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055B1 -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 - Google Patents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055B1
KR101949055B1 KR1020177006176A KR20177006176A KR101949055B1 KR 101949055 B1 KR101949055 B1 KR 101949055B1 KR 1020177006176 A KR1020177006176 A KR 1020177006176A KR 20177006176 A KR20177006176 A KR 20177006176A KR 101949055 B1 KR101949055 B1 KR 10194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chamber
beverage
disk
brew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292A (ko
Inventor
앤드류 벤틀리
Original Assignee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filed Critical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3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Reconstituted or recombined milk products containing neither non-milk fat nor non-milk proteins
    • A23C9/1508Dissolving or reconstituting milk powder; Reconstitution of milk concentrate with water; Standardisation of fat content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 A23F5/125Tablets or other similar 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5Rehydration or dissolving of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2Centrifuges for producing filtered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B01F1/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01F21/22Dissolving using flow mixing using additional holders in conduits, containers or pools for keeping the solid material in place, e.g. support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adding the flowing main component by suction means, e.g. using an e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1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with submerged injectors, e.g. nozzles, for injecting high-pressure jets into a large volume or into mixing chambers
    • B01F3/04446
    • B01F3/044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및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에 관한 것이고, 특히 식료 또는 음료 제품의 압축 정제(16)를 사용하는 이러한 기계(1)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압축 정제는 기계(1)의 브루 챔버(22)에 삽입되고, 이 정제(16)를 파쇄 또는 용해하기 위해 액체가 브루 챔버 내로 인도된다.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16)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을 조리하기 위한 기계(1)는 밀폐 가능한 브루 챔버(22)를 포함하며 상기 브루 챔버는 디스크를 중심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단(26)을 포함한다. 브루 챔버(22)는 상기 브루 챔버 내에 장착되는 디스크의 주위 에지에 액체 제트를 인도하도록 배치되고 브루 챔버 내에 출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노즐(27)을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LIQUID FOOD PRODUCTS}
본 발명은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료 또는 음료 제품의 압축 정제(compressed tablet)를 사용하는 이러한 기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압축 정제는 기계의 브루(brew) 챔버에 삽입되고, 이 정제를 파쇄 또는 용해하기 위해 액체가 브루 챔버 내로 인도된다.
커피 및 차와 같은 음료를 브루잉하거나 식료 제품을 조리하기 위한 자동 브루잉 기계 및 기타 주문형 음료 시스템은 대개 저장조를 가지며, 저장조에서는 브루잉 액체, 가장 보편적으로 물이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액체는 이후 저장조로부터 커피 분말 또는 찻잎과 같은 브루잉 성분을 보유하는 브루잉 챔버로 펌핑된다. 가열된 액체는 브루잉 성분을 통해서 유동하여 브루잉된 음료를 생성한다. 음료는 이후 브루잉 챔버로부터 브루잉 챔버 출구 아래에 위치하는 주전자 또는 컵과 같은 용기로 향한다.
많은 현대의 가정용 음료 기계는 개별 인분의 음료를 음료 용기 내에 직접 분배하고, 대량의 음료 성분 공급물로부터 또는 포드, 패드 또는 카트리지와 같은 음료 성분의 개별 패키지로부터 음료를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개별 패키지를 사용하는 기계는 청소의 필요성을 감소시키며 사용자가 커피, 차, 핫 초콜렛 등과 같은 음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카트리지의 한 가지 형태의 예가 EP-A-144090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음료는 물 또는 다른 액체에 음료 성분을 브루잉, 혼합, 용해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피 음료의 경우에는, 그 안에 담긴 압축 커피 분말로부터 방향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뜨거운 물이 가압 상태로 카트리지를 통해서 강제 이송된다. 이러한 기계에서의 카트리지의 사용은 그 편리성 및 제조 음료의 품질로 인해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인분 주문형 기계에 사용되는 패키징을 시도하고 최소화하기 위해, 카트리지를 압축된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의 정제로 대체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정제는 편리하게 멀티팩 형태로 판매될 수 있다.
