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246B1 -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 Google Patents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246B1
KR101950246B1 KR1020170020099A KR20170020099A KR101950246B1 KR 101950246 B1 KR101950246 B1 KR 101950246B1 KR 1020170020099 A KR1020170020099 A KR 1020170020099A KR 20170020099 A KR20170020099 A KR 20170020099A KR 101950246 B1 KR101950246 B1 KR 10195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water
cup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4207A (en
Inventor
김정학
이강원
김상대
Original Assignee
(주)필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로스 filed Critical (주)필로스
Priority to KR102017002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246B1/en
Publication of KR2018009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2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정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정수 처리하여 농축수를 배출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의 정수 처리에 사용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제2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기 제1 필터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며, 내주면 상에는 나선형의 분리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 필터 본체와, 상기 제1 필터 본체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본체 내부로 처리 대상인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 유입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와, 상기 필터 배치 플레이트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필터와,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상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본체 내부에서 처리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 하부로 배치되어 상기 분리 가이드와 상기 제1 단위 필터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필터 배치통 내측 하부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 배치통 상부의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상으로는 상기 제1 단위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분사홀이 복수로 형성되는 세정관을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터의 일정 시간 사용된 후에는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역세척, 화학 세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역세척, 화학 세정을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관리 요소가 감소될 수 있으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가 직렬로 배치되고, 제2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제1 필터부 유입부로 순환시켜 재처리되도록 하여 연속운전이 가능하고 원수의 회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필터부에서 탁질을 제거하여 고형상태로 배출하는 기능으로 폐수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first filter unit for treat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A second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treated water that is purified and discharged in the first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used in the water treatment of the second filter unit; And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o the first filter unit. The first filter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s a space therein, and a spiral separation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raw water inflow pip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to allow raw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body to flow into the first filter body; A first unit filter disposed to be replaceable on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a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proces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A sludge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to discharge the sludge separated by the separation guide and the first unit filter,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rst unit fil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portab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to be easily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of the filter, so that the backwashing and chemical cleaning process of the filter can be omitted, and the filter does not include components for backwashing and chemical cleaning, The first filter portion and the second filter portion are arranged in series and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portion is circulated to the first filter portion inlet portion so as to be reprocessed, The recovery rat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unction of removing the contaminants from the first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to a solid state, so that the wast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Figure R1020170020099
Figure R1020170020099

Description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여과에 의한 정수생산시설로서 역세척이나 약품세정 등에 의한 폐수가 발생되지 않고 연속운전이 가능하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신개념의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wate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that is capable of continuous operation without generating wastewater by backwashing or chemical clea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concept of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moving the membrane filtration system.

근래 들어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각종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일부지역에 지속적인 가뭄으로 심각한 물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대체식수 등 지자체별로 비상용수 개발에 힘쓰고 있다. Recently, various weather phenomena due to global warming are happening. Korea has recently been suffering from serious water shortage due to continuous droughts in some areas and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emergency water for each municipality such as alternative drinking water.

가뭄 등의 영향이 아니더라도 재해 등 원인으로 수돗물 공급관로의 파손 등으로 식수공급이 장기화 되는 경우 즉각적인 대체식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If the supply of drinking water is prolonged due to damage to the tap water supply pipe due to a disaster or the like, even if it is not caused by drought, it is necessary to immediately supply alternative drinking water.

이제까지는 이러한 대체 식수를 위해 지자체, 공장 또는 대규모 아파트의 경우 비상용 급수시설인 관정을 이용하여 특별한 처리과정 없이 염소주입 또는 수질검사를 거쳐 식수로 사용하여 왔다.Until now, local governments, factories or large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used for potable water after chlorine injection or water quality inspection without special treatment using the emergency water supply facility.

그러나 지하 관정에서 공급되는 지하수를 단순히 염소주입이나 주기적인 수질검사에만 의존하여 식수로 사용하는 것은 먹는물 수질기준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곤란한 것이 사실이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use of groundwater supplied from underground waters as drinking water simply by relying on chlorine injection or periodic water quality tests is still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water quality standards.

따라서, 가뭄이나 재해발생 등으로 식수가 필요할 때에 간편하게 바로 적용할 수 있고, 높은 수준의 수질을 보증하면서 간편한 가동과 연속운전이 가능하며 가동 중 폐수를 발생시키지 않는 회수율 100% 수준의 이동식 정수 장치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Therefore, it can be easily applied immediately when drinking water is needed due to drought or disasters, can be operated easily and continuously while assuring a high level of water quality, and can be operated at a recovery rate of 100% It needs development.

일반적인 막여과 방식의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일정량의 여과 작업이 진행되면 막의 처리성능이 저하되므로, 막 성능회복을 위해 막에 대하여 역세척 및 약품세정 공정(CEBW; Chemically Enhanced Backwash)의 수행을 필요로 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embrane filtration and filtration system using a conventional membrane filtration method, the membran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when a certain amount of filt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refore, in order to recover the membrane performance, the membrane is subjected to backwash and chemically enhanced backwash (CEBW) . ≪ / RTI >

여기서, 필터에 대한 역세척 및 약품세정의 수행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로 하고, 약품세정 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의 처리를 위해 별도의 폐수처리 장치의 설치가 필요했다. 이때, 여과, 역세, 린스, 화학 세정 등의 단계별 공정에서 기계 설비(펌프, 컴프레샤)의 빈번한 기동정지(On/off)로 인한 고장 발생요인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perform the backwash and chemical cleaning of the filter, a separate apparatus is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for treatment of the wastewater generated during the chemical cleaning process.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faults occur due to frequent start / stop of the mechanical equipment (pump, compressor) in the stepwise processes such as filtration, backwash, rinsing and chemical cleaning.

그리고 재해지역과 같이 비상 급수가 수행되어야 하는 장소에서는 다량의 정수가 필요하므로 정수 시 회수율이 높은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만, 기존의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는 역세척 및 약품세정 공정(CEBW; Chemically Enhanced Backwash)시 발생하는 다량의 폐수로 인하여 막의 여과 공정에서의 회수율은 85~95% 수준에 머무르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in a place where an emergency water supply is to be performed, such as a disaster area,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having a high water recovery rate is required. However, (CEBW; Chemically Enhanced Backwash), the recovery rate of the membrane in the filtration process is in the range of 85 ~ 95%.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292228호를 예시할 수 있다. Prior art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2922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의 역세척, 화학 세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removab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which can omit backwashing and chemical cleaning of a filter.

또한, 본 발명은 역세척, 화학 세정을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관리 요소가 감소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that does not include components for backwashing and chemical cleaning, thereby reducing management elements.

또한, 본 발명은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가 직렬로 배치되고, 제2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제1 필터부 유입부로 순환시켜 재처리되도록 하여 원수의 회수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 portion and the second filter portion are arranged in series, and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portion is circulated to the first filter portion inlet portion for reprocessing, thereby improving the recovery rate of the raw water. And to provide a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제1 필터부는 전량여과방식, 제2 필터부는 순환여과방식으로 구성되어 제1 필터부에서는 탁질을 제거하여 자동으로 배출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portab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filter unit is constituted by a full-volume filtration system and the second filter unit is constituted by a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정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정수 처리하여 농축수를 배출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의 정수 처리에 사용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제2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기 제1 필터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며, 내주면 상에는 나선형의 분리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 필터 본체와, 상기 제1 필터 본체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본체 내부로 처리 대상인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 유입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와, 상기 필터 배치 플레이트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필터와,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상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본체 내부에서 처리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 하부로 배치되어 상기 분리 가이드와 상기 제1 단위 필터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필터 배치통 내측 하부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 배치통 상부의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상으로는 상기 제1 단위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분사홀이 복수로 형성되는 세정관을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first filter unit for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A second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treated water that is purified and discharged in the first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used in the water treatment of the second filter unit; And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o the first filter unit. The first filter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s a space therein, and a spiral separation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raw water inflow pip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to allow raw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body to flow into the first filter body; A first unit filter disposed to be replaceable on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a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proces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A sludge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to discharge the sludge separated by the separation guide and the first unit filter,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rst unit fil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portab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저장하는 버퍼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uffer tank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second filter unit and storing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상기 원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는 원수 공급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raw water supply pump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inflow pipe.

