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668B1 - Boundary Facilities - Google Patents
Boundary Facilit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7668B1 KR101307668B1 KR1020110025700A KR20110025700A KR101307668B1 KR 101307668 B1 KR101307668 B1 KR 101307668B1 KR 1020110025700 A KR1020110025700 A KR 1020110025700A KR 20110025700 A KR20110025700 A KR 20110025700A KR 101307668 B1 KR101307668 B1 KR 101307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upling
- boundary
- present
-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돔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그 상부면의 폭이 상판의 폭보다 적으며, 그 하부면에 홈부를 가지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지지대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가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하부에 결합부 및 그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 홀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홀에 체결되는 수직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대;
로 이루어지는 경계시설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plate having a shape of a reverse dome; And a suppo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less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the support having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are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ubber. The support includes at least one spring portion therein;
The support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including a coupling par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oupling hol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rein; And
A lower supporter having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support and having a vertical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hole;
Provide boundary facilities consisting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우수한 경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undary facility that is easy in shape change and excellent in safety.
경계시설물은 도로, 놀이터, 공원 등의 경계 또는 안전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시설물로, 종래의 경계시설물은 철재, 콘크리트재, 석재 등 강도가 높고, 가요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놀이터 또는 공원에서 종래의 경계시설물이 사용될 경우 안전성이 매우 취약하고, 경계 구조 및 형태를 다양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경계에 대한 설계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Boundary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on the ground for the safety of roads, playgrounds, parks, etc. The conventional boundary facilities are made of high-strength, flexible materials such as steel, concrete, and stone. When a conventional boundary facility is used in a playground or a park that children use a lot, safety design is very weak and the boundary design and design cannot be diversified.
또한, 경계시설물은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는 놀이터 또는 공원에 설치될 경우 경계를 표시하는 용도 이외에 사람들이 기대거나, 앉는 등 휴식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특히, 앉을만한 벤치가 부족하거나, 없는 경우 경계시설물에 앉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의 경계시설물은 사람들이 앉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만약 사람들이 앉았을 때 종래의 경계시설물이 사람들의 체중을 견디지 못할 경우에는 시설물 붕괴에 따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acility is installed in a playground or a park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it is also used for rest, such as leaning or sitting by a person. In particular, when there is not enough benches to sit or there is no bench, the conventional guarding facilities have a structure that is not suitable for people to sit on, and when the people sit down, the conventional guarding facilities are placed on the weight of the people. Failure to tolerate the risk of accidents resulting from the collapse of the facility.
특히 최근에는 야외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 대한 조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네온 사인, LED 등의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야외 건축물 또는 시설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경계시설물은 기존의 시설물에 조명장치를 부착하기 어렵고, 부착하여도 비가 오는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recently, as interest in landscaping for outdoor buildings or facilities has increased, outdoor buildings or facilities for installing lighting devices such as neon signs and LEDs have increased. However, the conventional boundary facility is difficult to attach the lighting device to the existing fac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when raining even if attached, o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durability is not excellent.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요성이 우수하여 시설물 자체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충돌 등의 사고에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하며, 경계 용도 이외의 벤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명장치를 부착할 경우 감전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경계시설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excellent flexibilit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facility itself, and can minimize the injury eve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safety and excellent, bench use other than the boundary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electric shock when the lighting device is attached, and to develop a durable boundary fac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이 우수하여 시설물 자체의 형태 변형이 용이한 경계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undary facility that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facility itsel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돌 등의 사고에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한 경계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cellent safety facility capable of minimizing injuries even in an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계 용도 이외의 벤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경계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undary facility that can be used for bench use other than the boundary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장치를 부착할 경우 감전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경계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undary facility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s well as minimiz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when the lighting device is attached.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경계시설물은, 역 돔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그 상부면의 폭이 상판의 폭보다 적으며, 그 하부면에 홈부를 가지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지지대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plate having an inverted dome shape; And a suppo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less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the support having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are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ubber.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pring portion is included therein.
여기서, 상기 상판의 하부면 중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이 부착되지 않은 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un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pac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s not attached.
상기 상판 및 지지대는 그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수용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 hol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portion.
