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70B1 - 컨트롤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170B1
KR101953170B1 KR1020170039698A KR20170039698A KR101953170B1 KR 101953170 B1 KR101953170 B1 KR 101953170B1 KR 1020170039698 A KR1020170039698 A KR 1020170039698A KR 20170039698 A KR20170039698 A KR 20170039698A KR 101953170 B1 KR101953170 B1 KR 10195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luid
valve chamber
hous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343A (ko
Inventor
강은석
이추동
Original Assignee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filed Critical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Priority to KR102017003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valve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구동축; 제1 유체가 채워지는 제1 밸브 챔버와 제2 유체가 채워지는 제2 밸브 챔버를 내부에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1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포트부; 상기 제2 밸브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2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체가 유입되는 제2 포트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3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체, 상기 제2 유체 또는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의 혼합 유체가 유출되는 제3 포트부; 상기 구동축의 일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유체가 상기 제1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제3 포트부로 흐르게 하고, 상기 구동축의 타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상기 제2 유체가 제2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제3 포트부로 흐르게 하는 밸브; 및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상기 제2 유체의 압력 사이의 차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시키는 댐핑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 밸브 장치{CONTROL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컨트롤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 밸브 장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포트부를 통하여 유체가 유출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컨트롤 밸브 장치는 복수의 포트부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므로 포트부 각각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트부로 유입되는 압력이 서로 다를 경우, 압력 차이에 의하여 디스크 채터링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디스크 채터링 현상은 컨트롤 밸브 장치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채터링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컨트롤 밸브 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 20-03877670000 (등록일자 : 2005년06월14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디스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구동축; 제1 유체가 채워지는 제1 밸브 챔버와 제2 유체가 채워지는 제2 밸브 챔버를 내부에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1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포트부; 상기 제2 밸브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2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체가 유입되는 제2 포트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3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체, 상기 제2 유체 또는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의 혼합 유체가 유출되는 제3 포트부; 상기 구동축의 일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유체가 상기 제1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제3 포트부로 흐르게 하고, 상기 구동축의 타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상기 제2 유체가 제2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제3 포트부로 흐르게 하는 밸브; 및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상기 제2 유체의 압력 사이의 차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시키는 댐핑부을 포함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일측을 지닌 댐핑 하우징과, 상기 댐핑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댐핑 공간 및 제2 댐핑 공간으로 나누는 분리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격벽이 상기 구동축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이 상기 댐핑 하우징의 상기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댐핑 하우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핑 공간과 상기 제2 댐핑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상기 분리 격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격벽의 폭이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측 폭보다 작아 상기 분리 격벽과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제1 댐핑 공간과 상기 제2 댐핑 공간을 연통시키는 상기 연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댐핑 하우징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댐핑 하우징에 연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핑 하우징 내부에 비압축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분리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1 댐핑 공간과 상기 제2 댐핑 공간이 서로 격리될 경우, 상기 댐핑 하우징 내부에 압축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상기 제1 밸브 챔버 및 상기 제2 밸브 챔버 중 하나와 상기 댐핑부 내부를 연결하는 밸런싱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싱 유체가 상기 밸런싱 라인을 통하여 상기 댐핑부로 흐름으로써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제1 압력과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제2 압력차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제1 개구부를 개폐하거나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제2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밸런싱 라인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댐핑부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C1-C2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반적인 컨트롤 밸브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댐핑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댐핑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a 내지 도 3은 도 1의 C1-C2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컨트롤 밸브 장치는 댐핑부(170)와 밸런싱 라인(180)을 포함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챔버(121) 및 제2 밸브 챔버(123) 중 하나와 댐핑부(170) 내부를 연결하는 밸런싱 라인(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런싱 유체가 밸런싱 라인(180)을 통하여 댐핑부(170)로 흐름으로써 제1 밸브 챔버(121)의 제1 압력과 제2 밸브 챔버(123)의 제2 압력차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 챔버(121)와 댐핑부(170)의 제2 댐핑 공간(DS2)이 밸런싱 라인(180)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다. 제1 밸브 챔버(121)의 압력(P1)이 제2 밸브 챔버(123)의 압력(P2)보다 큼에 따라 제1 유체가 밸런싱 라인(180)을 통하여 이후에 설명될 제2 댐핑 공간(DS2)으로 흐를 수 있다.
