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397B1 -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397B1
KR101950397B1 KR1020180003703A KR20180003703A KR101950397B1 KR 101950397 B1 KR101950397 B1 KR 101950397B1 KR 1020180003703 A KR1020180003703 A KR 1020180003703A KR 20180003703 A KR20180003703 A KR 20180003703A KR 101950397 B1 KR101950397 B1 KR 10195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information
terminal
providing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림
진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0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 총괄자가 태스크에 대한 프로세스를 등록, 관리 및 버전업 함으로써 업무 흐름을 정형화, 간소화, 표준화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며, 자동화 설정에 따라 업무 총괄자(시스템 또는 사람)가 등록된 업무흐름에 따라 업무를 발생시켜, 업무 수행자에게 할당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업무 수행자에 의해 업무가 종료되도록 설계되어, 입력 작업은 최소화하지만, 모든 업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업무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해지며, 의사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제공되어, 업무처리기간 단축, 업무오류 발생가능성 감소, 업무처리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BY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BETWEEN USERS}
본 발명은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무가 존재하는 곳에서 일련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이루는 단위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구조와 이 구조에 기반하여 서버가 동작하여 업무 총괄자가 최초 업무를 발생시킬 때 업무 수행자에게 업무를 할당하여 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장환경은 산업간 융 복합화, 경쟁의 심화, 변화의 가속화와 같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시기이며, 기업이 성장하고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조직의 복잡성 증대, 기업 내 프로세스의 단편화, 혁신과 창의성 결핍, 규모의 비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각 기업들은 업무프로세스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업무프로세스관리란 업무프로세스를 표준화, 간소화하고, 비정형화된 업무구성을 시스템화해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경영방법을 말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07355호의 "업무 프로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이러한 업무관리시스템을 도입하면 각 기업에서의 업무 처리 기간이 단축되고 작업 오류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며 업무 처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게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10-0807355 (2008.02.19)
업무관리시스템 도입에 있어 그 비용부담이 높아 쉽게 도입하지 못하는 장벽이 있으며, 기존의 업무관리시스템의 경우 선 설계 후 업무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업무 전반에 대한 정보를 아는 전문가를 통해 설계 및 컨설팅을 통해 진행이 가능하였다. 이러하여,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에서는 필요성을 알고도 도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문가 없이 기업의 각 업무 담당자가 업무의 흐름을 등록, 적용, 문제점 발견, 버전업을 반복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표준화, 간소화가 가능하게 하고, 비정형화된 프로세스 업무를 프로젝트로 분류하고 데이터를 저장하여, 반복적 업무흐름을 발견될 때 프로세스로 등록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관리 시스템은 업무의 진행상황에 대해 단순하게 연결된 계정에서 공유 및 그룹핑하는데 그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업무 프로세스가 주어지더라도 설계나 컨설팅을 진행하는 특정 전문가의 프로세스 정보를 사용하거나 표준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형태로 진행되어 실정에 맞게 커스터 마이징하는 것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존재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은, (a)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b)상기 쿼리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이 등록된 기업 계정의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 (d)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스크 정보 내 세부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수행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업무에 대응하는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로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태스크 정보는, 상기 업무 총괄자와 상기 업무수행자와 소속이 다른 전문가 단말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된 태스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스크 정보에 대한 타 사용자 단말의 다운로드 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한 전문가 단말로 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업무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어,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쿼리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이 등록된 기업 계정의 업무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스크 정보 내 세부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수행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무에 대응하는 상기 업무 수행자의 단말로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태스크 정보는, 상기 업무 총괄자와 상기 업무 수행자와 소속이 다른 전문가 단말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된 태스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스크 정보에 대한 타 사용자 단말의 다운로드 