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81B1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281B1
KR101949281B1 KR1020170136857A KR20170136857A KR101949281B1 KR 101949281 B1 KR101949281 B1 KR 101949281B1 KR 1020170136857 A KR1020170136857 A KR 1020170136857A KR 20170136857 A KR20170136857 A KR 20170136857A KR 101949281 B1 KR101949281 B1 KR 10194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main body
cleaner main
du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1289A (en
Inventor
남보현
박소진
성지훈
심인보
송승현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6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87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e.g.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2Optical sensing devices us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7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imulation, either to verify existing program or to create and verify new program, CAD/CAM oriented, graphic oriented program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25J9/167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통 수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팬 모터부; 상기 팬 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제1개구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및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 후방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유로의 일부와 상기 배기유로의 일부가 상기 팬 모터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로봇 청소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 dus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 fan motor unit dispo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A suction unit disposed apart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with the fan motor portion therebetween; An intake passage connecting the intake unit and the first opening; And a ventilation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opening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a part of the intake passage and a part of the exhaust passage overlap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fan motor part .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Robot Cleaner {ROBOT CLEANER}

본 발명은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leaning a floor while traveling a certain area by itself.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우주 항공 로봇, 의료용 로봇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part of factory automation. In recent years, the field of applications of robots has been expanded, and home robots that can be used in ordinary households as well as aerospace robots and medical robots have been made.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로 로봇 청소기를 들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정용 로봇 청소기는 집안 내부를 자율 주행하며 바닥의 먼지(이물질을 포함한다)를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도록 이루어진다.A typical example of a home robot is a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carries out a function of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a certain area by itself. For example, a home robot cleaner is operated to self-drive the inside of the house, to suck dust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or to mop the floor.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주행 중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집안 내부를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 기능을 수행한다.Such a robot cleaner generally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various sensors capable of avoiding obstacles during traveling, so that the robot cleaner runs the inside of the house by itself and performs a cleaning function.

로봇 청소기의 원활한 자율 주행을 위해서는 전체의 경로를 설정하고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로봇 청소기는 자율 주행 특성을 이용하여 집안 내부를 촬영, 감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봇 청소기에는 각종 센서가 이용되고 있으나, 최적화된 설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It is important to set the whole path and to detect obstacles in the traveling route for smooth self-running of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also performs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monitoring the inside of the house using autonomous driving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various sensors are used in the robot cleaner, but the optimized design has not yet been studied.

아울러, 통상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저부에 흡입부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처럼 흡입부가 청소기 본체에 내장되는 구조는, 흡입력 저하, 브러시 롤러의 분리 불가 등의 문제를 가졌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들과 같이 흡입 유닛이 청소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상기 구조는 흡입 유닛과 장애물 간의 충돌 가능성 증가, 흡입 유닛이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센싱 유닛의 사각지대 내에 위치 등의 관점에서 해결해야 할 점들이 많았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ction un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Howe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part is housed in the cleaner main body ha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suction force and inability to separate the brush roller.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unit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suction unit and the obstacle is increased, the su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blind spot of the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There are many points that need to be solved in terms of location and so on.

그리고 청소기 본체에 먼지통이 결합되고, 먼지통에 먼지통 덮개가 결합되는 구조는 각 구성들의 정확한 조립, 그리고 상기 조립의 용이성이 중요한데,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품은 아직까지 출시되지 않았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and the dust container cover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is important for accurate assembly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ease of assembly.

또한, 로봇 청소기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기 전에 통상적으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헤파 필터를 통과하게 되는데, 기존의 로봇 청소기는 상기 헤파 필터의 교체 내지는 청소를 위해서는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분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bot cleaner passes through a HEPA filter, which typically filters fine dust before being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port. In order to replace or clean the HEPA filter,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uses a part of the cleaner main body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disassemble.

특허문헌 1: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3/0305484 A1 (2013.11.21. 공개)Patent Document 1: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US 2013/0305484 A1 (published on November 21, 2013) 특허문헌 2: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3/0061420 A1 (2013.03.14. 공개)Patent Document 2: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3/0061420 A1 (published on Mar. 13, 2013) 특허문헌 3: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3/0061417 A1 (2013.03.14. 공개)Patent Document 3: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3/0061417 A1 (published on March 13, 2013)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센싱부를 최소화하면서도 전방 감시/촬영 기능,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능 및 장애물 감지 기능을 구현하고, 장애물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센싱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sensing unit capable of implementing a forward surveillance / photographing function, a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unction and an obstacle sensing function while minimizing a sensing unit and improving an obstacle sensing performance have.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센싱 유닛을 보완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을 보다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전방에 급격하게 낮아지는 단턱이나 낭떠러지가 있는 경우 이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흡입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more directly by supplementing the sensing unit and detecting a step or a cliff which is rapidly lowered ahead .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먼지통이 먼지통 수용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 먼지통 및 먼지통 덮개 상호 간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can be firmly fixed to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nd the assembling convenience between the cleaner main body, the dust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cov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청소기 본체의 높이 제약을 고려하면서 먼지통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먼지통 내부의 새로운 유동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flow structure inside the dust container that can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dust container while considering the height restri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can be easily replaced.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흡입 유닛과 먼지통 사이에 배터리와 팬 모터부가 배치되는 구조에서, 흡기유로와 배기유로의 최적 설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mum design of an intake passage and an exhaust passage in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and a fan motor portion are disposed between a suction unit and a dust container.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자율 주행을 위한 휠 유닛을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센싱 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필터링된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통;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먼지통에 결합시 상기 먼지통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먼지통 덮개를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wheel unit for autonomous travel; A suction unit arrang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 sens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 dust container accommodated in a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collecting dust filtered from the sucked air; And a dust container cap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is rotatable, the dust container cap being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when the dus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휠 유닛과, 상기 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센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센싱 유닛의 전방과 상방을 함께 촬영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센싱부; 및 상기 제1센싱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제2센싱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whee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wheel unit; A suction unit arrang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nd a sens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the sensing unit comprises: a first sensing unit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photograph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unit; And a second sensing unit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ensing unit and sensing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ensing unit.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흡입 유닛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uction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제1센싱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상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corner where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meet.

상기 제2센싱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싱부에 의해 촬영된 상방 영상을 이용하여 주행 영역 내의 현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nse the current position in the travel region using the upwar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센싱부에 의해 촬영된 전방 영상들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전방 영상들이 서로 상이한 경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forward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generate control signals when the forward im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2센싱부는, 전방 하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 전방 상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레이저; 및 기설정된 촬영 영역 내에서, 상기 제1레이저와 상기 제2레이저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aser that irradiates a laser toward a front lower side; A second laser for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front upper side;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aser irradiated by the first laser and the second laser within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rea.

상기 제1레이저, 상기 제2레이저 및 상기 카메라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aser, the second laser, and the camera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제1레이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이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aser may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second laser may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레이저의 차단이 감지되면, 전방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an obstacle is located ahead of the obstacl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in the front of the camera,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상기 촬영 영역은 바닥으로부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까지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oting region may include an area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leaner body.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센싱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window disposed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nd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a case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window.

상기 윈도우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센싱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1윈도우; 및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센싱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may include a first window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ensing unit; And a second window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and disposed to cover the second sensing unit.

상기 제2윈도우에서 상기 제1센싱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윈도우는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window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first window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through hole.

상기 제2윈도우는,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에서 경사진 형태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이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이는 연장부분; 및 상기 연장부분에서 하향 연장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카메라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window comprises: a first portion having the through-hole; A second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in an inclined manner and disposed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lasers;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econd portion and covered by the case;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extension portion and projecting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he third portion being disposed to cover the camera.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휠 유닛과, 상기 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유닛은,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장애물과의 접촉시 가압되어 상기 제어부로 접촉 신호를 전달하는 범퍼 스위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ttai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whee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wheel unit; And a suction unit arranged to project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and to suck air containing dust, wherein the suction unit comprises: a case; And a bumper switch which is disposed to cover at least one side of the case and which is pressed upon contact with an obstacle and transmits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범퍼 스위치를 통하여 접촉 신호가 전달되면, 장애물에 부딪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ac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bumper switch,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hit by an obstacle and controls driving of the wheel unit.

상기 범퍼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프론트 범퍼 스위치;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사이드 범퍼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switch includes: a front bumper switch provided on a front side of the case; And a side bumper switch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respectively.

상기 사이드 범퍼 스위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양측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bumper switch may be arrang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범퍼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장애물과의 접촉시 가압되어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범퍼; 및 상기 범퍼의 내측에 배치되어, 범퍼가 내측으로 이동되면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switch includes a bumper mounted on the case and exposed to the outside, being pressurized when the bumper switch is in contact with an obstacle and movable inward; And a switch disposed inside the bumper and adapt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bumper is moved inward.

상기 범퍼 스위치는, 상기 범퍼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범퍼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mper switch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bumper and the case to press the bumper.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저부측 전단부에 배치되어, 하방의 지형을 감지하는 클리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liff sensor disposed at a front-end por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case, for sensing a downward terra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프 센서를 통하여 하방의 지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휠 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driving of the wheel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wnward terrain is lower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rough the cliff sensor.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저부측 전단부에 배치되어, 충전 스테이션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terminal disposed at a front end por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with the charging station.

상기 클리프 센서는 상기 충전 단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clipping sensor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arging terminal.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러시 롤러를 구비하는 메인 케이스부; 및 상기 메인 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includes: a main case portion having a brush roller rotatable therein; And a cover case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case part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case part.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조작시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대한 상기 커버 케이스부의 록킹이 해제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that is operable to operate the main case unit and releases the locking of the cover case unit with respect to the main case unit during the operation.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스부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브러시 롤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part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brush roller.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먼지통 수용부가 형성된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휠 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먼지통;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통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먼지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통 덮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part and having a dust container receiving part; A wheel unit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controlled to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A suction unit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in the dust receptacle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ked air to collect dust; And a hinge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a dust container cap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 수용부로부터 이탈이 제한된다.In the state where the dust bin cover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the dust container is restric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장착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 돌기에 대응되는 장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Mounting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art, and mou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리세스부가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덮개의 일부는,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부에 수용될 수 있다.A recess is formed in the cleaner main body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receptacle, and a part of the dust receptac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when the dust receptacle is coupled to the dust receptacle.

상기 먼지통의 상부에는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가이드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An alignment mark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and a guide mark corresponding to the alignment mark may be formed on the recess portion.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리세스부보다 움푹 들어간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의 외주에는,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수용홈의 단턱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ss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recess that is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recess portion. A hook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receptacle such that the dust receptacle is hooked to the end of the receiving recess when the dust receptacle is received in the dust receptacle receiving portion .

상기 먼지통 덮개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includes a hing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The hinge portion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over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상기 먼지통의 외주에는 걸림 후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걸림 후크가 걸림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A hook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container. The vacuum cleaner body may be formed with a step to which the hook is hooked when the dust container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 덮개는 상기 걸림 후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dust bin cover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the dust container cover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hook.

상기 먼지통 덮개는 상기 먼지통의 록킹부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후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may include a hook portion that is fastenable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상기 록킹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먼지통은, 상면에 형성되는 손잡이 수용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가 상기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손잡이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includes: a handl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 handle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to be received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And an elastic portion elastically pressing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is in a state of being projec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먼지통 덮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손잡이 수용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dust bin cover is engaged with the dust container, the handle can be pressed by the dust container cover and received in the handle container.

상기 먼지통 덮개와 상기 먼지통 간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먼지통 덮개는 상기 먼지통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틸팅될 수 있다.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dust container case and the dust container is released, the dust container case can be tilted up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ust container.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틸팅되면, 상기 휠 유닛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When the dust container cover is tilted up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ust container,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may be stopped.

상기 먼지통 덮개에는 터치 키가 구비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key.

상기 먼지통 덮개에는 시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시각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for the time information.

상기 먼지통 덮개에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상기 먼지통 덮개의 내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회로기판이 구비되며, 상기 서브 회로기판에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유닛이 실장될 수 있다.A sub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dust container lid and an infrared ra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can be mounted on the sub circuit board.

상기 적외선 수신 유닛이 상기 먼지통 덮개의 측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먼지통 덮개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body so that the infrared receiver can receive an infrared signal flow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cover.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 먼지통 수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방으로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먼지통;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통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먼지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통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먼지통 덮개가 상기 먼지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상방 이동이 제한되는 로봇 청소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receptacle portion opened rearward and upward;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o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through an upwardly open portion and filtering dust from the sucked air to collect dust; And a hinge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a dust container cap remov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wherein,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o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unit,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dust container is limited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dust container is restricted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over is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먼지통 수용부가 형성된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휠 유닛; 및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통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는 제1개구와 제2개구가 동일 높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은, 둘레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제1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 및 상기 먼지통의 내주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과 상기 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하부와 상부로 각각 상호 분리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part and having a dust container receiving part; A wheel unit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controlled to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And a dust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disposed on the same height on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the dust container is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circumference,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when the dust container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dust container and separating and guiding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서 유동하도록, 상기 입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유동하도록, 상기 출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위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is provided below the guide so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flow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and the outlet is arranged on the guide .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입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출구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extend from an upper side of the inlet to a lower side of the outlet.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바로 옆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form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inle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이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cyclone for filtering dust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may be provided in the dust container.

상기 사이클론은,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사이클론;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사이클론의 내부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2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The cyclone comprising: a first cyclone for filtering the dust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second cyclon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ortion defined by the guide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cyclone to filter the fine dust.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사이클론을 통과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isposed to cover the receptacle and filtering dust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cyclone.

상기 필터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filte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hol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so that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상기 먼지통은, 상기 입구, 상기 출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사이클론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와 오버랩되는 상측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ust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case having the inlet, the outle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yclones accommodating therein the first and second cyclones; An upper cas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and having an upper opening overlapp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upp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and to which the filter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먼지통 수용부가 형성된 청소기 본체; 및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통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 상기 먼지통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과 상기 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하부와 상부로 각각 상호 분리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사이클론;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사이클론의 내부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2사이클론; 및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사이클론을 통과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dust receptacle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receptacle, wherein the dust receptacle is formed around the dust receptacle and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dust receptacl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dust receptacle receiving part when the dust receptacle is received in the dust receptacle receiving part,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pening, respectively; A guiding part extend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dust container and separating and guiding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separately from each other; A first cyclone for filtering the dust from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second cyclon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ortion defined by the guide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cyclone to filter fine dust; And a filter disposed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filter dust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cyclone.

상기 필터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filte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연통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hol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so that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상기 먼지통은, 상기 입구, 상기 출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사이클론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와 오버랩되는 상측 개구부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ust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case having the inlet, the outle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yclones accommodating therein the first and second cyclones; An upper cas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and having an upper opening overlapp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upp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and to which the filter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배기구의 전방에 배치되어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유닛은, 필터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필터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수용부에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And a filter unit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exhaust port to filter fine dust, wherein the filter unit has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is hinged to the cleaner main body, A filter case configured to be rotatabl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먼지통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먼지통 수용부를 한정하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nd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cleaner main body which defines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과 함께 상기 먼지통 수용부를 한정할 수 있다.The filter case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cleaner main body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inner wall, and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can be defined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while being housed in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 수용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lter case may be position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rotated to open the opening.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상기 필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배기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case may be provided with a ven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arranged to face the vent.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먼지통 수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팬 모터부; 상기 팬 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제1개구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및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 후방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유로의 일부와 상기 배기유로의 일부는 상기 팬 모터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receptacle; A dus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 fan motor unit dispo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A suction unit disposed apart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with the fan motor portion therebetween; An intake passage connecting the intake unit and the first opening; And an exhaust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opening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a part of the intake passage and a part of the exhaust passage overlap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an motor part.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흡입 유닛과 연결되는 유입구로부터 상향 연장된 후,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을 향해 휘어져 상기 팬 모터부의 상부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assage may extend upward from an inle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then be bent toward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pass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portion.

