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597B1 - 화장품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597B1
KR101954597B1 KR1020170140328A KR20170140328A KR101954597B1 KR 101954597 B1 KR101954597 B1 KR 101954597B1 KR 1020170140328 A KR1020170140328 A KR 1020170140328A KR 20170140328 A KR20170140328 A KR 20170140328A KR 101954597 B1 KR101954597 B1 KR 10195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se
groove
mai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에 함침재가 수용되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메인 케이스 중 상기 커버 부재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는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 중 상기 커버 부재가 위치하는 반대면에 형성된 메인홈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보여주는 미러부를 가지며, 상기 미러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위치할 수 있는 미러 부재와 그리고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 시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된 결합력을 해제하여 상기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시키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콤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FOR 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내부에 화장품을 가지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은 크게 기초 화장과 색조 화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초 화장은 스킨-로션-에센스-썬크림 등을 세안 후에 바르는 것으로서 피부에 최소한의 영양분을 주는 것이며, 색조 화장은 메이크업베이스-파운데이션-컨실러-콤팩트 등의 화장품을 얼굴에 발라 피부를 보호하고 결점을 보완하며 혈색을 좋아 보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장에 필요한 화장품은 통상 용기에 담아 휴대하고 다니며 필요 시 꺼내 활용하도록 구비되는데, 콤팩트의 화장을 위해서도 휴대 가능한 콤팩트 용기가 사용되며 이에 보관된 화장품을 이용하게 된다.
즉, 종래 콤팩트 용기는 휴대 가능한 크기의 몸체를 갖되 그 내부에 콤팩트를 위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을 수용 및 몸체 내부에 수용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을 묻혀 피부에 바르기 위한 스펀지 형태의 퍼프를 휴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최근에는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이 아닌 액상타입과 같은 화장품을 수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액상타입 화장품은 액상화장품을 스펀지에 흡수시킨 상태로 보관하고 있으며, 퍼프에 액상화장품을 묻혀 사용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콤팩트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 중 거울의 경우, 사용자가 용기 본체와 연결된 커버를 열어야 거울을 사용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거울만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도 화장품이 보관된 공간을 개방하고 사용해야 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거울만을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품을 가지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에 함침재가 수용되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메인 케이스 중 상기 커버 부재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는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 중 상기 커버 부재가 위치하는 반대면에 형성된 메인홈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보여주는 미러부를 가지며, 상기 미러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위치할 수 있는 미러 부재와 그리고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 시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된 결합력을 해제하여 상기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시키는 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러 부재는 상기 미러부가 배치되는 미러 몸체와 상기 미러부가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부로 이동 시 상기 미러 몸체의 이동을 멈추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를 향해서 돌출 형성된 멈춤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상기 미러 몸체가 상기 미러 케이스 내부에 위치 시 상기 멈춤 돌기와 결합되는 제1멈춤홈과 상기 미러부가 외부로 위치 시 상기 멈춤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미러 몸체를 고정하도록 제2멈춤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멈춤 돌기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멈춤홈은 상기 제1멈춤홈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미러 몸체에 형성된 탄성홈에 삽입되며, 상기 미러 부재가 외부로 위치 시 탄성력으로 상기 미러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미러 몸체에 형성된 해제홈에 삽입되는 해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러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기 해제 돌기를 상기 해제홈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내측에 형성된 해제 탄성홈에 삽입되는 해제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미러 부재가 위치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미러 부재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러 케이스의 가장 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케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홈의 가장 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메인 결합홈에 삽입되는 메인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미러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커버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미러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에 함침재가 수용되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메인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보여주는 미러부를 가지며, 상기 미러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위치할 수 있는 미러 부재와 그리고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미러 부재를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러 부재를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또는 외부에 위치한 미러 부재를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로 이동 시 상기 메인 케이스의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거울만을 사용할 수 있어, 화장품으로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경우 이외에도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러 부재의 수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미러부를 사용 시 손을 이용하여 각을 맞추지 않아도 미러부를 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부를 사용하여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어 그 작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 콤팩트 용기(1)를 제공한다. 화장품 콤팩트 용기(1)는 내부에 고체 분말 또는 액상의 화장품을 가지는 함침재(23)를 가질 수 있다. 화장품 콤팩트 용기(1)는 사용자가 함침재(23)의 화장품을 도포부(25)를 이용해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화장품 콤팩트 용기(1)는 메인 케이스(10), 함침재 부재(20), 커버 부재(30), 미러 케이스(40), 미러 부재(50), 해제 부재(60) 그리고 하부 케이스(70)를 포함한다.