상기 경계시설물은 상기 지지대의 저면에 배치되는 지반층 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 및 지반층은 상기 지지대의 홈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앵커볼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undary facility is installed on a ground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and the ground layer are fastened by anchor bolts installed through the grooves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대는, 하부에 결합부 및 그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 홀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홀에 체결되는 수직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including a coupling par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oupling hol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rein; And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and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lower support including a vertical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평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pport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support member for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본 발명은 가요성이 우수하여 시설물 자체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충돌 등의 사고에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하며, 경계 용도 이외의 벤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명장치를 부착할 경우 감전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경계시설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flexibility,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facility itself, it is possible to minimize injuri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safety is excellent, can also be used as a bench use other than the boundary use, attaching the lighting device In this case, the risk of electric shock can be minimized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invention providing a durable boundary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시설물을 야외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utdoors.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100)은 상판(110), 지지대(120), 스프링부(130) 및 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110)은 폭 방향의 단면이 역돔형(Reverse-dome type)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벤치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기 위한 디자인이다. 지지대(120)는 상판(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지지대(120) 상부면의 폭은 상판(110)의 폭보다 적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은 벤치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용성이 더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판 및 지지대는 안전성을 위해 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지지대(12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130)가 포함된다. 스프링부(13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상판(110) 및 지지대(120)를 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하였을 때 전체적인 경계시설물의 강도 및 유연성을 고려하여 스프링부(130)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스프링부(130)를 포함하는 경계시설물(10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이후에 설명할 지반층(200)과 홈부(140)를 앵커볼트(310)로 지지하여 휨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휨 고정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앵커볼트(310)를 분리하면 쉽게 원래 형상으로 복원작용한다. 또한, 지지대(120)의 하부면에는 지면 내지는 지반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홈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40)의 개수 및 배열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설치 목적, 재질 및 지반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치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은 상판(110) 및 지지대(120) 상부의 사이 공간에 조명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조명부(150)는 상판(110)의 하부면 중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면이 부착되지 않은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조명부(150)는 우천시 물의 접촉으로부터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조명부(150)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발열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한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2,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시설물을 야외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door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계시설물(100)은 바람직하게는 지반층(200) 위에 설치되어 앵커볼트(310)에 의해 체결된다. 물론, 지반층(200)이 별도로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지반층(200)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나, 지반층(200)이 형성되지 않거나, 지반이 약한 지역에서는 지반층(200)을 별도로 구성한다. 지반층(200)은 석재, 콘크리트 및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반층(200)의 상부에 경계시설물(100)을 설치하고, 상기 경계시설물(100)은 휨성이 있어서 지반층(200)의 형상(예를 들어 구부러진 형상의 경우)에 따라 구부려 앵커볼트(310)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경계시설물(100)은 휨성이 있어, 기준으로 좌우의 지형이 다를 때, 즉, 지형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A)로부터 지형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B)로 토사가 붕괴되거나,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상판(110)과 지지대(120) 중앙부에는 수직의 배수용홀을 도 3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계시설물은 상판(110) 및 조명부(150)는 도 2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지지대(120)는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대(120)의 지지력, 내구성 및 교체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지지대(121)는 그 하부에 결합부(160)가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122)의 결합홈(180)과 결합된다. 또한, 상부 지지대(121)는 그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 홀(170)이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122)의 수직 결합부재(410)를 결합부 홀(170)에 삽입하여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를 체결한다. 이 경우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지지대의 지지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판(110), 상부 지지대(121) 및 조명부(150)의 교체 용이성이 우수하다.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홈(180)이 형성되는 위치에 수평 지지부재(42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boundary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시설물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121)는 사용 목적에 따라 도 4에서의 상부 지지대(121)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21)를 길게 형성하는 것은, 좌우의 지형차가 커서 토사가 붕괴될 위험이 있거나, 상판(110)이 높게 형성될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된다.As shown in FIG. 5, the