상기 유입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측 저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let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bottom of the cleaner body.

상기 배기유로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팬 모터부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The exhaust passage may extend forward and then pass through the fan motor portion and then may be diverted rearward to extend toward the exhaust port.

상기 배기유로 상의 상기 팬 모터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필터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A filter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an motor unit and the exhaust port on the exhaust flow path.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 filter case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cleaner body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housing part; And a filter detachably mounted on the filter case.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유로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may be located below the intake passage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팬 모터부와 상기 먼지통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fan motor portion and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상기 팬 모터부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opened toward the fan motor portion while the dust container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상기 흡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는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battery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먼지통 수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팬 모터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팬 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제1개구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및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타측 후방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개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배터리를 회피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receptacle; A dus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 fan motor unit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 batter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 su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an motor unit and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ntainer housing unit; An intake passage connecting the intake unit and the first opening; And an exhaust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opening and an exhaust port formed on the other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in paralle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And 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ile avoiding the battery.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are as follows.

첫째, 센싱 유닛의 제1센싱부가 청소기 본체의 일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전방과 상방을 함께 촬영하고, 제어부가 촬영된 영상을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전방 영상과 상방 영상으로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제1센싱부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목적별로 구비되었던 센싱부가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sensing unit of the sensing un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so that both the front and the top are taken together, and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captured image into the forward image and the upward image according to different purposes, The sensing unit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and the sensing unit provided for the existing purpose can be integrated into one.

또한, 센싱 유닛의 제2센싱부가 전방 하측 및 전방 상측을 향하여 각각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및 제2레이저, 그리고 상기 레이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전방의 지형지물 및 상부의 장애물이 함께 감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회피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of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lasers for respectively irradiating the laser toward the front lower side and the front upper side and th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aser, As a result, the obstacle avoidance ability of the robot cleaner can be improved.

아울러, 제1센싱부와 제2센싱부가 통합되어 센싱 유닛이라는 하나의 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새로운 폼 팩터를 가지는 로봇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are integrated to form a single sensing unit, a robot cleaner having a new form factor can be provided.

둘째, 청소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 흡입 유닛에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범퍼 스위치가 구비되어, 장애물과의 충돌시 이에 대한 직접적인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입 유닛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사이드 범퍼 스위치가 청소기 본체의 양측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됨으로써, 측방향의 장애물에 대한 감지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econdly, a bumper switch that is mechanically operated on the suction unit arranged in a protruding form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so that a direct detec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bumper switch is collided with an obstacle. Further, since the side bumper switch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unit are arrang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detection of the lateral obstacle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상술한 범퍼 스위치가 상기 센싱 유닛과 조합되면, 보다 향상된 장애물 감지 및 이에 따른 방향 전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bumper switch is combined with the sensing unit, a further improved obstacle detection and direction switching function can be realized.

아울러, 흡입 유닛의 경사부에 클리프 센서가 장착됨으로써, 전방에 급격하게 낮아지는 단턱이나 낭떠러지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미리 감지하여 적절한 회피 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iff sensor is attached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uction unit, if there is a step or a cliff which abruptly drops in front of the cliff sensor, the cliff sensor can be detected in advance and an appropriate avoidance maneuver can be performed.

또한, 흡입 유닛의 커버 케이스부가 메인 케이스부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메인 케이스부에 내장되는 브러시 롤러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 롤러의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cover case portion of the suction uni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main case portion, so that the brush roller incorporated in the main case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erefore, cleaning of the brush roller can be made easier.

셋째, 먼지통이 먼지통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먼지통과 먼지통 수용부 간의 걸림 구조에 의해 먼지통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먼지통 덮개가 먼지통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먼지통의 상방 이동까지 제한되므로, 먼지통이 먼지통 수용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 먼지통 및 먼지통 덮개 상호 간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rdly,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o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dust container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the dust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ase is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the upward movement of the dust container is limited. And the assembling convenience between the cleaner main body, the dust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cover can be improved.

아울러, 먼지통 덮개의 미들 프레임에 적외선 수신 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형태의 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천장에 배치되는 삼파장 램프 또는 태양광에 의한 적외선 수신 유닛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덮개의 측면이 청소기 본체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적외선 수신 유닛의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ddle frame of the dust bin cas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and which is open at the front so as to receive infrared rays, whereby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Can be prevented. Further,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bin cover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so that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can be improved.

넷째, 먼지통의 출구가 입구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청소기 본체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먼지통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의 출구가 입구 바로 옆에 형성됨으로써,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과 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하부와 상부로 각각 상호 분리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의 하방 경사각이 작아져,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충분한 회전 유동을 형성할 수 있으며, 먼지통의 바닥에 집진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Fourth, the outlet of the dust container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let, so that the capacity of the dust container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leaner main body. Further, since the outlet of the dust container is formed right beside the inlet,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is reduc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can form a sufficient rotational flow and scattering of the dus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ust container can be prevented.

다섯째, 필터 케이스가 청소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터 케이스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먼지통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필터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필터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fth, the filter case is hinged to the cleaner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filter case is dispos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while being rotated to open the opening, ,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여섯째, 흡기유로가 흡입 유닛과 연결되는 유입구로부터 상향 연장된 후, 청소기 본체의 일측을 향해 휘어져 팬 모터부의 상부를 지나도록 구성됨으로써, 청소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회피하면서 먼지통 상부로의 충분한 회전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흡기유로가 구현될 수 있다.Sixth, since the intake passage is extended upward from the inlet por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then bent toward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to pass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portion, a sufficient amount An intake flow passage capable of forming a rotational flow can be realized.

아울러, 배기유로가 흡기유로와 나란하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팬 모터부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필터 유닛을 거쳐 배기구로 연결됨으로써, 협소한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서 최적의 배기유로 설계가 구현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exhaust passage extends forward in parallel with the intake passage and passes through the fan motor portion, the exhaust passage is changed in the direction to the rear and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through the filter unit, thereby achieving an optimum exhaust passage design within the narrow vacuum cleaner main bod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센싱 유닛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싱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센싱 유닛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센싱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센싱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의 정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의 저부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에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브러시 롤러가 돌출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개념도.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에서, 먼지통 수용부에 먼지통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먼지통을 보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의 저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먼지통 수용부에 먼지통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의 정면도.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에서 상부 케이스 및 상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의 좌측면도.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먼지통 덮개를 보인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먼지통 덮개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먼지통 덮개의 배면을 보인 도면.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후크부가 먼지통에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7은 도 15에 도시된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을 보인 도면.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필터 유닛이 회동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Fig. 4 shows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Fig. 6 conceptu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 4;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separation of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shown in FIG. 6; FIG.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of detecting an obstacle by the second sensing unit shown in FIG. 4; FIG.
Fig. 9 shows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1; Fig.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9;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Fig. 12 shows the bottom of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9; Fig.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that the brush roller protrudes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n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9; Fig.
FIG. 1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ust bin is attached to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in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Fig. 17 is a bottom view of the dust bin shown in Fig. 16; Fig.
FI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st container is moun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shown in FIG. 15. FIG.
Fig. 19 is a front view of the dust bin shown in Fig. 16; Fig.
FIG. 2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and the upper cover are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shown in FIG. 16;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22 is a left side view of the dust bin shown in Fig. 16; Fig.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dust bin cover shown in Fig. 1.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bin cover shown in Fig.
Fig. 25 is a rear view of the dust bin cover shown in Fig. 23; Fig.
Fig. 2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ok portion shown in Fig. 25 is fastened to the dustbin. Fig.
Fig. 2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shown in Fig. 15. Fig.
2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27 is rotated;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로봇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의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바닥의 청소에는, 바닥의 먼지(이물질을 포함한다)를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robot clean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cleaning a floor while traveling on a certain area by itself. Cleaning of the floor includes suction of dust on the floor (including foreign matter) or mopping the floor.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 흡입 유닛(120), 센싱 유닛(130) 및 먼지통(140)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10, a suction unit 120, a sensing unit 130, and a dust box 140.

청소기 본체(110)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위한 휠 유닛(111)이 구비된다. 휠 유닛(111)에 의해 로봇 청소기(100)는 전후좌우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and a wheel unit 111 for traveling the robot cleaner 100. The robot cleaner 10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or to the left or to the right by the wheel unit 111.

휠 유닛(111)은 메인 휠(111a) 및 서브 휠(111b)을 포함한다.The wheel unit 111 includes a main wheel 111a and a sub wheel 111b.

메인 휠(111a)은 청소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각각의 메인 휠(111a)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메인 휠(111a)은 서로 다른 구동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The main wheel 111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Each of the main wheels 111a can be configured to be dri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each main wheel 111a may be driven by a different drive motor.

서브 휠(111b)은 메인 휠(111a)과 함께 청소기 본체(110)를 지지하며, 메인 휠(111a)에 의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 휠(111b)은 후술하는 흡입 유닛(120)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sub wheel 111b supports the cleaner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main wheel 111a and assists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00 by the main wheel 111a. The sub wheel 111b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120 described later.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가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00)는 바닥을 자율 주행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is made to run on the floor autonomously.

한편, 청소기 본체(110)에는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80)가 장착된다. 배터리(180)는 충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1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robot cleaner 100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battery 180 is configured to be chargeable and detachable from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110.

흡입 유닛(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은 상기 청소기 본체(110)가 정방향(F)으로 주행하는 측, 즉 청소기 본체(110)의 앞쪽이 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20 is arrang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suck air containing dust. The one side may be the side where the cleaner main body 110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F,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본 도면에서는, 흡입 유닛(120)이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에서 전방 및 좌우 양측방으로 모두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닛(120)의 전단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흡입 유닛(120)의 좌우 양단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the suction unit 120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both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unit 12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ction unit 120 ar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청소기 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흡입 유닛(120)의 후단부 양측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에 따라, 청소기 본체(110)와 흡입 유닛(120) 사이에는 빈 공간, 즉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은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양단부와 흡입 유닛(120)의 좌우 양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로봇 청소기(100)의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진다.The cleaner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uction unit 120 are protrud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pace, that is, a gap can be formed. The empty space is a space betwee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ction unit 120 and has a shape recessed inward of the robot cleaner 100.

상기 빈 공간에 장애물이 끼이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재(129)가 상기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29)는 청소기 본체(110) 또는 흡입 유닛(12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유닛(12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커버부재(129)가 돌출 형성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If an obstacle is caught in the empty space,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blocked by an obstacle. In order to prevent this, a cover member 129 may be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empty space. The cover member 129 may be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or the suction unit 120. A cover member 129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uction unit 120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커버부재(129)는 상기 빈 공간, 즉 청소기 본체(110)와 흡입 유닛(120) 간의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커버부재(129)는 곡면으로 형성된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외주면과 상기 좌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흡입 유닛(120)의 좌우 양단부 사이의 내측으로 리세스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빈 공간에 장애물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거나, 상기 빈 공간에 장애물이 끼이더라도 장애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 가능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29 is disposed to fill at least part of the empty space, that is, the empty space between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suction unit 120. In other words, the cover member 129 is disposed so as to fill at least a part of the inwardly recessed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leaner body 110 formed in a curved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suction unit 120 protruded from the left and right outer peripheral surfaces.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stacle from being caught in the empty space, or to easily remove the obstacle from the obstacle even if the obstacle is caught in the empty space.

흡입 유닛(120)에서 돌출 형성된 커버부재(129)는 청소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만일, 커버부재(129)가 청소기 본체(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경우라면, 커버부재(129)는 흡입 유닛(120)의 후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흡입 유닛(120)이 장애물과 부딪혀 충격을 받았을 때, 그 충격의 일부가 청소기 본체(110)로 전달되어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29 protruding from the suction unit 120 can be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cover member 129 may be suppor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uction unit 120.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structure, when the suction unit 120 is impacted by an impact with an obstacle, a part of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so that the impact can be dispersed.

흡입 유닛(120)은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120)이 청소기 본체(110)로 분리되면, 분리된 흡입 유닛(120)을 대체하여 걸레 모듈(미도시)이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10)에 흡입 유닛(120)을 장착하고, 바닥을 닦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10)에 걸레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When the suction unit 120 is separated into the cleaner main body 110, a mop module (not show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place of the separate suction unit 120. Accordingly, when the user desires to remove dust on the floor, the suction unit 120 may be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mop module may be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when the floor is to be cleaned.

흡입 유닛(120)이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시, 상술한 커버부재(129)에 의해 상기 장착이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29)가 청소기 본체(110)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청소기 본체(110)에 대한 흡입 유닛(12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suction unit 120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mounting can be guided by the cover member 129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ver member 129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whereb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uction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can be determined.

청소기 본체(110)에는 센싱 유닛(130)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유닛(130)은 흡입 유닛(120)이 위치하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 즉 청소기 본체(110)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싱 유닛(130)의 상단(134b1)은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다.A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where the suction unit 120 is located, that is, on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sensing unit 13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end 134b1 of the sensing unit 13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 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흡입 유닛(12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유닛(130)은 흡입 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봇 청소기(100)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흡입 유닛(120)이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전방의 장애물이나 지형지물 등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nsing unit 13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uction unit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unit 120 so as to detect an obstacle or feature in front of the suction unit 120 so that the suction unit 120 positioned at the forefront of the robot cleaner 100 does not hit the obstacle.

센싱 유닛(130)은 이러한 감지 기능 외의 다른 센싱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ensing unit 130 is further configured to perform a sensing function other than the sensing func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청소기 본체(110)에는 먼지통 수용부(113)가 구비되며, 먼지통 수용부(113)에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먼지통(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 수용부(113)는 청소기 본체(110)의 타측, 즉 청소기 본체(110)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수용부(113)는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ust receptacle 113. The dust receptacle 140 separates and collects the dust in the sucked ai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receptacle 113. [ As shown in the figure, the dust receptacle 11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at is, behind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has a shape that opens rearward and upward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may be recessed from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oward the front side.

먼지통(140)의 일부는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되되, 먼지통(140)의 다른 일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즉, 정방향(F)에 반대되는 역방향(R)]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 part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and anoth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140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10 (i.e., the reverse direction R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F) .

먼지통(140)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40a, 도 16 참조)와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40b, 도 16 참조)가 형성되며, 먼지통 수용부(113)에 먼지통(140)이 장착시 입구(140a)와 출구(140b)는 먼지통 수용부(113)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110a, 도 15 참조) 및 제2개구(110b, 도 15 참조)와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dust box 140 is formed with an inlet 140a (see FIG. 16)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40b (see FIG. 16) through which dust is separated.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when install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and the first opening 110a (see FIG. 15) and the second opening 110b (see FIG. 15)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Respectively.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는 연통부(120b")와 연통되는 유입구(110')부터 제1개구(110a)까지의 유로에 해당하며, 배기유로는 제2개구(110b)부터 배기구(112)까지의 유로에 해당한다.The suction flow path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110 'to the first opening 110a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ng portion 120b' 'and the exhaust flow path from the second opening 110b to the air outlet 112).

