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965B1 -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965B1
KR101949965B1 KR1020180049997A KR20180049997A KR101949965B1 KR 101949965 B1 KR101949965 B1 KR 101949965B1 KR 1020180049997 A KR1020180049997 A KR 1020180049997A KR 20180049997 A KR20180049997 A KR 20180049997A KR 101949965 B1 KR101949965 B1 KR 10194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aste wire
wire
delete delet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윤기
김지은
연홍숙
정유석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모두의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두의환경 filed Critical (주)모두의환경
Priority to KR102018004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9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comprising: a rolling roller which pressurizes a waste wire while moving the waste wire; a cutting portion for peeling off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of the pressurized waste wire; an extruding roller for inducing the separation of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of the cut waste wire; and a crushing member for finely separa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ste wire separated by the cutting portion.

Description

폐전선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device for a waste wire and 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a waste wire includ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광케이블을 포함하는 폐전선의 자원화를 위한 폐전선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존의 최외각 외피만 제거하는 방법을 보완하여, 폐전선의 금속케이블 내지 광섬유 등을 재질별로 선별하여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 waste wire for the recycling of a waste wire including an optical cable and 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the waste wire including the waste cab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ffectively separating metallic cables, optical fibers, and the like of wires from each other by materials and 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the waste wires including the same.

광케이블은 전기 신호를 광선 신호로 바꾸어 유리섬유를 통하여 전달하는 케이블로서,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심(Core), 내피복재 및 외피복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tical cable is a cable for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into a ligh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the glass fiber. The cable may be composed of a core, an inner covering material and an outer covering material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ide.

상기 심은 매우 가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광섬유로서 주요성분은 이산화규소(SiO2)이고, 이에 미량의 게르마늄(Ge) 등이 첨가되며, 상기 심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 튜브층이 내피복재로 사용되고 있다.The shim is an optical fiber made of very thin glass or plastic. The main component is silicon dioxide (SiO 2 ), and a small amount of germanium (Ge) is added thereto. In order to protect the shim, a metal tube layer is used as an inner covering material.

또한, 상기 내피복재의 외면에는 상기 내피복재를 피복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내피복재의 외측면에 습기를 차단하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 소재의 외피복재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uter cover material of a polymer resin materia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material to cover the inner cover material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being blo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material by using an adhesive.

이와 같은 광케이블 하나는 하나의 파장을 사용할 때 전송속도가 최대 2.5 Gbps 정도이며, 여러 파장을 동시에 전송하여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 많은 설치가 가능한 바, 광역으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One such optical cable has a transmission speed of up to 2.5 Gbps when using one wavelength, and it can increase transmission speed by transmitting several wavelength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fer a large amount of data, and a large space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상기 광케이블은 국내 통신망 발달과 함께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아파트 내지 산업 단지 등의 조성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The demand for the optical cable has been explosively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mmunication networks, and it is increasingly necessary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quickl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an apartment or an industrial complex.

반면에,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내지 신축을 위하여 기존의 광케이블을 제거하고 더욱 기능이 향상된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 폐전선이 발생되는데, 상기 폐전선을 종합적으로 재활용하는 장치가 부재하여 재활용 처리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에서도 폐전선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바, 국내 폐전선 처리 방법 및 비용은 관련 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modeling or expanding existing buildings, existing optical cables are removed, and in the case of using more advanced optical cables, waste wires are generated. Since there is no apparatus for collectively recycling the waste wires, . In addition, recently, China has also banned the import of waste wires, which is a burden on the related industries.

현재 폐전선의 재활용율은 30% 정도의 수준인 바, 상기 재활용율을 90% 이상으로 높일 수 있는 친환경 재활용 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At present, the recycling rate of the waste wire is about 30%, and there is a high ne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recycling equipment that can raise the recycling rate to 90% or more.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광케이블의 휘거나 구부러진 부분들을 곧게 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직선화 수단; 상기 직선화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광케이블의 외피를 절개하는 절개 수단; 상기 절개 수단에서 외피가 절개된 광케이블을 고주파 유도가열하여 외피를 연화시키는 고주파 유도가열 수단; 및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광케이블의 외피가 내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피를 탈피하는 탈피 수단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탈피장치를 개시한다.In this connectio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2000-228054 discloses a linearizing means for straightening bent or bent portions of an optical cable and forwarding the bent portions. A cutting means for c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ptical cable supplied from the linearizing means; A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means for inducing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of the optical cable whose sheath is cut by the incision means to soften the sheath; And a peeling means for peeling off the sheath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optical cable heated by the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means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ptical fiber.

상기 특허문헌 1은 광케이블의 내피와 외피를 분리 회수하는 방법을 개시하나, 광섬유의 회수 방법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of an optical cable, but fails to disclose a method of recovering the optical fiber.

특허문헌 2는 휘거나 구부러진 광케이블을 곧게 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직선화 수단과, 상기 직선화 수단에 의해 공급된 광케이블의 외피를 절개하는 절개수단과, 광케이블에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해 외피를 박피하는 고주파 유도가열 수단과, 외피를 탈피하는 박피수단을 포함하는 박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박피장치에 의해 박피된 외피는 외피 절단장치에 의해 일정크기의 칩 형태로 절단되고, 박피장치에 의해 박피된 심지는 심지 절단장치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박피 및 재활용 장치 어셈블리를 개시한다.Patent Literature 2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linearizing means for straightening bent or bent optical cables forward, forwarding the bent or bent optical cables, cutting means for c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ptical cable supplied by the linearizing means, And a peeling device comprising peeling means for peeling off the sheath, wherein the peeled sheath is cut into chips of a predetermined size by a sheath cutting device, and the peeled wick by the peeling device is cut into chips Disclosed is an optical cable peeling and recycling apparatus assembly configured to b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by a cutting apparatus.

