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233B1 - 물질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물질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233B1
KR101951233B1 KR1020170037681A KR20170037681A KR101951233B1 KR 101951233 B1 KR101951233 B1 KR 101951233B1 KR 1020170037681 A KR1020170037681 A KR 1020170037681A KR 20170037681 A KR20170037681 A KR 20170037681A KR 101951233 B1 KR101951233 B1 KR 10195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ell
rotating shaft
well plate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216A (ko
Inventor
남궁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2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7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receptacle being divided into superimposed compartments
    • B01F7/169
    • B01F15/001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7/1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물질 혼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질 혼합 장치는 제 1 시료가 수용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 1 웰을 복수개 포함하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일측이 개방되되 타측에 비투과성 분리막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 2 시료가 수용되는 제 2 웰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웰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분리막을 파열시키는 파열부재를 포함하는 파열부;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회전 및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응되되,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회전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질 혼합 장치 {substance mixing device}
본 발명은 이종의 물질을 혼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학, 기업, 연구기관 등에서 멀티 웰 플레이트 기반의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한 화합물 시험이 광범위 하게 활용되고 있다.
멀티 웰 플레이트는 다웰 플레이트 또는 다웰 블록 등으로 불리는데, 독립한 단위 웰이 복수개로 구성된 멀티 웰 플레이트는 규격화된 형식에 따라 구성되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예를 들어 96 웰 플레이트 또는 12X8 어레이가 가장 널리 쓰인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는 규격화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에 물질을 주입하고 그 물질의 흡광 형광 발광 편광 등 광화학적 분석을 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현재 멀티 웰 플레이트에 물질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주입기를 이용하거나 시험자가 수동으로 피펫을 이용하여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극히 제한된 수의 물질만을 원하는 시간에 주입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수만 종류에 이르는 화합물을 시험 및 검색해야하는 신약개발 또는 약물 스크리닝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웰을 가지는 장치 또는 멀티 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화학적 생물학적 생화학적 시험을 진행하는 시험자가 수만에서 수십만 종류에 이르는 화합물을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음으로써 그 혼합 또는 화합 반응을 신속히 측정하는데 유용한 물질혼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종의 시료가 혼합된 혼합물에 회전력 등의 외력을 가하여 혼합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혼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와 호환 가능하도록, 멀티 웰 플레이트 기반의 물질혼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시료가 수용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 1 웰을 복수개 포함하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일측이 개방되되 타측에 비투과성 분리막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 2 시료가 수용되는 제 2 웰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웰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분리막을 파열시키는 파열부재를 포함하는 파열부;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회전 및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응되되,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회전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물질혼합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파열부는 상기 제 1 시료와 상기 제 2 시료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재에 형성된 혼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재는 상기 파열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 2 웰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홈의 양 단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부재가 상기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열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축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웰 각각이 상기 제 1 웰 각각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웰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상기 제 2 웰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연결부재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 1 웰은 동일 평면 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웰은 동일 평면 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열부는 상기 제 2 웰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열부 각각은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열부의 상기 회전축부재를 하부측으로 가압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열부재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일렬로 배열된 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및 상기 파열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열(column)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제 2 웰의 상기 분리막이 모두 파열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및 파열부를 이웃하는 열(column)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용화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에 호환되는 물질 혼합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통하여, 상 하로 배열된 제 1 및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에 시험자가 시험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시료를 주입한 후, 파열부재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원하는 화합물을 각각의 웰에 독립적으로 주입하여 그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십만 종류의 시료를 이용하는 신약 개발을 위한 약물 스크리닝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고속 스크리닝 방법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파열부, 가이드부, 제 1 웰 및 제 2 웰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제 1 웰 및 제 2 웰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파열부, 가이드부, 제 1 웰 및 제 2 웰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제 1 웰 및 제 2 웰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가이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 파열부(30), 가이드부(40), 구동부(50), 이동부(6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는 복수개의 제 1 웰(10)이 동일 평면 상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웰(10)에는 제 1 시료(14)가 수용되는 것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제 2 웰(2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제 2 웰(20)이 동일 평면 상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웰(20)에는 제 2 시료(24)가 수용되는 것으로,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 복수 종류의 시료일 수 있다. 특히, 신약개발을 위한 스크리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 1 시료(14)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세포물질일 수 있으며, 제 2 시료(24)는 이러한 세포물질 활성제의 후보물질일 수 있다.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제 1 웰(10) 각각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는 복수의 제 2 웰(20) 각각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는 일종의 플랜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의 제 1 연결부재(12) 상측에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의 제 2 연결부재(22)가 지지될 수 있다.
