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398B1 -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398B1
KR101951398B1 KR1020170055298A KR20170055298A KR101951398B1 KR 101951398 B1 KR101951398 B1 KR 101951398B1 KR 1020170055298 A KR1020170055298 A KR 1020170055298A KR 20170055298 A KR20170055298 A KR 20170055298A KR 101951398 B1 KR101951398 B1 KR 101951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ing
communication node
slot
poi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072A (ko
Inventor
노병희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39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은 현재 주기의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타겟 통신 노드가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단계 및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METHOD FOR DISTRIBUTED SLOT ALLOCATION, COMMUNICATION NODE AN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하여 파이어링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계산할 수 있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는 기지국 등의 기반 시설이 없는 환경에서 분산 배치된 이동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및 이를 위한 자율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기존의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주로 경쟁기반 다중매체접근방식인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하지만, CSMA/CA 프로토콜에서 히든 노드(hidden node)에 의해 발생하는 패킷 충돌에 대하여 전송기회를 선점하여 패킷 충돌을 회피하는 RTS/CTS (Request To Send/Clear To Send)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높은 오버헤드로 인하여, 최근에는 채널 효율의 향상을 위한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기반의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구간인 슬롯을 기 계획된 시간만큼 번갈아 접근하는 방식이다.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는 할당된 슬롯에 대하여 해당 노드만의 접근을 보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슬롯의 할당 과정이 중요하다. 또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은 슬롯을 수동으로 미리 할당하여 사용하는 정적 할당 방식(static TDMA)과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 각 노드가 필요한 슬롯을 요청하고 할당받는 동적 할당 방식 (dynamic TDM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동적 할당 방식은 슬롯의 할당을 통제하기 위한 중앙 노드를 가지고 있는 중앙집중형 동적할당 방식과 분산된 각 노드가 주변환경에 적응하여 스스로 자신의 슬롯을 할당하는 분산형 동적할당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하여 파이어링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계산할 수 있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은 현재 주기의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타겟 통신 노드가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단계 및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은, 상기 현재 주기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1인접 통신 노드와, 상기 현재 주기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상기 슬롯과 인접한 이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2인접 통신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은,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과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은, DESYNC(DESYNC hronization)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파이어링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파이어링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을 더하여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는, 복원된 상기 제1인접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복원된 상기 제2인접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의 중간 지점에 통신 주기를 더하여,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은,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시작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은,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과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은, 상기 타겟 통신 노드가,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와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은,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노드는 현재 주기의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 및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시작 시점을 계산하는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과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하는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타겟 통신 노드 및 현재 주기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인접 통신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통신 노드는, 현재 주기의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여,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파이어링 메시지(firing message)를 전송함으로써 슬롯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다음 주기에서 파이어링 메시지가 전송되는 슬롯의 시작 시점을 계산함에 있어서 파이어링 오프셋(offset)에 기반한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함으로써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이 타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을 침범(violate)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과 비교되는 DESYNC(DESYNChronization) 알고리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ESYNC 알고리즘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DESYNC 알고리즘에 따른 슬롯 할당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의 차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에서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통신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타겟 통신 노드에 의해 결정되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파이어링 오프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타겟 통신 노드에 의해서 생성되는 파이어링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패킷 송신 시에 슬롯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없는 모델((No Fragment(NOFRAG) model)에서의 DESYNC 알고리즘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의 슬롯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패킷 송신 시에 슬롯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있는 모델((Fragment(FRAG) model)에서의 DESYNC 알고리즘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의 슬롯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과 비교되는 DESYNC(DESYNChronization) 알고리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DESYNC 알고리즘은 분산형 동적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방식의 하나로, 반딧불(firefly) 군집이 이루는 집단생태계의 특성을 모방하여 각 통신 노드가 균등한 슬롯을 할당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슬롯 할당을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통신 노드들 각각은 TDMA의 매 주기마다 해당 노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firing message)를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통신 노드들 각각은 상기 파이어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균등한 슬롯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통신 노드들(A~F) 각각이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이 원형의 TDMA 주기 상에 표시되어 있다.