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한 전문가 단말로 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업무 총괄자가 태스크에 대한 프로세스를 등록, 관리 및 버전업함으로써 업무 흐름을 정형화, 간소화, 표준화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며, 자동화 설정에 따라 업무 총괄자(시스템 또는 사람)가 등록된 업무흐름에 따라 업무를 발생시켜, 업무 수행자에게 할당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업무 수행자에 의해 업무가 종료되도록 설계되어, 입력 작업은 최소화하지만, 모든 업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업무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해지며, 의사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제공되어, 업무처리기간 단축, 업무오류 발생가능성 감소, 업무처리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문가의 설계 없이 업무 총괄자 또는 특정 사용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업무 프로세스를 등록하고, 운영 및 지속적인 버전업을 통해, 비전문가들도 업무관리시스템{BPM}을 운영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누구든지 전문가가 되어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전문가 단말을 통해 업로드 된, 태스크 정보가 이용(다운로드/열람)됨에 따라 일정 수준의 보상이 지급되는 형태로 자신의 전문지식을 공유하여 부수익원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업무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같은 태스크에 대해서도 다양한 태스크 정보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여, 효과적인 업무 관리 시스템에 대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3a 내지 3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태스크 생성 인터페이스 및 업무 단위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업무 상세 보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에 수행에 의해 제공되는 보고서 및 진행 현황에 대한 확인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프로세스 또는 프로젝트 유형을 선택하는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프로세스 태스크 리스트에 대한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프로젝트 태스크 리스트에 대한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기작성된 프로세스 태스크의 정보를 작성 및 수정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프로세스 태스크 내의 업무 정보를 작성 및 수정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프로세스 태스크 혹은 프로젝트 태스크에 대한 진행 현황 보고서의 예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태스크(tas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장 상위 개념의 분류로 프로세스와 프로젝트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프로세스 태스크는 업무의 성격상 순차 흐름을 가지며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루틴한 업무에 관한 것이며, 프로젝트 태스크는 목적과 기한을 가지는 단발성 업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태스크는 퇴직금 관리, 인사관리 등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프로젝트 태스크는 OO월 OO일부터 XX월XX일까지 수행하여 고객사에게 납품해야 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업무'는 각 태스크 내에 하위 항목을 의미하며 업무별 담당자가 존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턴 채용 / 정규직 전환 관리' 는 '프로세스 태스크'의 한 종류로 분류 되며, '인턴 채용 / 정규직 전환 관리'에 대한 태스크 내 '모집기획', '모집 공고', '채용 설명회' 등의 '업무'가 존재 할 수 있다.
또한, '세부 업무'는 업무 내의 하위 항목을 의미하며, '세부 업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업무명, 업무 설명, 업무 순서, 참조 양식, 담당자 및 기한일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 제공 영역 및 채팅과 파일 교환이 가능한 채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턴 채용 / 정규직 전환 관리'에 대한 태스크 내 '모집기획', '모집 공고', '채용 설명회' 등의 '업무'에 대한 설명, 진행 순서 및 상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10)은 서버(100), 업무 총괄자 단말(200), 업무 수행자 단말(300) 및 전문가 단말(400)을 포함 할 수 있다.
서버(100)와 업무 총괄자 단말(200), 업무 수행자 단말(300) 및 전문가 단말(4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전문가 단말(400)의 요청 쿼리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업무 총괄자 단말(200)의 요청 쿼리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업무 수행자 단말(300)로 알림을 제공 할 수 있다.
업무 총괄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디바이스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업무 정보 공유 기반의 업무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업무 총괄자 단말(200)은 업무 정보 공유 기반의 업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태스크를 생성하고, 태스크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업무 총괄자에게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태스크 생성 및 세부 업무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업무 수행자 단말(300)은 업무 총괄자 단말(200)에 의해 생성 된 태스크 내 세부 업무 중 대응하는 업무에 대해 업무 수행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업무 현황에 대한 입력 및 확인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비즈니스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인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이를 구성하는 업무단계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 총괄자 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를 선택하여 업무를 발생시킨다. 프로세스 태스크의 경우는 등록된 업무단계 중 첫 번째 업무가 자동으로 표시되고, 업무 총괄자가 해당 업무를 업무 수행자에게 지정할 수 있다. 프로젝트 태스크의 경우는 비정형화된 업무를 입력할 수 있게 표시되고, 업무 총괄자가 해당 업무를 업무 수행자에게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업무에 업무 수행자가 지정되면 업무는 할 일로 전환될 수 있다.