메인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 공간(15)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15)에는 후술하는 함침재 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용 공간(15)은 후술하는 함침재 케이스(2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에는 메인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홈(11)은 메인 케이스(10)의 면 중 후술하는 커버 부재(30)가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홈(11)에는 후술하는 미러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의 면 중 메인홈(11)이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에는 메인 결합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결합홈(12)은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결합홈(12)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결합홈(12)에는 후술하는 메인 결합 돌기(45)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결합홈(12) 및 메인 결합 돌기(45)가 결합되며, 메인 케이스(10)와 미러 케이스(4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와 미러 케이스(40)는 상술한 메인 결합 돌기(45) 및 메인 결합홈(12)의 결합을 통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멈춤홈(13)은 메인 케이스(10)의 면 중 메인홈(11)이 형성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멈춤홈(13)은 메인홈(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멈춤홈(13)은 미러 부재(50)가 메인홈(11)에 위치 시 후술하는 멈춤 돌기(54)가 삽입될 수 있다. 제1멈춤홈(13)의 상부에는 커버 결합부(35)가 위치할 수 있다. 제1멈춤홈(13)은 멈춤 돌기(5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멈춤홈(14)은 메인 케이스(10)의 면 중 메인홈(11)이 형성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멈춤홈(14)은 메인홈(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멈춤홈(14)은 메인홈(11)을 기준으로 제1멈춤홈(13)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멈춤홈(14)은 미러 부재(50)가 메인홈(11)의 외측에 위치 시 후술하는 멈춤 돌기(54)가 삽입될 수 있다. 제2멈춤홈(14)은 멈춤 돌기(5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멈춤홈(14)은 제1멈춤홈(13)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함침재 부재(20)는 메인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5)에 위치할 수 있다. 함침재 부재(20)는 함침재(23) 내의 화장품이 다 소진되는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함침재 부재(20)는 메인 케이스(10)의 하부면을 밀어 올리는 경우, 수용 공간(15)에서 분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후 새로운 함침재 부재(20)를 메인 케이스(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함침재 부재(20)는 함침재 케이스(21), 함침재(23) 그리고 도포부(25)를 포함한다.
함침재 케이스(2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함침재 케이스(21)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함침재 케이스(21)는 메인 케이스(10)보다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함침재 케이스(21)의 내부 공간에는 함침재(23)가 위치할 수 있다.
함침재(23)는 피부에 도포 가능한 화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함침재(23)는 함침재 케이스(21) 내의 빈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장품은 고체 분말 형태의 화장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공지의 화장품을 제공될 수 있으며 화장품의 종류는 고체 분말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함침재는 폴리 우레탄 등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함침재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포부(25)는 함침재(2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포부(25)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 시 함침재(23)에 화장품을 부착 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일 예서 도포부(25)는 그 형태가 변경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포부(25)는 쿠션을 가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메인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5)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메인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커버(31), 커버 미러부(33) 그리고 커버 결합부(35)를 포함한다.
커버(31)는 메인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31)는 수용 공간(15)을 개방하거나 밀폐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커버(31)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 시 수용 공간(15)을 개방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커버(31)는 사용자가 화장품 도포를 마친 경우, 수용 공간(15)의 상부로 이동하여 수용 공간(15)을 밀폐 시킬 수 있다.
커버(31)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31)의 단면은 메인 케이스(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31)는 후술하는 커버 결합부(35)가 메인 케이스(10)와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 미러부(33)는 커버(3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미러부(33)는 커버(31)가 수용 공간(15)의 상부에 위치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31)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미러부(33)는 원형의 거울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미러부(33)는 커버(31) 보다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35)는 커버(31) 및 메인 케이스(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결합부(35)와 메인 케이스(10)는 흰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공지의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는 내부에 미러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는 메인 케이스(10)와 결합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의 내부에는 수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41)에는 미러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다. 수용홈(41)에는 후술하는 해제 부재(60)의 구성 중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에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에는 후술하는 해제 돌기(63)가 삽입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는 메인 결합 돌기(45)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결합 돌기(45)는 메인 케이스(10)의 메인 결합홈(12)에 삽입될 수 있다. 메인 결합 돌기(45) 가 메인 결합홈(12)에 삽입되어, 메인 케이스(10) 및 미러 케이스(4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결합 돌기(45)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결합 돌기(45)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결합 돌기(45)는 메인 결합홈(12)에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미러 케이스(40)의 하부면에는 하부 결합홈(47)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결합홈(47)에는 하부 결합 돌기(71)가 삽입될 수 있다.
