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077B1 -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cloth of filter press to lower the height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cloth of filter press to lower the heigh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2077B1 KR101952077B1 KR1020180092062A KR20180092062A KR101952077B1 KR 101952077 B1 KR101952077 B1 KR 101952077B1 KR 1020180092062 A KR1020180092062 A KR 1020180092062A KR 20180092062 A KR20180092062 A KR 20180092062A KR 101952077 B1 KR101952077 B1 KR 1019520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bar
- filter
- unit
- pair
- b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8—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parts, e.g. scrapers, contacting stationary filter elements sprayers
- B01D25/386—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 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설비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필터프레스의 여과포를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과 폐수처리장 및 정수장 등에서는 발생되는 슬러지를 감량하기 위하여 수집된 슬러지를 탈수하여 케이크화시킨다. 슬러지 탈수를 위해서는 필터프레스가 사용된다. 슬러지를 탈수시킨 필터프레스의 여과포에는 케이크가 일부 남아 있게 되어, 이를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Generally,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the water treatment plant, the collected sludge is dewatered and caked to reduce the generated sludge. A filter press is used for sludge dewatering. In the filter cloth of the sludge dehydrated filter press, a part of the cake is left, and it is necessary to clean it.
필터프레스의 여과포를 세척하는 장치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218호에 '전자동 필터프레스의 슬러지 제거 및 여과포 세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척 장치는 전후에 좌우길이방향으로 평행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되 가이드레일 각각에 두 개의 가이드라인을 형성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하측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블록을 구비한 이송부와, 지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측에 결합하되 유입되는 폐수의 슬러지를 여과하는 여과판과 여과포를 구비한 필터링부와, 이송부의 좌우 이송블록 각각에 이송프레임의 양단을 결합하여 연동되게 하고 이송블록의 상면에 작동암을 결합하여 여과판에 걸림 해제되게 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진동케익슬러지탈리부와, 필터링부를 가압하여 여과판과 여과판이 밀착되게 하여 여과포 사이에서 슬러지가 필터링 되도록 하는 가압부와, 필터링부에 결합하여 폐수를 여과판으로 주입하는 공급부와, 여과포 세척 장치를 포함한다. 분사케익슬러지제거부는 이송프레임의 좌우 중앙에 실린더가 마련되고, 실린더의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물분사관이 결합된다.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가 서서히 하강함과 동시에 물분사관으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여과포에 고착된 케이크를 제거하게 되며, 하사점에서 실린더를 역동작시켜 물분사관이 원위치될 수 있다.Regarding the apparatus for cleaning the filter cloth of the filter pres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95218 discloses 'a sludge removing apparatus and a filter cloth cleaning apparatus for a fully automatic filter press'. The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frame having a pair of guide rail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two guide lines formed on each of the guide rails and a conveying block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ails of the support frame, And a filtration unit having a filtering plate and a filter cloth for filtering the sludge of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of the support frame, and a filtering unit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transfer blocks of the transfer unit for interlocking A vibrating cake sludge desorbing section which is movable to the left and right by engaging an operation arm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block so as to be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filter plate, a pressurizing section which presses the filtering section to bring the filter plate and the filter plat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lter the sludge between the filter cloths A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filtering part to inject wastewater into the filter plate, Including values. The spray cake sludge removing unit is provided with cylinders at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transfer frame, and a water distributing pip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od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is gradually lowered and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water distributing pipe to remove the cake fixed to the filter cloth and the water distributing pipe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reversing the cylinder at the bottom dead center.