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763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763B1
KR101952763B1 KR1020170055344A KR20170055344A KR101952763B1 KR 101952763 B1 KR101952763 B1 KR 101952763B1 KR 1020170055344 A KR1020170055344 A KR 1020170055344A KR 20170055344 A KR20170055344 A KR 20170055344A KR 101952763 B1 KR101952763 B1 KR 101952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coupling
body portion
propuls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089A (ko
Inventor
권창일
박진형
박헌국
문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7005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7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6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hr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스텐트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 및 상기 추진부를 감싸며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설치 위치에 삽입된 스텐트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연스럽게 설치위치를 이탈하도록 만드는 기술과 설치된 스텐트의 제거가 편리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부를 감싸고 있던 결합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므로, 추진부가 넓게 펼쳐지면서 몸체부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가 최초 설치된 지점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트의 자연 배출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의 제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는 인체 내부의 협착 부위에 삽입되어 협착된 도관을 본래의 크기로 확장 및 유지시키는 의료장치이다. 그 중에서도 플라스틱 스텐트는 대장이나 십이지장과 같은 소화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텐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췌관이나 담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스텐트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650호에도 제시된 바 있다.
한편, 췌관에 삽입된 플라스틱 스텐트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십이지장 유두를 통해 십이지장 쪽으로 자연스럽게 배출이 이루어지나, 자연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스텐트의 경우에는 시술자가 직접 스텐트를 제거해야하므로 제거 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체내에 설치된 스텐트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설치 위치를 이탈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스텐트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위치에 삽입된 스텐트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연스럽게 설치위치를 이탈하도록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된 스텐트의 제거가 편리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스텐트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 및 상기 추진부를 감싸며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추진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추진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추진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추진부는 상기 몸체부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스텐트 제조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를 형성하는 제조 단계; 및 상기 추진부를 감싸도록 상기 추진부와 결합부를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추진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추진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일 끝단으로부터 타 끝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하여 상기 추진부를 형성하는 절개 단계; 및 상기 추진부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변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 단계에서는 상기 추진부가 상기 몸체부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상기 추진부를 열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추진부가 상기 몸체부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단계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추진부를 감싸고 있던 결합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므로, 결합부에 의해 오므려져 있던 추진부가 넓게 펼쳐지면서 몸체부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스텐트가 자연스럽게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스텐트의 자연 배출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의 제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스텐트에서 결합부가 추진부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 중 제조 단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은 스텐트가 체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6의 스텐트가 자연 배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는 몸체부(100), 추진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몸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 뿐만 아니라 열경화성 수지의 재질로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0)의 일 끝단의 외주면 둘레에 추진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0)의 일 끝단을 제외한 영역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추진부(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부(200)가 형성되는 지점의 몸체부(100)를 몸체부(100)의 일단이라고 보고, 그 반대편을 타단이라고 볼 때,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진 곡선 형상을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추진부(200)는 몸체부(100) 일단에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완만한 곡률을 이루며 굴곡진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추진부(210), 제2추진부(220), 제3추진부(230) 및 제4추진부(24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와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의 길이의 3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스텐트(10)가 체내에 설치된 이후에 결합부(300)가 해제될 때, 추진부(200)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추진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고, 스텐트(10)의 최초 설치 지점으로부터 스텐트(10)가 이탈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서의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의 길이의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진부(200)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300)가 필요 이상으로 투입될 수 있고, 몸체부(100)가 유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전술한 범위 내에서 추진부(200)의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진부(200)의 재질은 몸체부(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종류로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추진부(200)를 감싸며 결합되며, 일 실시예에서의 결합부(300)는 추진부(200)의 외주면을 감싸기에 적합한 링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300)가 몸체부(10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경우, 추진부(200)는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300)의 직경 범위는 결합부(300)의 내경이 몸체부(1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추진부(200)의 오므려진 상태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범위 이내에서 결합부(300)의 직경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결합부(300)의 직경은 다수의 추진부(210, 220, 230, 240)를 적당히 오므려서 몸체부(100)의 외경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할 정도이면 충분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진부(200)와 결합하는 결합부(300)의 개수는 결합부(300)가 추진부(200)를 고정시키는 결합력이나 스텐트(10)의 제거 시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분해성 재질인 결합부(300)가 체내에서 자연 분해되는 시기를 감안하여 결합부(300)의 개수를 조절한다면, 스텐트(10)가 체내에서 장시간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결합부(300)의 개수를 증가시켜 추진부(200)와 결합시키고, 단기 시술일 경우에는 결합부(300)의 개수를 적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300)의 생분해성 재질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락타이드(poly lactide),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전술한 종류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재질 중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 특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4 및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제조 단계<S401>
본 단계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갖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돌출부를 제조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본 단계에서는 길이 방향의 통로를 갖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에 몸체부(10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진부(200)와 몸체부(10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일 실시예의 경우, 본 단계가 절개 단계 및 변형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1-1. 절개 단계<S401A>
본 단계에서는 몸체부(100)의 일 끝단으로부터 타 끝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하여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네 개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절개하여 4개의 추진부(210, 220, 230, 240)를 만들 수 있다. 즉, 제1절개선(L1), 제2절개선(L2), 제3절개선(L3) 및 제4절개선(L4)을 통해 4개의 추진부(210, 220, 230, 24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절개 단계에서는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1-2. 변형 단계<S401B>
본 단계에서는 단계 S401A에서 형성된 4개의 추진부(210, 220, 230, 24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추진부(200)를 열처리할 수 있다. 본 단계가 종료되면 추진부(200)는 몸체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완만한 곡률을 이루며 굴곡진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추진부(200)와 몸체부(10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본 제조 단계에서 절개 단계 및 변형 단계를 생략하고, 추진부(200)의 형태가 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몸체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진 곡선 형상을 갖도록 도2와 같은 형상 자체를 성형함으로써, 몸체부(100) 및 추진부(20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추진부(200)가 몸체부(100)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되도록 설정하여 성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2. 결합 단계<S402>
단계 S401를 통해 몸체부(100) 및 추진부(200)가 형성된 이후, 본 단계에서는 추진부(200)를 감싸도록 추진부(200)와 결합부(300)를 결합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추진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부(300)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부(300)의 개수는 시술 상황이나 환경에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결합부(300)는 체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분해되도록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이지장 유두(21) 부근의 췌관(41)에 삽입되어 췌장에서 분비되는 체액을 십이지장(20)으로 전달하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제1결합부(310) 및 제2결합부(320)가 생분해되고, 제1결합부(310) 및 제2결합부(320)에 의해 고정되어 오므려졌었던 추진부(200)가 펼쳐지면서 스텐트(1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도7의 (b)와 같이, 별도의 스텐트 제거 장치 없이도 자체적인 추진력에 의해 설치 위치를 이탈하여 자연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진부(200)를 감싸서 고정하고 있던 결합부(300)가 체내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분해되므로, 결합부(300)에 의해 오므려져 있던 추진부(200)가 넓게 펼쳐지면서 몸체부(10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몸체부(1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가 최초 설치된 지점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텐트(10)의 자연 배출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10)의 제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스텐트
100 : 몸체부
200 : 추진부
210 : 제1추진부
220 : 제2추진부
230 : 제3추진부
240 : 제4추진부
300 : 결합부
310 : 제1결합부
320 : 제2결합부
20 : 십이지장
21 : 십이지장 유두
30 : 간
40 : 이자
41 : 췌관
L1 : 제1절개선
L2 : 제2절개선
L3 : 제3절개선
L4 : 제4절개선

