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168B1 -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168B1
KR101954168B1 KR1020180011049A KR20180011049A KR101954168B1 KR 101954168 B1 KR101954168 B1 KR 101954168B1 KR 1020180011049 A KR1020180011049 A KR 1020180011049A KR 20180011049 A KR20180011049 A KR 20180011049A KR 101954168 B1 KR101954168 B1 KR 10195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voltage
illuminanc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룩스
Priority to KR102018001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45
    • H05B33/0809
    • H05B33/0887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는, 전원공급 및 조도 레벨의 설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생성부,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 생성한 전압에 의해 동작하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조도 레벨을 판단하여 판단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턴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관계된 조도 레벨로 발광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n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조명장치의 발광부 또는 전자제품의 발광소자를 상용전원이 인가될 때 바로 감지하여 디밍 제어하는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기를 흘려주면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를 말하며, 이러한 LED는 조명장치 등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LED 조명은 전기에너지에서 빛에너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이 매우 적은 고효율의 제품으로 빛의 강도와 색상을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깜박임 현상(flickering)이 없어 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서 최근 LED 조명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색재현율이 좋고 친환경적이라는 점은 논외로 한다 하더라도 LED의 대표적인 장점은 형광등 램프와는 달리 쉽게 조도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이는 주로 전류값을 조절하거나 전압값을 조절하여 LED의 밝기를 조절하며, 이외에도 전압값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밝기를 조절하는 펄스폭변조(PWM) 방식도 있다.
그런데, LED라 할지라도 조도조절 제어를 하기 위해 조도조절 스위치, 조도조절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조도조절 전용 전원공급장치(SMPS 또는 컨버터) 및 조도조절용 LED 전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설치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디밍(dimming) 즉 조도조절을 위한 스위치는 형태와 기능, 조작방법 등에서 여러 가지가 있지만 사용방법이 복잡해 설치나 조작에 어려운 경우가 있다.
나아가, 통상 LED를 적용한 방등, 거실등 같은 조명장치(또는 등기구)들은 등기구 내부에 LED와 컨버터(혹은 SMPS)가 장착이 된다. 예컨대, 입력전력 50W LED 방등의 경우 2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출력비율을 70%, 30%로 나누어 35W(70%), 15W(30%)의 컨버터 2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런 방식은 컨버터가 2개가 장착되므로 컨버터의 입력선과 출력선이 그만큼 많아져서 결선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 또 컨버터 2개가 소요되므로 그 만큼 비용이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TV, 냉장고, 세탁기 등 전자제품들은 리모컨이나 스위치 등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항상 전원이 투입되어 상시로 스위치들을 감지하는 대기상태로 있어야 하며, 이는 대기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미사용 전자제품들은 전기를 절약하기 위해 전원코드를 뽑아놓기도 하는데, 이는 기기의 사용에 많은 번거로움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외에도 LED는 인체에 눈부심을 주기도 하는데, 컨버터(혹은 SMPS)의 출력 리플이 클수록 즉 플리커가 클수록 눈의 피로가 가중되기 때문에 LED 조명장치 등의 개발 또는 설치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특허문헌 1: KR등록특허 제0970613호(2010.07.15) 특허문헌 2: KR등록특허 제1201803호(2012.11.15) 특허문헌 3: KR등록특허 제1440954호(2014.09.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조명장치의 발광부 또는 전자제품의 발광소자를 상용전원이 인가될 때 바로 감지하여 디밍 제어하는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는, 전원공급 및 조도 레벨의 설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생성부,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생성한 전압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조도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턴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관계된 조도 레벨로 발광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값의 조도 레벨이 설정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조도 조절부를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각각 설정된 조도 레벨의 합산된 레벨로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상기 조도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압생성부는, 교류(AC) 형태로 입력된 상기 외부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부전원을 직류(DC)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필터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정류회로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류회로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브리지 형태로 구성된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로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감지하는 신호간섭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간섭 차단부는, 상기 출력단의 일측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단의 타측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감지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생성부는,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 및 상기 신호간섭 차단부를 통과한 직류 전압을 변환하는 단일 컨버터(unit converto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일 컨버터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될 때 생성되는 상기 정류회로의 직류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의 구동방법은, 전원공급 및 조도 레벨의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전압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감지한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조도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턴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관계된 조도 레벨로 발광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값의 조도 레벨이 설정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각각 설정된 조도 레벨의 합산된 레벨로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상기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필터부가 교류 형태로 입력된 상기 외부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정류회로부가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외부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필터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정류회로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도조절장치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다이오드가 브리지 형태로 구성된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로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아파트 등의 주거시설에 사용하던 스위치(예: 2구(2회로) 스위치)) 즉 벽 스위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값비싼 디밍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아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 기설치되었던 벽 스위치를 사용하여 2개의 스위치로 조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매우 간편할 것이다.