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실린더의 로드가 여과판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도록 상당한 길이를 가지게 되므로 설치시 높이를 크게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structure has a considerable length so that the rod of the cylinder can be vertical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so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arge heigh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전고(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press bleed composite washing device capable of lowering the height (heigh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는 한 쌍의 이송부, 한 쌍의 기립바, 수평바, 구동부, 세척부, 서브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이송부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한 쌍의 기립부는 한 쌍의 이송부 각각에 고정 설치된다. 수평바는 양단이 한 쌍의 기립바 각각의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동부는 수평바가 기립바 내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세척부는 수평바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바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고, 세정액을 분사한다. 서브 구동부는 수평바와 세척부를 연결하며, 세척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a filter press fabric, which comprises a pair of conveying units, a pair of standing bars, a horizontal bar, a driving unit, a cleaning unit and a sub-driving unit. The pair of conveying portions are movable along a pair of guide rail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ir of rising portions are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conveying portions. The horizontal bar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movable along the inside of each of the pair of standing bars. The driving unit drives the horizontal bar to move along the inside of the standing bar. The washing section is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bar,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bar, and injects the washing liquid. The sub-driver connects the horizontal bar and the cleaning unit, and can move the clean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의 구동부는 동력발생부, 랙, 피니언,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랙은 기립바의 내측을 따라 설치된다. 피니언은 랙을 따라 이동한다. 회전축은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여 피니언이 움직이도록 한다. The driving unit of the filter press filter composit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generating unit, a rack, a pinion, and a rotating shaft.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generate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power. The rack is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standing bar. The pinion moves along the rack. The rotating shaft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to the pinion to move the pin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의 서브 구동부는 길이 조절을 통해 세척부를 수평바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수평바에 가깝게 할 수 있다. The sub-driving unit of the filter press bleaching press composit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cleaning unit away from the horizontal bar or close the horizontal bar by adjusting the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의 세척부는 분사관과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관은 수평바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분사구가 형성된다. 지지대는 수평바와 분사관을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The cleaning unit of the filter press bleached cloth composit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ray tube and a support. The jet tub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bar, and an injection port is formed. The support connects the horizontal bar and the spray pipe, and the length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는 호스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스릴에는 분사관에 연결되는 호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감겨있다. The filter press bleached composit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se reel. The hose is wound with a hose connected to the spray pipe so as to be rota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의 한 쌍의 기립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평바 또는 구동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bar or the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tanding bars of the filter press bleached cloth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여과포 세척 장치는 세척부의 이동을 구동부와 서브 구동부가 각각 조정함으로서, 설치시 전고를 낮출 수 있다. In the filter cloth cleaning apparatus of the filter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washing unit is adjusted by the driving unit and the sub-driving unit, respectively, so that the height of the washing unit can be lowered during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가 여과포를 세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에서 케이크 탈리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에서 여과포 세척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a filter press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filter press filter fabric composit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A.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Fig. 1B.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ilter press filter fabric composit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the filter cloth.