즉,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와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는 각각의 제 1 웰(10)에 각각의 제 2 웰(20)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제 2 연결부재(22)가 제 1 연결부재(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웰(10)의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 2 웰(20)의 직경은 제 1 웰(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웰(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웰(20)의 높이는 제 1 웰(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웰(10)에 수용된 제 1 시료(14)에 제 2 웰(20)이 잠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의 복수개의 제 2 웰(20)은 양측이 개방되도록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측으로는 후술하는 파열부(3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측 개구를 통해 파열부재(36) 및 회전축부재(32)가 제 2 웰(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측 개구를 통해 제 2 시료(24)가 주입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웰(20)의 하부측 개구에는 비투과성의 분리막(28)이 형성될 수 있다. 비투과성의 분리막이므로 물리적 파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제 2 웰(20)에 수용된 제 2 시료(24)는 하부측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시료(14)가 수용된 제 1 웰(10)의 상부측에는 분리막(28)에 의해 격리 수용되도록 제 2 시료(24)가 제 2 웰(2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열부(30)는 제 2 웰(20)에 형성된 비투과성의 분리막(28)을 파열하는 파열부재(36), 파열부재(36)의 일측으로 제 2 웰(20)의 외부로 연장되고, 제 1 웰(10) 및 제 2 웰(2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축부재(32), 회전축부재(32) 상에 형성된 혼합부재(34) 및 탄성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파열부재(3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32)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 2 웰(20)의 상부측 개구를 통해 제 2 웰(20)로 이동될 수 있다.
파열부재(36)는 회전축부재(32)가 제 2 웰(20)의 내부에서 하부측으로 이동하면, 제 2 웰(20)의 하부측 개구에 형성된 비투과성 분리막(28) 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막(28)을 파열시킬 수 있다.
이 때, 파열부재(36)는 제 2 웰(20)에 형성된 분리막(28)을 파열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철재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나, 제 2 시료(24)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면, 녹이 슬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파열부재(36)는 제 2 웰(20) 내부에 배치되되, 제 2 시료(24)에 잠기지 않도록 제 2 시료(2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32)는 파열부재(36)의 일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32)는 제 2 웰(2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2 웰(20)의 외측에 위치된 구동부(50)에 의해 가압력이 가해져 의해 파열부재(36)와 함께 제 2 웰(20)의 분리막(28)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부재(32)의 일단부는 파열부재(36)와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회전축부재(32)가 파열부재(36)와 나사 결합될 경우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회전축부재(32)가 파열부재(3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열부(30)는 혼합부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된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혼합부재(34)를 이용하여 물리적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재(34)는 회전축부재(32)에 형성되되, 파열부재(3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혼합부재(34)와 파열부재(36)간의 소정 간격은 혼합부재(34)가 제 1 웰(10)에 수용된 혼합물에 충분히 잠길 수 있는 간격일 수 있다.