또한, 종래 복수의 컨버터로 구현하던 기능을 한개로 구현할 수 있고, 또 결선과 구성이 간단해져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약될 것이다.
나아가 TV, 세탁기 등의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스위치를 온시켰을 때 들어오는 220V의 상용전원을 그대로 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에서처럼 대기상태가 없어 대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조도조절장치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필터부 및 제1 정류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컨버터, 제2 정류회로 및 피드백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2의 감지부, 정전압회로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2의 정전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90)는 전압생성부(100), 제어부(110), 감지부(120) 및 조도 조절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조도 조절부(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장치(90)가 구성되거나 감지부(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전압 생성부(100)나 제어부(1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조도 조절부(130)는 FET 등과 같이 디밍 제어를 위한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부의 발광소자들을 생성할 때 제조공정상 동일 기판상에 함께 생성될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칩에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전압생성부(혹은 전압공급부(SMPS), 전압변환부)(100)는 전압생성부(100)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SW1, SW2)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될 때 입력되는 상용전원(예: 220V, 110V 등)을 이용하여 조도조절장치(90)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사용하기 위한 전압(예: DC 36V)을 생성한다. 더 정확히 말해, 전압생성부(100)는 조도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SW1, SW2)에 기설정된 설정값 즉 조도조절값에 따라 전압이 생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설정값"이란 스위치마다 매칭되어 있는 일종의 조도 레벨값을 의미한다. 가령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되었을 때 전체 출력의 30%로 발광되도록 하였다면, 30%의 발광 출력이 설정값이 되는 것이다.
전압생성부(100)는 가령, 발광부의 LED를 더 효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압의 크기를 더 증가시키거나 전압의 특성(예: 전압의 파형) 등을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발광부의 LED를 정전류로 구동하는 경우 전압을 높여야 더 많은 전류를 LED로 수월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든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경우 전압생성부(100)는 발광부의 LED가 100%의 발광효율을 갖도록 전압을 높여줄 수 있다. 혹은 리플이 없는 안정적인 전압이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이나 전류의 특성을 변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만 턴온된 경우, 이에 상응하여 발광부의 LED가 발광효율을 갖도록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압생성부(100)는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팅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압의 전달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역률개선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역률개선을 위해서 피드백회로가 적용될 수 있다.
전압생성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류, 컨버팅, 나아가 평활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압생성부(100)는 정류 동작 이전에 내외부의 노이즈나 과도한 서지(surge) 전압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압생성부(100)는 반파, 전파, 브리지 정류회로 등을 통해 AC 형태로 입력된 상용전원을 DC로 변환하는 정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하프브리지, 풀브리지 형태 및 플라이백 컨버터 등을 통해 정류된 전압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이어 전압생성부(100)는 가령 플라이백 컨버터 등을 통해 변환된 전압을 다시 평활회로를 통해 평활하여 맥류가 없는 안정된 DC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생성부(100)는 스위치가 하나라도 턴온되면 교류 전원이 스위치를 통해 제공되어 컨버터를 구동시키면서 이의 과정에서 감지부(120)가 스위치 온/오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가 읽을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데, 2개의 스위치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신호간섭 차단부 또는 다이오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로 신호간섭 차단부가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여 가장 간단하게 다이오드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가령 다이오드 회로부는 정류 회로(부)가 브리지 정류회로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단(Vout) 양측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출력단의 일측에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다면 타측에는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는 서로 연결되어 스위치(예: SW2)의 일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감지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의 구성 결과, 전압생성부(100)는 가령 하나의 단일 혹은 단위(unit) 컨버터(예: 플라이백 컨버터)를 통해서도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에 의한 정류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110)는 전압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전압을 제공받아 동작하며, 조도조절장치(90) 내의 감지부(120) 및 조도 조절부(130)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감지부(120)에서 제공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즉 인식하여 복수의 스위치(SW1, SW2) 중 어떤 스위치가 턴온되었는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근거로 조도 조절부(130)를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10)는 발광부의 LED들이 정전류 구동할 수 있도록 조도조절부(130)를 PWM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기설정된 규약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SW1, SW2)가 모두 턴온된 경우 발광부의 LED가 100%의 발광출력을 낼 수 있도록 제어한다면, 복수의 스위치(SW1, SW2) 중 하나만 턴온되는 경우는 그 스위치에 상응하는 효율로 LED가 빛을 발광하도록 조도 조절부(13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감지부(120)에서 제1 스위치(SW1)나 제2 스위치(SW2)가 턴온된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턴온된 스위치를 2진 비트정보 '1'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2개의 스위치에 대하여 2비트 정보로 모든 스위치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가 모두 오프상태이면 2비트 정보 'OO'으로 인식하고, 모두 온 상태이면 '11'로 인식하여 이를 근거로 조도 조절부(130)를 제어하면 된다. 