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07B1 -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 Google Patents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207B1
KR101949207B1 KR1020180075443A KR20180075443A KR101949207B1 KR 101949207 B1 KR101949207 B1 KR 101949207B1 KR 1020180075443 A KR1020180075443 A KR 1020180075443A KR 20180075443 A KR20180075443 A KR 20180075443A KR 101949207 B1 KR101949207 B1 KR 10194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water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호
정해창
Original Assignee
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lay facility for infants, comprising: a slab layer in which a filled slab forming space is formed; a plurality of support unit protruding from the slab forming space; a frame unit horizontal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s; a pad unit coupled to the frame unit and forming a surface of the water play facility; a plurality of pipes supplying water to the top of the pad unit or draining water at the top of the pad unit; and a coupling unit in which the frame unit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or the pipe is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ccordingly, the frame can be vertically coupled to an anchor bolt with one coupling bracket while being height-adjustable when installing the frame so that installation of the frame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fore, time and costs required for installation can be reduced.

Description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Rippling of water for small children

본 발명은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물놀이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면서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단단한 재질이나 탄성을 갖는 재질의 패드로 지면을 구성할 수 있는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ming facility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mming water facility for infants, which is constructed to be able to drain water while supplying water for an infant to be drained, and to construct a ground using pads made of a hard material or elastic material .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이들이 뛰노는 놀이터, 공원, 학교 운동장 등(이하 총칭하여 '놀이터'라 한다)에는 어린이들의 체력 및 지각능력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놀이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예로써, 일반적인 놀이터에는 그네나 미끄럼틀, 시소 등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playgrounds, parks, school playground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laygrounds") in which children and infants play are installed with various play facilities that enable children to develop physical strength and perception ability. For example, a common playground is equipped with a swing, a slide, and a seesaw.

한편,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놀이시설물을 변형하여 어린이들보다 호기심을 가지면서도 체력 및 지각 능력을 다양하게 키울 수 있도록 놀이시설물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특히, 놀이시설물 자체에서 물이 분사되거나 소형의 풀장 형태를 이루고 풀장 내측에 놀이시설물이 설치되어 여름철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 많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recently, amusement facilities have been developed to transform various kinds of amusement facilities so that they are more curious than children, but they can develop their physical strength and perception ability. Among them, water is sprayed from the amusement facilities themselves, Many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so that amusement facilities are installed inside the swimming pool to allow them to play with interest more in summer.

이와 같이, 물과 함께 놀 수 있는 물놀이 구조물이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다.Thus, a water-play structure that can be played with water has recently become popular.

이와 같이 종래의 물놀이 구조물이 한국 등록특허 10-1486970호(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Thus, the conventional water-cooling structur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86970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놀이 구조물은 지면에 일정깊이의 물놀이부를 형성하여 물을 채워서 물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지하나 지상에 별도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집수정을 구성한 후에 물놀이부와 집수정을 배관 및 펌프를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The water slid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has a water depth of a certain depth on the ground to fill the water to make a water play, and a water collecting unit for storing water separately on the ground or the groun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ump is connected.

이로 인하여, 물놀이부의 물이 집수정으로 배수된 후에 다시 집수정의 물을 펌프로 물놀이부로 펌핑시켜서 공급하는 구조, 즉, 물이 집수정에서 물놀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다시 물놀이부에서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순환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Therefore, after the water in the water bath is drained by the house collector, the water is pumped into the water drain by the pump again, that is,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house crystal to the water drain, .

이와 같은 종래의 물놀이 구조물은 유아들(1세 ~ 7세)이 일정깊이의 물놀이부에 들어가서 놀기에는 물의 깊이가 있어 위험하고 항상 보호자가 따라 다녀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water-playing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nfants (1 to 7 years old) enter a water depth of a certain depth and have a depth of water to play, which is dangerous and must always follow the caregiver.