본 발명에 따른 경계시설물은 종래의 경계시설물에 비해 시설물 자체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우수하며, 벤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명장치를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경이 우수하고, 다양한 형태 디자인이 가능하므로 공원 및 놀이터의 경계시설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boundar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facility itself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oundary facility, excellent in safety, can be used as a bench, and excellent landscaping because it can be safely attached to the lighting device, Various shape designs are possible, so it can be easily used as a boundary facility for parks and playground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그 제조방법의 순서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경계시설물 110: 상판
120: 지지대 121: 상부 지지대
122: 하부 지지대 130: 스프링부
140: 홈부 150: 조명부
160: 결합부 170: 결합부 홀
180: 결합홈 200: 지반층
310: 앵커볼트 410: 수직 결합부재
420: 수평 지지부재100: boundary facility 110: top plate
120: support 121: upper support
122: lower support 130: spring portion
140: groove 150: lighting unit
160: coupling portion 170: coupling portion hole
180: coupling groove 200: ground layer
310: anchor bolt 410: vertical coupling member
420: horizontal support member
Claims (6)
상기 상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그 상부면의 폭이 상판의 폭보다 적으며, 그 하부면에 홈부를 가지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지지대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하부에 결합부 및 그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부 홀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홀에 체결되는 수직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시설물.An upper plate having a shape of a reverse dome; And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is less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the support having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includes;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is made of a rubber or synthetic rubber material, the support includes at least one spring portion therein;
The support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including a coupling par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oupling hol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rein; And
A lower supporter having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support and having a vertical coupl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hole;
Border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5700A KR101307668B1 (en) | 2011-03-23 | 2011-03-23 | Boundary Facilit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5700A KR101307668B1 (en) | 2011-03-23 | 2011-03-23 | Boundary Faciliti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1564A Division KR20130050319A (en) | 2013-03-25 | 2013-03-25 | Boundary faciliti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8129A KR20120108129A (en) | 2012-10-05 |
KR101307668B1 true KR101307668B1 (en) | 2013-09-12 |
Family
ID=4727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5700A KR101307668B1 (en) | 2011-03-23 | 2011-03-23 | Boundary Facilit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76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1906908D0 (en) * | 2019-05-16 | 2019-07-03 | Comer Lee | Kerbstone and kerb construction method employing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350Y1 (en) * | 2001-03-09 | 2001-10-06 | 미래조경 주식회사 | bench |
KR200434767Y1 (en) | 2006-09-26 | 2006-12-27 | (주)에리트퍼니처 | A Bench |
-
2011
- 2011-03-23 KR KR1020110025700A patent/KR1013076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350Y1 (en) * | 2001-03-09 | 2001-10-06 | 미래조경 주식회사 | bench |
KR200434767Y1 (en) | 2006-09-26 | 2006-12-27 | (주)에리트퍼니처 | A Ben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8129A (en) | 2012-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2466Y1 (en) | Floor board for sports | |
US7488525B2 (en) | Impact-attenuating, firm, stable, and slip-resistant surface system | |
KR100807329B1 (en) | Grass protection mat | |
KR101307668B1 (en) | Boundary Facilities | |
KR101034841B1 (en) | Stone bridge for pedestrian | |
KR20100025666A (en) | Bollard | |
KR20130050319A (en) | Boundary facilities | |
KR20130022143A (en) | A simple chair using a bollard | |
KR200449175Y1 (en) | Pavement block with lattice frame | |
KR20200062606A (en) | easy to renovate seismic deck rods | |
KR100773488B1 (en) | A fabricated green zone footpath | |
KR200439482Y1 (en) | Elasticity Rubber Mat for floors | |
KR102269902B1 (en) | A non-slipping deck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 |
EP2315878B1 (en) | Retaining device | |
KR101147468B1 (en) | Fabricated stepping-stones | |
KR101853415B1 (en) | Multiple culverts pad | |
KR102155784B1 (en) | A rubber cone | |
KR200410656Y1 (en) | A Block of Stepping Stoner | |
KR102649615B1 (en) | Pedestrian friendly retaining wall system | |
KR102534010B1 (en) | Wooden fence with photoluminescent function with improved ease of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wooden post and prevention of vibration and noise | |
KR200446679Y1 (en) | Boundary member for children playground | |
KR101949207B1 (en) | ripping of water For Small Child | |
CN107476534B (en) | Multifunctional suspension assembled floor | |
JP2531774Y2 (en) | Floor panel | |
KR200454590Y1 (en) | Guardra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