다시 말해,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되면 LED의 출력값은 전체 출력값의 30%로 조절하여 동작시키고, 제2 스위치(SW2)만 턴온되면 전체 출력값의 70%로 빛을 발광하도록 조도 조절부(130)를 조절하며, 모두 턴온된 경우는 전체 출력값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조도 조절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실례로, 제어부(110)는 위의 설정된 출력 비율에 따라 자체적으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조도 조절부(130)에 제공하면, 조도 조절부(130)는 그 수신된 PWM 신호에 따라 다수의 스위칭소자(예: FET 등)들의 듀티온 타임이 결정되어 발광부의 LED 소자들이 발광하는 형태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조도 조절부(130) 자체적으로도 오실레이터 등을 구비하여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PWM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감지부(120)는 가령 포토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전압생성부(100)에 연결되어 복수의 스위치(SW1, SW2)에 대한 턴온, 턴오프 동작을 감지한다. 각각의 스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부(120)는 제1 스위치(SW1)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와 제2 스위치(SW2)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감지부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소자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스위치가 동작하고 있는지만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감지부가 전류 감지부로 구성되어도 무관할 것이다.
조도 조절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발광부의 발광소자, 가령 LED 소자들을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LED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고정한 상태에서 LED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휘도 즉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반대인 정전압 제어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조도 조절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PWM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도 조절부(130)는 고정된 일정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 즉 폭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발광부를 구성하는 모든 LED 소자들에 위한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도 조절부(130)가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제1 스위치(SW1)의 턴온 동작에 상응하여 발광부의 전체 LED가 출력할 수 있는 빛의 30%만 출력하였다면, 제2 스위치(SW2)의 턴온 동작에 상응하여 전체 출력값의 70%만 빛을 출력하도록 PWM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조도 조절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LED에 공급되는 전류가 지속되도록 LED에 연결된 스위칭소자(예: TFT 소자)의 턴온 시간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기존의 아파트나 주거시설의 조명 교체시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그대로 적용하여 조명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절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위치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TV와 같은 전자제품의 코드를 뽑아두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정의 취침등의 경우에는 야간에만 활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낮에는 코드를 뽑아놓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도조절을 위한 스위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조도조절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코드를 뽑아놓아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LED가 100% 점등될 때, LED 정전류 제어회로에서 LED로 공급해주는 출력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때문에 전류의 리플이 미세한 수준에 미치므로 사용자의 눈부심을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조도조절장치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필터부 및 제1 정류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컨버터, 제2 정류회로 및 피드백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2의 감지부, 정전압회로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정전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도 3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조도조절장치(190)는 필터부(200), 제1 정류회로(210), 컨버터(220), 제2 정류회로(혹은 평활회로)(230), 피드백회로(240), 감지부(250), 정전압회로(260), 제어부(270) 및 정전류제어회로(28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필터부(200), 피드백회로(2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감지부(25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27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필터부(200)는 EMI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00)는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가령 콘센트의 일측(예: N상)과 제1 스위치(SW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 스위치(SW1)의 타측은 상용전원의 타측(예: L상)에 연결된다. 여기서 N상은 중성선(Neutral), L상은 전기가 흐르는 라이브(Live) 선을 나타낸다. 스위치(SW1, SW2)는 전기가 흐르는 선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고 안전을 위하여 L상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될 때 필터부(200)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제1 정류회로(210)로 전달한다. 이의 과정에서 필터부(200)는 전원 입력 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낙뢰나 과도한 서지(surge) 전압 등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내부 또는 외부의 노이즈가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 즉 필터부(200)는 노이즈 차단 및 보호 회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필터부(200)는 감지부(250)와 또한 연결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W1)의 턴온 감지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필터부(200)의 출력단 일측(A)에 감지부(250)의 제1 스위치(SW1)의 일측 단자(측)(A')에 연결된다.
