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967B1 -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 Google Patents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967B1
KR101953967B1 KR1020170034009A KR20170034009A KR101953967B1 KR 101953967 B1 KR101953967 B1 KR 101953967B1 KR 1020170034009 A KR1020170034009 A KR 1020170034009A KR 20170034009 A KR20170034009 A KR 20170034009A KR 101953967 B1 KR101953967 B1 KR 10195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mark
musical
information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215A (ko
Inventor
송지혜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송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혜 filed Critical 송지혜
Priority to KR102017003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967B1/ko
Priority to CN202211695527.1A priority patent/CN116071981A/zh
Priority to CN201810218056.2A priority patent/CN108630174A/zh
Publication of KR2018010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악기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으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 등과 같은 연주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연주자의 손 조작, 몸통 조작, 발 조작, 입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연주용 시각표식이나 연주용 촉각표식에 관한 것이며,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표식은 특정 음의 연주나 이에 필요한 기교를 실행하기 위한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해부학적 자세를 반영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해부학적 자세를 반영하거나, 또는 연주자가 상기 표식으로부터 또는 주석부로부터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를 연상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Description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본 명세서는 악기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으로, 건반악기 (일예로 피아노, 올갠 등과 같이 연주자가 건반을 손으로 조작하거나 페달을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현악기 (일예로 바이올린, 첼로, 기타 등과 같이 연주자가 현을 직접 손 또는 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관악기 (일예로 플룻, 오보, 클라리넷 등과 같이 연주자가 입으로 공기를 진동시키며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타악기 (일예로 북이나 드럼 등과 같이 연주자가 물체를 손, 스틱, 또는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등의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 등과 같은 연주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1] 연주자의 손 조작, 몸통 조작, 발 조작, 입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3]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연주용 시각표식이나 연주용 촉각표식에 관한 것이며,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은 [1] 특정 음을 연주하거나 이에 필요한 기교를 실행하기 위한 연주자의 손, 몸통, 발, 입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해부학적 자세를 반영하거나, [2]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손, 몸통, 발, 입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해부학적 자세를 반영하거나, 또는 [3] 연주자가 상기 표식으로부터 또는 주석부로부터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를 연상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상기 표식에 따라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보다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다양한 세부표식 또는 보조표식, 상기 표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악보, 또는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제작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이용하여 더욱 균일한 학습을 수행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기교를 실행하거나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며 상기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악기는 건반악기, 현악기, 타악기, 관악기 등으로 구분되며, 연주자는 악보에 적혀진 음표나 기호에 따라 자신의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조작함으로써 소리를 발생한다. 일예로 연주자는 양손으로는 건반을 조작하고 발로는 페달을 조작함으로써 피아노나 올갠 등과 같은 건반악기를 연주하거나, 한 손으로는 현을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는 활을 조작함으로써 바이올린이나 첼로 등과 같은 현악기를 연주한다. 또한 연주자는 입으로 마우스피스를 불며 양손으로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함으로써 플룻, 오보,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본 등의 관악기를 연주하거나, 손이나 발로 물체를 조작하여 북이나 드럼 등의 타악기를 연주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하려면 손이나 발의 조작을 습득해야 하지만, 이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또한 손이나 발의 단순 조작만으로는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음악적 효과를 표현할 수도 없다. 일예로 연주자가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의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격하면 일정한 음이 연주된다. 하지만 상기 음의 특징은 손가락 타격의 다양한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징에 따라 상이해진다. 즉 손가락의 타격 속도, 타격 강도는 물론 타격 각도나 타격 시간에 따라 음의 강약은 물론 음의 울림, 음색 등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연주자가 건반의 상부 또는 하부를 타격함에 따라서도 음색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손가락 타격과 함께 또는 손가락 타격을 전후하여 발로 특정 페달을 밟음에 따라 음의 울림, 길이 등의 음색이 상이해짐은 물론 음을 제거하거나 음량을 일정한 정도로 줄일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은 현악기에서도 쉽게 나타난다. 일예로 연주자가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의 특정 현을 왼손의 특정 손가락으로 누른 후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면, 일정한 음이 연주된다. 하지만 상기 음의 특징 역시 왼손가락의 위치나 왼손가락으로 누르는 강도, vibrato 등에 따라 상이해지며, 활을 오른손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함에 따라 음의 강약, 길이는 물론 음의 울림이나 음색이 상이해진다. 이러한 특징은 입과 손을 사용하는 관악기는 물론 손발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사용하는 타악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악기는 손 또는 손과 발을 악보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작하는 기법을 습득하여야한다는 진입장벽이 존재한다. 일예로 바이올린이나 첼로와 같은 현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수많은 음에 해당하는 음의 위치 및 화음을 익히고, 이를 위한 손가락의 위치 및 운지법을 익히는데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학습자가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특정 건반만 타격하면 되므로, 피아노의 진입장벽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간주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학습자가 손이나 발로 피아노 현을 울림으로써 발생하는 음의 크기나 공명을 조작하거나, 음의 강약이나 진동 또는 울림을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음악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려면 이 역시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동일한 음이라 하더라도 그 음색은 학습자의 건반 타격 강도(즉 타격하는 힘의 강도)나 타격 각도와 속도는 물론 발을 이용한 페달 조작 등에 의하여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여도 전공자와 학습자의 차이점이 뚜렷하게 드러날 수밖에 없다.
또한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또는 타악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음을 연주할 때에는 전공자와 학습자의 차이점이 더욱 뚜렷이 드러난다. 일예로 연주자가 피아노나 올갠의 다수의 건반을 한꺼번에 타격하여 화음을 연주할 때 연주자는 다양한 연주 기법으로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작곡가 역시 이를 위하여 건반악기 악보에 양손을 이용한 타격의 크기 조절은 물론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는 장단, 감증 화음의 다양한 조합, 양팔을 벌려 넓은 영역의 건반을 타격하는 아르페지오(arpeggio, 즉 단일 화음에 속하는 다수의 음들을 동시에 연주하지 않고 고음이나 저음부터 한 음씩 차례로 연속적으로 연주하는 주법) 및 발로 페달을 동시에 조작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건반악기로 소리를 내는 학습자가 전공자 수준으로 음을 연주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 연주자가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의 다수의 현을 동시에 연주할 때에도 왼손의 위치는 물론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는 강약이나 순서는 물론 오른손을 움직이는 속도나 폭 등에 의해서도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전공자 수준으로 바이올린을 연주하려면 왼손가락으로는 현을 조작하며, 동시에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는 다양한 음악적 기교는 물론 이에 의한 음악적 표현을 숙지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악기를 배우는 학습자는 손이나 발로 악기의 다양한 부분을 조작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밖에 없다. 일예로 피아노 학습자는 피아노 건반을 타격함에 따르는 음의 발생 및 소멸을 확인하는 방법, 손가락이나 손목 또는 손의 바람직한 위치나 각도 및 기타 타격 방법, 손가락이나 손목 또는 손과 연결된 팔이나 어깨뼈(견갑골)의 자세 및 기타 조절 방법, 페달을 이용한 음의 울림이나 소멸 등을 습득해야 한다. 이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에도 발 조작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요구된다. 한편 현악기의 경우, 연주자는 손이나 발의 조작 외에도 추가적으로 오른팔로 움직이는 활의 원활한 조작을 습득해야하며, 관악기의 경우에는 양손 조작은 물론 호흡기를 이용한 들숨과 날숨은 물론, 날숨의 양, 시간, 속도 등과 같이 다양한 호흡 조작도 추가적으로 습득해야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악보는 기존의 기보법에 따라 음악의 조, 음표, 음표의 강약이나 슬러 등과 같은 기본적 음악 기호, 또는 가사만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악보에 포함되지 않은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이 익숙해지도록 연습하는 학습자는 이러한 기교나 표현을 말이나 기호를 이용하여 악보에 기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악보의 제한된 공간에 상세한 설명을 기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더라도 자신의 학습 능력 및 강사의 강의 능력에 따라 상기 기교나 표현을 학습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물론 습득할 수 있는 기교나 표현력 역시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63548은 건반악기를 효과적으로 교습하기 위한 교구 세트를 제공하되 상이한 복수의 표지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연주 시 문제가 되는 부분의 해결책 또는 문제가 되는 부분에서 주의해야할 점 등을 표지를 통해서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표지를 악보에 붙일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하지만 상기 교구 세트는 건반악기에 국한되며, 특히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손가락 조작이나 손 조작의 일부에만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63548호(2009.06.18., 공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건반악기, 타악기, 관악기, 또는 현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에 수반되는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특정 음악적 기교를 용이하게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은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거나, 아예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연주자가 상기 조작이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은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으로 구성하되, 상기 표식은 [1] 상기 악보에 인쇄되거나, [2]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악보에 고정되거나, 또는 [3] 상기 악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용이하게 특정 신체 부위를 조작하고 특정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기 표식, 상기 세부표식, 또는 상기 악보는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을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조작하여 용이하게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첫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신체 부위(즉 손, 발, 몸통, 폐,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및 자세에 의한 악기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반악기나 타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연주자가 자주 발을 사용하지 않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 상기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및 자세에 의한 악기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악기나 관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첫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 상기 세부표식, 또는 상기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두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할 때 이에 필요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 및 자세에 의한 악기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수많은 문자나 숫자로 이루어진 문장(즉 구 또는 절)을 읽는 대신,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의 상당한 부분을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정보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이나 세부표식은 상기 문장보다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자나 숫자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아예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조작, 해부학적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1] 상기 정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인간의 신체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 상기 그림을 단순화한 아이콘, 또는 상기 그림을 의미하는 기타 기호, [2] 상기 정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되 상기 인간의 신체 부위 대신 동식물의 일반적 또는 특정 자세나 행동과 관련된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 상기 그림을 단순화한 아이콘, 또는 상기 그림을 의미하는 기타 기호, 또는 [3] 상기 정보를 간접적으로 묘사하되 연주자의 신체 부위나 동물의 신체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그림, 상기 그림을 단순화한 아이콘, 또는 상기 그림을 의미하는 기타 기호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표식은 어린이가 선호하거나, 어린이가 이해하기 용이하거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1], [2], 또는 [3]의 그림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성인일 경우에도, 상기 표식은 학습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긴 문장을 읽고 인지하는 대신 상기 표식의 시각적 또는 촉각적 특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두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를 연주자가 이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 번째 목적은 상기 다양한 그림, 이들과 관련된 다양한 아이콘이나 다양한 기호를 다양한 형태, 색, 또는 배열에 따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의 세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1] 악보에 인쇄하거나, [2] 이 외의 다른 방법으로 악보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3] 악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단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자신의 시각 또는 촉각을 이용하여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손 조작, 발 조작, 몸통 조작, 호흡기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호흡기 부위,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이와 관련된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은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 여러 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단일의 표식을 상기 시각표식은 물론 촉각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위 문장의 [3]과 같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시각표식 또는 하나 이상의 촉각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인지하기 편리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 다수의 상기 표식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표식 세트를 악보의 첫 부분이나 끝 부분에 포함시키거나, [2] 다수의 표식 세트를 상기 악보의 두 곳 이상의 부분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3] 상기 표식 세트를 상기 악보와는 별개의 물건 또는 독립적 물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보에 일부 표식을 인쇄하거나 고정시키는 한편, 나머지 표식은 상기 표식 세트에 포함시켜 연주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악보의 특정 부분에 다수의 표식을 일정 순서나 배열로 부착하여 다수의 신체 부위 조작에 대한 정보, 다수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특정 악기의 다수의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연주자 신체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식 세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시각표식 또는 하나 이상의 촉각표식은 악보 이외의 다른 물건에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자석에 붙는 칠판 또는 자석을 포함하는 칠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에 벨크로를 부착하여 상기 표식이 벨크로가 부착된 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단추, 요철 등 공지의 방법으로도 상기 표식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세 번째 목적은 다양한 상기 시각표식이나 촉각표식을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 세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네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특정 신체 부위를 조작하고 특정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도록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반악기의 경우, 상기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은 특정 기교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위한 [1] 손이나 팔 등의 상반신에 위치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상반신표식, [2] 어깨나 등, 배 등의 몸통에 위치한 몸통 부위와 관련된 몸통표식, [3] 발 등의 하반신에 위치한 하반신 부위와 관련된 하반신표식, 또는 [4] 입, 폐, 기도 등의 흉부에 위치한 호흡 부위와 관련된 호흡표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타악기의 경우 상기 표식은 전반적으로 건반악기의 상기 표식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반면, 발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 상기 표식은 건반악기의 상기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또는 호흡표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악기와 관악기 연주자의 하반신에 위치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상기 부위의 자세의 조작이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건반악기나 타악기의 상기 하반신 표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은 상기 몸통표식 또는 본 문단에서 열거한 두 개 이상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해당하는 두 개 이상의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표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단 건반악기 연주자를 위하여 구성한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하반신표식, 또는 호흡표식을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에 응용할 경우, 건반악기 연주자가 사용하는 신체 부위는 다른 악기 연주자가 사용하는 신체 부위와 상이할 수 있으며, 건반악기 연주자가 취하는 신체 부위 조작과 다른 악기 연주자가 취하는 신체 부위 조작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건반악기가 아닌 다른 악기 연주용 표식은 상기 연주에 필요한 신체 부위의 특성이나 상기 부위 조작의 특성에 따라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주석부를 이용하면 연주자에게 특정 악기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특정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네 번째 목적은 상기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하반신표식 또는 호흡표식을 구성하는 방법, 상기 표식에 다양한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 번째 목적은 상기 다양한 표식이나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상기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다섯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을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조작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반악기의 경우, 상기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또는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신체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이나 페달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건반이나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연주가가 건반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타격 속도, 타격 강도, 타격 각도, 타격 기간,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울림,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화음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건반이나 페달의 상부나 중부 또는 하부만을 타격하는지, 또는 건반이나 페달 전체를 타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이나 한 발, 또는 양손이나 양발로 건반이나 페달을 타격할 때의 손가락이나 발의 모양,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손등이나 발등의 모양, 손가락이나 발의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가 두 손이나 두 발을 사용할 경우, 상기 표식은 각각의 손이나 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양손이나 양발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의 유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각의 손이나 발의 정적 또는 정적 특성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현악기의 경우, 상기 상반신표식 또는 몸통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신체 부위로 현악기의 현이나 활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현이나 활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연주가가 현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누름 강도, 누름 각도, 누름 기간, 떨림, 떼는 시간, 또는 회전은 물론,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울림,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화음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활을 조작하는 오른손의 누름 강도, 누름 각도, 누름 기간, 누름 방향, 누름 방향 전환, 회전, 활을 움직이는 길이나 기간, 또는 회전은 물론,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이나 손가락 중앙으로 현을 누르는지, 또는 활의 앞이나 중앙 또는 뒤로 현을 누르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현을 누를 때의 손가락이나 손등 또는 손목의 모양,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등에 대한 정보나, 활을 누를 때의 손목이나 팔목 또는 어깨의 모양, 손목이나 팔목 또는 어깨의 각도나 회전, 또는 손목이나 팔목 또는 어깨의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는 두 손으로 현악기를 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연주자는 각각의 손에 대한 상기 표식을 인지할 수 있으며, 특정 표식은 양손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의 유사성이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관악기의 경우, 상기 상반신 표식 또는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신체 부위로 관악기의 마우스피스, 키(key), 링, 또는 홀 등과 같은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마우스피스, 키, 링, 또는 홀 등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키, 링 또는 홀 등과 같이 관악기의 특정 부위를 다루는 조작 및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은 그 속성이 건반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건반악기의 경우 크기가 일정한 건반들이 일정하게 또는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반면, 관악기의 키, 링, 홀 등은 그 크기가 상이하기도 하며, 그 배열조차 대칭이 아닌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은 이러한 구조 및 작동 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건반악기의 상반신표식과 상이할 수 있다.
한편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관악기에 주입하여 음을 발생하는 바람의 생성, 공급, 조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는 입, 기도, 또는 폐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는 들숨, 날숨은 물론, 입, 입술, 잇몸, 혀, 또는 치아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바람의 공급 유무, 공급량, 공급 시점 등을 조작하며, 이에 따라 관악기 호흡표식 역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은 일반적으로 견반악기 또는 현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더 다양하게 구성된다. 일예로 관악기 호흡표식은 텅잉(tonguing)을 이용하여 혀를 잇몸 또는 마우스피스에 붙였다 떼었다하며 음의 발생, 음의 소거 등을 조작함은 물론 비브라토, 더블 텅잉, 트리플 텅잉, 꾸밈음 등의 음악적 표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이를 위한 호흡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은 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 등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에 대한 표식은 서로 유사한 점도 있지만 상이한 점도 존재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건반악기, 특히 피아노 연주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식에 초점을 맞추었음을 알린다. 하지만 상기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특유의 표식 역시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를 이용하여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여섯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표식에 따라 [1] 특정 신체 부위를 균일하거나 일관성 있게 조작하거나, 상기 부위를 균일하거나 일관성 있는 해부학적 자세로 연습할 수 있도록, [2] 상기 조작이나 상기 해부학적 자세로 연습을 반복할 수 있도록, 또는 [3] 학습자가 최소한의 강사의 도움만으로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1] 상기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에 필요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2] 상기 음악적 기교나 표현과 관련된 해부학적 자세 등에 필요한 정보를 연주자가 용이하게,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표식은 상기 악보 중 [1] 연주자의 기교나 표현이 서투른 부분, 또는 [2] 상기 기교나 표현에 중요한 부분에 부착하여 연주자가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이용하여 일관성 있는 연습을 하는 방법, 연습을 반복하는 방법은 물론 연주자가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인지하도록 상가 표식이나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일곱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특정 신체 부위를 부적절하게 조작하거나 연주자가 부적절한 해부학적 자세를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부위의 부상이나 잘못된 자세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연주자의 손목 근육이나 인대 등 염증이나 파열로 인하여 쉽게 발생하는 이기간증, 건초염, 건염, 인대 파열, 또는 기타 신체적 부위의 조작 또는 상기 부위에 대한 바람직한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염증이나 파열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일곱 번째 목적은 염증이나 파열이 일어나기 쉬운 신체적 부위의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을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적 부위의 염증이나 파열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의 여덟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사용하되, 상기 표식을 주석부와 함께 일관적(consistency)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주석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연주자가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표식 및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은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식이나 세부표식이라도 이를 상이한 악기에 적용할 경우, 연주자는 이를 다른 의미로 인지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악보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또는 악보의 기타 특정 부분에 상기 악보에서 사용되는 각종 표식 또는 세부표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특정 표식이나 세부표식이 악보에서 처음 사용될 때 그 부분에 상기 주석부를 배치함으로써, 연주자는 특정 표식 또는 세부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특정 악기에 대하여, 또는 특정 악보에 한하여 특정 표식은 일관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또한 암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의 아홉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사용하되, 표준화된 표식 또는 규격화(standardization)된 표식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연주자가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독립적으로 또는 앞서 설명한 주석부와 함께 연주자가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다양한 신체 부위를 표준화 또는 규격화하거나,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를 표준화 또는 규격화하거나, 또는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를 표준화 또는 규격화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표식 또는 세부표식이 의미하는 특정 신체 부위, 또는 특정 자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의 특정 음악적 기교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건반악기 연주자의 특정 음악적 기교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 단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될 수 있으며,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다. 단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는 하나 이상의 하반신표식과 하나 이상의 상반신표식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첫 번째 그림과 첫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기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건반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두 번째 그림과 두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표식 중 하나 이상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고, 반면 상기 하반신 부위는 손가락, 손가락뼈, 손등, 손허리뼈, 손목, 손목뼈, 아래팔, 아래팔뼈, 위팔, 위팔뼈, 어깨, 어깨뼈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어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표식 세트는 밑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밑판에 부착되지만 상기 밑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는 다수의 표식을 포함하되, 상기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첫 번째 그림과 첫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하반신표식과, 상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건반과 상기 페달 중 하나 이상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두 번째 그림과 두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호흡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식 중 하나 이상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고,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어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표식 세트는 밑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밑판에 부착되지만 상기 밑판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전달한다. 단 상기 표식은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기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기 조작을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와 상기 동물의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페달의 조작에 대한 동물의 부위와 상기 동물의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상기 하반신 구조의 상기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을 의미하는 무생물에 대한 제3종 그림, 상기 제3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3종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될 수 있고, 상기 하반신표식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와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전달하되, 상기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상기 호흡 부위를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을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이며, 상기 호흡표식은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호흡표식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흡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호흡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호흡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및 관악기 중 하나의 악기의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와 상기 악기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이다.
