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422B1 -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 Google Patents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422B1
KR101949422B1 KR1020180131702A KR20180131702A KR101949422B1 KR 101949422 B1 KR101949422 B1 KR 101949422B1 KR 1020180131702 A KR1020180131702 A KR 1020180131702A KR 20180131702 A KR20180131702 A KR 20180131702A KR 101949422 B1 KR101949422 B1 KR 10194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dsole
air circulation
circulation pa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식
Original Assignee
정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식 filed Critical 정수식
Priority to KR102018013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공기가 아닌 내부공기만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발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웃솔; 아웃솔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수용된 공기통이 형성되는 후방미드솔; 아웃솔의 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통과 연통되도록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순환로가 함몰 형성되는 전방미드솔; 후방미드솔과 전방미드솔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통을 밀폐시켜줌과 동시에 전방미드솔의 후방을 받치는 다단플레이트; 공기통에 연결되어 공기순환로에 안착되는 것으로, 보행시 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후방미드솔이 가압되면서 공기통에 수용된 공기가 공기순환로로 순환되다가, 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후방미드솔이 가압 해제되면서 공기순환로를 순환한 공기가 공기통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도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Internal air circulation type ventilation shoe soles}
본 발명은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공기가 아닌 내부공기만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발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을 신고 뛰거나 걷는 경우 발을 외부와 차단시킴과 동시에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발은 인솔, 지면과의 접지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미드솔, 미드솔 하면에 형성되는 아웃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발을 이루는 미드솔에 공기펌프를 장착하여 내부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기능성 신발창이 있으나, 공기펌프는 발이 가압될 때마다 수축되면서 공기를 흡힙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공기펌프의 제 기능을 상실하는 사례가 흔하게 발생하곤 하였다.
이를 해결해 보고자, 예컨대 '공기순환식 신발깔창(공개번호: 10-2013-0013052)'에서는 전방으로 펌핑공기통로(24)가 구비되고, 내부는 공기저장실(50)이 구비된 쿠션지지틀(22)과, 쿠션지지틀(22)의 상면에 접착되는 평면고무판(21)을 이루어 신발창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고자 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술된 기술의 경우, 신발창이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행시 신발창의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지지틀(22)의 상면에 쿠션지지틀(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평면고무판(21)이 접착되어있기 때문에 공기저장실(5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내부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내부공기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을 안정적으로 받쳐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신발창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3052호, 2013.02.06.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행시 발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수용된 공기통이 형성되는 후방미드솔; 상기 아웃솔의 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통과 연통되도록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순환로가 함몰 형성되는 전방미드솔; 상기 후방미드솔과 상기 전방미드솔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통을 밀폐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전방미드솔의 후방을 받치는 다단플레이트; 및 상기 공기통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순환로에 안착되는 것으로, 보행시 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후방미드솔이 가압되면서 상기 공기통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로로 순환되다가, 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후방미드솔이 가압 해제되면서 상기 공기순환로를 순환한 공기가 상기 공기통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도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미드솔은, 후족부를 받치는 제1후방미드솔부; 상기 제1후방미드솔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2후방미드솔부; 및 상기 제2후방미드솔부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후방미드솔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단플레이트는, 상기 제1후방미드솔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통을 밀폐시키는 공기밀폐부; 상기 공기밀폐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2후방미드솔부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순환유도튜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된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후방미드솔부의 상면을 따라 안착되어 상기 전방미드솔의 후방을 받치는 전방미드솔받침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순환로의 전단에는, 상기 공기통으로부터 상기 공기순환로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공간이 연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순환공간에는,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한 쌍의 유도블록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은, 공기통에 수용된 공기가 공기순환유로를 거쳐 공기순환공간을 통하여 순환되면서 발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발을 안정적으로 받쳐 편안한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은 아웃솔(100), 후방미드솔(200), 전방미드솔(300), 다단플레이트(400) 및 공기순환유도튜브(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예시도이다. 우선 도 4-(a)는 아웃솔(100)의 후방 상면에 후방미드솔(20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후방미드솔(200)의 상면 전체에 다단플레이트(4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4-(c)는 다단플레이트(400)를 거쳐 아웃솔(100)의 전방 상면에 전방미드솔(30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설치의 편이성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아웃솔(100), 후방미드솔(200), 다단플레이트(400), 전방미드솔(300) 및 공기순환유도튜브(500) 순서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아웃솔(100)은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이다.
즉 아웃솔(100)은 후방미드솔(200), 다단플레이트(400) 및 전방미드솔(300)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보행시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내외부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면서 마찰력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다양항 고무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단, 아웃솔(100)에 대한 기술적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후방미드솔(200)은 아웃솔(100)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수용된 공기통(211)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우선 후방미드솔(200)은 보행시 후족부의 충격흡수를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후방미드솔(200)은 아스커 타입(Asker type) C 경도계로 25~40 범위의 경도를 가진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후방미드솔(200)의 경도가 25 미만이면 연질에 너무 가까워져 소프트한 느낌을 충분히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하기에는 좋을지 모르나 보행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하고, 경도가 40을 초과하면 너무 딱딱해져 충분한 충격흡수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25~40의 경도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방미드솔(200)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제1후방미드솔부(210), 제2후방미드솔부(220) 및 제3후방미드솔부(230)로 이루어져 후족부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첫째, 제1후방미드솔부(210)는 후족부를 받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통(211)이 함몰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공기통(21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공기통(211)의 전방으로 슬릿홀(2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릿홀(212)은 공기순환유도튜브(500)의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제2후방미드솔부(220)는 신발창의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제1후방미드솔부(210)의 전단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형상을 가진 것으로, 제1후방미드솔부(210)의 공기통(211) 형성으로 일정 높이를 가진 구성이다.