상기 농축수 배출관은, 상기 농축수를 상기 원수 유입관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may circulate the concentrated water to the raw water inlet pipe.

상기 슬러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액을 수집하는 슬러지액 수집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ludge liquid collecting vessel for collecting the sludg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상기 슬러지액 수집조에 수집된 슬러지액에서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액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ludge 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ludge from the sludge liquid collected in the sludge liquid collecting tank.

상기 슬러지액 분리부는, 상기 원수 공급 펌프와 동력을 공유할 수 있다.The sludge liquid separator may share power with the raw water supply pump.

상기 원수 유입관은,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aw water inlet pipe may be arrang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상기 복수의 필터 배치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와, 상기 원수 유입관을 통한 상기 원수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필터 배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lter arrangement plate disposed with the plurality of filter arrangement cylinders and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a motor for rotating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aw water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단위 필터는, MF(Micro filtration) 필터, UF(Ultra filtration) 필터, NF(Nano filtration)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nit filter may include a micro filtration (MF) filter, an ultra filtration (UF) filter, and a Nano filtration (NF) filter.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유입홀과 제2 배출홀이 형성되고 내부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필터 본체와, 상기 제2 필터 본체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에 대하여 제2 정수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위 필터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단위 필터로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un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body having a second inlet hole and a second outlet hole formed therein and providing a space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filter bodies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body, And an air inlet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second unit filter.

상기 제2 단위 필터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필터링하는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컵과, 상기 컵이 안착되는 분배판 및 상기 중공사막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컵의 하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유체를 상기 중공사막 사이로 분사시키는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컵은 제1컵과 상기 제1컵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unit filter includes a flow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 hollow fiber membrane disposed inside the flow tube to filter the fluid, a cup receiving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 distribution plate on which the cup is seated, And a spray tu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having a through hole vertically passing therethrough to spray flui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And a plurality of second cup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up.

상기 분배판은,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홀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제1홀의 외주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방사형으로 상기 지지단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단의 외각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컵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support end having a first hole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radial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ole, And a fix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cup.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1컵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1지지돌기와, 상기 제1컵의 측면과 접촉되는 수직면과 상기 제2컵의 하면과 접촉되는 수평면을 구비한 제2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p,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that has a vertical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up and a horizontal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p ha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필터의 일정 시간 사용된 후에는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역세척, 화학 세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after the filter i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backwashing and chemical cleaning processes of the filter can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역세척, 화학 세정을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관리 요소가 감소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components for backwashing and chemical cleaning, the management elemen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가 직렬로 배치되고, 제2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제1 필터부 유입부로 순환시켜 재처리되도록 하여 연속운전이 가능하고 원수의 회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 portion and the second filter portion are arranged in series, and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portion is circulated to the first filter portion inlet portion for reprocessing, so that continuous operation is possibl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제1 필터부에서 탁질을 제거하여 고형상태로 배출하는 기능으로 폐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폐수처리시설을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wastewater by the function of removing the contaminants from the first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m in a solid state. Therefore, a separat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필터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배치통과 필터 배치 플레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필터 본체, 원수 유입관, 처리수 배출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필터부가 포함하는 분리 가이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필터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필터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단위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2 단위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단위필터의 중공사막, 제1 고정모듈 및 제2 고정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제2 단위 필터에 배치되는 중공사막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A-A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2 고정모듈의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제1 고정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제1컵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제2컵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분배판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0의 제2 고정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8의 제2단위필터에서 원수가 정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에 적용되는 브레이드 복합막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arrangement-passing filter arrangement plate shown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the raw water inlet pipe, and the process water outlet pipe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ion guide included in the first filter unit shown in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ilter unit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unit filter shown in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unit filter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first fixing module and the second fixing module of the second unit filter of FIG.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disposed in the second unit filter of Fig.
1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A of Fig.
13 is a top view of the second fixing module of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module of Fig.
15 is a plan view of the first securing module of Fig.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up of the first anchoring module of Figure 14;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up of the first securing module of Figure 14;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ion plate of the first fixing module of Fig.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ecuring module of Figure 10;
FIG. 2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raw water is purified in the second unit filter of FIG. 8. FIG.
2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composite composite membrane to be appli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10)는 제1 필터부(100), 제2 필터부(200), 공기공급부(300) 및 순환관(41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10)는 버퍼 탱크(400)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100, a second filter unit 200, an air supply unit 300, and a circulation pipe 410 ). In addition, the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ffer tank (400).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필터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필터부(100)는 제1 필터 본체(110), 필터 배치통(120), 제1 단위 필터(130), 집수관(117)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필터부(100)는 원수 공급 펌프(140), 슬러지액 수집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filter unit 100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110, a filter arrangement cylinder 120, a first unit filter 130, and a collector pipe 117. The first filter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raw water supply pump 140 and a sludge liquid collecting tank 115.

제1 필터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통 형태로서, 하부는 원추형이고 내측으로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한다. The first filter body 110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lower portion is conical and the inn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제1 필터 본체(110)는 일측으로는 정수 대상인 원수, 후술하는 순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농축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관(112)이 배치되고, 타측으로는 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관(116)이 배치되며, 하부로는 원수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슬러지액이 배출되는 슬러지액 배출관(114)이 연결된다. 슬러지액 배출관(114)은 제1 필터 본체(110)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there is disposed a raw water inlet pipe 112 into which concentrated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introduced from a raw water as a purified water object, a contaminant introduced from a circulation pipe described later is introduced, And a sludge liquid discharge pipe 114 through which a sludge liquid containing sludge separated from the raw water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The sludge liquid discharge pipe 114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필터 배치통(120)은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측에 복수로 배치되고, 외주 상에는 후술하는 제1 단위 필터(130)가 배치된다. A plurality of filter arrangement cylinders 120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110, and a first unit filt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필터 배치통(120)은 소정의 크기와 길이를 갖고 단면 형태가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와 외부로 원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필터 배치통(120) 각각은 중심축이 제1 필터 본체(11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필터 배치통(120)의 단면 형태가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표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lter batch cylinder 12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raw water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arranging cylinders 120 is disposed so that its central axis 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ter arranging cylinder 120 may be a hexagonal shap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filter arranging cylinder 120 can be maximized.

필터 배치통(120)은 일단이 후술하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에 배치되되, 일단은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단은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의 하부로 위치된다. One end of the filter placement cylinder 120 is disposed in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배치통과 필터 배치 플레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arrangement-passing filter arrangement plate shown in Fig. 2. Fig.

도 3을 참조하면,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가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에는 필터 배치통(12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plate)로서,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의 중심축 상에는 후술하는 제1 모터(M1)의 구동축이 연결될 수 있다. 3,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122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110, and the filter arrangement cylinder 120 is fixed and fixed at regular intervals.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 is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M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axis of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

제1 단위 필터(130)는 필터 배치통(120)에 외주 상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러지가 분리된 원수에 대하여 소정의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한다. The first unit filter 13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batch cylinder 120 so as to be interchangeable so that the sludge performs predetermined filtering on the separated raw water.