이러한 연결관계에 따라, 흡입 유닛(120)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를 거쳐, 먼지통(140)으로 유입되고, 먼지통(14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을 거치면서 공기와 먼지가 상호 분리된다. 먼지는 먼지통(140)에 집진되며, 공기는 먼지통(140)에서 배출된 후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배기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기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containing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flows into the dust box 140 through the suction passage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flows into the dust box 140 through the at least one cyclone Air and dus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ust i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2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finally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2.

이하에서는, 센싱 유닛(1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ns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1에 로봇 청소기(100)에 도시된 센싱 유닛(130)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싱 유닛(1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센싱 유닛(13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참고로,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들을 제외하거나 간략하게 도시하였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130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130 shown in 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sensing unit 130 shown. For reference, in FIG. 6,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me configurations are excluded or briefly show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센싱 유닛(130)은 제1센싱부(131) 및 제2센싱부(132)를 포함한다.4 to 6, the sens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131 and a second sensing unit 132.

제1센싱부(131)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전방과 상방을 함께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센싱부(131)로는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청소기 본체(110)의 일면은 바닥에 평행한 면으로서 바닥면,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 또는 측면이 될 수 있으며, 제1센싱부(131)는 상기 일면에 대하여 예각의 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센싱부(131)는 바닥에 평행한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에 대하여 30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so as to photograph both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side. The first sensing unit 131 may be a camera. On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a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first sensing portion 131 may be disposed at an acute angle It can be arranged obliquely.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unit 131 may be disposed at an angle of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parallel to the floor.

제1센싱부(131)는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상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센싱부(131)가 청소기 본체(110)의 가운데 상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면 및 측면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131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corner of the cleaner body 110 where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meet. In the figure,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disposed at the upper center corner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inclined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이처럼 제1센싱부(131)가 청소기 본체(110)의 일면에 대하여 예각의 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제1센싱부(131)는 전방과 상방을 함께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inclined within a range of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so that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arranged to photograph both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side.

도 7에서는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전방 영상(A)과 상방 영상(B)으로 분리되는 개념을 보이고 있다.7,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separated into a forward image A and an upward image B.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A)과 상방 영상(B)은 제1센싱부(131)의 상하 방향(즉, 수직 방향)의 화각(α)을 기준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촬영된 영상(A+B) 중 상기 화각(α)의 일부(α1)에 대응되는 영상은 전방 영상(A)으로 인식되고, 상기 화각(α) 중 다른 일부(α2)에 대응되는 영상은 상방 영상(B)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각(α)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7, the front image A and the upper image B captur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unit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vertical direction) . ≪ / RTI > That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art? 1 of the angle of view? Of the photographed image A + B is recognized as a forward image A,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nother part? 2 of the angle of view? Can be recognized as the upper image B. As shown in Fig. 6, the angle of view alpha can be an obtuse angle.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전방 영상(A)은 전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데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0)가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전방 영상(A)은 빈 집안의 무단 침입을 감시하거나, 원격 접속을 통하여 전자기기(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에 집안의 영상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front image A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used to monitor forward in real time.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used for home use, the forward image A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may be used to monitor intrusion of an empty house,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전방 영상(A)이 빈 집안의 무단 침입을 감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전방 영상들(A)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전방 영상들(A)이 서로 상이한 경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는 청소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경고음 출력 신호, 또는 원격 접속을 통하여 전자기기에 알림, 촬영된 전방 영상(A) 등을 제공하는 송출 신호가 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orward image A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trespassing of the empty house, the following control can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forward images A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when the forward images 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while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stopped. The control signal may be a warning sound output signal, or a transmission signal for notifying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a remote connection, providing a captured front image A, and the like.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전방 영상(A)이 원격 접속을 통하여 전자기기에 집안의 영상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원격 접속이 이루어진 전자기기로부터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전방 영상(A)을 분리하여 전자기기에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하여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해당 위치에서의 전방 영상(A)을 전자기기에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각(α)은 제1센싱부(131)가 천장을 포함하는 상방 영상(B)을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가질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orward image A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provided to provide an image of the house to the electronic apparatus via the remote connection, the following control can be performed. When the video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connected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can separate the forward image A of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and send it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to move to a specific position and then transmit the forward image A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For this, as shown in FIG. 6, the angle of view? May have a range in which the first sensing unit 131 can photograph the upper image B including the ceiling.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상방 영상(B)은 주행 영역의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영역 내의 현 위치를 감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0)가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센싱부(131)에 의해 촬영된 상방 영상(B) 중 천장과 측면과의 경계를 이용하여 주행 영역의 지도를 생성하고 상방 영상(B)의 주요 특징점들을 기준으로 상기 주행 영역 내의 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upper image B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used to generate a map of the running area and to sense the current position in the running area.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used for home use, the controller generates a map of the traveling area u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eiling and the side of the upper image B photograph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31 And the current position in the travel region can be sensed based on the main feature points of the upper image B.

제어부는, 주행 영역의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영역 내의 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방 영상(B)뿐만 아니라 전방 영상(A)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use the forward image (A) together with the upper image (B) as well as the front image (A) in order to generate a map of the traveling region and to sense the current position in the traveling region.

제2센싱부(132)는 제1센싱부(13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 내지는 지형지물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제2센싱부(132)가 청소기 본체(110)의 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132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ensing unit 131 to detect obstacles or features located in the front. In this figure, the second sensing unit 132 is arranged lo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제2센싱부(132)는 제1레이저(132a), 제2레이저(132b) 및 카메라(132c)를 포함한다.The second sensing unit 132 includes a first laser 132a, a second laser 132b, and a camera 132c.

제1레이저(132a)는 로봇 청소기(100)의 전방 하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고, 제2레이저(132b)는 로봇 청소기(100)의 전방 상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레이저(132a)와 제2레이저(132b)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레이저(132a)의 하부에 제2레이저(132b)가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first laser 132a irradiates the laser toward the front lower side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second laser 132b irradiates the laser toward the upper front side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first laser 132a and the second laser 132b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figure, the second laser 132b is arranged below the first laser 132a.

카메라(132c)는 기설정된 촬영 영역 내에서, 제1레이저(132a)와 제2레이저(132b)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설정된 촬영 영역은 바닥으로부터 로봇 청소기(100)의 상단까지의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하는 전방의 장애물이 감지될 수 있으며, 로봇 청소기(100)가 상부의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끼이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The camera 132c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laser beam irradiated by the first laser 132a and the second laser 132b within a preset photographing area. The preset photographing area includes an area from the floor to the upper end of the robot cleaner 100. Therefore, the obstacle ahead of the robot cleaner 100 can be detected, and the problem that the robot cleaner 100 hits the upper obstacle can be prevented.

상기 기설정된 촬영 영역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즉, 수직 방향)의 화각 105도, 좌우 방향(즉, 수평 방향)의 화각 135도, 그리고 25미터 전방 내의 영역이 될 수 있다. 기설정된 촬영 영역은 제1 및 제2레이저(132a, 132b)의 설치 위치, 제1 및 제2레이저(132a, 132b)의 조사 각도, 로봇 청소기(100)의 높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rea may be an angle of view of 105 degrees in a vertical direction (i.e., vertical direction), an angle of view 135 degre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rea within 25 meters in front of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rea. The predetermined photographing area can be chang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asers 132a and 132b, the angle of irrad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asers 132a and 132b, and the height of the robot cleaner 100 have.

제1레이저(132a), 제2레이저(132b) 및 카메라(132c)는 청소기 본체(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레이저(132b)의 하부에 카메라(132c)가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first laser 132a, the second laser 132b and the camera 132c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In this figure, the camera 132c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laser 132b.

제1레이저(132a)는 청소기 본체(110)의 측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2레이저(132b)는 청소기 본체(110)의 측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first laser 132a is disposed down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laser 132b is disposed up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도 8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제2센싱부(132)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 개념을 보이고 있다.In FIG. 8, the concept that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132 shown in FIG. 4 is shown.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레이저(132a, 132b) 각각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레이저(132a)가 서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고, 제2레이저(132b)가 단일의 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최하단 레이저는 바닥 부분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되고, 최상단 레이저는 상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되며, 최하단 레이저와 최상단 레이저 사이의 중간 레이저는 중간 부분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된다.First, referring to FIG. 8A, the laser beams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asers 132a and 132b are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beam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is figure, the first laser 132a irradiates a linear laser beam cross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laser 132b irradiates a single linear laser beam. According to this, the lowermost lase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in the bottom part, the uppermost lase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in the upper part, and the intermediate laser between the lowermost laser and the uppermost lase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in the middle part .

일 예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장애물(o)이 위치하는 경우, 최하단 레이저와 중간 레이저의 일부는 장애물(o)에 의해 차단되거나 왜곡된다. 카메라(132c)는 이러한 차단 내지는 왜곡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로 장애물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b), when the obstacle o is located in front, the lowermost laser and a part of the intermediate laser are blocked or distorted by the obstacle o. The camera 132c transmits an obstacl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blocking or distortion is detected.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전방에 장애물(o)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0)가 후진하도록 메인 휠(111a)에 반대 방향의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0)가 회전하도록 어느 하나의 메인 휠(111a)에만 구동력을 인가하거나, 양측 메인 휠(111a)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When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obstacle (o) is located ahead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wheel 111a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moves backwar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force to only one of the main wheels 111a or apply driving force to the main wheels 111a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rotates.

이하에서는, 센싱 유닛(130)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유닛(130)은 제1센싱부(131)와 제2센싱부(132)에 더하여, 윈도우부(133) 및 케이스(134)를 더 포함한다.5, the sensing unit 130 further includes a window unit 133 and a case 134 in addition to the first sensing unit 13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132. [

윈도우부(133)는 제1 및 제2센싱부(131, 132)를 덮도록 배치되고, 투광성을 가진다. 여기서, 투광성이라 함은 입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되는 성질로서, 반투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window portion 133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ortions 131 and 132 and has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Here, the term " translucency " means a property of transmitting at least a part of incident light, and is a concept including a translucency.

윈도우부(133)는 합성수지 재질이나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33)가 반투광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재질 자체가 반투광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재질 자체는 투광성을 가지되 상기 재질에 부착되는 필름이 반투광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window portion 133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When the window portion 133 is semi-transmissive, the material itself may be formed to have a translucency, the material itself may be transmissive, and the film attached to the material may be formed to have a translucency .

케이스(134)는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센싱부(131, 132)와 윈도우부(133)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4)는 윈도우부(13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케이스(134)는 합성수지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광성을 가진다.The case 134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arts 131 and 132 and the window part 133. [ As shown, the case 134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portion 133. The case 13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is opaque.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4)는 장착 프레임(134a)과 커버 프레임(134b)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case 134 may include a mounting frame 134a and a cover frame 134b.

장착 프레임(134a)은 제1 및 제2센싱부(131, 132)가 장착 및 지지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장착 프레임(134a)에는 제1센싱부(131)의 장착을 위한 제1장착부(134a1)와, 제2센싱부(132)의 장착을 위한 제2장착부(134a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장착부(134a2)에는 제1 및 제2레이저(132a, 132b)와 카메라(132c)가 실장된 기판(132')이 장착될 수 있다. 제2장착부(134a2)는 제1장착부(134a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134a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31 and 132 are mounted and supported. The mounting frame 134a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portion 134a1 for mounting the first sensing portion 131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34a2 for mounting the second sensing portion 132, have. The substrate 132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asers 132a and 132b and the camera 132c are mounted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4a2.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4a2 may be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4a1.

장착 프레임(134a)에는 커버 프레임(134b) 및 윈도우부(133)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및 제2체결후크(134a', 134a")가 각각 구비된다. 제1체결후크(134a')는 커버 프레임(134b)의 체결홀(134b')에 체결되고, 제2체결후크(134a")는 윈도우부(133)의 체결홀(133b")에 체결된다. 장착 프레임(134a)은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134a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oks 134a 'and 134a "for fastening with the cover frame 134b and the window portion 133. The first fastening hook 134a'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34b 'of the frame 134b and the second fastening hook 134a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33b" of the window part 133. The mounting frame 134a is fasten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커버 프레임(134b)은 장착 프레임(134a)에 결합되고, 윈도우부(13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상태로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된다. 커버 프레임(134b)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모서리에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frame 134b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134a and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10 while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window portion 133. [ The cover frame 134b may be formed in an L shape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at an edge thereof.

커버 프레임(134b)의 상단(134b1)은 제1센싱부(131)의 상측에 위치하며, 앞뒤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에 의하면,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중 가구나 기타 틈새에 끼더라도 쉽게 빠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센싱부(131, 132)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134b1)에 의해 제1 및 제2센싱부(131, 132)가 보호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상단(134b1)이 후술하는 홀(134")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upper end 134b1 of the cover frame 134b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nsing unit 131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ack and forth to have a pointed shap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the robot cleaner 100 is caught in furniture or other gaps during traveling, the robot cleaner 100 can be easily detached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arts 131 and 13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upper end 134b1 position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arts 131 and 132. [ 2 sensing units 131 and 132 can be protected. In the figure, the upper end 134b1 is formed at the end of a hole 134 " described later.

커버 프레임(134b)의 내부에 형성된 홀(134b")에는 제1센싱부(131), 그리고 제2센싱부(13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센싱부(131), 그리고 제2센싱부(132)의 제1 및 제2레이저(132a, 132b)가 상기 홀(134b") 내에 수용된 것을 보이고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unit 13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132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e 134b 'formed in the cover frame 134b. In this figure, the first sensing unit 131 ) And the first and second lasers 132a and 132b of the second sensing unit 132 are accommodated in the hole 134b ".

윈도우부(133)는 제1윈도우(133a) 및 제2윈도우(13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portion 133 may include a first window 133a and a second window 133b.

제1윈도우(133a)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제1센싱부(131)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2윈도우(133b)는 반투광성을 가지며, 제2센싱부(132)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윈도우(133b)에서 제1센싱부(13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13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윈도우(133a)는 관통홀(133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window 133a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is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ensing unit 131. [ The second window 133b has a semi-transmissive property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second sensing portion 132. [ As shown in the figure, a through hole 133b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portion 131 in the second window 133b, and the first window 133a may have a through hole 133b' As shown in Fig.

제1센싱부(131)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전방과 상방의 영상이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제2윈도우(133b)가 반투광성을 가짐에 따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제2윈도우(133b) 배면 상의 제1레이저(132a), 제2레이저(132b) 및 카메라(132c)가 잘 보이지 않아 깔끔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sensing unit 131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images in front and in the upper side can be clearly photographed. The first laser 132a, the second laser 132b, and the camera 132c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window 133b are well visibl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as the second window 133b has translucency A neat appearance can be realized.

제2윈도우(133b)는 제1부분(133b1), 제2부분(133b2), 연장부분(133b4) 및 제3부분(133b3)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second window 133b may be partitioned into a first portion 133b1, a second portion 133b2, an extending portion 133b4, and a third portion 133b3.

