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428B1 -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428B1
KR101955428B1 KR1020180110329A KR20180110329A KR101955428B1 KR 101955428 B1 KR101955428 B1 KR 101955428B1 KR 1020180110329 A KR1020180110329 A KR 1020180110329A KR 20180110329 A KR20180110329 A KR 20180110329A KR 101955428 B1 KR101955428 B1 KR 10195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oove
fixing
upper support
bol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주) 은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은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 은성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10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가로등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완충용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하단이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되며, 상단에 등기구가 구비된 상부 지지부;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완충용 가로등주{Street light pole for absorbing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완충용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력에 의해 가로등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완충용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도로 혹은 인도를 밝히는 가로등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 그리고 항만시설 등에 설치되며 이와 같은 가로등은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지면에 고정되는 가로등 지주와 광원이 구비된 가로등암과 상기 가로등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2217호(2004.12.28 등록)는 가로등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지주몸체 및 연장지주가 고정수단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가로등주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지주몸체를 형성하는 중공인 하부지주의 직경이 상단에 연계되도록 형성된 상부지주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형성하되,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연에 만곡형태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수직요부를 하부지주가 만나는 곳까지 일체로 형성하고, 중공인 연장지주의 내주연 하부에 다수개의 수직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요부에 수직철부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5652호(2015.08.12 등록)는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램프 및 상기 램프가 설치된 암이 구비되며 그 내부가 중공된 폴; 및 상기 폴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폴이 휘어질 때 폴의 진동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진동저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저감장치는, 상기 폴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폴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진자 운동하는 하부 질량체; 및 상기 하부 질량체와 대응하여 진자운동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질량체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폴의 상단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의 관통 홀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대; 및 상기 상부 연결대와 대향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관통 홀을 중심점으로 상부 연결대의 길이가 하부 연결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를 설계하는 방법으로, a. 진동에 따라 휨변형이 일어나는 부분부터 최상단까지의 가로등주 중량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구해진 중량을 근거로 하부 질량체의 중량을 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구해진 하부 질량체의 중량을 근거로 상부 질량체의 중량을 구하는 단계; 및 d. 상부 질량체와 하부 질량체가 각각 설치되는 상부 연결대와 하부 연결대의 길이를 구하는 연결부 길이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로등주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구성없이 설치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가로등의 전구에서 빈번한 접촉 불량이 발생되어 보수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은 폴의 상단에 진동저감장치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폴이 휘어질 때 상부 질량체와 하부 질량체의 진자운동에 의해 진동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그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여전히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가로등주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221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4565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가로등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완충용 가로등주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하단이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되며, 상단에 등기구가 구비된 상부 지지부;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는 진동완충용 가로등주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축부재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이나 태풍 등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가로등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용 가로등주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용 가로등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완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완충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고정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용 가로등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용 가로등주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완충용 가로등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동완충용 가로등주(10)는, 하부 지지부(100), 고정홈부(200), 상부 지지부(300), 고정부(400), 완충부(50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100)는, 하단이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에 고정홈부(200)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지지부(100)는, 하단면이 지면에 접촉되고, 앵커볼트가 하단면을 관통하여 지면에 체결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지지부(10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홈부(200)는, 하부 지지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내부로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을 삽입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부(200)는, 내경이 상부 지지부(300) 하단의 외경 및 형상과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을 삽입시킬 수 있다.
상부 지지부(300)는, 하단이 고정홈부(200)에 삽입 고정되며, 상단에 등기구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지지부(300)는, 중공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등기구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 및 등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지지부(300)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400)는, 고정홈부(200)와 상부 지지부(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고정홈부(200)와 상부 지지부(30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400)는, 고정홈부(200)와 상부 지지부(300) 사이를 완전히 밀착시켜 고정하므로, 고정홈부(200)와 상부 지지부(300)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400)는, 돌출부재(410), 관통홀(420), 볼트(430), 너트(440), 와셔(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마감캡(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재(410)는, 상부 지지부(300)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홈부(200)의 상단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410)는, 고정홈부(200)의 깊이와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 지지부(3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410)는, 도면에서 상부 지지부(300)의 하부 외주면에 단면이 링 형태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링 외에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410)는, 고정홈부(200)와의 사이를 볼트(430)와 너트(440)로 체결한 후 용접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재(410)는, 하부 지지부(100) 및 상부 지지부(300)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420)은, 돌출부재(4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며, 볼트(430)를 관통시킨다.
볼트(430)는, 관통홀(420)에 대응하여 고정홈부(200)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관통홀(420)을 관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볼트(430)는, 길이가 돌출부재(410)의 두께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관통홀(420)을 관통하여 상부가 노출될 수 있다.
너트(440)는, 볼트(430)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볼트(430)와 체결되어, 상부 지지부(300)를 고정홈부(200)에 고정시킨다.
와셔는, 볼트(430) 및 너트(440)와 돌출부재(410) 사이에 형성되어, 볼트(430)와 너트(440)가 나사 체결되었을 경우에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너트(440)가 느슨해져 볼트(43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마감캡은, 볼트(430)의 상부와 너트(440)를 덮어씌워 볼트(430)와 너트(4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캡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평상시에 볼트(430)의 상부와 너트(440)를 덮고 있다가, 유지 보수시에 볼트(430)와 너트(44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캡은, 볼트(430)의 상부와 너트(440) 사이에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완충부(500)는, 고정홈부(200)의 내벽에 형성되어, 지진이나 태풍 등의 외력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500)는,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500)는, 상부 지지부(3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부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진동완충용 가로등주(10)는, 고정홈부(200)의 내벽에 완충부(50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이나 태풍 등 외력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등기구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상부 지지부(300) 또는 하부 지지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완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부(500)는, 탄성부재(510), 마찰부재(52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10)는, 일측이 고정홈부(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510)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마찰부재(5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 스프링이란, 길이가 각각 다른 몇 개의 철판을 겹쳐서 만든 스프링으로, 비교적 큰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이 좌우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력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마찰부재(520)는, 탄성부재(5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부재(51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부 지지부(300)와 마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마찰부재(520)는, 쇠구슬 또는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300)와의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상부 지지부(3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완충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부(500)는, 탄성부재(510), 마찰부재(52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10)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고정홈부(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마찰부재(5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마찰부재(520)는, 도면에서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탄성부재(510)에 고정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상부 지지부(300)와 마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엠보싱 처리된 우레탄이 다수개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찰부재(520)는, 다수개의 쇠구슬로 이루어져, 코일 스프링에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고정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홈부(200)는, 신축부재(210)를 포함한다.
신축부재(210)는,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고정홈부(200)에 형성되어, 고정홈부(200)로 삽입되는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을 감싸준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210)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을 삽입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210)는, 고무, 실리콘 등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축부재(210)는, 다수개를 적층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홈부(200)의 깊이보다 고정홈부(200)에 삽입되는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신축부재(210)를 다수개로 적층 형성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부 지지부(300)의 하단을 고정홈부(200)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돌출부재(410), 관통홀(420), 볼트(430), 너트(440), 완충스프링(4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재(410), 관통홀(420), 볼트(430), 너트(4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완충스프링(450)은, 볼트(430)를 삽입하여 형성되며, 지진이나 태풍 등의 외력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보조적으로 완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스프링(450)은, 볼트(430)를 삽입하여 고정홈부(200)와 돌출부재(410) 사이에 위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스프링(450)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430)를 삽입하여 볼트(43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켜 볼트(430)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스프링(450)은, 다수개의 볼트(4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100 : 하부 지지부
200 : 고정홈부
210 : 신축부재
300 : 상부 지지부
400 : 고정부
410 : 돌출부재
420 : 관통홀
430 : 볼트
440 : 너트
450 : 완충스프링
500 : 완충부
510 : 탄성부재
520 : 마찰부재