제1 단위 필터(130)는 필터 배치통(120)의 외부에 배치되어, 원수는 제1 단위 필터(130)를 통해 필터 배치통(120)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unit filter 130 is disposed outside the filter arrangement cylinder 120 so that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filter arrangement cylinder 120 through the first unit filter 130 and is filtered.

제1 단위 필터(130)로는 등록특허 10-0639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MF(Micro filtration) 필터, UF(Ultra filtration) 필터, NF(Nano filtration) 필터를 사용하는 브레이드 보강막 또는 등록특허 10-1499735호에 개시되어 있는 합성 분리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대상인 원수의 성상이나 수질에 따라 부직포, 여과포, 카트리지 필터 등 다양한 필터링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first unit filter 130, a blade reinforcement membrane using an MF (micro filtration) filter, an UF (ultrafiltration) filter, an NF (Nano filtration) filter, or the lik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0639821, May be used. Further, various filtering members such as a nonwoven fabric, a filter cloth, and a cartridge filter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properties and quality of raw water to be tre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단위 필터(130)는 제1 정수 처리의 반복에 의해 정수 성능이 저하되면, 제1 단위 필터(130)를 교체함으로써 필터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first unit filter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maintain the filtering performance by replacing the first unit filter 130 when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is degraded by repeating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process.

다시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집수관(117)은 복수로 배치된 필터 배치통(120) 각각과 처리수 배출관(116)을 연결하여, 필터 배치통(120) 내로 유입된 처리수가 처리수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일단이 필터 배치통(120) 각각과 연결된 집수관(117)은 그 타단이 처리수 배출관(116)과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처리수 배출관(116)과 집수관(117) 연결부위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필터 배치통(120)의 회전 시 꼬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collection pipe 117 connects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filter arrangement cylinders 120 and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116 so that the process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arrangement case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116 .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117,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lter batch cylinders 120,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116.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116 and the collecting pipe 117 is rotatable so as to prevent twisting of the filter batch cylinder 120 during rota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필터 본체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세정 효과 향상을 위한 분리 가이드(118)의 구성과 동작 이해를 위해 제1 필터 본체와 분리 가이드만을 도시하였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shown in Fig. In FIG. 4, only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paration guide are illustrated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paration guide 118 for improving the cleaning effect.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측으로는 분리 가이드(118)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a separation guide 118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110.

분리 가이드(118)는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된다. 분리 가이드(118)는 원수 유입관(112)을 통해 유입된 원수에 대하여 싸이클론(cyclone) 효과의 발생을 향상시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The separation guide 118 protrudes spiral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The separation guide 118 improves the occurrence of a cyclone effect on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112,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필터 본체, 원수 유입관, 처리수 배출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the raw water inlet pipe, and the process water outlet pipe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원수 유입관(112)은 그 중심축이 제1 필터 본체(110)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원수 유입관(112)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5, the raw water inflow pipe 112 has its central axis tangential to the first filter body 110 so that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inflow pipe 112 flows into the first filter body 110 110, respectively.

원수는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필터 본체(110)의 중심축 주위를 회전하며 싸이클론(cyclone) 효과를 발생시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일정 이상의 하중과 크기를 갖는 입자성 물질들은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침전될 수 있다. The raw water mov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and thereby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to generate a cyclone effect, Particulate materials having a load and size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can be deposit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여기서, 세정 효과 향상을 위해 복수의 필터 배치통(120)이 제1 필터 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되,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주면 상에서의 원수의 유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a plurality of filter arranging tubes 120 ar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and a plurality of filter arranging tubes 120 ar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제1 모터(M1)의 구동축이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의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M1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

원수 공급 펌프(140)는 원수 유입관(112)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원수가 분리 가이드(11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aw water supply pump 140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112 so that the raw water can move along the separation guide 118.

슬러지액 수집조(115)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용기로서, 슬러지액 배출관(114)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액을 수집한다. 슬러지액은 제1 필터 본체(110) 내에서 원수에서 분리된 이물질로서 소정의 입자 크기를 갖는 슬러지로서, 소정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The sludge liquid collecting tank 115 collects the sludg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liquid discharge pipe 114 as a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sludge liquid is a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raw water in the first filter body 110 and contains predetermined moisture as a sludge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분리부(150)는 슬러지액 수집조(115)에 의해 수집된 슬러지액에서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한다. 분리부(150)는 분리된 슬러지는 케이크 형태로 배출하고, 분리된 수분은 폐수로써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된 폐수는 원수 유입관(112)을 통해 제1 필터 본체(110)로 재유입될 수 있다. The separating unit 150 separates the sludge and moisture from the sludge liquid collected by the sludge collecting tank 115. The separation unit 150 discharges the separated sludge in the form of a cake, and the separated moisture is discharged as waste water. Here, the discharged wastewater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body 110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112.

분리부(150)는 슬러지액을 소정의 메쉬망에 담아 회전시키며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50)는 기존의 탈수기와 같이, 소정의 용기에 슬러지액을 저장한 후 회전시키며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부(150)는 슬러지액에서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separating unit 150 separates the sludge and moisture by rotating the sludge liquid in a predetermined mesh network. The separator 15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sludge liquid in a predetermined container, rotate the same, and separate the sludge and moisture by a centrifugal force, as in the conventional dehydrator. As described above, if the sludge and moisture can be separated from the sludge liquid, the separating unit 150 can us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여기서, 분리부(15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은 원수 공급 펌프(140)를 동작시키는 제2 모터(M2)의 구동축과 분리부(150)의 구동부를 연결하는 소정의 기어를 배치하여, 원수 공급 펌프(140)와 분리부(150)가 동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ng unit 150 is generated by disposing a predetermined gear that connects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M2 for operating the raw water supply pump 140 and the driving unit of the separating unit 150, So that the pump 140 and the separator 150 can share the power.

한편, 제1 필터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ilter uni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필터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필터부(100A)는 제1 필터 본체(110A),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 제1 단위 필터(130A)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필터부(100A)는 원수 공급 펌프(140), 슬러지액 수집조(115), 농축수 배출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filter unit 100A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110A, a filter arrangement plate 122, and a first unit filter 130A. The first filter unit 100A may further include a raw water supply pump 140, a sludge liquid collecting tank 115, and a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119.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제1 필터 본체(110A)의 하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로는 슬러지액 배출관(114)이 연결된다.The lower part of the first filter main body 110A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inclined lower than the other side and the sludge liquid discharge pipe 11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제1 필터 본체(110A)의 내주면으로는 분리 가이드 홈(118A)이 형성된다.A separation guide groove 118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ain body 110A.