이로써, 회전축부재(32)의 단부측에 형성된 파열부재(36)가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웰(20)의 분리막(28)을 파열하는 경우,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는 제 1 웰(10)에서 혼합되고, 혼합부재(34)는 제 1 웰에 수용된 혼합물에 잠길 수 있다. 이 후 회전축부재(32)가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측으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혼합물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즉, 혼합부재(34)는 제 1 웰(10)에 수용된 혼합물을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휘저어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혼합부재(34)는 회전축부재(32)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혼합부재(34)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혼합물의 혼합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없고,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제 2 웰(20) 내부를 원활히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혼합부재(34)는 제 1 웰(10) 및 제 2 웰(20) 내부에서 원활히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혼합물의 혼합을 촉진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혼합부재(34)는 회전축부재(32)의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열부(30)는 회전축부재(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8)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이 가이드부재(44)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플레이트(48)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막(28)을 파열시키고 제 1 시료에 잠긴 파열부재(36) 및 회전축부재(32)가 다시 상부측으로 복귀될 수 있고, 구동부(50)는 복귀된 회전축부재(32)를 다시 가압하여 반복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파열부재(36)는 제 1 웰(10) 및 제 2 웰(20)을 통해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파열부재(36)의 회전을 가이딩하는 가이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40)는 내부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하우징(42) 및 회전축부재(32)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하우징(42)은 외부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내부가 원통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를 기준으로 상부측 개구(45)를 통해 파열부재(36) 및 회전축부재(3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측 개구(47)는 제 2 웰(20)과 연통되도록 정렬되어, 가이드 하우징(42)을 통해 삽입된 파열부재(36) 및 회전축부재(3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웰(20)을 거쳐 제 1 웰(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부재(32)의 타단부에 가이드부재(4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는 회전축부재(32)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44)의 외측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4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돌기(46)는 두 개 형성되며 각 돌기는 180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홈(4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6)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함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하우징(42)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3)은 가이드돌기(46)가 삽입되어 가이드 하우징(42)의 상부측 개구(45)로부터 하부측 개구(47)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된 것이다.
이 때, 가이드홈(43)의 상부측 단부(43a)는 가이드 하우징(42)의 상부측 개구(4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부재(36) 및 회전축부재(32)가 가이드 하우징(42)에 삽입될 때,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돌기(46)가 가이드홈(43)의 상부측 개구(45)를 통해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가이드홈(43)의 하부측 단부(43b)는 가이드 하우징(42)의 하부측 개구(47)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압축되는 탄성부재(38)에 의해 가이드부재(44)가 가이드 하우징(42)의 하부측 개구(47)까지 이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 가이드홈(43)은 가이드 하우징(4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은 회전축부재(32)가 하부측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홈(43)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홈(43)의 상부측 단부(43a)로부터 하부측 단부(43b)는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회전축부재(32)가 회전되는 각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지 180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회전축부재(32)가 회전되는 각도가 큰 경우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혼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 하우징(42)의 길이 방향 길이를 고려할 때, 회전축부재(32)의 회전 각도를 크게 결정하는 경우, 회전축부재(32)의 하부측 이동에 의해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회전축부재(32)의 회전 각도는 가이드홈(43)의 상부측 단부(43a)와 하부측 단부간(43b)의 수직 거리와 상부측 단부(43a)와 하부측 단부(43b)간의 이격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만약, 가이드홈(43)의 상부측 단부(43a)와 하부측 단부(43b)간의 수직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라면, 상부측 단부(43a)와 하부측 단부(43b)의 이격 각도 역시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부재(32)의 회전 가능 각도는 하부측 가압력이 인가될 때, 가이드홈(43)을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정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축부재(32)의 회전 가능 각도를 증가시켜 더 신속한 혼합이 가능하다.
