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567B1 -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567B1
KR101950567B1 KR1020170000656A KR20170000656A KR101950567B1 KR 101950567 B1 KR101950567 B1 KR 101950567B1 KR 1020170000656 A KR1020170000656 A KR 1020170000656A KR 20170000656 A KR20170000656 A KR 20170000656A KR 101950567 B1 KR101950567 B1 KR 10195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dhesive layer
liquid crystal
diffusion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981A (ko
Inventor
데쯔로 오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7008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는,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16)과,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24a)과, 프레임의 제1 면과 반대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24b)과,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 RE와, 프레임 내에서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 LG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2016년 1월 7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6-001884호 및 2016년 10월 24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6-20785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에 기초한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퍼스널 어시스턴트 디바이스(PAD), 태블릿 컴퓨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이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겹쳐서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을 조명하는 면 형상 조명 장치(백라이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백라이트 장치는 반사층, 도광판(라이트 가이드), 광학 시트, 광원으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 수지제로 직사각형 틀 형상의 프레임을 갖고 있다. 반사층, 도광판, 광학 시트는 서로 겹쳐서 적층 배치되며,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층, 도광판, 광학 시트는, 프레임에 의해 유지 및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제의 수용 케이스(백라이트 커버)에 프레임을 끼워 넣고, 또한 프레임의 중공부에, 반사층, 도광판, 광학 시트를 배치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한층 더 프레임폭 협소화 및 박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백라이트 장치의 프레임 폭, 두께 등의 치수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 가능한 한계 치수에 근접해 있어, 이러한 요청에 따르는 것이 곤란해져 있다.
또한, 프레임폭 협소화에 수반하여, 백라이트 장치의 유효 조명 에리어와 액정 표시 유효 영역의 공차도 작아지고 있다. 그로 인해, 백라이트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에 설치할 때에, 액정 표시 유효 영역이 유효 조명 에리어 밖으로 벗어나, 그 결과, 표시 품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라이트 장치는,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 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 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A-A를 따른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선B-B를 따른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프레임에 설치된 확산성 점착층의 확산성의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프레임에 설치된 확산성 점착층의 확산성의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백라이트 장치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백라이트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시트 기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시트 기재의 제1 면 및 제2 면에 확산 점착층을 각각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창(내측 구멍)을 펀칭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한쪽의 확산 점착층에 반사 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펀칭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 백라이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 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선C-C를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 설명될 것이다.
또한, 개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있어서, 발명의 주지를 유지한 적시 변경에 대해서 용이하게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함유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형태에 비해,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서 모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이미 나온 도면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 측 및 배면 측을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휴대 전화기, 노트북 타입 PC, 휴대형 게임기, 전자 사전, 텔레비전 장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내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평판 형상의 액정 표시 패널(12)(liquid crystal display panel(LCD panel))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한쪽의 평판면인 표시면(12a)에 겹쳐서 배치되고, 이 표시면 전체를 덮는 커버 패널(14)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다른 쪽의 평판면인 배면 측에 대향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백라이트 장치)(2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선A-A를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선B-B를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2)은,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제1 기판 SUB1과, 제1 기판 SUB1에 대향 배치된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제2 기판 SUB2와, 제1 기판 SUB1과 제2 기판 SUB2 사이에 설치된 액정층 LQ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기판 SUB2의 주연부는, 시일재 SE에 의해 제1 기판 SUB1에 접합되어 있다. 제2 기판 SUB2의 표면에 편광판 PL1이 부착되며,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면(12a)을 형성하고 있다. 제1 기판 SUB1의 표면(액정 표시 패널(12)의 배면)에 편광판 PL2가 부착되어 있다. 편광판 PL2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기판 SUB1의 외형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갖고, 제1 기판 SUB1의 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라는 의미는 액정 표시 패널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당해 액정 표시 패널을 시인하는 상태를 말한다.
액정 표시 패널(12)에는, 표시면(12a)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시일재 SE의 내측이 되는 영역에 표시 영역(액티브 영역) DA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은 해당 표시 영역 DA에 표시된다. 또한, 이 표시 영역 DA의 주위에, 프레임 영역(비표시 영역) ED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영역은 직사각 형상이고, 프레임 영역은 직사각형 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12)은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의 광을 표시 영역 DA에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이다. 액정 표시 패널(12)은 다양한 표시 모드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로 기판 주면에 대략 평행한 전계를 이용하는 횡전계 모드에 대응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주로 기판 주면에 대략 수직인 전계를 이용하는 종전계 모드에 대응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기판 SUB1의 짧은 변 측의 단부에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22)이 접합되고, 액정 표시 패널(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FPC(22)에는 액정 표시 패널(12)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원으로서, 구동 IC 칩(21) 등의 반도체 소자가 실장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패널(14)은, 예를 들어 유리판 또는 아크릴계의 투명 수지 등에 의해,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패널(14)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치수(폭, 길이)보다 큰 폭 및 길이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커버 패널(14)은 평면에서 볼 때 액정 표시 패널(12)보다 큰 면적을 갖고 있다. 커버 패널(14)의 배면(액정 표시 패널(12) 측의 면, 또는 관찰자에 대향하는 면과 반대 측이 되는 면)의 주연부에는, 틀 형상의 차광층 RS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패널(14)에 있어서, 표시 영역 DA와 대향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은 차광층 RS에 의해 차광된다. 또한, 차광층 RS는 커버 패널(14)의 상면(표시면)에 형성해도 된다.