제1부분(133b1)은 상기 관통홀(133b')을 구비하는 부분으로서,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관통홀(133b')에 장착되는 제1윈도우(133a)는 제1센싱부(131)를 덮도록 배치된다.The first portion 133b1 is a portion having the through-hole 133b 'and is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The first window 133a mounted on the through hole 133b 'is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ensing unit 131. [

제2부분(133b2)은 제1부분(133b1)에서 경사진 형태로 하향 연장되고, 제1 및 제2레이저(132a, 132b)를 덮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부분(133b2)이 청소기 본체(110)의 측면과 평행하게 하향 연장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second portion 133b2 extends downwardly in an inclined form in the first portion 133b1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lasers 132a and 132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 133b2 is shown extending downward in parallel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연장부분(133b4)은 제2부분(133b2)에서 하향 연장되며, 커버 프레임(134b)에 의해 덮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분(133b4)은 제2부분(133b2)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장부분(133b4)은 카메라(132c)의 상하 방향으로의 화각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3부분(133b3)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 프레임(134b)에서 연장부분(133b4)을 덮는 부분은 카메라(132c)의 상하 방향으로의 화각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extension portion 133b4 extends downward in the second portion 133b2 and is covered by the cover frame 134b. As shown, the extension portion 133b4 may extend downward inward from the second portion 133b2. In other words, the extended portion 133b4 can be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third portion 133b3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iew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mera 132c. Likewise, the portion of the cover frame 134b that covers the extending portion 133b4 is incli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camera 132c.

제3부분(133b3)은 연장부분(133b4)에서 하향 연장되어 커버 프레임(134b)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카메라(132c)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3부분(133b3)은 제2부분(133b2)과 평행하게 청소기 본체(110)의 측면을 따라 하향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portion 133b3 extends downward from the extension portion 133b4 and protrud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ver frame 134b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camera 132c. The third portion 133b3 may extend downward along th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parallel to the second portion 133b2.

이하에서는, 흡입 유닛(1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c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에서 흡입 유닛(120)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120)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12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120)의 저부를 보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suction unit 120 separated from the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1,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suction unit 120 shown in FIG. 9, Fig. 12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unit 120 shown in Fig. 9. Fig.

본 실시예와 같이, 흡입 유닛(120)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흡입 유닛(120)에 별도의 센싱 유닛(130)이 구비되지 않는 이상, 장애물과 부딪힐 가능성이 증가한다. 물론,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센싱 유닛(130)이 흡입 유닛(120)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기는 하지만, 센싱 유닛(130)이 센싱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와 장애물 간의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충돌이 일어난 경우, 후퇴 내지는 방향 전환을 통한 장애물의 회피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장애물과의 물리적 충돌에 대한 감지가 요구된다.In the case where the suction unit 120 protrudes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unit 12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ensing unit 130, . Of course, if the sensing unit 130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detect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suction unit 120, but the obstacle exists in the blind spot where the sensing unit 130 can not sense, the robot cleaner 100) and obstacles may occur. When such a physical collision occurs, avoidance of obstacles through retreat or redirection must be made, and detection of a physical collision with an obstacle is first required.

흡입 유닛(120)은 케이스(121) 및 상기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는 범퍼 스위치(122)를 포함한다.The suction unit 120 includes a case 121 and a bumper switch 122 for sensing the physical impact.

케이스(121)는 흡입 유닛(120)의 외형을 이루며,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120b') 및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와 연통되는 연통부(120b")를 포함한다. 케이스(121)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121 includes an intake port 120b 'for sucking dust-containing air and a communication port 120b'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ake flow path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110, which form an outer shape of the suction unit 120 . At least a part of the case 121 may be formed to be transmissive so that the inside thereof can be seen.

케이스(121)의 적어도 일면에는 범퍼 스위치(122)가 배치된다. 범퍼 스위치(122)는 장애물과의 접촉시 가압되어 제어부로 접촉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A bumper switch 122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se 121. The bumper switch 122 is pressed upon contact with an obstacle to transmit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범퍼 스위치(122)는 케이스(121)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케이스(121)의 전방측에 프론트 범퍼 스위치(122a)가 구비되고, 케이스(1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bumper switch 122 may be arranged to enclose the case 121. [ This figure illustrates that the front bumper switch 122a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121 and the side bumper switches 122b and 122c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21, respectively.

상기 구성에 의하면, 흡입 유닛(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물리적 충돌뿐만 아니라 흡입 유닛(120)의 측면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물리적 충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과의 물리적 충돌의 감지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hysical collision with an obstacl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unit 120 as well as a physical collision with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suction unit 120 can be detected. Thus, the detection range of the physical collision with the obstacle can be extended.

앞선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가 청소기 본체(110)의 양측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선보다 돌출되게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는 청소기 본체(110)의 양측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bumper switches 122b and 122c protrude from a virtual extension line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at is, the side bumper switches 122b and 122c may be arrang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측면 상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청소기 본체(110)보다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가 먼저 장애물에 충돌하여 장애물에 대한 감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bstacle is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side bumper switches 122b and 122c may hit the obstacle first rather than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obstacle can be effectively detected.

범퍼 스위치(122)는 범퍼(122') 및 스위치(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umper switch 122 is comprised of a bumper 122 'and a switch 122 ".

범퍼(122')는 케이스(121)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장애물과의 접촉시 가압되어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bumper 122 'is mounted on the case 12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bumper 122' is configured to be pressurized when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and move inward.

범퍼(122')가 장애물로부터 떨어졌을 때 범퍼(122')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범퍼(122')의 내측에는 범퍼(122')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범퍼(122')와 케이스(121)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umper 122 'to press the bumper 122' outward so that the bumper 122 'is restored when the bumper 122' is removed from the obstacle . The elastic member may be supported by the bumper 122 'and the case 121, respectively.

스위치(122")는 범퍼(122')의 내측에 배치되어, 범퍼(122')가 내측으로 이동되면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스위치(122")로는 공지된 마이크로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switch 122 " is disposed inside the bumper 122 '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bumper 122 ' is moved inward. As the switch 122 " have.

제어부는 범퍼 스위치(122)를 통하여 장애물과의 접촉 신호가 전달되면, 장애물에 부딪힌 것으로 판단하여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0)가 후진하도록 메인 휠(111a)에 반대 방향의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0)가 회전하도록 어느 하나의 메인 휠(111a)에만 구동력을 인가하거나, 양측 메인 휠(111a)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When the contact signal with the obstac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bumper switch 122,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stacle is struck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wheel 111a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moves backwar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force to only one of the main wheels 111a or apply driving force to the main wheels 111a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rotates.

위에서는 범퍼 스위치(122)가 프론트 범퍼 스위치(122a) 및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로 나뉘어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범퍼 스위치(122)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121)의 전면과 좌우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umper switch 122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he front bumper switch 122a and the side bumper switches 122b and 122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umper switch 122 may be formed in a 'C' shape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21.

이 경우, 범퍼 스위치(122)는 후방측[케이스(121)의 전면에 배치되는 부분이 장애물과 접촉시], 우측[케이스(121)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이 장애물과 접촉시], 및 좌측[케이스(121)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이 장애물과 접촉시]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bumper switch 122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when the portion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21 contacts the obstacle), on the right side (when the portion dispos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case 121 contacts the obstacle) (When the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se 121 is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이와 같이, 흡입 유닛(120)에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범퍼 스위치(122)가 구비되면, 전자식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PSD 센서 등)가 구비되는 경우 대비, 장애물과의 충돌을 보다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us, when the suction unit 120 is provided with the mechanical bumper switch 1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more direct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PSD sensor, et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ircuit configuration.

또한, 범퍼 스위치(122)와 앞서 설명한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센싱 유닛(130)의 조합에 의해 보다 향상된 장애물 감지 및 이에 따른 방향 전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Further, by combining the bumper switch 122 and the sensing unit 130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improved obstacle detection and a corresponding direction switching function.

한편, 로봇 청소기(100)가 정방향(F)으로 주행하다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단턱, 낭떠러지 등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었을 때에는, 적절한 회피 기동이 요구된다. 만일, 이러한 상황에 대한 감지 및 대응되는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로봇 청소기(100)는 단턱을 낙하하며 파손되거나 단턱을 다시 오르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bot cleaner 100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F and is located near a step or a cliff falling sharply, a proper avoidance start is required. If such a situation is not detected and corresponding control is not performed, the robot cleaner 100 may fall down the step and may result in failure or step-up.

이를 위하여, 흡입 유닛(120)의 저부측 전단부에는 하방의 지형을 감지하는 클리프 센서(124)가 배치된다. 클리프 센서(124)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발광부에서 바닥(G)으로 조사된 광이 수광부에서 수신된 시간을 측정하여 클리프 센서(124)와 바닥(G) 간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방에 급격하게 낮아지는 단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전방에 낭떠러지가 있는 경우에는, 수광부로 광이 수신되지 않게 된다.To this end, a cliff sensor 124 for sensing a downward terrain is disposed at a front end por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suction unit 120. The cliff sensor 124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measure a time when the light emitted to the bottom G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nd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liff sensor 124 and the floor G .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sudden lowering step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ceived time rapidly increases. When there is a cliff in front,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본 도면에서는, 흡입 유닛(120)의 저부측 전단부에 바닥(G)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부(120a)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20a)에 클리프 센서(124)가 바닥(G)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클리프 센서(124)는 전방 하측의 바닥(G)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클리프 센서(124)에 의해 흡입 유닛(120) 전방 하측의 지형이 감지될 수 있다.In this figure, an inclined portion 120a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loor G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suction unit 120, and a cliff sensor 124 is provided on the inclined portion 120a, As shown in FIG. With this structure, the cliff sensor 124 is inclined toward the bottom G of the front lower side. Therefore, the topography of the front lower side of the suction unit 120 can be detected by the cliff sensor 124. [

상기 배치와 달리, 클리프 센서(124)는 바닥(G)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클리프 센서(124) 바로 아래의 지형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arrangement, the cliff sensor 124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floor G and configured to sense the terrain just below the cliff sensor 124. [

제어부는 클리프 센서(124)를 통하여 하방의 지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0)가 역방향(R)으로 후진하도록 메인 휠(111a)에 반대 방향의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0)가 회전하도록 어느 하나의 메인 휠(111a)에만 구동력을 인가하거나, 양측 메인 휠(111a)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when it is detected through the cliff sensor 124 that the downward terrain is lower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force to the main wheel 111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main wheel 111a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moves backward in the reverse direction (R).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force to only one of the main wheels 111a or apply driving force to the main wheels 111a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rotates.

상술한 클리프 센서(124)는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클리프 센서(124)의 기능을 고려하면,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클리프 센서는 청소기 본체(110)의 뒤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described cliff sensor 124 may also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cliff sensor 124, it is preferable that the cliff sensor inclu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참고로, 흡입 유닛(120)의 저부측 전단부에 경사부(120a)가 형성됨으로써, 낮은 문턱이나 장애물을 쉽게 등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20a)에 보조 휠(123)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등반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클리프 센서(124)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조 휠(123)을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the inclined portion 120a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suction unit 120, so that a low threshold or an obstacle can be easily climbed. Also,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auxiliary wheel 123 is provided on the inclined portion 120a, the climbing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n FIG. 10, the auxiliary wheel 123 is omitted in order to explain the cliff sensor 124.

한편, 로봇 청소기(100)는 무선으로 구동되므로, 사용 중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배터리(180)의 충전이 요구된다. 배터리(180)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 공급부로서의 충전 스테이션(미도시)이 구비되며, 흡입 유닛(120)에는 충전 스테이션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충전 단자(125)가 구비된다.Meanwhile, since the robot cleaner 100 is driven wirelessly, it is required to charge the battery 180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during use. A charging station (not shown) as a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for charging the battery 180 and a charging terminal 125 is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120 so as to be connectable with the charging station.

본 도면에서는, 앞서 설명한 케이스(121)의 경사부(120a)에 충전 단자(125)가 배치되어 전방으로 노출된 것을 보이고 있다. 충전 단자(125)는 흡입 유닛(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클리프 센서(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charging terminal 125 is disposed in the inclined portion 120a of the case 121 described above and exposed frontward. The charging terminals 12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liff sensors 124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unit 120, respectively.

한편, 흡입 유닛(120)에는 먼지의 효과적인 흡입을 위하여 브러시 롤러(126)가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 롤러(126)는 흡기구(120b')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바닥의 먼지를 쓸어 흡입 유닛(120)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suction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brush roller 126 for effective suction of dust. The brush roller 126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suction port 120b 'so as to sweep the dust on the floor and to introduce the dust into the suction unit 120.

브러시 롤러(126)의 기능상,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브러시 롤러(126)에는 먼지가 끼게 된다. 브러시 롤러(126)의 청소에 대한 니즈가 있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흡입 유닛(120)이 분해가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브러시 롤러(126)를 청소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As the brush roller 126 functions, the brush roller 126 becomes dusty over time.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cleaning of the brush roller 126, the suction unit 120 is usually formed in a structure difficult to be broken, so that it is difficult to substantially clean the brush roller 126.

본 발명에서는, 흡입 유닛(120)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아도 브러시 롤러(126)만 따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brush roller 126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without disassembling the suction unit 120 as a whole.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흡입 유닛(120)에서, 조작부(127)의 조작에 의해 브러시 롤러(126)가 돌출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that the brush roller 126 is proj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27 in the suction unit 120 shown in Fig.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스(121)는 메인 케이스부(121a)와 커버 케이스부(121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case 121 includes a main case part 121a and a cover case part 121b.

메인 케이스부(121a)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러시 롤러(126)를 구비하며, 일측에는 개구(121a')가 형성된다. 메인 케이스부(121a)의 전방측에는 프론트 범퍼 스위치(122a)가 장착되고, 메인 케이스부(121a)의 타측에는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가 장착된다.The main case part 121a includes a brush roller 126 rotatable therein, and an opening 121a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front bumper switch 122a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case portion 121a and side bumper switches 122b and 122c ar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portion 121a.

커버 케이스부(121b)는 메인 케이스부(121a)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121a')를 개폐하도록 메인 케이스부(12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케이스부(121b)에는 나머지 하나의 사이드 범퍼 스위치(122b, 122c)가 장착된다.The cover case 121b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case 121a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1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case 121a. The other side bumper switch 122b, 122c is mounted on the cover case 121b.

상기 구조에 의해 커버 케이스부(121b)가 메인 케이스부(121a)로부터 분리되면, 메인 케이스부(121a)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121a')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메인 케이스부(121a) 내부에 배치된 브러시 롤러(126)가 상기 개구(121a')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When the cover case 121b is separated from the main case part 121a by the above structure, the opening 121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case part 121a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brush roller 126 disposed in the main case part 121a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1a '.

흡입 유닛(120)에는 조작시 메인 케이스부(121a)에 대한 커버 케이스부(121b)의 록킹이 해제되는 조작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127)는 메인 케이스부(121a) 또는 커버 케이스부(121b)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27)의 조작 방식은 슬라이드 방식, 누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슬라이드 방식의 조작부(127)가 메인 케이스부(121a)에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suction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27 that releases the locking of the cover case 121b with respect to the main case unit 121a during operation. The operating portion 127 may be disposed in the main case portion 121a or the cover case portion 121b.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peration unit 127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lide method and a pushing method. In this figure, it is seen that the slide-type operation portion 127 is provided in the main case portion 121a.

메인 케이스부(121a)의 타측 내부에는 브러시 롤러(126)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28)로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이 이용될 수 있다.And an elastic member 128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brush roller 126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part 121a. As the elastic member 128, a leaf spring, a coil spring, or the like can be used.