서버(100)는 기업의 다수의 프로세스 태스크와 프로젝트 태스크를 구성하는 업무 단계를 생성하여 업무의 흐름을 지정하고, 최초 업무 시작을 프로세스 태스크에서 정의한 스케줄에 맞춰 서버(100)에 의해 업무 총괄자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업무의 최초 업무 단계를 발생시키거나, 사용자가 업무 총괄자가 되어 업무를 구동시킴으로써, 최초 업무 단계를 발생시킨다.
이후 업무 수행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의 최초 업무 단계를 완료함으로써 프로세스 태스크에 정의한 업무 단계의 흐름에 따라 자동으로 다음단계의 업무를 발생시키고, 업무수행자는 두 번째 업무 단계를 지정 받게 된다.
마지막 단계에서 프로세스 태스크에 정의된 업무가 완료된다. 이때, 프로세스 태스크에 의해 발생된 해당 업무의 흐름은 여러 단계의 완료된 할 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400)은 해당 계정의 전문가에게 태스크 정보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 된 태스크 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400)에서 입력된 태스크 정보란 해당 태스크를 완료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업무의 종류, 업무 순서 등을 정리한 정보 혹은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턴 채용 / 정규직 전환 관리' 라는 태스크 정보가 업로드되었을 경우, 해당 태스크 정보 내에는 '1. 모집기획', '2. 모집 공고', '3. 4. 채용 설명회' 등의 '업무'들이 순차적으로 정의 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업무 별로 세부업무 내용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전문가 단말(400)의 계정 사용자는 다른 단말 계정 사용자와 소속이 다른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즉, 누구든지 전문가가 되어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특정 전문가 단말(400)을 통해 업로드 된 태스크 정보에 대한 타 단말 계정 사용자의 다운로드 및 조회 횟수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한 전문가 단말로 사전에 정의 된 일정 수준의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정보 다운로드 1회마다 10포인트씩 해당 전문가의 계정으로 적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기업 입장에서는 웹 또는 앱 프로그램을 통하여 업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되, 해당 업무 분야에 대한 전문가(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태스크 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되며, 전문가 입장에서는 자신의 전문지식을 공유함으로써 부수익원을 창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자 간 업무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간 업무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은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부터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이때, 도 3a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 제공되어,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는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프로세스 태스크는 업무의 성격상 순차 흐름을 가지며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루틴한 업무에 관한 것이며, 프로젝트 태스크는 목적과 기한을 가지는 단발성 업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부터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를 수신한 서버(100)는 수신된 쿼리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검색하고, 도 3b 및 도 3c와 같은 태스크 리스트를 업무 총괄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520). 경우에 따라, 태스크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3b 혹은 도 3c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100)는 검색 된 결과를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 제공함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태스크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데이터베이스 내의 태스크 정보는, 업무 총괄자 및 업무 수행자와 소속이 다른 전문가 단말(400)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된 태스크 정보를 포함하며, 태스크 정보에 대한 타 사용자 단말의 다운로드 횟수가 증가할수록,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한 전문가 단말로 사전에 정의 된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검색 결과를 제공 할 때, 전문가 단말(400)에 의해 업로드 된 태스크 정보 이외, 표준 프로세스로 정의되는 태스크 정보를 업무 총괄자 단말(200)을 통해 업무 총괄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 검색 결과가 제공된 후, 업무 총괄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 정보를 수신하여 업무 총괄자 단말(200)이 등록된 기업 계정의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S530).
이때, 선택된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를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가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업무 총괄자 단말(200)이 등록된 기업 계정의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 하여, 이후 사용 시 서버(100)를 통해 검색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부터 생성된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의 리스트에도 추가할 수 있다.