주문형 기계에서 압축 분말 정제를 사용하는 것에서 발견된 과제 중 하나는 충분히 빠르고 균일한 용해 속도를 달성하는 것이며 따라서 분말 전체가 완전히 용해된다. 정제를 용해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은 붕괴제를 혼입시킴으로써 또는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정제를 분쇄시킴으로써 정제를 파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제가 분쇄되면, 정제의 일부가 브루 챔버를 통해서 유동하는 정량의 물에 의해 바이패스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정제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고 생성되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은 너무 약하다.
난류 생성이 정제의 용해 속도를 가속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주지되어 있다. 이것은 기계적 교반(휘저음), 초음파 에너지와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고속 워터 제트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단일 워터 제트의 문제점은 그 에너지가 상기 제트가 충돌하는 정제 부분을 용해하므로 균일한 용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제트가 정제 표면 위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제에 작용하는 다중 제트가 보다 양호한 적용 범위를 달성하는 방법이지만, 동일한 제트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평균 유량과 압력이 비례적으로 증가되어야 한다. 일부 제트가 나머지 제트보다 먼저 정제를 파괴하면, 이것은 분명히 에너지를 낭비하고 생성되는 음료 유출물을 희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된 성분의 정제를 파쇄하기 위해 고에너지의 워터 제트를 사용하고 상기 단점을 극복하는 개선된 음료 및 식료 제품 조리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을 조리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하며, 상기 기계는 디스크를 중심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밀폐 가능한 브루 챔버, 및 브루 챔버 내에 장착되는 디스크의 주위 에지에 액체 제트를 인도하도록 배치되고 브루 챔버 내에 출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기계 및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 조리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를 중심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의 주위 에지에 하나 이상의 액체 제트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 분배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크 형태의 압축 분말 정제를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한 워터 제트의 사용은 유리하게 성분의 급속하고 균일한 파쇄 또는 용해를 제공한다.
워터 제트의 단일 충돌 지점은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디스크의 전체 주위에 매우 효과적으로 집중시킨다. 이것은 브루잉 기계가 단 하나의 이동 부분(디스크)을 갖는 매우 간단한 브루 챔버를 가질 수 있게 하며, 이는 유지보수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저비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제 음료 및 식료 제품 조리 기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음료 및 식료 제품 조리 기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2a는 각각 도 1의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압축 분말 디스크의 도시도 및 단면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3a는 각각 도 1의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디스크의 도시도 및 단면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디스크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4는 명료함을 위해 일부가 생략된 도 1의 기계의 브루 헤드에 장착된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브루 헤드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의 도시도이다.
도 6은 브루 헤드에 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식료 또는 음료 제품의 압축 정제로부터 음료 및 식료 제품을 조리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정제는 디스크 형태이며, 기계의 브루 챔버에 삽입된다. 정확한 조리(브루) 사이클은 제품의 인지시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며, 물 또는 다른 액체의 제트가 디스크 상으로 인도되어 디스크가 통제된 방식으로 용해 또는 분해되게 하며 식료 또는 음료 제품이 분배를 위해 조리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기계 또는 디스크는 예를 들어 거품, 크레마 또는 크림 층을 추가하기 위해 제품을 상태조절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는 가용성 커피, 로스트 및 분쇄 커피, 분유, 초콜렛 분말 등과 같은 분말형 또는 과립형 미립자 성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그 자체로 용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체 제트의 영향 하에 점진적으로 용해되어 제품을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성분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불용성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성분은, 가용성이거나 또는 액체 제트의 영향 하에 쉽게 파쇄될 결합제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액체 내의 불용성 입자의 현탁액이 형성되며, 이는 최종 제품을 조리하기 위해 브루잉 또는 침지 및 후속 여과를 필요로 한다.
