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978B1 -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 Google Patents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978B1
KR101948978B1 KR1020160088035A KR20160088035A KR101948978B1 KR 101948978 B1 KR101948978 B1 KR 101948978B1 KR 1020160088035 A KR1020160088035 A KR 1020160088035A KR 20160088035 A KR20160088035 A KR 20160088035A KR 101948978 B1 KR101948978 B1 KR 10194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bracket
side frame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7167A (en
Inventor
권오병
Original Assignee
권오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병 filed Critical 권오병
Priority to KR102016008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978B1/en
Publication of KR2018000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9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는, 저장대상이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체;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며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내측브라켓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어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외측브라켓과,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바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tank in which a storage object is stored; A side frame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a low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frame to support a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 inner bracket disper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 outer bracket disper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hock absorber installed between the outer brackets, the shock absorbers being inserted into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respectively, to absorb impact through the springs.

Description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ucture for a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탱크를 감싸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되, 지지 구조체와 저장탱크의 사이공간에 탄성 연결수단을 위치시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저장탱크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개량된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ing support structure for a storage tank, more particularly, a support structure for enclosing a storage tank, in which a resilient connection means is placed in a space between a support structure and a storage tank, To a cushioning support structure of an improved storage tank.

일반적으로, 액체나 가스를 다량으로 보관하거나 운송하는데 있어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주로 저장탱크에 프레임을 씌우고 이 프레임을 통해 저장탱크를 고정시켜 흔들림을 방지하는 방법을 활용한다.In gen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tect against shaking or external impact in storing or transporting a large amount of liquid or gas. It is mainly used to put the frame on the storage tank and to fix the storage tank through this frame to prevent the shaking.

프레임 또한 합성플라스틱이나 철재 등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지만 이 또한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자주 또는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프레임도 함께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저장탱크가 흔들리거나 쓰러지고 심한 경우에는 원래의 보관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The frame is also made of high strength materials such as synthetic plastic or steel. However, if the frame is also deformed or damaged due to frequent or long exposure to external shock or vibration, the storage tank may shake or collapse, And moved to a different position away from the user.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312949호 ‘독립형 저장탱크 충격완화장치’에 의하면, 독립형 저장 탱크의 외부표면과 독립형 저장 탱크 주위를 둘러싸는 내부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전체 내부공간에 연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에어쿠션을 일단 혹은 양단에 연결하여 에어쿠션부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선체 변형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독립형 저장탱크의 선체 거동에 의한 영향을 상쇄시키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독립형 저장탱크의 충격완화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s a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1312949 'Independent storage tank shock absorbing device', the total internal space existing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ependent storage tank and the inner surface surrounding the independent storage tank By connecting multiple air cushions connected at one end or both ends, air pressure inside the air cushion can be controlled to adjust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hull, thereby canceling the influence of the hull behavior of the independent type storage tank, Discloses a mitigating device.

그러나, 이와 같은 독립형 저장탱크의 충격완화장치는 LNG(-163도씨)의 경우 저장탱크의에서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단열재 표면에서의 온도분포가 상온과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낮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러한 경우 저온에 의한 에어쿠션의 에어쿠션의 변형과, 에어쿠션 내부를 채우고 있는 에어가 에어쿠션을 통과해 전달되는 저온에 의하여 기체에서 액체로 응축되면서 에어쿠션부의 본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LNG (-163 ° C), it is expected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t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will be considerably low when compared with the room temperature even if the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The air cushion of the air cushion is deformed and the air filling the inside of the air cushion is condensed into the liquid from the gas due to the low temperature transmitted through the air cushion so that the original effect of the air cushion can not be expected .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1554897호,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체’를 제시하였다.Korean Patent No. 10-1554897, " Support structure for stand-alone storage tank " is proposed as another method.