다만, 가이드홈(43)의 양 단부간 수직 거리는 가이드 하우징(42)의 높이와 연관되므로 가이드 하우징(42) 물리적 한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지지플레이트(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플레이트(48)는 가이드 하우징(42)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8) 상에는 가이드 하우징(42)과 제 2 웰(20)이 연통되도록 지지홀(49)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홀(49)은 회전축부재(32)의 상하 방향 이동과 회전이 지지되도록, 회전축부재(32)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8)가 압축될 때, 탄성부재는 상부측이 가이드부재(44)에 지지되고, 하부측이 지지플레이트(4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제 1 및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100, 200), 파열부(30) 및 가이드부(40)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5 및 도 6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들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제 1 웰(10), 제 2 웰(20), 가이드부(40) 및 파열부(30) 중 서로 대응되는 어느 하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웰(10)에는 제 1 시료(14)가 수용되고, 제 2 웰(20)은 제 1 시료(14)에 잠기지 않는 정도로 제 1 웰(10)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웰(10)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제 1 웰(10) 상호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12)에 의해 제 2 웰(2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 2 연결부재(22)가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웰(20)의 하부측 개구에는 비투과성의 분리막(28)이 형성되어, 제 2 시료(24)가 제 1 시료(14)와 격리되어, 제 2 웰(20)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웰(20)의 제 2 연결부재(22) 상부측에는 지지플레이트(48)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8)에는 회전축부재(32)의 이동 및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홀(49)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8) 상부측에 가이드 하우징(42)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하우징(42)으로부터 지지홀(49)을 통해 제 2 웰(20)까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42) 내측면에는 가이드홈(43)이 형성되며, 가이드홈(43)에는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돌기(46)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44)와 지지플레이트(48) 상에는 회전축부재(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8)가 배치되고, 압축된 탄성부재(38)는 가이드부재(44)를 상부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축부재(32)를 원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회전축부재(32)는 일단부에 파열부재(36)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가이드 하우징(42)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일단부의 파열부재(3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혼합부재(34)가 형성될 수 있고, 파열부재(36) 및 혼합부재(34)는 지지플레이트(48)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제 2 웰(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50)는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선형 구동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구동기에 회전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기 어셈블리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질 수 있다. 모터 등의 전기식 구동기로 제한되지 않으며,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부(50)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 및 파열부(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50)는 제 1 및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100, 200)의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이란 도 1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하며, 종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C1은 횡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 제 1 열을 의미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의 출력단에는 충격편(5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충격편(52)은 회전축부재(32)의 단부에 충격을 가하여 회전축부재(32)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충격편(52)에 의해 회전축부재(32)가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지지플레이트(48)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38)가 회전축부재(32)를 다시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원위치로 복귀된 회전축부재(32)를 하부측으로 다시 가압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회전축부재(32)의 일단부에 결합된 파열부재(36)는 제 1 웰(10)의 혼합물에 추가적인 외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시료(14)와 제 2 시료(24)의 혼합이 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이동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60)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 파열부(30) 및 가이드부(40)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100, 200)의 일측에 구동부(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부(60)는 제 1 및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100, 200)를 구동부(5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제 1 열(C1)에는 8개의 웰과 8개의 파열부(30)가 형성되고, 파열부(30) 상부측에 구동부(50)의 충격편(52)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50)의 충격편(52)이 회전축부재(32)를 가압하여, 제 2 웰(20)의 분리막(28)을 파열시켜 제 1 열(C1)의 제 1 시료(14)와 제 2 시료(24)를 혼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1 열(C1)의 모든 분리막(28)이 파열된 경우, 이동부(60)는 제 2 열(C2)이 구동부(50)의 충격편(52) 하부측으로 배치되도록, 멀티 웰 플레이트 및 파열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가 혼합되어 반응이 일어났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열(C1)의 반응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는 제 2 열(C2)의 파열부(30)가 충격편(52) 하부측에 배치되도록 이동부(60)가 멀티 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32)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44)는 가이드 하우징(42) 내측면의 가이드홈(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38)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부재(44)와 지지플레이트(4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웰(20)의 제 2 시료(24)는 분리막(28)에 의해 제 1 시료(14)와 격리 수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의 충격편(52)이 회전축부재(32)를 하부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회전축부재(32)에 형성된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돌기(46)는 가이드홈(43)을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홈(43)은 가이드 하우징(42)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므로 가이드부재(44)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축부재(32) 및 파열부재(36) 역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하강될 수 있으며, 파열부재(36)가 제 1 웰(10) 측으로 하강되면서 파열부재(36)의 단부는 제 2 웰(20)의 분리막(28)을 파열시킬 수 있다. 이후 제 1 웰(10)에는 제 1 시료(14)와 제 2 시료(24)가 혼합되며, 이후 회전축부재(32) 및 파열부재(36)는 제 1 웰(10)의 내부에서 더 회전될 수 있다.