제1 정류회로(210)는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되어 필터부(200)를 통해 전압이 제공되면 제공된 상용전원을 정류한다. 반파 정류, 전파 정류 등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지만, 안정된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파 정류가 바람직하다. 만약,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되지 않아 필터부(200)를 통해 제공되는 전압이 없는 경우, 제1 정류회로(210)는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제공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한다.
만약, 스위치부(170)의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가 모두 턴온된 경우, 제1 정류회로(210)는 필터부(200)를 통해 제공된 제1 전류원과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제공된 제2 전류원의 경로가 동시 동작하게 된다. 즉 수동적으로 전류만 흘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경로가 동시 동작하는 경우, 가령 제1 정류회로(210)의 출력단과 컨버터(부)(220)의 입력단에 연결된 차징부, 가령 커패시터(C14)는 하나의 스위치(SW1, SW2)가 턴온될 때에 비해 빠른 차징 동작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도 3에서 볼 때, 제1 정류회로(210)는 필터부(200)의 출력단에 연결된 브리지 정류회로를 포함하며,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신호간섭 차단부(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간섭 차단부(210a)는 2개의 스위치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SW1)는 가령 필터부(20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SW2)는 제1 정류회로(21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예컨대, 신호간섭 차단부(210a)는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단 양측에 각각 서로 반대 극성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다이오드(D5, D6)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2개의 스위치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다이오드(D5)는 출력단의 일측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D6)는 출력단의 일측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D5)의 캐소드 단자와 제2 다이오드(D6)의 애노드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제2 스위치(SW2)의 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감지부(250)에 공통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용을 절약하고 간단하게 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2개의 다이오드로 회로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신호간섭 차단부(210a)를 다이오드 회로부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볼 때, 제1 정류회로(210)의 출력단(C, D)은 컨버터(220)의 입력단(C', D')과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간단히 다이오드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자재값이 절감되고 제품의 사이즈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될 때, 상원전원의 양(+)전원은 브리지 정류회로의 4번 단자쪽의 (순방향) 다이오드(D1), 부하측(출력) 커패시터(C14), 그리고 D1에 마주보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전류 경로(pass)가 형성되고, 음(-)전원은 브리지 정류회로의 2번 단자쪽의 (순방향) 다이오드(D3), 부하측(출력) 커패시터(C14), 그리고 D3에 마주보는 다이오드(D4)를 통해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반면 제 스위치(SW2)가 턴온될 때, 상원전원의 양(+)전원은 브리지 정류회로의 4번 단자쪽의 (순방향) 다이오드(D1), 부하측(출력) 커패시터(C14), 제1 다이오드(D5)를 통해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음(-)전원은 제2 다이오드(D6), 부하측(출력) 커패시터(C14), 그리고 브리지 정류회로의 4번 단자쪽의 다이오드(D4)를 통해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만약, 두 개의 스위치(SW1, SW2)가 동시에 턴온되는 경우 앞서 언급한 대로 두 개의 전류 경로가 동시 동작하여 부하측 커패시터(C14)에 차징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커패시터(C14)의 차징 전압이 컨버터(220)에 입력된다.