커버 패널(14)의 배면(이면)은, 광 투과성을 갖거나, 또는 투명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 예를 들어 광학용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AD에 의해, 편광판 PL1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패널(14)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면(12a)을 전체면에 걸쳐서 덮는다. 또한, 점착 시트 AD는 편광판 PL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편광판 PL1에 정렬해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점착 시트 AD 대신에 점착제를 편광판 PL1 및 그 주연에 도포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커버 패널(14)의 주연부(periphery)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외주연(periphery)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 패널(14)의 긴 변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긴 변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with a prescribed gap)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커버 패널(14)의 짧은 변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짧은 변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패널(14)의 긴 변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긴 변의 간격, 즉 커버 패널(14)의 긴 변 측 주연부의 폭은, 커버 패널(14)의 짧은 변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짧은 변의 간격, 즉 커버 패널의 짧은 변 측 주연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은, 코너부를 라운드시킨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코너부를 라운드시킬 필요는 없고, 1개 또는 2개의 코너부만을 라운드시키는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커버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의 어느 하나의 코너부만을 라운드시키는 구성, 모든 코너부를 라운드시키는 구성의 양쪽을 채용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배면에 부착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16)과, 이 프레임(16)의 배면에 부착된 반사 시트 RE와, 프레임(16) 내에 배치된 복수의 광학 부재와, 광학 부재에 입사하는 광을 공급하는 광원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6)은, 두께 T1이 0.40㎜(400㎛) 이하, 예를 들어 0.10 내지 0.25㎜(100 내지 255㎛)의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6)의 외형은, 평면에서 볼 때, 액정 표시 패널(12)의 외형보다 약간 크고, 또한 커버 패널(14)의 외형보다 작다. 시트재로서는, 광 투과성을 갖거나, 또는 투명한 수지 시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하는 수지 시트재란, 두께를 100 내지 300㎛ 정도로 하는 시트, 두께를 100㎛보다 얇게 한 필름, 박막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6)은 수지 시트재를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소정의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프레임(16)은,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균일한 두께 T1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Z 방향)의 요철이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6)의 두께(시트재의 두께) T1은, 0.188㎜(188㎛) 또는 0.25㎜(250㎛)로 하고 있다. 프레임(16)은 제1 면 SF1과 제2 면 SF2를 갖고 있다. 제2 면 SF2는 액정 표시 패널(12)에 마주 대하는(facing) 상면이며, 제1 면 SF1은, 제2 면 SF2와는 반대 측(opposed to)의 하면이다.
프레임(16)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긴 변부(longwise bar)(16a, 16b)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변부(sidelong bar)(16c, 16d)를 갖고 있다. 각 긴 변부(16a, 16b)의 폭 W1은, 0.6㎜(600㎛) 이하, 예를 들어 0.4 내지 0.5㎜(400 내지 500㎛)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짧은 변부(16c)의 폭 W2는, 폭 W1과 마찬가지로 0.6㎜(600㎛) 이하, 예를 들어 0.4 내지 0.5㎜(400 내지 50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짧은 변부(16d)의 W3은, 폭 W2와 마찬가지인 0.6㎜(600㎛) 이하, 예를 들어 0.4 내지 0.5㎜(400 내지 50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짧은 변부(16d)의 폭 W3은, W2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당해 다른 쪽의 짧은 변부(16d)의 내측연부 측에 복수의 오목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한쪽의 짧은 변부를 상변부(upside bar), 다른 쪽의 짧은 변부를 하변부(downside bar)라 칭하기도 한다. 또한, 한 쌍의 긴 변부를 좌우변부(right-and-left bars)라 칭하기도 한다. 또한, 좌우변부와 상변부를 합해서 하변부를 제외한 세(3) 변부라 칭하기도 한다.
프레임(16)의 하면(제1 면) SF1 위에 제1 확산 점착층(2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6)의 상면(제2 면) SF2 위에 제2 확산 점착층(2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은, 각각 투명한 점착제(binder)에 이 점착제와 굴절률이 다른 다수의 미소 비즈 B를 이겨서 속에 넣은 광 확산성을 갖는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비닐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점착제, UV 경화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소 비즈 B로서는, 광 투과성의 중공 실리카 입자, 유리 입자, 또는 합성 수지제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소 비즈를 형성하는 투명한 재료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펜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및/또는 아크릴레이트계의 단량체 등을 포함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의 전자 방사선으로 경화시킨 수지 등으로 투명성이 좋은 것이 사용된다. 또, 수지 이외에도, 투명하다면 유리, 세라믹스 등이어도 좋다. 확산 점착층의 광 확산성은, 미소 비즈 B의 함유량, 미소 비즈 B의 굴절률 등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확산 점착층(24a)의 광 확산성 da는,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광 확산성 db보다 크다. 여기서 광 확산성 db는, 긴 변부(16a, 16b) 및 짧은 변부(16c)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확산 점착층(24b) 전체의 광 확산성이며, 당해 부분의 제2 확산 점착층(24b)이 몇층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는 문제시하지 않는다.