또한, 물놀이부와 집수정 사이에는 다수의 배관들과 펌프가 구성되어 물을 물놀이부와 집수정 사이에서 물이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한번 공급된 물이 일정시간 동인 순환되는 구조로 인하여 물이 빨리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pes and a pump are provided between the water part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so that the water is circulated between the water part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so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water once supplied is circul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is contaminated quickly.

이로 인하여, 유아들이 다치지 않고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이 요구되었다.As a result, a new watering facility for infants was required, allowing infants to play without getting hurt.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486970(2015.01.2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86970 (Jan. 21, 2015)

본 발명은, 물놀이부의 지면을 단단한 재질이나 탄성을 갖는 재질의 패드로 구성하되, 패드를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과 물을 공급하거나 배기 하기 위한 배관을 하나의 부품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설물의 조립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조립 작업을 용이할 수 있고, 시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is made of a rigid material or a pad having elasticity, and a frame for coupling the pads and a pipe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water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e another at different height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water bath facility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facilities while facilitating the assembly work and reduce the facility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일정깊이로 슬라브 형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공간이 채워져 형성되는 슬라브층과, 상기 슬라브 형성공간의 바닥에서 일정깊이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공간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지주부에 대해 수평으로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물놀이 구조물의 노면을 형성하는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윗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물을 상기 패드부재의 위쪽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패드부재의 위쪽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관; 및 상기 지주부에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거나 상기 지주부에 대해 상기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ab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slab forming space formed with a slab forming space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ground; a slab layer formed by filling the slab forming spac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lab forming space; a frame portion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nd coup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 plurality of pipe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member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pad member or to drain the water above the pad member;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frame part to the support part or installing the pipe to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주부에 매립 고정되되, 상기 지주부의 상면 위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앵커볼트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단부를 결합되거나 프레임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재의 밑면에서 하측으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앵커볼트에 수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레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coupl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chor bolts fixedly embedd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nchor bolt,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formed to have a length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member and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so as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또한, 상기 지주부에 결합유닛으로 상기 배관을 결합할 때,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부에 상기 레그부재의 윗면과 밑면을 별도의 너트부재로 체결한 후에, 상기 복수의 레그부재 사이로 상기 배관을 끼워 넣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관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되,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패드부재의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piping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by a coupling uni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g member are fasten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nchor bolt with a separate nut member, and then the pipe is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g members , The end of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d member.

또한, 상기 지주부에 상기 결합유닛으로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하되, 상기 패드부재의 윗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때, 상기 레그부재를 상기 지주부의 윗면에 지지하고, 상기 앵커볼트에 상기 레그부재의 하단을 끼운 후에 상기 앵커볼트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레그부재의 하단의 위쪽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The fram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by the coupling unit. When the frame member is not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member, the leg member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leg member is fixed to the anchor bolt The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anchor bolt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g member can be pressed and fixed.

또한, 상기 결합유닛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D1)는, 상기 패드부재의 윗면에서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까지의 거리(D2)보다 크고, 지주부의 윗면에서 앵커볼트의 상단까지의 거리(D3)보다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The distance D1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unit is larg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member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and the distance D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앵커볼트에 하나의 결합브래킷을 수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관을 설치할 때와 배관을 설치되지 않을 때 프레임의 설치시 하나의 결합브래킷으로 앵커볼트에 수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coupling bracket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anchor bolt of the supporting portion, so that when the pipe is installed and when the pipe is not installed, The frame can be easily assembl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의 프레임과 지주부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서 A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서 B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서 C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water slid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ant bathing facility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frames and supporting portions of the infant bathing facilities of FIG. 1;
Fig. 4 is a detailed view of A in Fig. 2; Fig.
Fig. 5 is a detailed view of B in Fig. 2; Fig.
FIG. 6 is a detailed view of C in FIG. 2;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wimming water facility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wimming water facility for infants of FIG.

도 3은 도 1의 유아용 물놀이 시설물의 프레임과 지주부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A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B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C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rame and a supporting part of the infant bathing facility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in detail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B in FIG. 2, and FIG.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C in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물놀이 구조물은, 슬라브층(110)과, 복수의 지주부(120)와, 프레임부(130)와, 패드유닛(140)과, 복수의 배관(150) 및 결합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an infant div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ab layer 110,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20, a frame portion 130, a pad unit 140, a plurality of pipes 150, and a coupling unit 160.

