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500B1 -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500B1
KR101955500B1 KR1020170005933A KR20170005933A KR101955500B1 KR 101955500 B1 KR101955500 B1 KR 101955500B1 KR 1020170005933 A KR1020170005933 A KR 1020170005933A KR 20170005933 A KR20170005933 A KR 20170005933A KR 101955500 B1 KR101955500 B1 KR 10195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urrent
points
current magnitu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536A (ko
Inventor
한규호
전해군
임한균
한성렬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8Aspects of digital compu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ating Fault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선로의 복수의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고장지점을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선로 고장 판단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INE FAULT}
실시 예는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배전선로에 설치된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이하,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에서 감지하는 고장전류를 근거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을 검출한다.
하지만, 복수의 배전자동화 단말 장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전주가 존재하며, 어느 전주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고장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그리고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원이 변전소측 전원뿐인 경우에는 변전소에서 고장지점측 방향으로 고장전류가 공급되면서 배전선로의 일부 영역이 마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배전계통에 분산전원이 연계되는 경우에, 배전계통에서 공급원은 변전소 이외에 분산전원도 존재한다. 이 때, 고장전류가 변전소에서 고장지점측 방향 및 분산전원에서 고장지점측 방향 모두로 공급되어 배전선로의 전체 영역이 마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발생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 외에 고장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배전기기의 불필요한 동작 및 오동작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실시예는 전력 설비를 보호하고, 정전 등의 전기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가능한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는 선로의 복수의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고장지점을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로 판단하는 판단부;및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지점이 없는 경우, 상기 고장지점을 상기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전류 방향이 변하는 인접한 두 지점 사이로 판단하고, 상기 선로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선로의 타측에 부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급원은 상기 선로를 통해 상기 부하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기준지점과 상기 제2 기준지점은 인접한 지점일 수 있다.
상기 고장지점을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방법은 선로의 복수의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고장지점을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지점이 없는 경우, 상기 고장지점을 상기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전류 방향이 변하는 인접한 두 지점 사이로 판단하며, 상기 선로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선로의 타측에 부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급원은 상기 선로를 통해 상기 부하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지점을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는 전력 설비를 보호하고, 정전 등의 전기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를 포함한 배전 계통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를 포함한 배전 계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전계통은 공급받은 전원을 분재하는 시스템으로, 제1 공급원(A-1),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 복수 개의 지점(20), 센서(S-1, S-2, S-3, S-4, S-5, S-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2)와 제3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3) 사이에 복수 개의 지점 및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제1 공급원(A-1)은 선로를 통해 수요자에게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공급원(A-1)은 변전소, 분산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에너지 제공 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는 복수 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는 선로의 고장 발생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 사이에는 복수 개의 전주가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선로 상에 복수 개의 지점(2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점(20)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접한 지점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지점(20)은 전주와 전주 사이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점(20)에 각각 센서(S-1, S-2, S-3, S-4, S-5, S-6)가 연결될 수 있다. 센서(S-1, S-2, S-3, S-4, S-5, S-6)는 각 지점(20)에서의 전류/전압의 크기, 전류/전압의 위상, 기울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S-1, S-2, S-3, S-4, S-5, S-6)는 감지한 정보를 인접한 선로 고장 판단 장치(100-1, 100-2, 100-3)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인접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센서(S-1, S-2, S-3, S-4, S-5, S-6)가 감지한 정보를 통해 어느 지점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센서(S-1, S-2, S-3, S-4, S-5, S-6)는 각 지점(20)마다 배치될 수 있다. 센서(S-1, S-2, S-3, S-4, S-5, S-6)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 및 선로 고장 판단 장치(100-1, 100-2, 100-3) 중 어느 하나에 감지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로 고장 판단 장치(100-1, 100-2, 100-3)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 10-2, 10-3) 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로 고장 판단 장치(100)는 제1 수신부(110), 제2 수신부(120), 판단부(130),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수신부(110)는 복수 개의 지점(2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S-1, S-2, S-3, S-4, S-5, S-6)로부터 복수 개의 지점(20)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부(120)는 복수 개의 센서(S-1, S-2, S-3, S-4, S-5, S-6)로부터 복수 개의 지점(20)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센서(S-1, S-2, S-3, S-4, S-5, S-6)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류 크기 정보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일 수 있으나, 이러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부(130)는 제1 수신부(110)를 통해 각 지점(20)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를 고장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전류의 크기값은 정상상태 전류 값의 일정 비율 이상 값일 수 있다. 다만, 기 설정된 전류의 크기값은 선로의 종류, 위치, 주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와 제2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2) 사이에 복수 개의 지점(20)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점(20-3)과 제4 지점(20-4) 사이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전류는 제1 공급원(A-1)에서 고장지점을 향해(X1 방향) 흐를 수 있다. 여기서, 고장지점은 고장이 발생한 위치로 정의한다.
또한, 제1 지점(20-1), 제2 지점(20-2) 및 제3 지점(20-3)에 고장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배치된 센서(S-1, S-2, S-3)는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높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P1)은 제1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에서 고장지점 사이에 배치된 각 지점(20-1, 20-2, 20-3)을 포함할 수 있다.
선로의 일측에 제1 공급원(A-1)이 배치되고, 선로의 타측에는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부(L)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2)와 고장지점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점(20-4, 20-5, 20-6)에서는 고장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영역(P2)에 배치된 센서(S-1, S-2, S-3, S-4, S-5, S-6)는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낮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P2)은 제2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2)에서 고장지점 사이에 배치된 각 지점(20-4, 20-5, 20-6)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1 영역(P1) 중 하나의 지점(20-1, 20-2, 20-3)을 제1 기준지점으로, 제2 영역(P2)의 하나의 지점(20-4, 20-5, 20-6)을 제2 기준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30)는 제1 기준지점과 제2 기준지점 사이를 고장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준지점과 제2 기준지점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단부(130)는 제3 지점(20-3)과 제4지점(20-4) 사이를 고장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판단부(130)는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지점이 없는 경우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전류 방향이 변하는 인접한 두 지점 사이를 고장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이 제1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1)와 제2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2) 사이에 복수 개의 지점(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점(20)에는 각각 센서(S-1, S-2, S-3, S-4, S-5, S-6)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마찬가지로 제3 지점(20-3)과 제4 지점(20-4) 사이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과 달리, 선로의 일측에 제1 공급원(A-1)이 배치되고, 선로의 타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2 공급원(A-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급원(A-2) 분산 전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을 공급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급원(A-1)에서 고장지점측 방향으로(X1 방향) 고장전류가 흐를 수 있다. 즉, 제3 영역(P3)에서 X1 방향으로 고장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3 영역(P3)은 제1 지점(20-1), 제2 지점(20-2), 제3 지점(2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급원(A-2)에서 고장지점측 방향으로(X2 방향) 고장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4 영역(P4)에서도 고장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다만, 제4 영역(P4)에서 고장전류는 X1 방향과 반대인 X2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여기서, 제4 영역(P4)은 고장지점과 제2 배전자동화 단말장치(10-2) 사이인 제4 지점(20-4), 제5 지점(20-5), 제6 지점(2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양방향 전원공급에 의해 고장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모두 전기적 단선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장치(100)를 이용하면 정확한 고장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력 설비를 보호하고, 정전 등의 전기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고장지점에 대해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인접한 배전자동화 단말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4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고장지점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유선 랜(Local Area Network; LAN),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무선 랜(Wireless LAN),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LTE(Long Term Evolution),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DMA; WCDMA),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UWB), 유비쿼터스 센서(S-1, S-2, S-3, S-4, S-5, S-6)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고장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로 고장 판단 장치는 센서로부터 전류의 크기 정보/전류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제1 수신부는 전류의 크기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수신부는 전류의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부는 전류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점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고장지점을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는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지점이 없는 경우, 고장지점을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전류 방향이 변하는 인접한 두 지점 사이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고장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S220)
다음으로, 고장지점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 등 관리자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S230).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1, A-2: 제1 공급원, 제2 공급원
S-1, S-2, S-3, S-4, S-5, S-6: 센서
10: 배전자동화 단말기
20: 지점
100: 선로 고장 판단 장치