상기 특허문헌 2는 유도코일 부재로 광케이블을 가열하여 심지의 온도상승에 의해 외피가 연화되어 심지로부터 분리되는 방법을 사용하고, 심지를 분쇄하지 않고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the optical cable is heated by the induction coil member to soften the outer skin by the rise of the core temperature and separate from the core, and the core is cut into a certain size without crushing the core.

특허문헌 3은 폐기된 광케이블을 파쇄 및 분쇄하고, 열을 가한 후 충격을 인가하며, 필터링하고, 다시 충격을 인가하고 열풍을 가한 후, 다시 열을 가하여 광케이블을 형성하는 플라스틱류 및 금속류를 각각 완전히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자동 장치를 개시한다.Patent Literature 3 discloses a method in which the discarded optical cable is crushed and pulverized, heat is applied, impact is applied, the filter is applied, the impact is applied again, hot air is applied, Disclosed is an automatic recyc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cycled separately.

상기 특허문헌 3의 장치는 광케이블을 먼저 파편으로 파쇄하고, 분쇄기로 분쇄하는 과정으로 시작되는 바, 서로 다른 소재들이 완전히 혼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가열하거나, 자석벨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The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3 starts with the process of crushing the optical cable with the debris first and crushing with the crusher. Since the different materials are completely mixed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heat them in order to separate them effectively, Lt; / RTI >

특허문헌 4는 다수 개의 광섬유 다발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철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내피와,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케이블을 외피 및 다수 개의 광섬유 다발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내피로 분리하기 위한 폐광케이블 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Patent Literature 4 discloses an optical fiber bundl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fiber bundles and a plurality of optical fiber bundles enclosing the bundle of optical fibers, the bundle including an inner skin made of iron or aluminum and an outer skin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kin, To an endothelium enclosed by an endoscope.

특허문헌 4의 폐광케이블 분리시스템은, 광케이블을 커팅하고 이에 진동과 열을 가하여 외피를 내피로부터 탈리시키고, 상기 외피가 분리된 커팅된 광케이블을 수조에 넣고 비중에 의해 외피와 내피를 분리하며, 이와 같이 분리된 외피와 내비를 건조하여 배출하고, 상기 배출된 내피를 알루미늄 재질의 내피 또는 철 재질의 내피로 각각 분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the abandoned light cable separating system of Patent Document 4, the optical cable is cut, vibration and heat are applied thereto to separate the outer skin from the inner skin, the cut optical cable separated from the outer skin is put into a water tank and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are separated by specific gravity The separated outer shell and inner shell are dried and discharged, and the discharged inner shell is separated into an inner skin of aluminum material or an inner skin of iron material, respectively.

즉, 특허문헌 4는 폐광케이블의 소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비중선별부, 건조부 및 열풍 분사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That is, Patent Document 4 includes processes such as a specific gravity separator, a drying unit, and hot air blowing to separate the material of the abandoned light cable.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들에 기재된 발명들은 폐전선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치들을 포함하여 공정 설계 및 비용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되거나, 폐전선의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층 등의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활용 비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Thus, although the invention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disclose a technique for recycling a used wire, it is pointed out that a process design and a cost problem including devices having various functions are pointed out as disadvantag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ycling rate is low because the adhesive layer and the like are not collected.

이에, 폐전선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 수거하여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폐전선들에 적용이 가능하면서 친환경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재활용율이 높은 분리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recycle the waste wire components by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waste wire, there is a high need for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s having various diameters, and a separation technique with high recycling rat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20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392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1933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1933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7080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708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8304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83045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하던 열처리(고주파, 유도 가열 등) 내지 습식법(용제)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폐전선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폐전선의 다양한 직경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폐전선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separating waste wires by using a mechanical method without using heat treatment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separating waste wires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to various diameters of electric wires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분리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폐전선을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압연 롤러;A rolling roller which pressurizes the waste wire while moving it;

상기 가압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를 피복하기 위한 컷팅부;A cutting portion for covering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of the pressurized lung wire;

컷팅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의 분리를 유도하기 위한 돌기형 롤러; 및A protruding roller for guiding the separation of the out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cut waste wire; And

상기 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폐전선의 내피를 세부적으로 파쇄하는 파쇄 부재;A crushing member for finely crushing an inner surface of the waste wire separated by the cutting unit;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상기 압연 롤러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The rolling roller may consist of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and may be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상기 폐전선의 외경은 상기 압연 롤러에 의해 10% 내지 20% 감소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can be reduced by 10% to 20% by the rolling roller.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폐전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컷팅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tt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cutting member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losed wire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폐전선의 중심부까지 컷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컷팅 부재의 일측 끝단이 상기 폐전선의 내피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cut end of the cutting member may exte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wire so that cutting is performed to the center of the closed wire.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압연 롤러의 롤링면 외면에 칼날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utting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lade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a rolling surface of the rolling roller.

