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649B1 -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 Google Patents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649B1
KR101949649B1 KR1020180098230A KR20180098230A KR101949649B1 KR 101949649 B1 KR101949649 B1 KR 101949649B1 KR 1020180098230 A KR1020180098230 A KR 1020180098230A KR 20180098230 A KR20180098230 A KR 20180098230A KR 101949649 B1 KR101949649 B1 KR 10194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ence
side wall
front wa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to KR102018009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6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649B1/en
Priority to PCT/KR2019/095009 priority patent/WO202004062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apparatus not only placing a pet (such as a dog, a cat, etc.) that ride on an elevator with a passenger, next to the ventilation system to discharge odors and fur from the animal to the outside but also giving a variety of airflow effects, including an air shower to a person, and allowing a virtual air shower booth space that can be used by passengers in the elevator to be easily distinguish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apparatus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승객과 함께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애완동물(예; 개, 고양이 등)을 환기장치 옆에 가두어 동물의 냄새와 털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은 물론 사람에게 에어샤워를 포함한 다양한 공기흐름 효과를 부여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people and animals inside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device for a person and an animal inside an elevator, in which a pet (for example, a dog or a cat) aboard an elevator together with a passenger is confined to a ventil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ng apparatus for giving various air flow effects including an air shower to a person as well as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최근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런 애완동물로 인한 안전사고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특히, 사람이 애완동물을 안거나 줄에 매단채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경우, 엘리베이터에 타고있는 다른 승객이 위협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이런 애완동물에 물려 다치는 사례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더 심하게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려고 복도에 대기하고 있던 어떤 승객은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하던 애완동물에 물려 사망한 사고도 실제 발생한바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ho raise pets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se pets are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when a person is holding a pet or is stuck in a line, the other passengers on the elevator may feel threatened. In fact, many of these pets are injured. Even worse, some passengers who had been waiting in the hall to get on the elevator had actually died from being struck by pets getting off the elevator.

또, 동물은 사람에 비해 냄새가 심하고,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이런 동물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이런 알러지 증상을 갖는 사람들이 좁은 엘리베이터 공간 안에 애완동물과 같이 갇혀있으면 심각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In addition, animals are smelling more than humans, and more and more people are causing allergic reactions to these animals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When people with allergic symptoms are trapped in pets in a narrow elevator space, serious allergic reactions ≪ / RTI >

또, 최근 기온이 점점 높아지는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엘리베이터에 탄 승객도 심한 더위를 느끼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In addition, as the warming phenomenon, which is getting more and more hotter recently, is getting worse, passengers on elevators are getting more and more feeling the heat.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배기구에 인접하도록 엘리베이터 벽면에 밀착되게 부착되어 있다가, 애완동물을 가둘 경우에 아주 간단하게 엘리베이터 벽면에서 분리하여 동물우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 애완동물을 가둬 동물의 냄새와 털 등을 엘리베이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for an elevator that is closely attached to an elevator wall surface so as to be adjacent to an exhaust port, The purpose is to keep the pet inside and to discharge the smell and hair of the animal to the outside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우리에 갇힌 애완동물로부터 다른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tended to safeguard other passengers from such confined pets.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탑승을 대기하고 있는 복도의 승객에게 애완동물이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할 것을 미리 경고하여 대기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at securing the safety of the waiting passenger by warning the passenger in the hallway waiting for the elevator to get off the elevator.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과 애완동물에 다양한 종류의 공기류 효과를 부여하여 승차감을 더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arious kinds of air flow effects to passengers and pets on the elevator to further enhance the ride quality.

본 발명의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주조작반(C) 반대쪽의 엘리베이터 측벽(E1)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배기구(5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E1) 내부에 배기구(50)에 연결되는 공기덕트(6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덕트(60) 내부로 배기구(50) 하류에 필터(55)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덕트(60)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배기팬(70)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50) 위치의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흡기팬(90)이 설치되고;A plurality of air outlets 50 through which air can pass are formed in the elevator side wall E1 opposite to the elevator main operation panel C and an air duct 60 connected to the air outlet 50 inside the side wall E1 A filter 55 is installed in the air duct 60 downstream of the exhaust port 50 and an exhaust fan 7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in connection with the air duct 60, An intake fan 9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eiling at a position 50 to send air into the elevator;

상기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작동을 조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W)가 엘리베이터의 측벽이나 정면벽이나 다른 측면부에 설치되며;A switch SW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intake fan 90 in combination is installed on a side wall, a front wall or other side portion of the elevator;