탄성부재(128)는 커버 케이스부(121b)가 메인 케이스부(121a)에 체결시 브러시 롤러(126)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 있다가, 조작부(127)의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이 해제되면, 브러시 롤러(126)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브러시 롤러(126)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121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케이스부(121b)는 브러시 롤러(126)에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8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case portion 121b is pressed by the brush roller 126 when the main case portion 121a is fastened and when the fastening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127, Thereby pressing the brush roller 126. Accordingly, at least a part of the brush roller 126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1a '.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ver case 121b may b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brush roller 126. [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개념도이다.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도 14를 참조하면, 흡입 유닛(120)의 흡기구(120b')를 통하여 흡입 유닛(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부(120b")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참고로, 흡입 유닛(120)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는 먼지(이물질을 포함한다)가 포함되어 있다.14,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120 through the suction port 120b 'of the suction unit 120 flows into the cleaner main body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120b' ,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contains dust (including foreign matter).

청소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흡기유로를 통하여 먼지통으로 유입된다. 흡기유로는 연통부(120b")와 연통되는 유입구(110') 부터 제1개구(110a, 도 15 참조)까지 이어지는 유로에 해당한다. 흡기유로는 덕트, 주변 기구물, 또는 덕트와 주변 기구물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cleaner main body 110 flows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intake air flow path. The intake flow path corresponds to a flow path from the inlet 110 'to the first opening 110a (see FIG. 15)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ortion 120b' '. The intake flow path may be a duct, a peripheral structure, As shown in FIG.

본 도면에서는, 흡기 덕트(117)가 유입구(110')와 제1개구(110a)를 연결하여 흡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In this figure, the intake duct 117 connects the inlet 110 'and the first opening 110a to form an intake passage.

흡입 유닛(120)의 연통부(120b")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측 저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입구(110')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측 저면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측 저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portion 120b " of the suc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below the front sid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In this case, the inlet 11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 As shown, the inlet 1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bottom of the cleaner body 110.

그리고 먼지통(140)이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에 배치됨에 따라, 먼지통(140) 전방의 좌우 양측에는 팬 모터부(170)와 배터리(180)가 각각 배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유닛(120)은 팬 모터부(170)와 배터리(180)를 사이에 두고 먼지통(140)과 이격 배치된다.The fan motor unit 170 and the battery 180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of the dust container 140 as the dust container 140 is disposed behind the cleaner main body 110.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ction unit 120 is disposed apart from the dust container 140 with the fan motor part 170 and the battery 180 therebetween.

상기 배치에 따라, 유입구(110')와 연통되는 흡기 덕트(117)의 전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흡기 덕트(117)는 배터리(180)를 회피하여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팬 모터부(170) 위를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take duct 117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0 'is formed to extend upward. The intake duct 117 may extend to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while avoiding the battery 180 and may be arranged to pass over the fan motor unit 170 disposed on the one side.

제1개구(110a)는 먼지통(14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입구(140a)와 연통되도록 먼지통 수용부(113)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흡기 덕트(117)는 유입구(110')에서 제1개구(110a)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opening 110a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receptacle accommodating portion 11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40a formed i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 Thus, the intake duct 117 extends upwardly from the inlet 110 'toward the first opening 110a.

먼지통(140)으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14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을 거치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분리되어 먼지통(140)에 집진되고,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먼지통(140)에서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box 140 passes through at least one cyclone in the dust box 140.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separated by the at least one cyclone and is collected in the dust box 140, and the dust-remov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box 140.

구체적으로, 먼지통(140) 내에서 공기는 회전 유동을 형성하며, 공기와 먼지의 원심력 차이에 의해 먼지와 공기는 상호 분리된다. 공기는 팬 모터부(170)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을 거쳐 출구(140b)로 유동하지만, 먼지는 무게에 의한 관성력이 팬 모터부(170)에 의한 흡입력보다 커서 점차 낙하하여 먼지통(140)의 하부에 집진되게 된다.Specifically, the air in the dust box 140 forms a rotational flow, and the dust and ai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entrifugal force difference between air and dust. The air flows to the outlet 140b through at least one cyclone by the suction force by the fan motor unit 170. However, the inertia force due to the weight is larger than the suction force by the fan motor unit 170, 140 at the bottom.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측 저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140)의 입구(140a)는, 공기가 측방향으로 유입되어 자연스럽게 회전 유동을 형성하도록, 먼지통(140)의 내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입구(140a)는 청소기 본체(110)의 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let 1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bottom of the cleaner body 110. The inlet 140a of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formed to open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so that air flow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naturally forms a rotational flow. The inlet 140a may be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140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먼지통(140)에서 배출된 후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배기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기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구(112)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 후방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112)는 팬 모터부(170)와 같은 측[도면 상에서 청소기 본체(110)의 우측]에 배치된다.The dust-separa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12 through the exhaust passage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air outlet 112 is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haust port 112 is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fan motor portion 170 (right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the figure).

배기유로는 제2개구(110b, 도 15 참조)부터 배기구(112)까지의 유로에 해당한다. 배기유로는 덕트, 주변 기구물, 또는 덕트와 주변 기구물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haust flow path corresponds to the flow path from the second opening 110b (see FIG. 15) to the exhaust port 112. The exhaust flow path may be formed by a duct, a peripheral structure, or a combination of ducts and peripheral structures.

본 도면에서는, 배기유로가 제2개구(110b)와 팬 모터부(170)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118) 및 팬 모터부(170)로부터 배기구(112)까지의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내부 기구물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In this figure, an exhaust duct includes an exhaust duct 118 for connecting the second opening 110b and the fan motor unit 170, and an internal structur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rom the fan motor unit 170 to the exhaust port 112 As shown in FIG.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팬 모터부(170)는 청소기 본체(110)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개구(110b)도 청소기 본체(110)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팬 모터부(170)와 제2개구(110b)가 청소기 본체(110)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 내지 형성되되, 청소기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도면 상에서 청소기 본체(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The fan motor portion 17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central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10 so as to reduce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Correspondingly, the second opening 110b can also be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10. [ In this figure, the fan motor unit 170 and the second opening 110b are arranged or formed adjacen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 fan motor unit 170 and the second opening 110b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110).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구(110b)와 연통되는 배기 덕트(118)의 전단부는 제1개구(110a)와 연통되는 흡기 덕트(117)의 후단부와 동일 높이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exhaust duct 118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pening 110b may b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ar end of the intake duct 117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pening 110a.

이하, 도면을 근거로 흡기유로와 배기유로의 형상 및 관련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apes and related structures of 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유로의 일부와 배기유로의 일부는 팬 모터부(170)에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즉, 팬 모터부(170)에서 흡기유로와 배기유로는 상호 교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art of the intake passage and a part of the exhaust passage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an motor part 170. [ That is, in the fan motor section 170, the intake flow path and the exhaust flow path cross each other.

흡기유로는 흡입 유닛(120)과 연결되는 유입구(110’)로부터 상향 연장된 후,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을 향해 휘어져 팬 모터부(170)의 상부를 지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터리(180)를 회피하면서 먼지통(140) 상부로의 충분한 회전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흡기유로가 구현될 수 있다.The intake flow path extends upward from the inlet 110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20 and then is bent toward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pass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portion 170. Therefore, an intake flow path can be realized which can form a sufficient rotational flow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140 while avoiding the battery 18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배기유로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팬 모터부(170)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배기구(112)를 향하여 연장된다.The exhaust passage extends forward, passes through the fan motor portion 170, and then is diverted rearward to extend toward the exhaust port 112.

배기유로 상의 팬 모터부(170)와 배기구(112) 사이에는 필터 유닛(160)이 배치된다. 필터 유닛(160)은,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흡기유로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팬 모터부(170)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배기구(112)를 향하여 연장되는 배기유로 위에는 흡기유로가 배치된다.A filter unit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an motor unit 170 and the exhaust port 112 on the exhaust flow path. The filter unit 160 can be disposed under the intake passage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this case, the intake passage is disposed on the exhaust passage extending toward the exhaust port 112 after the passage of the fan motor portion 170 and then the rear direction.

팬 모터부(170)와 먼지통 수용부(113) 사이에 위치하는 흡기유로와 배기유로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입구(140a)와 출구(140b)는 팬 모터부(170)를 향하여 개구된다.The intake air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located between the fan motor portion 170 and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can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are opened toward the fan motor portion 170 while the dust container 140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

흡기유로와 배기유로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며,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 타측에는 배터리(180)가 배치된다. 즉, 흡기유로와 배기유로는 배터리(180)를 회피하여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된다.An intake path and an exhaust path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a battery 18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at is, 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while avoiding the battery 180.

상술한 구조에 의해, 협소한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최적의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 설계가 구현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optimum intake flow path and exhaust flow path design within the narrow vacuum cleaner main body 110.

이하에서는, 먼지통 수용부(113), 먼지통(140), 그리고 먼지통 덮개(15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dust container case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에서, 먼지통 수용부(113)에 먼지통(140)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ust container 140 is mounted o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n the robot cleaner 100 shown in FIG.

도 15를 참조하면, 청소기 본체(110)에는 먼지통(140)을 수용하는 먼지통 수용부(113)가 형성된다. 먼지통 수용부(113)는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지며,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다. 먼지통 수용부(113)는 먼지통(140)을 지지하는 바닥면과 먼지통(14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내측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for receiving the dust container 140 is form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s recessed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opens to the rear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upward.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may be defined by a bottom surface for supporting the dust container 140 and an inner wall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ust container 140.

청소기 본체(110)에는 상면에서 움푹 들어간 리세스부(116)가 먼지통 수용부(113)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먼지통 덮개(150)는 회동에 의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되며, 이때 먼지통(140)의 상면과 리세스부(116)를 함께 덮도록 배치된다(도 2 참조). 먼지통 덮개(150)의 일부는,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리세스부(116)에 수용된다.The cleaner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 recess portion 116 which is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by pivoting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recess portion 116 together (see FIG. 2). A part of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received in the recess portion 116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engaged with the dust container 140.

먼지통 수용부(113)의 내측벽에는 제1개구(110a) 및 제2개구(110b)가 형성된다. 제1개구(110a)와 제2개구(110b)는 동일 높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개구(110a)와 제2개구(110b)가 먼지통 수용부(113)의 내측벽 상단에 좌우로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A first opening 110a and a second opening 110b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first opening 110a and the second opening 110b may be disposed on the same height. In this figure, the first opening 110a and the second opening 110b are formed so as to be laterally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흡기유로-먼지통(140)-배기유로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개구(110a, 110b)가 입구(140a) 및 출구(140b)와 각각 연통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을 위해서는,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의 정위치에 장착되어야 한다.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0a and 110b should be arrang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respectively, in order to form a flow of air leading to the intake duct-dirt chamber 140-the exhaust passag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container 140, the dust container 140 should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이를 위하여, 먼지통 수용부(113)의 바닥면에는 장착 돌기(113b)가 돌출 형성되며, 먼지통(140)의 저면에는 장착 돌기(113b)에 대응되는 장착 홈(149, 도 17 참조)이 형성된다. 먼지통(140)은, 장착 돌기(113b)가 장착 홈(149)에 수용됨에 의해, 먼지통 수용부(113)의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A mounting protrusion 113b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and a mounting groove 149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113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 The dust container 140 can be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by the mounting protrusion 113b being received in the mounting groove 149. [

장착 돌기(113b)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먼지통(14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는, 장착 돌기(113b)가 먼지통(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113b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enter of the dust container 140 so that the dust container 14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not rotat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 In this figure, mounting protrusions 113b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the dust container 140, respectively.

참고로, 장착 돌기(113b)와 장착 홈(149)의 위치는 서로 뒤바뀔 수 있다. 즉, 먼지통(140)의 저면에 장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먼지통 수용부(113)의 바닥면에 장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positions of the mounting protrusion 113b and the mounting groove 149 may be reversed. That is, mounting protrusions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mount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먼지통 수용부(113)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1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통(140)의 저면에는 돌출부(113a)에 대응되는 홈부(148, 도 1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48)는 먼지통(14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113a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receptacle 113 and a groove 148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3a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receptacle 140. [ The groove portion 148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ust container 140.

먼지통 수용부(113) 또는 먼지통(140)에는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의 정위치에 장착시 제1개구(110a)와 입구(140a), 그리고 제2개구(110b)와 출구(140b) 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개스킷(110a', 110b')이 구비될 수 있다. 개스킷(110a', 110b')은 제1개구(110a)와 제2개구(110b)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입구(140a)와 출구(140b)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dust receptacle 140 or the dust receptacle 140 is provided with the first opening 110a and the inlet 140a and the second opening 110b and the outlet 140b when the dust receptacle 140 is moun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dust receptacle receiving portion 113. [ And gaskets 110a 'and 110b' that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gasket 140b and the gasket 110b. The gaskets 110a 'and 110b'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opening 110a and the second opening 110b or may surround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먼지통(140)을 보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140)의 저면도이다.Fig. 16 is a view showing the dust box 140 shown in Fig. 1, and Fig. 17 is a bottom view of the dust box 140 shown in Fig.

먼지통(140)은 청소기 본체(110)의 타측에 형성된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필터링된 먼지를 집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14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41a), 상부 케이스(141b) 및 하부 케이스(14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140 is accommodated in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collect dust that has been filtered from the sucked air. As shown in the figure, the dust container 1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include a body case 141a, an upper case 141b, and a lower case 141c.

본체 케이스(141a)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141a)의 내부에는 입구(140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사이클론(147a) 및 상기 제1사이클론(147a)의 내부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2사이클론(147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사이클론(147b)은 후술하는 가이드부(141a')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부(141a")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사이클론(1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cyclone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case 141a. For example, the main body case 141a includes a first cyclone 147a for filtering dust from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a, and a second cyclone 147b disposed inside the first cyclone 147a for filtering fine dust The second cyclone 147b may be disposed. The second cyclone 147b may b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ortion 141a "defined by a guide 141a 'described later. The second cyclone 147b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ways.

상부 케이스(141b)는 본체 케이스(141a)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하부 케이스(141c)는 본체 케이스(141a)의 하부를 덮도록 배치된다.The upper case 141b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141a and the lower case 141c is dispos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141a.

먼지통(140)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140a)와,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40b)가 각각 구비된다. 본 도면에서는, 본체 케이스(141a)의 측면에 입구(140a)와 출구(140b)가 각각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입구(140a)와 출구(140b)는 동일 높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본체 케이스(141a)의 상단에 입구(140a)와 출구(140b)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dust box 140 is provided with an inlet 140a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box 140 and an outlet 140b through which the dust-filtered air is discharged. In this drawing, an inlet 140a and an outlet 140b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41a, respectively.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may be disposed on the same height. In this figure, an inlet 140a and an outlet 140b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case 141a.

먼지통(140)은 먼지통 수용부(113)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용이한 착탈을 위하여, 먼지통(140)에는 손잡이(14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개시된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손잡이(143)는 상부 케이스(141b)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141b)에는 손잡이(143)가 수용 가능한 손잡이 수용부(142)가 형성된다.Since the dust box 14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ust box receiving portion 113, a handle 143 may be provided on the dust box 140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In detail, the handle 143 is hinged to the upper case 141b so as to be rotatable. The upper case 141b is formed with a knob receiving portion 142 in which the knob 143 can be received.