미러 부재(50)는 사용자가 거울만을 사용하는 경우 미러 부재(50)만을 메인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 미러 부재(50)는 미러 몸체(51), 미러부(52) 그리고 멈춤 돌기(54)를 포함한다.
미러 몸체(51)는 미러 케이스(40)의 수용홈(41)에 위치할 수 있다. 미러 몸체(51)는 수용홈(41)의 외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미러 몸체(51)에 있는 미러부(52)만을 사용하는 경우, 해제 부재(60)를 이용해 미러 몸체(51)를 수용홈(41)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미러부(52)만의 사용을 마친 경우, 미러 몸체(51)를 수용홈(41)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미러 몸체(51)에는 해제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해제홈(53)은 후술하는 해제 돌기(63)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홈(41)에 미러 몸체(51)가 위치 시 해제 돌기(63)가 해제홈(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수용홈(41)의 외측에 미러 몸체(51)가 위치 시 해제 돌기(63)는 해제홈(5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해제홈(53)은 미러 몸체(5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해제홈(53)은 해제 돌기(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1)의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미러 케이스(40)의 수용홈(41)은 미러 몸체(51)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용홈(41)이 상향 경사지게 제공되어, 사용자는 미러 몸체(51)가 외측에 위치 시 별도의 각도 조절 없이도 미러부(52)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수용홈(41)은 수평하게도 제공될 수 있다.
미러 몸체(51)의 내부에는 탄성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55)은 후술하는 탄성부(67)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홈(55)은 미러 몸체(51)의 내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55)은 탄성부(67)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홈(55)들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미러 몸체(51)는 수용홈(4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미러부(52)는 미러 몸체(51)에 위치될 수 있다. 미러부(52)는 거울로 제공될 수 있다. 미러부(5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미러부(52)는 거울로 제공될 수 있다.
멈춤 돌기(54)는 미러 몸체(51)에 형성될 수 있다. 멈춤 돌기(54)는 미러부(52)가 메인 케이스(10)의 외부로 이동 시 미러 몸체(51)의 이동을 멈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멈춤 돌기(54)는 미러 몸체(51) 중 커버(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멈춤 돌기(54)는 제1멈춤홈(13) 또는 제2멈춤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멈춤 돌기(54)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미러 몸체(51)가 수용홈(41)에 위치 시 멈춤 돌기(54)는 제1멈춤홈(13)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미러 몸체(51)가 수용홈(41)의 외측에 위치 시 멈춤 돌기(54)는 제2멈춤홈(14)에 결합될 수 있다.
멈춤 돌기(5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미러 부재(50)를 외측으로 위치 시 후술하는 탄성부(67)의 탄성력에 의해서 미러 부재(5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제 부재(60)는 미러 부재(50)과 결합될 수 있다. 해제 부재(60)는 미러 부재(50)를 외부로 위치 시 미러 부재(50)와 결합된 결합력을 해제하여 미러 부재(50)를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해제 부재(60)는 버튼부(61), 몸체부(62), 해제 돌기(63), 해제 탄성부(64) 그리고 탄성부(67)를 포함한다.
버튼부(61)는 미러 케이스(40)와 결합 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부(61)는 해제 부재(60)와 미러 부재(50)의 결합력을 해제할 수 있다. 버튼부(61)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부(61)는 한 쌍의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버튼부(61)는 미러 케이스(4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버튼부(61)의 내부에는 해제 탄성홈(65)이 위치할 수 있다. 해제 탄성홈(65)에는 해제 탄성부(64)가 위치할 수 있다.
몸체부(62)는 미러 케이스(40)와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62)의 일단은 버튼부(61)가 결합되며, 타단은 해제 돌기(63)가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62)는 한 쌍의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62)는 수용홈(4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부(62)는 해제 부재(60)가 미러 부재(50)와 해제 시 버튼부(61)로부터 전달되는 해제력을 해제 돌기(63)에 전달할 수 있다.