입자 크기는 성분의 속성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며, 통상적으로 대략 20 ㎛ 내지 400 ㎛이다. 디스크의 밀도 역시 성분의 속성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며, 그 일부는 800 kg/㎥ 내지 1500 kg/㎥의 범위에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이 제한적 범위는 아니다. 단일-부분 커피 또는 밀크 디스크에 적합한 직경은 50 내지 60 mm의 범위에 있다. 디스크가 훨씬 더 크면, 액체 제트의 효율은 디스크 직경이 감소할수록 떨어질 것이다. 디스크의 최대 두께는 그 전체 에지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된 제트 스프레이를 형성하는 능력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적 관점에서, 디스크에 적합한 두께는 그 직경의 절반 미만이다.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을 조리하기 위한 기계(1)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계(1)는 액체용 저장조(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물 공급원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물은 커피와 같은 음료의 조리에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액체일 가능성이 있지만, 기계(1)는 음료 또는 식료 성분과 혼합하기 위한 우유나 유제품과 같은 다른 액체를 취급할 수도 있다. 저장조(10)는 바람직하게 유량계(12)를 거쳐서 펌프(11)에 유체 연결되며, 펌프는 다시 가열 장치(13)에 연결된다. 가열 장치(13)는 적절한 유체 도관(28)에 의해 브루 헤드(14)에 유체 연결된다. 본 발명의 기계는 "브루"되어야 하는 제품의 조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루" 및 "브루 헤드" 등의 용어의 사용은 기술이 브루잉 음료에 한정된 기계에서 유래할 때만 편의상 사용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브루 헤드(14)는 정확한 브루 사이클이 시작될 수 있도록 브루 헤드(14) 내부의 브루 챔버(22)에 삽입되는 디스크(16)의 제품 형태 및 크기를 인지할 수 있는 디스크 인지 장치(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11), 유량계(12), 물 가열기(13) 및 브루 헤드(14)(및 기타 부품)는 전자 컨트롤러(17)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 가열기(13)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는 수온 모니터(18, 1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컨트롤러(17)에 연결된다.
기계의 작동 거동은, 예를 들어 EP-A-1440644호에 기재되어 있듯이, 컨트롤러(17)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프로세서의 메모리는 기계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수를 포함한다.
디스크(16)(도 2 참조)는 브루 챔버(22)의 베이스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향 연장되는 스핀들(26)에 장착될 수 있도록 중심 보어(25)를 갖는다.
챔버(22)는 식료 또는 음료 제품이 분배 노즐(20)을 거쳐서 분배되도록 챔버(22)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출구를 갖는다. 출구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더 바람직하게는 일련의 배출 개구 또는 구멍 형태로 챔버(22)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개구의 치수는 디스크(16)의 완전한 분해 또는 제품의 브루가 완료되기 전에 브루잉 액체가 챔버(22)로부터 너무 빨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된다. 디스크(16)의 분해는 배출 속도가 제한될 경우에 크게 개선되며, 따라서 브루 챔버(22)는 브루잉 중에 실질적으로 범람(flood)된다. 완전히 범람된 챔버(22)의 단점은 송달되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에서 거품 효과가 감소된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챔버(22)는 출구로부터의 유량을 변경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밸브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생성되는 음료에서의 거품 품질은 브루 챔버(22) 내에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으며, 이 가스는 고에너지 제트에 동반된다. 브루 챔버(22)의 배출 속도는 이 점에서 중요하며 완전한 범람 또한 바람직하게 회피된다.
디스크 보어(25)와 스핀들(26)의 상대 직경은 디스크(16)가 스핀들(26)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체 도관(28)의 단부에는 브루 액체를 가열 장치(13)로부터 브루 헤드(14)로 인도하는 노즐(27)이 제공되며, 상기 노즐은 브루 챔버(22)에 출구를 갖고 브루 챔버(22)의 측벽(29)에 설치된다(도 4 참조). 노즐(27)은 단일의 고속 액체 제트를 스핀들(26)에 장착된 디스크(16)의 주위 에지에 직접 인도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제트가 항상 디스크(16)의 주위 에지에 충돌하고 동시에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보장하므로 노즐(27)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이다.
다른 구성에서, 그러나, 노즐(27)은 액체 제트를 위로부터 디스크(16)의 에지로 인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트는 13 bar의 압력 및 200 ㎖/min에서 19.5 m/s의 속도를 갖는다. 정제에 충돌하는 더 높은 속도의 워터 제트는 용해를 향상시킬 것이다. 그러나, 더 미세한 제트 개구의 제조 및 작동 상의 실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압력 및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될 것이지만, 제품이 지나치게 희석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트는 펄스-변조되며, 컵으로의 평균 유량을 감소시키지만, 순간 제트 속도를 상승시킨다. 펄스 변조는 챔버 내에 침지된 디스크의 회전을 유지하는,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고속 제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제트 개구와 25% 듀티 사이클에서 유량은 800 ㎖/min(78 m/s)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디스크(16)의 둘레 주위의 상이한 지점에 다수의 액체 제트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노즐(27)이 사용될 수 있다.