상기 흡기팬(90)이 위치한 엘리베이터 천정부분(100), 상기 천정부분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바닥부분(110), 및 상기 천정부분과 바닥부분을 연결하는 덕트부분(120)의 3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선형의 표시부로서 LED 바(130) 매립되고, 이런 LED 바(130)는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LED 바(130)가 형성하는 형상의 내부는 양쪽 팬(70,90)의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공기흐름이 생기는 가상의 부스 공간을 형성하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이 이런 가상의 부스 공간을 쉽게 식별하여 정확한 위치에 대기해 에워샤워를 받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The elevator bottom por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portion and the duct portion 120 connecting the ceiling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three portions of the elevator ceiling portion 100 where the suction fan 90 is located, LED bars 130 are embedded as display portions of the LED bars 130. The LED bars 130 can realize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s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suction fan 90, The inside forms a virtual booth space in which various air flows realized by the operation of both fans 70 and 90 are generated, and a passenger on the elevator easily identifies such virtual booth space, To provide ventilation for people and animals inside the elevator.

본 발명의 장치는,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주조작반(C) 반대쪽의 엘리베이터 측벽(E1)과 정면벽(E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울타리(10);A fence 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or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opposite to the main operation panel C of the elevator;

상기 울타리(10)를 엘리베이터의 측벽(E1)과 정면벽(E2)에 부착시키는 자석을 포함한 부착수단(20); 및An attachment means (20) including a magnet for attaching the fence (10) to the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of the elevator; And

상기 울타리(10)의 하단부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바퀴(30);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wheels (30) spaced apart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10) and movable along a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10)

상기 울타리(10)는 일정한 높이의 다수의 수직 관체(12)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창살 형태로 배치되고 그 위아래를 수평 관체(14)로 연결한 형상을 취하고, 상기 정면벽(E2)의 폭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의 제1 울타리 부분(10-1), 상기 제1 울타리 부분(10-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측벽(E1)의 중간 부분까지 뻗는 제2 울타리 부분(10-2), 일단부가 상기 제2 울타리 부분(1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측벽(E1)의 후방 부분에 피봇과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 울타리 부분(10-3), 및 상기 제1 울타리 부분(10-1)을 정면벽(E2)의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리(40)를 포함하며;The fence 10 has a plurality of vertical tubes 1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shape obtained by connec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tubes 12 with the horizontal tube 14, A second fence portion 10-2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fence portion 10-1 and extendin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E1, A third fence portion 10-3 one end of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ence portion 10-2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pivot on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E1, And a ring (40) for detachably fixing the fence portion (10-1) to the edge of the front wall (E2);

상기 부착수단(20)은 울타리(10)의 수평 관체(14)나 수직 관체(12)에 설치되어, 울타리를 상기 측벽(E1)과 정면벽(E2) 양쪽에 고정하고;The attachment means 2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tube 14 or the vertical tube 12 of the fence 10 and fixes the fences on both the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승객이 상기 고리(40)를 풀고 울타리(10)를 엘리베이터의 측벽과 정면벽에서 분리하면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직접 연결되고, 애완동물이 울타리의 입구로 들어간 뒤 상기 고리(40)를 정면벽에 고정하면 동물우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releases the hook 40 and separates the fence 10 from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and the front wall, an entrance for allowing the pet to enter and exit is formed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When the pet enters the entrance of the fence By fixing the ring 40 behind the front wall, it is possible to form animal worms.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복도쪽 조작반에 동물경고등(80)이 설치되고, 상기 부착수단(20)이 전기적으로 상기 배기팬(70)과 동물경고등(80)에 연결되며, 상기 부착수단(20)이 엘리베이터의 측벽과 정면벽에서 떨어지면 배기팬(70)이 동작하고 동물경고등(80)이 작동되어, 복도에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애완동물의 탑승에 대비토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imal warning light (80) is installed on the hallway sid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and the attachment means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70) and the animal warning light (80) Is lowered from the side wall and the front wall of the elevator, the exhaust fan 70 operates and the animal warning lamp 80 operates so that a passenger waiting in the hallway can prepare for boarding the pet.

또, 상기 천정부분(1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바닥부분(110)이 있고, 이 바닥부분(110)이 LED 바(130)로 둘러싸이거나 나머지 바닥과는 다른 색깔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 elevator bottom portion 110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portion 100 and the bottom portion 110 to be surrounded by the LED bar 130 or made of a different color material hav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애완동물 소유자인 승객이 아주 간단하고 쉽게 배기구 옆에 동물우리를 형성해 애완동물을 가둬 동물의 냄새와 털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엘리베이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런 환기 강화를 통해 승객의 알러지 증상을 예방하고, 엘리베이터에 고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 passenger who is a pet owner can easily and easily form an animal body next to an exhaust port to confine a pet, and can surely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such as an animal's smell and fur to the outside of the elevator, This strengthening of the ventilation can prevent allergic symptoms of passengers and maintain a high degree of cleanliness in the elevator.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탑승을 대기하고 있는 복도의 승객에게 애완동물의 하차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을 더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makes it possible to secure safety for a passenger in a hallway waiting for an elevator to be ready for getting off of a pet.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과 애완동물에 다양한 종류와 강도의 여러가지 공기류 효과를 부여하여 승객에게 더 상쾌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various air flow effects of various kinds and intensities to passengers and pets on the elevator,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ride to passengers.