상기 기술에 의하면, 선체의 상하 요동, 롤링, 피칭 등에 대응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저장탱크를 지지할 수 있는 저장탱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탱크의 외면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완충유닛; 및 상기 완충유닛과 유압라인을 통해 소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압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tank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a storage tank in a more stable manner in correspondence with up-and-down pivoting, rolling, pitching, etc. of a hull,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buffer units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a storage tank. And at least one hydraulic pressure regula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buffer unit via a hydraulic line.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저장탱크를 어느정도 수준까지는 보호할 수 있으나, 완충유닛이 유압을 사용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기술의 특성상 쉽게 파손될 우려가 발생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he storage tank can be protected to a certain level, but there is a fear that the buffering unit is easily broken due to the nature of the technology of the cylinder made of hydraulic pressure.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저장탱크를 보호할 수 있고, 쉽게 파괴되지 않는 구조의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shioning support structure for a storage tank that can protect the storage tank from external shock or vibration and is not easily broken.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공간에 저장대상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tank capable of storing an object to be stored in an internal space can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shock or vib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탱크와 지지 구조체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추가하여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ffer means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support structure to more effectively defend against external shock or vib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수단을 개량하여 완충수단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보다 오랜 시간동안 큰 무게를 갖는 저장탱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amping mean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amping means itself, thereby protecting the storage tank having a large weigh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는, 저장대상이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체;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며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내측브라켓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어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외측브라켓과,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바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uffer support structure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in which a storage object is stored; A side frame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a low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frame to support a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 inner bracket disper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 outer bracket disper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hock absorber installed between the outer brackets, the shock absorbers being inserted into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respectively, to absorb impact through the springs.

더하여, 상기 완충지지 구조체는, 상기 측부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상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에는 상기 외측브라켓이 분산 배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내측브라켓이 분산 배치되고,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 단부가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삽입된 상기 결합바를 매개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fram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frame to cover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the outer bracket being dispersedly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Wherein the inner bracket i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racket and the inner bracket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so that both ends of the inner bracket absorb the impact via the coupling bar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

추가적으로,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일 측은,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돌출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을 구비하며, 상기 평탄면은, 내측으로 수직하게 함입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의 양 단은, 외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삽입공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convexly protruding part, the protruding part having at least one flat surface, Wherein both ends of the coupling bar are formed with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of the rotary insertion ho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re threadedly coupled to the flat surface.

또한, 상기 돌출파트는, 복수의 상기 평탄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otruding part is a polyhedra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lat surfaces are formed at different slopes.

또한, 상기 돌출파트는,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융기된 것으로서, 상기 돌출파트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part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via a support having a modulus of elasticity lower than that of the protruding part.

또한, 상기 지지대의 내부공간에는, 소프트폼 재질로 적층된 완충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uffer layer laminated with a soft foam material is further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so as to buffer vibrations externally applied.

또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의 일 면에는,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함입된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회전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돌출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회전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are formed at one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rotation groove formed with a thread, and the support base is protruded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groove And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rotation groove through a thread formed on the protru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절곡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결합플레이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의 일 면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지대를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at the end of the support, a coupling plate is formed which is bent and extend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hole.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Where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are fixed to on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through a fastener fixed to the fixing groov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support base are fixedly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저장탱크와 지지 구조체를 이격시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저장탱크를 보호할 수 있고,1) The storage tank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otect the storage tank from external shock or vibration,

2) 저장탱크와 지지 구조체를 잇도록 사이공간에 스프링을 매개로 하는 별도의 완충수단을 제공하여 보다 안전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2)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more safely by providing a separate buffer means for passing the space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support structure through a spring,