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desorbing and cleaning a filter p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filt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 cake from a filter-remov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to 9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leaning a filter cloth in a desorp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a filter p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가 여과포를 세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a filter press filter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other view of the filter press filter fabric composit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press fabric blas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s the filter cloth .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여과포 세척 장치(1000)는 한 쌍의 이송부(1100), 한 쌍의 기립바(1200), 수평바(1300), 구동부(1400), 세척부(1500), 서브 구동부(1600)를 포함한다. 1 to 5, an
한 쌍의 이송부(110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레일(R)은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가이드레일(R) 사이에는 복수의 여과판(1700)이 위치한다. 각각의 이송부(1100)는 회전봉(1110)을 구비하여, 가이드레일(R)을 따라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부(1100)의 이동을 위한 동력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동력 수단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The pair of
한 쌍의 이송부(1100)는 지지프레임(11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20)은 한 쌍의 이송부(1100)를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한 쌍의 이송부(110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흔들림을 줄여 줄 수 있다. The pair of
한 쌍의 기립바(1200)는 각각 한 쌍의 이송부(1100)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립바(1200)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이송부(1100)보다 높게 설치된다. The pair of
수평바(1300)는 양단이 한 쌍의 기립바(1200) 각각의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수평바(1300)가 이동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수평바(1300)의 끝단을 휠(1310)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휠(1310)은 기립바(12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수평바(1300)의 끝단이 휠(1310)과 연결되면, 수평바(1300)는 흔들림이 적어지고 부드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바(1300)의 한쪽 끝단에만 휠(1310)이 연결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바(1300)의 양 끝단에 각각 휠(1310)이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수평바(1300)는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수평바(1300)는 H-beam 형상이 될 수 있다. H-beam 형상 중 넓은 면을 갖는 일 측면이 구동부(1400)와 연결되고, 넓은 면을 갖는 타 측면은 세척부(15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The
구동부(1400)는 수평바(1300)가 기립바(120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1400)는 동력발생부(1410), 랙(1420), 피니언(1430), 회전축(1440), 베어링(145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동력발생부(1410)는 수평바(130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동력발생부(1410)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동력발생부(1410)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랙(1420)은 기립바(1200)의 내측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랙(1420)은 한 쌍의 기립바(1200)에 각각 설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랙(1420)은 한 쌍의 기립바(120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The
피니언(1430)은 랙(1420)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랙(14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피니언(1430)은 랙(1420)과 동일한 수로 설치된다. The
회전축(1440)은 수평바(1300)와 평행하도록 위치하며, 동력발생부(14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1440)의 끝단에는 피니언(1430)이 위치한다. 동력발생부(1410)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축(1440)이 회전을 하고, 회전축(1440)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1430)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1430)이 랙(14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회전축(1440)은 베어링(14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1450)은 복수일 수 있다. 베어링(1450)은 수평바(1300)에 상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동력발생부(141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피니언(1430)이 이동하게 되면, 회전축(1440)도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1440)과 동력발생부(1410) 및 베어링(1450)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바(1300)도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세척부(1500)는 수평바(1300)의 하측에 수평바(1300)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세척부(1500)는 수평바(1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세척부(1500)에서는 여과포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정액은 물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세척부(1500)는 분사관(1510)과 지지대(1520)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관(1510)은 수평바(1300)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분사관(1510)에는 분사구(1511) 형성되어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다. 동시에 2개의 여과포를 세척하기 위해, 분사관(1510)에는 분사구(1511)가 두 줄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511)는 여과포에 45도로 물이 분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분사관(1510)에는 호스(1530)가 연결되며, 호스(1530)를 통해 세정액으로 사용되는 물이 공급된다. 호스(1530)는 호스릴(1540)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 있다. 호스릴(1540)은 지지프레임(1120)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관(1510)이 아래로 이동하면 호스릴(1540)에 감겨있는 호스(1530)가 풀리면서 따라 내려간다. A