분리 가이드 홈(118A)은 제1 필터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다. 분리 가이드 홈(118A)은 원수 유입관(112)을 통해 유입된 원수에 대하여 싸이클론(cyclone) 효과의 발생을 향상시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 가이드 홈(118A)은 단면이 'V'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guide groove 118A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10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The separation guide groove 118A improves the occurrence of a cyclone effect on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112,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ng guide groove 118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V' in section, bu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A)는 제1 필터 본체(110A)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A)의 하부로는 후술하는 제1 단위 필터(130A)가 복수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A)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plate)이다.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122A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110A and a plurality of first unit filters 130A described later ar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122A. The filter placement plate 122A is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제1 단위 필터(130A)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122)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원수 유입관(112)을 통해 유입된 원수에 대하여 소정의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한다. The first unit filter 130A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122 to perform predetermined filtering with respect to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112. [

제1 단위 필터(130A)는 등록특허 10-0639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MF(Micro filtration) 필터, UF(Ultra filtration) 필터, NF(Nano filtration) 필터를 사용하는 브레이드 보강막 또는 등록특허 10-1499735호에 개시되어 있는 합성 분리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대상인 원수의 성상이나 수질에 따라 부직포, 여과포, 카트리지 필터 등 다양한 필터링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unit filter 130A may be a blade filter using a microfiltration (MF) filter, an ultrafiltration (UF) filter, a nano filtration (NF) filter, or the lik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639821 May be used. Further, various filtering members such as a nonwoven fabric, a filter cloth, and a cartridge filter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properties and quality of raw water to be treated.

상기와 같은 제1 단위 필터(130A)는 제1 정수 처리의 반복에 의해 정수 성능이 저하되면, 새로운 필터로 교체함으로써 필터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first unit filter 130A can maintain the filtering performance by replacing the first unit filter 130A with a new filter if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is degraded by repeating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process.

여기서, 제1 단위 필터(130A)의 하단으로는 소정의 중량물(미도시)을 연결하여 정수 처리 중 제1 단위 필터(130A)가 상부에서 하부로 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위 필터(130A)의 늘어뜨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weigh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unit filter 130A so that the first unit filter 130A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filter 130A is hang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Do.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as long as the first unit filter 130A can be held in a suspended state.

세정관(124)은 제1 단위 필터(130A)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필터링되는 원수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세정관(124)은 제1 필터 본체(110A)의 내측 하부에서 내측 상부 일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세정관(124)은 중간부가 절곡되어, 그 단부는 농축수 배출관(119)과 연결된다. The washing tub 124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unit filter 130A and moves the filtered raw water upward. The cleansing tube 124 is connected from the inner lower part of the first filter body 110A to the inner upper side. At this time, the cleansing tube 124 is bent in the middle, and its end is connected to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119.

세정관(124)의 외주면상에는 복수의 분사홀(126)이 형성되어 있어, 세정관(124)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원수가 분사홀(126)을 통해 제1 단위 필터(130A)로 분사되도록 하여, 다시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사홀(126)을 통해 제1 단위 필터(130A)로 분사된 원수는 제1 단위 필터(130A)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필터링되며, 이후 세정관(124)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다.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26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hing tub 124 so that raw water flowing upward along the washing tub 124 is injected into the first unit filter 130A through the injection hole 126 To be filtered again. The raw water injected into the first unit filter 130A through the injection hole 126 is moved downward along the first unit filter 130A and is filtered and then moved upward through the tubing 124. [

농축수 배출관(119)은 그 단부가 원수 유입관(112)으로 연결되어 있어, 세정관(124)을 통해 이동하는 농축수가 원수 공급 펌프(140)를 통해 제1 필터 본체(110A)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119 has its end connected to the raw water inlet pipe 112 so that the concentrated water moving through the washing pipe 124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main body 110A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ump 140 .

농축수 배출관(119)는 처리수 배출관(116)과 원수 유입측을 연결하여, 처리수 배출관(116)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가 원수 유입관(1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119 connects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16 and the raw water inflow side so that a part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16 can be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inflow pipe 112.

다시,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제2 필터부(200)는 제1 필터부(100)에서 정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제1 처리수를 공급받고, 이에 대하여 제2 정수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정수 처리 효율의 향상을 위해 후술하는 공기 공급부(300)에서 미세 기포를 공급받는다. The second filter unit 200 receives the first treated water discharged and purified by the first filter unit 100, and performs the second purified water treatment.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ater treatment, fine bubbles are supplied from the air supplying unit 300 described later.

여기서, 제2 정수 처리는 공기를 추가로 공급하며 제1 필터부(100)에서 여과되지 못한 오염물질(크기 0.1~0.01㎛ 이상)을 제거할 수 있고 물속의 수인성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정수 처리이다. Here,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is a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which further removes contaminants (0.1 to 0.01 μm or more in size) that are not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100 and removes water-borne viruses in the water .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필터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ilter unit shown in Fig.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제2 필터부(200)는 제2 필터 본체(202), 제2 단위 필터(2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7, the second filter unit 200 includes a second filter body 202 and a second unit filter 210.

제2 필터 본체(202)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제2 단위 필터(21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필터 본체(202)에는 제1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과 후술하는 제2 단위 필터에서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body 202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includes a second unit filter 21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filter body 202 may be formed with an inlet hole through which water purified by the first filter section flows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water purified by the second unit fil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charged.

도 8와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2 단위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8 and 9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unit filter shown in Fig.

상기 제2 단위 필터(210)는 유동관(220), 중공사막(230), 제1 고정모듈(240) 및 제2 고정모듈(250)을 포함한다. The second unit filter 210 includes a flow pipe 220, a hollow fiber membrane 230, a first fixing module 240, and a second fixing module 250.

유동관(220)의 양단부에는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2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221 and the second connector 222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low tube 220.

상기 제1 커넥터(221)는 상기 원수와 공기가 각각 상기 유동관(220)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222)는 정수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통로와, 공기와 여과되지 아니한 농축수, 그리고 오염물질이 동시에 유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first connector 22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and air can flow into the flow pipe 220,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or 222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an be discharged,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 unfiltered concentrated water and pollutants can be simultaneously discharged.

즉, 상기 제1 커넥터(221)는 유동관(22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70)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미도시)에서 유입되는 상기 원수와 공기를 상기 유동관(220)으로 안내한다. That is, the first connector 22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low pipe 220 to supply raw water and air, which are introduced from a raw water supply pipe 70 for supplying the raw water and a supply pipe (not shown) (220).

이를 위해, 상기 제1 커넥터(221)의 일측에는 상기 원수공급관과 연통되는 원수 유입구(2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221)의 타측에는 공기공급관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221b)가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raw water inlet 221a communicating with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221, and an air inlet 221b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pip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221 .

상기 원수 유입구(221a)로 유입되는 원수와 공기 유입구(221b)로 유입되는 공기는 서로 섞인 상태로, 유동관(22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한다.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inlet 221a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221b are mov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flow pipe 220 while being mixed with each other.

상기 유동관(220)에서 원수와 섞인 공기는, 방울 형태로 유동관(220)의 상측으로 이동할수록 부풀어 올라, 중공사막(230) 사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중공사막 사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떼어내어 오염물질이 원수와 함께 떠오르도록 한다.The air mixed with the raw water in the flow tube 220 swells as the droplet moves upward to prevent the adhesion of contaminants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230, Remove the material and allow the contaminants to float with the raw water.