해제 돌기(63)는 몸체부(62)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해제 돌기(63)는 미러 케이스(40)를 기준으로 버튼부(61)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해제 돌기(63)는 수용홈(41)에 위치할 수 있다. 해제 돌기(63)는 해제홈(53)에 삽입될 수 있다. 해제 돌기(63)는 미러 부재(50)가 수용홈(41)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해제홈(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미러 부재(50)가 수용홈(41)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해제 돌기(63)는 해제홈(5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해제 탄성부(64)는 버튼부(61)의 내측에 형성된 해제 탄성홈(65)에 배치될 수 있다. 해제 탄성부(64)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해제 탄성부(64)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해제 탄성부(64)가 제공되어, 버튼부(61)가 이동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67)는 미러 부재(50)가 수용홈(41)의 외측으로 위치 시 미러 몸체(51)를 이동 시킬 수 있다. 탄성부(67) 중 일부는 수용홈(41)의 내측에 위치하며, 다른 일부는 탄성홈(55)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67)는 가이드핀(68)과 가이드핀(68)을 감싸며 제공되는 스프링(69)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탄성력을 가지며, 미러 몸체(51)를 이동 시킬 수 있는 공지의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70)는 미러 케이스(4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7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70)에는 하부 결합 돌기(7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결합 돌기(71)는 미러 케이스(4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47)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70)의 형성된 하부 결합 돌기(71)가 하부 결합홈(47)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70) 및 미러 케이스(4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부재(50)의 사용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미러 부재(50)의 미러부(52)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먼저 버튼부(61)를 누른다. 한 쌍의 버튼부(61)를 누르면, 이와 연결된 해제 돌기(63)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해제 돌기(63)의 이동으로 해제 돌기(63)는 해제홈(53)의 외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 후 탄성부(67)가 미러 몸체(51)를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미러 몸체(51)는 외측으로 이동 중 제2멈춤홈(14)에 멈춤 돌기(54)가 삽입되면서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 후 사용자는 미러부(52)를 사용할 수 있다. 미러 부재(50)를 수용홈(41)에 위치시키는 경우, 미러 몸체(51)를 밀면, 탄성부(67)는 압축된다. 미러 몸체(51)가 수용홈(41)에 완전히 위치되는 경우, 해제 돌기(63)가 해제홈(53)에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멈춤 돌기(54)가 제1멈춤홈(13)에 위치된 후 해제 부재(60)가 미러 부재(50)를 고정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1)의 대부분의 구성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하, 도 1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1)와 다르게 제공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메인 케이스(10)의 내부에 미러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다. 미러 부재(50)는 메인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이동 부재(90)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부재(90)는 미러 부재(50)를 메인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동 부재(90)는 미러 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부재(90)는 미러 부재(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부재(90)는 지지부(91)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91)는 메인 케이스(10)의 형성된 가이드홈(93)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91) 중 적어도 일부분은 메인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91)는 사용자가 미러 부재(50)를 이동 시 지지부(91)를 통해서 미러 부재(50)를 메인 케이스(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미러 부재(50)를 사용 시 지지부(91)를 쥐고, 가이드홈(93)을 따라서 이동 시키면, 이와 결합된 미러 부재(50)가 메인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미러 부재(50)의 사용을 끝낸 경우, 지지부(91)를 쥐고 지지부(91)를 메인 케이스(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와 결합된 미러 부재(90)가 메인 케이스(10)의 내부로 위치할 수 있다.
도 8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의 미러 부재(50) 메인 케이스(10)의 외부로 위치 시 메인 케이스(10)와 일정한 경사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케이스(10)의 내부에 미러 부재(50)가 맞닿는 면이 경사지게 제공되어, 미러 부재(50)가 메인 케이스(10)의 외부로 이동 시 상향 경사진 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미러 부재는 플렉서블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형태로 따라서 구부러지게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거울만을 사용할 수 있어, 화장품으로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경우 이외에도 화장품 콤팩트 용기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러 부재의 수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미러부를 사용 시 손을 이용하여 각을 맞추지 않아도 미러부를 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부를 사용하여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어 그 작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화장품 콤팩트 용기 10: 메인 케이스
11: 메인홈 12: 메인 결합홈
13: 제1멈춤홈 14: 제2멈춤홈
15: 수용 공간 20: 함침재 부재
21: 함침재 케이스 23: 함침재
25: 도포부 30: 커버 부재
31: 커버 33: 커버 미러부
35: 커버 결합부 40: 미러 케이스
41: 수용홈 45: 메인 결합 돌기
47: 하부 결합홈 50: 미러 부재
51: 미러 몸체 52: 미러부
53: 해제홈 54: 멈춤 돌기
55: 탄성홈 60: 해제 부재
61: 버튼부 62: 몸체부
63: 해제 돌기 64: 해제 탄성부
65: 해제 탄성홈 67: 탄성부
70: 하부 케이스 71: 하부 결합 돌기

Claims (12)