지지대(1520)는 일단이 수평바(1300)에 고정되며, 타단이 분사관(151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520)는 2개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지지대(15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520)는 지지파이프(1521)와, 지지파이프(152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로드(152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바(1300)가 움직이지 않고 분사관(1510)만 이동하는 경우 보조로드(1522)가 지지파이프(1521)로부터 인출되어 지지대(1520)의 전체적인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The
서브 구동부(1600)는 일단이 수평바(1300)의 하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세척부(1500)의 분사관(15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구동부(1600)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브 구동부(1600)는 세척부(1500)의 분사관(15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세척부(1500)는 수평바(1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지만, 서브 구동부(1600)는 수평바(130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세척부(1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One end of the
세척부(1500)는 세척을 위해 하강할 때 구동부(1400)의 구동에 의해 하강을 한 후, 구동부(1400)에 의한 구동이 끝나면, 서브 구동부(1600)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500)가 최저점에 있을 때에는 구동부(1400)도 최저점에 있으며, 서브 구동부(1600)도 최저점에 있게 된다. 따라서 세척부(1500)의 전체 이동 거리만큼 구동부(140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필터프레스의 여과포 세척 장치(1000)의 전체 전고를 낮출 수 있다. 서브 구동부(1600)에는 구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The
한 쌍의 기립바(1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평바(1300), 구동부(1400), 세척부(150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80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1800)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1800)를 통해 세척부(1500)가 세척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바(1300)는 센서(1800)에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일단에 감지부(1320)를 형성할 수 있다. 감지부(1320)는 기립바(1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A
제어부(1900)는 센서(1800)를 통해 감지한 측정값을 기초로 구동부(1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구동부(16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세척부(1500)의 분사관(1510)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에서 케이크 탈리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에서 여과포 세척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filt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leaning a filter cloth in the desorption and washing apparatus of a filter p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3000)는 세척 장치(1000)와 가압 장치(2000)를 포함한다. 세척 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S. 6 to 9C, the desorption and
여과판(1700)은 여과 프레임(1710), 여과포(1720), 슬러지 공급 포트(1730)를 구비한다. 여과 프레임(1710)은 내부에 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 프레임(1700)은 사각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여과포(1720)는 여과 프레임(1710)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된다. 여과포(1720)는 물은 배출시키지만, 케이크는 배출시키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포(1720)는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를 구비한다. 제1 여과포(1721)는 여과 프레임(1710)의 전면에 부착되고, 제2 여과포(1122)는 여과 프레임(1710)의 후면에 부착된다. The
슬러지 공급 포트(1730)를 통해 여과판(1700)으로 슬러지가 유입된다. 슬러지 공급 포트(1730)는 여과포(1720)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공급 포트(1730)는 여과 프레임(1710)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전체 길이(L)의 1/4 이내인 위치에 형성된다. 즉, 슬러지 공급 포트(1730)의 높이(h)는 여과 프레임(1710)의 밑면에서부터 전체 여과 프레임(1710)의 높이(L)의 1/4인 지점 사이에 형성된다(h<L/4). 바람직하게는 슬러지 공급 포트(1730)는 여과 프레임(1710)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전체 길이(L)의 1/10 내지 1/5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L/10≤h≤L/5). 슬러지 공급 포트(1730)의 형성 위치가 전체 길이(L)의 1/10보다 낮은 경우에는 슬러지가 샐 가능성이 있다. 슬러지 공급 포트(1730)의 형성 위치가 전체 길이(L)의 1/5보다 높은 경우에는 케이크 박리 효과가 떨어진다. 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가압 장치(2000)는 지지 프레임(1120)에 설치된다. 가압 장치(2000)는 상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여과판 중 인접한 여과판의 여과포를 상부에서 누른다. 가압 장치(200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움직이는 실린더(2100)와 상하 이동을 하는 누름부(220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과판(1700)은 여과 프레임(1710)의 양 측면에 각각 측면 지지대(17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여과판(1700)은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 각각의 상부에 여과포 고정바(1740a, 1740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과포 고정바(1740a, 1740b)에는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의 상부가 고정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과포 고정바(1740)는 양단에 각각 탄성체(1760a, 1760b)가 연결되며, 각각의 탄성체(1760a, 1760b)는 측면 지지대(1750a, 1750b)와 연결된다. 즉, 여과포 고정바(1740a, 1740b)는 탄성체(1760a, 1760b)를 통해 측면 지지대(1750a, 1750b)에 고정되며,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는 상단이 측면 지지대(1750a, 1750b)에 탄성 지지된다.