업무 총괄자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태스크 정보가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의 리스트에 추가된 후,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부터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 태스크 혹은 프로젝트 태스크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경우,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3d 혹은 도 3e와 같다. 도 3d는 프로젝트 태스크의 업무 리스트에 관한 것이며, 도 3e는 프로세스 태스크의 업무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후, 추가적으로, 업무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업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경우,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태스크 정보 내 세부 업무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업무 수행자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담당자 정보는 업무리스트 내의 각 업무 별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태스크 정보와 업무단계에 정의한 정보에 의해 업무 총괄자를 활성화 시켜 업무 수행자에게 업무를 지정함으로써 할 일로 전환되면, 서버(10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할 일 테이블에 할 일을 구분하는 할 일 번호, 최초 할 일 번호를 포함한 할 일의 상위 그룹을 정의하는 할 일 그룹번호,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를 구분, 업무 단계의 순서를 식별하는 현재 할 일의 순서번호인 업무번호, 해당 업무와 연관된 회의록을 지칭하는 회의록 번호, 업무가 할 일로 전환되어 정의된 할 일명, 할 일의 상세 기술내용을 정의하는 할 일 상세, 할 일의 상태 값을 저장하는 상태, 할 일의 기한 일을 정의하는 기한 일, 할 일을 수행하는 업무 수행자를 정의하는 담당자, 할 일을 지정하는 업무 총괄자를 정의하는 요청자, 업무 접근 레벨을 정의하는 보안, 업무 태그 정보, 업무 관심 정보 등의 필드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세부 업무 입력에 대한 수신이 완료 되면, 각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수행자 단말(300)로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550).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은 세부 업무의 순서에 따라, 완료되기 전의 세부 업무를 해당하는 업무 수행자 단말(300)과 업무 총괄자 단말(200)에게 노출시키고, 어느 하나의 세부업무가 완료된 경우, 그 다음 세부 업무를 해당하는 업무 수행자 단말(300)과 업무 총괄자 단말(200)에게 노출시키되, 노출이 이루어질 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업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세부 업무 알림이 발생되되, 마지막 순서로 지정된 세부 업무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반복적으로 다음 세부 업무를 노출 시키고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세부 업무에 대한 알림과 노출이 제공되면, 업무 수행자 단말(300)로 세부 업무를 조회할 수 있는 세부 업무 조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부 업무 조회 인터페이스는 세부 업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정보 제공영역과 업무 총괄자와 채팅 및 파일 교환이 가능한 채팅영역을 포함하며, 상세 정보는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정보의 정의에 따라 첫 업무가 전환된 할 일의 경우는 업무 수행자 또는 업무 총괄자가 해당 할 일에 처리 값을 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의 할 일 관리 테이블, 할 일 담당자 변경 테이블, 할 일 댓글 테이블, 할 일 댓글 좋아요 테이블에 처리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할 일 관리 테이블의 상태 필드의 값에 따라 태스크 정보에 정의한 업무 단계의 처리가 달라진다. 즉, 상태 값이 중지인 경우 정의된 태스크 정보의 업무 단계가 남아 있어도 종료가 되며, 패스인 경우 현재 업무 단계를 건너뛰어 태스크 정보에 정의한 다음 업무 단계를 발생 시키고, 완료인 경우 현 업무 단계를 완료 처리하고 태스크 정보에 정의한 다음 업무 단계를 자동으로 발생하게 되며, 롤백의 경우 업무 총괄자가 지정한 업무 단계로 되돌아가서 태스크 정보에 정의한 업무 흐름에 따른 업무 단계를 순차적으로 다시 진행하면서 각 업무 단계의 처리된 상태 값의 저장에 따라 자동으로 다음 업무단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태스크 정보에 대한 버전업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업무의 완료는 해당 업무 상태에 따라 완료, 패스, 중지, 롤백 등으로 최종 값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정상적으로 업무가 종료된 경우는 완료가 되고, 생성된 업무 단계의 순서에 따라 업무 총괄자가 다음 업무 단계를 생성한다. 다음 업무 단계 생성은 매 단계의 업무 처리에 따라 생성된 태스크 정보의 업무 단계의 마지막까지 진행되며, 생성된 업무 단계의 마지막에 이르면 하나의 프로세스 업무가 종료될 수 있다. 태스크 정보의 업무 단계에서 또 다른 태스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 태스크는 상위 태스크의 업무 흐름과 별개의 업무 흐름을 가질 수 있다.
태스크 정보에 의해 발생된 업무와 이와 관련된 처리 내역, 의견 등의 자료들은 서버(100) 내 데이터 베이스에 각각 저장되어, 보고서를 출력하는데 참조하게 된다.
이때, 참조된 보고서를 분석하여 태스크 정보의 개선이 필요하다 판단 될 경우 사용 중인 태스크 정보를 버전업하게 되면 기존의 태스크 정보는 이미 진행중인 업무를 완료하기까지 참조하게 되며, 버전업 된 새로운 버전의 태스크 정보가 사용이 될 때 기존 태스크 정보는 폐기처리가 될 수 있다. 버전업을 통해 비전문가도 태스크 정보를 개선하고 표준화할 수 있다.