도 1은 승객에게 에워샤워와 같은 공기류 효과를 제공하도록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의 대응 위치에 흡기팬을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환기구조에서 가상의 에어샤워 부스 공간을 형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위치(SW)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여러 요부의 부분확대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울타리를 이용해 승객이 강아지를 우리에 가두는 순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애완동물(강아지)이 우리에 갇힌 상태에서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1층 복도에 동물경고등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take fan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an elevator ceiling so as to provide an airflow effect such as a surrounding shower to a passeng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rming a hypothetical air shower booth space in the ventilation structure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witch SW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an elevator and partial enlarged views of various recesses;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quence in which a passenger uses a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ock a puppy to us;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ventilating air when a pet (puppy) is trapped in us;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animal warning lamp is installed in a first floor corridor;

도 1은 승객에게 에워샤워와 같은 공기류 효과를 제공하도록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의 대응 위치에 흡기팬(90)을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take fan 90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an elevator ceiling so as to provide an airflow effect such as a floor shower to a passenger.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주조작반(C) 반대쪽의 엘리베이터 측벽(E1)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배기구(5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E1) 내부에 배기구(50)에 연결되는 공기덕트(60)가 형성되며, 이런 공기덕트(60) 내부로 배기구(50) 하류에 필터(55)가 설치되며, 공기덕트(60)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배기팬(70)이 설치되고, 배기구(50) 위치의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흡기팬(90)이 설치된다.A plurality of air outlets 50 through which air can pass can be formed on the elevator side wall E1 opposite to the main operation panel C of the elevator and air A filter 55 is installed in the air duct 60 downstream of the exhaust port 50 and connected to the air duct 60 so that an exhaust fan 7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eiling , And an intake fan (90) for blowing air into the elevator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ceiling at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50).

또, 이런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작동을 조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W)가 엘리베이터의 측벽이나 정면벽이나 다른 측면부에 설치된다. A switch SW for controlling the combin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intake fan 90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the front wall and other side portions of the elevator.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50) 위치의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흡기팬(90)이 설치된다. 이런 흡기팬(90)은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기능을 하고, 배기팬(70)과 결합되어 화살표(A1) 방향의 공기의 순환효과를 강화한다. 또,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작동을 조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W)가 엘리베이터의 측벽이나 정면벽의 적당한 곳에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n intake fan 90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ceiling at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50 to send air into the elevator. Such an intake fan 90 functions to send air into the elevator and is combined with the exhaust fan 70 to enhance the circulation effect of the air in the direction of arrow A1. A switch SW for controlling the combin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intake fan 90 is installed at a suitable position on the side wall or the front wall of the elevator.

도 2는 이런 환기구조에서 가상의 에어샤워 부스 공간을 형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위치(SW)의 확대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rming a virtual air shower booth space in such a ventilation structure,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witch SW of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90)과 배기팬(70)과 스위치(SW)와 표시부(130) 모두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흡기팬(90)이 위치한 엘리베이터 천정부분(100)에 연결된 덕트부분(120)의 2 부분(100,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선형의 표시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런 천정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바닥부분(110) 테두리에도 표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표시부로는 선형의 LED 바(1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급적 이런 LED 바(130)는 표면이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이나 덕트나 천정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both the intake fan 90, the exhaust fan 70, the switch SW, and the display unit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It is a principle that a linear display unit 130 is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two parts 100 and 120 of the duct part 120 connected to the elevator ceiling part 100 where the suction fan 90 is locate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elevator bottom 110 in the location. Preferably, a linear LED bar 130 is used as such a display unit. Preferably, the LED bar 130 is embedded so that its surface coincid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or the surface of the duct or ceiling.

한편, 엘리베이터 바닥에 습기가 쉽게 생기는 환경일 경우, LED 바(130)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비해, 바닥부분(110)을 LED 바로 구분하지 않고 나머지 바닥부분과는 다른 색깔의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 environment where moisture easily occurs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a problem may occur in the LED bar 130. For this, the bottom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color material from the other bottom portion without directly dividing the LED.