또는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및 관악기 중 하나의 악기의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와 상기 악기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다.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은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건반악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와 호흡 부위 중 하나 이상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자세와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을 구성하는 구성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인지하면 상기 자세와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정보를 인지하여 용이하게 상기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상기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단계는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단순화화는 단계,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만화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구체화하는 단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구성단계는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단순화화는 단계,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만화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구체화하는 단계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악보”는 음악을 기존의 음악 기호, 음악 문자, 또는 음악 숫자 등으로 기보법에 따라 표시한 물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악보는 일반적으로 자리표(즉 높은 음 자리표나 낮은 음 자리표 등), 음악의 조, 음표, 음표의 강약, 샤프, 플랫, 슬러 등과 같은 기본적 음악 기호, 또는 가사를 포함한다. 일예로 기존의 기보법에 따라 사용되는 기존의 음악 기호는 다양한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 Harvard University Press Reference Library가 2003년 11월 출판한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4th ed.)」 (ISBN 0-674-01163-5) 등이 이러한 문헌이다. 또한 도 1은 기존 기보법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기호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악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특히 “건반악기”란 타격을 하면 소리를 발생하는 건반을 지닌 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건반악기의 예로는 피아노, 올갠, 파이프 올갠, 챔발로, 클라비코드, 아코디언 등이 있다. 피아노의 경우 건반을 타격하면 상기 건반이 피아노 내부의 현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하지만, 연주자가 직접 타격하는 부분은 건반에 해당한다. 이러한 속성 상 피아노는 타악기 또는 현악기의 특성을 가지지만, 연주자가 직접 타격하는 부위가 건반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건반악기로 분류한다. 또한 “현악기”란 조작하면 소리를 발생하는 다수의 현을 지닌 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현악기의 예로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하프, 기타는 물론 각 국가의 민속 현악기 등이 있다. 한편 “관악기”란 연주자가 입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진동에 의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로서 금관악기와 목관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관악기의 예로는 피콜로, 오보, 플룻, 클라리넷, 바순, 혼, 튜바, 색소폰, 트럼펫, 트롬본, 뷰글, 코넷 등은 물론 각 국가의 민속 관악기 등이 있다. 또한 “타악기”란 손이나 채로 타격하면 음을 발생하는 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타악기의 예로는 밸 세트, 시스트럼, 심벌즈, 탬버린, 봉고, 북, 드럼 세트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상기 악보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하고 활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주자는 악기를 배우는 초보 연주자, 학습자는 물론 이들에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가르치는 강사 및 상당한 음악적 기교를 구현하는 전문 연주자를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필요로 하는 초보 연주자, 학습자, 강사 및 전문 연주자를 총칭하여 각각 “연주자”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초보 연주자를 지도하는 강사가 상기 표식을 상기 악보에 부착할 경우에도, 이를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상기 악보에 부착한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반신표식”은 손이나 팔 등 신체의 상반신에 위치한 신체 부위인 상반신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상반신표식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1] 손가락이나 손가락뼈(지절골), 손등이나 손허리뼈(중수골), 손목이나 손목뼈(수근골), 아래팔이나 아래팔뼈(요골 및 척골), 위팔이나 위팔뼈(상완골), 어깨나 어깨뼈(견갑골) 등 연주자의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몸통표식”은 어깨나 등, 배 등 신체의 몸통에 위치한 신체 부위인 몸통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몸통표식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1] 등이나 등뼈(척추), 가슴이나 갈비뼈(늑골), 엉덩이나 엉치뼈(천골) 등 연주자의 몸통에 위치한 다양한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하반신표식”은 발 등 신체의 하반신에 위치한 신체 부위인 하반신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하반신표식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1] 발가락이나 발가락뼈(지절골), 발등이나 발허리뼈(중족골), 발목이나 발목뼈(족근골), 아래발이나 아래발뼈(경골 및 비골), 윗발이나 윗발뼈(상완골), 무릎이나 무릎뼈(슬개골) 등 연주자의 하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호흡표식”은 주로 호흡과 관련된 신체 부위인 호흡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호흡표식은 주로 관악기를 이용하여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1] 상기 관악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또는 폐 등 연주자의 호흡과 관련된 다양한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관악가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호흡표식은 관악기는 물론 다른 악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건반악기, 현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기도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하지는 않지만,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폐를 이용한 호흡과 연주가 일치하지 않으면 연주에 불편을 느낌은 물론, 연주자가 호흡을 잘 조절하면 상기 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악기를 제외한 다른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를 위해서도 다양한 상기 호흡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반악기 (일예로 피아노, 올갠 등과 같이 연주자가 건반을 손으로 조작하거나 페달을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현악기 (일예로 바이올린, 첼로, 기타 등과 같이 연주자가 현을 직접 손 또는 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관악기 (일예로 플룻, 오보, 클라리넷 등과 같이 연주자가 입으로 공기를 진동시키며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타악기 (일예로 북이나 드럼 등과 같이 연주자가 물체를 손, 스틱, 또는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등의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 등과 같은 연주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1] 연주자의 손 조작, 몸통 조작, 발 조작, 입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3]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연주용 시각표식이나 연주용 촉각표식에 관한 것이며,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주자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기보법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기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및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가)는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개략도이며, 도 3의 (나)는 표식의 탈부착이 가능한 표식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의 (가) 내지 (차)는 다양한 상반신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5의 (가) 및 (나)는 다양한 몸통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6의 (가) 내지 (라)는 다양한 하반신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7의 (가) 및 (나)는 다양한 호흡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의 (가) 내지 (사)는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위한 다양한 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9의 (가) 내지 (라)는 다양한 음악적 표현의 구현을 증진하는 다양한 표식의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다양한 구성, 제작, 배열 등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 상기 측면 각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는 다양한 상세예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세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의 다양한 제작 방법 또는 사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 상기 측면 각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상세예 등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 상세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대한 다양한 측면, 실시예, 상세예들의 다양한 구성 및 방법들에 대한 상술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세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대한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구성 및 다양한 방법에 대한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 각각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상기 표식, 세부표식, 또는 상기 악보는 [1]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악기 연주용 표식, 구성 방법 및 사용 방법, [2]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다양한 악보는 물론 [3] 관련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명세서가 예시하는 다양한 상기 측면들, 실시예들, 또는 상세예들을 용이하게 변형하여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다양한 제작 방법 및 다양한 사용 방법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첫 번째 측면은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및 다수의 상기 표식들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로서, 도 2는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및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30)의 개략도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표식 세트(30)은 밑판 위에 다양한 표식(10)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표식(10)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하지만,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 음악 문자, 또는 음악 숫자 등을 사용하는 기보법만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1] 신체 부위(즉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표식(10)은 상기 기교나 표현을 구현하는 데 연주자가 사용하여야하는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 정보, 또는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수많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즉 구 또는 절)을 읽는 대신,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의 상당 부분을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상기 문장보다 가능한 한 짧은 문장을 포함하도록 또는 아예 문장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자세들이나 조작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단 연주자는 연주하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신체 부위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예로 건반악기나 타악기 연주자는 손, 팔 등 상반신에 위치한 “상반신 부위”나 발가락, 발, 종아리 등 하반신에 위치한 “하반신 부위”는 물론 어깨나 등, 배 등 몸통에 위치한 “몸통 부위”를 주로 사용하는 반면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폐 등 호흡과 관련된 “호흡 부위”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한편 현악기 연주자는 상기 상반신 부위나 몸통 부위는 주로 사용하지만 하반신 부위나 호흡 부위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반면 관악기 연주자는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폐 등 호흡과 관련된 “호흡 부위”와 상반신 부위를 주로 사용하고, 간혹 몸통 부위를 사용하는 반면 하반신 부위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상반신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상반신표식”에 해당한다.
한편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하반신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하반신표식”에 해당한다.
한편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몸통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몸통표식”에 해당한다.
반면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호흡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호흡표식”에 해당한다. 상기 다양한 표식에 대한 상세 구성 및 방법은 하술한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연주하는 음악이 길어질수록, 연주자가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켜야하는 부분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다수의 다양한 상기 표식(10)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악기 연주용 표식은 다수의 다양한 표식(10)들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30)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표식 세트(30)는 다양한 크기나 두께를 가지도록, 그리고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식 세트(30)의 크기나 모양은 상기 세트(30)에 포함하여야할 표식(10)의 종류나 수효는 물론 표식(10) 각각의 크기나 모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기 세트(30)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의 악보에 삽입될 경우, 상기 세트(30)의 크기나 모양은 악보의 크기나 모양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식(10)은 상기 세트(3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보, 또는 상기 세트(30)의 전면과 후면의 일부나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표식 세트(30)는 이를 구성하는 밑판과 상기 밑판에 부착되는 다수의 표식(10)들의 크기나 모양은 물론 상기 표식(10)들 사이의 빈 공간의 크기나 모양에 의해서 그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다수의 표식(10)들이 탈착되도록 구성된 표식 세트(30)의 경우, 상기 빈 공간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밑판으로 탈착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 표식(10)들을 얼마나 많이, 어떠한 배열로, 어떤 방법으로 밑판에 부착함에 따라 표식 세트(30)의 크기나 모양은 물론 그 두께도 상이해질 수 있다.
연주자는 상기 표식(10)을 다양한 구성이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가)는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예시로서, 도에서와 같이 악보(20)는 자리표(즉 높은 음 자리표나 낮은 음 자리표 등), 음악의 조, 음표, 음표의 강약, 샤프, 플랫, 슬러 등과 같은 기보법 상의 음악 기호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가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악보(20)는 다수의 표식(10)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적절히,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10)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표식(10)은 악보(20)에 인쇄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상기 표식(10)은 해당하는 음표의 상단, 하단 또는 기타 적절한 부분에 인쇄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식(10)의 크기는 그 중요성에 따라 음표나 기호보다 크게, 작게, 또는 음표나 기호와 유사한 크기로 인쇄한다. 또한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10)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를 음표나 기호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와 상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표식(10)은 적은 수효의 문자들로 구성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특정 악기의 특정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이에 필요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주석부(12)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 또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주석부(12)는 상기 표식(10)과 또는 상기 표식(10)에 포함되는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와 같은 세부표식과 서로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거나,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석부(12)는 상기 표식(10)과 또는 상기 표식(10)에 포함되는 세부표식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10) 또는 세부표식의 둘레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석부의 색상은 상기 표식이나 세부표식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주석부의 색상을 상기 표식이나 세부표식의 색상과 대비시킴으로써, 상기 주석부 또는 상기 세부표식을 상대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석부를 표식과는 별개의 물건으로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표식과 주석부를 함께 악보에 부착하거나, 상기 표식 또는 주석부 중 하나만을 상기 악보에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다양한 표식(또는 주석부)은 악보에 인쇄하고, 하나 이상의 주석부(또는 표식)는 별개의 물건으로 구성하여 연주자가 선택적으로 악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식(10)은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다수의 표식을 악보의 특정 부분에 일정 순서나 일정 배열로 부착함으로써, 다수의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과 관련된 다수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악기의 다수의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표식(10)은 악보(20)와는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10)을 악보(20)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3의 (나)는 이의 예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나)의 좌측 페널은 상기 표식 세트(30)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3의 (나)의 우측 페널은 상기 표식 세트(30)을 좌측 페널의 AA 방향으로 수직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며, 특히 상기 우측 페널은 AA 방향을 따라 위로부터 네 번째 내지 일곱 번째 표식(10)들을 표식 세트(30)로부터 탈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에서와 같이 상기 표식 세트(30)는 전면(36)과 후면(37)을 가진 밑판(31)과, 상기 밑판(31)의 전면(36)에 부착된 다수의 표식(10)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식(10) 역시 전면(16)과 후면(17)을 가진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표식 세트(30) 중 적절한 표식(10)을 선정한 후, 이를 악보(20)에 인쇄된 음표 또는 기타 기호의 상단, 하단 또는 기타 적절한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10)의 후면(17)에 부착부(13)를 구성하며, 상기 부착부(13)에 기존의 다양한 접착제를 부가하여 상기 표식(10)이 상기 밑판(31)에 부착함은 물론, 연주자가 이를 탈착하여 악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식 세트(30)의 밑판(31)의 전면(36)은 상기 표식(10)의 부착부(13)가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표식(10)의 부착부(13)가 악보(20)에 부착됨은 물론 악보(2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 연주자는 이미 악보(20)에 부착된 표식(10)을 악보(20)로부터 제거하거나, 이를 탈착하여 악보(20)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거나, 이를 탈착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식(10)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표식(10)의 전면(16)에는 다양한 세부표식을 인쇄한 후, 그 위에 코팅을 입혀 상기 세부표식을 보호하거나, 상기 표식(16)을 방수 표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10)의 후면(17)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13)를 구성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악보(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10)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표식(10)을 악보(20)애 부착하더라도 악보(20)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10)을 두껍게 만들거나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표식(10)을 악보(20)에 부착할 경우, 상기 표식(10) 아래의 악보(20)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표식 세트(30)의 밑판(31) 역시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밑판(31)의 전면(36)은 상기 표식(10)의 후면(17)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밑판(31)의 전면(36)에는 상기 표식(10)의 부착부(13)와 탈착이 용이한 물질을 코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표식(10)의 일부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악보(20)에 인쇄되거나 또는 다른 형태로 고정된 형태로 연주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상기 표식(10)의 나머지는 상기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악보(20)와는 별도의 물건으로, 또는 상기 표식 세트(30)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 세트(30)로부터 특정 표식(10)을 탈착하여 악보(20)에 부착하거나, 악보(20)에 인쇄된 표식(10) 위에 탈착한 표식(10)을 부착하여 인쇄된 표식(10)을 부착한 표식(10)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는 상기 주석부(12)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특정 표식(10)에 이와 관련된 주석부(12)를 포함시키는 대신, 상기 주석부(12)는 악보(20)의 특정 부분에서만 한 번, 또는 다수의 부분에서만 특정 횟수에 걸쳐 인쇄하여 연주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는 반면, 표식(10)에서는 상기 주석부(12)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표식(10)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상기 표식(10)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 세트(30)에 특정 수효의 주석부(12)를 포함시키거나 특정 수효의 표식(10)만이 상기 주석부(12)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표식(10)들은 주석부(12)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주석부(12)에 기재된 정보나 상기 주석부(12)가 제공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하는 한편 상기 표식(1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상기 표식(10)은 악보의 다양한 