한편, 업무 총괄자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세스 태스크의 정보는 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프로세스 테이블에 프로세스 코드, 프로세스 명, 프로세스 정의, 프로세스 목표, 결과물, 관리 그룹, 태그, 반복주기, 담당 유형, 담당자 아이디, 담당자 명, 가중치, 사용, 시작날짜구분, 이전 버전코드, 생성자, 생성일, 수정자, 수정일, 삭제자, 삭제일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태스크를 생성되는 태스크 정보는 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프로젝트 테이블에 프로젝트 코드, 프로젝트 명, 프로젝트 정의, 프로젝트 목표, 책임자, 진척률, 프로젝트 상태, 평가 점수, 프로젝트 구분, 보안 레벨, 기한일, 생성자, 생성일, 수정자, 수정일, PMS프로젝트코드 필드를 포함하고, 프로젝트 리더 변경 히스토리 테이블에 변경 이력 번호, 프로젝트 코드, 책임자, 생성자, 생성일 필드를 명명하고, 그룹테이블에 그룹 번호, 그룹 명, 그룹 구분, 관련 프로젝트, 리더 아이디, 그룹 사용여부, 생성자, 생성일, 수정자, 수정일, 그룹웨어 그룹번호, 그룹웨어 그룹별칭, 그룹웨어 상위 그룹 번호 등의 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3h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태스크 생성 및 업무 단위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업무 총괄자가 태스크 생성을 시작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에서 프로세스 및 프로젝트 유형을 선택하고, 프로세스를 선택한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프로젝트를 선택한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스 태스크를 생성 시 정형화 된 업무 단계의 첫 번째 업무가 표시되고, 프로젝트 태스크를 생성 시 비 정형화 된 업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업무의 업무 수행자를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태스크 생성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스 및 프로젝트 유형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젝트를 선택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제공 될 수도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를 선택한 경우,서버(100)에서 생성된 태스크 목록을 확인하고, 태스크를 생성 또는 버전업할 수 있으며, 각 태스크의 상세화면으로 들어가면,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태스크를 구성하는 업무 단계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 담당자(업무 수행자) 및 기한일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스를 선택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업무 단계의 상세화면으로 들어가면, 각 업무 단계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명, 업무설명, 업무순서, 참조양식 에 대한 확인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들은 태스크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태스크를 신규생성, 설정변경, 버전업,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 단계의 관리 인터페이스는 도 3g에 도시된 사항에 대한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의 업무 상세 보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 된 업무 상세 보기 인터페이스는 업무 수행자 단말(300)로 제공될 수 있다. 태스크 내 업무가 생성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업무를 수행한 내역을 기재할 수 있으며, 업무와 관련된 의견을 댓글, 메일을 통해 상호 의사 소통하거나 관련한 정보를 첨부할 수 있으며, 업무의 완료를 정함과 동시에 서버(100)에 의해 등록된 태스크 정보의 업무 단계를 확인하여 다음 업무를 발생시키거나 종료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프로젝트 태스크의 경우 해당 업무의 완료를 정함과 동시에 해당 프로젝트 태스크의 한 업무가 종료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업무 정보 공유 기반의 업무 관리 방법에 수행에 의해 제공되는 보고서 및 진행 현황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보고서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요약된 화면과 개별, 그룹별, 소속회사별로 태스크와 이를 구성하는 업무 단계별 업무가 서버(100)에 의해 업무 총괄자 및 업무 수행자가 수행한 결과인 할 일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태스크는 상기에 업무 단계 생성에서 정의된 흐름에 따라 할 일의 진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흐름, 할 일의 시간 순서에 따른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업무 총괄자 단말(200)로 생성된 태스크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보고서는 프로젝트 태스크 및 프로세스 태스크로 구분되어, 기업 내 그룹 별로 구분되어 실적 정보가 제공되며, 실적 정보는 신규 등록 및 완료된 프로젝트 태스크 혹은 프로세스 태스크의 건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업무관리 활동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고, 업무 정보, 업무 분류, 업무 순차, 업무 단계별 소요시간, 업무 별 관여자, 업무 별 반응도, 업무 별 처리결과, 업무 별 첨부된 양식/ 문서/ 이미지/ 동영상, 업무 별 롤백횟수, 업무 별 패스건, 업무 별 중지건, 프로젝트 완성도, 프로세스 완성도등과 같은 수집된 데이터에 신뢰성 있는 통계를 낼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여 업무 단계별 상태, 업무 수행자의 역량, 업무 총괄자의 적절성, 업무 수행시간, 업무 대기시간, 업무 누수지점, 업무 협업도, 업무 매뉴얼등과 같은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는 업무 총괄자 단말(200)을 통해 결과 보고서를 검토할 수 있게 하고, 서버(100)내 프로세스 메뉴의 버전업 기능을 사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결과수집과 보고서 개선의 반복을 통해 최적화된 프로세스로 발전 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룹 내 특정 업무 수행자의 세부업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리스트는 완료, 진행, 롤백 여부에 대한 정보, 세부업무 완료한 순서에 대한 정보, 업무 수행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업무 총괄자 단말(200) 및 업무 수행자 단말(300)은 업무에 대한 진행 상황의 현황 조회가 가능하되, 업무 총괄자 단말(200)은 생성된 태스크 내 모든 업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고, 업무 수행자 단말(300)은 생성된 태스크 내 모든 업무 중 대응하는 업무만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 일에 대한 공개를 기본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업무 특성에 따라 프로젝트 메뉴에서 각 프로젝트 별로 공개/비공개, 회의록 메뉴에서 회의록 별 공개/비공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설정에 따라 참여인원에 대해서 할 일의 상세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