제1 확산 점착층(24a)의 두께 T2는, 예를 들어 0.01 내지 0.06㎜(10 내지 60㎛)로 형성되고, 긴 변부(16a, 16b) 및 상변부(16c)에 있어서의 제2 확산 점착층(24b)의 두께 T3은, 0.01 내지 0.06㎜(10 내지 60㎛)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6),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두께의 합계는, 예를 들어 최대 두께가 되는 긴 변부(16a, 16b) 및 상변부(16c) 측에서 0.32 내지 0.52㎜(320 내지 520㎛)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긴 변부(16a, 16b)에 있어서,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각각은, 긴 변부(16a, 16b)의 폭 W1과 동일한 폭을 갖고, 적어도 프레임(16)의 외측면(external surface)과 제1 확산 점착층(24a)의 외측면(external surface)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외측면(external surface)이 일치된다(즉, 면간에 단차가 없이 평평한 상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확산 점착층(24a)의 내측면(internal surface) 측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내측면(internal surface) 측도 프레임(16)의 내측면(internal surface)과 일치된다. 또는, 프레임(16)의 긴 변부(16a, 16b) 사이에서 본 경우, 긴 변부(16a, 16b) 사이의 내형 치수(internal dimension)와 각각의 긴 변부(16a, 16b)에 설치된 제1 확산 점착층(24a) 사이의 내형 치수(internal dimension) 및 제2 확산 점착층(24b) 사이의 내형 치수(internal dimension)는 같다. 마찬가지로, 긴 변부(16a, 16b) 사이의 외형 치수와 각각의 긴 변부(16a, 16b)에 설치된 제1 확산 점착층(24a) 사이의 외형 치수(external dimension) 및 제2 확산 점착층(24b) 사이의 외형 치수(external dimension)는 같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6)의 짧은 변부(16c, 16d)에 있어서도,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각각은, 짧은 변부(16c, 16d)의 폭 W2, W3과 동일한 폭을 갖고, 프레임(16)과 제1 확산 점착층(24a)의 외측면끼리, 내측면끼리는 각각 일치되게 되어 있다. 프레임(16)과 제2 확산 점착층(24b)의 외측면끼리, 내측면끼리는 각각 일치되게 되어 있다. 또는, 프레임(16)의 짧은 변부(16c, 16d) 사이에서 본 경우, 짧은 변부(16c, 16d) 사이의 내형 치수와 각각의 짧은 변부(16c, 16d)에 설치된 제1 확산 점착층(24a) 사이의 내형 치수 및 제2 확산 점착층(24b) 사이의 내형 치수는 같다. 마찬가지로, 짧은 변부(16c, 16d)의 외형 치수와 각각의 짧은 변부(16c, 16d)에 설치된 제1 확산 점착층(24a) 사이의 외형 치수 및 제2 확산 점착층(24b) 사이의 외형 치수는 같다.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성을 갖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각 점착제층의 두께는, 각 기재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변부를 제외한 세 변부(16a, 16b, 16c) 위의 제2 확산 점착층(24b)은, 하변부(16d) 위의 제2 확산 점착층(24b)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약 2배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세 변부(16a, 16b, 16c) 위의 제2 확산 점착층(24b)은, 하변부(16d) 위의 제2 확산 점착층(24b)과 동일 두께의 점착층을 2층 적층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하변부(16d) 위의 제2 확산 점착층(24b)을 긴 변부(16a, 16b) 위의 제2 확산 점착층(24b)보다 얇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광원 유닛(30)의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6a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확산 점착층(24a) 중, 상변부(16c)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광 확산성이, 좌우변부(16a, 16b) 상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광 확산성보다 낮아지도록, 미소 비즈 B의 함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확산 점착층(24b) 중, 상변부(16c)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확산성이, 좌우변부(16a, 16b) 상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확산성보다 낮아지도록, 미소 비즈 B의 함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또는, 도 6b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변부(16a, 16b)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확산 점착층(24a)의 광 확산성이, 하변부(16d)로부터 상변부(16c)를 향해서 서서히 높아지도록, 미소 비즈 B의 함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좌우변부(16a, 16b)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광 확산성이, 하변부(16d)로부터 상변부(16c)를 향해서 서서히 높아지도록, 미소 비즈의 함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구성과 도 6b에 나타내는 구성을 조합한 구성, 즉 상변부(16c)의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광 확산성을 좌우변부(16a, 16b)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어서의 광 확산성보다 낮아지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좌우변부(16a, 16b)의 가장 광원에서 가까운 위치에서의 광 확산성보다 상변부(16c)에서의 광 확산성을 낮게 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또는, 좌우변부(16a, 16b)의 가장 광원에 먼 위치에서의 광 확산성보다 상변부(16c)의 광 확산성을 낮게 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나아가, 좌우변부(16a, 16b)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광 확산성과 상변부(16c)의 광 확산성을 같게 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또한, 도 6a, 도 6b에서는, 각 확산 점착층에 있어서의 광 확산성의 차이를 미소 비즈 B의 수에 따라 나타내고 있지만, 광 확산성을 다르게 하기 위해 미소 비즈 B의 입경이나 입경 분포를 변경시키거나, 굴절률·투과율 등이 다른 재료를 채용하는 등, 광 확산성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은 적절히 채용된다.
또한, 반사 시트 RE와 대향하게 되는 프레임(16)의 이면에 백색 도트 인쇄 등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프레임(16)의 투광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당해 백색 도트 인쇄의 도트의 밀도를 광원 유닛(30)에 가까운 쪽부터 먼 쪽을 향해서 서서히 성김으로부터 조밀하게 변화시킴으로써, 프레임(16)에 광원 유닛(3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투광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시트 RE는, 제1 확산 점착층(24a)에 의해 프레임(16)의 하면 SF1에 부착되어, 프레임(16)의 하면 측을 덮고 있다. 반사 시트 RE는, 막 두께가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반사율이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반사 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반사 시트 RE는 프레임(16)의 긴 변부(16a, 16b) 사이의 간격에서 본 경우 및 프레임(16)의 짧은 변부(16c, 16d) 사이의 간격에서 본 경우의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프레임(16)의 외형 치수와 같은 크기를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시트 RE의 외측면이 프레임(16)의 외측면과 일치되도록 나란히 되어 있어, 어느 한쪽이 어느 다른 쪽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프레임(16) 내에 수용되는 광학 부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도광판 LG 및 도광판 LG 위에 겹쳐서 배치된 광학 시트 OS를 갖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은 광원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 유닛(30)은 도광판 LG의 일측면(입사면) EF를 따라 설치되며 당해 도광판 LG를 향해서 광을 출사한다.
도광판 LG는 투광성을 갖는 극박의 수지 시트를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광판 LG는 출사면이 되는 제1 주면 S1과, 이 제1 주면 S1의 반대 측의 제2 주면 S2와, 제1 주면 S1과 제2 주면 S2를 연결하는 입사면 EF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판 LG의 짧은 변 측의 일측면을 입사면 EF로 하고 있다. 도광판 LG는 평면에서 볼 때, 프레임(16)의 내형 치수(internal dimensions)보다 약간 작게, 또한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 영역 DA보다 약간 큰 외형을 갖고 있다. 도광판 LG의 판 두께는, 광원 유닛(30)에 대향하는 일측면(입사면) 측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당해 일측면과 정반대 측이 되는 타측면 측의 두께가 가장 얇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판 LG의 두께로서 당해 타측면의 두께를 예를 들어, 0.2 내지 0.5㎜(200 내지 500㎛) 정도로 한 것이 채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16)의 두께 T1은, 도광판 LG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광판 LG의 판 두께와 광학 시트 OS류의 두께의 합계가, 프레임(16)의 두께 T1과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의 두께 T2, T3의 합계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즉, 도광판 LG 및 광학 시트 OS의 두께의 합계는, 예를 들어 0.36 내지 0.52㎜(360 내지 52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 두께가 0.2㎜(200㎛) 이하의 극박의 도광판 LG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광판 LG는 제2 주면 S2가 반사 시트 RE에 대향한 상태에서, 반사 시트 RE에 겹쳐서 적재되어 있다. 도광판 LG의 입사면 EF는 프레임(16)의 짧은 변부(16d)와 대향하고 있다. 도광판 LG의 다른 측면은, 각각 0.05 내지 0.2㎜(50 내지 200㎛) 정도의 약간의 간극을 두고 프레임(16)의 짧은 변부(16c), 긴 변부(16a, 16b)에 대향하고 있다.