제 1 웰(10) 내부에서 회전하는 파열부재(36)에 의해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혼합 및 반응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또한, 혼합부재(34)는 회전축부재(32)의 하강에 따라 제 1 웰(10) 내부의 혼합물을 가압하여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혼합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이후, 회전축부재(32)의 하강에 따라 가이드부재(44)와 지지플레이트(48)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된 탄성부재(38)가 가이드부재(44)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파열부재(36)는 회전축부재(32)가 다시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부재(32)가 하부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된 각도만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32) 및 파열부재(36)가 회전하며 상승함에 따라, 제 1 시료(14) 및 제 2 시료(24)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50)가 원위치로 복귀한 회전축부재(32)를 다시 가압하게 되면, 파열부재(36) 및 혼합부재(34)는 제 2 웰(20)의 파열된 분리막(28)을 지나 제 1 웰(10)에 수용된 혼합물에 회전 및 가압력을 제공하여 혼합물의 혼합 및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의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웰(10)이 표시되는데 C1을 제 1 열, C2를 제 2 열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여기서 열(column)이란,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의 횡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웰(10)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웰(10)에 대응되는 제 2 웰(20)과 제 2 웰(20)의 상부측에 각각 배치되는 파열부(30) 및 가이드부(40)를 함께 지칭하는 것이다.
도 7의 제 1 열(C1)은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의 종방향 첫번째 열과 이에 대응되는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의 첫번째 열 그리고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의 첫번째 열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파열부(30) 및 가이드부(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200) 및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의 제 1 열(C1)을 이루는 제 2 웰(20)의 모든 분리막(28)이 파열된 경우, 제어부는 이동부(60)를 제어하여, 제 2 열(C2)이 구동부(50)의 충격편(52) 하부측으로 배치되도록 멀티 웰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100),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200), 파열부(30), 지지부(70), 구동부(50), 이동부(6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구동부, 이동부 및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는 파열부재(36)가 회전함이 없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제 2 웰(20)의 분리막(28)을 파열시키는 것으로, 일단에 파열부재(36)가 결합되는 지지봉부재(72)와 지지봉부재(72)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지지부(70) 및 지지봉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부(70)는 제 1 지지판(73a) 및 제 2 지지판(7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웰(10, 20)의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지지판(73a)은 제 1 및 제 2 웰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제 2 지지판(73)은 제 1 지지판(73b)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지지판(73a, 73b)은 두 개의 판이 평행하게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지지판(723a, 73b)에는 지지봉 부재(72)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판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두 개의 관통홀(71)이 형성되고 이에 삽입되는 지지봉 부재(72)는 측면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 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두 개의 지지판(73a, 73b)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지지봉 부재(7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74)가 추가 될 수 있다.
탄성 부재(74)는 지지봉 부재(72)가 제 2 웰(20)의 분리막을 파열할 때 압축되고 파열 후 평형위치로 복귀할 때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장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의 일단은 지지봉 부재(72)의 외부측 연장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1 및 제 2 지지판(73a, 73b) 중 하부에 위치한 제 1 지지판(73a)에 결합 될 수 있다.
지지봉 부재(72)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봉 부재(72)의 상부에는 누름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50)는 지지봉 부재(72)의 누름부(75)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구동부(50)의 가압에 따라 지지봉 부재(72)와 단부에 형성된 파열부재(36)가 하부측으로 이동하고, 제 2 웰(20)의 분리막(28)을 파열시킬 수 있다.