초기시점(t=0)에서는 각 통신 노드(A~F)가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이 불균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다음 주기(t=1)에서 각 통신 노드(A~F)는 타 통신 노드의 파이어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TDMA 주기 상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 즉 파이어링 시점을 변경하며, 각 통신 노드(A~F)의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의 줄어들게 된다.
각 통신 노드(A~F)가 여러 주기의 비동기(desynchronization) 과정을 거쳐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조정함에 따라, n번째 주기(t=n)에서는 각 통신 노드(A~F)의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 간의 간격이 균일해지며, 이에 따라 각 통신노드(A~F)에 할당되는 슬롯의 크기도 균일해질 수 있다.
DESYNC 알고리즘에서 각 통신 노드(A~F)가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ESYNC 알고리즘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A~F) 중에서 타겟 통신 노드(B)가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타겟 통신 노드(B)와 타겟 통신 노드(B)에 인접한 인접 통신 노드들(A, C)만을 도시하였다.
인접 통신 노드들(A, C)은 주기 상에서 타겟 통신 노드(B)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1인접 통신 노드(A)와 주기 상에서 타겟 통신 노드(B)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후 시간 구간에 할당된 제2인접 통신 노드(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 통신 노드들(A~C) 각각은 ΦA(t)(=ΦB,-(t)), ΦB(t), ΦC(t)(=ΦB,+(t)) 시점에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의 다음 주기인 t+1번째 주기((t+1)-th time interval)에서 타겟 통신 노드(B)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1))은,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의 인접 통신 노드들(A, B)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의 중간 지점(mid(ΦB,-(t), ΦB,+(t)))에 주기(T)를 더한 시점, 즉 T+ mid(ΦB,-(t), ΦB,+(t))으로 결정될 수 있다.
t+1번째 주기((t+1)-th time interval)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B)의 슬롯 시작 시점(SB,start(t+1))은 제1인접 통신 노드(A)의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과 타겟 통신 노드(B)의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의 중간 지점(mid(ΦB,-(t), ΦB(t)))에 주기(T)를 더한 시점, 즉 T+ mid(ΦB,-(t), ΦB(t))으로 결정될 수 있다.
t+1번째 주기((t+1)-th time interval)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B)의 슬롯 끝 시점(SB,end(t+1))은 타겟 통신 노드(B)의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과 제2인접 통신 노드(C)의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과 의 중간 지점(mid(ΦB(t), ΦB,+(t))에 주기(T)를 더한 시점, 즉 T+ mid(ΦB(t), ΦB,+(t))으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나머지 통신 노드들(A, C~F)도 타겟 통신 노드(B)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인접 통신 노드들의 t번째 주기(t-th time interval)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에 기초하여, t+1번째 주기((t+1)-th time interval)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 슬롯 시작 시점, 및 슬롯 끝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이어링 시점'은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의미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DESYNC 알고리즘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에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할당된 슬롯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파이어링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할당된 슬롯 내에서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다가 중단되고 파이어링 메시지가 전송되며,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후에 다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수 있다. 즉, DESYNC 알고리즘에서는 할당된 슬롯이 파이어링 메시지에 의하여 분할(split)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DESYNC 알고리즘에 따른 슬롯 할당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의 차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DESYNC 알고리즘에 따라 슬롯 할당을 하는 경우, 각 통신 노드(A~F)는 도 3(a)와 같이 할당된 슬롯의 중간 지점에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슬롯의 중간 지점에서 전송되는 파이어링 메시지에 의하여 슬롯이 2개(1st half slot, 2nd half slot)로 분할되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의 크기보다 작은 슬롯 구간이 추가로 발생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없는 낭비되는 슬롯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롯 할당을 하는 경우, 각 통신 노드(A~F)는 도 3(b)와 같이 할당된 슬롯의 처음 시점에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할당된 슬롯은 분할 없이 커다란 하나의 슬롯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DESYNC 알고리즘에 따른 슬롯 할당에서와 같은 슬롯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어링 메시지가 슬롯의 처음에 전송되는 경우, 전송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결정하게 되는 경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이 타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을 침범(violate)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에서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할당 방법에 따라 현재 주기에서 각 슬롯(A's Slot, B's Slot, C's Slot)의 시작 시점에서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하지 않고 현재 주기(t)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를 직접 이용하여 다음 주기(t+1)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다음 주기(t+1)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B)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1))은 현재 주기(t)에서의 제1인접 통신 노드(A)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A(t)(=ΦB,-(t)))과 제2인접 통신 노드(C)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C(t)(=ΦB,+(t)))의 중간 지점에 주기(T)를 더한 시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주기(t+1)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B)에 할당된 슬롯은 제1인접 통신 노드(A)에 할당된 슬롯(A's Slot)을 침범하여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ΦB(t+1))부터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할당 방법에서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이용하여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이를 이용하여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통신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타겟 통신 노드에 의해 결정되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파이어링 오프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타겟 통신 노드에 의해서 생성되는 