부분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은 이에 해당하는 음표나 기호의 바로 위나 아래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표식(10)과 관련된 각종 다양한 정보가 특정 음표나 기호에 해당함을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하여 연주자는 특정 음표를 연주하거나 또는 특정 기호 등을 연주할 때 손이나 손가락의 위치나 자세, 어깨로부터 팔을 거쳐 손가락에 이르는 부위의 위치나 자세, 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르거나 현악기의 현을 조작하는 주법, 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르거나 현악기의 현을 조작하여 연주되는 음색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연주자가 특정 음표를 연주하기 위하여 손의 위치를 일정 거리 이상 바꾸어야한다거나 새로운 화음을 연주해야하는 등의 경우, 상기 표식(10)은 이에 해당하는 음표보다 조금 앞에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미리 이에 필요한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조작을 준비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자신이 연주한 소리의 여운을 듣고 다음 음표까지 연결하거나, 또는 특정 음표를 연주하기 전 미리 그 음표를 마음속으로 준비하고 연주하는 자세 등을 스스로 대비하거나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음표를 반복적으로 실수하며 연주할 때 왜 실수를 하는 지에 대한 이유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두 번째 측면은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중 하나인 “상반신표식”으로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반신 부위, 즉 손가락, 손, 팔 등과 같이 연주자의 신체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표식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1] 손가락이나 손가락뼈(지절골), 손등이나 손허리뼈(중수골), 손목이나 손목뼈(수근골), 아래팔이나 아래팔뼈(요골 및 척골), 위팔이나 위팔뼈(상완골), 어깨나 어깨뼈(견갑골) 등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과 관련된 표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표식은 앞서 설명한 표식 세트에 포함되어 제작하나, 별도의 표식으로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때 이에 필요한 상기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들과 관련된 전체적 자세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수많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즉 글자 또는 숫자)을 읽는 대신,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의 상당한 부분을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정보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필요에 따라 주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문장보다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자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아예 주석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주석부와 글자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는 표식을 혼용하여 상기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은 [1] 상기 정보를 직접 묘사하는 인체 부위(즉 상반신 부위 또는 상기 상반신 부위와 해부학적으로 또는 의미 상 관련된 비상반신 인체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인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또는 상기 제1종 그림 또는 제1종 아이콘을 의미하는 기타 제1종 기호, [2] 상기 정보를 직접 묘사하되 [1]의 인체 부위 대신 이에 해당하거나 이와 관련된 동물의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인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또는 상기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을 의미하는 기타 제2종 기호, 또는 [3] 상기 정보를 간접적으로 묘사하되 [1]의 인체 부위나 [2]의 동물의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제3종 그림, 상기 제3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3종 아이콘, 또는 상기 제3종 그림 또는 제3종 아이콘을 의미하는 기타 제3종 기호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중 상기 제1종 및 제2종 그림, 제1종 및 제2종 아이콘, 또는 제1종 및 제2종 기호는 일반적으로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기 위한 “연주자의 자세”에 관련되는 반면, 상기 제3종 그림, 제3종 아이콘, 또는 제3종 기호는 일반적으로 상기 자세는 물론 상기 악기로 구현할 수 있는 특정 “음악적 표현”과 관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연주자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종 그림, 제3종 아이콘, 또는 제3종 기호로 전달하거나,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종 및 제2종 그림, 제1종 및 제2종 아이콘, 또는 제1종 및 제2종 기호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표식은 어린이가 선호하거나, 어린이가 이해하기 용이하거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또는 어린이가 집중력을 잃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성인일 경우에도, 상기 표식은 학습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긴 문장을 읽은 후 인지하는 대신, 표식의 시각적 또는 촉각적 특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중 상기 제1종 내지 제3종의 그림이나 아이콘, 또는 기호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세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중 하나인 “상반신표식”으로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다양한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많은 건반악기 중 피아노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함으로써 직접 소리를 발생하기 보다는 해머와 현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타악기적 특징을 지닌다. 즉 연주자가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격하면 건반이 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해머는 현을 타격하며, 상기 타격에 의하여 상기 현이 진동함으로써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건반을 아주 약하게 타격하면, 건반을 끝까지 눌러도 소리가 나지 않는 지점, 즉 toning point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연주자가 약한 힘으로 건반을 타격하면, 약한 힘으로 움직이는 해머 역시 현을 타격할 수 있는 속도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연주자는 건반을 특정 힘이나 속도 이상으로 타격해야만 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건반을 타격하는 힘, 속도, 시간 등을 적절히 조작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힘, 속도, 시간 등은 건반악기가 발생하는 음의 크기, 시간 등은 물론 상기 음의 음색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반신 부위의 적절한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및 이를 통한 건반의 조작 등에 대한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하술의 도 4는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의 예시로서, 특히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각종 시각적 상반신표식의 예시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향후 양손의 1번 손가락은 엄지손가락을 지칭하고, 이하 검지를 2번 손가락, 중지를 3번 손가락, 약지를 4번 손가락, 소지를 5번 손가락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손 근육, 뼈,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손가락 운지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며, 특히 오른손 및 왼손의 4번 손가락을 이용한 건반 타격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4의 (가-1) 및 (가-2)의 표식들이 이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일예로 도 4의 (가-1)의 표식(10A)은 손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1종 그림의 예시이며, 상기 그림은 연주자가 자신의 1번 손가락, 2번 손가락, 3번 손가락 및 5번 손가락은 각각의 근육과 힘줄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 조작하기가 용이한 반면, 4번 손가락의 힘줄은 3번과 5번 손가락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4번 손가락을 다른 손가락처럼 독립적으로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3번과 5번 손가락은 방치한 채 4번 손가락을 무리하게 단독으로 들어 올리며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하며, 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움직일 때에는 3번 또는 5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하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4의 (가-2)의 표식(10B) 역시 손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제1종 그림의 예시로서, 오른손의 경우, 음이 낮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3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한 반면, 음이 높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5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함을 도시한다. 왼손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음이 낮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5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하나, 음이 높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3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함을 도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10B)에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이러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식(10A) 또는 표식(10B)는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부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팔의 위치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나)의 표식이 이를 예시한다. 일예로 표식(10A)은 대략 제3종 그림 또는 제3종 아이콘에 해당하는 각도기로서, 상기 표식(10A)은 앞 팔의 바람직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 특히 4번째 손가락, 손목 및 팔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손가락 또는 팔의 각도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표식(10A)의 각도기는 원주를 따라 눈금은 새겨져있지만 각도는 기입되어 있지 않는 형태이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표식(10A)을 인지하면 자신의 팔의 위치 및 이와 관련된 각도를 바람직한 위치나 각도와 비교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10A)의 각도기는 원주를 따라 눈금을 포함하며, 특히 바람직한 각도에 해당하는 눈금을 표시하여 연주자가 바람직한 각도 및 이에 따르는 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10A)의 각도기에 연주자가 자신이 원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필이나 펜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각도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의 본 명세서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번, 2번, 3번 손가락은 서로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주자는 상기 손가락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조작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연주자가 손 모습대로 손을 건반에 얹게 되면 2번 및 3번 손가락은 물론 1번 손가락도 일반적으로 건반과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손가락들로 건반을 타격하기도 용이하다. 이에 반하여 4번 손가락은 해부학적으로 3번 손가락 및 5번 손가락의 인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4번 손가락만을 독립적으로 들어올리기가 불편한 편이며, 따라서 4번 손가락만으로 건반을 타격하기도 불편하다. 또한 연주자가 손 모습대로 손을 건반에 얹은 후 4번 또는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손가락이 건반과 평행하지 않고 약간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4번(또는 5번) 손가락이 이러한 각도를 이룬 채 건반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손가락과 연결된 앞 팔의 뼈인 척골이 이탈하게 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연주가 불편해짐은 물론 이를 무리하게 계속하면 팔의 근육이 피로해지며, 최악의 경우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가 4번(또는 5번) 손가락을 사용하는 음표 상부나 하부 또는 기타 인지하기 쉬운 위치에 인쇄하거나 부착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는 의식적으로 4번(또는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상기 손가락이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또는 건반의 수직 방향으로 직각이 되도록 손목이나 팔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목, 팔 등의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하며, 특히 4번(또는 5번) 손가락과 같이 단독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이나 팔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바람직한 타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손 근육, 힘줄 등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동일한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에 대한 표식이다. 일예로 도 4의 (다)의 표식(10B)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기 전의 손가락의 자세에 대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개구리가 점프하기 전 앉아있는 자세를 예시한다. 단 본 실시예의 상기 표식(10B)은 일반적으로 하술의 다섯 번째 실시예와 병행하여 사용한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자세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라-1) 내지 (라-4)에서와 같이 손가락의 자세에 대한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바람직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라-1)의 표식(10A)은 손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거북이의 등과 목, 다리, 꼬리 등을 묘사한다. 특히 거북이의 등은 연주자의 손등을, 거북이 목은 연주자의 손목을, 그리고 거북이 다리 및 꼬리는 연주자의 손가락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표식(10A)의 거북이의 목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활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4의 (라-2)의 표식(10B) 역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라-1)의 표식(10A)과 유사하지만, 표식(10B)은 거북이의 목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아이콘 등의 추가 세부표식(11)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표식(10B)은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활용하라는 정보를 연주자에게 더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주석부를 상기 표식(10A), (10B)과 함께, 또는 악보의 첫 부분 등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연주자에게 더 정확하게 전달하거나, 건반 타격 시의 손목의 유연성 및 조작에 대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라-3)의 표식(10C)은 제1종 그림으로서, 연주자의 손등과 상기 (라-1) 또는 (라-2)의 표식(10A)이나 표식(10B)이 합쳐진 혼합 표식이며, 연주자가 특정 음표를 연주하기 위하여 건반을 타격할 때의 손과 손등을 상기 거북이 등과 같이 단단히 유지함으로써, 연주자의 어깨로부터 팔을 통해 전달된 힘이 손가락에 전달되고, 단단하게 건반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도 4의 (라-4)의 표식(10D)은 연주자가 직접 응용할 수 있는 제1종 그림으로서, 상기 표식(10D)에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는 (가-2)의 제1종 그림 표식(10B) 및 (라-4)의 제1종 그림 표식(10D) 등은 연주자에게 특정 신체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문장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주석부(12)를 포함하는 표식은 여러 번 반복하여 인쇄되거나 부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이 처음 인쇄되거나 처음 부착되는 부분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라-1) 내지 (라-4)의 상기 표식(10A) 내지 표식(10D)은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부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건반 타격 전후의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마-1) 내지 (마-5)에서와 같이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기 전후의 바람직한 손목 사용 방법과 팔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마-1)의 표식(10A)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순간 또는 타격한 직후의 손목과 팔의 각도 및 자세에 대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개구리의 점프 자세를 나타낸다. 즉 상기 표식(10A)은 개구리가 점프하듯 연주자가 건반을 신속히 타격하고 손목을 재빨리 올림으로써, 손목의 탄력을 이용하여 건반을 재빨리 타격함으로써, 건반 내부의 해머 역시 현을 타격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4의 (마-2)의 표식(10B)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순간의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표식으로서, 건반 타격을 나타내는 제1종 그림과 (마-1)의 표식(10A)인 점프하는 개구리의 그림 또는 아이콘을 혼용한 표식이다. 즉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순간, 상기 (마-1)의 표식(10A)과 같이 연주자의 손목에 움츠려 앉아있던 개구리가 점프하여 날아가고, 이에 따라 가벼워진 손목이 위쪽으로 이동하며 손가락 역시 건반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그 결과 연주자의 손가락은 건반을 튕기듯 타격한 후 상부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건반에 연결된 피아노 내부의 해머가 현을 타격하고 이탈함으로써 음이 울리며 공명이 일어나도록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도 4의 (마-3)의 표식(10C)과 (마-4)의 표식(10D)은 상기 (마-1)의 표식(10A) 또는 (마-2)의 표식(10B)와 일반적으로 유사하지만,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속도 또는 시간의 차이점이 있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예로 (마-1) 및 (마-2)의 표식(10A)과 표식(10B)은 일반적으로 짧은 타격으로 공명을 일으키는 음악적 효과를 의미하지만, (마-3) 및 (마-4)의 표식(10C)과 표식(10D)은 손바닥의 손가락 자세에 대한 상기 네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등과 손아귀를 거북이 등과 같은 모양으로 단단히 유지하며 손가락을 튕겨주는 해부학적 자세 및 이를 통하여 구현하는 음악적 효과를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상기 표식(10C)이나 표식(10D)는 연주자가 손등 자체를 튕기듯, 손등과 손가락에 힘을 준 상태에서 건반을 통통 치는 느낌으로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의 (마-5)의 표식(10A)와 표식(10E)와 같이, 개구리를 포함하는 표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앉아있는 개구리 표식(10E)과 점프하는 개구리 표식(10A)을 한 쌍으로 함께 사용한다. 특히 연주자는 상기 표식에 따라 건반을 탄력적으로 타격하기 전, 손가락과 손목을 개구리가 움츠린 자세로 조작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악보에는 통상적으로 앉아있는 개구리 표식(10E)이 먼저 인쇄되거나 부착되고, 그 이후 점프하는 개구리 표식(10A)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손바닥, 손가락, 또는 손등의 자세 및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상기 표식들은 손등이나 손아귀를 견고하게 잡도록 요구하기에, 연주자는 건반을 타격하기 전 손가락을 건반 위에 직각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일반적으로 악보의 해당 부분의 첫 마디에 인쇄하거나 부착한다. 하지만 상기 표식은 반드시 첫 마디가 아닌 다른 마디, 또는 마디의 중간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타격 시 손가락에 따라 타격 각도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나)에서 예시한 각도기와 같은 표식을 혼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의 양끝에 위치한 1번 및 5번 손가락 자세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바-1) 내지 (바-4)의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상기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바람직한 자세 또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바-1)의 표식(10A) 또는 (바-2)의 표식(10B) 및 표식(10C)은 연주자가 1번 또는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하여야하는, 또는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근육에 대한 제1종 그림의 예시이다. 특히 표식(10A)은 손을 위 또는 옆에서 보았을 때의 손의 근육을 도시하는 반면, 표식(10B) 및 표식(10C)은 손을 밑에서 보았을 때의 손의 근육을 도시한다.