LED 바(130)는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색으로 발광하는 LED 바(130)가 형성하는 형상의 내부는 양쪽 팬(70,90)의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공기흐름이 생기는 가상의 부스 공간을 형성하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은 이런 가상의 부스 공간을 화장실의 샤워부스처럼 쉽게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에어샤워를 받고 싶은 승객은 LED 바(130)로 구획된 바닥부분(110)에 들어가 스위치(SW)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The LED bar 130 may implement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s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suction fan 90. As shown, the interior of the shape formed by the LED bars 130 that emit in a desired color forms a virtual booth space where various air flows are realized by the operation of both fans 70 and 90, Passengers on board will be able to easily identify these virtual booth spaces as shower booths in the bathroom. Thus, for example, a passenger who wishes to receive an air shower only needs to enter the bottom portion 110 partitioned by the LED bar 130 to actuate the switch SW.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위치(SW)에 "OFF" 버튼, "보통바람" 버튼, "강한바람" 버튼, "에어샤워" 버튼, "애완동물 환기" 버튼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환기의 경우 "보통바람" 버튼을 터치하고, 여름철 엘리베이터 환기를 원할 경우 "강한바람" 버튼을 터치하며, 더 강한 바람을 원할 경우 "에어샤워" 버튼을 터치하고, 동물우리에 애완동물이 갇혀있는 상태에서는 "애완동물 환기"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에어샤워" 버튼에는 에어샤워가 작동하는 시간(예; 15초)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15초가 경과하면 에어샤워 버튼 이전이 운전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이런 스위치 구성은 일례를 든 것일 뿐이고, 바람의 세기를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연속식 스위치를 포함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the switch SW may have an "OFF" button, a "normal wind" button, a "strong wind" button, an "air shower" button, and a "pet vent" button. Touch the "Normal Wind" button for normal elevator ventilation, the "Strong Wind" button for summer elevator ventilation, the "Air Shower" button for stronger wind, You can touch the "Pet Ventilation" button when you are trapped. The "Air Shower" button can also indicate the time (eg 15 seconds) the air shower will operate. In this case, after 15 seconds have passed, the air shower button return to the operating state. This switch configuration is exemplary only, an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including a continuous switch that continuously controls the wind strength.

최근과 같이 여름에 점점 더 온도가 높아지는 날씨에서는 이런 기능이 엘리베이터 승객에 아주 유용하다고 본다. In recent times, such as in the increasingly hot summer months, this feature is very useful for elevator passengers.

또, 스위치(SW)는 배기팬(70)과 흡기팬(90)과 LED 바(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LED 바(130)의 색상은 배기팬과 흡기팬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작동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고, 또는 스위치(SW)의 각각의 버튼마다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승객이 각각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witch SW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70 and the intake fan 90 and the LED bar 130 so that the color of the LED bar 130 is varied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exhaust fan and the suction fan It may be displayed in various colors or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for each button of the switch SW so that passengers can easily distinguish the respective operating states with the naked eye.

도 1 내지 도 2는 후술하는 울타리(10)를 제거한 상태로 사람에 대해 에어샤워와 같은 공기류 효과를 일으키는 예를 보여주지만, 울타리(10)를 설치하고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울타리(10)를 펼쳐 동물우리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동물에 대해 동일한 공기류 흐름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1 and 2 show an example in which an air flow effect such as an air shower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a fence 10 to be described later is removed. However, when the fence 10 is install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wall surface, . In addition, the fence 10 may be unfolded to create the same air flow for the animal, even though the animal is being formed.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동물우리용 울타리가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여러 요부의 부분확대도들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nce for animals is attached to a wall of an elevator,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various rece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내부의 한쪽 정면벽, 도면에서는 우측 정면벽에는 엘리베이터의 층선택 버튼과 개폐버튼 등이 배치된 주조작반(C)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주조작반(C)이 없는 쪽의 엘리베이터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인 울타리(10)는 주조작반(C) 반대쪽의 엘리베이터 측벽(E1)과 정면벽(E2)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되어 부착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main operation panel C in which a floor selection button and an opening / closing button of an elevator are arranged is provided on one front wall inside the elevator, that is, a right front wall in the draw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wall surface without the main operation panel (C). That is, the main fence 10 constitut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or side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opposite to the main operation panel C in a detachable manner.

구체적으로, 울타리(10)는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H)보다 낮은 높이의 다수의 수직 관체(12)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창살 형태로 배치되고 그 위아래를 수평 관체(14)로 연결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필요하다면 다른 형상, 예컨대 창살 형상이 아닌 판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E와 같이, 울타리(10)가 핸드레일(H)보다 높은 위치를 갖되, 핸드레일(H)을 중심으로 상하 별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fence 10 has a plurality of vertical tubes 12, which are lower in height than the handrail H of the elevator, are arranged in a grate shape at regular intervals and take the shape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tubes 12 with the horizontal tube 14 It is common. If desired, other shapes, for example, plate shapes other than grate shapes, may be employed. 4E, the fence 10 has a higher position than the handrail H, but may have a vertically separat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handrail H as a center.