브루 헤드(14)는 디스크가 스핀들(26)에 장착될 수 있도록 브루 챔버(22)가 노출되는 개방 위치와 브루 챔버(22)가 폐쇄 밀봉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섹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핸들 또는 레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동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브루 헤드(14)가 폐쇄될 때, 브루 챔버(22)는 실리콘 고무 시일 등을 갖는 브루 헤드(14)의 상부 섹션에 의해 밀봉된다.
브루 챔버(22)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이지만,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적절한 구성에서, 챔버(22)는 28mm 내지 75mm 직경과 13mm 내지 40mm 높이의 내부 치수를 가지며, 스핀들은 3mm의 직경을 갖는다.
노즐(들)(27)의 한 가지 적절한 형상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디스크(16)와 대략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한 "팬" 형상 스프레이를 제공한다. 하나의 적절한 구성에서 노즐(27)의 크기는 예를 들어 약 200 ㎖/min의 평균 유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이것은 약 19.5 m/s의 제트 속도를 부여하는 대략 3.8mm×0.045mm의 슬롯 치수에 의해 제공된다. 이 유량에서 펌프(11) 상의 배압은 대략 13 bar이다. 일부 형태의 디스크에서는 압축 정도와 디스크를 제조하는 성분(특히 성분 또는 결합제의 용해도 및 입자 크기)에 따라서 유량이 더 높아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량은 바람직하게 9 bar의 배압에서 예를 들어 대략 280 ㎖/min으로 조절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범람된 챔버(22) 내부로 공기가 허용될 때, 제트의 에너지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에 가스를 매우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특히 분유 디스크에 양질의 거품을 생성한다. 챔버(22) 내의 압력이 매우 적기 때문에, 최저 압력 지점인 챔버(22)의 중심에 공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숨구멍(breather)" 튜브 또는 구멍 형태의 공기 유입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공기 유입구는 거품있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 브루잉되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공기 유입구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노즐(27)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배출기일 것이다. 배출기는 노즐(27)을 통해서 흐르는 액체의 고속으로 인해 공기를 흡입한다.
조리되는 제품 또는 디스크(16)의 형태에 따라서, 유입 유량과 유출 유량 사이에 상이한 비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 유량이 유출 유량보다 크면, 디스크(16)는 회전하는 액체 바스(bath)에 완전히 침지되며, 용해/브루 속도가 증가된다. 챔버(22)가 부분적으로만 범람되고 워터 제트의 부분이 워터 레벨 위에 있으면, 보다 양호한 거품형성이 초래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액체의 유입 유동은 초기에 유출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유동은 이후 안정적인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균형잡힌다. 이 상태에서, 공기 유입구 솔레노이드는 더 많은 거품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기 배출기가 고속 워터 제트 노즐(27)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유입 유량 또는 유출 유량의 균형은 챔버 출구에서의 조절 가능한 밸브(자동 제어되거나 수동으로 선택 가능)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제트를 가변 듀티 사이클로 맥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트 맥동은 양호한 정제 분해 시간을 유지하면서 과도한 희석을 방지하고, 컵으로의 유량을 규제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밀봉된 챔버(22) 내에 가스를 도입하기 위해 발포성 재료가 디스크(16)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이후 제트의 에너지에 의해 추가로 상태조절될 것이다.
기계의 작동은 브루 헤드(14)를 개방하는 단계, 브루 챔버(22) 내의 스핀들(26) 상에 디스크(16)를 삽입하는 단계, 브루 헤드(14)를 폐쇄하는 단계, 및 음료/식료 제품이 조리되는 브루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루 사이클 도중에, 제트(또는 복수의 제트)는 디스크(16)의 원주 에지에 충돌하여, 디스크(16)가 회전하게 만들고 침식에 의해 또는 성분(들)/결합제가 용해됨에 따라 디스크가 분해되게 만든다. 디스크(16)에 부여되는 에너지는 충돌 지점에서 즉각적인 국소 표면 파쇄를 초래하고 이것이 주위 액체 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강요하며, 따라서 일체의 느슨해진 재료를 씻어내고 디스크(16)의 모든 부분이 균일하게 신속히 파쇄되도록 보장한다.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은 챔버(22)의 베이스에 있는 배출 구멍을 거쳐서 분배를 위해 출구(20)로 브루 챔버(22)를 빠져나가며 바람직하게는, 적절히 배치된 용기(21) 내로 분배된다.
