마련되어, 핀커넥터 형태로 마련되는 하기의 끼움결합돌기부(24)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며,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게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power connection part 112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ocket connector and can be coupled with a fitting fitting protrusion 24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connector, and is capable of power and data transmission.

이를 통해, 하기의 모터부(2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하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명령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motor section 21 described below, and to transmit and receive command signals by the following control section (not shown).

다음으로, 상기 자력형성부(1122)는, 상기 전력연결부(1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자성체로 마련된다.Next,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connecting portion 1121, and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자력형성부(1122)는, 자력이 형성되고, 하기의 단자결합돌기부(25)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하기의 단자결합돌기부(25)가 결합 시, 자력으로 단자결합돌기부(2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More specifically,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is form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which a magnetic force is formed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lowing terminal engaging protrusion 25, so that the following terminal engaging protrusion 25 So that the terminal engaging protrusion 2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by a magnetic force.

이때, 상기 자력형성부(1122)는, 결합해제버튼부(114)의 작동에 의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어진 형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is configured such that, as shown in Fig. 8 (b), in the protruding form, as shown in Fig. 8 (a) , And optionally in a form that can be slidably inserted inward.

이는, 하기의 로터부(2)를 선택적으로 해제 시, 상기 자력형성부(1122)의 자력에 의해 이탈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으로, 상기 결합해제버튼부(114)의 버튼 눌림을 통해 상기 자력형성부(1122)가 내측으로 삽입슬라이딩 되어 하기의 단자결합돌기부(25)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may not be easily released when the rotor portion 2 is selectively released,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can be inserted and slid inward to be easily released from the terminal coupling protrusion 25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도킹부(11)는, 결합돌기부(113)가 더 마련된다.Further, the docking unit 11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113.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돌기부(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형태의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rotrusion 113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end of the 'V' shape as shown in FIG.

상기 결합돌기부(113)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도킹부(11)에 하기의 로터부(2)가 결합 시, 로터부(2)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113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rotor unit 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ar when the rotor unit 2 is engaged with the docking unit 11.

다음으로, 상기 로터부(2)는, 상기 도킹부(11)에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하는 로터가 형성된다.Next, the rotor portion 2 is rotatably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docking portion 11.

상기 로터부(2)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부(1)의 도킹부(11)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or part 2 may be formed as a single modul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cking part 11 of the body part 1.

상기 로터부(2)는, 상기 바디부(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위치되므로 비행 시, 조작 실수 등에 의해, 외벽이나 나무 등에 부딪힐 수 있으므로, 소정의 탄력이 형성되는 재료로 외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rotor portion 2 is locat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 the rotor portion 2 can be hit against an outer wall or a tree due to an operation error during flight, .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부(2)는, 모터부(21), 로터날부(22), 로터덮개부(23), 끼움결합돌기부(24), 단자결합돌기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rotor portion 2 includes a motor portion 21, a rotor blade portion 22, a rotor lid portion 23, a fitting fitting projection portion 24, and a terminal fitting projection portion 25.

먼저, 상기 모터부(21)는, 지면에 수직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모터가 마련된다.First, the motor unit 21 is provided with a motor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상기 모터부(21)는, 상기 로터부(2)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부(21)가 상기 도킹부(11)에 결합 시, 전력이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motor unit 21 is formed inside the rotor unit 2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21 when the motor unit 21 is coupled to the docking unit 11.

다음으로, 상기 로터날부(22)는, 상기 모터부(2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rotor blade portion 22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portion 21 and is rotatable by the same rotating shaft.

상기 로터날부(22)는, 양력을 발생시키는 로터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부(21)와 동일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회전한다.The rotor blade portion 22 is constituted by a rotor for generating lift, and the same rotation axis as that of the motor portion 21 is formed and rotated.

상기 로터날부(22)의 날개는 선택적으로 2~6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lades of the rotor blade portion 22 may be optionally formed of 2 to 6 blades.

다음으로, 상기 로터덮개부(23)는,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날부(22)가 외부로부터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방 및 하방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rotor lid portion 23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prevent the rotor blade portion 22 from being contacted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can flow upward and downward.

상기 로터덮개부(23)는, 상기 로터날부(22)가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로터날부(22)에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otor lid portion 23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ace in which the rotor blade portion 22 is formed to prevent external contact with the rotor blade portion 22. [

상기 로터덮개부(23)는, 상기 로터날부(22)가 외부로부터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방 및 하방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rotor lid portion 23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prevents the rotor blade portion 22 from being contacted from the outside but allows air to flow upward and downward.

다음으로, 상기 끼움결합돌기부(24)는, 상기 끼움결합수용부(111)와의 접촉면을 형성하되, 상기 끼움결합수용부(111)에 결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The fitting engagement protrusion 24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tting engagement receiving portion 111 and is engageable with the fitting engagement receiving portion 111.

상기 끼움결합돌기부(24)는, 상기 끼움결합수용부(111)와 결합 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itting fitting protrusion 24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engage with the fitting fitting receiving portion 111.

다음으로, 상기 단자결합돌기부(25)는, 상기 단자결합수용부(112)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전력선이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terminal fitt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to be engageable with the terminal fitting receptacle 112, so that a power line can be connected thereto.

상기 단자결합돌기부(2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연결부(1121)의 외경과 동일한 형태의 내경이 형성되어 상기 전력연결부(1121)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7 and 8, an inner diameter of the terminal coupling protrusion 25 is the same as that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1121, and the terminal coupling protrusion 25 is inserted into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1121.