즉 제2후방미드솔부(220)는 제1후방미드솔부(210)와 제3후방미드솔부(230)의 사이에 단턱지게 형성된 것으로, 공기통(211)과 슬릿홀(212)이 제1후방미드솔부(210)에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제3후방미드솔부(230)는 제2후방미드솔부(220)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성이다.
참고로, 제1후방미드솔부(210), 제2후방미드솔부(220) 및 제3후방미드솔부(230)로 이루어진 후방미드솔(200)의 측면 및 후면 둘레를 따라 제1가이드돌기면(200a)이 상부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다단플레이트(400)의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단플레이트(400)는 후방미드솔(200)과 전방미드솔(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통(211)을 밀폐시켜줌과 동시에 전방미드솔(300)의 후방을 받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다단플레이트(400)는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미드솔(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공기밀폐부(410), 단턱부(420) 및 전방미드솔받침부(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단플레이트(40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소재로 이루어져 후방미드솔(200)의 상면 전체와 전방미드솔(300)의 후방 저면에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발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보행시 균형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함께, 다단플레이트(400)를 이루는 공기밀폐부(410), 단턱부(420) 및 전방미드솔받침부(430)의 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밀폐부(410)는 제1후방미드솔부(210)의 상면에 안착되어 공기통(211)을 밀폐시키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공기밀폐부(410)는 제1후방미드솔부(210)의 상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상부가 오픈된 공기통(211)을 밀폐시켜 공기통(211)에 수용된 공기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둘째, 단턱부(420)는 공기밀폐부(410)의 전단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제2후방미드솔부(220)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공기순환유도튜브(5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관통홀(421)이 형성된 구성이다.
여기서 단턱부(420)가 형성된 이유는, 제1후방미드솔부(210), 제2후방미드솔부(220) 및 제3후방미드솔부(230) 상에 다단플레이트(400)를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단턱부(420)가 형성되지 않으면 제2후방미드솔부(220)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단이 없어 후방미드솔(200)과의 견고한 결합이 불가능하다.
셋째, 전방미드솔받침부(430)는 단턱부(420)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3후방미드솔부(230)의 상면을 따라 안착되어 전방미드솔(300)의 후방을 받치는 구성이다.
이때 전방미드솔받침부(430)에는 제1관통홀(421)과 연통되게끔 제2관통홀(431)이 형성된다. 제2관통홀(431)의 경우, 전방미드솔받침부(430)의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홀(212)에 끼워진 공기순환유도튜브(5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다단플레이트(400)의 측면 및 후면 둘레를 따라 제2가이드돌기면(411a)이 상부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발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방미드솔(300)은 아웃솔(100)의 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통(211)과 연통되도록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순환로(310)가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전방미드솔(300)은 후방미드솔(200)보다 고경도로 이루어지도록 아스커 타입(Asker type) C 경도계로 40~60인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전족부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작용을 한다.
전방미드솔(300)의 경우, 충격흡수 보다는 지면반력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경도가 40 미만이면 지면반력을 부여하기에 미미하며, 60을 초과하면 오히려 너무 딱딱해져 발의 피로도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40~60 범위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방미드솔(300)의 상면 후단으로부터 전방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순환로(31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는데, 슬릿홀(212)에 끼움 결합된 공기순환유도튜브(500)가 공기순환로(3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공기통(211)과 공기순환공간(320)을 연결하여 공기통(211)에 수용되어있던 공기가 공기순환로(310)를 거쳐 공기순환공간(320)으로 흘러들어왔다가, 다시 공기순환로(310)를 거쳐 공기통(211)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앞선 문단에서 설명한 것처럼 공기순환로(310)의 전단에는 공기통(211)으로부터 공기순환로(310)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공간(320)이 연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순환공간(320)에는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한 쌍의 유도블록(3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공기순환공간(320) 내부에 돌출 형성된 유도블록(321)으로 인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으며, 한 쌍의 유도블록(321)을 통하여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만들어줌이 확인된다.