상기 돌기형 롤러에 의해 상기 폐전선은 두 가닥의 외피 및 내피와 한 가닥의 광섬유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By the protruding roller, the waste wire can be separated into two strands of an outer skin and an inner skin and one strand of the optical fiber layer.

상기 돌기형 롤러의 롤링면에는 수직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triangular or quadrangular shape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on the roll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roller.

상기 파쇄 부재는 기어형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rushing member may be a gear type roller.

상기 기어형 롤러는 동종 또는 이종의 단위 롤러들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ear type roll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unit rollers of the same kind or different types are combined.

상기 파쇄 부재는 폴리머 소재의 외피는 통과시키고 금속 소재의 내피는 파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shredding member may be a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sheath of the polymer material and shreds the inner surface of the metal material.

본원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은,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a wast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폐전선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전선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 롤러;A guide roller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for transferring the waste wire in one direction;

상기 가이드 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을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압연 롤러;A rolling roller for moving and pressing the waste wire passed through the guide roller;

상기 가압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를 피복하기 위한 컷팅부;A cutting portion for covering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of the pressurized lung wire;

컷팅된 폐전선 외피 및 내피의 분리를 유도하기 위한 돌기형 롤러;A protruding roller for guiding separation of the cut lung wire sheath and the inner sheath;

상기 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폐전선의 내피를 세부적으로 분리하는 제1파쇄 부재;A first crushing member for finely separating an inner surface of a waste wire separated by the cutting portion;

상기 파쇄 부재에 의해 파쇄된 금속 파티클을 수거하는 제1수거부;A first number rejecting means for collecting the metal particles shredded by the crushing member;

상기 파쇄 부재를 통과한 폐전선의 외피를 파쇄하는 제2파쇄 부재; 및A second crushing member for crushing an envelope of the waste wir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member; And

상기 제2파쇄 부재에 의해 파쇄된 폐전선의 외피를 수거하는 제2수거부;A second number rej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jacket of the waste wire broken by the second crushing member;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roller may be composed of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may be adjustable.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은 탄성 소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may be controlled by an elastic materi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은, 다양한 직경을 갖는 폐전선들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1대의 기계 설치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the used wire including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waste wires having various diameters,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efficiently by installing one machine. Do.

또한, 폐전선의 외피 뿐만 아니라 내부 금속 소재들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해 선별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높은 회수율을 얻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llect all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inner metal materials as well as the jacket of the waste wire by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and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obtaining a high recovery rate.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압연 롤러 및 컷팅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형 롤러 일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형 롤러 일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파쇄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파쇄 부재 1단위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부가 형성된 압연 롤러의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portion of 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a wast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roller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Fig.
Fig. 4 is a side view of the rolling roller and cutting portion of Fig. 1;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rotruding 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rotruding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front view of the shred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of Fig. 7. Fig.
Figure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it of the shredding member of Figure 7;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ing roller having a cutting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원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분리 장치는, 폐전선을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압연 롤러, 상기 가압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를 피복하기 위한 컷팅부, 컷팅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의 분리를 유도하기 위한 돌기형 롤러, 및 상기 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폐전선의 내피를 세부적으로 파쇄하는 파쇄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 use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lling roller for pressing and pressing a waste wire, a cutting part for covering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of the pressurized wire, inducing separation of the outer and inner skin of the cut wire, And a crushing member for finely crus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ste wire separated by the cutting portion.

상기 폐전선은 광섬유들로 이루어진 광섬유층을 중심으로, 그 외면은 금속 튜브로 이루어진 내피가 위치하며, 상기 내피의 외면에는 접착층이 위치하여 상기 내피와 최외측에 위치하는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진 외피를 고정하고 있다.The waste wire is positioned on an optical fiber layer made of optical fibers and has an outer surface made of a metal tube. An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a sheath made of a polymer material positioned on the outermost surface .

상기 폐전선의 분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폐전선의 외피로서 소정의 탄성이 있는 폴리머 수지를 사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외피를 압축하여 컷팅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전선을 가압하는 압연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전선이 압축된 상태에서 컷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컷팅부는 상기 압연 롤러에 부가된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압연 롤러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In view of the fact that a polymer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is used as an outer sheath of a waste wire, in order to improve the cutting force by compressing the outer sheath, the separation device for the waste wire has a rolling roller . Further, the cutting portion may be a structure added to the rolling roller, or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rolling roller, in order to perform cutting in a state where the waste wire is compressed.

일반적으로, 폐전선의 외피인 폴리머 튜브층과 광섬유를 감싸는 내피인 금속 튜브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위치하는 바,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폴리머 튜브층과 금속 튜브층의 분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폐전선의 폴리머 튜브층, 접착층 및 금속 튜브층을 피복한 후, 상기 폴리머 튜브층을 상기 금속 튜브층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형 롤러 사이에 컷팅된 폐전선을 통과시킨다.Generally, an adhes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polymer tube layer, which is the sheath of the waste wire, and the metal tube layer, which is an endotheque surrounding the optical fiber, an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polymer tube layer and the metal tube layer by the adhesive layer. After covering the polymer tube layer, the adhesive layer and the metal tube layer of the waste wire, a cut wire cut between the projecting rollers is passed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polymer tube layer from the metal tube layer.