컨버터(220)는 제1 정류회로(210)를 통해 입력된 정류 전압의 크기나 특성을 변환한다. 즉 컨버터(220)는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레벨 업 동작을 수행하거나 전압의 특성 가령 파형을 변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버터(220)는 하프 브리지나 풀 브리지 형태로 구성된 스위칭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플라이백 컨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플라이백 컨버터는 제품의 역률(PF: Power Factor)을 개선하고, 플라이백 방식의 회로구성으로 스위칭하고 구동되어 정전압을 출력한다. 플라이백 컨버터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절연현 SMPS의 회로방식으로서 벅-부스터 컨버터의 절연형이라 이해하면 좋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정류회로(230)는 컨버터(22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2 정류회로(230)는 컨버터(220)를 통해 출력된 전압을 제공받아 컨버터(220)의 출력을 2차 정류하고, 출력 리플(ripple)을 줄인다. 제2 정류회로(230)는 평활 동작도 수행한다고도 볼 수 있다. 즉 맥류가 없는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도 4에서 볼 때, 제2 정류회로(230)는 컨버터(2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안정된 36V의 DC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전원전압(Vcc)은 정전압회로(260)와 정전류 제어회로(280)에 제공될 수 있다.
피드백회로(240)는 귀환(feedback) 동작에 의해 제2 정류회로(230)를 통해 안정된 전원전압이 출력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피드백회로(240)는 제2 정류회로(230)에서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여 컨버터(220)에 되먹임 즉 제공하면, 컨버터(220)는 이를 근거로 컨버팅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입력 대비 출력 전압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컨버터(220)는 컨버팅 동작에 의해 전압이 일부 변동되더라도 빠르게 바로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볼 때, 피드백회로(240)는 제2 정류회로(230)에서 전류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감지부(250)는 가령 포토 커플러를 포함한다. 감지부(250)는 필터부(200)와 제1 정류회로(210)에 각각 연결된다. 더 정확하게는 필터부(20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1 정류회로(210)의 출력단, 더 정확하게는 신호간섭 차단부(210a)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의 온/오프 동작을 감지한다. 감지부(250)는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감지한다고 볼 수 있다.
감지부(250)는 각 스위치(SW1, SW2)를 통해 인가된 상용전원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감지부는 상용전원이 인가될 때 동작하는 감지센서(예: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감지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감지부(250)의 각 감지부의 감지센서가 동작하면 제어부(270)는 이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정전압회로(260)는 제2 정류회로(230)에서 제공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제어부(270)에 안정된 전압을 제공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압회로(260)는 제2 정류회로(230)에서 제공하는 36V 전압을 이용하여 제어부(270)에서 필요한 5V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정전압회로(260)의 출력단(+5V와 접지)이 제어부(270)의 전원전압 입력단(+5V와 접지)에 연결된다.
가령, 도 5에서 볼 때, 감지부(250)는 제1 스위치(SW1)과 제2 스위치(SW2)의 턴온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스위치(SW1)과 제2 스위치(SW2)가 턴온되어 광센서가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270)를 구성하는 IC 소자의 2번 단자(RA5)와 3번 단자(RA4)로 전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전류가 있을 때, 제어부(270)는 관련 스위치가 턴온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유입되는 신호(예: 전류)가 없으면 턴오프된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270)는 감지부(2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70)는 제1 스위치(SW1)만 턴온될 때, 제2 스위치(SW2)만 턴온될 때, 또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가 모두 턴온될 때 이에 상응하는 값으로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은 이미 제어부(270)에 프로그램적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어부(270)는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270)는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PWM 제어할 수 있다.