상기 제2 커넥터(222)는 중공사막(230)에서 필터링된 처리수와, 중공사막(230)에서 필터링되지 않는 농축수와, 유동관(2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및 농축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안내한다.The second connector 222 includes the treated water filter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the concentrated water not filter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the air flow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ow tube 220,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제2 커넥터(222)의 일측에는 처리수를 처리수 유출관(280)으로 안내하는 처리수 유출구(222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커넥터(222)의 타측에는 농축수와 공기가 혼합된 유체(이하 '혼합유체')를 순환관(410)으로 배출하는 유체 배출구(222b)가 각각 형성된다.To this end, a process water outlet 222a for guiding the process water to the process water outlet pipe 28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222. A fluid outlet 222b for discharging a fl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xed fluid') into which the concentrated water and air are mixed is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pipe 410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222.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처리수 유출관(280)은 처리수 유출구(222a)와 연통되고, 혼합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오염수 배출관(290)은 유체 배출구(222b)와 연통된다. 오염수 배출관(290)과 유체 배출구(222b)는 서브 배관(285)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280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communicates with the treated water outlet 222a and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290 for discharging the mixed fluid to the outside communicates with the fluid outlet 222b.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290 and the fluid discharge port 222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ub pipe 285. [

도 10은 도 8의 제2단위필터의 중공사막, 제1 고정모듈 및 제2 고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제2 단위 필터에 배치되는 중공사막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A-A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제2 고정모듈의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의 도면이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first fixing module and the second fixing module of the second unit filter of FIG. 8, FIG.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disposed in the second unit filter of FIG. 8,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0, and FIG. 13 is a view of the second fixed module of FIG. 10 viewed from above.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중공사막(230)은 유동관(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커넥터(221)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필터링한다.11 to 13,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is installed inside the flow pipe 220 to filter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nector 221.

상기 중공사막(230)은 양 단부가 상기 제1 고정모듈(240) 및 제2 고정모듈(250)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제1 고정모듈(240)은 상기 유동관(220)의 내부 하측 또는 상기 제1 커넥터(22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모듈(250)은 유동관(220)의 내부 상측 또는 제2 커넥터(222)에 설치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are fixed by the first fixing module 240 and the second fixing module 250, respectively. The first fixing module 24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w pipe 220 or on the first connector 221. The second fixing module 25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w tube 220 or on the second connector 222.

상기 제1 고정모듈(240)은 상기 중공사막(230)의 내부에 형성된 처리수 홀(230a)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중공사막(230)의 일단부, 즉 중공사막(230)의 하단부를 고정한다.The first fixing module 240 fixes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so that the treated water hole 230a form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처리수 홀(230a)은 제1 고정모듈(240)에 의해 원수 유입구(221a) 및 공기 유입관(310) 측과 차단된다. 즉, 제1 고정모듈(240)은 원수 유입구(221a) 및 공기 유입관(310)으로부터 유입된 필터링되지 않은 원수와 공기가 처리수 홀(23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water hole 230a is blocked by the first fixing module 240 from the raw water inlet 221a and the air inlet pipe 310 side. That is, the first fixing module 240 can prevent the unfiltered raw water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aw water inlet 221a and the air inlet pipe 310 from flowing into the treatment water hole 230a.

상기 제2 고정모듈(250)은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고정모듈(250)은 처리수 홀(230a)이 처리수 유출구(222a) 측으로 연통되도록 중공사막(230)의 타단부, 즉 중공사막(230)의 상단부를 고정한다.The second fixing module 2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pipe 220. The second fixing module 250 fixes the oth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so that the treatment water hole 230a communicates with the treated water outlet 222a side.

따라서 제1 커넥터(221)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중공사막(230)의 외부 공간(230b)에서 중공사막(230)을 관통하여 처리수 홀(230a)내부로 유동하면서 필터링될 수 있다.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nector 221 can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in the outer space 230b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and flowing into the treated water hole 230a.

그리고 원수가 중공사막(230)을 관통하여 생성된, 처리수 홀(230a) 내부의 처리수는 제2 커넥터(222)의 처리수 유출구(222a)를 통해 처리수 유출관(280)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The treated water inside the treated water hole 230a generated by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moves to 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280 through the treated water outlet 222a of the second connector 222 Can be discharged.

이때, 배출되는 처리수는 사용자에게 바로 공급될 수 있고, 별도의 정수 처리를 하여 장기간 보관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treated water to be discharged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user, and may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a separate water treatment.

한편, 중공사막(230)은,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PSF(폴리설폰), PES(폴리에테르설폰), PVDF(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 등의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can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SF (polysulfone), PES (polyether sulfon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도 14는 도 10의 제1 고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제1컵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제2컵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4의 제1 고정모듈의 분배판의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module of Fig. 10, Fig. 15 is a plan view of the first fixing module of Fig. 14,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up of the first fixing module of Fig. 14,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up of the first fixing module,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ion plate of the first fixing module of FIG.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모듈(240)은, 하부컵(241), 하부분배판(242) 및 분사관(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모듈(240)을 '중공사막 고정모듈'로 이름할 수 있고, 상기 하부컵(241)은 "컵"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분배판(242)은 분배판으로 이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to 17, the first fixing module 240 includes a lower cup 241, a lower portion plate 242, and a spray tube 243. The first fixing module 240 may be referred to as a 'hollow fiber membrane fixing module,' and the lower cup 241 may be referred to as a 'cup.' The lower partial plate 242 may be referred to as a distribution plate.

상기 하부컵(241)에는 상기 중공사막(230)의 일단부가 수용된다. 상기 중공사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처리수 홀(230a)은 상기 하부컵(241)의 하부면에 의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cup 241. The treatment water hole 230a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up 241.

상기 하부컵(241)은 상기 제1컵(411)과 복수의 제2컵(4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up 241 may include the first cup 411 and a plurality of second cups 412.

상기 복수의 제2컵(412)은 상기 제1컵(411)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컵(411)은 상기 복수의 제2컵(412)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second cups 412 are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up 411 and the first cups 411 are arrang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econd cups 412 do.

상기 제1컵은, 제1면(4111)과 제2면(41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up may include a first surface 4111 and a second surface 4112.

상기 제1면은 상기 하부분배판(242)에 안착된다. The first side is seated in the lower portion plate 242.

그리고 상기 제2면(4112)은 상기 제1면(4111)의 외주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는 상기 중공사막(23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공간(411a)을 형성한다. The second surface 4112 extends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urface 4111 and forms a first space 411a into which the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can be inserted.

상기 중공사막(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컵(411)에 채워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컵에 고정된다.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is fixed to the cup by an adhesive filled in the first cup 411.

상기 제1컵(411)의 내면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1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간(411a)을 향상 상기 제2면(4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주름(4113)이 2개 이상 형성된다. A first wrinkl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up 411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hat is, the first space 411a is improved. At least two first wrinkles 4113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4112.

그리고 상기 제1주름(4113)의 줄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nes of the first wrinkles 4113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주름(4113)의 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액상의 접착제가 상하로 형성된 상기 제1주름(4113)을 타고 하측으로 흘러 내릴 수 있어, 상기 제1공간(411a)에 접착제를 주입할 때, 접착제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a row of the first corrugations 411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quid adhesive can flow downward along the first corrugations 4113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spaces 411a When injected, bubbl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side the adhesive.

그리고 , 상기 제1주름(4113)의 줄은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름(4113)의 줄이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접착제와 제2면(4112)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어, 상기 중공사막(230)의 수축에 의하여, 상기 중공사막(23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컵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lines of the first corrugation 4113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not shown)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the line of the first wrinkles 411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4112 can be increased, and by the contra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up.

또한, 상기 제1주름(4113)의 줄은 상기 상하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름(4113)의 줄이 상기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공간(411a)에 접착제를 주입할 때 접착제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제와 제2면(4112)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row of the first corrugations 411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ne of the first fold 4113 is formed in the incline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adhesive when the adhesive is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411a,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4112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제1면(4111)의 외곽은 원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컵(411)은 원형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1면(4111)과 상기 제1면(41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면(4112)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4111 is preferably circular. In this case, the first cup 411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by the first surface 4111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shape and the second surface 4112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surface 4111 Lt; / RTI >

상기 제2컵(412)은, 각각 제3면(4121)과 제4면(4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up 412 may include a third surface 4121 and a fourth surface 4122, respectively.