Claims (5)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홈부;
    하단이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되며, 상단에 등기구가 구비된 상부 지지부;
    상기 고정홈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개로 적층 형성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재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위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의 상단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관통 부분을 삽입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 및
    상기 볼트를 삽입하여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보조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홈부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10329A 2018-09-14 2018-09-14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KR101955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29A KR101955428B1 (ko) 2018-09-14 2018-09-14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29A KR101955428B1 (ko) 2018-09-14 2018-09-14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428B1 true KR101955428B1 (ko) 2019-03-11

Family

ID=6575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329A KR101955428B1 (ko) 2018-09-14 2018-09-14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10B1 (ko) 2019-11-05 2020-09-22 이동원 지진파를 흡수하는 가로등
KR102547241B1 (ko) * 2022-02-15 2023-06-23 주식회사 우주엘이디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가로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217Y1 (ko) 2004-09-23 2005-01-10 조성진 가로등주
KR101545652B1 (ko) 2014-12-19 2015-08-20 (주)솔라에코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
KR101884924B1 (ko) * 2018-06-15 2018-08-29 주식회사 천운건설 내진기능이 있는 송전, 배전, 변전용 전신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217Y1 (ko) 2004-09-23 2005-01-10 조성진 가로등주
KR101545652B1 (ko) 2014-12-19 2015-08-20 (주)솔라에코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
KR101884924B1 (ko) * 2018-06-15 2018-08-29 주식회사 천운건설 내진기능이 있는 송전, 배전, 변전용 전신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10B1 (ko) 2019-11-05 2020-09-22 이동원 지진파를 흡수하는 가로등
KR102547241B1 (ko) * 2022-02-15 2023-06-23 주식회사 우주엘이디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6788B (zh) 灯具减振装置
KR101955428B1 (ko) 진동완충용 가로등주
CN106024304A (zh) 一种隔震降噪变压器底座
KR101066589B1 (ko)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가로 조명용 지주
CN101761882A (zh) 一种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灯具
CN103307554A (zh) 减振装置及包括该减振装置的灯具
KR101316696B1 (ko)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CN208718090U (zh) 一种钢结构的拱顶横梁支座
KR20090129848A (ko) 부유궤도의 방진장치
KR101255179B1 (ko) 외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가로등주
CN207814295U (zh) 一种高铁用高效弹簧阻尼减震器
CN102537870B (zh) 一种光源固定结构及便携式灯具
TWM583864U (zh) 內置式纜索減震裝置
CN209943797U (zh) 一种穿孔曝气管用固定机构
CN209743479U (zh) 一种可伸缩性减震装置
KR101773778B1 (ko) 옥외 지주용 진동방지장치
CN213930689U (zh) 一种用于高柔路灯结构风致振动的减振装置及路灯
CN216067451U (zh) 用于机器人的不锈钢桥板部件
CN215059177U (zh) 一种土木工程用的减震结构
CN218970313U (zh) 一种建筑隔震橡胶支座
CN103047617B (zh) 减振装置及使用该减振装置的灯具
CN220079705U (zh) 一种带液压阻尼的减隔震支座
CN210529995U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减震装置
CN212928652U (zh) 一种配电机房设备用减震底座
CN214219231U (zh) 钢轨耗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