즉, 제1 밸브 챔버(121)의 압력(P1)과 제2 밸브 챔버(123)의 압력(P2) 사이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밸런싱 라인(180)을 통하여 제1 유체가 제2 댐핑 공간(DS2)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P1)과 압력(P2)의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압력(P1)과 압력(P2)의 차이에 따라 분리 격벽(173)이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 밸런싱 라인(180)을 통하여 유입된 제1 유체에 의하여 제2 댐핑 공간(DS2)의 압력 역시 높아져 압력(P1)과 압력(P2)의 차이에 따라 분리 격벽(173)이 하측으로 받는 힘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밸런싱 라인(180)은 제2 밸브 챔버(123)와 제1 댐핑 공간(DS1)을 연통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압력(P2)가 압력(P1)에 비하여 높을 경우, 제2 유체가 밸런싱 라인(180)을 통하여 제1 댐핑 공간(DS1)으로 흐름으로써 압력(P1)과 압력(P2)의 차이를 상쇄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하우징(171)의 내부와 댐핑 하우징(171)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댐핑 하우징(171)에 연통 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통 홀(175)을 통하여 제1 댐핑 공간(DS1)의 기체 혹은 액체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압력과 제2 압력 차이가 서서히 줄어들어 컨트롤 밸브 장치의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하우징(171)은 밸브(160)를 향하여 오픈된 개구부를 지닐 수 있다. 개구부를 통하여 제1 댐핑 공간(DS1)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개구부는 도 2a의 연통 홀(175)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하우징(171)에 연통 홀(175)이 구비되지 않아 댐핑 하우징(171)은 제2 밸브 챔버(123)와 격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 비하여 댐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나, 밸런싱 라인(180)을 통하여 유입된 제1 유체에 의하여 제2 댐핑 공간(DS2)의 압력 역시 높아져 압력(P1)과 압력(P2)의 차이에 따라 분리 격벽(173)이 하측으로 받는 힘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60) 일측의 개폐 부재(161)는 제1 밸브 챔버(121)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을 지닐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밸브(160) 타측의 개폐 부재(163) 역시 제2 밸브 챔버(123)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을 지닐 수 있다.
제1 밸브 챔버(121) 및 제2 밸브 챔버(123)에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유입될 때,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상기 곡면을 따라 흐름으로써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흐름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구동축(110), 밸브 하우징(120), 제1 포트부(130), 제2 포트부(140), 제3 포트부(150), 밸브(160) 및 댐핑부(170)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120)은 제1 유체가 채워지는 제1 밸브 챔버(121)와 제2 유체가 채워지는 제2 밸브 챔버(123)를 내부에 구비한다. 이 때 제1 유체의 압력은 P1이고 제2 유체의 압력은 P2일 수 있다. 제1 유체와 제2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로서 서로 다른 물질이거나 서로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제1 유체와 제2 유체는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포트부(130)는 제1 밸브 챔버(121)와 연통되도록 밸브 하우징(120)의 제1측에 구비되어 제1 유체가 유입된다.
제2 포트부(140)는 제2 밸브 챔버(123)와 연통되도록 밸브 하우징(120)의 제2측에 구비되어 제2 유체가 유입된다.
제3 포트부(150)는 밸브 하우징(120)의 제3측에 구비되어 제1 유체, 제2 유체 또는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혼합 유체가 유출된다.
밸브(160)는 구동축(110)의 일방향 이동(M1)에 따라 제1 유체가 제1 밸브 챔버(121)로부터 제3 포트부(150)로 흐르게 하고, 구동축(110)의 타방향 이동(M2)에 따라 제2 유체가 제2 밸브 챔버(123)로부터 제3 포트부(150)로 흐르게 한다.
도 3는 구동축(110)의 타방향 이동(M2)으로 인하여 밸브(160)가 제2 밸브 챔버(123)와 제3 포트부(150)를 연통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2 유체가 제2 포트부(140)로 유입되어 제3 포트부(150)로 유출될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구동축(110)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밸브 챔버(121)와 제3 포트부(150)가 연통되면서 제1 유체가 제3 포트부(150)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밸브 챔버(121)와 제2 밸브 챔버(123)가 동시에 제3 포트부(15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혼합 유체가 제3 포트부(150)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댐핑부(170)는 구동축(110)과 연결되어 제1 밸브 챔버(121)의 제1 유체의 압력(P1)과 제2 밸브 챔버(123)의 제2 유체의 압력(P2) 사이의 차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시킨다.
도 4은 일반적인 컨트롤 밸브 장치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트롤 밸브 장치는 댐핑부(170)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제1 유체로 인한 제1 밸브 챔버(10)의 압력(P1)과 제2 유체로 인한 제2 밸브 챔버(20)의 압력(P2)이 같지 않으면 압력차에 의해 밸브(30)에 디스크 채터링(disc chatte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컨트롤 밸브 장치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 장치는 댐핑부(170)를 포함하므로 상기 압력차를 상쇄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부(170)는 댐핑 하우징(171) 및 분리 격벽(173)을 포함할 수 있다. 댐핑 하우징(171)은 구동축(110)이 관통하는 일측을 지닐 수 있다. 분리 격벽(173)은 댐핑 하우징(171)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축(110)과 연결되고 댐핑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을 제1 댐핑 공간(DS1) 및 제2 댐핑 공간(DS2)으로 나눌 수 이다.