또한, 각 할 일 별로도 보안설정이 가능하며, 이 경우 프로젝트, 회의록에서 설정한 보안설정에 우선하며, 업무 총괄자 단말(200) 및 업무 수행자 단말(300)에서 공개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비공개 보안설정이 된 경우일지라도 업무목록은 모두에게 공개되며, 그 상세정보만 비공개로 공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스 태스크, 업무, 세부업무의 상세 내용에 대한 작성 및 수정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도면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기작성된 프로세스 태스크의 정보를 작성 및 수정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도 10과 같이 프로세스 태스크 내의 업무 정보를 작성 및 수정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1과 같이 프로세스 태스크 혹은 프로젝트 태스크에 대한 진행 현황 보고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 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시스템
100: 서버 200: 업무 총괄자 단말
300: 업무 수행자 단말 400: 전문가 단말

Claims (14)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쿼리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이 등록된 기업 계정의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
    (d)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스크 정보 내 세부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수행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업무에 대응하는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로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태스크 정보는,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 및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과 소속이 다른 전문가 단말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된 태스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스크 정보에 대한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 및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다운로드 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 한 전문가 단말로 보상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스 태스크는 업무의 성격상 순차 흐름을 가지며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루틴한 업무에 관한 것이며, 프로젝트 태스크는 목적과 기한을 가지는 단발성 업무에 관한 것인,
    사용자 간 업무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스 태스크는 업무의 성격상 순차 흐름을 가지며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루틴한 업무에 관한 것이며, 프로젝트 태스크는 목적과 기한을 가지는 단발성 업무에 관한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프로세스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 태스크를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추가된 프로세스 태스크 혹은 프로젝트 태스크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경우, 해당하는 태스크에 대한 복수의 업무에 대한 업무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d-2) 업무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업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경우,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d-3)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정보를 대응하는 업무 정보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담당자 정보는 업무리스트 내의 각 업무 별로 할당될 수 있는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세부 업무의 순서에 따라, 완료되기 전의 세부 업무를 해당하는 업무수행자 단말과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에게 노출시키고, 어느 하나의 세부업무가 완료된 경우, 그 다음 세부업무를 해당하는 업무수행자 단말과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에게 노출시키되,
    상기 노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세부 업무의 순서에 따라, 마지막 세부 업무가 완료 되는 시점까지 상기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로 세부 업무를 조회할 수 있는 세부 업무 조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부 업무 조회 인터페이스는 상기 세부 업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정보 제공영역과 업무 총괄자와 채팅 및 파일 교환이 가능한 채팅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세부 업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인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 상기 생성된 태스크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고서는 프로젝트 태스크 및 프로세스 태스크로 구분되어, 기업 내 그룹 별로 구분되어 실적 정보가 제공되며,
    상기 실적 정보는 신규 등록 및 완료된 프로젝트 태스크 혹은 프로세스 태스크의 건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내 특정 업무 수행자의 세부업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리스트는 완료, 진행, 롤백 여부에 대한 정보, 세부업무 완료한 순서에 대한 정보, 업무수행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 및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은 상기 업무에 대한 진행 상황의 현황 조회가 가능하되,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은 상기 생성된 태스크 내 모든 업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은 상기 생성된 태스크 내 모든 업무 중 대응하는 업무만 확인이 가능한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13.