이 경우 가압 장치(2000)가 여과포(1720)를 가압할 때 여과포 고정바(1740a, 1740b)를 누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장치(2000)가 상하 이동을 할 때, 하강 속도는 느리고 상승 속도는 빠르다. 가압 장치(2000)가 천천히 하강하면, 가압 장치(2000)가 여과포(1720)를 누를 때 여과포(172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탄성체(1760a, 1760b)가 인장된다. 반대로 가압 장치(2000)가 빨리 상승하면, 탄성체(1760a, 1760b)가 수축되면서 발생되는 탄성이 여과포(1720)에 그대로 전달되어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의 진동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여과판(1700)으로부터 탈수 케이크 박리가 잘 이루어진다. In this case, the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는 하부가 여과 프레임(171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는 하부가 고정핀(1723)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고정핀(1723)에 의해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의 하부를 잘 고정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프레임(1710)은 하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The
고정되는 위치는 슬러지 공급 포트(1730)의 형성 위치보다 더 하측이다.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의 하부 고정 위치가 슬러지 공급 포트(1730)의 형성 위치보다 상측인 경우와 하측인 경우를 비교하면, 하측인 경우가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에 진동이 발생될 때 진동이 제1 여과포(1721)와 제2 여과포(1722)의 하부까지 잘 전달되어 탈수 케이크 박리가 더 잘 이루어진다. The fixed position is lower tha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공급 포트(1730)를 통해 복수의 여과판(1700)으로 공급된다. 슬러지는 슬러지 저장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여과판(1700)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여과판(1700)에는 압력이 가해져 슬러지가 탈수되어 케이크화된다. 압력이 가해져 한쪽으로 모여있는 복수의 여과판(1700)은 여과판 이송부(미도시)에 의해 하나씩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여과판(1700-1)과 제2 여과판(1700-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The sludge generated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한 쌍의 이송부(1200)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장치(2000)가 제1 여과판(1700-1)과 제2 여과판(1700-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가압 장치(2000)는 천천히 하강하면서 제1 여과판(1700-1)의 제2 여과포(1722-1)와 제2 여과판(1700-2)의 제1 여과포(1721-2)의 여과포 고정바(1740b-1, 1740a-2)를 동시에 누르게 된다. 이 후 가압 장치(2000)는 빠른 속도로 상승하면, 제1 여과판(1700-1)의 제2 여과포(1722-1)와 제2 여과판(1700-2)의 제1 여과포(1721-1)가 탄성체(1760a, 1760b)의 탄성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여과판(1700-1)과 제2 여과판(1700-2) 내에 있던 케이크가 박리되어 배출된다. The pair of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수의 여과판(1700) 전체에 대해서 케이크를 박리하여 배출한다. 케이크 탈리 과정이 끝나면, 여과포(1720)를 세척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cake is peeled and discharg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여과판 이송부가 케이크 탈리가 끝난 복수의 여과판(1700)을 하나씩 이송시킨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여과판(1700-1)과 제2 여과판(1700-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The filter plate conveying portion feeds a plurality of
도 9a 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송부(1100)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세척부(1500)가 제1 여과판(1700-1)과 제2 여과판(1700-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구동부(1400)는 수평바(1300)가 기립바(1200)의 내측을 따라 하강하도록 구동한다. 이에 따라 수평바(1300)와 연결되어 있는 세척부(1500)도 하강하게 된다. 세척부(1500)는 하강하면서 세정액(물)을 분사하여, 제1 여과판(1700-1)의 제2 여과포(1722-1)와 제2 여과판(1700-2)의 제1 여과포(1721-2)를 세척한다. 구동부(1400)의 이동 위치는 센서(1800)를 통해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9A, the pair of
구동부(1400)에 의한 이동이 끝나면, 서브 구동부(1600)가 세척부(150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세척부(1500)는 제1 여과판(1700-1)의 제2 여과포(1722-1)와 제2 여과판(1700-2)의 제1 여과포(1721-2)의 하단 끝까지 세척을 할 수 있다. 서브 구동부(1600)의 동작은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When the movement of the
이 후 서브 구동부(1600)는 세척부(1500)를 상승시킨다. 서브 구동부(1600)에 의한 세척부(1500)의 상승이 끝나면, 구동부(1400)는 수평바(1300)가 기립바(1200)의 내측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동하며, 이에 따라 수평바(1300)와 연결되어 있는 세척부(1500)도 상승하게 된다. 세척부(1500)는 상승하면서도 제1 여과판(1700-1)의 제2 여과포(1722-1)와 제2 여과판(1700-2)의 제1 여과포(1121-2)를 세척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sub-driver 1600 raises th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 필터프레스 여과포 세척 장치
1100 : 이송부 1110 : 회전봉
1200 : 기립바 1300 : 수평바
1400 : 구동부 1410 : 동력발생부
1420 : 랙 1430 : 피니언
1440 : 회전축 1450 : 베어링
1500 : 세척부 1510 : 분사관
1520 : 지지대 1530 : 호스
1540 : 호스릴 1600 : 서브 구동부
1700 : 여과판 1710 : 여과 프레임
1720 : 여과포 1730 : 슬러지 공급 포트
1800 : 센서 1900 : 제어부
2000 : 가압 장치 2100 : 실린더
2200 : 누름부 3000 : 필터프레스의 탈리 및 세척 장비1000: Filter press Filter cleaning device
1100: Feeder 1110:
1200: Standing bar 1300: Horizontal bar
1400: driving part 1410: power generating part
1420: rack 1430: pinion
1440: rotating shaft 1450: bearing
1500: Cleaning section 1510:
1520: support 1530: hose
1540: Hosiery 1600: Sub-
1700: Filter plate 1710: Filter frame
1720: filter cloth 1730: sludge supply port