상기 돌기형 롤러에 의해 컷팅된 폐전선은 다음 단계로 이동되면서 컷팅면이 펴지면서 상기 접착층 및 폴리머 튜브층으로부터 상기 금속 튜브층이 분리된다.The waste wire cut by the protruding rollers is moved to the next step so that the cut surface is expanded to separate the metal tube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and the polymer tube layer.

상기 돌기형 롤러는 폐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해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형 롤러 사이를 폐전선이 이동하는 바,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외피 및 내피의 기계적 결합이 약해지면서 이들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Wherein the protruding rollers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rollers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ulsed wire, and the pulsed electric wire moves between the protruding rollers, whereby th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So that they ar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분리된 폐전선의 내피는 강성이 있는 금속 튜브층이고, 외피는 탄성이 있는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내피 및 외피가 상기 파쇄 부재를 통과할 때, 탄성이 있는 폴리 소재의 외피는 파쇄되지 않고 연신된 상태로 파쇄 부재를 통과하나, 연성이 작은 금속 튜브층의 내피는 파쇄 부재에 의해 금속 조각으로 파쇄되어 수거된다.The inner wall of the waste wire thus separated is a rigid metal tube layer, and the outer wall is made of an elastic polymer material. Wh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wall wire pass through the crushing member, the outer wall of the elastic poly- But the inner skin of the metal tube layer having a low ductility is broken into metal pieces by the crushing member and collected.

상기 압연 롤러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lling roller may consist of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상기 압연 롤러는 상기 폐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압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바, 상기 압연 롤러의 간격 조절은 각각의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폐전선의 외경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간격을 조절한 후에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s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are fix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state is maintained after the interval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상기 폐전선의 외경은 상기 압연 롤러에 가압되면서 감소되는 바, 예를 들어, 원 상태의 외경에 대해 10% 내지 20% 감소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 상태의 외경에 대해 15% 감소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is reduc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rolling roller, for example, it can be reduced by 10% to 20% with respect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state, and is preferably reduced by 15% have.

상기 폐전선의 외경 감소율이 10% 보다 적은 경우에는, 컷팅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20% 보다 큰 경우에는 폐전선의 이동에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reduction rat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is less than 10%,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utting force, and when it is more than 20%, it may be an obstacle to the movement of the waste wir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폐전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컷팅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cutting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cutting member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losed wire at a predetermined angle.

즉, 상기 컷팅 부재는 상기 압연 롤러와 분리되는 구조로서, 상기 폐전선에 대해 대향하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That is, the cutting member may be struct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rolling roller, and may be structured so as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from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opposite to the closed wire.

상기 폐전선의 중심부까지 컷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컷팅 부재의 일측 끝단이 상기 폐전선의 내피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층을 제외한 상기 폐전선의 적어도 내피까지는 컷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cut end of the cutting member may exte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wire so that cutting is performed to the center of the closed wire. Therefore, at least the inner surface of the waste wire except for the optical fiber layer can be cut.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압연 롤러의 롤링면 외면에 칼날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cutting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lade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ing surface of the rolling roller.

즉, 이와 같은 구조의 컷팅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연 롤러와 분리되는 구조로 부가된 상기 컷팅 부재가 적용되지 않고, 상기 압연 롤러의 가압 롤링 단계에서 상기 폐전선의 컷팅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cutting por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formed, the cutting member added with a structure separating from the rolling roller is not applied, and the cutting of the waste wir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pressure rolling step of the rolling roller.

또한, 상기 칼날이 돌출된 커팅부가 상기 압연 롤러에 대해 탈착이 가능한 구조인 경우라면, 커팅부가 마모되더라도 간단히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cutting portion in which the blade protrudes is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rolling roller, the cutting portion can be easily replaced even if the cutting portion is worn.

상기 돌기형 롤러에 의해 상기 폐전선은 세 가닥으로 갈라지게 되는 바, 구체적으로 두 가닥의 외피, 접착층 및 내피와, 한 가닥의 광섬유층으로 분리되어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The protruding roller breaks the waste wire into three strands. Specifically, the stranded wire splits into two strands of an outer skin, an adhesive layer and an inner skin, and one strand of the optical fiber layer, and moves to the next step.

상기 돌기형 롤러의 롤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돌기의 크기 및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직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roll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roller.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trus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triangular or quadrangular shape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

상기 돌기형 롤러는 폐전선에 대해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돌기형 롤러가 대면할 때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ruding roller is constituted by a pair of roller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closed wire,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trusions can be structured such that they engage with each other when the protruding rollers face each other.

상기 파쇄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가 복수 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롤러들은 기어형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redd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airs of rollers positioned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are continuously positioned, and the rollers may be gear-type rollers.

상기 기어형 롤러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기어형 롤러 한 쌍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롤러들이 결합된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롤러들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ear type roll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roller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gear type roller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unit rollers of the same shape are combined, The unit roller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폴리머 소재의 외피는 탄성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신된 상태로 상기 파쇄 부재를 통과하고, 금속 소재의 내피는 연성이 약하여 절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파쇄 부재를 통과하면서 금속 파티클 조각으로 파쇄된다.Since the outer shell of the polymer material is not easily broken by elasticity, it passes through the crushing member in a stretched state, and the inner skin of the metal material is weakly ductile and can be cut, so that it is broken into pieces of metal partic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member.