파이어링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통신 노드(100), 예컨대 통신 노드(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통신 노드들(B~F)과 분산형 시분할 다중접속(TDMA)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통신 노드(100)는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110),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120), 메모리(130),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140),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150), 및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160), 비동기화 수행부(170), 및 파이어링 메시지 생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110)는 타 통신 노드들로부터 전송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타겟 통신 노드(100)에서 생성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타 통신 노드들, 예컨대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파이어링 메시지는,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어링 메시지는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파이어링 메시지(FIRE)는 할당된 슬롯(Allocated Slot)의 시작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전송되는 파이어링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다음 주기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데 직접 이용하는 경우 슬롯 침범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I-FIRE)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상 파이어링 시점(I-FIRE)은 DESYNC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파이어링 시점과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실제 파이어링 메시지는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전송하되, 다음 주기에서의 파이어링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계산하는 과정에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I-FIRE)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과 가상 파이어링 시점(I-FIRE) 간의 차이는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파이어링 메시지를 도 7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이어링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는 타입(Type) 정보, ID 정보, 및 파이어링 오프셋(Time_Offset)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입(Type) 정보는 해당 패킷이 데이터 패킷과 구분되는 파이어링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ID 정보는 해당 파이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이어링 오프셋(Time_Offset)은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과 가상 파이어링 시점(I-FIRE)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로 돌아와서,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120)는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120)는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메시지의 수신 시점에 파이어링 오프셋을 더하여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메시지의 수신 시점과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120)에 의해 복원된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저장할 수 있다.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140)는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140)는 제1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제2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의 중간 지점에 통신 주기(T)를 더하여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제1인접 통신 노드는 현재 주기(t)에서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통신 노드, 제2인접 통신 노드는 현재 주기(t)에서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타겟 통신 노드(100)가 통신 노드(A)라고 할 때, 제1인접 통신 노드는 통신 노드(F)이고, 제2인접 통신 노드는 통신 노드(B)를 의미할 수 있다.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150)는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에서의 슬롯 시작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150)는 제1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타겟 통신 노드(100)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의 중간 지점에 통신 주기(T)를 더하여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에서의 슬롯 시작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160)는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에서의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160)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140)에 의해 계산된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150)에 의해 계산된 슬롯 시작 시점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비동기화 수행부(170)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140)에 의해 계산된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150)에 의해 계산된 슬롯 시작 시점에 기초하여, 타겟 통신 노드(100)의 비동기화(desynchroniz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동기화 과정에서 TDMA 주기 내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100)의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 즉 파이어링 시점이 조정되며,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되는 슬롯도 함께 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동기화 수행부(170)는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에서의 슬롯 시작 시점에 관한 정보를 파이어링 메시지 생성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파이어링 메시지 생성부(180)는 비동기화 수행부(170)로부터 전달된 다음 주기(t+1)에서의 슬롯 시작 시점과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160)로부터 전달된 파이어링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파이어링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이어링 메시지 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파이어링 메시지에는 파이어링 오프셋이 포함될 수 있다.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110)는 파이어링 메시지 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파이어링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110)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다음 주기(t+1)에서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타겟 통신 노드(100)는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은, 현재 주기(t)에서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1인접 통신 노드와, 현재 주기에서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된 상기 슬롯과 인접한 이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2인접 통신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통신 노드(100)는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할 수 있다(S12).