광학 시트 OS는 광 투과성을 갖고, 도광판 LG의 제1 주면 S1에 겹쳐서 적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시트 OS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확산 시트 OS1 및 프리즘 시트 OS2를 사용하고 있다. 확산 시트 OS1과 프리즘 시트 OS2는, 도광판 LG의 제1 주면 S1 위에 이 순서대로 겹쳐서 적재되어 있다. 각 광학 시트 OS는, 평면에서 볼 때, 도광판 LG의 폭과 동일한 폭 및 도광판 LG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광학 시트 OS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 영역 DA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광학 시트 OS의 광원 측의 측연부를 제외한, 적어도 3개의 측연부는, 소정의 간극(0.1 내지 0.5㎜)을 두고(with a predetermined gap), 프레임(16)과 직접적으로 대향하고 있다(facing directly). 그리고, 광학 시트 OS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배면과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시트 OS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 영역 DA 전체에 대향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30)은,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32)과, 이 FPC(32) 위에 실장된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으로서, 예를 들어 점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ED)(34)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복수의 LED(34)의 각각은, 출사면(34a)과 출사면(34a)에 수직인 실장면(34b)을 갖고 있다. 복수의 LED(34)는 FPC(32)의 길이 방향(프레임(16)의 짧은 변부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각 LED(34)는, 실장면(34b)을 FPC(32)에 대향한 상태에서 실장되어 있다. 또한, FPC(32)는 일 측연부로부터 연장된 접속 단부(32a)를 갖고 있다(도 3 참조).
FPC(32)의 한쪽의 긴 변부는, 제2 확산 점착층(24b)에 의해 짧은 변부(16d)에 중첩되고, 다른 쪽의 긴 변부는, 도광판 LG의 입사면 EF 측의 단부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LED(34)는 프레임(16)의 짧은 변부(16d)와 도광판 LG의 입사면 EF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LED(34)의 출사면(34a)은 입사면 EF에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LED(34)는 짧은 변부(16d)의 오목부(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LED(34)는, 높이(두께) Lh가 예를 들어, 0.4㎜(4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00㎛) 이하이다.
또한, 광원으로서는, 선광원으로서의 형광관이나 음극선관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는, 광원으로서, 유기 EL을 포함하는 광원을 매우 치밀하게 배치한 선 광원이나 면 광원을 채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접착제층,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37)가, 광학 시트 OS2의 광원 측의 단부(end)와, FPC(32)의 광학 시트 측의 단부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광원 측에서는, 최하부의 광학 시트 OS1의 단부는, 광학 시트 OS2의 단부보다 광원 측으로 연장되고, 양면 테이프(37)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시트 OS1, OS2는 양면 테이프(37)에 의해, FPC(32)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제3 접착제층,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36)가 FPC(32) 위 및 광학 시트 OS의 단부 위에 겹쳐서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배면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제2 확산 점착층(24b) 및 양면 테이프(36)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12)의 편광판 PL2에 설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16)의 좌우 긴 변부(16a, 16b)는, 제2 확산 점착층(24b)에 의해, 편광판 PL2의 긴 변 측 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변부(16a, 16b)는, 편광판 PL2의 긴 변을 따른 상태가 된다. 프레임(16)의 상변부(16c)는 제2 확산 점착층(24b)에 의해, 편광판 PL2의 짧은 변 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변부(16c)는, 편광판 PL2의 짧은 변을 따른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이들 세 변부(three bars)(16a, 16b, 16c)는 평면에서 볼 때, 액정 표시 패널(12)의 프레임 영역 ED와 겹쳐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세 변부(three bars)(16a, 16b, 16c)는 편광판 PL2의 측면과 일치되도록 나란히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 측을 제외한 프레임(16)의 3변에 있어서, 편광판의 단부를 액정 표시 패널의 단부와 면이 일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나, 액정 표시 패널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 부여하는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프레임(16)의 하변부(16d)에 설치된 FPC(32)는, 양면 테이프(36)에 의해, 편광판 PL2가 아니고, 액정 표시 패널(12)의 제1 절연 기판 SUB1의 이면 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변부(16d) 및 광원 유닛(30)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프레임 영역 ED 및 커버 패널(14)의 차광층 RS와 겹쳐서 위치하고 있다.
FPC(32)는 접속 단부(32a)를 개재해서 FPC(22)에 접속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FPC(22) 및 FPC(32)를 통해서 LED(34)에 구동 전류가 통전된다. LED(34)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 LG의 입사면 EF로부터 도광판 LG 내로 입사하여, 도광판 LG 내를 전파한다. 이 광은 일단, 제2 주면 S2로부터 출사된 후, 반사 시트 RE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도광판 LG 내로 입사한다. 이러한 광로를 통과한 후, LED(34)로부터의 광은 제1 주면(출사면) S1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12) 측으로 출사된다. 출사된 광은, 광학 시트 OS에 의해 확산된 후,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 영역 DA에 조사된다.