분리막(28)이 파열되면, 제 1 웰(10)에 제 2 시료가 주입되어 제 1 시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봉 부재(72)에 형성된 탄성부재(74)가 압축되고, 탄성력을 제공하여 다시 지지봉 부재(72)를 상부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구동부(50)는 원위치로 복귀된 지지봉 부재(72)의 누름부(75)를 추가적으로 더 가압하여 제 1 웰(10)의 혼합물의 혼합을 반복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물질혼합장치(1)는 신속하게 다양한 시료를 혼합하여 그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수십만 종류의 시료를 이용하는 신약 개발을 위한 약물 스크리닝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높은 처리량의 고속 스크리닝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물질혼합장치 100: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200: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30: 파열부
40: 가이드부 50: 구동부

Claims (15)

  1. 제 1 시료가 수용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 1 웰을 복수개 포함하는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일측이 개방되되 타측에 비투과성 분리막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 2 시료가 수용되는 제 2 웰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웰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분리막을 파열시키는 파열부재를 포함하는 파열부;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 하 이동시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 단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가 상기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파열부는 상기 제 1 시료와 상기 제 2 시료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재에 형성된 혼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재는 상기 파열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물질혼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 2 웰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물질혼합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형성되는 물질혼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물질혼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축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이 형성되는 물질혼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물질혼합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웰 각각이 상기 제 1 웰 각각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질혼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웰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상기 제 2 웰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연결부재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물질혼합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웰은 동일 평면 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웰은 동일 평면 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물질혼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제 2 웰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열부 각각은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물질혼합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의 상기 회전축부재를 하부측으로 가압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열부재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일렬로 배열된 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물질혼합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및 상기 파열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열(column)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제 2 웰의 상기 분리막이 모두 파열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멀티 웰 플레이트, 상기 제 2 멀티 웰 플레이트 및 파열부를 이웃하는 열(column)로 이동시키는 물질혼합장치.
KR1020170037681A 2017-03-24 2017-03-24 물질 혼합 장치 KR10195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81A KR101951233B1 (ko) 2017-03-24 2017-03-24 물질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81A KR101951233B1 (ko) 2017-03-24 2017-03-24 물질 혼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16A KR20180108216A (ko) 2018-10-04
KR101951233B1 true KR101951233B1 (ko) 2019-02-22

Family

ID=6386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681A KR101951233B1 (ko) 2017-03-24 2017-03-24 물질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33A (ja) * 2005-02-25 2006-09-07 Daiya Seiyaku Kk 収容容器及び流動体取出しキャップ付き容器
JP4857292B2 (ja) * 2007-01-31 2012-01-18 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ョン 高スループットの細胞ベースアッセイ、その使用方法及びキット
WO2016116972A1 (ja) * 2015-01-19 2016-07-28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撹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33A (ja) * 2005-02-25 2006-09-07 Daiya Seiyaku Kk 収容容器及び流動体取出しキャップ付き容器
JP4857292B2 (ja) * 2007-01-31 2012-01-18 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ョン 高スループットの細胞ベースアッセイ、その使用方法及びキット
WO2016116972A1 (ja) * 2015-01-19 2016-07-28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撹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16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1371B2 (ja) 微量分析方法及び装置
Du et al. Microfluidics for cell-based high throughput screening platforms—A review
CA2446157C (en) Methods for screening substances in a microwell array
US8877141B2 (en) System for preparing arrays of biomolecules
US20050136545A1 (en) Microfluidic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based assays
CN101370589B (zh) 多井板从井侧的平面对齐
CN111033085B (zh) 用于线性和旋转地摇动容器的方法和装置
US8394645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igh throughput assay
JP4775163B2 (ja) 生物化学反応用装置及び生物化学反応方法
JP2008506113A (ja) マイクロプレートアセンブリ及びマイクロプレート遠心分離方法
KR101951233B1 (ko) 물질 혼합 장치
US20070264164A1 (en) Multi-well plate
JP2008537135A (ja) 旋回プレートを有する反応容器支持、このタイプの支持を含む分析装置、および対応する分析方法
KR101742911B1 (ko) 물질 혼합 장치
Tang et al. Expediting the method development and quality control of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for pharmaceutical analysis by using an LC/MS performance test mix
EP1778401A1 (en) Microplate with temporary seals
Srinivasan A digital microfluidic lab-on-a-chip for clinical diagnostic applications
EP3608676B1 (de) Einfüllen der probe in den pipettenspitzenbehälter zur weiteren bearbeitung
JP2009501928A (ja) 流体を解析する基板物質
JP5057227B2 (ja) 血液検査用マイクロチップ
JP2004358348A (ja) 精密構造体
EA04329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а
WO201504907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 solid phase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Samanidou et al. Novel Sorptive Sample Preparation Techniques for Separation Science
CN115754324A (zh) 一种微孔板加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