또한 표식(10A)에는 주석부(12)를 첨부하여 상기 근육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주석부(12)를 이용하여 1번 또는 5번 손가락은 물론 다른 손가락들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 사이의 새끼굽힘근(flexor digiti minimi manus, FDMN)을 근육처럼 기르고 활용하여야 타격에 힘이 생기며 음색도 향상된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표식(10B)와 표식(10C)에도 주석부(12A) 및 주석부(12B)를 포함하여 손가락 사이 근육의 종류 및 사용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바-3)의 표식(10D)은 연주자가 1번이나 5번 손가락으로 연주할 때 상기 손가락으로 적절한 힘을 가하는 자세에 대한 제1종 그림 또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상기 표식(10D)은 힘을 주어 수축된 상태의 이두박근을 묘사한다. 즉 상기 표식(10D)은 연주자가 1번 손가락 또는 특히 힘이 약한 5번 손가락으로 연주할 때에는, 팔에 힘을 주어 이두박근을 수축시키듯 상기 새끼굽힘근에 힘을 주는 자세로 건반을 타격하여야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이두박근은 1번 손가락이나 5번 손가락과는 상이한 해부학적 부위이지만, 상기 이두박근은 1번이나 5번 손가락의 조작과는 의미 상 관련이 있으므로 제1종 그림 또는 제1종 아이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표식(10D)을 사용하되 이두박근의 크기, 색, 또는 위치 등을 상이하게 조작함으로써 연주자가 손가락에 가하는 힘의 크기, 방향,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바-4)의 표식(10E)은 도 4의 (바-3)의 표식(10D)과 도 4의 (나)의 표식(10A)을 혼합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10E)은 연주자가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표식(10D)와 같이 적절한 힘을 가함은 물론 이와 공시에 팔의 각도 역시 조작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표식(10E)을 인지하게 되면 5번 손가락에 적절한 힘을 가하는 한편 손목 또는 팔목 역시 적절한 각도로 회전하는 조작을 통하여 적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의 안쪽 끝에 위치한 1번 손가락 자세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사-1) 내지 (사-4)의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바람직한 자세 또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예로 도 4의 (사-1)의 표식(10A)는 1번 손가락으로 다양한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되는 1번 손가락 아래에 위치한 단무지 벌름(외전)근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를 도시하는 제1종 그림이며,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을 참고하여 상기 근육의 위치를 확인함은 물론 상기 표식(10A)과 같이 1번 손가락을 펼친 상태로, 상기 근육을 세운 상태로 건반을 타격하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4의 (사-2)의 표식(10B)은 상기 근육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물고기 모양의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이를 통하여 악보에서 상기 표식(10B)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근육을 조작하여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사-3)의 표식(10C)은 상기 표식(10A)에 근거하여 연주자가 1번 손가락을 조작하는 데 필요한 상기 단무지 벌름(외전)근의 힘을 기르는 연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1종 그림이며, 상기 표식(10C)은 상기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주석부(12)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사-2)의 표식(10B)은 이와 관련된 손가락의 자세나 이를 위한 조작이 필요한 부분마다 인쇄하거나 부착함이 바람직하지만, 주석부(12)를 포함하는 상기 표식(10C)은 악보의 첫 부분이나 특정 부분, 상기 표식(10C)이 처음 사용되는 부분 등과 같이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실시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표식은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나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부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사-4)의 표식(10D) 내지 표식(10G)는 (사-2)의 물고기 형상의 표식(10B)과 화살표를 혼합한 제2종 아이콘들이다. 특히 상기 표식(10D) 내지 표식(10G)은 연주자가 단무지 벌름(외전)근을 세우고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연주하는 음들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방향에 따라 1번 손가락 역시 화살표 방향으로 즉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우회전을 나타내는 표식(10D) 및 표식(10F)은 일반적으로 오른손 1번 손가락 조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인 반면, 한편 좌회전을 나타내는 표식(10E) 및 표식(10G)는 일반적으로 왼손 1번 손가락 조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이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양손의 1번 손가락을 바람직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 안쪽 끝에 위치한 손허리 관절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아-1) 및 (아-2)의 표식들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기 위한 손가락 및 손목의 관절의 자세 및 이러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들을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아-1)의 표식(10A)은 손가락을 팔로 연결하는 뼈 및 관절에 대한 제1종 그림으로서, 손가락이 어디서부터 시작되는 지, 그리고 각각의 손가락이 손등의 뼈나 손목의 관절 등과 어떤 구조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특히 상기 표식(10A)은 손 및 손목의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하여 손가락을 적절히 조작하는 한편, 손가락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연주 자세 및 방법을 도시한다. 즉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면 연주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손가락이 피로해지기 마련이며, 이와 같은 피로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려면 연주자는 자신의 손가락만을 움직일 것이 아니라 손목부터 사용하여야한다는, 즉 손허리 관절(CMC Joint)부터 조작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4의 (아-2)의 표식(10B)은 야구 글러브에 손의 뼈 및 손허리 관절 등을 혼합한 제3종 그림, 또는 제3종 아이콘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연주자가 야구 글러브 속으로 손을 집어넣고 공을 잡으려면, 연주자는 자신의 손가락만 움직일 것이 아니라 손허리 관절부터 조작하여야한다는 사실을 의미함으로써, 연주자로 하여금 건반을 타격하려면 손허리 관절부터 조작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그림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식(10B)은 물론 이보다 간단한 그림이나 아이콘만을 포함하도록 상기 표식(10B)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B)에 포함된 공을 제거하여 단순화하거나. 상기 표식(10B)에서 공은 물론 글러브 안의 뼈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표식(10B)을 더욱 단순화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자-1) 및 (자-2)의 표식들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자-1)의 표식(10A)은 독수리의 부리를 나타내는 제2종 그림으로서,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독수리 부리처럼 단단한 느낌으로 손가락에 힘을 주어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도 4의 (자-2)의 표식(10B)은 (자-1)의 표식(10A)을 건반과 혼합한 제2종 그림으로서, 연주자는 손가락을 독수리 부리처럼 딱딱하게 세운 채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독수리 부리 표식들은 연주자에게 손가락의 적절한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유사하게 보이는 독수리 부리들이지만 부리의 크기, 각도 등을 조작함으로써 연주자에게 손가락의 관절들, 특히 세 번째 관절을 아치형으로 조작하여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 역시 손가락 자세, 특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차-1) 및 (차-2)의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차-1)의 표식(10A)은 독수리의 발톱을 나타내는 제2종 그림으로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을 독수리 발톱처럼 힘을 주어 새운 후, 사냥감을 발톱으로 잡듯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반을 긁듯, 또는 건반을 타격한 손가락을 당기듯 타격함으로써, 건반이 빠른 속도로 눌려지며, 이에 따라 해머가 현을 빠른 속도로 타격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연주하는 음 역시 이에 상응하는 음색을 가진다. 또한 도 4의 (차-2)의 표식(10B)은 (차-1)의 표식(10A)을 건반과 혼합한 제2종 그림으로서, 연주자는 손가락을 독수리 부리처럼 딱딱하게 세운 채 건반을 타격한 후 빠른 속도로 손가락을 끌어당기며 건반을 타격함으로써, 더 확실하고 선명하게 음을 진동시키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아홉 번째 실시예의 독수리 부리 모양의 표식과 상기 열 번째 실시예의 독수리 발톱 모양의 표식은 손가락에 힘을 주어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지만 독수리 부리는 손가락을 독수리 부리 모양으로 구부리고 독수리가 먹이를 쪼아 먹듯이 건반을 타격하는 자세 및 방법을 의미하는 표식인 반면, 독수리 발톱은 건반을 긁듯 건반을 타격하라는 자세 및 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두 종류의 표식은 각각 다른 정도의 힘으로 건반을 타격함은 물론 건반을 누르는 깊이 및 시간도 상이하게 조작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상반신표식은 상기 도 4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및 조작, 다양한 건반악기 부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자세, 이를 위한 손가락, 손목, 손 등의 조작이나 건반을 타격하는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다양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일예로 손가락이 건반을 타격하기 직전, 타격하는 순간, 또는 타격한 직후의 손끝 자세, 손가락 자세, 손등 자세, 팔목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며, 이를 위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및 조작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손가락이 건반을 타격하는 힘, 시간, 또는 각도, 이를 위한 손가락 근육의 자세 및 조작 등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필요할 경우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뼈, 근육, 또는 관절 등 다양한 상반신 부위에 대한 정적 또는 동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는 실제로 자신의 해부학적 구조 및 특징을 연구한 후 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더 좋은 음색의 음을 더 좋은 자세로 연주하되, 이에 따르는 피로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표식은 주석부를 포함하지 않은 채, 그림이나 아이콘, 또는 기호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상반신표식은 하나 이상의 주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석부는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주석부는 특정 표식을 처음 사용할 때,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표식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표식에 상기 주석부를 또는 단순화된 주석부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표식에서 주석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상반신표식의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한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자세와 관련된 상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함은 물론, 이에 따르는 상반신 부위의 피로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술한 제1종 그림, 제1종 아이콘, 또는 제1종 기호, 상술한 제2종 그림, 제2종 아이콘, 또는 제2종 기호, 상술한 제3종 그림, 제3종 아이콘, 또는 제3종 기호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의 건반악기 연주용 상반신표식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개량될 수 있다. 우선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특정 종의 그림은 단순화 또는 만화화를 통하여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 또는 동일한 종의 기호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은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 또는 기호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일예로 손가락 근육을 도시하는 제1종 그림인 도 4의 (바-2)의 표식(10B) 또는 표식(10C)은 단순화 작업을 통하여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1종의 아이콘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적절한 주석부를 이용하여 제1종의 기호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특정 종의 기호는 해부학적 구조 등을 구체화함으로써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특정 종의 아이콘 역시 해부학적 구조 등을 상세히 부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기호는 같은 종의 아이콘이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아이콘 역시 같은 종의 기호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특정 종의 그림은 그림의 대상을 동물 또는 무생물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그림은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으로 용이하게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일예로 이두박근을 의미하는 제1종 그림 또는 아이콘인 도 4의 (바-3)의 표식(10C)는 힘을 준 동물의 뒷다리와 같은 제2종 그림이나 아이콘으로, 또는 튼튼한 쇳덩어리와 같은 제3종 그림이나 아이콘으로 변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종 아이콘이나 제1종 기호 역시 대상을 인체로부터 동물로 또는 무생물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종의 아이콘이나 기호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는 대상을 무생물로부터 동물로 동물화하거나 인간으로 인간화함으로써, 또는 대상을 동물로부터 인간화함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의 대상은 인간화, 동물화, 또는 무생물화 등을 통하여, 제3종 또는 제2종 아이콘은 다른 종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제3종 또는 제2종의 기호 역시 다른 종의 그림이나 아이콘으로도 변환될 수 있다. 물론 연주자가 상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다른 의미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식이 악보에 처음 사용될 때 상기 표식을 자세히 설명하는 적절한 주석부를 상기 표식에 부가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특정 종의 특정 표식은 대상의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는 물론 대상의 인간화, 동물화, 또는 무생물화를 통하여 상이한 종의 상이한 표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자-1)의 표식(10A)인 독수리 부리는 인간화를 통하여 음식을 세게 물고 있는 인간의 입과 턱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 표식 역시 단순화 또는 만화화를 통하여 더 간단한 모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단 상술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중요한 점은 상기 표식의 일관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무리 명약관화한 그림 표식이나 아이콘 표식도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식을 상이한 악기에 사용할 경우, 연주자는 이를 다른 의미로 인지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악보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또는 기타 특정 부분에 상기 악보에서 사용되는 각종 표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특정 표식이 악보에서 처음 사용될 때 그 부분에 상기 주석부를 배치하여 연주자가 특정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확실히 이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특정 표식을 특정 악보에서 일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특정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특정 표식으로부터 항상 동일한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전달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대부분의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는 연주자에게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 악기 연주자에게 특정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표식을 일관적으로 사용함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을 자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상반신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을 악보에 인쇄하는 경우, 연주자가 악보를 읽을 수 있도록 상기 표식은 적당한 모양이나 크기로 악보의 상단, 하단, 또는 측단에 인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표식을 악보에 부착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경우, 악보의 특정 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많은 음표나 음악 기호가 인쇄되어 있으면 상기 표식을 부착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좁은 공간에 불투명한 표식을 부착할 경우, 연주자는 상기 표식이 가리는 음표나 음악 기호를 인지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을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할 경우, 연주자는 음표나 음악 기호에 가까이 상기 표식을 부착하면서도 상기 표식이 가린 음표나 음악 기호를 읽을 수 있다.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된 상기 상반신표식은 음의 강약을 조절하는 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투과도를 지닌 반투명 표식을 악보의 특정 부분에 부착할 경우, 상기 부분의 악보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희미하게 비춰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표식은 연주자에게 상기 표식이 부착된 부분을 작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색상을 지닌 투명 표식은 연주자에게 상기 표식이 부착된 음악의 특정 부분을 특정 크기로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일예로 음악의 특정 부분에 노란 색 배경을 가진 표식을 부착함으로써, 연주자로 하여금 상기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주황 색 배경을 가진 표식을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부분을 노란 색 배경의 표식을 부착한 부분보다 더 크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된 표식은 상술한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예시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반신표식의 테누리나 배경의 모양이나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반신표식은 포함된 세부표식의 모양 및 종류에 따라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구분된다. 여기에 각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이나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도 상이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 4의 (차-1)의 독수리 발톱 표식에 테두리를 인쇄한 후, 상기 테두리의 굵기가 두껍거나 색상이 진할수록 연주자가 더 빠른 속도로 건반을 긁듯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마-1)의 뛰는 개구리 표식의 배경의 색상이 진할수록, 또는 상기 배경에 사선을 가한 후 상기 사선이 많을수록 연주자가 더 빠른 속도로 건반을 튕기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두리 또는 배경을 세부표식으로서 특정 표식에 혼합함으로써 [1] 테두리나 배경이 다른 다수의 표식을 제공하거나, [2] 테두리나 배경이 없거나 일정한 표식을 제공하거나, 또는 [3] 테두리 또는 배경에 해당하는 표식을 별개의 표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주자는 악보의 특정 부분에 상기 도 4의 (차-1)의 독수리 발톱 표식을 부착한 후, 그 상부 또는 측부에 특정 테두리 표식이나 특정 배경 표식을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테두리 표식은 테두리만을 표시하는 형태로, 또는 독수리 발톱 표식과 유사한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지되 내부는 투명하고 테두리만 특정 색상과 굵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경 표식도 마찬가지로 독수리 발톱 표식과 유사한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지되 내부는 투명하지만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또는 배경을 포함하는 표식은 상술한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예시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상반신표식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음의 강약이나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제작한 후, 이를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늘려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동일하지만 늘려지지 않는 표식이 부착된 부분보다 늘려진 표식이 부착된 부분을 더 크게 연주하거나 더 오래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마-1)의 뛰는 개구리 표식을 상하방향으로 늘려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늘려지지 않은 개구리 표식이 부착된 부분에 비하여 늘려진 개구리 표식이 부착된 부분에서 더 높이 건반을 튕기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연주자는 상기 표식의 일부분이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겹치도록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동일하지만 겹쳐지지 않는 표식이 부착된 부분보다 겹쳐진 표식이 부착된 부분을 더 작게 연주하거나 더 짧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미리 홈을 파거나 접는 선을 구성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겹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한 표식은 상술한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예시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절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연주자에 따라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 또는 연주 습관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규격화된 표식만으로는 연주자에게 상기 정보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식은 이러한 경우 연주자는 상기 표식을 간단히 조작하여 세부표식을 추가하거나 기타 세부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일예로 상기 표식은 그 주위 또는 중앙에 일정 크기의 빈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빈 공간에 연필이나 펜으로 상기 세부표식 또는 세부 정보를 용이하게 기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사-4)의 표식(10D) 주위에 빈 공간을 구성하면, 연주자는 상기 공간에 왼손 1번 손가락을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 지에 대한 세부표식이나 세부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을 특정 재질로 제작하거나 상기 표식에 특정 코팅을 부가하여 연주자가 연필이나 팬으로 기입한 내용을 쉽게 지울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표식은 그 주위 또는 중앙에 ①, ②, ③ 등의 숫자나 기호를 인쇄한 후, 연주자가 이 중 하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세부 정보를 직접 기입하지 않은 채 용이하게 기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마-3)의 표식(10C)의 주위나 중앙에 상기 숫자나 기호를 인쇄하면, ①, ②, ③ 등으로 체크하는 순서에 따라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속도 역시 빨라야한다는 등의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숫자나 기호는 동일한 크기나 색상으로 인쇄할 수 있지만, 상이한 크기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상기 숫자나 기호가 전달하려는 세부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강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표식은 그 주위의 일부를 용이하게 접거나 자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세부 정보를 직접 기입하지 않더라도 연주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음악의 특정 부분에 부착하기 전 상기 표식의 일부를 접거나 잘라내어 상기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가 추가 세부표식이나 세부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접거나 자를 수 있도록 미리 홈을 파거나 접는 선, 또는 자르는 선을 구성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접거나 자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세부표식을 추가하거나 다양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다양한 표식 중 숫자나 기호를 인쇄한 표식 또는 접거나 자르는 표식은 상술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상반신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상술한 다양한 자세 및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상기 표식 세트를 악보의 전반부, 후반부 또는 중앙에 별도의 쪽으로 배치하거나, 한 장 또는 여러 장으로 구성된 표식 세트를 악보의 다수의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악보에 다수의 표식 세트들을 포함시키는 경우, 각 표식 세트는 규격화된 종류와 수효의 표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악보에 포함된 곡들의 특성이 상이할 경우, 악보의 상이한 부분에 포함된 표식 세트들은 각각 상이한 종류나 수효의 표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표식 세트는 대부분 상반신표식으로 구성되지만, 다른 표식 세트는 대등한 수효의 상반신표식과 하반신표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악보가 다수의 곡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악보는 각각의 곡, 또는 2~3곡마다 표식 세트를 포함함으로써, 연주자가 악보를 앞뒤로 뒤척이지 않고도 상기 표식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식 세트는 상술한 규격화된 표식 세트이거나, 각각의 곡이나 2~3곡에 필요한 종류와 분량의 특정 표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특정 곡을 연주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은 연주자의 수준이나 기호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곡마다 필수적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교나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악보와 함께 인쇄하여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연주자 역시 인쇄된 표식이 상기 곡에 필수적인 음악적 기교나 표현이라면 이를 구현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일정 표식을 악보에 미리 인쇄하여 연주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악보에 포함시키는 표식의 종류 및 수효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 역시 더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연주자가 미리 악보에 인쇄된 상기 표식의 기교나 표현을 기피한다면, 상기 연주자는 이를 연주하지 않으면 된다. 또한 상기 연주자는 상기 인쇄된 표식 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표식을 부착함으로써 미리 인쇄된 상기 표식을 가릴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연주자가 인쇄된 표식을 기피하고 싶으나 이를 대체하는 다른 표식을 그 상부에 부착할 의사가 없는 경우, 상기 연주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아무런 정보도 전달하지 않는 공백표식을 상기 부위에 부착할 수도 있다.