본 발명은 상기 폐전선의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구체적으로, 폐전선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전선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을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압연 롤러, 상기 가압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를 피복하기 위한 컷팅부, 컷팅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의 분리를 유도하기 위한 돌기형 롤러, 상기 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폐전선의 내피를 세부적으로 분리하는 제1파쇄 부재, 상기 파쇄 부재에 의해 파쇄된 금속 파티클을 수거하는 제1수거부, 상기 파쇄 부재를 통과한 폐전선의 외피를 파쇄하는 제2파쇄 부재, 상기 제2파쇄 부재에 의해 파쇄된 폐전선의 외피를 수거하는 제2수거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a used wire including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 used wire, more specifically, a seat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used wire, A cutter for covering the envelope and the inner skin of the pressurized pulsed wire, and a guide for guiding the separation of the outer and inner skin of the cut pulmonary wire A protruding roller, a first crushing member for finely separating the inner wall of the waste wire separated by the cutting unit, a first water rej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metal particles crushed by the crushing member, a waste wa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member, A second crushing member for crus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aste wire crushed by the second crushing member, and a second crushing member for collecting the crust of the crushed waste wire by the second crushing member.

상기 가이드 롤러는 롤링 면에 폐전선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폐전선이 상기 홈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해 좌우로 이탈될 염려가 적다.Since the guide roller is formed in the rolling surface with a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the waste wire is structured to be seated in the groove, Less.

폐전선의 외경은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폐전선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can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applied environment. In order to flexibly apply to the waste wires of various sizes, the guide roller is composed of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It may be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하여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는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각각의 연결부에 탄성 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은 탄성 소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폐전선의 두께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 또는 연신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폐전선에 적용될 수 있다.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may be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or an elastic member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The spacing between the lower rollers can be controlled by an elastic material. That is, the elastic member may be shrunk or elonga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aste wir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waste wire of various thicknes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이드 롤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압연 롤러 및 컷팅부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part of a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of a wast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roller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And a side view of the cutting por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은, 폐전선(101)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켜서 폐전선의 분리 장치로 이송하는 가이드 롤러(110), 가이드 롤러(110)를 통과한 폐전선(101)을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압연 롤러(120), 가압된 폐전선의 외피(101a), 접착층(101b) 및 내피(101c)를 피복하기 위한 컷팅부(131, 132), 컷팅된 폐전선의 외피(101a), 접착층(101b) 및 내피(101c)를 광섬유층(101d)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돌기형 롤러(140)를 포함한다.1 to 4, the useful resource recove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oller 110, a guide roller 110, and a guide roller 110. The guide roller 110 transports the waste wire 101 in one direction and transfers the waste wire 101 to the waste wire separator. Cutting portions 131 and 132 for covering the outer surface 101a of the pressurized waste wire 101, the adhesive layer 101b and the inner surface 101c while pressing the pressure roller 101 while moving the waste wire 101 passed through the cutter 101, And a protruding roller 140 for separating the outer surface 101a of the cut wire of the waste wire, the adhesive layer 101b and the inner surface 101c from the optical fiber layer 101d.

가이드 롤러(110)는 상부 롤러(111) 및 하부 롤러(112)로 구성되고, 상부 롤러(111) 및 하부 롤러(112)의 간격 조절을 위한 연결부(113)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폐전선(101)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상기 탄성 소재가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 사이에 폐전선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폐전선(101)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탄성 소재의 압축이 완화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롤러 사이에 폐전선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폐전선(101)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본원의 폐전선의 분리 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폐전선들에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한 폐전선의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guide roller 110 is composed of an upper roller 111 and a lower roller 112 and a connection part 113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111 and the lower roller 11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refore, when the diameter of the waste wire 101 is large, the elastic material is compressed and the waste wire can be stably fixed between the guide rollers. If the diameter of the waste wire 101 is small, The waste wires are fixed between the guide rollers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is relaxed. That is, even if the diameter of the waste wire 101 is changed,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waste wir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te wire separator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to the waste wires having various sizes of diameters .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를 참조하면, 상부 롤러(111) 및 하부 롤러(112) 각각의 롤링면에는 오목한 구조의 안착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폐전선(101)이 이동 중에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다.Referring to the guide rollers shown in FIG. 2, since the seating portions 115 having a concave structure are formed on the rolling surfaces of the upper roller 111 and the lower roller 112, the waste wires 101 are moved left and right It can be moved in a stable state without shaking.

압연 롤러(120)는 각각의 롤링면이 서로 바라보며 상하로 배열되는 상부 롤러(121) 및 하부 롤러(122)로 구성된다. 상부 롤러(121) 및 하부 롤러(122)의 연결부(123)는 폐전선을 가압하기 위한 성질을 고려할 때, 가이드 롤러(110)의 연결부(113)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길이 고정이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용되는 폐전선의 직경에 따라 상부 롤러(121) 및 하부 롤러(122) 사이의 간격 조절을 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rolling roller 120 is composed of an upper roller 121 and a lower roller 122, which are arranged vertically with each rolling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123 of the upper roller 121 and the lower roller 1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13 of the guide roller 1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the like.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121 and the lower roller 12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applied wire.