테스트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이런 식으로 액체 제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초기 음료 또는 식료 제품 출구 스트림이 색깔 및 강도를 매우 신속히 달성한다는 것이다. 디스크(16)는 최종적으로 모든 디스크가 파쇄될 때까지 매우 균일한 속도로 분해된다. 공정은 평균 유량, 제트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또는 브루 사이클 중에 제트를 맥동시킴으로써 다양한 분말 식품 성분에 맞게 적응될 수 있다.
로스트 및 분쇄 커피로 제조된 것과 같은 특정 형태의 디스크(16)에서는, 완성된 제품이 분배되기 전에 여과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층상"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디스크(16)는 하나 이상의 동심 링 또는 층(31, 32)으로 압축되는 다중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3a는 커피(31) 링과 밀크(32) 링을 포함하는 층상 디스크(16)의 예를 도시한다. 디스크(16)의 직경이 점점 감소될수록, 음료의 색깔은 블랙 커피에서 화이트 커피로(또는 그 반대로) 변할 것이다. 도 3b에는 밀크 층(32)이 커피 층(31) 내에 완전히 봉입되는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스핀들(26)은 도 6에 도시하듯이 상이한 크기의 디스크(16)에 대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핀들(26)은 전위차계와 같은 회전 각도 위치 센서(37)가 장착된 피봇 지점(3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스프링-로딩된 아암(3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초기에, 아암(35)은 브루 헤드(14)가 개방되는 로딩 위치로 이동된다. 브루 헤드(14)를 폐쇄시키면 스프링(38)에 의해 스핀들(26)이 노즐(27) 쪽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크(16)가 노즐(27)에 기대어져 유지되거나 노즐에 근접한다. 이것은 디스크(16)의 출발 직경이 아암(35)의 각도 위치로부터 측정될 수 있게 한다. 공지된 유량에서의 워터 제트의 힘은 디스크 표면을 노즐 출구로부터 이격된 고정 거리에 유지하며, 따라서 디스크 분해의 진전이 스핀들 아암(35)의 각도로부터 평가될 수 있게 한다. 아암(35a)의 이동 및 디스크(16a)의 분해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크(16)의 위치는 디스크(16)를 때리는 액체의 제트가 방해받아서는 안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단부 정지부가 노즐(27) 근처에 2 내지 3mm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크 직경이 각도 센서(37)를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도록 데이터로서 작용한다.
다양한 형태 또는 크기의 압축 디스크(16)에 대해 최적의 브루잉 사이클을 생성하기 위해 폐-루프 피드백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유량은 지속적으로 변경되거나 맥동될 수 있으며 디스크(16)에 대한 효과는 역동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맥동은 제트가 정지될 때 디스크(16)가 일시적으로 단부 정지부에 대해 기대어질 것이므로 디스크 직경을 평가하는 보다 양호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제트에 의해 디스크(16)가 컵에서(1.) 및 테스트 장치(2.)에서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하는 실험 테스트가 상이한 디스크(16)를 갖는 테스트 장치에 대해 이루어졌다. 하기 결과가 얻어졌다.
예 1
이는 25.4mm의 직경과 6.7mm의 높이를 갖는 발포성 5g 비타민 정제(Berocca ™ 오렌지 맛)를 사용한다. 디스크는 20℃의 주위 물을 사용하여 용해되었다.
1. 컵에서 - 찬물 100 ㎖에서 휘저음에 의해 용해되는 시간은 1분 30초였다.
2. 브루 챔버에서 - 물 180 ㎖에서 용해되는 시간은 55초였다.
예 2
이는 16.3mm의 직경과 6.5mm의 높이를 갖는 압축된 1.2g 분유 디스크를 사용한다. 디스크는 80℃의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용해되었다.
