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110B1 -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 Google Patents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110B1
KR101955110B1 KR1020170108404A KR20170108404A KR101955110B1 KR 101955110 B1 KR101955110 B1 KR 101955110B1 KR 1020170108404 A KR1020170108404 A KR 1020170108404A KR 20170108404 A KR20170108404 A KR 20170108404A KR 101955110 B1 KR101955110 B1 KR 10195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rk
pedal
pul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이청호
Original Assignee
이종훈
이청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이청호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17010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5Recumbent-type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는 주프레임(100), 뒷프레임부(115), 포크부(125)로 구성된 프레임부(145)와 조향부(515), 당김핸들부(505), 탄성줄 풀리부(314), 당김줄동력 전달부(315), 페달동력 전달부(325), 페달 크랭크부(335), 주체인링부(215), 의자부(415), 주체인(930), 와이어 로프(932), 탄성줄(933), 연결체인(931), 뒷바퀴(900), 앞바퀴(901), 브레이크셋(920)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주프레임(100)의 전반부 포크상부 삽입구(101)에 포크부(125)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프레임(100)의 후반부는 뒷프레임(110)이 축에 의해 결합되며, 조향부(515)는 주프레임(100)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에 축으로 결합되고 포크부(125) 상부 및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어 결합되며,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 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 크랭크부(335)는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축의 양쪽 끝에 결합되며, 주체인링부(2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아래 부분에 축으로 결합되며, 탄성줄 풀리부(314)는 주프레임(100) 후반부 아래에 축으로 결합되며,
의자부(415)는 주프레임(100)의 I형 프레임 양쪽에 의자부(415)의 도로래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체인(930)은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뒷바퀴의 스프라켓과 결합되며, 와이어 로프(932)는 한쪽 끝부분이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고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당김줄 풀리(310)에 수회 감긴 후 탄성줄(933)의 끝부분과 연결되며, 연결체인(931)은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체인링과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연결되며, 탄성줄(933)은 와이어 로프(932)의 끝에 연결되고 탄성줄 풀리부(314)의 풀리를 거처서 주프레임(100)에 연결되며,
뒷바퀴(900) 및 앞바퀴(901)는 각각 뒷프레임(110) 및 포크부(125)의 바퀴축에 결합되며, 브레이크셋(920)은 바퀴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는 당김핸들부(505)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Two-wheeled bikes that moves by the movement of the arms and legs}
본 발명은 한 대의 자전거로 자전거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손과 팔로 핸들을 잡아당기고, 다리를 접었다 펴면서 의자를 앞뒤로 움직이는 행위인 노젓기 방법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을 체인을 통하여 바퀴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움직이게 하는 방법과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발과 다리로 페달을 회전시키는 행위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을 체인을 통하여 바퀴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움직이게 하는 방법으로 자전거를 타는 2륜 자전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3륜 자전거는 2륜 자전거에 비하여 무게가 무거우며 방향전환에 있어 조향성이 떨어진다.
선행기술인 특허출원번호 10-2017-0044527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는 3륜 자전거 구조의 자전거이며,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같이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동력을 발생하여 움직이는 자전거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움직이는 자전거이나, 바퀴의 구성이 선행기술인 자전거에 비하여 2륜 구조이며, 조향장치 구조, 동력전달장치 구조, 페달의 구조 및 핸들의 기능이 개선된 2륜구조의 자전거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출원번호 10-2017-0044527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특허출원번호 10-2017-0044527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인 3륜 자전거에 비하여 조향성 및 경량의 구조에 유리한 2륜 구조의 자전거를 발명하며, 선행기술의 동력전달장치인 "당김체인링부(41)", "페달체인링부(42)", "당김핸들부(60)", "페달부(80)", 구조를 단순화하고 기능을 개선한다.
주프레임(100)의 전반부에 포크부(125)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프레임(100)의 후반부는 뒷프레임(110)이 축에 의해 결합되며, 조향부(515)는 주프레임(100)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에 축으로 결합되고 포크부(125) 상부 및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어 결합되며,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 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 크랭크부(335)는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축의 양쪽 끝에 결합되며, 주체인링부(2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아래 부분에 축으로 결합되며, 탄성줄 풀리부(314)는 주프레임(100) 후반부 아래에 축으로 결합되며,
의자부(415)는 주프레임(100)의 I형 프레임 양쪽에 의자부(415)의 도로래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체인(930)은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뒷바퀴의 스프라켓과 결합되며, 와이어 로프(932)는 한쪽 끝부분이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고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당김줄 풀리(310)에 수회 감긴 후 탄성줄(933)의 끝부분과 연결되며, 연결체인(931)은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체인링과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연결되며, 탄성줄(933)은 와이어 로프(932)의 끝에 연결되고 탄성줄 풀리부(314)의 풀리를 거처서 주프레임(100)에 연결되며,
뒷바퀴(900) 및 앞바퀴(901)는 각각 뒷프레임(110) 및 포크부(125)의 바퀴축에 결합되며, 브레이크셋(920)은 바퀴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는 당김핸들부(505)에 장착되어 결합하여 움직이는 2륜 자전거에 대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같이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동력을 발생하여 움직이는 자전거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움직이는 자전거로서 바퀴의 구성이 선행기술인 자전거에 비하여 2륜 구조이고 조향장치 구조, 동력전달장치 구조, 페달의 구조 및 핸들의 기능이 개선되고, 3륜 자전거는 바퀴가 3개 인데 비하여 바퀴가 2개로서 자전거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제 1도는 자전거의 전체 사시도
제 2도는 각 부품 위치의 정면도, 평면도
제 3도는 포크부(125)의 분해도 및 조립단면도
제 4도는 뒷프레임부(115)의 분해도
제 5도는 조향부(515)의 분해도
제 6도는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조립도 및 분해도
제 7도는 페달동력 전달부(325)부의 조립도 및 분해도
제 8도는 페달 크랭크부(335)의 조립도 및 분해도
제 9도는 당김핸들부(505)의 분해도
제 10도는 주프레임(10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11도는 주프레임(100) 전반부의 정면상세도, 측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
제 12도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의 정면상세도, 측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
제 13도는 주프레임(100) 당김줄동력부 클러치(323) 결합부의 정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
제 14도는 주프레임(100)의 페달동력부 클러치(323) 결합부의 정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
제 15도는 주프레임(100) 후반부의 정면상세도, 측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
제 16도는 뒷프레임(11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17도는 포크상부(12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18도는 포크하부(12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19도는 포크 부싱(122)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20도는 포크 록너트(123)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21도는 스프링(6)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22도는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23도는 주체인링 홀더(200)의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제 24도는 보조체인링 홀더(210)의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제 25도는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정면도, 단면도, 사시도
제 26도는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정면도, 단면도, 사시도
제 27도는 클러치 핸들(30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28도는 당김줄 풀리(310)의 정면도, 단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29도는 페달체인링 홀더(320)의 정면도, 단면도, 사시도
제 30도는 페달 크랭크 축(32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31도는 클러치(323)의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부분상세도
제 32도는 좌축 크랭크(33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33도는 우측 크랭크(331)의 정면도, 단면도, 평면도, 부분사시도
제 34도는 크랭크 고정볼트(33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35도는 핸들상부대(50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단면도
제 36도는 핸들중간대(50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단면도
제 37도는 핸들하부대(50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제 38도는 핸들연결대(503)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39도는 핸들고정너트(504)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40도는 보조핸들(509)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41도는 스프링샤프트(51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42도는 핸들지지대(51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제 43도는 핸들지지링(513)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고자 하며, 선행기술인 특허출원번호 10-2017-0044527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와 동일한 내용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선행기술을 언급하는 것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제 1도는 자전거의 전체 사시도로서 자전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 주며,
제 2도는 각 부품 위치의 정면도, 평면도로서 각 부품의 전반적인 결합상태를 나타내 준다.
본 발명인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는 주프레임(100), 뒷프레임부(115), 포크부(125)로 구성된 프레임부(145)와 조향부(515), 당김핸들부(505), 탄성줄 풀리부(314), 당김줄동력 전달부(315), 페달동력 전달부(325), 페달 크랭크부(335), 주체인링부(215), 의자부(415), 주체인(930), 와이어 로프(932), 탄성줄(933), 연결체인(931), 뒷바퀴(900), 앞바퀴(901), 브레이크셋(920)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주프레임(100)의 전반부 포크상부 삽입구(101)에 포크부(125)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프레임(100)의 후반부는 뒷프레임(110)이 축에 의해 결합되며, 조향부(515)는 주프레임(100)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에 축으로 결합되고 포크부(125) 상부 및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어 결합되며,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 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 크랭크부(335)는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축의 양쪽 끝에 결합되며, 주체인링부(2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아래 부분에 축으로 결합되며, 탄성줄 풀리부(314)는 주프레임(100) 후반부 아래에 축으로 결합되며,
의자부(415)는 주프레임(100)의 I형 프레임 양쪽에 의자부(415)의 도로래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체인(930)은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뒷바퀴의 스프라켓과 결합되며, 와이어 로프(932)는 한쪽 끝부분이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고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당김줄 풀리(310)에 수회 감긴 후 탄성줄(933)의 끝부분과 연결되며, 연결체인(931)은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체인링과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연결되며, 탄성줄(933)은 와이어 로프(932)의 끝에 연결되고 탄성줄 풀리부(314)의 풀리를 거처서 주프레임(100)에 연결되며,
뒷바퀴(900) 및 앞바퀴(901)는 각각 뒷프레임(110) 및 포크부(125)의 바퀴축에 결합되며, 브레이크셋(920)은 바퀴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는 당김핸들부(505)에 장착되어 결합된다.
제 3도는 포크부(125)의 분해도 및 조립단면도이며
제 4도는 뒷프레임부(115)의 분해도이다.
프레임부(145)는 주프레임(100), 뒷프레임부(115), 포크부(125)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포크부(125)는 보조핸들(509), 포크상부(120), 포크하부(121), 포크 부싱(122), 포크 록너트(123),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 스프링(6), 쇠구슬(8), 볼트(2)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뒷프레임부(115)는 뒷프레임(110), 완충기부(140), 베어링(1), 볼트(2), 너트(3), 스프링(6), 간격링(111), 로 구성되며,
완충기부(140)는 완충기 상부(130), 완충기 하부(131), 스프링(6), 완충기 너트(132), 완충기 록너트(138), 완충기 록너트(139)로 구성된다.