먼저, 물놀이 구조물의 노면(101)은 패드부재(140)로 형성할 수 있다. 패드유닛(140)은 프레임부(1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노면(101)은 패드유닛(140)를 프레임부(130)에 안착시키고 상호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road surface 101 of the water slide structure can be formed of the pad member 140. The pad unit 140 can be coupled by the frame part 130. [ That is, the road surface 101 may be formed by placing the pad unit 140 on the frame part 130 and interconnecting them.

노면(101)은 일측(도면에서 좌측)에서 타측(도면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노면(101)에는 일측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102) 즉, 펌프, 분수 등이 구비될 수 있고, 타측에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03)가 구비될 수 있다. 노면(101)에는 물 공급부(102)의 물이 배수구(103)까지 흐르도록 하는 물길(101a)이 형성될 수 있다. 물길은 폭과 길이가 유아가 빠져서 위험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물길은 100mm 이하의 깊이로 형성되고, 200mm 이하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ad surface 101 can be formed as a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to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That is, the road surface 101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102 for supplying water to one side, that is, a pump, a fountain, and the like, and a drain port 103 for draining water to the other side. The road surface 10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path 101a through which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unit 102 flows to the drain port 103. [ The waterway can be of such a size that the width and length are not dangerous because the infant is missing. By way of example, the water path is formed to a depth of 100 mm or less, and may be formed with a width of 200 mm or less.

여기서, 물 공급부(102)는 노면(101)의 중간부분에도 구비할 수 있으며 배수구(103)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하면 어느 곳이나 구비할 수 있다. 물 공급부(102)는 노면(101)의 하측에 구비되는 펌프(미도시)에 의해 별도의 수원지(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water supply unit 102 may b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ad surface 101, and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as long as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drain port 103. The water supply unit 102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water from a separate water source (not shown) by a pump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road surface 101.

슬라브층(110)은 노면(101)을 형성하는 패드유닛(140)의 하측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브층(110)은 지층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 하여 형성하는 슬라브 형성공간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형성할 수 있다. 슬라브 형성공간은 후술하는 지주부(120)를 형성하고 지주부(120)에 결합유닛(160)을 고정하는 작업을 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 형성공간의 바닥면은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지주부(120)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라브 형성공간의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lab layer 11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below the pad unit 140 forming the road surface 101. [ That is, the slab layer 110 can be formed by filling concrete in a slab forming space formed by grooving the ground layer to a certain depth. The slab forming space may be formed for forming a support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fixing the coupling unit 160 to the support portion 1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forming space is waterproofed so that the water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main portion 120. Therefore, a drain (not shown) for draining water may be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slab forming space.

지주부(120)는 노면(101)의 형성을 위한 패드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패드부재을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부(130)를 지면에 대하여 고정하여 지지한다. 지주부(120)는 슬라브 형성공간의 바닥에서 지하로 일정깊이에 마련되되 슬라브 형성공간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20 fixes and supports the frame portion 130, which can mount the pad member, to the ground so as to connect the pad members for forming the road surface 101 to each other. The support part 12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slab forming space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art of the supporting part 120 may protrude into the slab forming space.

지주부(120)는 지하에 일정 깊이로 홈을 형성한 후에 이 홈에 철근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지주부(120)는 단면을 원형, 사각형상, 오각형상, 육각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20 may be formed by forming a groove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nderground and then placing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concrete into the groove. The support portion 12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pentagonal shape, and a hexagonal shape.

프레임부(130)는 지주부(120)의 상단에 후술하는 결합유닛(160)으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부(130)는 도 3과 같이, 바 형상으로 된 다수의 프레임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삼각형상이나 사각 형상과 같은 다수의 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30)를 형성하는 바 형상의 프레임은 단면이 'ㄴ'형상으로 수직부와 수직부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패드부재의 모서리가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The frame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20 by a coupling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3, the frame unit 13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in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in a bar shape are crossed with each other. Here, the bar-shaped frame forming the frame part 130 is formed with a vertical part and a vertical part in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corner of a pad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on the horizontal part of the frame .