1. 컵에서 - 뜨거운 물 100 ㎖에서 휘저음에 의해 용해되는 시간은 3분이었다.
2. 브루 챔버에서 - 뜨거운 물 85 ㎖에서 용해되는 시간은 25초였다.
컵에서의 디스크는 물 속에 침지된 후 곧바로 파쇄되었지만, 격렬하게 휘저어도 일부 고체 덩어리(대략 3-4mm 직경)는 3분 후에 완전히 용해시킬 수 없었다.
브루 챔버는 음료의 맨 위에 초미세 기포 밀크 거품을 약 25 내지 30 ㎖ 갖는 매우 안정적인 음료를 생성하였다. 휘저음에 비해서, 불용성 잔류물이 이 음료에 훨씬 적게 남았으며, 비이커의 바닥에 초미세 "침전물"로서 명백할 뿐이고 덜 두드러졌다.
예 3
이는 31mm의 직경과 13mm의 높이를 갖는 압축된 6.7g Jacobs Kroenung™ R&G 커피 디스크를 사용한다. 디스크는 95℃의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분해되었다.
1. 컵에서 - 뜨거운 물 150 ㎖에서 휘저음에 의해 분해되는 시간은 1분 10초였다.
2. 브루 챔버에서 - 물 270 ㎖에서 분해되는 시간은 54초였다.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 제품을 조리하기 위한 기계이며, 상기 기계는,
    디스크를 중심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디스크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밀폐 가능한 브루 챔버, 및
    상기 브루 챔버 내에 장착되는 디스크의 주위 에지에 액체 제트를 인도하도록 배치되고 브루 챔버 내에 출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노즐
    을 포함하는,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는 연속적이거나 맥동되는,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착 수단은 스핀들을 포함하는,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브루 챔버의 베이스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는, 기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스핀들을 하나 이상의 노즐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로딩된 아암 상에 장착되는, 기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 챔버는 하나 이상의 개구 형태의 출구를 갖는,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 챔버 출구를 통한 액체 유동은 밸브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기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브루 챔버의 측벽에 설치되는, 기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브루 챔버에 장착되는 디스크 위에 설치되는, 기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팬 형상 스프레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루 챔버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제공되는, 기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브루 챔버의 중심에 및/또는 브루 챔버의 측벽에 설치되는, 기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기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배출기인, 기계.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브루 챔버에 분사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계.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브루 챔버 내에 분사되는 액체 제트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계.
  18. 제1항 또는 제2항의 기계 및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 제품 조리용 시스템.
  19. 음료 또는 식료 제품 분배 방법이며,
    음료 또는 식료 제품 조리용 기계의 브루 챔버 내에 하나 이상의 성분의 압축 디스크를 중심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의 주위 에지에 하나 이상의 액체 제트를 인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스핀들을 하나 이상의 노즐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로딩된 아암 상에 장착되는, 기계.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기계.
KR1020177006176A 2014-08-28 2015-05-06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 KR101949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15233.4A GB2529662B (en) 2014-08-28 2014-08-28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liquid food products
GB1415233.4 2014-08-28
PCT/IB2015/000770 WO2016030732A1 (en) 2014-08-28 2015-05-06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liquid food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292A KR20170039292A (ko) 2017-04-10
KR101949055B1 true KR101949055B1 (ko) 2019-02-15

Family

ID=5175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176A KR101949055B1 (ko) 2014-08-28 2015-05-06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63538B2 (ko)
EP (1) EP3185730B1 (ko)
KR (1) KR101949055B1 (ko)
CN (1) CN106604666B (ko)
AU (1) AU2015308188B2 (ko)
BR (1) BR112017003861B1 (ko)
CA (1) CA2894312C (ko)
ES (1) ES2922205T3 (ko)
GB (1) GB2529662B (ko)
MX (1) MX2017002603A (ko)
PL (1) PL3185730T3 (ko)
RU (1) RU2664367C1 (ko)
WO (1) WO2016030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3629860T (pt) * 2017-05-23 2021-07-29 Nestle S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controlo de bomba melhorado
US11780720B2 (en) * 2017-06-28 2023-10-10 Coravin, Inc. Beverage aeration
US11684197B2 (en) * 2018-04-20 2023-06-27 Resolute Patents, Llc Portable beverage system and assembly
US20230371542A1 (en) * 2020-10-14 2023-11-23 Delica Ag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6949A1 (en) * 2012-12-19 2014-06-26 Kraft Foods R&D, Inc. A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system
WO2014121838A1 (en) * 2013-02-07 2014-08-14 Klaus Kroes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7492B (en) 2003-01-24 2005-10-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501B (en) 2003-01-24 2005-06-22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1510159A1 (fr) 2003-08-25 2005-03-02 Nestec S.A.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 produit alimentaire
US20060003075A1 (en) * 2004-07-02 2006-01-05 Meador Keith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PL1674625T3 (pl) 2004-12-23 2008-01-31 Deoflor Spa Urządzenie do dozowania komponentów czynnych pakowanych w tabletki lub kostki w miskach ustępowych lub w używających wodę urządzeniach sanitarnych w ogóle
NL1028101C2 (nl) * 2005-01-24 2006-07-25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rigide lichaam van het samenstel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met het samenstel.