단 상기 공백표식은 상술한 다양한 표식의 모양이나 형태를 가지되, 상기 표식 내부나 주위에 아무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백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되, 그 내부나 주위에 공백(blank) 등의 문자를 포함함으로써, 연주자에게 상기 공백 표식 아래로 비치는 인쇄된 표식을 무시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식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므로 연주자는 인쇄된 표식을 인지할 수 있으며, 그 후 자신의 선택에 따라 인쇄된 표식을 연주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표식들은 모두 시각표식에 해당한다. 즉 연주자는 상기 표식을 시각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술 또는 하술의 다양한 제1종 내지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시각표식은, 상기 표식에 요철 또는 엠보싱 등을 가하여 동일한 또는 유사한 정보를 전달하는 촉각표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표식과 함께 주석부가 사용될 경우, 상기 주석부의 문자 역시 점자법을 이용하여 촉각 주석부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주석부를 이용함으로써, 상술의 다양한 시각표식을 단순화하는 촉각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시각표식 대신 촉각표식만을 사용할 경우, 단순화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의 수효가 다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촉각표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 및 수효는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표식을 활용할 수 없는 시각 장애자의 입장에서 보면, 비록 표식의 수효는 적더라도,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면, 상기 촉각표식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각표식은 시각 장애자가 아닌 일반 연주자도 활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평면의 시각표식만으로는 특정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하기 어려울 경우, 별도의 촉각표식을 시각표식 부근에 부착하거나, 아예 시각표식과 촉각표식을 혼용하는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식은 시각표식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을 가하거나 엠보싱 등을 가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아-2)의 표식(10B)을 이용하여 연주자로 하여금 손허리 관절을 움직이며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경우, 상기 표식(10B)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을 가함으로써 요철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연주자 역시 손허리 관절을 더 많이 움직이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건반의 특정 부분을 타격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건반의 중앙 부분을 타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건반의 상부 또는 하부를 타격함으로써 상이한 음색을 내거나, 건반을 조작하기에 유리하거나, 또는 다음 음을 연주하는 데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술의 상반신표식은 연주자로 하여금 건반의 특정 부분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의 상반신표식은 건반의 특정 부분을 타격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일예로 표 4의 (라-3), (자-2), 또는 (차-2) 등의 표식에 타격할 건반 부분을 문자로 명시하거나, 그림 또는 아이콘으로 상기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건반의 특정 부분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별도로 구성하고, 이를 주석부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상반신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건반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연주가가 건반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타격 속도, 타격 강도, 타격 각도, 타격 기간,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울림,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화음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건반의 상부나 중부 또는 하부만을 타격하는지, 또는 건반 전체를 타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이나 양손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손가락의 모양,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손등의 모양, 손가락의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가 두 손을 사용할 경우, 상기 표식은 각각의 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양손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의 유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각의 손의 정적 또는 정적 특성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학습자가 상반신 부위를 올바르게 조작하지 못할 경우, 강사는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강사가 학습자에게 전달하려는 많은 양의 정보를 함축하여 전달하게 되므로, 학습자는 용이하게 자신이 교정해야할 자세나 조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같은 지시를 반복해야 하는 강사 역시 시간의 절약은 물론 피로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학습자가 어린이일 경우, 강사의 설명을 인지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거나 자신감을 잃게 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표식을 학습자의 나이나 성별, 또는 상기 학습자가 실행할 수 있는 음악적 기교의 수준에 알맞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 학습자 또는 성인 학습자는 자신이 자주 실수하는 위치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표식을 인지함으로써, 상기 실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연주의 집중도를 유지하거나 자신감을 상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상반신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전체적인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상반신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네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자세와 관련된 상기 몸통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몸통표식이다. 하술의 도 5는 다양한 몸통 부위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의 예시로서, 주로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각종 몸통 시각표식에 대한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몸통 부위인 어깨(또는 등)의 근육이나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어깨 또는 등)의 자세 또는 조작에 대한 표식으로서, 도 5의 (가-1) 내지 (가-3)의 표식들이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5의 (가-1)의 표식(10A)은 어깨와 등의 뼈 및 근육과, 이와 연결된 팔의 뼈 및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를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의 손가락은 팔에 연결되며, 팔은 다시 어깨나 등에 연결되기 때문에, 연주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자신의 손가락은 물론 팔, 어깨 또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어깨나 등은 방치한 채 손가락만으로 건반을 타격함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5의 (가-2)의 표식(10B) 역시 (가-1)의 표식(10A)에 근거하되, 이를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상기 표식(10B)을 수반하는 주석부(12)는 건반 타격 시 독수리가 날개를 펼치듯 양쪽 날개 뼈(견갑골)가 벌어지는 느낌으로 어깨와 등의 자세를 취하며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도 5의 (가-3)의 표식(10C)은 (가-1) 및 (가-2)의 표식(10A)이나 표식(10B)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연주자는 어깨나 등은 자연스럽게 내리면서, 동시에 등에 있는 양쪽 견갑골은 날개를 펴듯 바깥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양팔이 자유로워지는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날개 모양의 표식(10C)은 (가-1) 및 (가-2)의 상기 표식(10A) 및 표식(10B)의 단순화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몸통 부위인 어깨 또는 등의 자세에 대한 표식으로서, 도 5의 (나)의 표식이 이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일예로 도 5의 (나)의 표식(10A)은 어깨와 등의 전체적 자세를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상기 표식(10A)은 어깨가 올라간 연주자의 그림에 적색의 금지 표시를 덧붙임으로써, 연주자가 피아노 앞에 앉은 자세에서 어깨를 자연스럽게 내리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통하여 연주 전 또는 도중 연주자가 긴장하여 저절로 어깨가 올라갈 수밖에 없는 경우,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을 인지한 후 어깨를 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등 또는 어깨와 같은 몸통 부위의 자세와 관련된 도 5의 (가-1) 내지 (가-3) 및 도 5의 (나)의 표식들은 연주자가 건반악기를 연주하기 전 또는 연주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등 또는 어깨의 조작 및 자세와 관련된다. 따라서 상기 몸통표식은 악보의 첫 부분 또는 악보에 포함된 곡의 제목의 하부 등 악보를 연주하는 시작단계에 주로 배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음이 복잡하거나 연주 시간이 긴 곡의 경우, 상기 몸통표식은 연주자가 힘든 부분을 연주한 후,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악기를 연주하여 피로가 누적될 수 있는 부분 등에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등이나 어깨 등의 다양한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도 5의 (가-1) 내지 (가-3)의 표식(10A) 내지 표식(10C), 또는 도 5의 (나)의 표식(10A) 이외의 다른 표식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표식보다 구체화된 해부학적 정보를 포함하는 제1종 내지 제3종 그림을 구성하여 몸통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술한 표식보다 단순화된 정보만을 포함하는 제1종 내지 제3종 기호를 구성하여 몸통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표식은 어깨나 등 이외의 몸통 부위를 의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표식은 척추나 갈비뼈 등에 대한 해부학적 조작이나 자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몸통표식은 상기 도 5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몸통 부위와 관련된 몸통표식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몸통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몸통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달성하기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 부위와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몸통표식 및 이에 포함되는 다양한 세부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몸통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몸통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이나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몸통표식으로 더 다양한 또는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세 번째,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몸통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몸통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 (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몸통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 몸통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몸통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몸통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몸통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부위를 이용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통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몸통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건반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몸통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몸통 부위의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몸통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몸통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몸통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몸통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자세나 조작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다섯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하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및 자세를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 등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하반신표식이다. 건반악기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조작할 수 있는 일정 수효의 페달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조작하는 상기 페달의 수효는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로 조작하는 건반의 수효의 수십 분의 1에 불과하다. 하지만 상기 페달은 건반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때, 건반에 못지않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특정 음악을 연주하거나,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자세와 조작 및 이를 통한 상기 페달의 다양한 조작은 상반신 부위의 자세 및 이를 통한 건반 조작만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건반악기, 특히 피아노는 타악기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즉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면 연주자가 가한 힘은 해머로 전달되며, 이와 동시에 건반에 연결된 댐퍼스푼이 액션을 상부로 이동하며 현을 해머에 노출시킨다. 그 후 해머는 상기 힘을 이용하여 상기 건반에 할당된 다수의 현들, 특히 2개 또는 3개의 현들을 타격하며, 이에 상기 현들은 진동하며 소리를 발생한다. 하지만 상기 현들을 이 상태로 방치하면 계속된 진동으로 소리를 발생하며, 연주자가 다른 건반을 타격하면 이 때 발생하는 소리와 이전에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가 합쳐져 올바른 연주가 어려워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반악기, 특히 피아노는 약음장치(damper)를 이용하여 이전에 타격된 현들의 계속적인 진동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킴으로써 이전에 발생한 음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는 이전의 음과 혼합되지 않는 새로운 음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연주자는 상기 약음장치를 역으로 이용하여 특정 음을 더 오래 발생시키거나, 이전에 타격하여 발생한 음과 새로 타격하여 발생한 음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건반악기는 상기 약음장치나 역약음장치는 다수의 페달 형태로 건반 하부에 포함하며, 연주자는 한 발이나 양발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조작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페달의 수효는 건반악기에 따라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2개 내지 13개의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아노는 일렬로 배치된 우측페달, 중간페달 및 좌측페달 등 3개의 페달을 포함하며, 특히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 우측페달은 울림페달 또는 댐퍼(damper) 페달, 중간페달은 소스테뉴토(sostenuto) 페달, 좌측페달은 소프트 페달이라고 지칭한다. 우측페달은 울림페달로서, 연주자가 상기 우측페달을 밟으면 상기 약음장치가 비활성화되어 현의 울림이 풍성해지거나, 또는 손가락 타격만으로는 연결하지 못하는 다수의 음이 연결되는 레가토(legato)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면, 상기 우측페달은 음량을 증가시키는 페달이 아니라 상기 현들이 지속적으로 진동하도록 도모하는 페달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가 특정 건반을 타격하여 이에 할당된 현들을 타격한 후 중간페달을 밟으면, 상기 중간페달은 연주자가 상기 중간페달에서 발을 뗄 때까지 상기 현들이 계속 진동하도록 한다. 좌측페달은 소프트 페달로서, 연주자가 좌측페달을 밟으면 건반이 약간 이동하며, 이에 따라 해머는 다수(즉 2개 또는 3개)의 현들 중 일부(즉 1개 또는 2개)만을 타격하게 되며, 음량이 약화된다.
하지만 연주자가 상기 페달을 조작하는 방법 역시 단순하지만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연주자가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격하더라도 어떤 상반신 부위를 어떠한 자세로 얼마만한 힘을 가하며 어떻게 타격하느냐에 따라 발생되는 음의 강도, 길이, 울림, 음색 등이 상이해지듯이, 연주자가 상기 페달을 어떤 하반신 부위를 어떠한 자세로 얼마만한 힘을 가하며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발생되는 음의 강도, 길이, 울림, 음색 등이 상이해진다. 이는 마치 운전자가 자동차의 브레이크나 악셀을 밟는다고 무조건 차가 정지하거나 발진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도 급히 밟거나 서서히 밟아야할 때가 있으며, 악셀 역시 급히 밟거나 서서히 밟음으로써 급정거, 급발진, 점진적 정거나 발진이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좋은 자동차일수록 브레이크나 악셀이 민감하며,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나 악셀의 적절한 조작에 따라 운전자는 더 안전하며 쾌적한 운전을 즐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보법 및 기존의 음악 기호는 특정 페달을 발로 누르고 떼는 정도만의 정보를 제공할 뿐, 이보다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상술의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에서는,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구현하거나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상반신표식들을 예시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은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다양한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페달을 연주하는 데 사용하는 다양한 하반신 부위 각각은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타격하는 데 사용하는 다양한 상반신 부위 각각에 대응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건반을 타격하기 위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의 대부분은, 페달을 타격하는 데 사용되는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하반신표식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예시인 도 4의 (나)의 팔의 위치와 관련된 각도기 등의 상반신표식은,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기 전 손가락이나 손목 자세와 관련하여 예시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다)의 앉아있는 개구리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발로 페달을 타격하기 전의 발가락 및 발목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바닥 또는 손가락 자세와 관련하여 예시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라-1) 내지 (라-4)의 거북이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발로 페달을 타격할 때의 발가락, 발등 등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마-1) 내지 (마-5)의 앉아있는 (또는 점프하는) 개구리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타격하기 직전 또는 직후의 발목과 발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 손등, 또는 손목에 가하는 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바-1) 내지 (바-4)의 이두박근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 발가락, 발등, 또는 발목에 가하는 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가해야하는 힘 및 이를 위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사-1) 내지 (사-4)의 물고기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엄지발가락으로 페달을 밟을 때, 또는 약간 발목을 틀어서 페달을 밟을 때 페달에 가해야하는 힘 및 상기 힘을 가하는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기 위한 손가락 및 손목 관절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아-1) 및 (아-2)의 야구 글러브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의 발가락 또는 발목 관절의 자세 및 이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자-1) 및 (2ㅏ-2)의 독수리 부리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차-1) 및 (차-2)의 독수리 발톱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 발가락 또는 발등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경우, 연주자는 특정 표식이 상반신표식인지 하반신표식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반신표식과 하반신표식은 [1] 서로 상이한 모양이나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2] 서로 상이한 모양이나 색상의 배경이나 테두리를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3] 서로 상이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세부표식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중에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특정 종은 항상 상반신표식으로 사용하는 한편, 나머지 종은 항상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중 특정 그림이나 아이콘 또는 기호는 항상 상반신표식으로 사용하는 한편, 나머지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는 항상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을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하여 상기 하반신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들을 본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하반신표식들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들은 반드시 이에 상응하는 상반신표식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필요는 없다. 즉 손가락이나 손목의 관절의 자세를 예시하는 야구 글러브 모양의 상반신표식을 반드시 발로 페달을 밟을 때의 발가락 또는 발목의 관절의 자세 및 이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식으로만 사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상기 상반신표식을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함으로써 상기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을 단순화 또는 만화화하여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 또는 동일한 종의 기호와 같은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은 그림의 대상을 동물 또는 무생물로 (또는 반대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 등과 같은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그림과 같은 상반신표식은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과 같은 하반신표식으로 용이하게 변형 또는 개량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상반신표식의 대상을 무생물로부터 동물로 동물화하거나 인간으로 인간화함으로써, 또는 대상을 동물로부터 인간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다양한 표식은 상기 표식의 대상을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함으로써, 또는 상기 표식의 대상을 인간화, 동물화, 또는 무생물화함으로써 상이한 종의 상이한 하반신표식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상반신표식을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으로 변환하여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때의 중요한 점은 상기 표식의 일관성이다. 왜냐하면 아무리 명약관화한 그림이나 아이콘 등의 하반신표식도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악보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또는 기타 특정 부분에 상기 악보에서 사용되는 각종 하반신표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특정 하반신표식이 악보에서 처음 사용될 때 그 부분에 상기 주석부를 배치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확실히 이해하도록 상기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하반신표식을 특정 악보에서 일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특정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상기 하반신표식이 항상 동일한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전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과 본 다섯 번째 측면의 하반신표식을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단 제1종 또는 제2종 그림을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경우, 상반신 부위와 하반신 부위는 다르기 때문에 연주자는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술한 상반신표식을 혼동할 이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제1종 또는 제2종 아이콘이나 기호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반신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반신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표식이 제1종이건 제2종이건, 제3종이건,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반신표식을 동일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이를 상기 상반신표식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표식과는 상이한 모양이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반신표식의 배경이나 테두리의 색상이나 패턴이 상기 상반신표식의 배경이나 테두리 색상이나 패턴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반신표식에 포함된 물체나 문자 등과 같은 세부표식의 모양, 크기, 또는 색상을 상기 상반신표식에 포함된 물체나 문자 등과 같은 세부표식의 모양, 크기, 또는 색상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하반신표식의 테두리의 모양, 색상, 또는 패턴을 상기 하반신표식의 테두리의 모양, 색상, 또는 패턴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연주자는 특정 표식에 포함된 물체나 문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더라도, 상기 표식이 하반신표식인지 아니면 상반신표식인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기 상반신표식이 동일하건 상이하건 각각 악보의 특정 위치에 각각의 표식을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이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하반신표식은 항상 악보의 특정 음표의 하단(또는 상단)에 인쇄하거나 부착하는 반면, 상기 상반신표식은 항상 악보의 특정 음표의 상단(또는 하단)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건반악기 악보, 특히 피아노 악보에서는, 손가락 등과 같은 상반신 부위로 건반을 타격하며 연주하는 음표 및 기호는 악절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면, 발 등의 하반신 부위로 페달을 조작하며 연주하는 음표 및 기호는 악절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기 상반신표식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더라도 이들 표식이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부분이 상이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이를 혼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연주자가 각각의 표식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표식과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이 전달하지 않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반신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상반신표식은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타격하는 건반 하나하나, 음표 하나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연주자는 다양한 상반신 부위를 조작하거나, 상기 상반신 부위를 특정한 자세로 유지하거나, 또는 전체적 자세를 유지하며 상기 상반신 부위로 건반을 타격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상반신 부위를 조작하며 타격한 건반이 발생하는 음의 음색을 다양한 하반신 부위로 페달을 이용하여 조작하거나, 이를 위하여 상기 하반신 부위를 특정한 자세로 유지하거나, 또는 전체적 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하반신표식은 단일의 표식만으로 다수의 음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단일의 표식만으로 단일 음표의 일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반신표식은 음의 울림, 지속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단일의 건반을 타격할 때에나 다수의 건반을 타격하여 화음을 연주할 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자세한 특성은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며, 이를 위한 하술의 도 6은 다양한 하반신 부위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의 개략도로서, 주로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각종 하반신 시각표식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발 근육, 뼈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또는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6의 (가)는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도 6의 (가)의 표식(10A)은 발의 근육, 발 뼈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1종 그림의 예시이며, 상기 그림은 연주자의 발가락은 각각의 발 근육과 발 힘줄 등을 통하여 발 뼈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페달을 조작하려면 발가락은 물론 발등, 또는 발목 등의 하반신 부위를 같이 유기적으로 조작함이 바람직하다는 정보를 연주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세한 설명 및 조작 방법 등은 주석부(12)를 삽입하여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레가토(legato)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다양한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도 6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나)의 표식(10A)은 페달(11A)위에 얹혀있는 발, 발의 움직임(11B) 및 발 뒷부분에 부가된 귀(11C) 등의 다수의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기호 또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다. 즉 상기 레가토 표식(10A)의 세부표식 발은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밟으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발의 움직임에 대한 세부표식(11B)은 도에서와 같이 페달(11A)을 발로 눌렀다 떼었다하는 발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또 다른 세부표식 귀(11C)는 연주자에게 음의 진동을 들으며 페달(11A)을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레가토 조작 표식(10A)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 직후 우측페달을 누르는 정보를 전달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여 발생한 음은 지속적으로 울리게 되며,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타격하는 다음 음은 이전의 음과 끊이지 않으며 연결되는 음악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올바른 우측페달 조작에 대하여 쇼팽은 연주자들에게 발의 동작이 늦지 않도록 언제나 미리 발을 페달 위에 대기시키라고 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가토 표식(10A)은 연주자가 발을 이미 페달 위에 올리고 페달 조작을 준비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하자마자 우측페달을 밟으면, 건반악기의 약음장치가 비활성화되어 현의 울림이 풍성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강하고 분명한 음이 지속되며, 그 후 연주자가 다른 건반을 타격하여 새로운 음이 발생하며 이전의 음과 연결된다. 단 레가토는 발의 조작에 따라 음색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절한 음의 울림을 위해서는 연주자가 손으로 건반을 타격하고 발로 페달을 조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음을 들으며 음의 울림을 살펴야 한다. 이러한 의미애서 보면 상기 레가토 표식(10A)은 연주자로 하여금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 직후 상기 우측페달을 조작하도록, 또는 우측페달을 밟으며 음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우측페달을 조작하라는 정보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싱코페이션(syncopation) 조작 또는 당김음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싱코페이션은 건반을 타격하여 첫 번째 음을 발생하고 다시 건반을 타격하여 두 번째 음을 발생하되, 두 번째 음을 길게 울리도록 함으로써 첫 번째 음과 두 번째 음의 강약을 바꾸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싱코페이션 조작은 상술한 레가토 조작을 두 번째 음에 대하여 적용하는 조작에 해당한다. 따라서 싱코페이션 조작에 대한 표식 역시 상술한 도 6의 (나)의 표식(10A)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에 따라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 직후 우측페달을 누르는 정보를 전달한다.