<표 1>은 제어부(270)의 동작 매커니즘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발광부(180)의 발광소자가 최대로 낼 수 있는 출력값 즉 발광 최대 출력값을 100%라 할 때, 턴온된 스위치 상태에 따라 어떻게 조도를 조절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표 1]
Figure 112018010313135-pat00001
제어부(270)는 가령 앞서 언급한 대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의 동작을 2비트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250)를 통해 감지된 결과가 2비트 정보 '11'이면 모든 스위치가 턴온된 상태라 인식하는 것이다. 실제로 제어부(270)의 프로그램은 그렇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70)는 발광부(180)의 LED들이 모두 동작하도록 하거나, 일부의 LED들이 최대로 발광하여 동작하도록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어부(270)는 제1 스위치(SW1)만 턴온되는 경우, 발광부의 출력이 최대 출력의 30%가 되도록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제어하고, 제2 스위치(SW2)만 턴온되는 경우에는 최대 출력의 70%가 되도록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제어한다. 그리고 모두 턴온된 경우에는 발광부가 최대 출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전류 제어회로(28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이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각각의 LED들이 모두 최대 정격으로 빛을 출력하고, 모든 LED들이 출력값을 동일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부(180)의 LED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시키는지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전체 LED들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을 제어하든, 발광영역을 구분한 후 분할 구동시켜 위의 동작을 수행하든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어디까지만 초기 시스템 설계자의 설계의도 또는 제품 출고시에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70)는 마이프로프로세서(이하, 마이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컴은 CPU를 포함하며,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PU는 제어회로, 연산회로부(ALU), 레지스트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볼 때, 제어부(270)는 집적화된 IC와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IC는 마이컴 또는 CPU를 형성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정전류 제어회로(280)는 제어부(27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부(180)를 구동시키며, 전류가 일정한 양으로 출력되게 정전류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27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는 PWM 신호로서 PWM의 듀티비에 따라 출력의 양을 설정하게 된다. 즉 듀티비의 조절에 따라 듀티 온타임을 길게 유지함으로써 LED로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LED의 발광 출력을 높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조절장치(190)는 컨버터를 한개만 사용해서 기존의 아파트나 주거시설에 기설치된 스위치(예: 2구 스위치)를 그대로 적용하여 저렴하게 조명을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한 회로도를 설명하면서 부품소자들의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해당 기술분야에 전문지식을 가진 자 즉 당업자라면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그 연결 관계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고, 또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블록다이어그램을 구체화하기 위한 예시도에 불과하므로, 부품들의 연결 관계와 관련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명의 핵심 논지를 흐르지 않기 위해 생략하는 것인만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사상을 벗어난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조절장치(90)는 전원공급 및 조도 레벨의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예: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한다(S700).
이어, 조도조절장치(90), 더 정확하게는 조도조절장치(90)의 감지부는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한다(S710). 다시 말해, 특정 스위치를 통해 상용전원이 인가되면 감지부가 가동하고, 제어부는 이를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도조절장치(90)의 제어부는, 생성된 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조도 레벨을 판단하여 판단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720). 예컨대, 조도조절장치(90)는 룩업테이블(LUT)상에 스위치 동작 상태에 따른 2비트 정보와 그에 매칭되는 제어값을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2개의 스위치를 통해 모두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를 '11'의 상태로 판단하여 '11'의 신호에 매칭된 제어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는 제어값에 따른 PWM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조도조절장치(90)의 정전류 제어회로는 그 제어신호를 근거로 하여, 가령 사용자가 턴온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소자에 관계된 설정 레벨로 발광부의 조도를 제어하게 된다(S730). 가령, 정전류 제어회로는 제어부에서 입력된 PWM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발광부를 동작시키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위의 스위치의 턴온 과정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조명장치에서 이러한 조도 설정은 단순히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자신의 휴대폰(예: 스마트폰)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UI 화면을 통해서도 조작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고, 또 음성인식을 통해 조작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경우에는 그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음성인식부 등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부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예시한 스위치부는 일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부라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스위치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압생성부 110, 270: 제어부
120, 250: 감지부 130: 조도 조절부
170: 스위치부 180: 발광부
200: 필터부 210: 제1 정류회로
220: 컨버터 230: 제2 정류회로
240: 피드백회로 260: 정전압회로
280: 정전류 제어회로

Claims (8)

  1. 전원공급 및 조도 레벨의 설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생성부;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생성한 전압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조도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턴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관계된 조도 레벨로 발광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값의 조도 레벨이 설정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조도 조절부를 정전류 제어하며,
    상기 전압생성부는,
    교류(AC) 형태로 입력된 상기 외부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부전원을 직류(DC)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필터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정류회로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정류회로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브리지 형태로 구성된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로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감지하는 신호간섭 차단부를 포함하는 조도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각각 설정된 조도 레벨의 합산된 레벨로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상기 조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조도조절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간섭 차단부는,
    상기 출력단의 일측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단의 타측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감지부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도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생성부는,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 및 상기 신호간섭 차단부를 통과한 직류 전압을 변환하는 단일 컨버터(unit converto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일 컨버터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턴온될 때 생성되는 상기 정류회로의 직류 전압을 변환하는 조도조절장치.