상기 제3면(4121)은 상기 제1컵(411)의 제1면(4111) 또는 상기 제1컵(411)의 제2면(411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일 모서리가 만곡된 형상이고, 상기 하부분배판에 안착된다. The third surface 4121 is curved at one corner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4111 of the first cup 411 or the second surface 4112 of the first cup 411, And is seated in the lower partial plate.

상기 제4면(4122)은 상기 제3면(4121)의 외주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제2공간(41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컵(411)의 제2면(4112)과 일면이 밀착된다. The fourth surface 4122 extends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surface 4121 and forms a second space 412a therein. The fourth surface 4122 has a second surface 4112a, which faces the second surface 4112 of the first cup 411, Respectively.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면의 만곡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4면의 일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하여 상기 제1컵의 제2면과 밀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fourth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curved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may be in a curved shape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cup.

다만, 상기 제1면(4111)은 외곽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4면(4122)의 일부분은 복수의 면이 굽어진 형상을 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4111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fourth surface 4122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상기 제2컵(412)이 내부에 원형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제1컵은 상기 제2컵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up 412 is arranged to form a circular space therein, the first cup may be disposed in a circular space formed by the second cup.

상기 제2컵(412)은 4개 내지 6개가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four to six second cups 412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제2컵이 3개 이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컵의 내부공간이 넓어져 상기 제2컵에서 고화된 접착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number of the second cups is less than three,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cup is widened, and the adhesive solidified in the second cup is broken.

상기 제2컵(412)이 7개 이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컵의 내부공간이 좁아져 상기 제2컵에 상기 분사관(243)의 고정이 어렵고, 상기 분사관(243)의 직경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number of the second cups 412 is seven or more, the inner space of the cup is narrow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fix the injection tube 243 to the second cup. When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tube 243 is small There is a problem.

상기 제2컵도 상기 제1컵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4면의 내측면에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제2주름이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As with the first cup, the second cup may have at least two second wrinkl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surface for enhanc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상기 제2주름(4123)의 줄은 상기 상하 방향, 상기 수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ow of the second corrugations 4123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inclined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2주름(4123)도 상술한 제1주름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wrinkle 4123 may have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wrinkle.

상기 하부분배판(242)은 지지단(421), 지지돌기(422) 및 고정돌기(4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partial plate 242 may include a support end 421, a support protrusion 422, and a fixing protrusion 422.

상기 지지단(421)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홀(421a)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의 상면은 상기 제1홀(421a)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A first hole 421a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s formed in the support end 421.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end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hole 421a.

그리고 상기 제1홀(421a)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는 유체유입관(424)이 고정된다. 상기 유체유입관(424)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제1홀(421a)을 통과하여 상기 제1컵 및 상기 제2컵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A fluid inlet pipe 424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en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e 421a.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pipe 424 may flow to the first cup and the second cup side through the first hole 421a.

상기 지지돌기(422)는 상기 제1홀의 외주에서 외측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단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support protrusions 422 are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ole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상기 각 지지돌기(422)는 제1지지돌기(4221)와 제2지지돌기(4222)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422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4221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4222.

상기 제1지지돌기에는 상기 제1컵의 하면이 안착된다. 상기 제2지지돌기(4222)는 상기 제1지지돌기(4221)의 상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컵(411)의 측면과 접촉되는 수직면(4222a)과 상기 수직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2컵(412)의 하면이 안착되는 수평면(4222b)을 구비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p is seated o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4222 is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4221 and is connected to a vertical surface 4222a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up 411 and the vertical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4222b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4222b is seated.

즉, 상기 제1컵(411)은 상기 제1지지돌기(4221)의 상면과 제2지지돌기(4222)의 측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컵(412)은 상기 제2지지돌기(4222)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cup 411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422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4222, and the second cup 412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4222 As shown in Fig.

상기 고정돌기(423)는 상기 지지단의 외각에 2개 이상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컵에 형성된 고정홈(412b)에 삽입된다. At least two fixing protrusions 423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end and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412b formed in the second cup.

따라서, 상기 제2컵은 상기 고정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돌기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cup can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by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분사관의 일단은 상기 하부컵의 내부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컵의 상부로 노출된다. One end of the spray tube is fix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p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up.

상기 분사관(243)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통홀(431a,432a)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관이 고정되는 상기 하부컵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Through holes (431a, 432a)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are formed in the spray tube (243). And a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cup on which the injection tube is fixed.

상기 하부분배판(242)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연결홀 및 상기 관통홀을 지나 상기 중공사막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The fluid flowing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ial plate 242 can flow through the connection holes and the through holes an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s.

상기 분사관(243)의 상기 관통홀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분사관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중공사막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공사막에 붙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의 접착에 의하여 상기 중공사막의 외곽면이 서로 붙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air flows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pray tube 243,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pray tube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to remove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each other.

상기 분사관(243)은 상기 제1컵(411)에 고정되는 제1분사관(431)과 상기 제2컵(412)에 고정되는 제2분사관(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관(431)에는 제1관통홀(43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관(432)에는 제2관통홀(432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pray tube 243 may include a first spray tube 431 fixed to the first cup 411 and a second spray tube 432 fixed to the second cup 412. A first through hole 43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pipe 431 and a second through hole 432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jection pipe 432.

상기 제1분사관(431)의 제1관통홀의 단부의 직경(D1)은 상기 제2분사관의 제2관통홀의 단부의 직경(D2)보다 큰 경우, 상기 중공사막의 중심에서 외부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상기 중공 사막(230) 사이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When the diameter D1 of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first injection pipe 43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injection pi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230.

상기 분사관(243)은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관통홀의 직경도 하측이 상측보다 클 수 있다. The spray tube 243 may have a shape that narrows from the lower part toward the upper part. Accordingly,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may be larger than the upper side.

따라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제1,2관통홀을 통과하는 공기는 그 속도가 빨라져, 상기 중공사막 사이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s accelerated, and the contaminants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상기 정수 장치는 이격프레임(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frame 260.

상기 이격프레임(26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컵(241) 또는 상기 하부분배판(242)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프레임의 외주에는 유체가 흐르는 유동관의 내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이격돌기가 형성된다. An insertion space through which the lower cup 241 or the lower portion plate 24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pacer frame 260.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acer fram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상기 하부컵은 상기 이격프레임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이격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The lower cup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spacer frame and be supported by the spacer frame.

복수의 이격돌기와 상기 유동관의 내면 사이 공간으로는 상기 원수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데,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원수 및 공기가 부딪쳐 상기 원수와 공기가 더욱 혼합되게 할 수 있다. The raw water and the air may flow through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jection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tube. The spaced apart projections may further mix the raw water and air by the impact of the raw water and the air.

도 19는 도 10의 제2 고정모듈의 사시도이다.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ecuring module of Figure 10;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모듈(250)은 상부컵(251)과 고정프레임(25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second fixing module 250 may include an upper cup 251 and a fixing frame 252.

상기 상부컵(251)은 상기 중공사막(230)의 상단부가 수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52)에는 상기 상부컵(251)이 안착된다. The upper cup 251 receives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The upper frame 251 is seated on the fixed frame 252.

상기 상부컵(251)은 관 형상으로 상하로 관통된다. 상기 중공사막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상부컵의 내부에 고정된다. The upper cup 251 is vertically penetrated in a tubular shape.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up by an adhesive.