만약 유도블록(321)이 없으면 공기순환공간(320)으로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공기가 불규칙한 양상으로 공기통(211)으로 바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공기의 질이 나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도블록(321)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공기순환유도튜브(500)는 공기통(211)에 연결되어 공기순환로(310)에 안착되는 것으로, 보행시 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후방미드솔(200)이 가압되면서 공기통(211)에 수용된 공기가 공기순환로(310)로 순환되다가, 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후방미드솔(200)이 가압 해제되면서 공기순환로(310)를 순환한 공기가 공기통(211)으로 되돌아가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공기순환유도튜브(500)는 일단부가 공기통(211)과 연통된 슬릿홀(212)에 끼움 삽입되고, 타단부가 전방미드솔(300)의 공기순환로(310) 상에 안착됨으로써, 신발창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해주도록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순환유도튜브(500)가 공기통(211)과 연결된 슬릿홀(212)을 거쳐 공기순환로(310)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통(211)으로부터 공기순환로(310)를 거쳐 공기순환공간(320)에서 순환된 공기가 다시 공기통(211)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참고로, 공기순환유도튜브(500)는 슬릿홀(212)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시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아웃솔
200: 후방미드솔
200a: 제1가이드돌기면
210: 제1후방미드솔부
211: 공기통
212: 슬릿홀
220: 제2후방미드솔부
230: 제3후방미드솔부
300: 전방미드솔
310: 공기순환로
320: 공기순환공간
321: 유도블록
400: 다단플레이트
411a: 제2가이드돌기면
410: 공기밀폐부
420: 단턱부
421: 제1관통홀
430: 전방미드솔받침부
431: 제2관통홀
500: 공기순환유도튜브

Claims (5)

  1.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수용된 공기통이 형성되는 후방미드솔;
    상기 아웃솔의 전방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통과 연통되도록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순환로가 함몰 형성되는 전방미드솔;
    상기 후방미드솔과 상기 전방미드솔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통을 밀폐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전방미드솔의 후방을 받치는 다단플레이트; 및
    상기 공기통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순환로에 안착되는 것으로, 보행시 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후방미드솔이 가압되면서 상기 공기통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로로 순환되다가, 전족부의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후방미드솔이 가압 해제되면서 상기 공기순환로를 순환한 공기가 상기 공기통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공기순환유도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미드솔은,
    후족부를 받치는 제1후방미드솔부;
    상기 제1후방미드솔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제2후방미드솔부; 및
    상기 제2후방미드솔부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후방미드솔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플레이트는,
    상기 제1후방미드솔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통을 밀폐시키는 공기밀폐부;
    상기 공기밀폐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2후방미드솔부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순환유도튜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된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후방미드솔부의 상면을 따라 안착되어 상기 전방미드솔의 후방을 받치는 전방미드솔받침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로의 전단에는,
    상기 공기통으로부터 상기 공기순환로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공간이 연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공간에는,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한 쌍의 유도블록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KR1020180131702A 2018-10-31 2018-10-31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KR101949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02A KR101949422B1 (ko) 2018-10-31 2018-10-31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02A KR101949422B1 (ko) 2018-10-31 2018-10-31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422B1 true KR101949422B1 (ko) 2019-02-18

Family

ID=6556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702A KR101949422B1 (ko) 2018-10-31 2018-10-31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4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818U (ko) * 1991-12-13 1993-07-26 이재명 신발용 통풍 장치
KR200213819Y1 (ko) * 2000-09-27 2001-02-15 이재명 신발창
KR200261025Y1 (ko) * 1998-11-06 2002-07-27 임무현 공기순환깔창
KR200443935Y1 (ko) * 2008-08-29 2009-03-26 배효용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0974504B1 (ko) * 2009-09-17 2010-08-10 김정표 신발용 밑창
KR20130013052A (ko) 2011-07-27 2013-02-06 박수현 공기순환식 신발깔창
KR101298196B1 (ko) * 2012-11-27 2013-08-20 김영호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818U (ko) * 1991-12-13 1993-07-26 이재명 신발용 통풍 장치
KR200261025Y1 (ko) * 1998-11-06 2002-07-27 임무현 공기순환깔창
KR200213819Y1 (ko) * 2000-09-27 2001-02-15 이재명 신발창
KR200443935Y1 (ko) * 2008-08-29 2009-03-26 배효용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0974504B1 (ko) * 2009-09-17 2010-08-10 김정표 신발용 밑창
KR20130013052A (ko) 2011-07-27 2013-02-06 박수현 공기순환식 신발깔창
KR101298196B1 (ko) * 2012-11-27 2013-08-20 김영호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5453A1 (en)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US8826567B1 (en) Footwear with insole system
US8800170B1 (en) Footwear insole system
US8850718B2 (en) Shoe with support system
EP3473123A1 (en)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50005473A1 (en) Self-cushion airflow shoes
US20070240333A1 (en)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US9833040B2 (en) Footwear and insole system
US20120204442A1 (en)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US20080189986A1 (en) Ventilated and resilient shoe apparatus and system
KR101164463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US20100095553A1 (en) Resilient sports shoe
JP2019013745A (ja) 動的圧力制御エアクッション装置
KR20080088331A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1949422B1 (ko) 내부공기 순환형 통풍 신발창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90019655A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754904B1 (ko) 다기능 신발
KR100799383B1 (ko) 신발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102398587B1 (ko) 진동수단 및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신발용 중창
KR100997150B1 (ko) 신발 깔창
US20170119098A1 (en) Ventilating insole for footwear
KR200278132Y1 (ko) 통기성 신발 깔창
KR20130030516A (ko) 신발용 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