1800: sensor 1900:
2000: pressurizing device 2100: cylinder
2200: Press part 3000: Filter press release and cleaning equipment
Claims (6)
상기 한 쌍의 이송부 각각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기립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기립바 각각의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기립바의 내측에 위치하는 휠이 연결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가 상기 기립바 내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수평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바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고,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척부;
상기 수평바와 상기 세척부를 연결하며, 상기 세척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서브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립바에는 상기 수평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바의 일단에는 상기 기립바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부의 이동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서브 구동부에 의해 각각 조정될 수 있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A pair of conveying members movable along a pair of guide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rising bars fixedly installed on the pair of conveying parts;
A horizontal bar installed at both ends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inside of each of the pair of standing bars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standing bar;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horizontal bar to move along the inside of the standing bar;
A clean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horizontal bar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bar and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sub-driver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and the cleaning unit to move the cleaning unit,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bar is installed on the standing bar, and a sensing par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nding ba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Wherein the movement of the washing unit can be adjusted by the driving unit and the sub-driving unit, respectively.
상기 구동부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기립바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랙을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과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power,
A rack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standing bar,
A pinion which is install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 and moves along the rack;
And a rotation shaf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to the pinion.
상기 서브 구동부는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세척부를 상기 수평바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수평바에 가깝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b-driving unit moves the washing unit away from the horizontal bar or approaches the horizontal bar by adjusting the length thereof.
상기 세척부는
상기 수평바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관과,
상기 수평바와 상기 분사관을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shing unit
A spraying tube dispos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bar and having an injection port,
And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horizontal bar and the injection pipe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는 호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감겨있는 호스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hose connected to the jetting tube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한 쌍의 기립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세척부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 여과포 복합 세척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tanding bars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wash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062A KR101952077B1 (en) | 2018-08-07 | 2018-08-07 |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cloth of filter press to lower the heigh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062A KR101952077B1 (en) | 2018-08-07 | 2018-08-07 |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cloth of filter press to lower the heigh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2077B1 true KR101952077B1 (en) | 2019-02-25 |
Family
ID=6558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062A KR101952077B1 (en) | 2018-08-07 | 2018-08-07 |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cloth of filter press to lower the heigh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207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62439A (en) * | 2020-03-20 | 2020-07-03 | 骆向东 | Industrial sewage treatment mechanism convenient to dredge |