주프레임(100)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포크상부 삽입구(101)의 아래에는 다수의 쇠구슬(8)이 삽입된 상태에서 포크상부(120)의 포크상부 축(126)이 끼워진 후 포크상부 삽입구(101)의 위에는 다시 다수의 쇠구슬(8)이 삽입되며, 포크상부 축(126) 끝 부분은 보조핸들(509)의 포크상부축 삽입구(511)에 삽입되어 보조핸들(509)이 결합되고 포크상부(120)와 보조핸들(509)은 볼트(2)로 고정된다. 쇠구슬(8)은 포크부(125)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 기능을 하며 보조핸들(509)은 포크상부(120)가 주프레임(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자전거헤드라이트, 자전거 벨과 같이 자전거의 부속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뒷프레임부(115)부와 주프레임(100)의 결합은 선행기술의 "뒷프레임(102)" 결합과 동일하며 완충기부(140)와 주프레임(100) 및 뒷프레임부(115)의 결합은 선행기술의 "완충기(8)"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포크상부(120)의 양쪽 원통에는 스프링(6)이 삽입되며, 포크하부(121)의 윗부분에는 포크 부싱(122)이 삽입되고, 포크 부싱(122)은 포크상부(120)에 나사산에 의해 조여저 결합되며, 포크 록너트(123)와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 순으로 나사산으로 조여져 결합된 상태에서 포크상부(120)의 원통에 삽입되며,
포크 부싱(122)은 포크하부(121)가 포크상부(120)의 원통 안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며, 포크하부(121)가 포크상부(120)의 아래로 내려올 때 포크 록너트(123)는 포크 부싱(122)에 걸려서 포크하부(121)가 포크상부(120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며,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를 좌우로 돌려서 스프링(6)의 장력을 조절하여 바퀴에 의해서 포크하부(121)에 전달되는 충격에 대하여 완충력 정도를 조절한다.