분리 격벽(17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타원형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제1 댐핑 공간(DS1)은 분리 격벽(173)의 일측면과 댐핑 하우징(171) 사이의 공간이고, 제2 댐핑 공간(DS2)은 분리 격벽(173)의 타측면과 댐핑 하우징(17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체의 압력(P1)이 제2 유체의 압력(P2) 보다 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밸브(160) 일측의 개폐 부재(161)에 가해지는 힘이 밸브(160) 타측의 개폐 부재(163)에 가해지는 힘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분리 격벽(173)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받을 수 있으나 제2 댐핑 공간(DS2)에 채워진 액체 또는 기체가 분리 격벽(173)의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디스크 채터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제1 유체의 압력(P1)이 제2 유체의 압력(P2) 보다 작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밸브(160) 일측의 개폐 부재(161)에 가해지는 힘이 밸브(160) 타측의 개폐 부재(163)에 가해지는 힘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분리 격벽(173)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받을 수 있으나 제1 댐핑 공간(DS1)에 채워진 액체 또는 기체가 분리 격벽(173)의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디스크 채터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 부재(161, 163)는 구동축(11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격벽(173)이 구동축(110)의 끝단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댐핑부(170)는 밸브(1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10)이 댐핑 하우징(171)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고, 댐핑 하우징(171)은 밸브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하우징(171)의 내부와 댐핑 하우징(171)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댐핑 하우징(171)에 연통 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댐핑 하우징(171)이 제2 밸브 챔버(123)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댐핑 하우징(171)의 내부와 제2 밸브 챔버(123)가 연통되므로 댐핑 하우징(171) 내부의 물질과 제2 밸브 챔버(123) 내부의 물질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연통 홀(175)이 형성되는 경우, 댐핑 하우징(171) 내부에 비압축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연통 홀(175)이 있을 경우, 비압축 유체일지라도 연통 홀(175)에 의하여 댐핑을 부드럽게 하므로 댐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압축성 유체는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분리 격벽(173)에 의하여 제1 댐핑 공간(DS1)과 제2 댐핑 공간(DS2)이 서로 격리될 경우, 즉, 제1 댐핑 공간(DS1)과 제2 댐핑 공간(DS2)이 연통되지 않을 경우, 댐핑 하우징(171) 내부에 압축 유체가 채워질 수 있으며, 압축 유체는 댐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댐핑 공간(DS1)과 제2 댐핑 공간(DS2)을 연통시키는 홀이 분리 격벽(17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이 있을 경우, 상기 홀을 통하여 제1 댐핑 공간(DS1)과 제2 댐핑 공간(DS2)의 기체 혹은 액체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압력과 제2 압력 차이로 인한 분리 격벽(173)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여 댐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 격벽(173)의 폭이 댐핑 하우징(171)의 내측 폭보다 작아 분리 격벽(173)과 댐핑 하우징(171)의 내측면 사이에 제1 댐핑 공간(DS1)과 제2 댐핑 공간(DS2)을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밸브(160)는 구동축(110)의 이동에 따라 개폐 부재(161, 163)가 제1 밸브 챔버(121)의 제1 개구부(121a)를 개폐하거나 제2 밸브 챔버(123)의 제2 개구부(123a)를 개폐할 수 있다. 즉, 구동축(110)이 하강하면 일측의 개폐 부재(161)가 제1 개구부(121a)를 막고 제2 개구부(123a)가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체가 제2 밸브 챔버(123)를 통하여 제3 포트부(150)로 유출될 수 있다.