또, 울타리(10)는 3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울타리(10)는 제1 내지 제3 울타리 부분들(10-1~3)의 3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제1 울타리부분(10-1)은 주조작반(C)이 설치되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정면벽(E2)의 폭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폭)을 갖는 것이 좋다. 제2 울타리 부분(10-2) 제1 울타리 부분(10-1)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측벽(E1)의 중간 부분까지 뻗는 폭을 갖는다. 제3 울타리부분(10-3)은 일단부가 제2 울타리 부분(1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측벽(E1)의 후방 부분에 피봇과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fence 10 is preferably composed of three parts. 1, the fence 10 is composed of three portions of the first to third fence portions 10-1 to 10-3, the first fence portion 10-1 being connected to the main operation panel (Width) covering the entire width of the front wall E2 of the elevator where the elevator car C is not installed. The second fence portion 10-2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fence portion 10-1 and has a width that extends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E1. The third fence portion 10-3 is pivotal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second fence portion 10-2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pivot at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E1.

도 4B는 제3 울타리부분(10-3)이 측벽(E1)에 연결되는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울타리부분(10-3)의 타단부에 고리(11)가 달려있고, 이 고리를 측벽(E1)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3)에 화살표(A) 방향으로 삽입하면 결합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제3 울타리부분(10-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런 구조이기 때문에, 울타리(10) 전체를 엘리베이터에서 분리할 수 있다.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the third fence portion 10-3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E1. As shown in Fig. 4B, the ring 11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hird fence portion 10-3 , And the ring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13 provided on the side wall E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o be engaged. In the combined state, the third fence portion 10-3 can be rotated. Because of this structure, the entire fence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elevator.

또, 상기 제1 울타리 부분(10-1)에, 구체적으로는 상단 모서리 부분에 정면벽(E2)의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리(40)가 달려있다. 도 4C는 이런 고리(40)를 자세히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물론, 정면벽(E2)에는 고리(40)를 걸기위한 걸쇠가 형성된다. 이런 고리(40) 구조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같이, 승객이 간단하게 울타리(1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서 분리하여 동물우리를 만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ence portion 10-1 has a ring 40 for detachably fixing to the edge of the front wall E2 at the upper corner. 4C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is ring 40 in detail. Of course, the front wall E2 is provided with a latch for hooking the ring 40. [ Because of this ring 40 construction, the passenger can simply separate the fence 10 from the elevator wall surface to create an animal cage, as described below.

이런 울타리(1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엘리베이터의 벽에 단단히 밀착된 상태로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울타리(10)는 엘리베이터의 측벽(E1)과 정면벽(E2)에 울타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20)을 갖는다. 도 4D는 이런 부착수단(20)을 자세히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부착수단(20)으로는 자석이 바람직하다. 자석과 같은 부착수단(20)은 울타리(10)의 수평 관체(14)나 수직 관체(12)에 설치되어 측벽(E1)과 정면벽(E2) 양쪽에 모두 울타리를 밀착되게 부착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갯수로 설치된다. 필요하다면, 부착수단(20) 옆에 벽면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패드(22)를 울타리에 설치할 수 있다. Such a fence (10) must remain tightly attached to the elevator wall when not in use. To this end, the fence 10 has attachment means 20 for attaching a fence to the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of the elevator. 4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is attaching means 20 in detail. As the attachment means 20, a magnet is preferable. Attachment means 20 such as magnets are mounted on the horizontal tube 14 or the vertical tube 12 of the fence 10 and are sufficient to securely attach the fences to both the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 If necessary, a cushioning pad 22 may be provided on the fence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wall surface next to the attachment means 20. [

또,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울타리(10)의 하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바퀴(3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4A,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wheels 30, which can move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10.

도 5는 이렇게 구성된 울타리(10)를 이용해 승객이 강아지를 우리에 가두는 순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quence in which a passenger uses a fence 10 constructed in this way to lock a puppy to us.

강아지를 데리고 엘리베이터를 타고자 하는 승객은 도어가 열리면 울타리(10)의 고리(40)를 푼다(도 5A). 이어서, 고리가 풀린 울타리(10)를 당기면 자연적으로 강아지가 들어가는 입구가 형성되면서 울타리(10)는 엘리베이터에 타고있던 다른 승객과 강아지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하여 다른 승객을 강아지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도 5B). 이어서, 강아지가 울타리(10) 안으로 들어간 상태로 고리(40)를 다시 고정하면 자연적으로 강아지를 가둔 우리가 형성된다(도 5C).A passenger who wants to ride the elevator with the dog loosens the loop 40 of the fence 10 when the door is opened (Fig. 5A). Then, when the unfolded fence 10 is pulle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puppy naturally enters is formed, and the fence 10 acts as a blocking wall for blocking the other passenger on the elevator and the puppy so as to securely protect the other passengers from the puppy (Fig. 5B). Then, when the puppy is retracted in the state that the pupil is in the fence 10, the puppies are naturally formed (Fig. 5C).

