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435B1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435B1 KR101954435B1 KR1020120127738A KR20120127738A KR101954435B1 KR 101954435 B1 KR101954435 B1 KR 101954435B1 KR 1020120127738 A KR1020120127738 A KR 1020120127738A KR 20120127738 A KR20120127738 A KR 20120127738A KR 101954435 B1 KR101954435 B1 KR 101954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focus adjustment
- camera modules
- parallel
- blur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7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foc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7—Determining parameters from multiple pi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48—Varying foc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영상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보간 정보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영상 합성의 원리를 보여준다.
도 7은 보간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의 영상 합성의 원리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합성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영상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7)
- 복수의 촬영 영상을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선택 초점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촬영 영상의 각각을 평행 이동하여 복수의 평행 이동된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평행 이동부;
상기 복수의 촬영 영상 중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촬영 영상 사이에서 상기 선택 초점 면을 기준으로 한 디스패러티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큰 위치의 보간 정보를 생성하는 보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보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평행 이동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재초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배치 행렬 상에서 소정의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제외하고서 나머지 엘리먼트들에 배치되는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위치의 디스패러티를 소정의 스텝 사이즈에 따라 복수의 스텝으로 나누고, 복수의 스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보간 픽셀 값을 포함하는 보간 정보를 생성하는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초점 영상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 중 기준 영상의 깊이 지도를 생성하는 깊이 지도 생성부; 및
상기 기준 영상을 블러링하여 재초점 영상을 생성하는 블러링 필터를 더 포함하는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 필터는
상기 깊이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기준 영상의 각 위치와 선택 초점 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따라 블러링 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블러링 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영상을 블러링하는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베이스라인을 가지는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7738A KR101954435B1 (ko) | 2012-11-12 | 2012-11-12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7738A KR101954435B1 (ko) | 2012-11-12 | 2012-11-12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0861A KR20140060861A (ko) | 2014-05-21 |
KR101954435B1 true KR101954435B1 (ko) | 2019-03-05 |
Family
ID=5089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7738A KR101954435B1 (ko) | 2012-11-12 | 2012-11-12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43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5405B1 (ko) * | 2009-11-02 | 2011-03-28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촬영 장치 |
JP2012147088A (ja) * | 2011-01-07 | 2012-08-02 | Nikon Corp | 撮像装置 |
-
2012
- 2012-11-12 KR KR1020120127738A patent/KR1019544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5405B1 (ko) * | 2009-11-02 | 2011-03-28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촬영 장치 |
JP2012147088A (ja) * | 2011-01-07 | 2012-08-02 | Nikon Corp | 撮像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0861A (ko) | 2014-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29010B1 (ja) | 撮像装置 | |
US9412151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US8743245B2 (en) |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WO2011065738A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12123296A (ja) | 電子機器 | |
US20150054986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6655379B2 (ja) | 焦点スタックから適応スライス画像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10957021B2 (en) | Method for rendering a final image from initial images acquired by a camera array, corresponding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carrier medium | |
CN103702032A (zh) | 图像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 |
JP6486603B2 (ja) | 画像処理装置 | |
US10154205B2 (en)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 |
JP5631935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 |
US20190370937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2014164574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616297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1954435B1 (ko) | 초점 조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
JP2019175283A (ja) | 認識装置、認識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座標検出方法 | |
US20150271470A1 (en) | Method of using a light-field camera to generate a full depth-of-field image, and light field camera implementing the method | |
WO2010141533A1 (en) | Generating images with different fields of view | |
JP2020009099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7211271B2 (ja) | 画像選択方法、画像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選択装置 | |
JP5906848B2 (ja) |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補正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8133064A (ja) |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2016062447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5636966B2 (ja) | 誤差検出装置及び誤差検出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