US20060254428A1 (en) * 2005-05-14 2006-11-16 Glucksman Dov Z Coffee making apparatus
EP2152607B1 (en) * 2007-06-05 2012-01-11 Nestec S.A. Single-use capsule for preparing a food liquid by centrifugation
US8286547B1 (en) * 2008-05-23 2012-10-16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Automated french press-like quality producing, high volume, automated, electric beverage maker
AU2010268197A1 (en) * 2009-07-03 2012-01-19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embedding an identification element
IT1397802B1 (it) 2009-12-22 2013-01-24 Inoxtrend S R L Dispositivo di lavaggio per forni e simili e forno a convezione dotato di tale dispositivo.
US20130108752A1 (en) * 2010-07-07 2013-05-02 Nestec S.A.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ingredient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and apparatus
GB2485575B (en) * 2010-11-18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dispensation from beverage machines
GB2505659A (en) * 2012-09-05 2014-03-12 Cambridge Consultants Infus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driving motion of an infusion substance containing capsule
GB2499496B (en) * 2012-12-19 2014-11-19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6949A1 (en) * 2012-12-19 2014-06-26 Kraft Foods R&D, Inc. A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system
WO2014121838A1 (en) * 2013-02-07 2014-08-14 Klaus Kroes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29662A (en) 2016-03-02
RU2664367C1 (ru) 2018-08-16
PL3185730T3 (pl) 2022-11-14
BR112017003861B1 (pt) 2021-12-28
AU2015308188A1 (en) 2017-03-09
KR20170039292A (ko) 2017-04-10
US20160058239A1 (en) 2016-03-03
CA2894312C (en) 2017-12-19
MX2017002603A (es) 2017-05-19
US9763538B2 (en) 2017-09-19
EP3185730B1 (en) 2022-07-06
WO2016030732A1 (en) 2016-03-03
EP3185730A1 (en) 2017-07-05
BR112017003861A2 (pt) 2018-06-26
GB201415233D0 (en) 2014-10-15
CA2894312A1 (en) 2016-02-28
AU2015308188B2 (en) 2018-09-13
CN106604666B (zh) 2020-03-06
ES2922205T3 (es) 2022-09-09
CN106604666A (zh) 2017-04-26
GB2529662B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8429B2 (en) Device for in-cup preparation of a beverage
KR101949055B1 (ko) 음료 및 액상 식료 제품 조리 기계에서의 개선
US70481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beverage ingredient powder in a drink dispenser
EP2653081B1 (en) Device for producing a frothed liquid from soluble ingredients and diluent
JP6147772B2 (ja) 粉末製品の抽出準備用の交換可能カプセル
JP5617030B2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および方法
EP1778061B1 (en) Equipment for the preparation of a hot beverage
JP2022501106A (ja) 混合チャンバを有する飲料装置
WO2015138291A1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and methods with restrictors
JP2018501835A (ja) 飲み物を抽出する装置
EP2797473B1 (en) Dispenser for producing beverages by dissolution of a soluble ingredient
WO2017214062A1 (en) Beverage maker
CN115721164A (zh) 由饮料分配机在容器中制备非常热的饮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