기존 자전거의 포크는 포크하부 원통에 포크상부 원통이 삽입되고 내부에 완충기가 구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포크상부 원통 표면에 빗물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어 포크하부 원통으로 이물질이 쉽게 침투되는 구조여서 이물질에 의해 완충기 기능이 저하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의 포크부(125)는 포크상부(120) 원통에 포크하부(121)가 삽입되고 내부에 완충기가 있는 구조이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없는 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10도는 주프레임 (10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며,
제 11도는 주프레임 (100) 전반부의 정면상세도, 측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이며,
제 12도는 주프레임 (100)의 기어박스(104)의 정면상세도, 측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이며,
제 13도는 주프레임 (100) 당김줄동력부 클러치 (323) 결합부의 정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이며,
제 14도는 주프레임 (100)의 페달동력부 클러치 (323) 결합부의 정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이며,
제 15도는 주프레임 (100) 후반부의 정면상세도, 측면상세도, 평면상세도, 사시상세도이다.
주프레임(100)은 전반적인 주요 형태는 의자고정홀(103)이 뚫어진 I형 구조물이며,
전반부에는 포크상부(120)가 삽입되는 포크상부 삽입구(101)가 사선방향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포크상부 삽입구(101)의 바로 뒤에는 당김핸들부(505)를 거치할 수 있도록 삼각형태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가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의 뒤에는 아래위가 뚫어진 사각형의 구조물인 기어박스(104)가 있으며, 기어박스(104) 측면에는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축,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축 및 클러치 핸들의 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축삽입구(10)와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 구멍이 있으며, 사각형 우측면에는 우측 크랭크의 크랭크 고정쇄(334)가 삽입될수 있도록 크랭크고정홈(12)이 일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기어박스(104)의 아래에는 파이프 2개가 V자 형태로 접합되고 만나는 지점에는 축삽입구(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반부에는 삼각형태의 뒷프레임 지지대(105)가 아래로 돌출되고 맨끝부분은 Y자 형태로 벌어져 있으며. 뒷프레임 지지대(105)에는 뒷프레임(110) 및 풀리를 결합하기 위한 축삽입구(10)가 뚫려져 있고 Y자 형태 부분에는 완충기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축삽입구(10)가 뚫어져 있다.
제 16도는 뒷프레임 (11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로서
뒷프레임(110)은 Y형의 구조로서 전면부에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있으며, 전면부 아래에는 뒷프레임(110)을 주프레임(100)에 고정하여 자전거를 접을때 고정하기 위한 축이 삽입되며, 중간부분에는 완충기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축삽입구(10)가 있으며, 뒷프레임(110)과 주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축과 뒷바퀴(900) 축의 높이가 다르므로 뒷바퀴(900)축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아래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제 17도는 포크상부(12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포크상부(120)는 나란히 있는 2개의 원통이 있고 2개의 원통 중앙부분을 반원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되고, 반원형태의 중앙부분에 원통이 접합되고 원통의 상부에는 작은 원기둥이 접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2개의 원통내부 하단에는 포크 부싱(122)이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 18도는 포크하부(12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로서
포크하부(121)는 나란히 있는 두개의 원통이 반원형의 평판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원통 아래는 앞바퀴(901) 축을 끼울수 있는 U자 형 홈이 있으며, 원통 위에는 포크상부(120)의 원통에 삽입되며, 윗부분에 나사산이 있어 포크 록너트(123)기 나사결합하는 상부 원통이 있으며, 상부 원통 위에 나사산이 가공된 봉이있어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가 나사결합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9도는 포크 부싱(122)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포크 부싱(122)은 원통 표면에 나사산이 있는 구조이고, 한쪽 끝은 육각으로 스페너와 같은 공구로 포크 부싱(122)을 돌리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제 20도는 포크 록너트(123)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포크 록너트(123)는 원통내부가 나사산이 있고 원통 양쪽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스페너와 같은 공구로 포크 록너트(123)를 돌리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제 21도는 스프링(6)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스프링 구조이다.
제 22도는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는 원통내부가 나사산이 있고 원통 양쪽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스페너와 같은 공구로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를 돌리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제 40도는 보조핸들(509)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보조핸들(509)은 T형의 파이프 구조로서 T형 아래 부분에는 포크상부(12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에 양쪽으로 너트 구멍이 형성된 원통이 있으며 원통의 아래 부분에는 베어링과 같이 쇠구슬이 접촉할 수 있는 면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 5도는 조향부(515)의 분해도이다.
조향부(515)는 핸들지지대(512), 베어링(1), 리테이니닝 링(4), 핸들지지링(513), 스프링샤프트(510) 및 볼트(2)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핸들지지대(512)는 핸들연결대(503)에 끼워지고 주프레임(100)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에 볼트(2)로 결합되어 결합된 볼트(2)를 축으로 당김핸들부(505)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며, 핸들지지대(512) 내부에는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되어 핸들연결대(503)에 결합된 당김핸들부(505)가 베어링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이어서 핸들지지링(513)이 핸들연결대(503)에 삽입어 결합하며, 핸들연결대(503) 끝과 스프링샤프트(510)의 한쪽 끝이 볼트(2)로 결속되며, 스프링샤프트(510)의 다른 한쪽 끝은 포크상부(120)의 윗 부분에 볼트(2)로 결합된다.
조향부(515)는 포크부(125)의 회전축과 당김핸들부(505)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축과 상하로 움직여서 변화하는 당김핸들부(505)의 축선을 스프링샤프트(510)에 의해 연결하여 당김핸들부(505)를 회전시키면 포크부(125)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자전거를 방향 전환하도록 하여 준다.
제 41도는 스프링샤프트(51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스프링샤프트(510)는 스프링 안에 나선의 방향이 서로 또 다른 스프링을 삽입하고 스프링 양쪽 끝에 원통이 접합된 구조이고 양쪽의 원통 표면에는 너트구멍이 있는 구조이다.
제 42도는 핸들지지대(51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핸들지지링(513)은 선행기술의 "핸들봉 지지대(300)"와 동일하다
제 43도는 핸들지지링(513)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
핸들지지링(513)은 선행기술의 " 핸들봉 지지대링(301)"과 동일하다.
제 6도는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조립도 및 분해도이다.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당김줄 풀리(310), 당김줄동력부 평기어(300), 클러치 핸들(302), 당김줄 풀리 축(311), 베어링(1), 리테이니닝 링(4), 스프링(6), 쇠구슬(8), 핀(9),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당김줄 풀리 축(311) 양쪽에 베어링(1), 리테이니닝 링(4)이 결합하여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의 앞쪽에 있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에 삽입되어 당김줄 풀리 축(311)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중심의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에는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줄 풀리 축(311)이 삽입되며, 이어서 당김줄 풀리(310)가 당김줄 풀리 축(311)에 삽입되고 스프링(6)이 삽입되며, 클러치 핸들(302)은 축삽입구(10)에 핀(9)이 삽입되고, 핀(9)은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의 앞쪽에 있는 축삽입구(10)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클러치 핸들(302)의 쇠구슬스톱퍼 홀(304)에는 쇠구슬(8), 스프링(6), 쇠구슬(8)의 순으로 삽입된다.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당김핸들부(505)에 의해 와이어 로프(932)를 당길때 당김줄 풀리(310)를 정회전시키며, 이때 당김줄 풀리(31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과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이 맞물려서 당김줄동력부 기어(300)를 회전 시키며. 역회전 시키면 각각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경사면에 의해 맞물리지 않아 당김줄동력부 기어(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클러치 핸들(302)을 조작하여 칼날부(303)를 당김줄 풀리(310)의 클러치핸들 걸림판(313)에 끼우고 삽입시키면 점점 굵어지는 칼날부(303)에 의해 당김줄 풀리(310)가 옆으로 밀려서 당김줄 풀리(310) 및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사이가 벌어져서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당김줄 풀리(310)의 회전력은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에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 기능을 한다.
클러치 핸들(302)의 쇠구슬스톱퍼 홀(304)에 삽입된 스프링(6)은 쇠구슬(8)을 밀고, 쇠구슬(8)은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 측면의 쇠구슬 걸림홈(106)에 걸려 클러치 핸들(302)의 일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와 페달동력부 기어(301)는 서로 맞물려 기어의 회전력을 서로가 전달한다.
제 25도는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정면도, 단면도, 사시도이다.
당김줄동력부 기어(300)는 일반기어의 구조이고 기어 중심부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뚫어져 있으며 중심부의 한 측면에는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는 구조이며, 당김줄 풀리(31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 직각면과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 직각면은 서로 맞다는 면으로 서로 반대방향이다.
제 27도는 클러치 핸들(30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클러치 핸들(302)은 반원형의 링의 구조에 링의 한쪽 부분은 두께가 점점 굵어 지는 칼날부(303)가 있으며, 다른 한쪽 부분은 축삽입구(10)와 쇠구슬스톱퍼 홀(304)이 있으며, 위쪽에는 원형봉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 28도는 당김줄 풀리(310)의 정면도, 단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당김줄 풀리(310)는 와이어 로프(932)를 여러 번 감을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 걸림홀(312)이 있는 풀리의 구조이며, 중심부는 축삽입구(10)가 뚫어저 있고, 측면 중심의 한쪽은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으며, 다른 측면 중심에는 클러치핸들 걸림판(313)인 원판의 턱이 있는 구조이다.