  1. 화장품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에 함침재가 수용되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메인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메인 케이스 중 상기 커버 부재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는 미러 케이스와;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 중 상기 커버 부재가 위치하는 반대면에 형성된 메인홈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보여주는 미러부를 가지며, 상기 미러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위치할 수 있는 미러 부재와; 그리고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 시 상기 미러 부재와 결합된 결합력을 해제하여 상기 미러 부재를 외부로 위치시키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미러 부재는,
    상기 미러부가 배치되는 미러 몸체와;
    상기 미러부가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부로 이동 시 상기 미러 몸체의 이동을 멈추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를 향해서 돌출 형성된 멈춤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상기 미러 몸체가 상기 미러 케이스 내부에 위치 시 상기 멈춤 돌기와 결합되는 제1멈춤홈과;
    상기 미러부가 외부로 위치 시 상기 멈춤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미러 몸체를 고정하도록 제2멈춤홈이 형성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돌기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멈춤홈은 상기 제1멈춤홈보다 깊게 형성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미러 몸체에 형성된 탄성홈에 삽입되며, 상기 미러 부재가 외부로 위치 시 탄성력으로 상기 미러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미러 몸체에 형성된 해제홈에 삽입되는 해제 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상기 해제 돌기를 상기 해제홈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내측에 형성된 해제 탄성홈에 삽입되는 해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케이스는 상기 미러 부재가 위치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미러 부재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케이스의 가장 자리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케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홈의 가장 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메인 결합홈에 삽입되는 메인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미러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커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콤팩트 용기는,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미러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화장품 콤팩트 용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40328A 2017-10-26 2017-10-26 화장품 콤팩트 용기 KR10195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328A KR101954597B1 (ko) 2017-10-26 2017-10-26 화장품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328A KR101954597B1 (ko) 2017-10-26 2017-10-26 화장품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597B1 true KR101954597B1 (ko) 2019-03-06

Family

ID=6576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328A KR101954597B1 (ko) 2017-10-26 2017-10-26 화장품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572B1 (ko) * 2020-12-08 2022-04-05 정예리 콤팩트 용기
KR102450282B1 (ko) * 2021-04-09 2022-10-0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KR20230078113A (ko) * 2021-11-26 2023-06-02 이보람 올인원 파우더팩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0497A1 (en) * 2003-04-10 2004-10-14 Timothy Thorpe Cosmetic container with spring-biased mirror
KR101190041B1 (ko) * 2011-08-11 2012-10-12 한국과학기술원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0497A1 (en) * 2003-04-10 2004-10-14 Timothy Thorpe Cosmetic container with spring-biased mirror
KR101190041B1 (ko) * 2011-08-11 2012-10-12 한국과학기술원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572B1 (ko) * 2020-12-08 2022-04-05 정예리 콤팩트 용기
KR102450282B1 (ko) * 2021-04-09 2022-10-0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KR20230078113A (ko) * 2021-11-26 2023-06-02 이보람 올인원 파우더팩트
KR102626384B1 (ko) * 2021-11-26 2024-01-16 이보람 올인원 파우더팩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597B1 (ko) 화장품 콤팩트 용기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KR100962046B1 (ko) 화장품 용기
KR20150010190A (ko) 화장품 용기
KR101222087B1 (ko) 다단형 화장품 용기
KR101424591B1 (ko) 콤팩트
KR200478805Y1 (ko) 스펀지함침형 화장제용기
KR20040077988A (ko) 화장품 용기
KR10162532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US20160113374A1 (en) Applicator with Hidden Product
KR20160003510U (ko) 가압용기를 갖는 겔상 화장품 용기
KR101886143B1 (ko)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KR200375537Y1 (ko) 화장용구
EP3935994B1 (en) Slide-type cosmetic compact case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KR102118150B1 (ko) 작동 레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019732B1 (ko) 아이브로우 스탬프
KR20120000457U (ko) 화장품 도포 용기
KR20170003567U (ko) 화장용 함침재 리필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78686B1 (ko) 화장품 용기
KR102052996B1 (ko) 화장품 컴팩트 용기
KR200492242Y1 (ko) 화장용 함침재 리필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45527B1 (ko) 외부 용기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20120114409A1 (en) Storage structure for make-up powder applicator
KR20190139401A (ko) 듀얼 콤팩트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