이와 같이, 아주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애완동물을 우리에 가둘 수 있으면서도, 미리 엘리베이터에 타고있던 다른 승객을 아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easy to confine pets to us with very simple movements, and it is very safe to protect other passengers who have been in the elevator in advance.

도 6은 애완동물(강아지)이 우리에 갇힌 상태에서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evacuating air when a pet (puppy) is trapped in the us. Fig.

도 4A와 같이, 벽면에 부착된 상태의 울타리의 제2 및 제3 울타리 부분들(10-2, 10-3)로 커버되는 엘리베이터 측벽(E1)에 엘리베이터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기구(50)가 형성되고, 이런 배기구가 형성된 측벽(E1) 내부에 배기구(50)에 연결되는 공기덕트(60)가 형성된다. 공기덕트(60) 내부로 배기구(50) 하류에 필터(55)가 설치되고, 공기덕트(60)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배기팬(70)이 설치된다. 이런 구조에서, 승객이 스위치(SW)를 터치하여 배기팬(70)의 작동하면 울타리(10)동물우리에 갇힌 애완동물을 통과한 공기를 배기구와 필터와 공기덕트를 통해 엘리베이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화살표(A1) 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렇게 공기를 배기(순환)하면, 엘리베이터 내부의 (동물성 알러지 증상을 갖는) 승객의 알러지 증상을 예방할 수 있고, 동물에서 생기는 냄새나 악취나 털 등을 엘리베이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내부의 청결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elevator side wall E1 covered with the second and third fence portions 10-2 and 10-3 of the fence attached to the wall has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50 And an air duct 60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50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E1 where the exhaust port is formed. A filter 55 is provided in the air duct 60 downstream of the exhaust port 50 and an exhaust fan 70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eiling in connection with the air duct 60. In this structure, when the passenger touches the switch SW to operate the exhaust fan 7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et trapped in the animal feces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exhaust port, the filter and the air duct, The air can be circulated in the direction (A1). By evacuating the air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llergic symptoms of the passenger (with animal allergic symptoms) inside the elevator, and to discharge the smell, odor and fur from the animal to the outside of the elevator, The state can be maintained more reliably.

도 7은 1층 복도에 동물경고등(8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동물경고등(80)의 확대도를 포함한다. 이런 동물경고등(80)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동물이 있음을 탑승대기 승객에게 경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확대도와 같이 동물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수단(20)이 전기적으로 배기팬(70)과 동물경고등(80)에 연결되어 있어, 부착수단(20)이 엘리베이터의 측벽과 정면벽에 부착되면 배기팬(70)의 작동이 정지되고 동물경고등(80)이 작동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물우리를 형성하던 울타리(10)의 부착수단(20)이 엘리베이터 벽에 부착되면, 동물이 엘리베이터에서 내릴 준비가 된 것이고, 이런 상황을 복도에 복도에 대기하고 있는 승객에게 경고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는 배기팬(70)도 작동할 필요가 없어 배기팬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동물경고등(80)은 1층 복도쪽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층에도 설치할 수 있다.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imal warning light 80 is installed in the first floor corridor and includes an enlarged view of the animal warning light 80. [ Such an animal warning light (80) serves to warn passengers on board that there is an animal in the elevator, and can be represented by an animal picture like an enlarged view. Specifically, when the attachment means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70 and the animal warning light 80 so that when the attachment means 20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and the front wall of the elevator,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70 It is preferable that the animal warning lamp 80 is stopped and operated. That is, when the attachment means 20 of the fence 10 forming the animal body is attached to the elevator wall, the animal is ready to get off the elevator, and this situation is warned to the passenger waiting in the hallway in the hallway. Of cours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exhaust fan 70 because the exhaust fan 70 does not need to operate either. Such an animal warning light 80 is usually installed on the first floor corridor side, but it can be installed on other floors as requir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를 동물은 물론 사람에게 에어샤워 등의 효과를 부여하도록 더 개선할 수 있다. The thus constitu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improved to give an effect of air shower or the like to animals as well as humans.