패드유닛(140)은 프레임의 형성하는 삼각 형상이나 사각 형상의 틀에 끼워져서 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패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패드부재는 삼각형상이나 사각 형상의 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삼각형상이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재는 프레임부(130)에 결합된 후에 서로 이웃하는 패드부재 사이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방수처리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The pad unit 14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ad members for forming a ground by being fitted to a triangular or rectangular frame formed by the frame. The pad member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or a quadrangular shape so as to be fitted in a triangular-shaped or rectangular-shaped frame. After the pad member i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30, a waterproofing material may be filled between adjacent pad members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패드부재는 다수의 패드를 적층시켜 구성할 수 있다. 패드부재는 프레임에 안착되어 체결부재로 고정되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패드와, 제1패드의 윗면에 결합되고 부드럽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제2패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pad member can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ads. The pad member may include a first pad formed of a rigid material so as to be seated on the frame and fixed with a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pa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d and formed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제2패드의 윗면은 노면(101)의 윗면에 해당하고 물이 새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방수 처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패드는 유아들이 뛰놀 때 다치지 않도록 부드럽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패드와 제2패드를 모두 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모두 단단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d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 surface 101 and can be waterproofed so that water can flow without leaking. The second pad can be formed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aby is not hurt when jumping. Further, both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배관(150)은 수원지와 펌프 사이를 연결하고, 펌프에서 패드유닛(140)까지 설치되며, 패드유닛(140)의 위쪽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패드유닛(140)의 위쪽에 흐르는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iping 150 connects the water source and the pump and is installed from the pump to the pad unit 140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pad unit 140 or to drain water flowing above the pad unit 140 can do.

결합유닛(160)은 지주부(120)에 프레임부(130)를 결합하거나 배관(150)을 패드유닛(140)의 윗쪽으로 노출되도록 배관(150)의 단부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앵커볼트(161)와, 결합 플레이트(162)와, 레그부재(16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unit 160 is provided to connect the frame part 130 to the support part 120 or to install the end of the pipe 150 so that the pipe 150 is exposed upwardly of the pad unit 140. Anchor bolts 161, an engaging plate 162, and a leg member 163.

앵커볼트(161)는 지주부(120)에 매립 고정되되, 지주부(120)의 상면 위로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앵커볼트(161)는 복수로 구성하되, 지주부(120)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 anchor bolt 161 may be fixedly embedded in the support portion 120 and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anchor bolts 161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tervals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20.

결합 플레이트(162)는 앵커볼트(161)에 후술하는 레그부재(16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62)는 노면(101)을 형성하는 패드유닛(140)의 윗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결합 플레이트(162)는 중앙에 배관(150)의 단부가 끼워져 패드유닛(140)의 윗면으로 배관(150)의 단부를 노출시키는 결합홀(162a)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삼각, 사각, 오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engaging plate 162 can be engaged with the anchor bolt 161 by a leg member 163 described later. The coupling plate 162 is a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forming the road surface 101. The coupling plate 162 may have a coupling hole 162a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pipe 150 is inserted at the center and exposes the end of the pipe 15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Although the coupling plate 162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ular, square, and pentagonal.