제 7도는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조립도 및 분해도이다.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페달 크랭크 축(321), 체인링(912), 페달체인링 홀더(320), 페달동력부 기어(301), 클러치(323), 클러치 핸들(302), 베어링(1), 볼트(2), 너트(3), 리테이니닝 링(4), 스프링(6), 쇠구슬(8), 핀(9)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페달 크랭크 축(321)의 양쪽 끝부분에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되어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측면 뒷부분에 있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삽입되어 페달 크랭크 축(321)의 기어박스(104)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며, 페달동력부 기어(301) 및 페달체인링 홀더(320)의 중심에는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된 상태에서 페달동력부 기어(301), 페달체인링 홀더(320), 체인링(912)은 볼트(2)와 너트(3)로 고정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페달 크랭크 축(321)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클러치(323)는 페달 크랭크 축(321)에 삽입되고 클러치(323)의 너트구멍과 페달 크랭크 축(321)의 슬롯형의 축삽입구(10)에 볼트가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어느정도 좌우로 움직이고 페달 크랭크 축(321)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클러치(323)의 좌측에는 스프링(6)이 페달 크랭크 축(321)에 끼워져 결합되며, 클러치 핸들(302)은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클러치 핸들(302)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된다.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페달 크랭크 축(321)이 회전하면 클러치(323)가 같이 회전하며,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와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이 맞물려서 페달동력부 기어(301)가 회전하며, 동시에 페달체인링 홀더(320) 및 체인링(912)이 회전하며, 클러치(323)를 역회전 시키면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와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경사면에 의해 맞물리지 않아 페달동력부 기어(301)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클러치 핸들(302)을 조작하여 칼날부(303)를 클러치(323)의 걸림판에 끼우고 삽입시키면 점점 굵어지는 칼날부(303)에 의해 클러치(323)가 옆으로 밀려서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와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사이가 벌어져서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클러치(323)의 회전력은 페달동력부 기어(301)에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 기능을 한다.
클러치 핸들(302)의 쇠구슬스톱퍼 홀(304)에 삽입된 스프링(6)은 쇠구슬(8)을 밀고, 쇠구슬(8)은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 측면의 쇠구슬 걸림홈(106)에 걸려 클러치 핸들(302)의 일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체인링(912)은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912)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 26도는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정면도, 단면도, 사시도이다.
페달동력부 기어(301)는 일반기어의 구조이고 기어 중심부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뚫어져 있으며 중심부의 한 측면에는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는 구조이며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과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은 서로 맞다는 면으로 서로 반대방향이다.
제 29도는 페달체인링 홀더(320)의 정면도, 단면도, 사시도이다.
페달체인링 홀더(320)는 한측면에 4개의 돌출부가 있으며 돌출부에는 너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는 구멍이 뚫려있으며 구멍 안쪽으로 베어링 삽입구와 리테이닝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 30도는 페달 크랭크 축(32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페달 크랭크 축(321)는 원형봉 축으로서 한쪽 끝 부분은 키삽입홈(13)이 있으며 중앙부는 리테이니닝 링(4)이 결합되는 홈과 슬롯형의 구멍이 뚫려 있는 축삽입구(10)가 있으며,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원통에 홈의 깊이가 다르게 파여진 크랭크축 걸림홈(322)이 있으며 축의 양끝 단면에는 너트구멍이 있다.
제 31도는 클러치(323)의 정면도, 측면도, 사시도, 부분상세도이다.
클러치(323)는 원형봉에 한 측면은 원형판이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한측면은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으며 중심부는 축삽입구(10)가 있으며 원형봉 표면에는 너트 구멍이 있다.
제 8도는 페달 크랭크부(335)의 조립도 및 분해도이다.
페달 크랭크부(335)는 좌측 크랭크(330), 우측 크랭크(331), 크랭크 고정볼트(332), 볼트(2), 와셔(5), 페달(940)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좌측 크랭크(330) 및 우측 크랭크(331)에는 나사 결합으로 페달(940)이 결합되며, 좌측 크랭크(330)는 페달 크랭크 축(321)에 삽입되어 키(7), 볼트(2) 및 와셔(5)에 의해 고정되며, 우측 크랭크(331)는 페달 크랭크 축(321)의 크랭크축 걸림홈(322)에 삽입되고 크랭크 고정볼트(332)에 의해 결합된다.
우측 크랭크(331)의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333)를 페달 크랭크 축(321)의 크랭크축 걸림홈(322)이 낮게 파여진 홈과 일치시키면 좌측 크랭크(330)와 우측 크랭크(331)는 180도 방향으로 축에 고정되며,
우측 크랭크(331)의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333)를 페달 크랭크 축(321)의 크랭크축 걸림홈(322)이 깊게 파여진 홈과 일치시키고 우측 크랭크(331)의 크랭크 고정쇄(334)를 주프레임(100)의 크랭크 고정홈(12)에 삽입시키면 <도 8>의 좌측 아래 도면과 같이 우측 크랭크(331),페달 크랭크 축(321), 좌측 크랭크(330)가 자전거의 전면 방향으로 주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좌측 크랭크(330)와 우측 크랭크(331)가 180도 방향으로 축에 고정된 상태는 페달(940)을 밟아 페달 크랭크 축(321)을 회전시켜 자전거를 나아가게 할 수 있으며,
의자부(415)를 앞뒤로 움직이고 당김핸들부(505)를 당겨서 와이어 로프(932) 를 당기는 노젓기 행위에 의해서 자전거를 나아가게 할 때에는 좌측 크랭크(330)와 우측 크랭크(331)가 같은 방향으로 주프레임(100)에 고정된 시키고 페달(940)에 두발을 올려놓고 당김핸들부(505)를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32도는 좌측 크랭크(33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좌측 크랭크(330)는 막대형 구조에 한쪽 끝 부분은 페달을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원통형의 축 삽입구가 있으며 원통의 내부에는 축과 크랭크가 고정될수 있도록 키 삽입홈이 있다.
제 33도는 우측 크랭크(331)의 정면도, 단면도, 평면도, 부분사시도이다.
우측 크랭크(331)는 막대형 구조에 한쪽 끝 부분은 페달을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원통의 축 삽입구가 있으며 원통 내부에는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333)가 있으며 원통의 한쪽 측면 표면에는 우측 크랭크(331)가 주프레임(100)의 크랭크 고정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될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 34도는 크랭크 고정볼트(33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크랭크 고정볼트(332)는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 머리에 장방형의 막대를 접합시킨 볼트이다.
제 9도는 당김핸들부(505)의 분해도이다.
당김핸들부(505)는 핸들상부대(500), 핸들중간대(501), 핸들하부대(502), 핸들연결대(503), 핸들고정너트(504), 핀(9), 리테이니닝 링(4)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핸들상부대(500) 한쪽 끝은 핸들중간대(501) 한쪽 끝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핸들중간대(501)의 다른 한쪽 끝은 핸들하부대(502)의 한쪽 끝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핸들하부대(502)의 다른 한쪽 끝은 핸들연결대(503)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핸들연결대(503)는 조향부(515)의 스프링샤프트(5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핸들상부대(500) 및 핸들중간대(501)의 나사산 부분에는 각각 핸들고정너트(504)가 나사 체결로 결합되며
핸들중간대(501)와 핸들중간대(501)의 한쪽 끝에는 핀(9)이 삽입되어 핸들상부대(500) 및 핸들중간대(501))의 측면에 파여진 슬롯형의 핀이동 유도홀에 따라 움직여서 당김핸들부(505)를 당기고 밀 때, 일정 길이 이내에서 당김핸들부(505)의 길이가 줄어들고 늘어나도록 제한하며, 당김핸들부(505) 축에 대하여 회전 시킬때 당김핸들부(505) 전체가 회전하도록 하여 주며,
핸들상부대(500) 및 핸들중간대(501)에 결합된 핸들고정너트(504)를 돌리면 핸들고정너트(504)의 테퍼(Taper) 부분에 의해서 나사산 조각부분을 조이면서 당김핸들부(505)가 일정한 길이로 고정되고 반대방향으로 핸들고정너트(504)를 돌리면 나사산 조각부분의 간격이 넓어져서 당김핸들부(505)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핸들봉 1단(500)과 핸들봉 2단(501)의 한쪽 끝의 구멍에는 볼트(2)와 스프링(6)이 삽입되며, 각각의 볼트(2)를 조여 핸들봉 2단(501)과 핸들봉 3단(502)의 뚫어진 다수의 구멍중 어느 하나에 일치하도록 볼트(2)를 삽입하면 당김핸들부(60)의 길이를 일정하게 고정하도록 하며, 핸들봉 1단(500)의 손잡이 중앙부분에는 당김 체인(601)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서,
당김핸들부(60)는 당김 체인(601) 한쪽 끝을 고정하는 기능과 일정 길이 이내에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정 길이로 고정할 수 있으며, 당김핸들부(60)를 축에 대하여 회전시켜 앞바퀴의 진행방항을 조작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 35도는 핸들상부대(50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 단면도이다.
핸들상부대(500)는 T형의 원형파이프이며, 아래 파이프 측면 부분은 슬롯형태의 핀이동 유도홀이 뚫어져 있고 끝 부분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눠진 나사산이 있는 구조이다.
제 36도는 핸들중간대(50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단면도이다.
핸들중간대(501)는 원형파이프로서 파이프 측면 부분은 슬롯형태의 핀이동 유도홀이 뚫어져 있고 끝 부분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눠진 나사산이 있고 나사산의 반대쪽 끝부분에는 핀(9)이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제 37도는 핸들하부대(502)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핸들하부대(502)는 원형파이프로서 양쪽 끝부분에는 핀(9)이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제 38도는 핸들연결대(503)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핸들 연결대(503)는 지름이 다른 원형봉이 접합된 구조이며 양쪽 끝 부분에는 핀(9) 삽입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제 39도는 핸들고정너트(504)의 정면도, 평면도, 사시도이다.
핸들고정너트(504)는 원통으로 원통 내부의 한쪽 부분은 지름이 작아지는 테퍼(Taper)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통내부의 반대쪽 부분은 나사산이 있는 구조이다.
와이어 로프(932)는 늘어나지 않은 로프로서 로프의 한쪽 끝은 핸들상부대(500)에 연결되고 당김줄 풀리(310)의 와이어로프 걸림홀(312)에 수회 감겨지고 로프의 다른 한쪽 끝은 탄성줄(933)에 연결된다.
의자부(415)는 선행기술의 "의자부(70)"와 동일하다.
주체인링부(215)은 선행기술의 "주체인링부(43)"와 동일하다.
탄성줄 풀리부(314)는 선행기술의 "탄성줄풀리부(45)"와 동일하다.
주체인(930)은 선행기술의 "주체인(600)"과 동일하다.
탄성줄(933)은 선행기술의 "탄성줄(602)"와 동일하다.
연결체인(931)은 선행기술의 "보조체인(603)"과 동일하다.
1 : 베어링
2 : 볼트
3 : 너트
4 : 리테이닝 링
5 : 와셔
6 : 스프링
7 : 키
8 : 쇠구슬
9 : 핀
10 : 축삽입구
11 : 축 및 베어링 삽입구
12 : 크랭크 고정홈
13 : 키삽입홈
100 : 주프레임
101 : 포크상부 삽입구
102 : 당김핸들부 지지대
103 : 의자고정홀
104 : 기어박스
105 : 뒷프레임 지지대
106 : 쇠구슬 걸림홈
110 : 뒷프레임
111 : 간격링
115 : 뒷프레임부
120 : 포크상부
121 : 포크하부
122 : 포크 부싱
123 : 포크 록너트
124 : 포크스프링 장력조절너트
125 : 포크부
126 : 포크상부 축
130 : 완충기 상부
131 : 완충기 하부
132 : 완충기 너트
138 : 완충기 부싱
139 : 완충기 록너트
140 : 완충기부
145 : 프레임부
200 : 주체인링 홀더
201 : 주체인링 샤프트
210 : 보조체인링 홀더
215 : 주체인링부
300 : 당김줄동력부 기어
301 : 페달동력부 기어
302 : 클러치 핸들
303 : 칼날부
304 : 쇠구슬스토퍼 홀
310 : 당김줄 풀리
311 : 당김줄 풀리축
312 : 와이어로프 걸림홈
313 : 클러치 핸들 걸림판
314 : 탄성줄 풀리부
315 : 당김줄동력 전달부
320 : 페달체인링 홀더
321 : 페달 크랭크축
322 : 크랭크축 걸림홈
323 : 클러치
325 : 페달동력 전달부
326 : 직각삼각형 돌출부
330 : 좌측 크랭크
331 : 우측 크랭크
332 : 크랭크 고정볼트
333 :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
334 : 크랭크 고정쇄
335 : 페달 크랭크부
340 : 고무줄 풀리
341 : 고무줄 풀리 축
400 : 의자
401 : 의자지지대
402 : 의자고정봉
405 : 베어링 홀더
410 : 의자 등받침
412 : 등받침 지지대
415 : 의자부
500 : 핸들상부대
501 : 핸들중간대
502 : 핸들하부대
503 : 핸들연결대
504 : 핸들고정너트
505 : 당김핸들부
509 : 보조핸들
510 : 스프링샤프트
510 : 스프링샤프트
511 : 포크상부 축삽입구
512 : 핸들지지대
513 : 핸들지지링
515 : 조향부
900 : 뒷바퀴
901 : 앞바퀴
912 : 체인링
920 : 브레이크셋
930 : 주체인
931 : 연결체인
932 : 와이어 로프
933 : 탄성줄