Claims (4)

엘리베이터의 주조작반(C) 반대쪽의 엘리베이터 측벽(E1)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배기구(5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E1) 내부에 배기구(50)에 연결되는 공기덕트(6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덕트(60) 내부로 배기구(50) 하류에 필터(55)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덕트(60)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배기팬(70)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50) 위치의 엘리베이터 천정 상부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흡기팬(90)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작동을 조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W)가 엘리베이터의 측벽이나 정면벽이나 다른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팬(90)이 위치한 엘리베이터 천정부분(100)과, 상기 천정부분에 연결되는 덕트부분(120)의 2개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선형의 표시부로서 LED 바(130) 매립되고, 이런 LED 바(130)는 배기팬(70)과 흡기팬(90)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LED 바(130)가 형성하는 형상의 내부는 양쪽 팬(70,90)의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공기흐름이 생기는 가상의 부스 공간을 형성하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이 이런 가상의 부스 공간을 쉽게 식별하여 정확한 위치에 대기해 에워샤워를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
A plurality of air outlets 50 through which air can pass are formed in the elevator side wall E1 opposite to the elevator main operation panel C and an air duct 60 connected to the air outlet 50 inside the side wall E1 A filter 55 is installed in the air duct 60 downstream of the exhaust port 50 and an exhaust fan 7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in connection with the air duct 60, An intake fan 9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eiling at a position 50 to send air into the elevator;
A switch SW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intake fan 90 in combination is installed on a side wall, a front wall or other side portion of the elevator;
An LED bar 130 is embedded as a linear display portion along the edges of two portions of the elevator ceiling portion 100 where the intake fan 90 is located and the duct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ceiling portion, 130 can implement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s of the exhaust fan 70 and the suction fan 90 and the inside of the shape formed by the LED bar 130 is implemented by the operation of both the fans 70, A virtual booth space in which various air flows are generated and passengers aboard the elevator can easily identify these virtual booth spaces and can take a shower in a standing position at an accurate position. For ventilation.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주조작반(C) 반대쪽의 엘리베이터 측벽(E1)과 정면벽(E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울타리(10);
상기 울타리(10)를 엘리베이터의 측벽(E1)과 정면벽(E2)에 부착시키는 자석을 포함한 부착수단(20); 및
상기 울타리(10)의 하단부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바퀴(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울타리(10)는 일정한 높이의 다수의 수직 관체(12)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창살 형태로 배치되고 그 위아래를 수평 관체(14)로 연결한 형상을 취하고, 상기 정면벽(E2)의 폭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의 제1 울타리 부분(10-1), 상기 제1 울타리 부분(10-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측벽(E1)의 중간 부분까지 뻗는 제2 울타리 부분(10-2), 일단부가 상기 제2 울타리 부분(10-2)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측벽(E1)의 후방 부분에 피봇과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 울타리 부분(10-3), 및 상기 제1 울타리 부분(10-1)을 정면벽(E2)의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리(40)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20)은 울타리(10)의 수평 관체(14)나 수직 관체(12)에 설치되어, 울타리를 상기 측벽(E1)과 정면벽(E2) 양쪽에 고정하고;
승객이 상기 고리(40)를 풀고 울타리(10)를 엘리베이터의 측벽과 정면벽에서 분리하면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직접 연결되고, 애완동물이 울타리의 입구로 들어간 뒤 상기 고리(40)를 정면벽에 고정하면 동물우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ence 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or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opposite to the main operation panel C of the elevator;
An attachment means (20) including a magnet for attaching the fence (10) to the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of the elevator;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wheels (30) spaced apart at the lower end of the fence (10) and movable along a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10)
The fence 10 has a plurality of vertical tubes 1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shape obtained by connec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tubes 12 with the horizontal tube 14, A second fence portion 10-2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fence portion 10-1 and extendin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E1, A third fence portion 10-3 one end of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ence portion 10-2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pivot on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wall E1, And a ring (40) for detachably fixing the fence portion (10-1) to the edge of the front wall (E2);
The attachment means 2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tube 14 or the vertical tube 12 of the fence 10 and fixes the fences on both the side wall E1 and the front wall E2;
When the passenger releases the hook 40 and separates the fence 10 from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and the front wall, an entrance for allowing the pet to enter and exit is formed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trance of the elevator. When the pet enters the entrance of the fence Characterized in that an animal worm is formed by fixing the loop (40) to the front wall at the back thereof.
제2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복도쪽 조작반에 동물경고등(80)이 설치되고, 상기 부착수단(20)이 전기적으로 상기 배기팬(70)과 동물경고등(80)에 연결되며, 상기 부착수단(20)이 엘리베이터의 측벽과 정면벽에서 떨어지면 배기팬(70)이 동작하고 동물경고등(80)이 작동되어, 복도에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애완동물의 탑승에 대비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An animal warning lamp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animal warning light (80) is installed on the hallway side operation panel of the elevator, and the attachment means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haust fan (70) 20 is released from the side wall and the front wall of the elevator, the exhaust fan 70 is operated and the animal warning lamp 80 is operated so that a passenger waiting in the hallway prepares for boarding of the pet. Ventilation system for people and animals.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분(1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바닥부분(110)이 있고, 이 바닥부분(110)이 LED 바(130)로 둘러싸이거나 나머지 바닥과는 다른 색깔의 재료로 이루어져, 가상의 부스 공간을 쉽게 식별하여 정확한 위치에 대기해 에워샤워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과 동물을 위한 환기장치.The elev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levator bottom part (11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part (100), the bottom part (110) Wherein the booth space is easily identified, and the booth is allowed to stand in the correct position to receive the shower.
KR1020180098230A 2018-08-22 2018-08-22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KR101949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30A KR101949649B1 (en) 2018-08-22 2018-08-22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PCT/KR2019/095009 WO2020040627A1 (en) 2018-08-22 2019-05-09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 inside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30A KR101949649B1 (en) 2018-08-22 2018-08-22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649B1 true KR101949649B1 (en) 2019-02-19