레그부재(163)는 결합 플레이트(162)의 밑면에서 하측으로 길이를 가지고 성형할 수 있다. 레그부재(163)는 앵커볼트(161)에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leg member 163 can be molded with a length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plate 162. The leg member 163 may be coupled to the anchor bolt 161 so as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레그부재(163)는 결합 플레이트(162)를 지주부(120)의 구비되는 앵커볼트(161)에 결합할 수 있다. 레그부재(163)는 결합 플레이트(162)의 밑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그부재(163)는 대략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부의 상단이 결합 플레이트(162)의 밑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재(163)는 수평부가 앵커볼트(161)에 결합되어 지지되거나 앵커볼트(161)에 결합되어 지주부(12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레그부재(163)의 수평부에는 레그부재(163)를 앵커볼트(161)에 끼울 수 있는 끼움홀(163a)이 형성될 수 있다.The leg member 163 can engage the engaging plate 162 with the anchor bolt 161 provided in the supporting portion 120. [ The leg member 163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62 or may be formed integrally. That is, the leg member 16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62 or integrally formed therewith. The leg member 163 may have a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anchor bolt 161 or may be coupled to the anchor bolt 161 and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The leg portion 163 may be formed at the horizontal portion with a fitting hole 163a through which the leg member 163 can be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161. [

여기서, 원판 형상의 결합 플레이트(162)의 밑면에 복수의 레그부재(63)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결합 브래킷으로 형성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leg members 63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disk-shaped coupling plate 162 to form one coupling bracket.

지주부(120)에 배관(150)을 결합유닛(160)으로 결합할 때에는 앵커볼트(161)의 상단부에 레그부재(163)를 결합하되, 레그부재(163)의 수평부 윗면과 밑면에서 각각 별도의 너트부재를 앵커볼트(161)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주부(120)에 레그부재(163)를 결합하기 전에, 하나의 너트부재를 앵커볼트(161)의 상단에 체결한 후에 레그부재(163)를 끼워서 너트부재에 지지시킨다. 이후에 다른 하나의 너트부재를 앵커볼트(161)의 상단에 체결하여 레그부재(163)의 위쪽을 지지함으로써 레그부재(163)의 결합을 완료한다.When the piping 15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20 by the coupling unit 160, the leg member 16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g member 163 And a separate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anchor bolt 161 and fixed. In detail, before coupling the leg member 163 to the support member 120, one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and then the leg member 163 is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nut member . Thereafter, the other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member 163, thereby completing the engagement of the leg member 163.

이렇게 결합유닛(160)의 레그부재(163)를 앵커볼트(161)의 상단에 고정하게 되면, 결합유닛(160)의 결합 플레이트(162)와 지주부(120) 상단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레그부재(163)들 사이를 통하여 설치공간을 배관(150)을 집어 넣고 결합 플레이트(162)의 결합홀(162a)에 배관(150)의 단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다.When the leg member 163 of the coupling unit 16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late 162 of the coupling unit 16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 The piping 15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eg members 163 and the end of the piping 15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62a of the coupling plate 162. [

지주부(120)에 프레임부(130)을 결합유닛(160)으로 결합할 때에는 레그부재(163)의 끼움홀(163a)을 통해 앵커볼트(161)에 끼워 레그부재(163)를 지주부(120)에 지지시킨 후에 너트부재를 앵커볼트(161)의 상단에 체결하여 레그부재(163)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그부재(163)의 수평부를 앵커볼트(161)에 끼워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지주부(120)의 윗면에 레그부재(163)의 수평부를 지지시킨다. 이후에, 앵커볼트(161)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레그부재(163)의 수평부 위쪽을 지지하여 레그부재(163)를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frame unit 13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20 by the coupling unit 160, the leg unit 163 is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161 through the fitting hole 163a of the leg member 163, 120, the nut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to press and fix the leg member 163.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eg member 163 is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161 and moved downward,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eg member 163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Thereafter, the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anchor bolt 161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member 163 so that the leg member 163 can be completely fixed.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부(120)의 위쪽에 결합유닛(160)으로 배관(150)과 프레임부(130)를 설치할 때, 결합유닛(160)의 상단(결합 플레이트의 윗면)에서 하단(레그부재의 수평부)까지의 거리를 D1이라 하고, 패드유닛(140)의 윗면에서 앵커볼트(161)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D2라 한다. 이때, 결합유닛(16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D1)는, 패드유닛(140)의 윗면에서 앵커볼트(161)의 상단까지의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4, when the piping 150 and the frame portion 130 are provided as the coupling unit 160 above the support portion 120,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unit 160 D2 is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 The distance D1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unit 160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부(120)의 위쪽에 결합유닛(160)으로 프레임부(130)만을 설치할 때, 결합유닛(160)의 상단(결합 플레이트의 윗면)에서 하단(레그부재의 수평부)까지의 거리를 D1이라 하고, 지주부(120)의 윗면에서 앵커볼트(161)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D3라 한다. 이때, 결합유닛(16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D1)는, 지주부(120)의 윗면에서 앵커볼트(161)의 상단까지의 거리(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5, when only the frame portion 130 is provided as the coupling unit 160 above the support portion 120, the upper e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of the coupling unit 160, And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is D3. The distance D1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unit 160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D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20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