Claims (7)

  1. 본 발명의 자전거는 주프레임(100), 뒷프레임부(115), 포크부(125)로 구성된 프레임부(145)와 조향부(515), 당김핸들부(505), 탄성줄 풀리부(314), 당김줄동력 전달부(315), 페달동력 전달부(325), 페달 크랭크부(335), 주체인링부(215), 의자부(415), 주체인(930), 와이어 로프(932), 탄성줄(933), 연결체인(931), 뒷바퀴(900), 앞바퀴(901), 브레이크셋(920)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주프레임(100)의 전반부 포크상부 삽입구(101)에 포크부(125)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프레임(100)의 후반부는 뒷프레임(110)이 축에 의해 결합되며, 조향부(515)는 주프레임(100)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에 축으로 결합되고 포크부(125) 상부 및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어 결합되며,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 후반부에 축으로 결합되며, 페달 크랭크부(335)는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축의 양쪽 끝에 결합되며, 주체인링부(215)는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 아래 부분에 축으로 결합되며, 탄성줄 풀리부(314)는 주프레임(100) 후반부 아래에 축으로 결합되며,
    의자부(415)는 주프레임(100)의 I형 프레임 양쪽에 의자부(415)의 도로래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주체인(930)은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뒷바퀴의 스프라켓과 결합되며, 와이어 로프(932)는 한쪽 끝부분이 당김핸들부(505)에 연결되고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당김줄 풀리(310)에 수회 감긴 후 탄성줄(933)의 끝부분과 연결되며, 연결체인(931)은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체인링과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과 연결되며, 탄성줄(933)은 와이어 로프(932)의 끝에 연결되고 탄성줄 풀리부(314)의 풀리를 거처서 주프레임(100)에 연결되며,
    뒷바퀴(900) 및 앞바퀴(901)는 각각 뒷프레임(110) 및 포크부(125)의 바퀴축에 결합되며, 브레이크셋(920)은 바퀴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는 당김핸들부(505)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145)는 주프레임(100), 뒷프레임부(115), 포크부(125)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포크부(125)는 보조핸들(509), 포크상부(120), 포크하부(121), 포크 부싱(122), 포크 록너트(123),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 스프링(6), 쇠구슬(8), 볼트(2)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뒷프레임부(115)는 뒷프레임(110), 완충기부(140), 베어링(1), 볼트(2), 너트(3), 스프링(6), 간격링(111), 로 구성되며,
    완충기부(140)는 완충기 상부(130), 완충기 하부(131), 스프링(6), 완충기 너트(132), 완충기 록너트(138), 완충기 록너트(139)로 구성되며,