3) 완충수단을 회전시키거나 완충수단의 결합 표면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3)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buffer means or to form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uffer means at various angles, to distribute the force as need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저장탱크와 완충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탱크와 완충지지 구조체를 상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내측브라켓 및 외측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내측브라켓 및 외측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완충층을 형성한 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structure of a storage tank and a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and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3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inner bracket and an outer bracket;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ner bracket and an outer bracke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ing table on which a buffer layer is 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저장탱크와 완충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탱크와 완충지지 구조체를 상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overall structure of a storage tank and a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and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구체적으로 도 1과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저장탱크(100)와 완충지지 구조체는 저장대상이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탱크(100)와, 저장탱크(100)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측부프레임(210)과, 측부프레임(21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저장탱크(100)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하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체(200)와, 저장탱크(100)의 외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며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4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내측브라켓(410)과, 측부프레임(210)의 내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어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4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브라켓(420)과,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상기 삽입공(411)에 삽입됨으로써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바(430)로 구성되는 완충수단(400)으로 구성된다.1 and 2,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torage tank 100 in which a storage object is stored, and a storage tank 100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a lower frame 22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frame 210 to support a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lurality of inner brackets 410 disper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41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inner brackets 410 dispersed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210, A plurality of outer brackets 420 formed with one or more insertion holes 411 and a plurality of outer brackets 420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brackets 410 and the outer brackets 420.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411, And a coupling bar 430 that absorbs impact And buffering means (400).

먼저 저장탱크(100)는 저장대상이 내부에 보관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저장대상이라고 함은 액체나 기체, 입자가 잘은 고체 등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기름이나 가스, 가루설탕과 같은 것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특정한 형태가 없으나 부피를 가지고 있어 공간만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보관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저장대상을 내부에 보관하는 것을 저장탱크(100)라고 하며, 저장탱크(100)의 재질은 저장대상이 내부에 가득 채워지더라도 그 무게와 압력을 버틸 수 있는 철재 또는 합금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storage tank 100 is a storage object to be stored therein. Here, the object to be stored refers to a liquid or a gas, a solid material with good particles, and the like, for example, oil, gas or powdered sugar.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have no specific shape but they are bulky and can be stored in any form if they have space. Storing the storage object inside the storage tank 100 is referred to as a storage tank 100. The material of the storage tank 100 is preferably made of a steel or alloy material capable of holding its weight and pressure even if the storage object is filled in Do.

여기서 저장탱크(100)는 다시 세부적으로 저장대상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110)와, 내부공간으로 저장대상을 투입할 수 있도록 보관부(110)의 상단부에서 관통된 투입구를 형성한 투입부(120)와, 내부공간에 저장된 저장대상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보관부(110)의 하단부에서 연장된 배출파이프를 형성한 배출부(130)로 구성된다.Here, the storage tank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for form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a storage object in detail, and an inlet port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unit 110 so that the storage objec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And a discharge unit 130 having a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torage unit 110 to discharge a stored object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즉, 충분한 내부공간을 형성한 보관부(110)와, 보관부(110)의 상단부에서 관통된 투입구를 형성하여 보관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저장대상을 투입하고, 보관부(110)에 보관된 저장대상을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관부(110)의 하단부에서 연장된 배출파이프를 형성한 것이다. 특히 투입부(120)에는 투입 시 내부공간에 원래 존재하던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두 종류 이상의 저장대상을 내부공간으로 투입시킬 목적을 가진 경우 활용할 수 있는 통기구를 더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투입구 및 통기구의 주변에는 필요시 관통된 부분을 덮어 가릴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를 더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커버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보관부(110)의 표면에 별도의 고정부를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하여 배출파이프의 경우 무분별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나 마개 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a storage unit 110 in which a sufficient internal space is formed and a charging port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unit 110 are formed to put a storage objec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unit 110, And a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unit 110 is formed for discharging the stored object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ventilating hole, which can be used when discharging the air originally present in the internal space at the time of charging, or when injecting two or more kinds of storage objects into the internal space. In addition, a separate cover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inlet and the vent to cover the penetrated portion, if necessary, and a separate fix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110 so that the cover can be fixe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form.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pip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include a valve, a stopper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indiscriminate discharge.