또한, 도 6과 같이, 지주부(120)의 위쪽에 결합유닛(160)으로 프레임부(130)와 배관(150)을 결합할 때, 배관(15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161)의 결합홀(161a)을 배수부(103)로 형성할 수 있다.6, when the frame unit 130 and the pipe 1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unit 160 above the support unit 120, the coupling plate 161 Can be formed as a drainage section 103. [0086] As shown in Fig.

101: 노면 101a: 물길
102: 물 공급부 103: 배수부
105: 지층
110: 슬라브층
120: 지주부
130: 프레임부
140: 패드유닛
150: 배관
160: 결합유닛 161: 앵커볼트
162: 결합플레이트 162a: 결합홀
163: 레그부재 163a: 끼움홀
101: Surface 101a: Waterway
102: water supply unit 103: drainage unit
105: Strata
110: Slab layer
120: The housewife
130:
140: Pad unit
150: Piping
160: coupling unit 161: anchor bolt
162: engaging plate 162a: engaging hole
163: leg member 163a: fitting hole

Claims (6)

지면에서 일정깊이로 슬라브 형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공간이 채워져 형성되는 슬라브층(110);
상기 슬라브 형성공간의 바닥에서 일정깊이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공간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부(120);
상기 복수의 지주부(120)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지주부(120)에 대해 수평으로 결합되는 프레임부(130);
상기 프레임부(130)에 결합되며, 물놀이 구조물의 노면을 형성하는 패드유닛(140);
상기 패드유닛(140)의 윗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물을 상기 패드유닛(140)의 위쪽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패드유닛(140)의 위쪽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관(150); 및
상기 지주부(120)에 상기 프레임부(130)를 결합하거나 상기 지주부(120)에 대해 상기 배관(150)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유닛(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합유닛(160)은,
상기 지주부(120)에 매립 고정되되, 상기 지주부(120)의 상면 위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앵커볼트(161);
중앙에 결합홀(162a)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150)의 단부를 결합하거나 프레임부(130)를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162);
상기 결합 플레이트(162)의 밑면에서 하측으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앵커볼트(161)에 수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레그부재(163)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120)에 상기 결합유닛(160)으로 상기 배관(150)을 결합할 때, 상기 복수의 레그부재(163) 사이로 상기 배관(150)을 끼워넣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162)에 형성된 결합홀(162a)에 배관(150)을 끼워 결합하되, 상기 결합 플레이트(162)가 상기 패드유닛(140)의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유아용 물놀이 구조물.
A slab layer 110 in which a slab forming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ground, and the slab forming space is filled with the slab forming layer;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2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slab forming space and protruding from the slab forming space;
A frame part 130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20 and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20;
A pad unit 140 coupled to the frame unit 130 and forming a road surface of the water dipstick;
A plurality of pipes 150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pad unit 140 or draining water above the pad unit 140; And
And a coupling unit 160 coupling the frame part 130 to the support part 120 or installing the pipe 150 to the support part 120,
The coupling unit (160)
A plurality of anchor bolts 161 fixedly embedded in the support portion 120 an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A coupling plate 162 having a coupling hole 162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for coupling the end of the pipe 150 or coupling the frame 130;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163) formed to have a length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62) and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161) so as to be vertically adjustable,
The piping 15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120 between the plurality of leg members 163 when the piping 15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60, Wherein the coupling plate (162) is configured to be exposed above the pad unit (140) by fitting a pipe (150) to the coupling hole (162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유닛(14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탄성이 없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유아용 물놀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unit (140)
An infant slide structure formed of a resilient material or formed of a resilient, rigid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20)에 상기 결합유닛(160)으로 상기 프레임부(130)를 고정하되, 상기 패드유닛(140)의 윗면으로 상기 결합 플레이트(16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때,
상기 레그부재(163)를 상기 지주부(120)의 윗면에 지지하고, 상기 앵커볼트(161)에 상기 레그부재(163)의 하단을 끼운 후에 상기 앵커볼트(161)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레그부재(163)의 하단의 위쪽을 가압 고정하는, 유아용 물놀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rame unit 130 is fixed to the support unit 120 by the coupling unit 160 and the coupling plate 162 is not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The leg member 163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and the nut member is fastened to the anchor bolt 161 after the lower end of the leg member 163 is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16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g member (163) is press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16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D1)는, 상기 패드유닛(140)의 윗면에서 상기 앵커볼트(161)의 상단까지의 거리(D2)보다 크고, 지주부(120)의 윗면에서 앵커볼트(161)의 상단까지의 거리(D3)보다도 크게 형성하는, 유아용 물놀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D1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unit 16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unit 140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Is larger than a distance (D3)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61).
KR1020180075443A 2018-06-29 2018-06-29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KR101949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43A KR101949207B1 (en) 2018-06-29 2018-06-29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443A KR101949207B1 (en) 2018-06-29 2018-06-29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07B1 true KR101949207B1 (en) 2019-02-18