CN112156513A (en) * | 2020-09-18 | 2021-01-01 | 昆山市天丰印刷包装有限公司 | Cleaning device for filter press |
CN112915601A (en) * | 2021-04-13 | 2021-06-08 | 肖炳衡 | Water flushing device of filter press |
KR102281552B1 (en) * | 2020-12-30 | 2021-07-26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Pantagraph-type cleaner for filter press |
WO2022157608A1 (en) * | 2021-01-22 | 2022-07-28 | Aqseptence Group S.R.L. | Filter press with multi-function robot for maintenance, tracking and wear control of filtering septa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14137A (en) * | 1990-01-08 | 1991-08-31 | 키요시 타니이 | Filter press |
KR200175641Y1 (en) * | 1999-10-25 | 2000-03-15 | 한백산업주식회사 | Filter press |
KR100795218B1 (en) | 2007-08-07 | 2008-01-17 | 이건호 |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and washing tamis of filter press |
KR101550895B1 (en) * | 2014-04-08 | 2015-09-07 | 황명회 | Surface cleaner for filtration |
KR101738389B1 (en) * | 2016-11-04 | 2017-05-23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washing multi filter cloths of filter press at once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2062A patent/KR10195207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14137A (en) * | 1990-01-08 | 1991-08-31 | 키요시 타니이 | Filter press |
KR200175641Y1 (en) * | 1999-10-25 | 2000-03-15 | 한백산업주식회사 | Filter press |
KR100795218B1 (en) | 2007-08-07 | 2008-01-17 | 이건호 |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and washing tamis of filter press |
KR101550895B1 (en) * | 2014-04-08 | 2015-09-07 | 황명회 | Surface cleaner for filtration |
KR101738389B1 (en) * | 2016-11-04 | 2017-05-23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washing multi filter cloths of filter press at onc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62439A (en) * | 2020-03-20 | 2020-07-03 | 骆向东 | Industrial sewage treatment mechanism convenient to dredge |
CN111362439B (en) * | 2020-03-20 | 2021-04-23 | 新昌县梅维斯环保有限公司 | Industrial sewage treatment mechanism convenient to dredge |
CN112156513A (en) * | 2020-09-18 | 2021-01-01 | 昆山市天丰印刷包装有限公司 | Cleaning device for filter press |
KR102281552B1 (en) * | 2020-12-30 | 2021-07-26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Pantagraph-type cleaner for filter press |
WO2022157608A1 (en) * | 2021-01-22 | 2022-07-28 | Aqseptence Group S.R.L. | Filter press with multi-function robot for maintenance, tracking and wear control of filtering septa |
CN112915601A (en) * | 2021-04-13 | 2021-06-08 | 肖炳衡 | Water flushing device of filter pre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2077B1 (en) |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cloth of filter press to lower the height | |
RU2565192C2 (en) | Scraper for unloading of filtering deposit onto filter-press filtering plate | |
KR101669643B1 (en) | Filter Press | |
KR102324708B1 (en) | Unmanned automatic tower type filter press device | |
EP2452736B1 (en) | Grouping vibration device for filter plates of press filter | |
KR100795218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and washing tamis of filter press | |
KR101738389B1 (en) | Apparatus for washing multi filter cloths of filter press at once | |
CN206064891U (en) | A kind of auto parts cleaning machine | |
CN101293152A (en) | Horizontal pressure filter | |
CN103706587A (en) | Multi-screen-plate washing device | |
CN104943359B (en) | A kind of cylinder cleaning device of circular screen printer | |
CN103221107A (en) | Apparatus for rapid cake discharge and filter cloth cleaning of filter press | |
JPH08215506A (en) | Filter press that filters suspension | |
CN105417921A (en) | Automatic cleaning mechanism of sludge electroosmosis high-drying dewatering device | |
CN202606437U (en) | Full-automatic screen cleaning machine | |
KR101952076B1 (en) | A cake releasing device for complete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cake from filter press | |
US4448221A (en) | Spraying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plates | |
CN215310463U (en) | Concrete mixer truck effluent treatment plant | |
CN214597583U (en) | Waste water residue filtering device | |
CN205420124U (en) | Mud electroosmosis high level cadre dewatering equipment's automatic cleaning machine constructs | |
AU2014345418B2 (en) | A filter press with a washing apparatus | |
CN103920320A (en) | Upper cleaning device for pressure filter | |
CN105561662A (en) | Filter press | |
KR101092156B1 (en) | Filter plate shifting device of filter press | |
CN202777980U (en) | Mobile cleaning device for filtering cloth of filter pr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