Claims (11)

  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 및
    상기 추진부를 감싸며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추진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추진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몸체부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추진부를 형성하는 제조 단계; 및
    상기 추진부를 감싸도록 상기 추진부와 결합부를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추진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추진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일 끝단으로부터 타 끝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하여 상기 추진부를 형성하는 절개 단계; 및
    상기 추진부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변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단계에서는 상기 추진부가 상기 몸체부의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상기 추진부를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추진부가 상기 몸체부의 30~5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0170055344A 2017-04-28 2017-04-28 스텐트 KR101952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344A KR101952763B1 (ko) 2017-04-28 2017-04-28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344A KR101952763B1 (ko) 2017-04-28 2017-04-28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89A KR20180121089A (ko) 2018-11-07
KR101952763B1 true KR101952763B1 (ko) 2019-02-28

Family

ID=6436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344A KR101952763B1 (ko) 2017-04-28 2017-04-28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7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7366A (ja) 2015-03-30 2016-11-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チューブステン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986A (ko) * 2009-01-05 2010-07-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 도어
KR101076716B1 (ko) * 2009-07-01 2011-10-2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753206B1 (ko) * 2015-07-08 2017-07-03 주식회사 엠아이텍 연결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7366A (ja) 2015-03-30 2016-11-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チューブス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89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830A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stents on delivery systems
AU710461B2 (en) Stent for supporting lumens in living tissue
US8652196B2 (en) Stent
US6994721B2 (en) Stent assembly
JP4777646B2 (ja) ステントを完全に保護するための装置
US6013092A (en) Folding of catheter-mounted balloons to facilitate non-rotational radial expansion of intraluminal devices
EP1008363A2 (en) Corrugated catheter balloon
ES2768675T3 (es) Vaina protectora desprendible
EP1292245B1 (en) Delivery system
ES2560277T3 (es) Sistemas de conducto protésico endoluminal y método de acoplamiento
US5403341A (en) Parallel flow endovascular stent and deployment apparatus therefore
RU2017133252A (ru) Система вставного медицин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секцией лечения бляшек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WO2008034106A3 (en) Multi-segmented graft deployment system
US20190192274A1 (en) Endografts for parallel endoluminal grafts
JP2004510491A (ja) メンブレーンを備えた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US20090018635A1 (en) Stent protector
CN106535779B (zh) 内窥镜超声引导的进入装置
KR101952763B1 (ko) 스텐트
KR101772482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EP2074967B1 (en) A method of retaining a polymeric stent on an expansion member
JP5191677B2 (ja) 自己拡張ステントのための開裂鞘送り込み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6104128A1 (ja) ステント
KR102414118B1 (ko) 엑세스 시스
KR0168749B1 (ko) 의료용 스텐트와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거방법
US10383756B2 (en) Intragastric ballo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