Family

ID=6556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443A KR101949207B1 (en) 2018-06-29 2018-06-29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2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958B1 (en) * 2011-02-18 2011-11-10 김권식 Floor frame fixing device
KR101310090B1 (en) * 2013-06-13 2013-09-23 주식회사 바움 Independent type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swimming pool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486970B1 (en) 2014-02-05 2015-01-30 이랜드체육조경(주) The Swimming Pool Having the Playing Faci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958B1 (en) * 2011-02-18 2011-11-10 김권식 Floor frame fixing device
KR101310090B1 (en) * 2013-06-13 2013-09-23 주식회사 바움 Independent type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swimming pool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486970B1 (en) 2014-02-05 2015-01-30 이랜드체육조경(주) The Swimming Pool Having the Playing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406B2 (en) Supporting body for a shower tub
US4589237A (en) Stair module support and leveling construction
KR101949207B1 (en)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KR20160073522A (en) Underground trampolin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176836B1 (en) Support board for sidewalk block
US3553744A (en) Aboveground swimming pool construction
US20090188034A1 (en) Integrated Hot Tub, Spa, or Pool and Frame and Method of Inground Installation
CN209974417U (en) Combination of multifunctional ecological floating island and multifunctional ecological floating island
KR20160028809A (en) prefabricated Bathroom Floor Board
KR101911616B1 (en) The pool of floated type
KR101649506B1 (en) Structure of prevent sediment from entering sewers
CN208501836U (en) A kind of gardens view gazebo structure
KR101307668B1 (en) Boundary Facilities
CN215407661U (en) Assembled bathroom chassis convenient t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KR100888896B1 (en) Basilar layer with elasticity for playground
CN214614480U (en) Multifunctional hidden floor drain
KR102583751B1 (en) Fixed structure for the completed toilet
RU2806897C1 (en) Swimming pool overflow device
KR200322780Y1 (en) Apparatus for fixing post of union pleasure resort
KR200480737Y1 (en) Height-adjustable structure of wooden beams
KR200410656Y1 (en) A Block of Stepping Stoner
CN209941837U (en) Adjustable combined tile waterproof plate
PT106394B (en) ASSEMBLY FOR ASSEMBLY OF A RESERVOIR AND RESPECT ASSEMBLY PROCESS
CN204782116U (en) Goose swimming groove
KR200413183Y1 (en) Support block for assembling 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