즉, 가이드 롤러(110)와 압연 롤러(120)는 각각의 목적 및 효과가 다른 점을 고려할 때, 서로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guide roller 110 and the rolling roller 12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may have different size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purposes and effects.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컷팅부는 압연 롤러(120)와 독립된 구조로 구성되는 컷팅 부재(131, 132)가 적용되는 경우로서, 컷팅 부재(131, 132)는 폐전선(101)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컷팅 부재(131, 132)의 일측 끝단(133, 134)은 폐전선(101)의 내피(101c)까지 연장되어 있는 바, 광섬유층(101b)을 제외한 폐전선의 외피(101a), 접착층(101b) 및 내피(101c)를 절단하게 된다.The cutting members 131 and 132 are formed by cutting wires 131 and 132 which are formed in a structure independent of the rolling roller 120. The cut members 131 and 132 are formed by cutting the waste wire 101, And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s 133 and 134 of the cutting members 131 and 132 extend to the inner skin 101c of the waste wire 101 and the outer surface 101a of the waste wire excluding the optical fiber layer 101b, ) And the inner skin 101c.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형 롤러 일부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형 롤러 일부의 수직 단면도이다.FIG.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rotruding 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rotruding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돌기형 롤러(141a, 141b)의 롤링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폐전선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한 부분에는 돌기(144a, 144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컷팅된 폐전선이 돌기형 롤러(141a, 141b)를 통과할 때 상기 돌기(144a, 144b)에 의해 광섬유층과 내피의 접합면에 인가되는 힘이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부가되는 바, 상기 접합면에서 광섬유층과 내피 간에 부분적인 분리가 일어나게 되어 외피 및 내피를 광섬유층과 분리시킬 수 있다.5 and 6, the rolling surfaces of the projecting rollers 141a and 141b include inwardly concave portions to receive the waste wires, and the projections 144a and 144b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s have. That is, when the cut wire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rollers 141a and 141b, the forces applied to the bonding surfaces of the optical fiber layer and the inner film are partially differentiated by the protrusions 144a and 144b, A partial separation occurs between the optical fiber layer and the endothelium in the surface,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endothelium can be separated from the optical fiber layer.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파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of the crush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파쇄 부재(150)는 상부 롤러(151a, 151b, 151c, 151d, 151e) 및 하부 롤러(152a, 152b, 152c, 152d, 152e)로 구성되며, 상부 롤러(151a, 151b, 151c, 151d, 151e) 및 하부 롤러(152a, 152b, 152c, 152d, 152e)는 서로 맞물리도록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외피(101a), 접착층(101b) 및 내피(101c)가 파쇄 부재(150) 사이를 이동하면서 서로 간의 경계면에서 밀리면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7 and 8, the crushing member 150 is composed of upper rollers 151a, 151b, 151c, 151d and 151e and lower rollers 152a, 152b, 152c, 152d and 152e, 151b, 151c, 151d, and 151e and the lower rollers 152a, 152b, 152c, 152d, and 152e are vertically aligned to mesh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outer skin 101a, the adhesive layer 101b, and the inner skin 101c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moved between the crushing members 150 at the interface.

돌기형 롤러(140)를 통과한 폐전선은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서 파쇄 부재(150, 150')를 통과하는 바, 폐전선의 외피(101a), 접착층(101b) 및 내피(101c)로 구성되는 두 가닥의 폐전선은 각각의 파쇄 부재(150, 150')를 이동하면서 분리된다.The waste wire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roller 140 is divided into two strands and passes through the crushing members 150 and 150 'and is constituted by the envelope 101a of the waste wire, the adhesive layer 101b and the inner skin 101c The two strand wires are separated by moving the respective crushing members 150 and 150 '.

도 9는 도 7의 파쇄 부재 1단위의 분해도이다.Figure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unit of the shredding member of Figure 7;

도 9를 참조하면, 파쇄 부재 1단위는 복수의 단위 롤러들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 9에는 6개의 단위 롤러들로 구성된 파쇄 부재를 개시하나, 단위 롤러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9, the shredding member 1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rollers are combined, and FIG. 9 shows a shredding member composed of six unit rollers, but the number of unit rollers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도 9의 (a) 및 (b) 단위 롤러는 각각 균일한 형태의 단위 롤러들로 구성되어 있고, (a) 단위 롤러는 기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형태이고, (b) 단위 롤러는 기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이다. (c) 단위 롤러는 상기 (a) 및 (b) 단위 롤러와 단위 롤러의 개수는 동일하나, (a) 단위 롤러 및 (b) 단위 롤러가 교대로 배치된 형태이다.Specifically, the unit rollers of FIGS. 9 (a) and 9 (b) are each composed of uniform unit rollers, and the unit rollers have a relatively large gear size, Is a relatively small gear size. (c) The unit roller has the same number of unit rollers as the unit rollers (a) and (b), but has a unit roller and a unit roller alternately arranged.