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업무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어,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태스크 생성 입력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쿼리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의 태스크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스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이 등록된 기업 계정의 업무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스크 정보 내 세부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수행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무에 대응하는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로 세부 업무 요청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태스크 정보는,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 및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과 소속이 다른 전문가 단말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된 태스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태스크 정보에 대한 상기 업무 총괄자 단말 및 상기 업무 수행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다운로드 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태스크 정보를 업로드한 전문가 단말로 보상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80003703A 2018-01-11 2018-01-11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KR10195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703A KR101950397B1 (ko) 2018-01-11 2018-01-11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703A KR101950397B1 (ko) 2018-01-11 2018-01-11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397B1 true KR101950397B1 (ko) 2019-02-20

Family

ID=6556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703A KR101950397B1 (ko) 2018-01-11 2018-01-11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24B1 (ko) 2020-03-05 2020-08-28 현대아이씨티 주식회사 명함기반의 거래처 자동 이력관리 시스템
KR20220025554A (ko)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이투이솔루션 업무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리포트 생성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55B1 (ko) 2007-07-04 2008-02-28 주식회사 넷츠 업무 프로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72590B1 (ko) * 2007-10-02 2010-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업무 관리 방법
KR20130082942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업무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55B1 (ko) 2007-07-04 2008-02-28 주식회사 넷츠 업무 프로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72590B1 (ko) * 2007-10-02 2010-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업무 관리 방법
KR20130082942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업무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24B1 (ko) 2020-03-05 2020-08-28 현대아이씨티 주식회사 명함기반의 거래처 자동 이력관리 시스템
KR20220025554A (ko)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이투이솔루션 업무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리포트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2768B2 (en) Exchanging project-related data in a client-server architecture
US855459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complex service delivery through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activities
US8700414B2 (en) System supported optimization of event resolution
US8090611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workflow applications
US8032635B2 (en) Grid processing in a trading network
US9852382B2 (en) Dynamic human workflow task assignment using business rules
US8726227B2 (en) Modeling a governance process of establishing a subscription to a deployed service in a governed SOA
US8607192B2 (en) Automating a governance process of creating a new version of a service in a governed SOA
US201600982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ork management
US20120260254A1 (en) Visual scripting of web services for task automation
CN104756460A (zh) 基于ldap的多顾客云内身份管理系统
US20030195789A1 (en) Method for incorporating human-based activities in business process models
US10387816B2 (en) Automating a governance process of optimizing a portfolio of services in a governed SOA
US20140108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ng assets to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US20120066145A1 (en) Automating A Governance Process Of Reviewing Service Artifacts In A Governed SOA
US20120239680A1 (en) Generating database scripts for executing business rules related to enterprise software in a database runtime environment
US9087353B2 (en) Personalized demo environment based on software configuration information
US20120066146A1 (en) Automating A Governance Process Of Investigating Service Reuse In A Governed SOA
KR101950397B1 (ko) 사용자 간 업무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관리 시스템 제공 방법
Mohamed et al. SaaS dynamic evolution based on model-driven software product lines
US8935667B2 (en) Synchronization of prospect information between software providers and resale partners
CN110019136A (zh) 报表生成系统及报表生成方法
WO2022016093A9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Fleischmann et al. Coherent task modeling and execution based on subject-oriented representations
US10810640B1 (en) Automated time tracking of events in a calendar and use of the same to generate invo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