상기 중공사막의 상기 처리수 홀(230a)은 상기 생산수 유출구(222a)와 연통된다. The treated water hole (230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ommunicates with the produced water outlet (222a).

상기 중공사막의 상기 처리수 홀(230a) 내부의 처리수는 상기 상부컵(251)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30)의 상기 처리수 홀에서 배출된 상기 처리수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처리수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처리수 유출관으로 이동할 수 있다. Treated water inside the treated water hole 230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up 251. [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treated water hol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can be moved to 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through the treated water outlet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2 고정모듈은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 공간을 상기 생산수 유출구와 연결된 제1구역(S1)과, 상기 유체배출구와 연결된 제2구역(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module may divide an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connector into a first area S1 connected to the produced water outlet and a second area S2 connected to the fluid outlet.

상기 제1구역(S1)은 상기 중공사막(230)의 상기 처리수 홀(230a)과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제1구역(S1)에는 상기 중공사막의 상기 처리수 홀(230a)에서 배출된 상기 처리수만 유동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zone S1 is communicated with the treatment water hole 230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the first zone S1 is formed in the first zone S1, Only process water can flow.

상기 제2구역(S2)의 상기 혼합유체는, 상기 제2 고정모듈(250)에 의하여 상기 제1구역으로의 유동이 차단되고, 상기 유체배출구(222b)를 통하여 오염수 배출관(290)으로 유동한다. The mixed fluid in the second zone S2 is blocked by the second fixing module 250 to the first zone and flows into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290 through the fluid outlet 222b. do.

상기 중공사막(23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컵(251)에 채워진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상부컵(25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may be fixed to the upper cup 251 by an adhesive filled in the upper cup 251.

상기 상부컵(251)의 내면에는 내부로 돌출된 고정막(5112,5122)이 구비될 수 있다. Fixing films 5112 and 5122 protruding inwar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up 251.

상기 상부컵(251)은, 제3컵(511)과 복수의 제4컵(5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up 251 may include a third cup 511 and a plurality of fourth cups 512.

상기 제3컵(51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4컵(512)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4컵(512)의 배치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3컵(511)이 배치된다. A plurality of fourth cups 512 ar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cup 511 and the third cup 511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fourth cups 512 .

상기 제1컵 및 상기 제2컵과 동일하게, 상기 제3컵의 내부에는 제3주름(5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4컵의 내부에는 제4주름(5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주름과 제4주름은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여줄 수 있다. As in the first cup and the second cup, a third corrugation 5111 may be formed in the third cup, and a fourth corrugation 5121 may be formed in the fourth cup. The third wrinkle and the fourth wrinkle can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상기 중공사막(230)의 일부는 서로 마주보며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1컵과 상기 제3컵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중공사막의 다른 일부는 서로 마주보며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2컵과 상기 제4컵을 연결한다. The second cup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first cup and the third cup, the other par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acing the first cup, Connect the fourth cup.

도 20은 도 8의 제2단위필터에서 원수가 정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raw water is purified in the second unit filter of FIG. 8. FIG.

상기 원수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된 상기 원수는 상기 제1 커넥터(221)의 상기 원수 유입구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된다.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flows into the raw water inlet of the first connector 221. At the same tim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flows into the air inlet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원수 유입구와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내부에서 혼합된다.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inlet and the air inlet of the first connector are mixed inside the first connector.

상기 원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기 혼합유체 상기 분사관과 상기 복수의 이격돌기와 상기 유동관의 내면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중공사막의 외부로 유동한다. The mixed fluid in which the raw water and air are mixed flows ou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pray tube and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jection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tube.

이 때, 상기 혼합유체 내부의 공기는 상기 중공사막 사이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중공사막 사이에 쌓인 오염물질을 떠오르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inside the mixed fluid may prevent contaminants from accumulating in the hollow fiber membranes or may flood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s.

즉, 상기 분사관을 통하여 상기 중공사막으로 배출된 상기 혼합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상기 유동관의 하측 중심부에서 상기 유동관의 상측 외각부를 향하여 유동하면서, 상기 중공사막 사이에 쌓인 오염물질을 떠오르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air contained in the mixed fluid discharg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the spray pipe flows from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flow pipe toward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low pipe, thereby floating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s have.

상기 오염물질은 농축수와 함께 상기 제2구역을 지나 상기 제2 커넥터의 유체배출구를 통하여 오염수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오염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오염수는 순환관을 통하여 상기 제1필터부로 유동된다. The pollu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the fluid outlet of the second connector through the second area together with the concentrated water, and the pollu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flows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to the first filter unit Flow.

도 21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230)에 적용되는 브레이드 복합막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2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mposite composite membrane appli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도시된 브레이드 복합막은 스폰지 형태로 가압운전에 따른 막의 압밀화 현상에 따른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별도의 역세척없이도 장시간동안 성능의 유지가 가능하다. The braided composite membrane shown in FIG. 21 has a restoring force in the form of a sponge due to the phenomenon of compaction of the membrane due to pressurization operation, and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performing another back washing.

또한, 중공사막(230) 이외에도 상기한 제2 정수 처리가 수행된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230,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second pur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공급부(300)는 제2 필터부(200)로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공기공급부(300)가 공급하는 공기에는 미세한 기포(예를 들어 직경 0.015㎛)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air supply unit 300 supplies air to the second filter unit 200. Here, it is preferable that fine air bubbles (for example, 0.015 mu m in diameter) are included in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part 300. [

상기 공기공급부(300)는 상기 제2 필터부(200)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2필터부에 오염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2필터부(210)에 붙은 오염물질을 떼어낸다. The air supply unit 300 supplies air to the second filter unit 200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adhering to the second filter unit or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second filter unit 210 I will.

상기 제2필터부에서 떨어져 나간 오염물질은 농축수와 함께 상기 순환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순환관(410)은 제2 필터부(200)에서의 농축수 및 오염물질을 제1 필터부(100)로 순환시켜 제1 필터부(100)에서 상기 오염물질이 재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순환관(410)에 의한 농축수의 순환에 의해 농축수는 방류되지 않으므로, 100%의 회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The circulation pipe 410 circulates the concentrated water and pollutants in the second filter unit 200 to the first filter unit 100 So that the pollutants can be reprocessed in the first filter unit 10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Since the concentrated water is not discharged due to the circulation of the concentrated water by the circulation pipe 410, the recovery rate of 100% can be achiev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상기 제2필터부의 오염물질을 농축수와 함께 상기 제1필터부로 회수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2필터부에 대한 별도의 역세척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in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e backwashing process for the second filter unit is required by collecting the contaminants of the second filter unit together with the concentrated water to the first filter unit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별도의 역세척 공정을 진행하지 않는 연속운전이 가능하므로 기계설비 온/오프 조작이 필요 없는 간편한 운전조건을 가지며, 잦은 온/오프로 인한 고장을 감소시켜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mple operation condition that does not require a mechanical on / off operation because continuous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backwashing process is possible and maintains maintenance by frequent on / And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제1 필터부(200)와 상기 제2 필터부(200) 사이에는 버퍼 탱크(400)가 배치된다. A buffer tank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 200 and the second filter unit 200.