손잡이(143)는,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결합되어 먼지통(140)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먼지통 덮개(150)에 의해 가압되어 손잡이 수용부(142) 내에 수용되고,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수용부(142)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부 케이스(141b)에는 손잡이(143)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handle 143 is pressed by the dust container lid 150 to be received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142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lid 150 is disposed to cover the dust container 140 while being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140, The cover 150 can be in a state of protruding from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142 in a state where the cover 150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 To this end, the upper case 141b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not show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knob 143.

상부 케이스(141b)에는 걸림 후크(1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후크(145)는 상부 케이스(141b)의 전방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141b)의 전방이라 함은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의 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A hooking hook 145 may be formed on the upper case 141b. The latching hook 145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case 141b. The front of the upper case 141b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

걸림 후크(145)는 청소기 본체(110)의 리세스부(116)에 형성된 수용홈(116a)에 수용된다. 걸림 후크(145)는 상부 케이스(141b)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아래로 벤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홈(116a)에는 단턱(116a')이 형성되며, 걸림 후크(145)는 상기 단턱(116a')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hooking hook 145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6a formed in the recess portion 116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The hooking hook 145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141b and be bent downward. The receiving groove 116a is formed with a step 116a 'and the hooking hook 145 can be engaged with the step 116a'.

하부 케이스(141c)는 힌지부(141c')에 의해 본체 케이스(14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1c)에 구비되는 록킹부재(141c")는 본체 케이스(14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시 하부 케이스(141c)를 본체 케이스(141a)에 고정시키고, 결합 해제시 하부 케이스(141c)가 본체 케이스(141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141c)가 본체 케이스(141a)에 대하여 회동되면, 먼지통(140) 내부에 집진된 먼지가 하측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The lower case 141c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ase 141a by a hinge portion 141c '. The locking member 141c "provided on the lower case 141c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ase 141a so that the lower case 141c is fixed to the main body case 141a when engaged, The lower case 141c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ase 141a so that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40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opening.

힌지부(141c')와 록킹부재(141c")는 하부 케이스(141c)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의 정위치에 장착시 힌지부(141c')와 록킹부재(141c")는 먼지통 수용부(113)의 내측벽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141c 'and the locking member 141c'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141c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hinge portion 141c 'and the locking member 141c' 'may be cover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하부 케이스(141c)의 저면에는 상술한 장착 돌기(113b)에 대응되는 장착 홈(149)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홈(149)은 힌지부(141c')와 록킹부재(141c")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mounting groove 149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113b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41c. As shown, the mounting groove 149 can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inge portion 141c 'and the locking member 141c ".

또한, 하부 케이스(141c)의 저면에는 상술한 돌출부(113a)에 대응되는 홈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48)는 먼지통(14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먼지통 수용부(113)에 먼지통(140)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In addition, a groove 148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13a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41c. The groove portion 148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ust container 140. Figure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140 is install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shown in Figure 15. [

도 18을 참조하면, 먼지통 수용부(113)에 먼지통(14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는 상측으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힌지부(150a)에 의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통(140)은 먼지통 수용부(113)의 후방 상측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될 수 있다.18,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140 is not attached to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dust container lid 150 may be disposed upward by a hinge portion 150a that provides an elastic pressing force upward. Accordingly, the dust box 140 can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upper side of the dust box receiving portion 113,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dust box receiving portion 113.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의 정위치로 수용되면, 먼지통(140)의 외주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 후크(145)는 청소기 본체(110)의 리세스부(116)에 형성된 수용홈(116a)에 수용된다. 수용홈(116a)은 리세스부(116)보다 상대적으로 더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진다.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receiv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hook 145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recess portion 116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116a. The receiving groove 116a has a shape that is relatively more recessed than the recess portion 116. [

이에 따라, 수용홈(116a)에는 단턱(11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16a')은 걸림 후크(145)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림 후크(145)가 측방향으로 이동시 걸림되도록 이루어진다.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는 걸림 후크(145)를 덮도록 배치된다.Accordingly, a step 116a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16a. The step 116a 'is inserted into the hook 145 so that the hook 145 is latched when the hook 145 is laterally moved. In a state where the dust bin cover 150 is engaged with the dust box 140, the dust box cover 150 is disposed to cover the hook 145.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41b)의 상면은 리세스부(116)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41b can form the same plane as the recess portion 116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140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

걸림 후크(145)가 수용홈(116a)의 정위치에 수용될 수 있도록, 먼지통(140)의 상부에는 얼라인 마크(146)가 형성되고, 리세스부(116)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146)에 대응되는 가이드 마크(1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부 케이스(141b)에 얼라인 마크(146)가 음각으로 형성되고, 리세스부(116)에 가이드 마크(116')가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An alignment mark 146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ntainer 140 so that the engaging hook 145 can be receiv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6a and the alignment mark 146 The guide marks 116 'corresponding to the guide marks 116' may be formed. In this figure, an alignment mark 146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41b at a negative angle, and a guide mark 116 'is formed in the recess portion 116 at a negative angle.

수용홈(116a)은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의 힌지부(150a)는 수용홈(116a)에 수용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116a may be extended toward the front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hinge portion 150a of the dust container case 150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6a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140. [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후크(145)가 수용홈(116a)의 단턱(116a')에 걸림됨으로써, 먼지통(140)은 먼지통 수용부(113)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hook 145 with the step 116a 'of the receiving groove 116a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dust container 140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통 수용부(113)의 장착 돌기(113b)는 먼지통(140)에 형성된 장착 홈(149)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도, 먼지통(140)은 먼지통 수용부(113)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The mounting protrusion 113b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49 formed in the dust container 14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oo, the dust container 140 is restricted from moving laterally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따라서, 먼지통(140)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고는 먼지통 수용부(113)에서 빠질 수 없다.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체결되어 먼지통(140)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먼지통(140)의 상측 이동까지 제한되어,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서 이탈될 수 없다.Therefore, the dust container 140 can not be removed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without being moved upward. The dust container 140 is restricted from moving upward in the dust container 140 so that the dust container 140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140 and disposed to cover the dust container 140 I can not.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140)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140)에서 상부 케이스(141b) 및 상부 커버(141d)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먼지통(140)의 좌측면도이다.FIG. 19 is a front view of the dust box 140 shown in FIG. 16, FIG. 2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141b and the upper cover 141d are separated from the dust box 140 shown in FIG. 2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9, and Fig. 22 is a left side view of the dust container 140 shown in Fig.

일부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사이클론(147a)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사이클론(147b)을 생략하였다.In som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cond cyclone 147b provided inside the first cyclone 147a is omitted.

도 19 내지 도 22를 앞선 도 16과 함께 참조하면, 상부 커버(141d)는 먼지통(140)의 상측 개구부(141b')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141b)에 상측 개구부(141b')가 형성되며, 상부 커버(141d)가 상측 개구부(141b')를 개폐하도록 상부 케이스(141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상측 개구부(141b')는 멀티 사이클론이 배치되는 본체 케이스(141a)의 수용부(141a")상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FIGS. 19 to 22 together with FIG. 16, the upper cover 141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141b 'of the dust container 140. FIG. In this embodiment, an upper opening 141b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41b,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cover 141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41b so a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141b' have. The upper opening 141b 'is arranged to overlap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141a " of the main body case 141a in which the multi-cyclone is disposed.

상부 커버(141d)에는 상부 케이스(141b)와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위한 조작부(141d')가 구비된다. 조작부(141d')는 상부 커버(141d)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 즉 내측으로 누름 조작 및 탄성력에 의한 원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141d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rtion 141d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upper case 141b. The operating portions 141d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cover 141d so that they can b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to be able to press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141d by a pressing operation and an elastic force.

상부 커버(141d)에는 조작부(141d')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부 커버(141d)의 외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고정 돌기(141d")가 구비된다. 고정 돌기(141d")는 조작부(141d')의 누름 조작시 상부 커버(141d)에 형성된 수용부에 인입되어 외주로부터 미돌출된 상태에 놓이고, 탄성력에 의해 원복되면 상부 커버(141d)의 외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놓인다.The upper cover 141d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141d "which is pulled out or drawn ou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cover 141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41d 'The fixing protrusion 141d" And is in a state of being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cover 141d when it is unfolded by the elastic force.

상측 개구부(141b')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41b)의 내측면에는 고정 돌기(141d")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홈(141b")이 형성된다. 고정 홈(141b")은 고정 돌기(141d")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고정 홈(141b")은 상부 케이스(141b)의 내측면을 따라 루프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돌기(141d")의 설치 자유도가 증가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A fixing groove 141b "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41b forming the upper opening 141b 'by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protrusion 141d ". The fixing grooves 141b "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jections 141d "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xing groove 141b " may extend in the form of a loop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41b.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mounting the fixing protrusion 141d " increases.

본체 케이스(141a)에는 입구(140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과 출구(140a)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상호 분리하며, 상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1a')가 구비된다. 가이드부(141a')는 본체 케이스(141a)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case 141a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141a 'for separating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140a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140a from each other and guiding the flow. The guide portion 141a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case 141a during injection molding.

가이드부(141a')는 수용부(141a")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입구(140a)와 출구(140b)는 가이드부(141a')의 서로 반대되는 면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40a)는 가이드부(141a')의 하면상에 구비되어, 입구(140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부(141a')의 하부에서 유동한다. 출구(140b)는 가이드부(141a')의 상면상에 구비되어, 출구(140b)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가이드부(141a')의 상부에서 유동한다.The inlet portion 140a and the outlet portion 140b are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 141a '.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let portion 140a' The outlet 140b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41a 'so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140a flow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41a'. And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140b flow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41a '.

가이드부(141a')는 입구(140a)와 출구(140b) 사이를 가로막도록 형성되어, 입구(140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출구(140b)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상호 분리하도록 이루어진다.The guide portion 141a 'is formed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0a and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14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먼지통(140)의 입구(140a)는 먼지통(14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 유동을 형성하도록 먼지통(140)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구(140a)는 먼지통(14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The inlet 140a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preferably opened such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140 fac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so as to form a rotational flow. For example, the inlet 140a may be opened to ab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먼지통(140)의 출구(140b)는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고, 주변 구조물과 간섭됨이 없이 조화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let 140b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preferably formed to minimize flow loss and to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without interference.

입구(140a)와 출구(140b)는 먼지통(14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입구(140a)와 출구(140b)는 먼지통(140)의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may be arranged laterally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ust container 140. [ That is,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140.

입구(140a)는 먼지통(14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먼지통(140)의 바닥에 집진된 먼지를 비산시키지 않도록, 먼지통(140)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inlet 140a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140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140 does not scatter dus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ust container 140. [

멀티 사이클론의 높이 제약이 적은 청소기(예를 들어, 업라이트 타입, 캐니스터 타입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출구는 입구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로봇 청소기(100)와 같이 높이 제약을 고려하면서도 먼지통(140)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경우, 출구(140b)는 입구(140a)와 먼지통(140)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vacuum cleaner (for example, an upright type, a canister type, etc.) in which the height restriction of the multi-cyclone is small, the outlet is generally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However, when the capacity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increased, the outlet 140b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of the inlet 140a and the dust container 140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restriction, as in the robot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그리고 입구(140a)로 유입된 공기가 하향 경사진 가이드부(141a')에 의해 가이드되는 본원발명의 구조에서, 입구(140a)로 유입된 공기가 하방으로 향하는 각도는 가이드부(141a')의 경사와 관련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만일 가이드부(141a')의 경사가 크다면, 입구(140a)로 유입된 공기는 충분한 원심력을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먼지통(140)의 바닥에 집진된 먼지를 비산시킬 수도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40a is guided by the downwardly inclined guide portion 141a ', the angl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40a is downward, It is related to slope. In this respect, if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portion 141a 'is larg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40a may not receive sufficient centrifugal force, and may scatter dus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ust container 140. [

이러한 측면에서, 가이드부(141a')의 경사는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41a')는 입구(140a)의 상측에서 출구(140b)의 하측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입구(140a)와 출구(140b)가 먼지통(140)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부(141a')의 길이가 길수록 가이드부(141a')의 하방 경사는 완만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부(141a')는 출구(140b)가 입구(140a)의 바로 옆에 위치할 때 가장 길게 형성되며, 그 결과 가장 완만한 경사를 가진다.In this resp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portion 141a 'is as small as possible. The guide part 141a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let 140a to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140b. Therefore, when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140,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guide portion 141a ', the gentle downward inclination of the guide portion 141a' appears. According to this, the guide portion 141a 'is formed to be the longest when the outlet 140b is positioned right next to the inlet 140a, and as a result, has the most gentle slope.

본 도면에서는, 입구(140a)와 출구(140b)가 본체 케이스(141a)의 상단에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가이드부(141a')는 입구(140a)의 상단으로부터 출구(140b)의 하단을 향하여 본체 케이스(141a)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inlet 140a and the outlet 140b are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case 141a. The guide portion 141a 'may have a spiral downward inclination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41a from the upper end of the inlet 140a to the lower end of the outlet 140b.

먼지통(140)의 멀티 사이클론은 수용부(141a")에 수용되어 입구(140a)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이나 먼지를 필터링하게 된다. 이물이나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는 상승하여 가이드부(141a')의 상부에서 출구(140b)를 향하여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먼지통(140)은 이와 같이 유동하는 공기가 최종적으로 출구(140b)로 배출되기 전에 다시 한 번 이물이나 먼지를 필터링하는 구조를 구비한다.The multi-cyclone in the dust box 14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41a "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or dust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140a. The dust box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that flows in this way is filtered once again before the air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let 140b Respectively.

상부 커버(141d)의 배면에는, 상기 멀티 사이클론을 통과한 후 출구(140b)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이나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141f)가 구비된다. 필터(141f)는 수용부(141a")에 수용된 제2사이클론(147b)을 덮도록 배치되어, 제2사이클론(147b)을 통과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41d, a filter 141f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and dust in the air exhausted toward the outlet 140b after passing through the multi-cyclone is provided. The filter 141f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second cyclone 147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41a " to filter dust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cyclone 147b.

상부 커버(141d)가 상부 케이스(141b)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141f)는 수용부(141a")를 덮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필터(141f)는 가이드부(141a')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수용부(141a")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filter 141f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141a "in a state where the upper cover 141d is mounted on the upper case 141b. 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41a ".

필터(141f)는 상부 커버(141d)의 배면에서 돌출된 장착 리브(141e)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장착 리브(141e)가 복수의 돌출부(141e') 및 장착부(141e")를 포함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장착 리브(141e)는 상부 커버(141d)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141f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rib 141e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cover 141d. In this figure, the mounting rib 141e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141e 'and a mounting portion 141e ". The mounting rib 141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upper cover 141d .

돌출부(141e')는 상부 커버(141d)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개소에 구비된다. 장착부(141e")는 상부 커버(141d)의 배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복수의 돌출부(141e')에 의해 복수의 개소에서 지지된다. 장착부(141e")는 수용부(141a")보다 큰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41e 'protrudes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cover 141d and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mounting portion 141e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cover 141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suppor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by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141e '. The mounting portion 141e" It can be formed in a larger loop shape.

필터(141f)는 필터부(141f') 및 실링부(141f")를 포함한다.The filter 141f includes a filter portion 141f 'and a sealing portion 141f ".