실시 예에 따라, 복원된 가상 파이어링 시점은 DESYNC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파이어링 메시지 전송 시점과 동일한 시점일 수 있다.
타겟 통신 노드(100)는 복원된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t+1)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100)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S14).
실시 예에 따라, 타겟 통신 노드(100)는 제1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에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제2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에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의 중간 시점에 통신 주기(T)를 더한 시점을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에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타겟 통신 노드(100)는 복원된 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되는 슬롯의 시작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S16).
실시 예에 따라, 타겟 통신 노드(100)는 제1인접 통신 노드의 현재 주기(t)에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타겟 통신 노드(100)의 현재 주기(t)에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의 중간 지점에 통신 주기(T)를 더하여 타겟 통신 노드(100)의 다음 주기(t+1)에서의 슬롯 시작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타겟 통신 노드(100)는 다음 주기에서의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S18).
실시 예에 따라, S14 단계에서 계산된 다음 주기(t+1)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S16 단계에서 계산된 다음 주기(t+1)의 슬롯 시작 시점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타겟 통신 노드(100)는 계산된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계산된 슬롯 시작 시점에 기초하여, 타겟 통신 노드(100)의 비동기화(desynchroniz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타겟 통신 노드(100)는 S16 단계에서 계산된 슬롯 시작 시점에서, S18 단계에서 계산된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할 수 있다(S20).
실시 예에 따라, 타겟 통신 노드(100)에 의해 전송되는 파이어링 메시지는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기 위한 영역(field)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S14 단계에서 계산된 다음 주기(t+1)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100)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은, 그 다음 주기(t+2)의 타겟 통신 노드(100)에 할당되는 슬롯 시작 시점 및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데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패킷 송신 시에 슬롯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없는 모델((No Fragment(NOFRAG) model)에서의 DESYNC 알고리즘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의 슬롯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패킷 송신 시에 슬롯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있는 모델((Fragment(FRAG) model)에서의 DESYNC 알고리즘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할당 방법의 슬롯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을 슬롯에 맞추어 분할할 수 없는 NOFRAG 모델과 데이터 패킷을 슬롯에 맞추어 분할할 수 있는 FRAG 모델 각각에서, DESYNC 알고리즘에 따라 슬롯 할당하는 경우(NOFRAG-SPLT, FRAG-SPLT)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할당 방법에 따라 슬롯을 할당하는 경우(NOFRAG-SNGL, FRAG-SNGL)의 슬롯 효율(slot efficiency)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통신 노드들의 숫자가 변동되더라도 대부분의 구간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할당 방법이 DESYNC 알고리즘에 비하여 슬롯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통신 노드
110 :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
120 :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
130 : 메모리
140 :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
150 :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
160 :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
170 : 비동기화 수행부
180 : 파이어링 메시지 생성부

Claims (15)

  1. 현재 주기의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타겟 통신 노드가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단계; 및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은,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과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은,
    상기 현재 주기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이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1인접 통신 노드와, 상기 현재 주기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상기 슬롯과 인접한 이후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제2인접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분산형 슬롯할당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은,
    DESYNC(DESYNChronization)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파이어링 시점과 동일한,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파이어링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을 더하여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는,
    복원된 상기 제1인접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과 복원된 상기 제2인접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의 중간 지점에 통신 주기를 더하여,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은,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시작 시점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은,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과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은,
    상기 타겟 통신 노드가,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와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은,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방식으로 통신하는,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11. 현재 주기의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복원부; 및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는 가상 파이어링 시점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은,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과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노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시작 시점을 계산하는 슬롯 시작 시점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노드.