또한, 도광판 LG의 입사면 EF 이외의 측면으로부터 누출된 광은, 프레임(16)의 좌우변부(16a, 16b) 및 상변부(16c)로 입사하고, 프레임(16) 내를 전파한다. 또한, 이 광은 프레임(16)의 하면 SF1로부터 제1 확산 점착층(24a)으로 출사된 뒤 반사 시트 RE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프레임(16) 내로 입사한다. 이러한 광로를 통과한 후, 다시 프레임(16)으로 입사한 광은, 제2 확산 점착층(24b)으로 확산되고, 이 제2 확산 점착층(24b)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12) 측으로 출사되어, 액정 표시 패널(12)의 주연부에 조사된다. 이 주연부란, 프레임 영역, 프레임 영역과 표시 영역의 경계 및 그 주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16), 제1 및 제2 확산 점착층(24a, 24b)은 도광판 LG의 주변에 누출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12) 측으로 도광하는 보조적인 광원부로서 기능한다.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광판 LG의 제1 주면 S1의 전체면 및 도광판 LG의 주위에 위치하는 프레임(16)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12)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면(12a)을 비스듬하게 해서 육안으로 본 경우에도, 표시 영역 DA의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보다 협소한 프레임의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광원 유닛(30)에 인접하는 변부 이외의 다른 세 변부에서는, 실질적으로 프레임(16)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의 외형까지 유효 조명 영역으로 할 수 있어, 더 협소한 프레임의 액정 표시 장치(1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6)은 수지 시트재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한 수지 몰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프레임(16)을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백라이트 장치)(2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7은 제조 장치의 일례 및 전체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각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시트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장치는, 각각 긴 시트 형상의 재료를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롤 RP, RA1, RA2a, RA2b, RS1, RS2, RR, 이들 롤로부터 인출한 시트재를 반송로 CP를 따라 반송하는 한 쌍의 제1 반송 롤러(80a, 80b), 한 쌍의 제2 반송 롤러(82a, 82b), 세퍼레이터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회수 롤 RC, 반송로 CP를 이동하는 시트재를 펀칭 가공하는 제1 펀칭 가공기 P1 및 제2 펀칭 가공기 P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롤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시트재, 예를 들어 PET 시트(50)를 권회한 롤 RP, 제1 확산 점착층을 권회한 롤 RA1, 각각 제2 확산 점착층을 권회한 롤 RA2a, RA2b, 각각 세퍼레이터를 권회한 롤 RS1, RS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확산 점착층, 제2 확산 점착층으로서, 확산 점착층만, 또는 기재+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확산 점착층으로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각 롤의 폭은, 백라이트 유닛의 짧은 변 사이의 치수와 같다. 롤 RA2b만, 다른 롤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롤 RP, RA1, RA2a, RA2b, RS1, RS2로부터 인출된 시트재, 예를 들어 PET 시트(50), 제1 확산 점착층(24a), 제2 확산 점착층(24b1), 제2 확산 점착층(24b2), 세퍼레이터를, 한 쌍의 반송 롤러(80a, 80b) 사이를 통과시켜서 반송함으로써, 서로 적층 및 부착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T 시트(50)의 하면(제1 면) 전체면에 제1 확산 점착층(24a)을 부착한다. 또한, PET 시트(50)의 상면(제2 면)에 있어서, 전체면에 제2 확산 점착층(24b1)을 부착하고, 또한 그 위에 한쪽 측부를 따르는 소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제2 확산 점착층(24b2)을 부착한다. 이들 제1 확산 점착층(24a) 및 제2 확산 점착층(24b2)은 PET 시트(50)에 붙어 있는 면과는 반대 측이 되는 면이 세퍼레이터로 덮여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펀칭 가공기(금형 등) P1에 의해, 제1 확산 점착층(24a), 시트재(50), 제2 확산 점착층(24b1, 24b2) 및 세퍼레이터를 함께 펀칭하여, 프레임의 내형(내측 구멍)에 상당하는 직사각 형상의 내측 구멍(52a, 52b)을 순차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 확산 점착층(24a) 위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회수 롤 RC로 권취해서 회수한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RR로부터 인출된 반사 시트 RE를 제1 확산 점착층(24a)의 전체면에 부착한다. 이들 시트재(50), 확산 점착층, 반사 시트 RE는 한 쌍의 반송 롤러(82a, 82b) 사이를 지나서 반송로 CP를 따라 반송된다.
그 후, 도 7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펀칭 가공기(금형 등) P2에 의해, 제1 확산 점착층(24a), 시트재(50), 제2 확산 점착층(24b1, 24b2), 제2 확산 점착층(24b2) 위의 세퍼레이터, 반사 시트 RE를 함께 펀칭하여, 프레임(16), 반사 시트 RE, 각 확산 점착층(24b1, 24b2)의 외형을 일괄해서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반사 시트 RE 및 각 확산 점착층(24b1, 24b2)이 설치된 프레임(16)이 순차적으로 생산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16)에, 도광판 LG, 광학 시트 OS, 광원 유닛(30)을 장착, 고정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0)이 얻어진다. 또한, 도광판 LG, 광학 시트 OS, 광원 유닛(30)은, 미리, 확산 점착층,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로 서로 접합함으로써, 유닛화해 두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두께 0.4㎜(400㎛) 이하, 예를 들어 두께 0.15 내지 0.25㎜(150 내지 255㎛)의 얇은 시트재를 펀칭해서 백라이트의 프레임(16)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한 몰드에서는 제작이 곤란한, 얇고 또한 변부의 폭이 작은 프레임(16)이 얻어진다. 이 프레임(16)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박형이고 협소한 프레임의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6)의 두께를 0.2㎜ 이하, 변부의 폭을 0.45㎜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박형 프레임폭 협소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이 얇아짐으로써, 판 두께가 0.2㎜ 이하인 극박의 도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한층 더 박형의 백라이트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시트, 시트 위의 확산 점착층(24a, 24b) 및 반사 시트 RE를, 프레임(16)과 일괄적으로 펀칭 가공함으로써, 확산 점착층(24a, 24b)의 폭, 반사 시트 RE의 외형 치수를 프레임(16)에 고정밀도로 일치시킬 수 있다.