상기 버퍼 탱크(400)는 제1 필터부(100)에서 배출되는 제1 처리수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The buffer tank 400 may temporarily store the first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10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100, 100A: 제1 필터부 200: 제2 필터부
300: 공기공급부 400: 버퍼 탱크
410: 순환관
10: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100, 100A: first filter unit 200: second filter unit
300: air supply unit 400: buffer tank
410: Circulation tube

Claims (14)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며, 내주면 상에는 나선형의 분리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1 필터 본체와, 상기 제1 필터 본체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본체 내부로 처리 대상인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 유입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타측으로 배치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와, 상기 필터 배치 플레이트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필터와,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내측에 복수로 배치되고, 외주 상에는 상기 제1 단위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 배치통과,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상부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 본체 내부에서 처리된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 배출관과, 상기 제1 필터 본체 하부로 배치되어 상기 분리 가이드와 상기 제1 단위 필터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필터 배치통 내측 하부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 배치통 상부의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상으로는 상기 제1 단위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분사홀이 복수로 형성되는 세정관을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정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정수 처리하여 농축수를 배출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의 정수 처리에 사용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제2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를 상기 제1 필터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
상기 원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는 원수 공급 펌프;
상기 슬러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액을 수집하는 슬러지액 수집조; 및
상기 슬러지액 수집조에 수집된 슬러지액에서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액 분리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A first filter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ing a space therein and having a helical separation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first filter body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A filter discharge plate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and a filt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A plurality of first unit filters arranged to be interchangeably arranged in the first filter body, a plurality of filter arrangements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lter body in which the first unit filters are arranged, A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concentrated water processed in the first filter body is discharged; And a sludg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ludge separated by the first unit filter, and a sludg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ludge separated by the first unit filter, one end of the sludge discharge pipe being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filter arranging cylinder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i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arranging cylinder, A first filter unit including a cleaning tub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rst unit filter, the first filter unit treating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A second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treated water that is purified and discharged in the first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concentrated water;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used in the water treatment of the second filter unit;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unit to the first filter unit;
A raw water supply pump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inlet pipe;
A sludge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the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And
And a sludge 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ludge from the sludge liquid collected in the sludge liquid collecting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저장하는 버퍼 탱크를 더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uffer tank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second filter unit and storing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 배출관은,
상기 농축수를 상기 원수 유입관으로 순환시키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entr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concentrated water is circulated to the raw water inflow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액 분리부는,
상기 원수 공급 펌프와 동력을 공유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udge liquid separator comprises: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sharing power with the raw water supply pu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관은,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w water inflow pipe comprises:
Wherein the filter is dispos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배치통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필터 본체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 배치 플레이트와,
상기 원수 유입관을 통한 상기 원수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필터 배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ilter arrangement pl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lter arrangement cylinders are disposed and rotatably arrang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filter arrangement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flow direction of the raw water through the raw water inle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필터는,
MF(Micro filtration) 필터, UF(Ultra filtration) 필터, NF(Nano filtration) 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unit filter comprises:
An emergency mobile membrane filtr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any one of a microfiltration (MF) filter, an ultrafiltration (UF) filter, and a NF (Nano filtration)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유입홀과 제2 배출홀이 형성되고 내부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필터 본체와,
상기 제2 필터 본체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에 대하여 제2 정수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위 필터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단위 필터로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lter unit includes:
A second filter body formed with a second inlet hole and a second outlet hole and providing a space therein;
A second unit filter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body to perform a second water treatment on the treated water,
And an air inlet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second unit fil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필터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필터링하는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컵과, 상기 컵이 안착되는 분배판 및 상기 중공사막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컵의 하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유체를 상기 중공사막 사이로 분사시키는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컵은 제1컵과 상기 제1컵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컵을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unit filter comprises:
A flow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 hollow fiber membrane disposed inside the flow tube to filter the flui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up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cup on which the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accommodated and the one end of the distribution plate on which the cup is seated and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a jetting tube for jetting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Wherein the cup includes a first cup and a plurality of second cup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u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홀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제1홀의 외주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방사형으로 상기 지지단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단의 외각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컵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support stage having a first hole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in a radial mann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ole, a fixing protrusion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end and being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cup, Wherein the membrane filter is a membrane fil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1컵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1지지돌기와, 상기 제1컵의 측면과 접촉되는 수직면과 상기 제2컵의 하면과 접촉되는 수평면을 구비한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pport protrus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p,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that has a vertical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up and a horizontal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up. Portable membrane filtration purification device.
KR1020170020099A 2017-02-14 2017-02-14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KR1019502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99A KR101950246B1 (en) 2017-02-14 2017-02-14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99A KR101950246B1 (en) 2017-02-14 2017-02-14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07A KR20180094207A (en) 2018-08-23
KR101950246B1 true KR101950246B1 (en) 2019-02-22

Family

ID=6345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99A KR101950246B1 (en) 2017-02-14 2017-02-14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2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4795A4 (en) * 2019-03-05 2023-01-11 Arc Medical De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angential flow filtration of viscous compositions
US11628183B2 (en) 2018-07-27 2023-04-18 ARC Medical Ine. Highly purified fucans for the treatment of fibrous adhes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34B1 (en) * 2020-06-25 2021-03-15 황재룡 Apparatus for distributing water flow of water treatment facility
JP7079887B1 (en) * 2021-11-04 2022-06-02 株式会社クボタ How to use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set and how to operate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66B1 (en) * 2007-01-15 2008-02-21 주식회사 필텍코리아 Separation membrane device, and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971536B1 (en) * 2009-12-21 2010-07-21 한삼코라(주)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ter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82B1 (en) * 2002-06-20 2004-08-25 김정학 System and apparatus for filtering water using hollow fiber membrane
KR20110135021A (en) * 2010-06-10 2011-12-16 김응우 Moving type water purifier apparatus
KR101625603B1 (en) * 2014-10-29 2016-05-31 (주)필로스 Module for fixing a bund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and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66B1 (en) * 2007-01-15 2008-02-21 주식회사 필텍코리아 Separation membrane device, and wastewater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971536B1 (en) * 2009-12-21 2010-07-21 한삼코라(주)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terwor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8183B2 (en) 2018-07-27 2023-04-18 ARC Medical Ine. Highly purified fucans for the treatment of fibrous adhesions
US11642368B2 (en) 2018-07-27 2023-05-09 ARC Medical Inc. Highly purified and/or modified fuca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fibrous adhesions
EP3934795A4 (en) * 2019-03-05 2023-01-11 Arc Medical De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angential flow filtration of viscous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07A (en)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246B1 (en) Portable membran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US6402956B1 (en)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employing spiral wound type membrane module
JP4951860B2 (en) Method for producing permselective membrane module and permselective membrane module
US20050161389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nit, membran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5156118A1 (en) Oil-water separation treatment system and oil-water separation treatment method
KR101847512B1 (en) Portable 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for emergency
KR101392755B1 (en) Wastewater disposal plant using tubular membrane
JP2008183513A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JP4454091B2 (en) Spiral membrane module and spiral membrane element loading method
KR101226656B1 (en) Filtration system with flexible density filtering media and easy backwash system
CN207986960U (en) A kind of waste liquid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KR10107595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discharge water by using adsorptive separation
KR102431850B1 (en) Filtering apparatus
JP2015123436A (en) Water treatment method
KR101516726B1 (en) Up-flow gravity continuous filter
KR101345261B1 (en) Filtering apparatus without back wash
KR102416436B1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facilities including multi-stage screen facilities
KR102122007B1 (en) Filterless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1974612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in-out mode with high washing efficiency
KR100598135B1 (en) Underwater automatical washing filter apparatus for purifying of lake and washing process thereof
RU59997U1 (en) WATER TREATMENT UNIT
RU2077510C1 (en) Apparatus for producing drinking water
JP2009024111A (en) Coal dressing system
KR101770964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515685B1 (en) Membrane module comprising section divid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