Claims (7)

  1. 선로의 복수의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고장지점을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로 판단하는 판단부;및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지점이 없는 경우, 상기 고장지점을 상기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전류 방향이 변하는 인접한 두 지점 사이로 판단하고,
    상기 선로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선로의 타측에 부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급원은 상기 선로를 통해 상기 부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로 고장 판단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지점과 상기 제2 기준지점은 인접한 지점인 선로 고장 판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지점을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선로 고장 판단 장치.
  5. 선로의 복수의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전류 크기 정보를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과 비교하여, 고장지점을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큰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1 기준지점과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제2 기준지점 사이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전류 크기값보다 작은 전류 크기 정보를 갖는 지점이 없는 경우, 상기 고장지점을 상기 각각의 전류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전류 방향이 변하는 인접한 두 지점 사이로 판단하며,
    상기 선로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선로의 타측에 부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급원은 상기 선로를 통해 상기 부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로 고장 판단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장지점을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로 고장 판단 방법.
KR1020170005933A 2017-01-13 2017-01-13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33A KR101955500B1 (ko) 2017-01-13 2017-01-13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33A KR101955500B1 (ko) 2017-01-13 2017-01-13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36A KR20180083536A (ko) 2018-07-23
KR101955500B1 true KR101955500B1 (ko) 2019-03-07

Family

ID=6310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33A KR101955500B1 (ko) 2017-01-13 2017-01-13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936B1 (ko) * 2018-09-11 2020-04-24 주식회사 포스코 계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67A (ko) * 2007-03-07 2008-09-11 (주)에디테크 배전선로의 순시용 고장 점 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36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6670B2 (en)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EP29911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ault location using distributed communication
JP2020053176A (ja) 電池監視システム
US20170325182A1 (en) Resonance type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ing device, and power supply position control system
EP2587718B1 (en) Switching of conductor pair in power over ethernet system
EP2627013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load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ame
KR20160088087A (ko) 무선 전력 송신 코일 이상 판단 장치
US201302149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error of acquired data
US1053624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ling communication error of superimposed signal
KR101955500B1 (ko) 선로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N111679925B (zh) 数据库故障处理方法、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US10604228B2 (en) Cargo handling system
KR20150051403A (ko) Amr 시스템
EP3346384B1 (en) Industrial device fault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15580322B (zh) 用于检测故障的方法及装置、近场通信装置、存储介质
EP35311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vity detection in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network
JP6555816B2 (ja) 試験システム
JP5120374B2 (ja) 監視装置
JP3391128B2 (ja) 故障点標定装置に用いる通信制御装置
CN113131608A (zh) 用于管理配电系统的方法、设备和配电系统
JP5041873B2 (ja) 装柱物の異常検知システム
KR101071941B1 (ko) 보호 계전기의 위상각 차 보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산상 위상각 차 보상 방법
EP3989385A1 (en) Battery pack power supply blocking apparatus
US20220286534A1 (en) Merging unit verification using unique identifiers
KR101326731B1 (ko)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장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