비교예로서, 우선 프레임을 단체로 형성하고, 그 후, 이 프레임에 확산 점착층을 나중에 부착하거나 또는 나중에 도포하는 구성을 검토한다. 비교예의 경우, 프레임의 각 변부의 폭을 현저하게 좁게 형성하면, 확산 점착층을 각 변부의 상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서, 확산 점착층이 각 변부로부터 비어져 나와 버린다. 이러한 비어져 나온 점착제는 후속 공정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장치의 다른 구성에 부착되거나 하면, 백라이트 장치의 발광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도 연결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백라이트 장치에서는, 확산 점착층(24a, 24b)의 폭을 프레임(16)의 변부의 폭에 일치시키고, 또한 확산 점착층(24a, 24b)의 측면(측연부)을 프레임(16)의 측면(측연부)과 일치되게 정렬한다. 그 결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 장치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시트(50), 확산 점착층(24a, 24b) 및 반사 시트 RE를 소위 롤 투 롤 제법에 의해 일체화시킨 후, 이들을 일괄하여 펀칭 가공한다. 이러한 제법에 의해, 제조 공정의 간략화 및 대량 생산을 실현한다. 또한, 각 부재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나아가, 이들을 따로따로 형성할 때에는 필요해지는 각 부재간의 공차가 삭감된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는, 박형화 및 프레임폭 협소화에 공헌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횡단면도,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20)의 광학 시트 OS는, 제2 확산 점착층(24b)을 개재해서 프레임(16)의 제2 면 SF2에 부착되어 있다. 광학 시트 OS는 도광판 LG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광학 시트 OS는 제2 확산 점착층(24b)을 개재해서 프레임(16)의 상면 SF2에 부착된 확산 시트 OS1과, 이 확산 시트 OS1 위에 겹쳐서 배치된 프리즘 시트 OS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프리즘 시트 OS2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편광판 PL2에 접촉하고 있고, 즉 편광판 PL2의 전체면에 면 접촉하고 있다. 또한, 편광판 PL2는 미소 비즈를 함유한 확산 점착층(40)에 의해 제2 기판 SUB2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16)의 좌우변부(16a, 16b) 및 상변부(16c)에 있어서, 프레임(16)의 외측면과 확산 시트 OS 및 프리즘 시트 OS2의 측면이 일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세 변부(16a, 16b, 16c)에 있어서, 외측면과 액정 표시 패널(12)의 편광판 PL2의 측면 및 제1 및 제2 절연 기판 SUB1, SUB2의 측면이 일치하여 나란히 되어 있다. 좌우변부(16a, 16b)의 폭 W1 및 상변부(16c)의 폭 W2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프레임 영역 ED의 폭과 각각 일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들 세 변부(16a, 16b, 16c)는, 평면에서 볼 때 액정 표시 패널(12)의 프레임 영역 ED와 겹쳐진다.
또한, 확산 시트 OS1의 요철은, 제2 확산 점착층(24b)으로 메워져서, 확산 시트 OS1과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계면에서 굴절률의 차가 적어, 계면에서의 광 확산이 저감된다. 그러나, 제2 확산 점착층(24b)의 광 확산성에 의해, 프레임(16)으로부터의 광을 광학 시트 OS를 향해서 양호하게 출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과 광학 시트 사이의 공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프레임(16)을 액정 표시 패널(12)에 대하여 보다 내측, 즉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보다 유효 표시 영역 D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가일층의 프레임폭 협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액정 표시 패널(12)의 편광판 PL2와 일체화한 경우에도, 편광판 PL2와 액정 표시 패널(12)의 제2 절연 기판 SUB2 사이의 확산 점착층(40)에 광 확산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확산 시트 OS1의 확산 기능이 줄어드는 것을 상쇄시켜서, 커버 패널(14) 측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확산 점착층(40)은 편광판 PL2보다 비어져 나오지 않는 크기로 함으로써, 불필요광이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횡단면도,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프레임(16)은, 액정 표시 패널(12)에 대하여 더 내측까지, 즉 유효 표시 영역 DA 측까지 들어가서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6)의 한 쌍의 긴 변부(16a, 16b) 및 광원 유닛(30)과 반대 측인 짧은 변부(16c)는, 액정 표시 패널(1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정 표시 패널(12)의 프레임 영역(비표시 영역) ED와 겹쳐서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적어도 일부, 여기에서는, 도광판 LG와 대향하는 내측연부가 유효 표시 영역 DA에 겹쳐서 위치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0)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프레임(16)을 사용함으로써, 이 프레임(16)을 액정 표시 패널(12)에 대하여 유효 표시 영역 DA와 겹치는 위치까지 내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가일층의 프레임폭 협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과 유효 표시 영역 DA가 겹쳐서 설치되어도 되는 점에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시, 백라이트 유닛(20)의 액정 표시 패널(12)에의 부착 어긋남을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성 또는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횡단면도,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20)의 반사 시트 RE는, 프레임(16)의 외주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 단부 REE를 갖고 있다. 이들 연장 단부 REE는 커버 패널(14) 측으로 절곡되며, 프레임(16)의 외측면 및 액정 표시 패널(12)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6)의 한 쌍의 긴 변부(16a, 16b) 및 짧은 변부(16c)에 있어서, 프레임(16)의 외측면, 제1 및 제2 확산 점착층(24a, 24b)의 외측면, 및 액정 표시 패널(12)의 외측면을 반사 시트 RE의 연장 단부 REE로 덮고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6)의 외측면, 제1 및 제2 확산 점착층(24a, 24b)의 측면, 및 광학 시트 OS의 측면으로부터 누출된 광을 반사 시트 RE의 연장 단부 REE에서 반사하여, 프레임(16) 내 및 제1, 제2 확산 점착층(24a, 24b) 내로 되돌려서, 액정 표시 패널(12) 측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20)의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0)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 형태 또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5 실시 형태)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선C-C를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매우 얇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면외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긴 변 측의 양 단부는, 하방에, 즉, 백라이트 장치(20) 측으로 만곡된 만곡부 CA를 구성하고 있다.