  13. 제12항에 있어서,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과 계산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파이어링 오프셋을 계산하는 파이어링 오프셋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노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되는 슬롯의 상기 시작 시점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통신 네트워크 내의 타 통신 노드들로 전송하는 파이어링 메시지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노드.
  15. 타겟 통신 노드; 및
    현재 주기에서 상기 타겟 통신 노드에 할당된 슬롯과 인접한 시간 구간에 슬롯이 할당된 인접 통신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통신 노드는,
    현재 주기의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파이어링 오프셋(firing offset)을 포함하는 파이어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이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복원하여, 복원된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에 기초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상기 타겟 통신 노드의 가상 파이어링 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파이어링 오프셋은,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에 할당된 슬롯의 시작 시점과 상기 인접 통신 노드들 각각의 상기 가상 파이어링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네트워크.
KR1020170055298A 2017-04-28 2017-04-28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KR101951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98A KR101951398B1 (ko) 2017-04-28 2017-04-28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98A KR101951398B1 (ko) 2017-04-28 2017-04-28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72A KR20180121072A (ko) 2018-11-07
KR101951398B1 true KR101951398B1 (ko) 2019-02-22

Family

ID=6436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298A KR101951398B1 (ko) 2017-04-28 2017-04-28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3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4568A1 (en) 2011-03-02 2012-09-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node transmissions in a network
KR101693776B1 (ko) 2015-09-11 2017-01-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멀티 홉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분산형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696355B1 (ko) 2015-04-10 2017-01-1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홉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상의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KR101703457B1 (ko) 2015-12-21 2017-02-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홉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 및 이의 자원할당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4568A1 (en) 2011-03-02 2012-09-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node transmissions in a network
KR101696355B1 (ko) 2015-04-10 2017-01-1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홉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상의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
KR101693776B1 (ko) 2015-09-11 2017-01-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멀티 홉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분산형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703457B1 (ko) 2015-12-21 2017-02-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홉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 및 이의 자원할당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논문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72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8048B1 (en) Bluetooth low energy addresses generation
Saifullah et al. Distributed channel allocation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JP4726967B2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
Dang et al. An efficient and reliable MAC in VANETs
EP2732666B1 (en) Overlaying independent unicast frequency hopping schedules with a common broadcast schedule
CN106878165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20030067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free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ighborhood information and advertised transmission times
AU2002313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free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ighborhood information and advertised transmission times
KR20100136501A (ko)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가지는 접속 식별자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2007259271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005461A1 (en) Virtual access point
Kalita et al. 6TiSCH–IPv6 enabled open stack IoT network formation: A review
JP5244177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伝送を管理する方法
WO2015165355A1 (zh) 一种时隙状态维护方法和装置
Liu et al. Topology-transparent schedul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with multiple packet reception capability
US20150071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slot
KR101951398B1 (ko) 분산형 슬롯 할당 방법, 이를 이용하는 통신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KR20200071638A (ko) Tsch 환경에서 다중 경로 전송 지원을 위한 방법 및 다중 경로 전송 tsch 환경의 노드장치
Nguyen et al. Scheduling method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terogeneous periodic flow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1734223B1 (ko) 생체 모방 기반 분산형 무선 자원 할당 기법에서의 프레임 주기 동기화 및 충돌 회피 방법
Htike et al. DYN-MAC: A MAC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dynamic control channel assignment
GB2526839A (en) Method of contending for access to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device
CN110636625B (zh) 正四面体拓扑网络的调度方法及装置
KR101266949B1 (ko)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Hinterhofer et al. RD2: Resilient dynamic desynchronization for TDMA over Lossy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