    주프레임(100)은 전반적인 주요 형태는 의자고정홀(103)이 뚫어진 I형 구조물이며,
    전반부에는 포크상부(120)가 삽입되는 포크상부 삽입구(101)가 사선방향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포크상부 삽입구(101)의 바로 뒤에는 당김핸들부(505)를 거치할 수 있도록 삼각형태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가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의 뒤에는 아래위가 뚫어진 사각형의 구조물인 기어박스(104)가 있으며, 기어박스(104) 측면에는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축,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축 및 클러치 핸들의 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축삽입구(10)와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 구멍이 있으며, 사각형 우측면에는 우측 크랭크의 크랭크 고정쇄(334)가 삽입될수 있도록 크랭크고정홈(12)이 일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기어박스(104)의 아래에는 파이프 2개가 V자 형태로 접합되고 만나는 지점에는 축삽입구(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반부에는 삼각형태의 뒷프레임 지지대(105)가 아래로 돌출되고 맨끝부분은 Y자 형태로 벌어져 있으며. 뒷프레임 지지대(105)에는 뒷프레임(110) 및 풀리를 결합하기 위한 축삽입구(10)가 뚫려져 있고 Y자 형태 부분에는 완충기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축삽입구(10)가 뚫어져 있으며,

    뒷프레임(110)은 Y형의 구조로서 전면부에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있으며, 전면부 아래에는 뒷프레임(110)을 주프레임(100)에 고정하여 자전거를 접을때 고정하기 위한 축이 삽입되며, 중간부분에는 완충기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축삽입구(10)가 있으며, 뒷프레임(110)과 주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축과 뒷바퀴(900) 축의 높이가 다르므로 뒷바퀴(900)축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아래 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포크상부(120)는 나란히 있는 2개의 원통이 있고 2개의 원통 중앙부분을 반원형태의 파이프가 연결되고, 반원형태의 중앙부분에 원통이 접합되고 원통의 상부에는 작은 원기둥이 접합되어 있는 구조로, 2개의 원통내부 하단에는 포크 부싱(122)이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크하부(121)는 나란히 있는 두개의 원통이 반원형의 평판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원통 아래는 앞바퀴(901) 축을 끼울수 있는 U자 형 홈이 있으며, 원통 위에는 포크상부(120)의 원통에 삽입되며, 윗부분에 나사산이 있어 포크 록너트(123)기 나사결합하는 상부 원통이 있으며, 상부 원통 위에 나사산이 가공된 봉이 있어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가 나사결합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포크 부싱(122)은 원통 표면에 나사산이 있는 구조이고, 한쪽 끝은 육각으로 스페너와 같은 공구로 포크 부싱(122)을 돌리 수 있게 한 구조이며,

    포크 록너트(123)는 원통내부가 나사산이 있고 원통 양쪽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스페너와 같은 공구로 포크 록너트(123)를 돌리 수 있게 한 구조이며,

    스프링(6)은 일반적인 스프링 구조이며,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는 원통내부가 나사산이 있고 원통 양쪽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스페너와 같은 공구로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를 돌리 수 있게 한 구조이며,

    보조핸들(509)은 T형의 파이프 구조로서 T형 아래 부분에는 포크상부(12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에 양쪽으로 너트 구멍이 형성된 원통이 있으며 원통의 아래 부분에는 베어링과 같이 쇠구슬이 접촉할 수 있는 면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서


    주프레임(100)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포크상부 삽입구(101)의 아래에는 다수의 쇠구슬(8)이 삽입된 상태에서 포크상부(120)의 포크상부 축(126)이 끼워진 후 포크상부 삽입구(101)의 위에는 다시 다수의 쇠구슬(8)이 삽입되며, 쇠구슬(8)은 포크부(125)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 기능을 하며, 포크상부 축(126) 끝 부분에는 보조핸들(509)의 포크상부축 삽입구(511)가 삽입되어 보조핸들(509)이 결합되고 포크상부(120)와 보조핸들(509)은 볼트(2)로 고정되어 포크상부(120)가 주프레임(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보조핸들(509)은 자전거헤드라이트, 자전거 벨과 같이 자전거의 부속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뒷프레임부(115)는 주프레임(100)의 후반부에 축에 의해 결합되며,

    포크상부(120)의 양쪽 원통에는 스프링(6)이 삽입되며, 포크하부(121)의 윗부분에는 포크 부싱(122)이 삽입되고, 포크 부싱(122)은 포크상부(120)에 나사산에 의해 조여저 결합되며, 포크 록너트(123)와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 순으로 나사산으로 조여져 결합된 상태에서 포크상부(120)의 원통에 삽입되며,
    포크 부싱(122)은 포크하부(121)가 포크상부(120)의 원통 안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며, 포크하부(121)가 포크상부(120)의 아래로 내려올 때 포크 록너트(123)는 포크 부싱(122)에 걸려서 포크하부(121)가 포크상부(120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며, 스프링 장력조절 너트(124)를 좌우로 돌려서 스프링(6)의 장력을 조절하여 바퀴에 의해서 포크하부(121)에 전달되는 충격에 대하여 완충력 정도를 조절하며,

    기존 자전거의 포크는 포크하부 원통에 포크상부 원통이 삽입되고 내부에 완충기가 구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포크상부 원통 표면에 빗물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어 포크하부 원통으로 이물질이 쉽게 침투되는 구조여서 이물질에 의해 완충기 기능이 저하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의 포크부(125)는 포크상부(120) 원통에 포크하부(121)가 삽입되고 내부에 완충기가 있는 구조이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없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조향부(515)는 핸들지지대(512), 베어링(1), 리테이니닝 링(4), 핸들지지링(513), 스프링샤프트(510) 및 볼트(2)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스프링샤프트(510)는 스프링 안에 나선의 방향이 서로 또 다른 스프링을 삽입하고 스프링 양쪽 끝에 원통이 접합된 구조이고 양쪽의 원통 표면에는 너트구멍이 있는 구조이며,

    핸들지지대(512)는 핸들연결대(503)에 끼워지고 주프레임(100)의 당김핸들부 지지대(102)에 볼트(2)로 결합되어 결합된 볼트(2)를 축으로 당김핸들부(505)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며, 핸들지지대(512) 내부에는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되어 핸들연결대(503)에 결합된 당김핸들부(505)가 베어링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이어서 핸들지지링(513)이 핸들연결대(503)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핸들연결대(503) 끝과 스프링샤프트(510)의 한쪽 끝이 볼트(2)로 결속되며, 스프링샤프트(510)의 다른 한쪽 끝은 포크상부(120)의 윗 부분에 볼트(2)로 결합되어,

    조향부(515)는 포크부(125)의 회전축과 당김핸들부(505)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축과 상하로 움직여서 변화하는 당김핸들부(505)의 축선을 스프링샤프트(510)에 의해 연결하여 당김핸들부(505)를 회전시키면 포크부(125)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자전거를 방향 전환하도록 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당김줄 풀리(310), 당김줄동력부 평기어(300), 클러치 핸들(302), 당김줄 풀리 축(311), 베어링(1), 리테이니닝 링(4), 스프링(6), 쇠구슬(8), 핀(9)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당김줄동력부 기어(300)는 일반기어의 구조이고 기어 중심부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뚫어져 있으며 중심부의 한 측면에는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는 구조이며, 당김줄 풀리(31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 직각면과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 직각면은 서로 맞다는 면으로 서로 반대방향이며,

    클러치 핸들(302)은 반원형의 링의 구조에 링의 한쪽 부분은 두께가 점점 굵어 지는 칼날부(303)가 있으며, 다른 한쪽 부분은 축삽입구(10)와 쇠구슬스톱퍼 홀(304)이 있으며, 위쪽에는 원형봉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며,