일례에서는, 커버 패널(14)의 긴 변 측 양 단부는, 미리 백라이트 장치(20) 측으로 만곡되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편광판 PL1, PL2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12)은, 광학용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AD에 의해 커버 패널(14)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12)의 긴 변 측의 양 단부는, 커버 패널(14)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패널(12)의 긴 변 측의 양 단부는, 커버 패널(14)의 긴 변 측의 양 단부 테두리와 일치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만곡부 CA의 만곡의 정도, 예를 들어 곡률 반경은,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백라이트 유닛(20)에 있어서, 광학 시트(확산 시트) OS1은, 도광판 LG 위에 적재되어 프레임(16)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프리즘 시트) OS2는, 광학 시트 OS1 위에 적재되고, 또한 광학 시트 OS2의 주연부는, 제2 확산 점착층(24b)을 개재해서 프레임(16)의 제2 면 SF2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시트 OS2의 치수는, 프레임(16)의 외형 치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시트 OS2의 긴 변 측의 측연부는, 프레임(16)의 긴 변부(16a, 16b)의 외측연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평탄부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광판 LG 및 광학 시트 OS1은, 액정 표시 패널(12)의 표시 영역 DA에 대향하고 있다. 광학 시트 OS2의 주연부, 즉 프레임(16)과 겹쳐 있는 부분은, 투명한 확산 점착층(40)에 의해 편광판 PL2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 표시 패널(12)에 부착되어 있다. 확산 점착층(40)은 미소 비즈를 함유하고, 광 확산성을 갖고 있다. 또한, 확산 점착층(40)은 편향판 PL2에 있어서, 프레임(16)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시일재 SE의 내측 테두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걸쳐서 편광판 PL2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 패널(14) 및 액정 표시 패널(12)의 만곡부 CA는, 프레임(16)의 긴 변 측의 양 측연부를 넘어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프레임(16)의 외측면(16f)을 덮고 있음과 함께, 이 외측면(16f)에 비스듬히 대향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또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부 CA까지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20)이 설치됨으로써, 프레임(16)의 외측면이 만곡부 CA와 대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표시 패널(12)의 긴 변 측의 양 단부를 만곡시켜서 만곡부 CA로 함으로써, 패널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액정 표시 장치의 사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12)의 양 측연부를, 프레임(16)을 넘어서 커버 패널(14)의 측연부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12)의 유효 표시 영역 DA를 영역 DA2분만큼 확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광판 LG 주위에 위치하는 프레임(16)을 액정 표시 패널(12)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보조 광원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광판 LG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 DA2에도 프레임(16)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영역 DA2를 유효 표시 영역으로서 이용하여, 화상 표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2)의 긴 변 측의 양 측연부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프레임(16)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의 외측까지 유효 조명 영역으로 할 수 있어, 한층 더 협소한 프레임의 액정 표시 장치(10)를 실현할 수 있다.
그 외에,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만곡부는 긴 변 측의 양측부에 한정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 전체를 만곡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1 변형예)
도 21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6)을 넓은 폭으로 하고, 프레임(16)의 일부를 액정 표시 패널(12)을 따라 만곡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서는, 프레임(16)의 긴 변부(16a, 16b)는, 각각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도광판 LG의 측면 근방으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12)의 시일재 SE의 내측 테두리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반사 시트 RE의 단부는, 제1 확산 점착층(24a)에 의해 프레임(16)의 하면 SF1에 부착되어, 프레임(16)의 하면 SF1을 덮고 있다. 광학 시트(프리즘 시트) OS2의 단부는, 제2 확산 점착층(24b)에 의해 프레임(16)의 상면 SF2에 부착되어, 프레임(16)의 상면 SF2를 덮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반사 시트 RE의 측면 및 광학 시트 OS2의 측면은, 프레임(16)의 외측면과 일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6) 및 광학 시트 OS2의 주연부는, 광 확산성을 갖는 확산 점착층(40)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12)의 편광판 PL2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6), 반사 시트 RE의 주연부, 광학 시트 OS2의 주연부는, 액정 표시 패널(12)을 따라 만곡되어, 액정 표시 패널(12)의 만곡부 CA 및 표시 영역 DA2에 대향하고 있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보조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프레임(16)을 만곡부 CA 및 표시 영역 DA2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표시 영역 DA2에 보다 많은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프레임(16)은 보조 광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프레임폭 협소화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표시 영역 DA2에는 보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 영역 DA보다 약간 휘도가 저하되는 것이 생각된다. 한편, 만곡부 CA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DA2는, 표시 영역 DA를 메인 윈도우로 한 경우의 서브 윈도우와 같은 보조적인 사용에 사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러한 보조적인 용도로서 표시 영역 DA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표시 영역 DA보다 휘도가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유효하게 사용된다.
(제2 변형예)
도 22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광학 시트 OS2의 주연부만 액정 표시 패널(12)의 시일재 SE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확산 점착층(40)에 의해 편광판 PL2에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16)의 긴 변부(16a, 16b), 제1 확산 점착층(24a), 제2 확산 점착층(24b) 및 반사 시트 RE의 주연부는, 광학 시트 OS2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고, 시일재 SE의 바로 앞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프레임(16)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광학 시트 OS2 및 확산 점착층(40)에 의해 확산하여, 표시 영역 DA2 전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 공헌한다.
특정 실시 형태들 및 변형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 형태들 및 변형예들은 예시만을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고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신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다양한 그 외의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더욱이,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형태 내에서 다양한 생략, 교체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형태들 또는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각 구성 및 제조 공정을 기초로 해서,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모든 구성 및 제조 공정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을 우선 커버 패널에 설치하는 것은 하지 않고,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한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한 후, 커버 패널에 수용 케이스의 플랜지와 함께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도 커버 패널에 접착하지 않고, 수용 케이스 내에서 약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백라이트 유닛에 액정 표시 패널을 고정하고, 이들 서로 고정된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패널을 수용 케이스에 수용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초래되는 다른 작용 효과에 대해서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것, 또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적절히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시트는, 2매로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증감해도 된다. 액정 표시 패널,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 부재 및 프레임의 외형상 및 내형상은,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외형 또는 내형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평면에서 볼 때 다각 형상이나 원형, 타원형 및 이들을 조합한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구성 부재의 재료는, 상술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가지 선택 가능하다.