Family

ID=6552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30A KR101949649B1 (en) 2018-08-22 2018-08-22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9649B1 (en)
WO (1) WO2020040627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40B1 (en) * 2019-03-05 2020-03-10 주식회사 다지트 Apparatus for forming an animal cage of an Elevator
KR20210042705A (en) * 2019-10-10 2021-04-20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Flame·smoke exhaust apparatus for elevator
WO2021075866A1 (en) * 2019-10-16 2021-04-22 주식회사 다지트 Load carrier device of elevator, using handrail of elevator
CN112723050A (en) * 2020-12-11 2021-04-30 浙江欧姆龙电梯有限公司 Elevator control system
KR102369547B1 (en) * 2020-09-14 2022-03-03 하재청 Air sterilization system in wall-mounted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559A (en) * 2004-03-08 2005-09-15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having ion generator
KR100758651B1 (en) * 2007-05-16 2007-09-13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The elevator with air shower
KR200437981Y1 (en) * 2007-05-16 2008-01-10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The elevator with clean room
KR20130019815A (en) * 2011-08-18 2013-02-27 강정일 Assembly structure led ba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197A (en) * 2016-03-22 2017-10-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Elevator for the disabl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559A (en) * 2004-03-08 2005-09-15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having ion generator
KR100758651B1 (en) * 2007-05-16 2007-09-13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The elevator with air shower
KR200437981Y1 (en) * 2007-05-16 2008-01-10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The elevator with clean room
KR20130019815A (en) * 2011-08-18 2013-02-27 강정일 Assembly structure led ba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40B1 (en) * 2019-03-05 2020-03-10 주식회사 다지트 Apparatus for forming an animal cage of an Elevator
WO2020180094A1 (en) * 2019-03-05 2020-09-10 주식회사 다지트 Apparatus for forming animal cage of elevator
KR20210042705A (en) * 2019-10-10 2021-04-20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Flame·smoke exhaust apparatus for elevator
KR102377942B1 (en) * 2019-10-10 2022-03-24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Flame·smoke exhaust apparatus for elevator
WO2021075866A1 (en) * 2019-10-16 2021-04-22 주식회사 다지트 Load carrier device of elevator, using handrail of elevator
KR20210045004A (en)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다지트 Carrier Device using a Handrail of an Elevator
KR102326761B1 (en) * 2019-10-16 2021-11-16 주식회사 다지트 Carrier Device using a Handrail of an Elevator
KR102369547B1 (en) * 2020-09-14 2022-03-03 하재청 Air sterilization system in wall-mounted elevator
CN112723050A (en) * 2020-12-11 2021-04-30 浙江欧姆龙电梯有限公司 Elevato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627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649B1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Human and Animals in an Elevator
US11293665B2 (en) Wall or surface mounted light fixture with an air decontamination system
KR200462906Y1 (en) Pet drier
EP3929084A1 (en) Sanitizing system
KR102105442B1 (en) Pet Dryer with Circle Air Circulation Structure
US4793287A (en) Farrowing station with an electronic control
US20070039555A1 (en) Animal accommodation pod
KR102105444B1 (en) Pet Dryer with Double Doors
KR102173979B1 (en) Sterilizer using humidifying air
KR20190134317A (en) Cages for transporting livestock
JP7004278B2 (en) Pet drying device
KR20060018556A (en) Uv sterilizing system of elevator
US20100163066A1 (en) Ventilated wig stand and system
JP6151397B1 (en) Elevator ventilation equipment
KR102317996B1 (en) Elevators equipped with disinfection
JP2009113981A (en) Ceiling light system of elevator
KR102326761B1 (en) Carrier Device using a Handrail of an Elevator
US20180139924A1 (en) Modular animal accommodation
KR102205455B1 (en) Elevator system with combined air intake port and hand rail, and floor indicator
JP7115254B2 (en) Passenger conveyo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80067773A (en) Removable dry room for pet
ES2250005A1 (en) Automatic hydromassage machine for household pets
JP4799250B2 (en) Pet-friendly building
US20230293761A1 (en) Ceiling-mounted decontamination system
JP7351880B2 (en) passenger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