    당김줄 풀리(310)는 와이어 로프(932)를 여러 번 감을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 걸림홀(312)이 있는 풀리의 구조이며, 중심부는 축삽입구(10)가 뚫어저 있고, 측면 중심의 한쪽은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으며, 다른 측면 중심에는 클러치핸들 걸림판(313)인 원판의 턱이 있는 구조이며,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당김줄 풀리 축(311) 양쪽에 베어링(1), 리테이니닝 링(4)이 결합하여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의 앞쪽에 있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에 삽입되어 당김줄 풀리 축(311)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중심의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에는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줄 풀리 축(311)이 삽입되며, 이어서 당김줄 풀리(310)가 당김줄 풀리 축(311)에 삽입되고 스프링(6)이 삽입되며, 클러치 핸들(302)은 축삽입구(10)에 핀(9)이 삽입되고, 핀(9)은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의 앞쪽에 있는 축삽입구(10)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클러치 핸들(302)의 쇠구슬스톱퍼 홀(304)에는 쇠구슬(8), 스프링(6), 쇠구슬(8)의 순으로 삽입되어,


    당김줄동력 전달부(315)는 당김핸들부(505)에 의해 와이어 로프(932)를 당길때 당김줄 풀리(310)를 정회전시키며, 이때 당김줄 풀리(31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과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이 맞물려서 당김줄동력부 기어(300)를 회전 시키며, 역회전 시키면 각각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경사면에 의해 맞물리지 않아 당김줄동력부 기어(3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클러치 핸들(302)을 조작하여 칼날부(303)를 당김줄 풀리(310)의 클러치핸들 걸림판(313)에 끼우고 삽입시키면 점점 굵어지는 칼날부(303)에 의해 당김줄 풀리(310)가 옆으로 밀려서 당김줄 풀리(310) 및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사이가 벌어져서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당김줄 풀리(310)의 회전력은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에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 기능을 하며,
    클러치 핸들(302)의 쇠구슬스톱퍼 홀(304)에 삽입된 스프링(6)은 쇠구슬(8)을 밀고, 쇠구슬(8)은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 측면의 쇠구슬 걸림홈(106)에 걸려 클러치 핸들(302)의 일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당김줄동력부 기어(300)와 페달동력부 기어(301)는 서로 맞물려 기어의 회전력을 서로가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페달 크랭크 축(321), 체인링(912), 페달체인링 홀더(320), 페달동력부 기어(301), 클러치(323), 클러치 핸들(302), 베어링(1), 볼트(2), 너트(3), 리테이니닝 링(4), 스프링(6), 쇠구슬(8), 핀(9)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페달동력부 기어(301)는 일반기어의 구조이고 기어 중심부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뚫어져 있으며 중심부의 한 측면에는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는 구조이며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과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은 서로 맞다는 면으로 서로 반대방향이며,

    페달체인링 홀더(320)는 한측면에 4개의 돌출부가 있으며 돌출부에는 너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는 구멍이 뚫려있으며 구멍 안쪽으로 베어링 삽입구와 리테이닝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페달 크랭크 축(321)은 원형봉 축으로서 한쪽 끝 부분은 키삽입홈(13)이 있으며 중앙부는 리테이니닝 링(4)이 결합되는 홈과 슬롯형의 구멍이 뚫려 있는 축삽입구(10)가 있으며,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원통에 홈의 깊이가 다르게 파여진 크랭크축 걸림홈(322)이 있으며 축의 양끝 단면에는 너트구멍이 있으며,

    클러치(323)는 원형봉에 한 측면은 원형판이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한측면은 직각삼각 돌출부(326)가 있으며 중심부는 축삽입구(10)가 있으며 원형봉 표면에는 너트 구멍이 있으며,


    페달 크랭크 축(321)의 양쪽 끝부분에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되어 주프레임(100)의 기어박스(104)측면 뒷부분에 있는 축 및 베어링 삽입구(11)가 삽입되어 페달 크랭크 축(321)의 기어박스(104)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며, 페달동력부 기어(301) 및 페달체인링 홀더(320)의 중심에는 베어링(1) 및 리테이니닝 링(4)이 삽입된 상태에서 페달동력부 기어(301), 페달체인링 홀더(320), 체인링(912)은 볼트(2)와 너트(3)로 고정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페달 크랭크 축(321)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클러치(323)는 페달 크랭크 축(321)에 삽입되고 클러치(323)의 너트구멍과 페달 크랭크 축(321)의 슬롯형의 축삽입구(10)에 볼트가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어느정도 좌우로 움직이고 페달 크랭크 축(321)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클러치(323)의 좌측에는 스프링(6)이 페달 크랭크 축(321)에 끼워져 결합되며, 클러치 핸들(302)은 당김줄동력 전달부(315)의 클러치 핸들(302)와 동일한 구조로 결합되어,

    페달동력 전달부(325)는 페달 크랭크 축(321)이 회전하면 클러치(323)가 같이 회전하며,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와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직각면이 맞물려서 페달동력부 기어(301)가 회전하며, 동시에 페달체인링 홀더(320) 및 체인링(912)이 회전하며, 클러치(323)를 역회전 시키면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와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경사면에 의해 맞물리지 않아 페달동력부 기어(301)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클러치 핸들(302)을 조작하여 칼날부(303)를 클러치(323)의 걸림판에 끼우고 삽입시키면 점점 굵어지는 칼날부(303)에 의해 클러치(323)가 옆으로 밀려서 클러치(323)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와 페달동력부 기어(301)의 직각삼각 돌출부(326)의 사이가 벌어져서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클러치(323)의 회전력은 페달동력부 기어(301)에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 기능을 하며,
    클러치 핸들(302)의 쇠구슬스톱퍼 홀(304)에 삽입된 스프링(6)은 쇠구슬(8)을 밀고, 쇠구슬(8)은 주프레임(100) 기어박스(104) 측면의 쇠구슬 걸림홈(106)에 걸려 클러치 핸들(302)의 일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페달동력 전달부(325)의 체인링(912)은 주체인링부(215)의 체인링(912)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6.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페달 크랭크부(335)는 좌측 크랭크(330), 우측 크랭크(331), 크랭크 고정볼트(332), 볼트(2), 와셔(5), 페달(940)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좌측 크랭크(330)는 막대형 구조에 한쪽 끝 부분은 페달을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원통형의 축 삽입구가 있으며 원통의 내부에는 축과 크랭크가 고정될수 있도록 키 삽입홈이 있으며,

    우측 크랭크(331)는 막대형 구조에 한쪽 끝 부분은 페달을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원통의 축 삽입구가 있으며 원통 내부에는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333)가 있으며 원통의 한쪽 측면 표면에는 우측 크랭크(331)가 주프레임(100)의 크랭크 고정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될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크랭크 고정볼트(332)는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 머리에 장방형의 막대를 접합시킨 볼트이며,