또한, 상기 단자결합돌기부(25)는, 상기 자력형성부(112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상기 자력형성부(1122)에 밀착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The terminal fitting protrusion 25 is formed to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and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22.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부(2)의 구동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1 and is capable of driving the rotor unit 2 and performing a preset program.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모터부(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21. [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모터부(2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되, 위치가 대응되는 상기 로터부(2)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설정하여 구동시킨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unit 21, and drives the rotor unit 2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또한, 상기 발광부(12)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light emitting unit 12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발광부(12)를 기설정된 패턴으로 발광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12 to emit light in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상기 바디부(1)에 디스플레이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dy unit 1 to output or display a preset program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듈타입드론은, 상기 바디부의 구조적 변경에 의해, 드론 이외에도 자동차, 로봇, 배 등의 형태로 트렌스폼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odular type dron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ransforming in the form of an automobile, a robot, a ship, etc., in addition to the drone, by structural change of the body portion.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바디부
11 : 도킹부
111 : 끼움결합수용부
112 : 단자결합수용부
1121 : 전력연결부
1122 : 자력형성부
113 : 결합돌기부
114 : 결합해제버튼부
12 : 발광부
2 : 로터부
21 : 모터부
22 : 로터날부
23 : 로터덮개부
24 : 끼움결합돌기부
25 : 단자결합돌기부
1: Body part
11:
111:
112: terminal coupling portion
1121: Power connection
1122: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113: engaging projection
114:
12:
2:
21:
22: rotor blade
23: rotor cover
24:
25: terminal coupling protrusion

Claims (5)

삭제delete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태의 도킹부;가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도킹부에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하는 로터가 형성되는 로터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터부의 구동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및 로터부는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도킹부는,
외주면을 향해 오목면이 형성되는 ‘V’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V’형태로 마련되는 양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 형태의 끼움결합수용부; 및
상기 ‘V’형태의 내측단부에는 복수개의 돌기형태로 전력 및 자력이 형성되는 단자결합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타입드론.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provided with a docking portion radially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rotor part connected to the docking part to form a rotating rotor;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configured to drive the rotor unit and perform a predetermined program,
The body portion and the rotor portion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docking unit includes:
V 'shape in which a concave surface is formed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groove-shaped fitting engagemen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provided in the 'V' shape and recessed inward; And
And a terminal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V'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herein for electric power and magnetic for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결합수용부는,
소켓커넥터 형태로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전력연결부;
상기 전력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자성체로 마련되는 자력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타입드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A power connector adapted to allow power and data transmission in the form of a socket connector;
And a magnetic force form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and provided as a magnetic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V’형태의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타입드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ocking unit includes: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end of the 'V' shape.
삭제delete
KR1020180008904A 2018-01-24 2018-01-24 Module type drone KR101956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04A KR101956648B1 (en) 2018-01-24 2018-01-24 Module type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04A KR101956648B1 (en) 2018-01-24 2018-01-24 Module type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648B1 true KR101956648B1 (en) 2019-03-12

Family

ID=658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04A KR101956648B1 (en) 2018-01-24 2018-01-24 Module type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4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4193A1 (en) * 2015-02-19 2016-08-25 Amazon Technologies, Inc. Collective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s
CN205675237U (en) * 2016-05-18 2016-11-09 深圳市创客工场科技有限公司 Multi-rotor aerocraft
WO2017204592A1 (en)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유비파이 Unmanned aerial vehicle
CN107472532A (en) * 2017-08-01 2017-12-15 河南省酷农航空植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calable comprehensive protection device of unmanned plane
KR101816285B1 (en) 2016-10-19 2018-01-08 주식회사 주니랩 Easy assembling dr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4193A1 (en) * 2015-02-19 2016-08-25 Amazon Technologies, Inc. Collective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s
CN205675237U (en) * 2016-05-18 2016-11-09 深圳市创客工场科技有限公司 Multi-rotor aerocraft
WO2017204592A1 (en)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유비파이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16285B1 (en) 2016-10-19 2018-01-08 주식회사 주니랩 Easy assembling drone
CN107472532A (en) * 2017-08-01 2017-12-15 河南省酷农航空植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calable comprehensive protection device of unmanned pl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1700A1 (en) Reconfigurable battery-operated vehicle system
US10155588B2 (en) Reconfigurable battery-operated vehicle system
US9914538B2 (en) Rotor shrouding apparatus, supporting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ame
US1009341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AU2018266343B2 (en) Modular aircraft wit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capability
US9844990B2 (en) Multiple environment unmanned vehicle
US20170113800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ve frame configuration
KR102243228B1 (en) Release and capture of a fixed­wing aircraft
US8205820B2 (en) Transforming unmanned aerial-to-ground vehicle
US1106615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205469856U (en) Power supply module , Unmanned vehicles and remote control mobile device
AU2016256294B2 (en) Intelligent docking system with automated stowage for uavs
WO2018026754A1 (en) Multi-craft uav carrier system and airframe
CN107223108B (en) Power supply module, unmanned vehicle and remote-controlled movement device
WO2014067224A1 (en) Quadcopter
CN106005361A (en) Aviation power unit, flight rack of aviation power unit and modularized aircraft of aviation power unit
US11260312B1 (en) Wall riding vehicle
US20150314207A1 (en) Remote controlled and rechargeable toy helicopter
KR101956648B1 (en) Module type drone
KR101816285B1 (en) Easy assembling drone
US11530041B2 (en) Multi-bay drone for removing and replacing a device in a device receptacle in a single visit
CN212637921U (en) Six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00327601A1 (en) Soldier Portable Generator
KR20190002758U (e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911384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