싱코페이션 표식 역시 상기 레가토 표식과 같이 연주자가 발을 이미 페달 위에 올리고 페달 조작을 준비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여 두 번째 음을 발생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하자마자 우측페달을 밟으면, 건반악기의 약음장치가 비활성화되어 현의 울림이 풍성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음이 당겨지며 첫 번째 음과 두 번째 음의 강약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싱코페이션 역시 음의 울림이므로 발의 조작에 따르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적절한 음의 울림을 위해서는 연주자가 손으로 건반을 타격하고 발로 페달을 조작하며 음의 울림을 살펴야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싱코페이션 표식은 상술한 레가토 표식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싱코페이션 표식은 레가토 표식과 완전히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레가토 표식과 유사하되 특정 부분만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싱코페이션 표식은 도 (나)의 레가토 표식(10A)의 발의 각도 또는 발가락 모양 등과 같은 세부표식을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레가토 표식(10A)의 발의 움직임(11B) 등과 같은 세부표식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석부를 이용하여 싱코페이션 표식과 레가토 표식의 공통점 및 차이점 등을 설명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들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반약음(half-damping)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6의 (다)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다)의 표식(10A)은 페달(11A)위에 얹혀있는 발, 발의 움직임(11B), 및 페달(11A) 뒷부분에 부가된 귀(11C) 등의 다양한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기호 또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다. 즉 상기 표식(10A)의 발은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발로 밟으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발의 움직임에 대한 세부표식(11B)은 그림에서와 같이 페달(11A)을 발로 눌렀다 떼었다하는 발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페달(11A) 하부에 위치한 달걀(11C)과 같은 세부표식은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조작하되, 페달(11A) 밑의 달걀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힘 또는 거리로 페달(11A)을 조심스럽게 또는 약하게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으로 타격한 건반의 음이 계속 메아리로 울리도록 하는 우측페달을 서서히 조작하되, 약음장치가 현으로부터 격리되는 지점을 포착하여 상기 지점 또는 그 근처까지만 우측페달을 누름으로써 현이 섬세히 진동하는 음악적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연주자가 자신의 하반신 부위 주변에 위치한 페달을 누를 때, 연주자는 상기 부위의 움직임은 물론 페달의 움직임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레가토 조작, 싱코페이션 조작, 반약음 조작은 물론 하술의 플러터링 조작, 트레드 조작, 반페달 조작 등을 위하여 발로 페달을 밟거나 페달로부터 발을 뗄 때에는 자신의 청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상기 싱코페이션 조작이나 반약음 조작 및 하술의 다양한 하반신표식은 모두 도 6의 (나)의 레가토 조작의 표식(10A)에 포함된 귀(11C)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단 하반신 부위를 이용한 다양한 표식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귀의 각도나 위치를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귀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등 상이한 세부표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플러터링(fluttering) 조작 또는 페달 비브라토(pedal vibrato)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플러터링은 일반적으로 현악기의 비브라토 조작에 해당하는 조작을 의미하며, 도 6의 (라)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표식(10A)은 페달(11A)위에 얹혀있는 발, 발의 움직임(11B), 및 페달(11A) 하부에 부가된 스프링(11C) 등의 다양한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기호 또는 제1종 아이콘으로서,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발로 밟으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그림에서와 같이 페달(11A)을 발로 눌렀다 떼었다하며 발을 움직이되(11B), 페달(11A)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11C)이 움직이듯 연주자도 페달(11A)을 밟았다 떼었다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즉 연주자는 페달(11A)을 밟더라도 끝까지 밟지 않은 채 페달(11A)을 빨리 밟았다 떼었다하는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리를 떠는 하반신 부위의 조작에 따라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타격한 건반에 의하여 발생하는 음에 페달을 이용하여 음의 고저를 변화시킴으로써 비브라토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플러터링 조작은 연주자가 한 음을 일정 기간 이상 연주할 때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자세히 말하면, 연주자는 상기 플러터링 조작을 이용하여 특정 음을 더 오랫동안 연주함은 물론 다른 현의 진동을 통하여 약한 화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 6의 (라)의 표식(10A) 역시 앞서 설명한 귀 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11C)의 크기, 높이, 두께 등을 조작하여 연주자에게 다양한 강도의 플러터링 조작을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계속할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트레드 조작(tread 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상기 트레드 조작에 대한 표식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한 후 우측페달을 누르되, 페달을 반 쯤 누른 후 다시 누름으로써 특정 음을 연결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타격한 음 또는 화음을 이음새가 드러나지 않게 연결되는 음악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반페달 조작(half-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연주자가 우측페달을 조작하면 약음장치가 현을 짧게 접촉하며, 이를 통하여 연주자는 길이가 짧은 현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음을 제거하지만 길이가 긴 현으로부터 발생하는 저음은 지속시킴으로써, 현의 불필요한 진동에 의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반페달 조작은 페달을 예민하게 조작해야하므로 연주자는 고도의 집중력으로 음의 진동을 들으며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발을 민감하게 조작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두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좌측페달을 조작하는 감음 조작(una corda 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상기 감음 조작에 대한 표식은 연주자로 하여금 좌측페달 조작을 통하여 음량을 작게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예로 피아노의 경우,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면, 해머는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두 개(또는 세 개)의 현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한다. 하지만 연주자가 좌측페달을 눌러 감음 조작을 하며 건반을 타격하면, 해머가 이동하며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두 개(또는 세 개)의 현 중 한 개(또는 두 개)의 현만 타격하게 되어 음량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세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중간페달을 조작하는 소스테뉴토 조작(sostenuto 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연주자는 손으로 건반을 타격하여 발생된 음을 중간페달을 조작하여 계속 울리게 함으로써, 그 후 다른 음역의 건반을 타격할 때에도 중간페달로 조작한 상기 음의 울림을 지속할 수 있다.
상기 열 번째 실시예의 트레드 조작, 열한 번째 실시예의 반페달 조작, 열두 번째 실시예의 감음 조작, 또는 열세 번째 실시예의 소스테뉴토 조작에 대한 표식은 각 조작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특성에 따라 상술한 레가토 조작, 싱코페이션 조작, 반약음 조작, 플러터링 조작에 대한 표식과 유사하게 또는 이들 표식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반페달 조작에 대한 표식은 반약음 조작에 대한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중간페달을 이용하는 싱코페이션 조작 또는 좌측페달을 이용하는 감음 조작에 대한 표식 역시 레가토 조작 또는 반약음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트레드 조작, 반페달 조작, 감음 조작, 또는 소스테뉴토 조작에 대한 표식은 상술한 레가토 조작, 싱코페이션 조작, 반약음 조작, 플러터링 조작에 대한 표식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주석부를 활용하여 각각의 표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네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우측페달, 중간페달 및 좌측페달 등의 조작에 대한 표식을 각 페달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는 하반신표식의 종이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이건 상관없이 상이한 페달에 대하여 상이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표식이 어떠한 페달에 대한 표식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일예로 우측페달에 대한 표식은 발 모양으로, 중간페달에 대한 표식은 모두 상이한 모양으로, 또는 좌측페달에 대한 이와 상이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상세예는 상기 페달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표식을 사용하되, 상기 표식의 배경이나 테두리를 상이하게 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 어떤 페달에 대한 표식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일예로 우측페달에 대한 표식은 원형으로 만들거나 배경 색을 청색으로 하는 반면, 중간페달에 대한 표식은 삼각형으로 또는 배경 색을 적색으로, 좌측페달에 대한 표식은 모두 사각형으로 또는 배경 색을 녹색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상세예로서, 상기 페달 각각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식을 사용하되, 상기 표식에 문자나 숫자 등의 세부표식, 또는 모양이나 색상이 상이한 배경이나 테두리 등의 세부표식을 사용하여, 상기 페달 각각에 대한 표식들을 구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은 상기 도 6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하반신 부위와 관련된 하반신표식 또는 이를 이용한 페달 조작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하반신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페달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페달 전체 또는 페달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반신 부위와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하반신표식 및 이에 포함되는 다양한 세부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하반신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하반신표식으로 더 다양한 또는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하반신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 및 이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건반악기의 부위(즉 건반 또는 페달)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 (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고,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하반신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 하반신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하반신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 및 이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건반악기의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페달을 조작할 때에는 페달의 끝 부분을 조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페달의 상부 또는 중간 부분을 조작함으로써 상이한 음색을 내거나, 페달을 조작하기에 유리하거나, 또는 다음 음을 연주하는 데 용이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은 연주자로 하여금 페달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페달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는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술의 하반신표식을 변형 또는 개량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표 6의 (나-1), (다-1), 또는 (라) 등의 하반신표식에 타격할 페달의 특정 부분을 문자로 명시하거나 그림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페달의 특정 부분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또는 세부표식을 별도로 구성하고, 이를 주석부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페달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하반신 부위로 건반악기의 페달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 및 이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건반악기의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연주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하반신 부위의 조작, 페달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연주 초보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할 때 페달을 하반신 부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연주 초보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여섯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이를 위한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들숨, 날숨은 물론, 들이쉰 공기를 저장하는 방법에 따라 복식호흡이나 폐호흡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폐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관악기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소리를 발생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표식이지만, 상기 호흡표식은 관악기 외의 악기를 연주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예로 건반악기나 현악기의 경우, 연주자는 악기를 연주하며 악절과 악절 사이에 호흡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악절을 구분할 수 있으며, 호흡 조절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에서는 [1]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폐호흡 시점 및 호흡 속도 등에 대한 호흡법, 또는 [2] 들숨과 날숨 자세 및 시점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호흡표식을 통하여 연주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건반악기 연주에 사용되는 호흡표식은 [1] 건반악기 연주 중 폐호흡과 관련된 다양한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 연주 중 입 또는 코를 이용하여 숨을 빨리 들이쉬는 빠른 들숨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7의 (가)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7의 (가)의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들이쉬는 숨을 나타내는 제1종 기호의 예시이며, 세부표식인 화살표(11)는 호흡 부위를 조작하여 숨을 들이쉬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화살표(11)의 굵기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에게 얼마나 빨리, 얼마나 깊은 들숨을 쉬어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문자나 숫자로 이루어진 문장과 같이, 많은 곡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단위로 묶여진 다수의 악절로 구성된다. 특히 각각의 악절은 2/4, 4/4 박자 등의 경우에는 두 마디, 네 마디, 또는 여덟 마디별로 묶여지며, 3/4 또는 6/8 박자 등의 경우에는 세 마디, 여섯 마디별로 묶여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 각각의 악절 사이, 특정 악절이 시작되기 전, 또는 특정 악절이 끝나는 부분에 상기 호흡표식을 인쇄 또는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빠른 들숨을 들이쉬며 이전의 악절과 다음 악절을 구분하거나, 다음 악절의 연주를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호흡표식은 보통 속도의 들숨 또는 느린 들숨을 쉬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는 호흡표식은 상기 (가)의 표식(10A)을 변형하여, 또는 이와는 상이한 그림, 아이콘, 기호, 또는 세부표식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상기 들숨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상기 표식(10A)은 물론 상기 들숨을 멈추는 시점을 표시하는 호흡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 연주 중 입, 코, 또는 폐를 이용하여 숨을 천천히 들이쉬는 날숨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7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7의 (나)의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내쉬는 날숨을 나타내는 제1종 기호의 예시이며, 세부표식인 화살표(11)는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숨을 내쉬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화살표(11)의 굵기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에게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은 양의 날숨을 악절의 위치나 길이에 따라 내쉬어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호흡표식은 보통 속도의 날숨 또는 빨리 내쉬는 날숨을 쉬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는 호흡표식은 상기 (나)의 표식(10A)을 변형하여, 또는 이와는 상이한 그림, 아이콘, 기호, 또는 세부표식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상기 날숨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상기 표식(10A)은 물론 상기 날숨을 멈추는 시점을 표시하는 호흡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상기 도 7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호흡 부위와 관련된 호흡표식 및 호흡법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호흡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흡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이를 위한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니 조작들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흡 부위와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호흡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호흡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호흡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호흡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호흡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 (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호흡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호흡 부위에 대한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호흡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호흡 부위를 이용한 건반 또는 페달의 조작, 상기 조작을 위한 하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호흡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이나 페달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호흡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호흡 부위의 조작, 페달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호흡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할 때 페달을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호흡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일곱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호흡 부위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자세로 상기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표식이다. 상기 음악적 표현을 위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르거나, 현악기의 현을 진동시키거나, 관악기에 숨을 내쉬며 음을 발생하는 상태는 물론 음을 발생하지 않는 상태의 신체 부위의 조작은 물론 이를 위한 상기 부위의 자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술의 도 8은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표식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특정 음표(note)나 쉼표(rest)를 약 1.5배 내지 2배 정도 길게 연주하는 연장 또는 늘임표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가)는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가)의 표식(10A)은 모래시계를 나타내는 제3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모래시계 상부(11A)나 하부(11B)의 모래 등과 같은 세부표식은 연주자에게 상기 음표를 연주하거나 쉼표에 따라 쉴 때 악보에 표기되어 있는 길이보다 더 길게 유지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붙임줄, 쉼표, 페르메타(fermata)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이 있는 음표나 쉼표를 길게 연주하여 연주 시 음이 끊어지지 않도록 연주할 수 있다.
상기 모래시계 표식(10A) 또는 여기에 포함된 세부표식을 다양한 방업으로 변환하면 음표나 쉼표의 연장 또는 늘임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의 크기나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연장이나 늘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10A) 상부의 모래(11A)나 하부의 모래(11B)의 양, 색상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에게 얼마나 오랫동안 상기 음표나 쉼표를 연장하여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특정 음을 연주한 후 서서히 이를 제거하는 연장 또는 끈끈함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나)의 표식(10A)은 신발을 나타내는 제3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신발(11A) 하부에 위치한 세부표식인 껌(11B)이 붙어 신발(11A)이 쉽게 떼어지지 않듯, 연주자에게 음을 연주한 후 손가락을 건반악기의 건반에서 바로 떼지 않거나, 활로 현악기의 현을 연주한 후 손가락을 현에서 바로 떼지 않거나, 활을 현악기의 현에서 바로 멈추지 말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인접한 각 음의 음정이 모두 반음으로 되어있는 반음계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상기 표식(10A)은 음을 충분한 길이로 지속하여 연주하라는 테누토(tenuto) 등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신발 표식(10A) 또는 이에 포함된 세부표식을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면 음표의 연장 또는 끈끈함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신발(11A)의 크기나 각도 등을 조절하여 상기 연장이나 끈끈함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껌(11B)의 두께, 길이나 색상, 또는 상기 신발(11A)과 껌(11B) 사이의 거리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가 얼마나 끈끈하게 상기 음표를 지속하여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도 8의 (나)의 연장 표식(10A)은 음을 연장하여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하며, 따라서 상술한 도 8의 (가)의 연장 표식(10A)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도 8의 (나)의 연장 표식(10A)은 주로 음표에 적용되는 반면, 도 8의 (가)의 연장 표식(10A)은 음표는 물론 쉼표에도 모두 적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고난도 기술인 점진적 속도 변화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다)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다)의 표식(10A)은 세부표식인 유턴(11)을 포함하는 제3종 기호의 예시이며, 운전자가 유턴을 할 때에는 점진적 감속이 필수 조건이듯, 연주자도 음을 연주하며 연주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음표들이 오르락내리락하는 악절에서 상기 유턴 표식(10A)을 발견하면, 건반악기 연주자는 운전자와 마찬가지로 건반을 타격하는 속도를 줄이고, 현악기 연주자는 활을 조작하며 현을 진동시키는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악절의 음표들이 올라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는 음을 점점 약하게 연주하며, 이를 데크레센도, decresc,, 또는 기호 “”로 표시한다. 이에 반하여 음표들이 내려오는 선율에서는 연주자는 음을 점점 강하게 연주하며, 이를 크레센도, cresc., 또는 기호 “”로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유턴 표식(10A)은 특히 악절(period)의 상부에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연주자가 올라가는 선율이 끝나는 부분에서 속도를 줄이도록 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유턴 표식(10A)을 이용하여 연주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야하는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특정 선율을 연주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턴 표식(10A) 또는 이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연주 속도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의 U자(11)의 크기나 색상을 이용하여 속도 변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U자(11)의 각도를 조절하여 속도 변화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U자(11) 사이의 각도를 180o 이하로 하여 속도 변화의 폭이 좁음을 알리거나, 상기 각도를 180o 이상으로 하여 U자의 끝 부분들이 겹치도록 210o 정도로 하여 속도 변화의 폭이 넓음을 알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초보 학습자가 연주 속도를 변화시키며 음악적 표현을 하기는 용이한 일이 아니며, 이를 가르치는 강사 역시 연주 속도 변화와 관련된 뉘앙스나 인토네이션 등을 말로만 설명하거나 악보에 글로 적어 가르치기도 어렵다. 따라서 상기 유턴 표식(10A) 및 이를 변형한 표식들을 사용할 경우, 강사는 자신이 의미하는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상기 주석부를 이용하여 이를 더욱 상세히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점진적 감속에 대한 표식 외에도 점진적 가속에 대한 표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도 8의 (다)의 유턴 표식(10A) 대신 운전자가 언덕을 오르는 그림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표식을 이용하여 점진적 감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운전자가 언덕을 내려오는 그림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점진적 가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턴 표식과 유사한 교통 표지판 표식에 바람직한 연주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로 기입하여 연주자에게 감속 또는 가속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는 유턴과 같은 표식 대신 감속 또는 가속을 의미하며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상이한 교통 표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10A)은 교통 표식 이외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점진적 감속 또는 가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주석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려는 정보를 상세히 설명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손목 이완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라-1) 및 (라-2)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라-1)의 표식(10A)은 연주자의 손(11A) 및 손목 아래에 위치한 스프링(11B) 등의 다양한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 또는 제3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에 힘을 주어 경직시키는 대신 손목을 유연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며 탄력을 주어 연주하라는 정보 또는 지속적으로 건반을 가벼우면서도 튀어 오르는 동작으로 가볍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표식이 인쇄되거나 부착된 부분의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을 스프링(11B) 튀듯 탄력적으로 유연하게 조작하게 된다.
다른 관절들과 달리 손목은 360o 회전이 가능한 관절을 포함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자신의 손목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연주자가 손목에 힘을 주어 손목의 자세를 고정시킨 채 연주를 계속하게 되면, 손목과 팔은 물론 전반적인 자세가 굳어지게 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또한 경직된 자세로 연주하는 연주자는 유연한 자세로 연주하는 연주자에 비하여 풍부한 음색의 음을 연주할 수도 없다. 따라서 연주자가 피로를 느낄만한 부분 또는 가볍고 튀는 음악적 표현이 필요한 부분에 상기 표식(10A)을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연주자는 손목을 끊임없이 상하좌우로 탄력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도 4의 (마-2)의 점프하는 개구리 표식(10B)과 같이 가볍고 튀듯 손목을 조작하게 되어 더욱 탄력적으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라-2)의 표식(10B)은 상기 도 (라-1)의 표식(10A)과 건반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 및 제3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위의 문단에서 설명한 손목 이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10B)에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이러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표식(10B) 외에도 손목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제1종 그림을 부가하여 상기 손목 이완에 대한 자세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 이완 표식(10A) 또는 이에 대한 세부표식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손목 조작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의 스프링(11B)의 크기나 높이, 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손목의 유연도 또는 튀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프링(11B)에 화살표 또는 상술한 뛰는 개구리 등을 혼합하여 손목의 유연도 또는 튀는 정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부드러운 타격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마)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마)의 표식(10A)은 천천히 떨어지는 새의 깃털을 나타내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 내성부는 부드럽게 연주하며, 프레이즈(phrase)의 끝부분에서는 손가락을 건반으로부터 천천히 떼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즉 뉴턴의 제2법칙인 “”와 같이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음의 크기는 건반을 누르는 손가락의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표식이 인쇄되거나 부착된 부분의 건반을 타격할 때 가벼운 깃털이 천천히 내려오듯 손가락으로 건반을 살살 타격하고, 또한 타격 후 건반으로부터 손가락을 살살 떼게 된다.