  8. 전압생성부, 감지부, 제어부 및 조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도조절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전압생성부가, 전원공급 및 조도 레벨의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한 전압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감지한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조도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 조절부가, 상기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턴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관계된 조도 레벨로 발광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값의 조도 레벨이 설정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조도 조절부를 정전류 제어하며,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압생성부에 포함되는 필터부가, 교류(AC) 형태로 입력된 상기 외부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생성부에 포함되는 정류회로부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외부전원을 직류(DC)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필터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정류회로부의 출력단과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단계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브리지 형태로 구성된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단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정류회로부에 포함되는 신호간섭 차단부가,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로 제공되는 외부전원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도조절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80011049A 2018-01-30 2018-01-30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95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49A KR101954168B1 (ko) 2018-01-30 2018-01-30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049A KR101954168B1 (ko) 2018-01-30 2018-01-30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168B1 true KR101954168B1 (ko) 2019-03-05

Family

ID=6576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049A KR101954168B1 (ko) 2018-01-30 2018-01-30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1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42B1 (ko) * 2018-08-30 2020-01-08 문재호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플리커 프리 디밍 컨버터로 구동되는 led 조명기구
KR20210012507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스마테크 엘이디 조명장치와 조명방법
WO2023210900A1 (ko) * 2022-04-28 2023-11-02 신선영 엘이디 조명등의 조도 제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834A (ja) * 2008-03-31 2009-10-22 Sharp Corp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0970613B1 (ko) 2009-11-16 2010-07-15 주식회사 플레넷 엘이디 램프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01803B1 (ko) 2012-05-15 2012-11-15 (주)선일일렉콤 점등스위치형 디밍제어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디밍 제어장치
KR101440954B1 (ko) 2014-03-28 2014-09-18 (주)선일일렉콤 점등 스위치를 통한 smps 일체형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5261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유니룩스 다수의 스위치의 설정값에 따른 조도조절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834A (ja) * 2008-03-31 2009-10-22 Sharp Corp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0970613B1 (ko) 2009-11-16 2010-07-15 주식회사 플레넷 엘이디 램프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01803B1 (ko) 2012-05-15 2012-11-15 (주)선일일렉콤 점등스위치형 디밍제어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디밍 제어장치
KR101440954B1 (ko) 2014-03-28 2014-09-18 (주)선일일렉콤 점등 스위치를 통한 smps 일체형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5261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유니룩스 다수의 스위치의 설정값에 따른 조도조절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42B1 (ko) * 2018-08-30 2020-01-08 문재호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플리커 프리 디밍 컨버터로 구동되는 led 조명기구
KR20210012507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스마테크 엘이디 조명장치와 조명방법
KR102286034B1 (ko) * 2019-07-25 2021-08-05 주식회사 스마테크 엘이디 조명장치와 조명방법
WO2023210900A1 (ko) * 2022-04-28 2023-11-02 신선영 엘이디 조명등의 조도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241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US20130127356A1 (en) Led driv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20110109249A1 (en) Dimmable led lamp and dimmable led lighting apparatus
KR101002600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회로
TW201328432A (zh) 可全相位啟動三極交流開關之主動洩流電路及使用該主動洩流電路之發光元件電源供應電路與三極交流開關控制方法
KR101954168B1 (ko) 조도조절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4110244A (ja) Led照明装置、その電流レギュレータおよび電流レギュレーティング方法
JP2010045913A (ja) 駆動装置
US9801246B2 (en) Dimmable LED light
US20130271012A1 (en) Illumination system
KR101594699B1 (ko) 교류 전력선 통신 장치
CN216531846U (zh) 一种红外中继器、led灯及led灯照明系统
US20110279042A1 (en) Led lighting system with auto and manual dimming functions
US11683876B2 (en) System for wireless control of electrical loads
JP6603763B2 (ja) 照明システム
CN214205895U (zh) 开关控制电路、灯具
KR20140070126A (ko) 조명 구동 장치 및 조명 구동 방법
KR102125810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10616982B1 (en) Single live-wire power fetch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flickering and enhancing power fetching efficiency
de Britto et al. Zeta DC/DC converter used as led lamp drive
CN112369125B (zh) 用于与高频电子镇流器一起使用的led驱动器和led照明系统
KR20140018801A (ko) 싱글 스테이지 포워드-플라이백 컨버터, 전원 공급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전원 공급 장치
CN110099476B (zh) 一种高集成度高pf智能调光电路结构
US20210350640A1 (en) A system and scanning device for granting user access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ble) mesh
KR20150081139A (ko)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