Claims (20)

  1.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과,
    상기 제2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도광판에 대향하는 광학 시트
    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2.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확산 점착층 및 제2 확산 점착층은, 바인더와, 해당 바인더와는 굴절률이 다르며 해당 바인더 내에 분산된 미소 비즈를 포함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은, 상기 제2 확산 점착층보다 높은 광 확산성을 갖는 백라이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도광판 위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구비하고 있는 백라이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도광판에 대향하는 광학 시트를 더 구비하고 있는 백라이트 장치.
  5.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
    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투명한 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폭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의 폭이 일치하고, 적어도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의 외측면이 일치하여 나란히 되어 있는 백라이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의 측면이 상기 제1 확산 점착층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일치하여 나란히 되어 있는 백라이트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두께는, 0.4㎜ 이하인 백라이트 장치.
  8.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
    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에 인접하는 제1 변부 및 이 제1 변부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변부를 갖고,
    상기 제2 변부에 설치된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의 확산성은, 다른 변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의 확산성보다 높은 백라이트 장치.
  9.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
    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 및 상기 제1 및 제2 확산 점착층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 단부를 갖고 있는 백라이트 장치.
  10.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백라이트 장치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도광판 위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1.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 장치는, 상기 제2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접촉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2.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이 표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과 겹쳐서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에 겹쳐서 위치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3.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은, 바인더와, 해당 바인더와는 굴절률이 다르며 해당 바인더 내에 분산된 미소 비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확산 점착층은, 바인더와, 해당 바인더와는 굴절률이 다르며 해당 바인더 내에 분산된 미소 비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은, 상기 제2 확산 점착층보다 높은 광 확산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4.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투명한 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폭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의 폭이 일치하고, 적어도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의 외측면이 일치하여 나란히 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5.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대향해서 배치된 백라이트 장치로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1 확산 점착층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면과 반대 측의 제2 면에 설치되며, 광 확산성을 갖는 제2 확산 점착층과, 상기 제1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반사 시트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반사 시트 위에 적재된 도광판과, 상기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백라이트 장치 측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갖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긴 변 및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변을 갖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긴 변 측의 측연부는, 상기 백라이트 장치 측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만곡부에 대향하는 긴 변부를 갖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긴 변부는, 광학 시트 및 확산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만곡부에 부착되며, 상기 만곡부를 따라 만곡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00656A 2016-01-07 2017-01-03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1950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1884 2016-01-07
JPJP-P-2016-001884 2016-01-07
JP2016207855A JP6689727B2 (ja) 2016-01-07 2016-10-24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JP-P-2016-207855 2016-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981A KR20170082981A (ko) 2017-07-17
KR101950567B1 true KR101950567B1 (ko) 2019-02-20

Family

ID=5936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656A KR101950567B1 (ko) 2016-01-07 2017-01-03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89727B2 (ko)
KR (1) KR101950567B1 (ko)
CN (1) CN106990609B (ko)
TW (1) TWI6228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48B1 (ko) * 2017-08-01 2021-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012470B (zh) * 2018-01-02 2020-03-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的外壳及显示装置
JP2019124780A (ja) * 2018-01-15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I682203B (zh) * 2018-12-19 2020-01-11 哈帝斯科技股份有限公司 導光結構及具有該結構的發光墊
JP2023010803A (ja) * 2021-11-02 2023-01-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3300A (ja) * 2006-09-27 2008-04-10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2012064420A (ja) * 2010-09-16 2012-03-29 Casio Computer Co Ltd 光源装置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JP2013114811A (ja) * 2011-11-25 2013-06-10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7495B2 (en) * 2007-06-15 2013-10-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1063745A (ja) * 2009-09-18 2011-03-31 Sekisui Chem Co Ltd 光拡散粘着剤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CN201681236U (zh) * 2010-05-27 2010-12-22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结构
US20140146562A1 (en) * 2011-07-13 2014-05-29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477856B (zh) * 2012-03-01 2015-03-2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US9494722B2 (en) * 2012-07-27 2016-11-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KR101433705B1 (ko) * 2012-09-26 2014-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078808B1 (ko) * 2013-07-11 2020-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5363B1 (ko) * 2013-07-24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5031772A (ja) * 2013-08-01 2015-02-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20150084216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패턴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CN103744217A (zh) * 2014-01-26 2014-04-2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4501046A (zh) * 2014-12-24 2015-04-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窄边框背光模组、移动终端
CN104808390B (zh) * 2015-05-19 2018-11-2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3300A (ja) * 2006-09-27 2008-04-10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2012064420A (ja) * 2010-09-16 2012-03-29 Casio Computer Co Ltd 光源装置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JP2013114811A (ja) * 2011-11-25 2013-06-10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89727B2 (ja) 2020-04-28
CN106990609B (zh) 2020-12-15
TWI622819B (zh) 2018-05-01
JP2017126553A (ja) 2017-07-20
TW201734522A (zh) 2017-10-01
KR20170082981A (ko) 2017-07-17
CN106990609A (zh)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567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7729056B2 (en) Light-condensing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7247364B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8213762B2 (en) Lightguide plate and light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US7973880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061077B2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60072315A1 (en) White light generat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42970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040428A1 (en) Lightguide plate, planar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11036084B2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070041215A1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in and method for diminishing corner shadow area
TW201804227A (zh) 背光裝置及包括其之液晶顯示裝置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CN115176197B (zh) 光学膜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50066846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US2006001301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79231A (ko) 이물침투가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JP2017098213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製造方法
US20210215965A1 (en) Display device
WO2011152158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に備える面光源装置
JP2017130279A (ja) 筐体、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935992B2 (ja) 光学部材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7021228A (ja) 表示装置
JP2010092777A (ja) 面状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KR2015003903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