필터부(141f')는 수용부(141a")를 덮도록 배치되어, 출구(140b)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이나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다. 필터부(141f')는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lter portion 141f 'is disposed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141a "and is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matter and dust in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140b. The filter portion 141f' may have a mesh shape.

실링부(141f")는 필터부(141f')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장착부(141e")에 장착되어 필터(141f)가 장착 리브(141e)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을 위하여, 실링부(141f")에는 장착부(141e")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41f")는 가이드부(141a')의 상면에 밀착되어 수용부(141a")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링부(141f")는 수용부(141a")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141f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lter portion 141f 'and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1e" so that the filter 141f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rib 141e. For the fixing, the sealing portion 141f " may be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mounting portion 141e " is fitted. The sealing portion 141f "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41a 'so as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141a ". Alternatively, the sealing portion 141f "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41a ".

상기 구조에 의해, 멀티 사이클론에 의해 이물이나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는 필터부(141f')를 통과하여 돌출부(141e')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출구(141f)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빈 공간은 필터(141f)의 외주에 형성되며, 가이드부(141a')의 상부와 연통된다. 아울러, 실링부(141f")가 필터(141f) 및 이와 밀착되는 가이드부(141a')의 상면 내지는 수용부(141a")의 내주면 간의 틈을 실링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틈을 통하여 공기 중의 이물이나 먼지가 출구(141f)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air filtered by the multi-cyclon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41f through the empty space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141e 'through the filter portion 141f'. Here, the empty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141f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41a '. The sealing portion 141f "is configured to seal a gap between the filter 141f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41a 'closely contacting the filter 141f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41a" Du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let 141f.

먼지통(140)의 다른 상세 구성들은 먼지통 덮개(150)와 구조적 관련성을 가지는바, 먼지통 덮개(15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Oth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dust container 140 are structurally related to the dust container case 150, and the dust container case 15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먼지통 덮개(150)를 보인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먼지통 덮개(15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3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shown in FIG. 1, and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shown in FIG.

도 23 및 도 24를 앞선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먼지통 덮개(150)는 힌지부(150a)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먼지통(140)에 결합시 먼지통(140)의 상면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치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의 일부는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되되, 먼지통 덮개(150)의 다른 일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즉, 정방향(F)에 반대되는 역방향(R)]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150a)는 먼지통 덮개(150)를 상측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미결합시 먼지통(140)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틸팅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3 and 24 together with FIGS. 1 to 3, the dust box cover 1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by a hinge portion 150a. When the dust box cover 150 is coupled to the dust box 140, (140). A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while anoth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dispos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110 (R)). The hinge portion 150a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upward so that when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not engaged with the dust container 140, the hinge portion 150a can be tilted upwardly inclined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have.

먼지통 덮개(150)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먼지통(140)에 결합시 원형의 먼지통(140)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에서 움푹 들어간 리세스부(116)가 먼지통 수용부(113)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8 참조). 먼지통 덮개(150)는 회동에 의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되며, 이때 먼지통(140)의 상면과 리세스부(116)를 함께 덮도록 배치된다. 청소기 본체(11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는 먼지통 덮개(150)의 전후 길이는,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는 먼지통 덮개(150)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 길이는 먼지통 덮개(150)의 반경과 같거나 상기 반경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dust container cover 150 may be formed to have a long oval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110 and may be disposed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circular dust container 140 when engaged with the dust container 140.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 recess portion 116 which is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receptacle accommodating portion 113 (see Figs. 15 and 18).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by pivoting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recess portion 116 together.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radius of the dustbin case 150.

먼지통 덮개(150)에는 터치 키(150'), 터치 스크린(150")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50")은 시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되 터치 기능은 구비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와 구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touch key 150 ', the touch screen 150' 'and the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dust container case 150. The touch screen 150' outputs time information, The display device can be distinguished from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time information but does not have a touch function.

먼지통 덮개(150)는 탑 커버(151), 바텀 커버(152) 및 탑 커버(151)와 바텀 커버(152) 사이의 미들 프레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bin cover 150 may include a top cover 151, a bottom cover 152 and a middle frame 153 between the top cover 151 and the bottom cover 152. The structures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탑 커버(151)는 투광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커버(151) 자체가 반투광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탑 커버(151) 자체는 투광성을 가지되 탑 커버(151)의 배면에 부착되는 필름이 반투광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탑 커버(151)가 투광성을 가짐에 따라, 터치 키(150')의 픽토그램 또는 터치 스크린(150")이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탑 커버(15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The top cover 15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For example, the top cover 151 itself may be formed to have translucency, or the top cover 151 itself may be formed to have translucency and the film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cover 151 may have a translucency have. As the top cover 151 is transparent, the pictogram of the touch key 150 ', or the tim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150' or the display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top cover 151.

탑 커버(151)의 배면에는 탑 커버(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후술하는 터치 키 모듈(154a) 및/또는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을 구성할 수 있다.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input to the top cover 151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cover 151. The touch sensor may constitute a touch key module 154a and / or a touch screen module 154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바텀 커버(152)는 탑 커버(151)와 결합되어, 탑 커버(151)와 함께 먼지통 덮개(150)의 외관을 형성한다. 바텀 커버(152)는 불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통 덮개(150) 내부에 전자소자 내지는 서브 회로기판(157)이 안착될 수 있는 장착면을 형성한다.The bottom cover 152 is engaged with the top cover 151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dust box cover 150 together with the top cover 151. [ The bottom cover 152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forms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sub circuit board 157 can be mounted in the dust container case 150.

탑 커버(151) 또는 바텀 커버(152)에는 청소기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150a)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150a)는 탑 커버(151) 또는 바텀 커버(152) 자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hinge unit 150a may be coupled to the top cover 151 or the bottom cover 152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he hinge portion 150a may be provided on the top cover 151 or the bottom cover 152 itself.

바텀 커버(152)에는 전자소자 내지는 서브 회로기판(157)이 장착된다. 일 예로, 청소기 본체(110)의 메인 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회로기판(157)이 바텀 커버(15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회로기판은 로봇 청소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An electronic element or sub circuit board 157 is mounted on the bottom cover 152. For example, a sub circuit board 157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in circuit board (not show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cover 152. Here, the main circuit board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robot cleaner 100.

서브 회로기판(157)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된다. 본 도면에서는, 서브 회로기판(157) 상에 터치 키 모듈(154a), 터치 스크린 모듈(154b) 및 적외선 수신 유닛(156, 예를 들어, IR 센서)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자소자가 서브 회로기판(157)에 실장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자소자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통하여 서브 회로기판(157)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Various electronic elements are mounted on the sub circuit board 157. In this figure, a touch key module 154a, a touch screen module 154b, and an infrared receiving unit 156 (for example, an IR sens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circuit board 157. [ The electrical connection includes not only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sub circuit board 157 but al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sub circuit board 157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터치 키 모듈(154a) 상의 탑 커버(151)에는 픽토그램(pictogram)이 인쇄되며, 터치 키 모듈(154a)은 탑 커버(151)의 픽토그램 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키 모듈(154a)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탑 커버(151)의 배면에 부착 또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키 모듈(154a)은 픽토그램을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ictogram is printed on the top cover 151 on the touch key module 154a and the touch key module 154a detects touch input to the pictogram portion of the top cover 151. [ The touch key module 154a includes a touch sensor, which may be attached to or disposed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cover 151. [ The touch key module 154a may further include a backlight unit for illuminating the pictogram.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은 시각정보의 출력을 통하여 로봇 청소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탑 커버(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로봇 청소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은 탑 커버(151)를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탑 커버(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한다.The touch screen module 154b is configured t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user through the output of time information and to detect the touch input to the top cover 151, Lt; / RTI >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includes a display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top cover 151 and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input to the top cover 151.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s integrally formed Implement a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은 미들 프레임(153)의 관통홀(153b)에 수용되어 본딩, 후크 결합 등에 의해 미들 프레임(15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서브 회로기판(15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은 탑 커버(151)의 배면에 부착 또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module 154b may be received in the through hole 153b of the middle frame 153 and may be coupled to the middle frame 153 by bonding, hook coupling,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circuit board 157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may be attached to or disposed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cover 151. [

먼지통 덮개(150)에는 가속도 센서(155)가 구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55)는 서브 회로기판(157)에 실장되거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서브 회로기판(15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55)는 가속도 센서(155)에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를 상호 수직한 X, Y, Z 벡터로 나누어 감지한다.The dust container cover 150 may be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155. The acceleration sensor 155 may be mounted on the sub circuit board 157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circuit board 157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acceleration sensor 155 sense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cting on the acceleration sensor 155 by dividing it into X, Y, and Z vectors tha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어부는 이러한 가속도 센서(155)에 의해 감지된 X, Y, Z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먼지통 덮개(15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덮개(15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먼지통 덮개(150)가 열린 상태(틸팅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두 벡터값들이 변하게 된다. 즉, 먼지통 덮개(15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가속도 센서(155)를 통하여 감지된 벡터값들이 달라지게 된다.The control unit can detect whether the dust bin cover 150 is opened or closed by using the X, Y, Z vector values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55. Specifically, when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in the closed state, at least two vector values are changed when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opened (tilted state). That is, the vector values sens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55 vary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dust bin cover 150.

제어부는 위의 두 상태에서의 벡터값들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덮개(150)가 열려 틸팅된 상태라면,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155)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휠 유닛(111)의 구동을 멈추고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ctor values in the above two stat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ust bin cover 150 is not fastened to the dust bin 140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or example, if the dust bin cover 150 is opened and tilted, the control unit senses this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55, stops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and can generate an alarm.

아울러, 먼지통 덮개(150)에 진동이 가해지면, 가속도 센서(155)를 통하여 감지된 벡터값들이 달라지게 된다. 제어부는 일정 시간 내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벡터값들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을 비활성화(OFF) 상태에서 활성화(ON)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먼지통 덮개(150)를 복수회 두드리게 되면,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155)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터치 스크린 모듈(154b)을 활성화 상태로 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dust bin cover 150, the vector values sens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55 are change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when a change in the vector valu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is inactivated, the controller senses this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55 and activates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You can call.

상술한 가속도 센서(155) 대신에 자이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가속도 센서(155)와 자이로 센서가 함께 이용되어 상호 보완을 통해 향상된 감지 성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A gyro sensor may be used instead of the acceleration sensor 155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acceleration sensor 155 and the gyro sensor may be used together to provide enhanced sensing performance by complementing each other.

적외선 수신 유닛(156)은 서브 회로기판(157)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신호는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의 조작시 상기 리모컨에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The infrared receiving unit 156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sub circuit board 157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rared signals transmitted in different directions. Here, the infrared signal may be a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during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미들 프레임(153)은 서브 회로기판(157)을 덮도록 배치되며, 서브 회로기판(157) 상에 실장된 터치 키 모듈(154a)과 터치 스크린 모듈(154b)에 각각 대응되는 관통홀들(153a, 153b)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들(153a, 153b)을 한정하는 내측면은 터치 키 모듈(154a) 및 터치 스크린 모듈(154b) 각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The middle frame 153 is disposed to cover the sub circuit board 157 and has through holes 153a corresponding to the touch key module 154a and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mounted on the sub circuit board 157, And 153b.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s 153a and 153b is formed to surround the touch key module 154a and the touch screen module 154b, respectively.

미들 프레임(153)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의 적외선 수신 유닛(156)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형태의 수용부(153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치에 의하면, 적외선 수신 유닛(156)은 먼지통 덮개(150)의 측면[구체적으로, 투광성을 가지는 탑 커버(151)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적외선 수신 유닛(156)의 상부가 수용부(153c)에 의해 덮이므로, 천장에 배치되는 삼파장 램프 또는 태양광에 의한 적외선 수신 유닛(156)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Each corner of the middle frame 153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53c which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infrared receiving units 156 and has a front opening so as to receive infrared rays.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156 is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bin cover 150 (specifically,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151 having transparency).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156 is covered by the receiving portion 153c, malfunction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156 by the three-wavelength lamp or sunlight disposed on the ceiling can be prevented.

먼지통 덮개(150)의 적어도 일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151)는 상면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부(151a)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퍼부(151a)는 탑 커버(151)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앞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dust bin cover 150 may be dispos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top cover 151 may have a tapered portion 151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surface. The tapered portion 151a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p cover 151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140, It can be positioned to protrude.

만일, 탑 커버(151)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측면이 연이어 형성된다면, 탑 커버(151)의 모서리 부분에서 탑 커버(151)로 유입되는 적외선 신호가 굴절 내지는 반사되어 적외선 수신 유닛(156)의 수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탑 커버(151)의 측면이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라면, 적외선 수신 유닛(156)의 수신 성능의 저하는 더욱 심화될 수 밖에 없다.If a vertically downwardly extending side surfac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151, the infrared signal received by the top cover 151 from the corner of the top cover 151 is refracted or reflected to form an infrared receiving unit 156 May be deteriorated. Further, if the side surface of the top cover 151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deterioration of the receiving performance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156 is intensified.

그러나 상기 구조에 따르면, 탑 커버(151)로 유입되는 적외선 신호가 테이퍼부(151a)에 의해 거의 굴절 내지는 반사됨이 없이 테이퍼부(151a)의 내측에 인접 배치되는 적외선 수신 유닛(1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151a)가 청소기 본체(110)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위치하고, 적외선 수신 유닛(156)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테이퍼부(151a)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에 따라, 사방에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수신 유닛(156)의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infrared signal introduced into the top cover 151 is transmitted to the infrared receiving unit 156,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tapered portion 151a, without being refracted or reflected by the tapered portion 151a . Since the tapered portion 151a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infrared ray receiving units 156 are provid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side of the tapered portion 151a, An infrared signal can be received. Therefore,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unit 156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먼지통(140)의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ing structure of the dust container 140 will be described.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먼지통 덮개(150)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후크부(158)가 먼지통(140)에 체결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25 is a rear view of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shown in FIG. 23, and FIG. 2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ok portion 158 shown in FIG. 25 is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140.

도 25 및 도 26을 앞선 도 16과 함께 참조하면, 먼지통 덮개(150)는 먼지통(140)의 록킹부(144)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후크부(158)를 구비한다. 본 도면에서는, 바텀 커버(152)의 저면 일측에 후크부(158)가 돌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후크부(158)는 힌지부(150a)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5 and 26 together with FIG. 16,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has a hook portion 158 which is fastenable to the locking portion 144 of the dust container 140. In this figure, a hook portion 158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over 152. The hook portion 158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ortion 150a.

후크부(158)가 록킹부(144)에 체결시, 먼지통(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43)는 먼지통 덮개(150)에 의해 가압되어 손잡이 수용부(142) 내에 수용된다. 후크부(158)와 록킹부(144) 간의 체결이 해제되면, 손잡이(143)는 탄성부에 의해 가압되어 손잡이 수용부(142)로부터 돌출된다.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3)는 상부 케이스(141b)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hook portion 158 is fastened to the locking portion 144, the handle 143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box 140 is pressed by the dust box lid 150 and is received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142. When the engagement between the hook portion 158 and the locking portion 144 is released, the knob 143 is pressed by the elastic portion and protruded from the knob accommodating portion 142. As shown above, the handle 143 may be disposed at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141b.

먼지통(140)에 구비되는 록킹부(144)는 버튼부(144a) 및 걸림부(144b)를 포함한다. 록킹부(144)는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으로 노출된다.The locking portion 144 provided in the dust container 140 includes a button portion 144a and a locking portion 144b. The locking portion 144 is exposed behind the cleaner main body 110.