    좌측 크랭크(330) 및 우측 크랭크(331)에는 나사 결합으로 페달(940)이 결합되며, 좌측 크랭크(330)는 페달 크랭크 축(321)에 삽입되어 키(7), 볼트(2) 및 와셔(5)에 의해 고정되며, 우측 크랭크(331)는 페달 크랭크 축(321)의 크랭크축 걸림홈(322)에 삽입되고 크랭크 고정볼트(332)에 의해 결합되며,
    우측 크랭크(331)의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333)를 페달 크랭크 축(321)의 크랭크축 걸림홈(322)이 낮게 파여진 홈과 일치시키면 좌측 크랭크(330)와 우측 크랭크(331)는 180도 방향으로 축에 고정되며,
    우측 크랭크(331)의 크랭크축 걸림 돌출부(333)를 페달 크랭크 축(321)의 크랭크축 걸림홈(322)이 깊게 파여진 홈과 일치시키고 우측 크랭크(331)의 크랭크 고정쇄(334)를 주프레임(100)의 크랭크 고정홈(12)에 삽입시키면 우측 크랭크(331),페달 크랭크 축(321), 좌측 크랭크(330)가 자전거의 전면 방향으로 주프레임(100)에 고정되며,
    좌측 크랭크(330)와 우측 크랭크(331)가 180도 방향으로 축에 고정된 상태는 페달(940)을 밟아 페달 크랭크 축(321)을 회전시켜 자전거를 나아가게 할 수 있으며,
    의자부(415)를 앞뒤로 움직이고 당김핸들부(505)를 당겨서 와이어 로프(932) 를 당기는 노젓기 행위에 의해서 자전거를 나아가게 할 때에는 좌측 크랭크(330)와 우측 크랭크(331)가 같은 방향으로 주프레임(100)에 고정된 시키고 페달(940)에 두발을 올려놓고 당김핸들부(505)를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7.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당김핸들부(505)는 핸들상부대(500), 핸들중간대(501), 핸들하부대(502), 핸들연결대(503), 핸들고정너트(504), 핀(9), 리테이니닝 링(4)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핸들상부대(500)는 T형의 원형파이프이며, 아래 파이프 측면 부분은 슬롯형태의 핀이동 유도홀이 뚫어져 있고 끝 부분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눠진 나사산이 있는 구조이며,

    핸들중간대(501)는 원형파이프로서 파이프 측면 부분은 슬롯형태의 핀이동 유도홀이 뚫어져 있고 끝 부분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눠진 나사산이 있고 나사산의 반대쪽 끝부분에는 핀(9)이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며,

    핸들하부대(502)는 원형파이프로서 양쪽 끝부분에는 핀(9)이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며,

    핸들 연결대(503)는 지름이 다른 원형봉이 접합된 구조이며 양쪽 끝 부분에는 핀(9) 삽입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이며,

    핸들고정너트(504)는 원통으로 원통 내부의 한쪽 부분은 지름이 작아지는 테퍼(Taper)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통내부의 반대쪽 부분은 나사산이 있는 구조로서,


    핸들상부대(500) 한쪽 끝은 핸들중간대(501) 한쪽 끝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핸들중간대(501)의 다른 한쪽 끝은 핸들하부대(502)의 한쪽 끝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핸들하부대(502)의 다른 한쪽 끝은 핸들연결대(503)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핸들연결대(503)는 조향부(515)의 스프링샤프트(5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핸들상부대(500) 및 핸들중간대(501)의 나사산 부분에는 각각 핸들고정너트(504)가 나사 체결로 결합되며
    핸들중간대(501)와 핸들중간대(501)의 한쪽 끝에는 핀(9)이 삽입되어 핸들상부대(500) 및 핸들중간대(501))의 측면에 파여진 슬롯형의 핀이동 유도홀에 따라 움직여서 당김핸들부(505)를 당기고 밀 때, 일정 길이 이내에서 당김핸들부(505)의 길이가 줄어들고 늘어나도록 제한하며, 당김핸들부(505) 축에 대하여 회전 시킬때 당김핸들부(505) 전체가 회전하도록 하여 주며,
    핸들상부대(500) 및 핸들중간대(501)에 결합된 핸들고정너트(504)를 돌리면 핸들고정너트(504)의 테퍼(Taper) 부분에 의해서 나사산 조각부분을 조이면서 당김핸들부(505)가 일정한 길이로 고정되고 반대방향으로 핸들고정너트(504)를 돌리면 나사산 조각부분의 간격이 넓어져서 당김핸들부(505)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주며,

    핸들봉 1단(500)과 핸들봉 2단(501)의 한쪽 끝의 구멍에는 볼트(2)와 스프링(6)이 삽입되며, 각각의 볼트(2)를 조여 핸들봉 2단(501)과 핸들봉 3단(502)의 뚫어진 다수의 구멍중 어느 하나에 일치하도록 볼트(2)를 삽입하면 당김핸들부(60)의 길이를 일정하게 고정하도록 하며, 핸들봉 1단(500)의 손잡이 중앙부분에는 당김 체인(601)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서,
    당김핸들부(60)는 당김 체인(601) 한쪽 끝을 고정하는 기능과 일정 길이 이내에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정 길이로 고정할 수 있으며, 당김핸들부(60)를 축에 대하여 회전시켜 앞바퀴의 진행방항을 조작할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KR1020170108404A 2017-08-28 2017-08-28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KR10195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04A KR101955110B1 (ko) 2017-08-28 2017-08-28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04A KR101955110B1 (ko) 2017-08-28 2017-08-28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110B1 true KR101955110B1 (ko) 2019-03-07

Family

ID=6576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04A KR101955110B1 (ko) 2017-08-28 2017-08-28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2251A (zh) * 2021-06-11 2022-12-13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园林工具
CN115462252A (zh) * 2021-06-11 2022-12-13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修枝机
KR20230153081A (ko) 2022-04-28 2023-11-06 이종훈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478A (en) * 1995-06-07 1996-03-26 Robert L. Doan Occupant propelled three wheeled vehicle
US7360780B1 (en) * 2007-08-20 2008-04-22 Tucker Joe W Apparatus for hand propulsion and steering of a scooter, tricycle or bicycle
KR20170044527A (ko) 2015-10-15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478A (en) * 1995-06-07 1996-03-26 Robert L. Doan Occupant propelled three wheeled vehicle
US7360780B1 (en) * 2007-08-20 2008-04-22 Tucker Joe W Apparatus for hand propulsion and steering of a scooter, tricycle or bicycle
KR20170044527A (ko) 2015-10-15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2251A (zh) * 2021-06-11 2022-12-13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园林工具
CN115462252A (zh) * 2021-06-11 2022-12-13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修枝机
CN115462252B (zh) * 2021-06-11 2024-03-01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修枝机
CN115462251B (zh) * 2021-06-11 2024-03-01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园林工具
KR20230153081A (ko) 2022-04-28 2023-11-06 이종훈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110B1 (ko)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2륜 자전거
US8371974B2 (en) Chain tension structure
JP3059811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自転車及び改良折りたたみ用ジョイント
US9073600B2 (en) Dual drive bicycle
US20050176537A1 (en) Structure of transmission for bicycle
US20080048412A1 (en) Pedal-Powered Vehicle
KR200178802Y1 (ko) 정신기어 자전거
TWM520051U (zh) 具有穩定鏈條功能的自行車後撥鏈器
HU212094B (en) Dual wheel driven bicycle
US6755431B2 (en) Derailleur system for bicycle
US7367575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speed-change cable
US6164670A (en) Tracked cycle
US20190002055A1 (en) All Limb Powered And Steered Front Wheel Drive Land Vehicle
KR101885468B1 (ko)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US4852872A (en) Exercise bicycle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US10259524B2 (en) Direct-drive double wing scooter
CN109484562B (zh) 一种无链条自行车
KR100721412B1 (ko) 주행모드 선택-전환형 승마자전거
KR20090118020A (ko) 지름가변식 무단변속장치와 기어블록체인
US10752314B2 (en) Convertible child cycle
CN201354131Y (zh) 便携式行星自行车
KR102049661B1 (ko) 체인없는 자전거
CN111032503B (zh) 自行车的推进装置
KR100779301B1 (ko) 다기능 자전거
KR101809035B1 (ko) 자전거용 체인 텐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