다만, 파쇄 부재(150)에서 상부 롤러(151a, 151b, 151c, 151d, 151e) 및 하부 롤러(152a, 152b, 152c, 152d, 152e) 각각이 이루는 한 쌍의 단위 롤러들에 형성된 기어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적용되어,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가 완전히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izes of the gears formed on the pair of unit rollers formed by the upper rollers 151a, 151b, 151c, 151d and 151e and the lower rollers 152a, 152b, 152c, 152d and 152e in the shredding member 150 are And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re completely engaged with each other.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컷팅부가 형성된 압연 롤러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ing roller having a cutting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압연 롤러는 상부 롤러(221) 및 하부 롤러(222)로 구성되고 상부 롤러(221) 및 하부 롤러(222) 사이에는 폐전선이 개재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부 롤러(221) 및 하부 롤러(222)의 롤링면 외면에는 칼날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컷팅부(223, 224)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컷팅부(223, 224)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컷팅 부재(131, 132)와 같이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rolling roller is composed of an upper roller 221 and a lower roller 222, and is transferred between the upper roller 221 and the lower roller 222 with a waste wire interposed therebetween. Cutting portions 223 and 224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lade protrud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rolling surfaces of the upper roller 221 and the lower roller 222. When such cutting portions 223 and 224 are formed A separate member such as the cutting members 131 and 132 shown in Fig.

컷팅부(223, 224)에 의해 폐전선은 중심부인 광섬유층(101d)과 광섬유층(101b)을 제외한 외피(101a), 접착층(101b) 및 내피(101c)로 나뉘어지게 된다.The cut wires 223 and 224 divide the waste wires into an outer shell 101a, an adhesive layer 101b and an inner shell 101c excluding the optical fiber layer 101d and the optical fiber layer 101b.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1: 폐전선
101a: 외피
101b: 접착층
101c: 내피
101d: 광섬유층
110: 가이드 롤러
111: 가이드 롤러의 상부 롤러
112: 가이드 롤러의 하부 롤러
113: 가이드 롤러의 연결부
115: 안착부
120: 압연 롤러
121, 221: 압연 롤러의 상부 롤러
122, 222: 압연 롤러의 하부 롤러
123: 압연 롤러의 연결부
131, 132: 컷팅 부재
133, 134: 컷팅 부재의 끝단
140, 141, 141a, 141b: 돌기형 롤러
144a, 144b: 돌기
150, 150': 파쇄 부재
151a, 151b, 151c, 151d, 151e: 파쇄 부재의 상부 롤러
152a, 152b, 152c, 152d, 152e: 파쇄 부재의 하부 롤러
(a), (b), (c): 파쇄 부재의 단위 롤러
224: 컷팅부
101: Waste wire
101a: envelope
101b:
101c:
101d: optical fiber layer
110: guide roller
111: upper roller of guide roller
112: Lower roller of guide roller
113: connecting portion of the guide roller
115:
120: Rolling Roller
121, 221: upper roller of the rolling roller
122, 222: Lower roller of the rolling roller
123: connection portion of the rolling roller
131, 132: Cutting member
133, 134: the end of the cutting member
140, 141, 141a, 141b: protruding rollers
144a, 144b:
150, 150 ': crushing member
151a, 151b, 151c, 151d, and 151e:
152a, 152b, 152c, 152d, 152e:
(a), (b) and (c): The unit roller
224: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폐전선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폴리머 소재로 이루어진 외피 및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내피를 포함하는 폐전선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을 이동시키면서 가압하여 폐전선의 외경을 10% 내지 20% 감소시키는 압연 롤러;
상기 가압된 폐전선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광섬유층을 제외한 외피 및 내피를 피복하기 위한 컷팅부;
컷팅된 폐전선의 외피 및 내피의 분리를 유도하기 위한 돌기형 롤러;
상기 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폐전선의 내피를 분리하는 제1파쇄 부재;
상기 제1파쇄 부재에 의해 파쇄된 금속 파티클을 수거하는 제1수거부;
상기 제1파쇄 부재를 통과한 폐전선의 외피를 파쇄하는 제2파쇄 부재; 및
상기 제2파쇄 부재에 의해 파쇄된 폐전선의 외피를 수거하는 제2수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형 롤러는 폐전선의 이동 방향에 대해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형 롤러의 롤링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면에는 수직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파쇄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가 복수 개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단위 롤러들이 결합된 1단위의 롤러로 구성된 기어형 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은 탄성 소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

A guide roller having a seating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and carrying a waste wire including an outer skin made of a polymer material and an inner skin made of a metal material in one direction;
A rolling roller for reduc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te wire by 10% to 20% by moving the waste wire passing through the guide roller while moving it;
A cutting portion for covering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except for the optical fiber layer positioned at the center in the pressurized pulsed wire;
A protruding roller for guiding the separation of the out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cut waste wire;
A first crushing member for separating an inner surface of a waste wire separated by the cutting unit;
A first number rejecting means for collecting the metal particles crushed by the first crushing member;
A second crushing member for crushing an outer surface of a waste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crushing member; And
A second number rej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jacket of the waste wire broken by the second crushing member;
Lt; / RTI >
The protruding roller is constituted by a pair of roller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osed wire,
Wherein the roll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roller includes an inwardly concave portion, and the rolling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triangular or quadrangular shape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Wherein the first crushing member comprises:
And a pair of rollers positioned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unit roller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rollers,
Wherein the guide roller is constituted by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s adjustable,
Wherein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s controlled by an elastic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49997A 2018-04-30 2018-04-30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KR101949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97A KR101949965B1 (en) 2018-04-30 2018-04-30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97A KR101949965B1 (en) 2018-04-30 2018-04-30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965B1 true KR101949965B1 (en) 2019-02-21