버튼부(144a)는 먼지통(140)의 측면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며, 걸림부(144b)는 먼지통 덮개(150)의 후크부(158)가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되, 버튼부(144a)의 누름 조작시 후크부(158)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걸림부(144b)는 먼지통(1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144a is configured to be pres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The hook portion 144b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hook portion 158 of the dust container case cover 150,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hook portion 158 is releas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The latching portion 144b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140. [

위에서는, 먼지통 덮개(150)에 후크부(158)가 형성되고, 먼지통(140)에 록킹부(144)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후크부(158)와 록킹부(144)의 형성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먼지통 덮개(150)에 록킹부가 구비되고, 먼지통(140)에 후크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hook portion 158 is formed in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and the blocking portion 144 is provided in the dust container 140. However, the hook portion 158 and the locking portion 144 The positions can be interchanged. In other words, the dust container case 15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and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이처럼, 먼지통 덮개(150)는 후크부(158)와 록킹부(144)의 체결 구조에 의해 먼지통(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먼지통 덮개(150)와 청소기 본체(110) 간의 직접적인 체결 관계는 존재하지 않고,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먼지통(140)과 체결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140 by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hook portion 158 and the locking portion 144. [ That is, there is no direct coupling between the dust container case 150 and the cleaner body 110, and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140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먼지통(140)은 상술한 장착 돌기(113b)-장착 홈(149) 및 걸림 후크(145)-단턱(116a')에 의해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을 덮은 상태로 먼지통(140)에 체결되면, 먼지통(140)의 상측으로의 이동마저도 제한되어,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ntainer 140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above-described mounting protrusion 113b-mounting groove 149 and the hooking hook 145-step 116a ' Is limited. When the dust box 140 is received in the dust box receiving portion 113 and the dust box lid 150 is fastened to the dust box 140 while covering the dust box 140, the upward movement of the dust box 140 is limited , The dust container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먼지통(140)의 미장착시에는 먼지통 덮개(150)가 힌지부(150a)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 즉 미고정 상태에 놓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미고정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는 상측으로 틸팅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not attached,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freely rotatable about the hinge portion 150a, that is, is not fix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unfixed state, the dust container case 150 can be arranged to be tilted upward.

먼지통 덮개(150)는 먼지통(140)에 체결되어야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다.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에 체결되지 않으면, 먼지통 덮개(150)는 상향 경사지게 틸팅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먼지통 수용부(113)에 먼지통(140)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먼지통 덮개(150)가 상향 경사지게 틸팅된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dust bin cover 150 is disposed horizontally when it is fastened to the dust box 140. If the dust bin cover 150 is not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140,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is in an upwardly inclined and tilted stat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ust container lid 150 is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140 is not inclin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and is inclined upwardly inclined.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통 덮개(150)가 틸팅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먼지통 덮개(150)와 먼지통(140) 간의 체결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fastened to the dust container 140 by visuall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ust container case 150 is in a tilted state.

한편, 먼지통(140)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먼지통(140)에서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배기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구(112)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링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160)이 배치되는바, 이하 상기 필터 유닛(160)에 대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iltered in the dust container 140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12. Here, a filter unit 160 for filter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filtered ai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xhaust port 112. Hereinafter, the filter unit 160 will be described.

도 27은 도 15에 도시된 먼지통 수용부(113)의 내측을 보인 도면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필터 유닛(160)이 회동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필터 유닛(16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shown in FIG. 15, FIG. 2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160 shown in FIG. 27 is rotat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160 shown in Fig.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필터 유닛(160)은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배기구(112)의 전방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160)은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서 분리시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배기구(112)는 먼지통 수용부(113)를 한정하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12)는 먼지통 수용부(113)를 감싸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상 먼지통 수용부(113)의 좌측 단부에 배기구(112)가 청소기 본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27 to 29, the filter unit 16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xhaust port 112. The filter unit 16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Here, the exhaust port 112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defining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exhaust port 112 may be formed at one end (left or right)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surrounding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port 112 is formed to be lo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t the left end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as shown in the drawin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개구(110b)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유로를 통하여 배기구(112)로 가이드된다. 배기구(122)가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구조상, 상기 배기유로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 단부로 연장된다. 필터 유닛(160)은 상기 배기유로 상에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opening 110b is guided to the exhaust port 112 through the exhaust passage. The exhaust passage extends to one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xhaust port 1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filter unit 160 is disposed on the exhaust passage.

필터 유닛(160)은 필터 케이스(161) 및 필터(162)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160 includes a filter case 161 and a filter 162.

필터 케이스(161)는 먼지통 수용부(113)를 한정하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61c)를 구비한다. 따라서, 필터 케이스(161)는 청소기 본체(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filter case 161 has a hinge portion 161c hinged to the inner wall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defining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 Therefore, the filter case 161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필터 케이스(161)는 필터 수용부(161a) 및 상기 필터 수용부(161a)와 연통되고 배기구(112)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통기구(161b)를 구비한다. 필터 케이스(16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 수용부(161a)에 장착된 필터(162)를 거쳐 통기구(161b)로 배출된다.The filter case 161 has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and a vent 161b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and disposed to face the exhaust port 112. [ The air flowing into the filter case 161 is discharged to the air vent 161b through the filter 162 moun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필터(162)는 필터 수용부(161a)에 장착된다. 필터(162)로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이용될 수 있다. 필터(162)에는 손잡이(16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162 is mounted on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As the filter 162, a HEP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may be used. The filter 162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162a.

본 도면에서는, 필터 케이스(161)의 전면에 필터 수용부(161a)가 형성되고, 필터 케이스(161)의 측면에 통기구(161b)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케이스(161)의 측면에 관통홀(161e)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61e)을 통한 필터(162)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필터 케이스(161)의 바닥면에 필터(162)의 삽입 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161f)이 돌출 형성된다.This figure illustrates that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and a vent 161b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 More specifically, a through-hole 161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and a filter 162 (not show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to guide insertion of the filter 162 through the through- A guide rail 161f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61f.

필터 케이스(161)에 대한 필터(162)의 장착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예로, 본 도면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필터(162)는 필터 케이스(161)의 전면에서 장착되어 필터 수용부(161a)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162)는 필터 수용부(161a)에 후크 결합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filter 162 to the filter case 161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unlike the structure shown in this figure, the filter 162 may be mount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and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In this case, the filter 162 can be fixed to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through the hook coupling.

필터 케이스(161)는 내측벽에 형성된 개구(115)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10)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청소기 본체(11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내측벽과 함께 먼지통 수용부(113)를 한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필터 케이스(161)의 외부면은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먼지통 수용부(113)의 내측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case 161 is configured to be housed in the cleaner body 110 through an opening 115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cleaner body 110. The filter case 161 is housed in the cleaner body 110, 110) with the inner wall of the dust receptacle (113). For this,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may have a rounded shape, and preferably a curved surfac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urvature as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청소기 본체(110)의 내측벽과 함께 먼지통 수용부(113)를 한정하는 필터 케이스(161)의 일면에는 노브(161d)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3)에 수용시, 먼지통(140)은 필터 케이스(161)를 덮어 가리도록 구성되며, 노브(161d)는 먼지통(140)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A knob 161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case 161 that defines the dust receptacle 113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15, 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the dust container 140 is configured to cover and cover the filter case 161. The knob 161d is covered with the dust container 140, Lt; / RTI >

필터 케이스(161)는, 개구(115)를 개방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먼지통 수용부(1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필터 수용부(161a)가 외부로 노출되어, 필터(162)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er case 161 can be dispos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3 in a state rotated to open the opening 115.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61a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ilter 162 can be easily replaced.

Claims (15)

먼지통 수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팬 모터부;
상기 팬 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제1개구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및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 후방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유로의 일부와 상기 배기유로의 일부는 상기 팬 모터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 dus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 fan motor unit dispo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A suction unit disposed apart from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with the fan motor portion therebetween;
An intake passage connecting the intake unit and the first opening; And
And an exhaust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opening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a part of the intake passage and a part of the exhaust passage overlap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an moto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흡입 유닛과 연결되는 유입구로부터 상향 연장된 후,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을 향해 휘어져 상기 팬 모터부의 상부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assage extends upward from an inle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then is bent toward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pass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측 저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inflow por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팬 모터부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haust passage extends forward and passes through the fan motor portion and then is diverted rearward to extend toward the exhaust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 상의 상기 팬 모터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필터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filte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an motor unit and the exhaust port on the exhaust pass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case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cleaner main body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receptacle; And
And a filter removably mounted on the filter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유로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lter unit is located below the intake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is hou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부와 상기 먼지통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fan motor portion and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상기 팬 모터부를 향하여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opened toward the fan motor unit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is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는 배터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r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battery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먼지통 수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먼지통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각각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팬 모터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팬 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먼지통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과 상기 제1개구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및
상기 제2개구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타측 후방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개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와 동일 높이에서 상기 입구의 바로 옆에 위치하며,
상기 흡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배터리를 회피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에는, 내주를 따라 상기 입구의 상측에서 상기 출구의 하측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과 상기 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하부와 상부로 각각 상호 분리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 dus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housing portion;
A fan motor unit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 batter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 su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an motor unit and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ntainer housing unit;
An intake passage connecting the intake unit and the first opening; And
And an exhaust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opening and an exhaust port formed on the other rea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the outlet being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let and next to the inlet,
Wherein the intake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r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voiding the battery,
The dust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which extends down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let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along the inner periphery so as to divide the flow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into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Wherein the guiding part is provided with a guiding part for guiding the robo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흡입 유닛과 연결되는 유입구로부터 상향 연장된 후,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을 향해 휘어져 상기 팬 모터부의 상부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uction passage extends upward from an inle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then is bent toward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pass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팬 모터부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xhaust passage extends forward and passes through the fan motor portion and then is diverted rearward to extend toward the exhaust po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 상의 상기 팬 모터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필터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filte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an motor unit and the exhaust port on the exhaust passa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유로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lter unit is located below the intake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is hous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KR1020170136857A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19492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2415 2016-05-20
KR1020160062415 2016-05-20
KR1020160072690 2016-06-10
KR1020160072690 2016-06-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46A Division KR101878675B1 (en) 2016-05-20 2016-12-30 Robot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289A KR20170131289A (en) 2017-11-29
KR101949281B1 true KR101949281B1 (en) 2019-02-19

Family

ID=60812249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46A KR101878675B1 (en) 2016-05-20 2016-12-30 Robot cleaner
KR1020160184447A KR101878676B1 (en) 2016-05-20 2016-12-30 Robot cleaner
KR1020170136855A KR101961665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20170136857A KR101949281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20170136852A KR101949279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20170136854A KR101949280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20170166904A KR101978282B1 (en) 2016-05-20 2017-12-06 Robot cleaner
KR1020190049314A KR102556546B1 (en) 2016-05-20 2019-04-26 Robot cleaner
KR1020230090245A KR20230113231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3A KR20230112587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4A KR20230112588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1A KR20230112585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2A KR20230112586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46A KR101878675B1 (en) 2016-05-20 2016-12-30 Robot cleaner
KR1020160184447A KR101878676B1 (en) 2016-05-20 2016-12-30 Robot cleaner
KR1020170136855A KR101961665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52A KR101949279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20170136854A KR101949280B1 (en) 2016-05-20 2017-10-20 Robot cleaner
KR1020170166904A KR101978282B1 (en) 2016-05-20 2017-12-06 Robot cleaner
KR1020190049314A KR102556546B1 (en) 2016-05-20 2019-04-26 Robot cleaner
KR1020230090245A KR20230113231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3A KR20230112587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4A KR20230112588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1A KR20230112585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KR1020230090242A KR20230112586A (en) 2016-05-20 2023-07-12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3) KR1018786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515B1 (en) * 2018-03-14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leaner
KR102137463B1 (en) 2018-03-29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leaner
KR102220206B1 (en) * 2019-01-02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module and mobile robot including the same
KR102155095B1 (en) * 2019-03-26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201002B1 (en) * 2019-03-26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307439B1 (en) * 2019-07-11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20560B1 (en) 2020-01-08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KR20220051593A (en) * 2020-10-19 202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robot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122B1 (en) 2006-02-24 2007-10-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JP2009504310A (en) 2005-08-18 2009-02-05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Dust collection container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container cover support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83B1 (en) * 1994-05-26 1997-0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leading charging of a robot cleaner
JP3284964B2 (en) * 1998-03-31 2002-05-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ishwasher
IT1310795B1 (en) * 1999-12-10 2002-02-22 Vidoni Mario CLEANING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BRUSH
KR200324625Y1 (en) * 2003-05-30 2003-08-25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unmanned sweeping unit
KR101223478B1 (en) * 2005-08-10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sensing the engagement of a dust tank for a robot-cleaner
KR100714492B1 (en) * 2005-10-28 2007-05-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838889B1 (en) * 2007-01-24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4996976B2 (en) * 2007-05-25 2012-08-08 株式会社東芝 Dust bag holder
KR101408723B1 (en) * 2007-12-05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A cleaner having a handle for carrying a dust container and a cleaner body
KR100922716B1 (en) * 2007-12-14 200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1026065B1 (en) * 2008-08-18 2011-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witching device of cover for cleanner and switching structure using of the same
KR101855831B1 (en) * 2011-05-12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apparatus and collaboration cleaning method using robot cleaners
GB2494447B (en) 2011-09-09 2014-02-26 Dyson Technology Ltd Autonomous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94446B (en) 2011-09-09 2013-12-18 Dyson Technology Ltd Autonomous cleaning appliance
GB2502132B (en) 2012-05-17 2014-11-05 Dyson Technology Ltd Autonomous vacuum cleaner
GB2502131B (en) * 2012-05-17 2014-11-05 Dyson Technology Ltd Autonomous vacuum cleaner
KR20140096610A (en) * 2013-01-28 2014-08-06 (주)마미로봇 Robot cleaner
KR20140107991A (en) * 2013-02-28 2014-09-05 (주)마미로봇 Robot cleaner
KR101411685B1 (en) * 2013-04-18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JP2015154995A (en) * 2015-04-24 2015-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Self-propelled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4310A (en) 2005-08-18 2009-02-05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Dust collection container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container cover support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0767122B1 (en) 2006-02-24 2007-10-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288A (en) 2017-11-29
KR20170141163A (en) 2017-12-22
KR101878675B1 (en) 2018-07-18
KR20230112587A (en) 2023-07-27
KR20230112585A (en) 2023-07-27
KR20170131197A (en) 2017-11-29
KR20230112588A (en) 2023-07-27
KR101978282B1 (en) 2019-05-13
KR20170131287A (en) 2017-11-29
KR101949280B1 (en) 2019-02-19
KR20190051916A (en) 2019-05-15
KR101961665B1 (en) 2019-03-26
KR101949279B1 (en) 2019-02-19
KR20230113231A (en) 2023-07-28
KR20230112586A (en) 2023-07-27
KR102556546B1 (en) 2023-07-18
KR20170131286A (en) 2017-11-29
KR20170131198A (en) 2017-11-29
KR101878676B1 (en) 2018-07-18
KR20170131289A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281B1 (en) Robot cleaner
EP3459418B1 (en) Robot cleaner
KR101852438B1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