특히 상기 깃털 표식(10A)에 따라 연주자가 화성의 빈 곳을 채워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음악의 내성부를 떨어지는 깃털과 같이 부드럽게 연주하면, 이로부터 발생하는 음은 외성부 또는 베이스 성부의 화성을 방해하지 않거나 압도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연주자는 여러 성부의 역할이 각각 뚜렷해지도록 연주하는 동시에 각 성부의 소리도 조절하여야하는 고난도의 음악적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강약 조절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바)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바)의 표식(10A)은 날아가는 나비를 나타내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나비가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가듯 강약을 넣어가며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나비가 상이한 크기의 힘과 상이한 속도로 반복적으로 날개를 펼치고 접듯, 연주자도 힘과 속도를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강약을 넣어가며 건반을 타격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 8의 (마)의 깃털 표식 또는 도 8의 (바)의 나비 표식 역시 다양한 구성으로 변환하여 손가락 또는 손목 조작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깃털 표식의 깃털의 크기나 풍성함, 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건반을 타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나비의 날개의 크기 또는 색상을 조절하거나 상기 날개에 화살표 등을 혼합하여 강약 조절 정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양손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사)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사)의 표식(10A)은 목에 세부표식인 방울(11)을 단 고양이를 나타내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고양이가 방울(11)이 울리지 않을 만큼 사뿐사뿐 걷듯 건반을 타격하여 음을 작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특히 상기 고양이 표식(10A)은 양손으로 연주하는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특정 손으로 타격하는 건반이 발생하는 음의 크기를 달리하여 멜로디를 더 선명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하도록 한다. 일예로 악보 중 왼손으로 연주하는 반주 부분에 상기 표식(10A)을 인쇄하거나 부착하면, 연주자는 오른손으로 연주하는 멜로디는 특정 크기로 연주하는 한편 왼손으로 연주하는 반주는 고양이가 조심스럽게 걷듯 부드럽게, 작은 크기로 연주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에 대한 표식은 상기 도 8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표식에 적용하는 변형이나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음악적 표현에 대한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악적 표현에 대한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1]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표현이나 자세를 위한 신체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음악적 표현 관련 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의 다양한 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한 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이용하여 [1] 상술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2] 상기 자세를 위한 또는 상기 자세를 통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되,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의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연주자 개개인의 부족한 음악적 기교나 잘못된 음악적 표현을 개선하도록 특정 신체 부위의 조작,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규격화된 다양한 표식으로 전달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악기를 연주할 때 다양한 신체 부위를 조작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규격화된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여덟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산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다양한 표식이다.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거나, 현을 진동시키거나, 관악기에 숨을 내쉬며 음을 발생하거나, 타악기를 타격하여 음을 발생하는 순간은 물론 음을 발생하기 이전의 순간, 또는 음을 발생한 이후의 순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연주자는 앞으로 연주하여야할 음을 지금 연주하는 음과 사전에 비교함으로써 또는 지금 연주한 음을 이전에 연주한 음과 사후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음을 끊어짐 없이 서로 연결하거나, 다수의 음을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며 자연스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는 화음을 연주할 때 상기 화음의 특성을 사전에 대비하거나 사후에 대응하여 특정 음악적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하술의 도 9의 (가) 내지 (라)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사전 대응 표식 또는 사후 대응 표식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아직 연주하지는 않았지만 곧 연주해야할 음을 사전 대비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가)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9의 (가)의 사전 대비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상기 표식(10A)의 우측 방향에 위치한 확대된 귀(11)와 같은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다. 특히 상기 표식(10A)과 이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표식(11)은 연주자에게 악보의 우측의 음, 즉 연주자가 아직 연주하지 않았지만 곧 연주하게 될 음을 어떤 크기로 어떻게 연주할지, 그리고 이를 위하여 어떤 자세를 취할지 등을 미리 생각하고 이에 대비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의 자세를 미리 대비하거나 상기 부위를 적절히 조작할 준비를 취함으로써, 실수를 방지함은 물론 곧 연주할 음이 현재 연주하는 음과 더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
연주자는 상기 사전 대비 표식(10A)을 통하여 단순히 음을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음을 연주할 때 다음 음까지 상상하면서 이에 대비하여 현재 음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다음 음과 현재 음 사이의 쉬는 간격, 현재 음을 지속해야할 기간은 물론 현재 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다음 음의 특성을 미리 준비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다음 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현재 음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 역시 연주자가 아직 연주하지는 않았지만 곧 연주해야할 음을 사전 대비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9의 (나)의 사전 인지 표식(10A)은 도면의 우측 방향을 쳐다보는 한 쌍의 눈동자(11)를 포함하는 눈의 모습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A) 및 보조표식(11)은 연주자에게 악보의 우측의 음, 즉 아직 연주하지 않았지만 곧 연주하게 될 음을 눈으로 확인한 후, 이를 어떤 크기로 어떻게 연주할지, 그리고 이를 위하여 어떤 자세를 취할지 등을 미리 생각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를 적절히 조작할 준비를 취하거나 이를 위한 신체 부위의 자세를 준비함으로써, 실수를 방지함은 물론 곧 연주할 음이 현재 연주하는 음과 조화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 9의 (나)의 사전 대비를 나타내는 눈동자 표식(10A)은 도 9의 (가)의 사전 대비를 나타내는 얼굴 및 귀를 포함하는 표식(10A)과 유사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사전 대비에 대한 눈동자 표식(10A)이 연주자로 하여금 곧 연주할 음에 대한 악보를 눈으로 미리 확인하라는 정보를 전달하는 반면, 사전 대비에 대한 얼굴과 귀 표식(10A)은 연주자로 하여금 곧 연주할 음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곧 연주할 음을 외울 경우에는 이를 눈으로 확인하지는 않더라도 머리로 미리 상상하여 이에 대비하라는, 더 포괄적인 정보를 전달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자신이 연주한 음을 사후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다)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9의 (다)의 사후 대응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도면 좌측의 확대된 귀(11)와 같은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이는 상술한 도 9의 (가)의 사전 대비 표식의 반대 표식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에게 방금 연주한 음의 여운을 들으며 다음 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갑자기 다음 음을 크게 연주하거나 또는 방금 연주한 음과 음악적 표현이 어울리지 않도록 다음 음을 연주하지 않도록 피할 수 있다.
상기 사후 대응 표식(10A)은 연주자가 방금 연주한 음과 다음 음 사이의 음악적 표현에 대한 다양한 조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에 따라 연주자는 자신이 방금 연주한 음을 다음 음과 겹치도록 연주하거나, 이를 다음 음에 이어주는 레가토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연주자는 방금 연주한 음과 다음 음 사이의 강약을 조작하는 싱코페이션 조작 등에도 상기 사후 대응 표식(10A)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9의 (가) 내지 (다)의 다양한 표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사전 대비, 사전 인지, 또는 사후 대응 등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상기 얼굴 및 귀 표식은 얼굴 또는 귀의 크기, 위치, 색상을 조절하여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하여야할 기간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눈동자 표식의 크기, 위치, 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사전 대비나 사후 대응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특정 사건의 전후를 나타내는 통상적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상술의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 숫자나 문자 등을 혼합하여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화음을 연주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라-1) 내지 (라-3)이 이의 예시이다. 특히 화음은 선율 및 박자와 함께 음악의 3요소로 꼽히는 만큼, 화음에 대한 표식은 음악적 표현에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화음 연주에 대해서도 다양한 표식을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도 9의 (라-1)의 표식(10A)은 조화되지 않은 선율에 찡그리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에게 불협화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참고로 으뜸화음이란 으뜸음을 기준으로 3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을 함께 연주하는 화음을 의미하며, 이는 장조에서는 도, 미, 솔에 해당하는 한편, 단조에서는 라, 도, 미에 해당한다. 일반적 조성 체계에서 특정 조의 음들과 화음들은 으뜸음 또는 으뜸화음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또는 상이해질수록 긴장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불협화음 표식(10A)에 따라 불협화음을 연주하면 음악은 물론 듣는 이의 긴장도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연주자가 으뜸조에서 다른 조로 바꾸며 연주하면 긴장도가 증가하며, 반대로 다시 으뜸조로 돌아오게 되면 상기 긴장이 해소된다.
현대음악에서는 불협화음을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한다. 특히 그 중애서도 7화음(dominant seventh, 즉 도, 미, 솔, 시)과 딸림 단7화음(솔, 시, 레, 파)은 선율을 으뜸 3화음과 딸림 3화음으로 진행하게 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음률이나 화음 자체가 불안정해진다. 이 때 불협화음을 사용하게 되면 선율은 안정되며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상기 불협화음 표식(10A)을 인쇄하거나 부착하면, 연주자는 특정 불협화음을 연주함은 물론, 다음에 연주할 화음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라-1)의 표식(10B) 역시 완전히 조화되지 않은 중간 상태의 화음을 듣고 멋쩍게 웃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B)은 연주자에게 부3부화음 등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예로 부3부화음은 온음계적 화음에서 ‘’‘’또는 ‘’등과 같은 주요 3화음 이외의 화음을 의미한다. 특히 장조의 ‘’은 1도화음 또는 으뜸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도, 미, 솔에 해당하고, 장조의 ‘’는 4도화음 또는 버금딸림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파, 라, 도에 해당하며, 장조의 ‘’는 5도화음 또는 딸림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솔, 시, 레에 해당한다. 한편 단조의 ‘’은 1도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라, 도, 미에 해당하고, 단조의 ‘’는 4도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레, 파, 라에 해당하며, 단조의 ‘’는 5도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미, 솔#, 시에 해당한다. 상기 부3부화음 역시 주요 3화음과 같이 장음계 또는 단음계에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2, 3, 6, 7번째 음을 근음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인쇄된 또는 부착된 상기 부3부화음 표식(10B)에 따라 부3부화음을 연주할 수 있다.
상기 도 9의 (라-1)의 불협화음 표식 및 부3부화음 표식과 달리, 도 9의 (라-2)의 표식(10C)은 완전히 조화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조화된 선율에 따라 마음이 편안해져 미소를 띤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C)은 연주자에게 5도권화음 등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5도권화음은 일반적으로 특정 음에서 위나 아래로 5도씩 세면 12음 전체를 완전히 순환하도록 배열된 음의 관계를 나타내며, 특정 근음이나 코드 다음에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음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즉 5도권화음은 특정 음부터 시작하여 아래로 5도씩 세어가며, 가장 잘 조화되는 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악보 없이 곡을 쉽게 외우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현재 연주하는 음의 다음 음이 어떤 음이 가장 적절한지 미리 생각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음악적 표현을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라-2)의 표식(10D)는 선율이 조화되어 얼굴에 웃음이 가득한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D)은 연주자에게 으뜸화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불협화음, 7화음, 부3부화음, 5도권화음 등의 다양한 중간화음을 거쳐 완전히 조화되는 으뜸화음을 연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으뜸화음이란 으뜸음을 기준으로 3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을 함께 연주하는 화음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조성 체계에서 특정 조의 음들과 화음들은 으뜸음 또는 으뜸화음에 가까울수록 또는 동일해질수록 긴장도가 감소한다. 또한 연주자가 으뜸조에서 다른 조로 조바꿈을 할수록, 긴장도가 증가하며, 다시 으뜸조로 회귀함에 따라 상기 긴장이 해소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불협화음 표식에 따라 불협화음을 연주하면 음악의 긴장도는 물론 듣는 이의 긴장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불협화음 또는 중간화음에 의하여 조성된 긴장감을 으뜸화음을 연주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도 9의 (라-3)의 표식(10E)은 선율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리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E)은 특히 연주자에게 무겁거나, 어둡거나, 슬픈 분위기의 단조화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단조 표식(10E)이 인쇄되거나 부착된 부분에서는 단조화음을 연주함은 물론 음을 길게 연주하며 연주 속도 역시 줄임으로써 어둡거나 슬픈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는 이와 같이 느린 속도로 연주하는 데 적합하도록 상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자세를 조작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라-3)의 표식(10F)은 강조된 음을 듣고 놀라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D)은 스포르잔도(sforzando) 또는 악센트(accent)와 같이 특정 음을 강조하여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스포르잔도나 악센트는 모두 특정 음을 강하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스포르잔도는 단일 음표 또는 화음을 점진적이 아니라 돌연히 강조하여 연주하라는 의미이며, 리듬적인 요소로 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스포르잔도는 반드시 소리가 크지 않더라도 힘을 느낄 수 있도록 연주하며, 강박에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만일 스포르잔도를 강박에 사용할 경우에는, 이는 거짓 강박이 되는 특성이 있다. 반면 악센트는 특정 음을 앞뒤의 음들보다 세게 연주하라는 의미이며, 통상적으로 작은 단위의 선율의 다이나믹을 통하여 억양의 중심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악센트는 일반적으로 소리가 크다는 특성을 가진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위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표식은 상기 도 9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다양한 표식들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표식에 적용하는 변형이나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1] 상기 악기로 사전에 대비하거나 사후 대응하기 위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사전 대비나 사후 대응을 위한 신체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하여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할 수 있는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표식 역시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다양한 표식들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관련 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관련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표식들과 적용되는 시점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상술의 다양한 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상술한 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다양한 표식들과 적용되는 시점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이용하여 [1] 상술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2] 상기 자세를 위한 또는 상기 자세를 통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되,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의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들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연주자 개개인의 부족한 음악적 기교나 잘못된 음악적 표현을 개선하도록 특정 신체 부위의 조작,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정보를 규격화된 다양한 표식으로 전달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악기를 연주할 때 다양한 신체 부위를 조작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대비하거나 구현하도록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규격화된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아홉 번째 측면은 현악기, 관악기 및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또는 자세를 총한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상기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 및 이들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이다. 특히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로 건반을 타격하거나 하반신 부위로 페달을 조작하며 음을 발생하는 건반악기와는 달리, 본 아홉 번째 측면의 다양한 표식은 [1] 연주자가 한 상반신 부위로는 활로 현을 진동시키는 동시에 다른 상반신 부위로는 상기 현을 조작함으로써 현이 발생하는 음의 진동수를 변화시키며 음을 발생하는 현악기, [2] 연주자가 호흡 부위로는 마우스피스에 바람을 내보내며 상반신 부위로는 상기 바람이 지나가는 경로의 길이나 두께 등을 조작함으로써 음을 발생하는 관악기, 또는 [3]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 또는 하반신 부위로 악기의 일부를 타격하며 탸격음을 발생하는 타악기 등의 연주용 표식이라는 점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연주자가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신체 부위, 이를 위한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또는 상기 부위의 조작은 상술의 다양한 측면들에서 상세히 설명한 건반악기 연주를 위한 신체 부위,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또는 상기 부위의 조작과는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일반적으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들과는 상이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들과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하는 상반신 부위,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조작 등은 현악기의 현이나 활을 조작하는 상반신 부위나 상기 부위의 자세 또는 조작들과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을 참고하여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변형 또는 개량하여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며 왼손으로 현을 조작하는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현악기의 특정 현을 누르며 진동하는 현의 길이를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왼손가락이나 왼쪽 손목 등의 상반신 부위는 건반악기에 대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올바른 손가락 운지법과 유사한 현악기 손가락 운지법에 따라 조작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현악기의 경우 힘이 강한 왼손 1번 손가락은 현의 길이를 조작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건반악기에 대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세 번째, 여섯 번째, 또는 여덟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현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도 왼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조작하는 한편 왼쪽 손목 및 왼팔의 피로를 최소화하도록 손가락이나 손허리 관절의 자세, 또는 팔의 각도나 위치를 유사하게 조작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현악기 연주자도 힘이 약한 왼손 4번 손가락이나 5번 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조작하려면 손가락과 손등의 자세는 물론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세 및 이를 위한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
또는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현악기 연주자는 활을 조작하는 손목과 팔의 자세 또는 각도를 조작할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개구리가 점프하듯 활로 현을 조작함으로써 현을 진동시키는 힘이나 시간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5번 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변화하여 음의 진동수를 조작할 경우, 현악기 연주자는 손가락 사이의 새끼굽힘근(FDMN)을 근육처럼 기르고 활용하여야 음에 힘이 생기며 음색도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연주자가 활로 현을 조작할 때에는 독수리 부리처럼 단단한 느낌으로 손가락에 힘을 주어 활로 현을 조작하거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손가락을 독수리 발톱처럼 힘을 주어 새운 후 사냥감을 발톱으로 잡듯 활로 현을 조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아홉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다양한 자세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현악기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들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이나 방법을 통하여 변형 또는 개량할 수 있다.