Family

ID=6558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97A KR101949965B1 (en) 2018-04-30 2018-04-30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96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9052A (en) * 2019-12-23 2020-04-17 湖州立新电缆有限公司 Cable processing is with ring-cutting device with garbage collection function
CN111403126A (en) * 2020-04-20 2020-07-10 青田林心半导体科技有限公司 Waste wire treatment device for stripping conductor rubber
CN111462958A (en) * 2020-04-10 2020-07-28 湖州南浔上福线缆有限公司 Peeling recovery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CN111834053A (en) * 2020-07-22 2020-10-27 高海生 Wire stripping device for circular waste cable recovery processing
CN114334300A (en) * 2021-12-10 2022-04-12 台州森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Multi-caliber automatic wire stripping machin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155B1 (en) * 1998-10-27 2001-03-15 김진찬 Stripping device of optical cable
KR100391749B1 (en) * 2001-03-24 2003-07-12 임성기 Recycling-material separation recovery equipment of waste optical-fiber cable
KR20070067664A (en) * 2007-06-07 2007-06-28 박기태 The apparatus of peeling off the wasted wire guidance structure
KR101039209B1 (en) 2011-02-11 2011-06-03 이경호 Device and method for stripping optical fiber cable
KR101570806B1 (en) 2014-12-31 2015-11-20 유한회사 자연환경 Apparatus for recycling disused optical cable with automation
KR101683045B1 (en) 2016-06-03 2016-12-07 탁현철 Separation system of waste optical cable and separation method of waste optical cable using the same
KR101719333B1 (en) 2015-07-17 2017-03-24 주식회사 신아이앤아이 Device assembly for stripping and recycling optical fiber cable
KR101754621B1 (en) * 2017-02-17 2017-07-06 김학천 Separation apparatus for coating unit of waste optical cable
KR101833180B1 (en) * 2017-08-24 2018-02-27 고정원 Dismantling and separation device of waste wire of ACS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155B1 (en) * 1998-10-27 2001-03-15 김진찬 Stripping device of optical cable
KR100391749B1 (en) * 2001-03-24 2003-07-12 임성기 Recycling-material separation recovery equipment of waste optical-fiber cable
KR20070067664A (en) * 2007-06-07 2007-06-28 박기태 The apparatus of peeling off the wasted wire guidance structure
KR101039209B1 (en) 2011-02-11 2011-06-03 이경호 Device and method for stripping optical fiber cable
KR101570806B1 (en) 2014-12-31 2015-11-20 유한회사 자연환경 Apparatus for recycling disused optical cable with automation
KR101719333B1 (en) 2015-07-17 2017-03-24 주식회사 신아이앤아이 Device assembly for stripping and recycling optical fiber cable
KR101683045B1 (en) 2016-06-03 2016-12-07 탁현철 Separation system of waste optical cable and separation method of waste optical cable using the same
KR101754621B1 (en) * 2017-02-17 2017-07-06 김학천 Separation apparatus for coating unit of waste optical cable
KR101833180B1 (en) * 2017-08-24 2018-02-27 고정원 Dismantling and separation device of waste wire of ACS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9052A (en) * 2019-12-23 2020-04-17 湖州立新电缆有限公司 Cable processing is with ring-cutting device with garbage collection function
CN111462958A (en) * 2020-04-10 2020-07-28 湖州南浔上福线缆有限公司 Peeling recovery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CN111403126A (en) * 2020-04-20 2020-07-10 青田林心半导体科技有限公司 Waste wire treatment device for stripping conductor rubber
CN111834053A (en) * 2020-07-22 2020-10-27 高海生 Wire stripping device for circular waste cable recovery processing
CN111834053B (en) * 2020-07-22 2021-12-10 黄春美 Wire stripping device for circular waste cable recovery processing
CN114334300A (en) * 2021-12-10 2022-04-12 台州森多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Multi-caliber automatic wire stripp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965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Wire and Recovery System of Useful Resources Comprising the Same
KR1010392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ripping optical fiber cable
KR101719333B1 (en) Device assembly for stripping and recycling optical fiber cable
KR20160038232A (en) Recycle engineering processing system for used optical fiber cables and processing method therof
KR101329096B1 (en) Separation apparatus for optical cable covering
EP1231488A3 (en) Optical device
JP2003315561A (en) Device for peeling optical fiber coating material
WO2007032832A3 (en) Method and apparatus to shape a composite structure without contact
JP2010137361A (en) Cutter and bamboo engagement cutting/stripping structure in bamboo fiber reinforc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531318B1 (en) Stripping device for cable coating and cable coating stripper using the same
KR20170062003A (en) System for regenerating waste optical fiber cable
CN101196594A (en) Multi-optical fiber melt-pulling method
EP1831117B1 (en) Methods for replacing cutting members
JP2005024847A (en)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KR101998634B1 (en) Resource recovery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optical fiber cables
KR101864702B1 (en) Peeling machine for regenerating waste optical fiber cable
KR101865266B1 (en) Optical cable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23404B1 (en) Resource recovery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optical fiber cables
RU2057388C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splicing electric cables
US6427557B1 (en) Device for removing a protective layer from an optical waveguide
CN210926859U (en) Cable cut-off device for power maintenance
WO2002095462A2 (en) High-efficiency arrayed-waveguide grating router by wavefront formation
JPH0875935A (en) Method for working end face of plastic optical fiber and device for working end face
CN207318777U (en) A kind of fiber stripping knife for optical fiber heat-peeling forceps
JP4265910B2 (en) Wavelength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