반대로 구동축(110)이 상승하면 타측의 개폐 부재(163)가 제1 개구부(121a)를 열고 제2 개구부(123a)가 닫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체가 제1 밸브 챔버(121)를 통하여 제3 포트부(150)로 유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동축(110)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미도시)는 기체의 압력이나 전자기력 등을 통하여 구동축(110)을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구동축(110)
밸브 하우징(120)
제1 밸브 챔버(121)
제1 개구부(121a)
제2 개구부(123a)
제2 밸브 챔버(123)
제1 포트부(130)
제2 포트부(140)
제3 포트부(150)
밸브(160)
개폐 부재(161, 163)
댐핑부(170)
댐핑 하우징(171)
분리 격벽(173)
연통 홀(175)
제1 댐핑 공간(DS1)
제2 댐핑 공간(DS2)
밸런싱 라인(180)

Claims (12)

  1. 구동축; 제1 유체가 채워지는 제1 밸브 챔버와 제2 유체가 채워지는 제2 밸브 챔버를 내부에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1 밸브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1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포트부; 상기 제2 밸브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2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체가 유입되는 제2 포트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제3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체, 상기 제2 유체 또는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의 혼합 유체가 유출되는 제3 포트부; 상기 구동축의 일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유체가 상기 제1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제3 포트부로 흐르게 하고, 상기 구동축의 타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유체가 제2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제3 포트부로 흐르게 하는 밸브; 및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상기 제2 유체의 압력 사이의 차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시키는 댐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댐핑부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일측을 지니고, 상기 제2 밸브 챔버 내부에 위치되는 댐핑 하우징과, 상기 댐핑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댐핑 공간 및 제2 댐핑 공간으로 나누는 분리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 하우징의 제1 댐핑 공간 내부와 상기 댐핑 하우징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댐핑 하우징에는 연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밸브 챔버와 상기 댐핑부의 제2 댐핑 공간 내부를 연결하는 밸런싱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밸런싱 유체가 상기 밸런싱 라인을 통하여 상기 댐핑부로 흐름으로써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제1 압력과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제2 압력차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벽이 상기 구동축의 끝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상기 댐핑 하우징의 상기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댐핑 하우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핑 공간과 상기 제2 댐핑 공간을 연통시키는 홀이 상기 분리 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벽의 폭이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측 폭보다 작아 상기 분리 격벽과 상기 댐핑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제1 댐핑 공간과 상기 제2 댐핑 공간을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하우징 내부에 비압축 유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챔버의 제1 개구부를 개폐하거나 상기 제2 밸브 챔버의 제2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 장치.
KR1020170039698A 2017-03-29 2017-03-29 컨트롤 밸브 장치 KR10195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698A KR101953170B1 (ko) 2017-03-29 2017-03-29 컨트롤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698A KR101953170B1 (ko) 2017-03-29 2017-03-29 컨트롤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343A KR20180110343A (ko) 2018-10-10
KR101953170B1 true KR101953170B1 (ko) 2019-05-17

Family

ID=6387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698A KR101953170B1 (ko) 2017-03-29 2017-03-29 컨트롤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912B1 (ko) * 1996-12-13 1999-11-15 문성주 압력 보상형 3방 밸브
WO2002012766A1 (fr) * 2000-08-09 2002-02-14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Dispositif de soupape et systeme de pipeline
KR200467301Y1 (ko) * 2011-03-14 2013-06-07 주식회사 영텍 저진동 저소음 볼륨 부스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67Y1 (ko) 2005-04-13 2005-06-21 유원산업(주) 오일필터용 컨트롤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912B1 (ko) * 1996-12-13 1999-11-15 문성주 압력 보상형 3방 밸브
WO2002012766A1 (fr) * 2000-08-09 2002-02-14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Dispositif de soupape et systeme de pipeline
KR200467301Y1 (ko) * 2011-03-14 2013-06-07 주식회사 영텍 저진동 저소음 볼륨 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343A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3219C (en) Method to control a main valve in a well
KR102167326B1 (ko) 폐쇄 보조되는 유동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밸브
JP2007016977A (ja) パイロット式2ポート弁
US20100038576A1 (en) Microvalve device with improved fluid routing
JP5369400B2 (ja) 流量制御弁
JPS61500130A (ja) 滑り弁
WO2008121369A1 (en) Pilot operated micro spool valve
CN104145147B (zh) 具有集成加压气体储藏器的气动闸门阀
US9512936B2 (en) Three-port microvalve with improved sealing mechanism
KR101953170B1 (ko) 컨트롤 밸브 장치
JP7246106B2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装置
JP6767369B2 (ja) 開放速度を低減したバルブ駆動デバイス
JP2012255467A5 (ko)
CN112747001A (zh) 一种带位置反馈的先导式溢流阀
KR200467301Y1 (ko) 저진동 저소음 볼륨 부스터
US9494255B2 (en) Plate microvalve with improved sealing mechanism
JP6938053B2 (ja) 呼吸弁
US7100629B2 (en) Method for assembling balanced normally-open and normally-closed valves
KR200493045Y1 (ko) 상태확인이 가능한 밸브 모듈
KR101815517B1 (ko) 내부 압력제어설비를 갖는 3방밸브
EP1138988B1 (en) Two-port valve
JP4424674B2 (ja) 減圧弁
JP7305099B2 (ja) スプール方式の開閉弁
CN212615684U (zh) 一种叠加式压力补偿装置
JP7141322B2 (ja) 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