하지만 현악기 연주자는, 일예로 오른손잡이 연주자는, 왼손으로는 다양한 현을 지판의 다양한 위치에서 조작하는 동시에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며 상기 현과 접촉하여 소리를 발생하며, 상기 조작 중 왼손의 자세나 조작과 오른손의 자세나 조작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이 전달하지 않거나 전달할 수 없는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중, 특히 활 또는 현의 조작, 상기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 등에 대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바이올린, 비올라, 또는 첼로의 활을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본 실시예의 현악기 연주용 표식은 주로 [1] 건반악기 연주자는 조작할 필요가 없으나 현악기 연주자는 반드시 오른손으로 조작해야하는 활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을 위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와 관련되거나, [2] 건반악기와는 달리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며 왼손으로는 현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활과 현의 특정 부분을 서로 접촉하여 음을 발생하기 위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을 위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와 관련되거나, [3] 상기 [1] 또는 [2]의 조작이나 자세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이나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과 관련되거나, [4] 촘촘하게 평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현 중 특정 현을 특정 신체 부위로 조작하며 다양한 높이의 음을 연주하는 데 필요한 운지법 등의 왼손가락 조작, 또는 상기 조작을 위한 왼손 자세 등과 관련되거나, [5] 건반악기와는 달리 다양한 현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여 특정 음을 발생하는 왼손가락 조작이나 이를 위한 자세 등과 관련되거나, 또는 [6] 상기 [4]나 [5]의 조작이나 자세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이나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과 관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현악기용 표식은 현악기의 현과 접촉하여 음을 발생하는 활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연주자는 활을 이용하여 현의 하부 (일예로 지판의 끝 부분), 현의 상부 (일예로 브릿지 부분), 또는 중부 (지판의 끝 부분과 브릿지 부분의 중간)를 접촉하여 음을 발생할 수 있으며, 연주자는 활의 상부 (즉 활에 부착된 털의 성부), 중부, 또는 하부를 현과 접촉시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상기 표식은 오른손이나 오른팔을 이용하여 활로 현을 접촉하는 강도 또는 시간, 현을 접촉하는 활의 다양한 부분 (활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활의 반대편인 활대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등), 활로 접촉하는 현의 부분 (현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활의 장축 방향에서의 활과 현의 각도, 상기 장축과 직각이 되는 방향에서의 활과 현의 각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1] 활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로 현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를 접촉하는 일반적 보잉(bowing) 기법, [2] 활로 현의 하부(즉 지판의 끝 근처)를 연주하여 음을 작고 어렴풋이 연주하는 설테스토(sul tasto) 기법, [3] 활로 브릿지 근처의 현의 상부 또는 브릿지 위의 현을 연주하여 금속성의 고음을 발생하는 설폰티첼로(sul ponticello) 기법, [4] 활의 털이 아닌 활대로 현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를 연주하는 콜레그노트라토(col legno tratt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현악기용 표식은 활의 장축 방향으로 위나 아래로 움직이는 활의 수평 이동 방향, 상기 장축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위나 아래로 움직이는 활의 수직 이동 방향, 특정 음표나 악절을 연주하는데 사용하는 활의 길이나 부분, 이를 위한 오름활(up bow) 또는 내림활(down bow) 등의 활의 이동 방향이나 그 속도, 동일한 음표 또는 상이한 음표 연주 중 활의 이동 방향의 전환 또는 유지, 상기 방향을 유지하거나 전환하며 활로 상기 현을 누르는 강도나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 밀착시키며 연주하되, [1] 각각의 음마다 오른손으로 활의 방향을 바꾸며 연주하는 데타세(detache) 기법, [2] 다수의 음을 단일의 오름활 또는 내림활 등의 한 활로 이어 연주하는 레가토(legato) 기법, [3] 음을 짧게 끊도록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며 연주하는 스타카토(stacato) 기법, [4] 다수의 음을 약간씩 끊기되 한 활로 연주하도록 오른손을 조작하는 포르타토(portat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 밀착하며 연주하되, [1] 두 개의 높이가 다른 음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활로 연주하도록 오른손을 조작하는 글리산도(glissando) 기법, [2] 활이 다수의 현을 함께 접촉하도록 오른손을 조작하며 연주하여 화음을 연주하는 중음주법(double stop) 기법, 또는 [3] 오른손으로 빠른 오름활과 내림활을 반복하며 한 음을 연주하는 트레몰로(tremol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은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서 간헐적으로 떼며 연주하는 다양한 표식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표식은 [1] 오른손으로 활을 현 위 5~10 cm 정도까지 뗀 후, 거의 수직으로 활을 현에 내리며 연주하는 살타토(saltato) 기법, [2] 상기 살타토 기법과 유사하지만 활을 붓으로 칠하는 느낌으로 연주하는 스피카토(spicato) 기법, [3]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 접촉하되, 단일의 접촉에 대한 활대의 자연적 탄력만으로 활을 여러 번 튕기며 연주하는 리코세(ricochet) 기법, [4] 분산화음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을 활의 수직 운동을 이용하여 오른손으로 각각 차례대로 연주하는 아르페지안도(arpeggiand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른손을 이용한 활의 다양한 조작을 통한 음의 강약, 음의 지속, 음의 소거 또는 음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표식은 본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이나 자세를 위한 오른손의 1번 손가락의 자세나 조작, 오른 팔목이나 오른팔의 자세나 조작, 오른쪽 어깨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 기법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은, 기보법의 기존의 표식과는 상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건반악기의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이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연주자의 신체적 부위 조작 또는 자세를 의미하듯,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활의 다양한 부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현악기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 또는 이의 조작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을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악기의 활의 조작에 대한 표식은 상기 첫 번째 상세예의 표식 또는 두 번째 상세예의 표식과 관련하여 설명한 활의 조작 외에도, 이와 상이한 활의 조작, 활의 특정 부분의 조작, 이를 위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등을 포함한다. 단 본 문장의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은 현악기를 연주하거나 이해하는 통상 지식인의 통상 지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통상 지식인은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을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용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참고하여 현악기의 활과 관련된 다양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현악기용 표식은 현악기의 현을 조작하는 손가락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자세, 상기 조작을 위한 손목이나 팔 등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상기 표식은 왼손가락으로 조작하는 현이나 상기 현의 특정 부분, 상기 현을 누르는 왼손가락의 강도나 시간, 상기 현을 누르는 각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상반신표식은 특정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왼손으로 어떤 현을 누르는지, 특정 음을 어떤 왼손가락으로 어떻게 조작하며 연주하는 지에 대한 정보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지판 위에서 손가락으로 현을 누르는 기본 기법 외에도 [1] 동일한 손가락으로 특정 음과 장2도 아래의 음을 번갈아 교차시키며 누름으로써 특정 음이 떨리는 효과 또는 음의 진폭을 증가시켜 음량을 증가시키는 비브라토(vibrato) 기법, [2] 상기 비브라토 중 손목 관절을 주로 이용하는 넥비브라토(neck vibrato) 기법, [3] 상기 비브라토 중 팔 전체를 주로 이용하는 팔비브라토(arm vibrato) 기법, [4] 손가락으로 한 음을 지속적으로 누르며 다른 손가락으로 바로 위의 장식음을 반복하여 눌렀다 띄었다 하며 연주하는 트릴(trill) 기법, [5] 손가락으로 현을 가볍게 누른 채 연주하여 높은 음역의 투명한 음 연주하는 하모닉스(harmonics)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지판 위에서 단일 또는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며 단일 또는 다수의 현을 누름으로써 다수의 음을 동시에 연주하거나 또는 거의 동시에 순차적으로 연주하는 다양한 기법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표식은 [1] 다수의 현을 단일 또는 다수의 손가락으로 누르며 함께 연주하여 화음을 연주하는 중음주법(double stop) 기법, [2] 다수의 음을 단일의 한 활로 연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는 레가토(legato) 기법, [3] 다수의 음을 약간씩 끊으며 한 활로 연주하도록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는 포르타토(portato) 기법, [4] 두 개의 높이가 다른 음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활로 연주하도록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는 글리산도(glissando) 기법, [5] 분산화음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을 단일 또는 다수의 현을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누르며 각각 차례대로 연주하는 아르페지안도(arpeggiand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은 지판을 따라 왼손을 위아래로 이동하며 현악기의 스크롤에 가까운 제1포지션에서 높은 포지션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스크롤에 가까운 낮은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포지션 이동(position shift) 기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활을 이용하지 않은 채 왼손가락으로 현을 뜯어 음을 발생하는 피치카토(pizzicato) 기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왼손을 이용한 현의 다양한 조작을 통한 음의 강약, 음의 지속, 음의 소거 또는 음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표식은 본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이나 자세를 위한 왼손의 1번 손가락의 자세나 조작, 왼손의 2번 내지 5번 손가락의 자세나 조작, 왼팔목이나 왼팔의 자세나 조작, 왼쪽 어깨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 기법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은, 기보법의 기존의 표식과는 상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건반악기의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이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연주자의 신체적 부위 조작 또는 자세를 의미하듯,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현의 다양한 부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현악기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 또는 이의 조작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을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악기의 현의 조작에 대한 표식은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표식과 관련하여 설명한 현의 조작 외에도, 이와 상이한 현의 조작, 현의 특정 부분의 조작, 이를 위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등을 포함한다. 단 본 문장의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은 현악기를 연주하거나 이해하는 통상 지식인의 통상 지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통상 지식인은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을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용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참고하여 현악기의 현과 관련된 다양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관악기의 경우,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하는 상반신 부위,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조작 등은 관악기의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하는 상반신 부위나 상기 부위의 자세 또는 조작들과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관악기 연주자가 관악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호흡 부위, 상기 부위의 조작, 또는 마우스피스 등과 같이 상기 공기를 공급받는 관악기의 특정 부분은 건반악기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을 참고하여 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관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변형 또는 개량하여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관악기용 표식은 다양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표식이다. 일예로 관악기 연주용 상반신 표식은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로 관악기의 몸통에 설치된 다양한 키, 링, 또는 홀 등과 같은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키, 링, 또는 홀 등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4]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키, 링 또는 홀 등과 같이 관악기의 특정 부위를 다루는 조작 및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은 그 속성이 건반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건반악기의 경우 크기가 일정한 건반들이 일정하게 또는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반면, 관악기의 키, 링, 홀 등은 그 크기가 상이하기도 하며, 그 배열조차 대칭이 아닌 경우가 많다. 또한 건반악기의 다수의 건반이 배열된 방향은 건반악기 연주자가 양팔을 벌리는 방향과 일치하지만, 관악기의 키, 링, 홀 등이 배열된 방향은 악기에 따라 관악기 연주자가 양팔을 벌리는 방향과 일치하기도 하지만 (일예로 플룻의 경우), 이와 수직일 수도 있다 (일예로 오보나 트럼펫의 경우). 따라서 관악기 연주용 상반신표식은 각각의 관악기의 구조 및 작동 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건반악기의 상반신표식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관악기용 표식은 다양한 호흡 부위와 관련된 표식이다. 일예로 관악기 연주용 호흡 표식은 연주자가 입, 입술, 잇몸, 혀, 또는 치아 등 다양한 호흡 부위를 조작하여 관악기에 바람을 공급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이를 위하여 마우스피스 등 관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4]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관악기용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관악기에 주입하여 음을 발생하는 바람의 생성, 공급, 조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는 입, 기도, 또는 폐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는 들숨, 날숨은 물론, 입, 입술, 잇몸, 혀, 또는 치아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바람의 공급 유무, 공급량, 공급 시점 등을 조작하며, 이에 따라 관악기 호흡표식 역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은 일반적으로 견반악기 또는 현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악기 호흡표식은 텅잉(tonguing)을 이용하여 혀를 잇몸 또는 마우스피스에 붙였다 떼었다하며 음의 발생, 음의 소거 등을 조작함은 물론 비브라토, 더블 텅잉, 트리플 텅잉, 꾸밈음 등의 음악적 표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이를 위한 호흡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다양한 호흡표식은 관악기의 이러한 구조 및 작동 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건반악기의 호흡표식과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다양한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상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실시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건반악기용 상반신표식들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다양한 현악기용, 관악기용, 또는 타악기용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또는 호흡표식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현악기용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현악기용 표식은 현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이를 위한 상기 다양한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현악기의 활의 특정 부분 또는 현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니 조작들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과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다양한 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현악기 연주용 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현악기 연주용 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비교하면, 연주하는 악기 및 조작하는 악기의 부분들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현악기 연주에 대한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비교하면, 연주하는 악기 및 조작하는 악기의 부분들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이용하여 상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를 이용한 현악기의 활 또는 현의 조작, 상기 조작을 위한 상기 부위의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부위로 현악기의 활이나 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활 또는 현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다양한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비교하면, 연주하는 악기 및 조작하는 악기의 부분들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신체 부위의 조작, 활 조작, 또는 현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 등을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현악기를 연주할 때 활이나 현을 다양한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오른손잡이 연주자, 즉 왼손으로 현을 조작하며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는 연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열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왼손잡이 연주자를 위하여 변형 또는 개량하는 것이다. 특히 왼손잡이 연주자를 위한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에서 왼손과 오른손, 왼손가락과 오른손가락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및 타악기 등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 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를 관련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상술의 실시예 및 상세예는 전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제공되었을 뿐이며, 하술의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은 상기 악기들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악기 제작자, 악기 연주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는 상술한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과 균등하거나 상기 연주용 표식의 등가적 변형 또는 등가적 개량도 포함된다.
10: 표식 11: 세부표식
12: 주석부 13: 부착부
16: 표식의 전면 17: 표식의 후면
20: 악보 30: 표식 세트
31: 표식 세트의 밑판 36: 밑판의 전면
37: 밑판의 후면

Claims (33)

  1. 건반과 페달을 포함하는 건반악기로 음을 연주하기 위한 음표를 포함하는 다수의 악보면, 하나 이상의 상반신 표식, 하나 이상의 하반신 표식 및 하나 이상의 하반신 주석을 포함하는 건반악기용 악보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 표식은 상기 건반의 조작을 위한 인체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과 연관된 그림을 단순화한 상반신 아이콘을 도시하되, 상기 상반신 부위는 인체의 손가락, 손가락뼈, 손목, 손목뼈, 어깨 및 어깨뼈 중 하나 이상 이고,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페달의 조작을 위한 인체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연관된 그림을 동물의 그림과 무생물의 그림 중 하나로 단순화한 하반신 아이콘을 도시하되, 상기 하반신 아이콘은 상기 악보의 두 개 이상의 음을 연결하는 효과 또는 음을 지속적으로 진동하는 효과를 도시하며, 상기 하반신 부위는 인체의 발가락, 발가락뼈, 발바닥, 발목 및 발목뼈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하반신 주석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인체 해부학적 이름, 상기 하반신 부위의 인체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에 포함된 상기 하반신 부위를 나타내는 번호 및 상기 도면에 포함된 상기 하반신 부위를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악보면은 상기 상반신 표식이 도시된 하나 이상의 제1 악보면, 상기 하반신 표식이 도시된 하나 이상의 제2 악보면 및 상기 하반신 주석이 도시된 하나 이상의 제3 악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과 좌측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우측페달과 좌측페달 중 하나의 조작에 대한 상기 하반신 아이콘을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페달의 조작과 연관된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음표의 하단에 표시하며, 상기 우측페달의 조작과 연관된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음표의 상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악보면에는 상기 상반신 표식 및 상기 하반신 표식이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악보면에는 상기 하반신 표식 및 상기 하반신 주석이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표식 및 상기 하반신 주석이 상기 제2 악보면의 상이한 위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표식은 부착이 가능한 스티커로 제작되며, 상기 하반신 주석은 상기 다수의 악보면에 인쇄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8. 건반과 페달을 가지는 건반악기 연주를 위한 음표를 포함하는 악보면, 하나 이상의 상반신 표식, 하나 이상의 하반신 표식 및 하나 이상의 호흡 표식을 포함하는 건반악기 악보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 표식은 상기 건반의 조작을 위한 인체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과 연관된 그림을 단순화한 상반신 아이콘을 도시하되, 상기 상반신 부위는 인체의 손가락, 손가락뼈, 손목, 손목뼈, 어깨 및 어깨뼈 중 하나 이상 이고,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페달의 조작을 위한 인체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연관된 그림을 동물의 그림과 무생물 그림 중 하나로 단순화한 하반신 아이콘을 도시하며, 상기 하반신 부위는 인체의 발가락, 발가락뼈, 발바닥, 발목 및 발목뼈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호흡 표식은 상기 건반의 조작을 위한 인체의 호흡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그림을 단순화한 호흡 아이콘을 도시하며, 상기 호흡 부위는 코, 입술, 기도 및 폐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악보는 인쇄된 다수의 음표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악보면을 포함하되, 제1 악보면에는 상기 상반신 표식과 상기 하반신 표식이 인쇄되는 반면, 제2 악보면에는 상기 호흡 표식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과 좌측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우측페달과 좌측페달 중 하나의 조작과 연관된 상기 아이콘을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페달의 조작과 연관된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제2 악보면에 인쇄된 음표의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페달의 조작과 연관된 상기 하반신 표식은 상기 제1 악보면에 인쇄된 음표의 상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악보면은 상기 하반신 표식 및 상기 호흡 표식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표식 및 상기 호흡 표식이 상기 제2 악보면의 상이한 위치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악보면은 상기 호흡 표식 및 상기 상반신 표식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악보면은 상기 호흡 표식은 포함하지만 상기 상반신 표식 및 하반신 표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악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170034009A 2017-03-17 2017-03-17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KR10195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09A KR101953967B1 (ko) 2017-03-17 2017-03-17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CN202211695527.1A CN116071981A (zh) 2017-03-17 2018-03-16 用于演奏键盘乐器的下半身标志、包括所述标志的标志
CN201810218056.2A CN108630174A (zh) 2017-03-17 2018-03-16 用于演奏键盘乐器的下半身标志、包括所述标志的标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09A KR101953967B1 (ko) 2017-03-17 2017-03-17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15A KR20180106215A (ko) 2018-10-01
KR101953967B1 true KR101953967B1 (ko) 2019-03-04

Family

ID=6370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009A KR101953967B1 (ko) 2017-03-17 2017-03-17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3967B1 (ko)
CN (2) CN1086301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903A (ja) * 2004-03-16 2005-09-29 Yamaha Corp 鍵盤楽器
JP2009244828A (ja) * 2008-06-26 2009-10-22 Jurin Kk 唄口を有する楽器用の楽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548A (ko) 2007-12-14 2009-06-18 송지혜 건반 악기 연주 교습용 교구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903A (ja) * 2004-03-16 2005-09-29 Yamaha Corp 鍵盤楽器
JP2009244828A (ja) * 2008-06-26 2009-10-22 Jurin Kk 唄口を有する楽器用の楽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15A (ko) 2018-10-01
CN116071981A (zh) 2023-05-05
CN108630174A (zh)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hevinne Basic principles in pianoforte playing
CN108140369A (zh) 乐谱、系统和方法
Brée The groundwork of the Leschetizky method
Fischer The violin lesson
Campos Trumpet technique
Parkening et al. The Christopher Parkening Guitar Method-Volume 1: The Art and Technique of the Classical Guitar
Benedetti Cello, bow and you: putting it all Together
Gingras Clarinet secrets: 52 performance strategies for the advanced clarinetist
Schuring Oboe art and method
KR101953967B1 (ko)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Stokes et al. Illustrated method for flute
Alderson et al. A new handbook for singers and teachers
Benfield et al. The art of double bass playing
Woof Technique and Interpretation in Violin-playing
Taylor Easy Steps to the Band: Conductor's Score
Chase Natural laws in piano technic
Gingras Clarinet Secrets: 100 Performance Strategies for the Advanced Clarinetist
Adams et al. Playing & Teaching the Saxophone: A Modern Approach
Chang Fundamentals of piano practice
Carlson A guide to American fiddling
Okeke THE PRAXIS OF MUSICAL INSTRUMENTS PEDAGOGY
Thistleton Modern violin technique: how to acquire it, how to teach it
Matthay The Visible and Invisible in Piano Technique-A Digest
Meffen Improve your piano playing
Lehmann True Principles of the Art of Violin-p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