다음으로 지지 구조체(200)는, 저장탱크(100)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측부프레임(210)과, 측부프레임(21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저장탱크(100)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하부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쉽게 말해 지지 구조체(200)는 일종의 프레임으로서, 저장탱크(100)의 외부면을 받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Next, the support structure 200 includes a side frame 210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a lower frame 210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210 to suppor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a lower frame 220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other words, the support structure 200 is used as a kind of frame to support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먼저 하부프레임(220)은 저장탱크(10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저장탱크(100)의 하단면을 일정 높이 이격시켜 지면에서 발생하는 습기 등의 위해요인으로부터 저장탱크(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측부프레임(210)의 경우 저장탱크(100)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충격을 받았을 때 측면 방향으로 저장탱크(100)가 쓰러지거나 눕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frame 220 suppor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separate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prevent moisture from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protected. The side frame 210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prevents the storage tank 100 from collapsing or lying down in a lateral direction when an impact is received.

여기에 추가적으로 측부프레임(21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저장탱크(100)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상부프레임(230)을 더 포함한다. 즉, 상부프레임(230)의 모서리마다 연장 형성된 일종의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프레임(230)이 저장탱크(100)의 상부면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과격한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하부면이나 측부면 이외에도 상부면을 함께 고정시켜야만 지지 구조체(200)로부터 저장탱크(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상부프레임(230)에도 내부 표면에 외측브라켓(420)을 분산배치하고, 저장탱크(100)의 상부 표면에도 내측브라켓(410)을 분산배치하며, 외측브라켓(420)과 내측브라켓(410)에 형성된 삽입공(411)에 각각 삽입된 결합바(430)를 매개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구성이 동일하되 단지 그 형성 위치를 상부프레임(230)에 형성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And further includes an upper frame 23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210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 That is, the upper frame 230 is formed with a step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upper frame 230, so that the upper frame 230 hold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This is because, in the event of a severe rocking or imp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structure 200 only in addition to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The inner bracket 410 i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outer bracket 420 and the inner bracket 420 410 can be absorbed through the coupling bar 43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1. [ Thi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but is formed only in the upper frame 230,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더라도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저장탱크(100)나 지지 구조체(200)로 가해지는 경우, 저장탱크(100) 또는 지지 구조체(200)가 진동에 의해 공명하거나 흔들림으로써 망가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100)와 지지 구조체(200)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별도의 완충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ven if strong vibration or impact is applied to the storage tank 100 or the support structure 200 eve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torage tank 100 or the support structure 200 may be damaged or broken by resonance or shaking due to vib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such a problem.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buffer means 400 positioned between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upport structure 200 to absorb the impact.

이 완충수단(4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탱크(100)의 외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며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4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내측브라켓(410)과, 측부프레임(210)의 내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어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4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브라켓(420)과,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삽입공(411)에 삽입됨으로써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바(430)로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buffer means 400 is as follows. A plurality of inner brackets 410 disper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41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inner brackets 410 dispersed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210, A plurality of outer brackets 420 form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hole 411 and a plurality of outer brackets 420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brackets 410 and the outer brackets 420.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411, And a coupling bar 430 for absorbing the fluid.

먼저 내측브라켓(410)과 외측브라켓(420)을 살펴보면, 두 브라켓은 외형이나 구성은 동일한 것이나, 그 부착 위치에 따라 나뉜 것이다. 저장탱크(100)의 외부 표면에 분산 배치된 것을 내측브라켓(410)으로, 측부프레임(210)의 내부 표면에 분산 배치된 것을 외측브라켓(420)이라 한다. 이러한 브라켓은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4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삽입공(411)은 결합바(430)의 양 단이 삽입될 곳이므로, 삽입공(411)은 내측브라켓(410)과 외측브라켓(420)이 각각 저장탱크(100) 또는 측부프레임(210)과 결합되는 방향이 아닌,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First, both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identical in appearance and configuration but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positions. An inner bracket 410 disper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an outer bracket 420 disper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210. [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nsertion hole 411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insertion hole 411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inserted into the storage tank 100 or the side frame 2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이러한 내측브라켓(410)과 외측브라켓(420)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체적을 갖는 것부터 모서리를 감싸는 ‘ㄴ’, ‘ㄷ’형상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반구형이나 원통형 등 다양한 입체적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ㄷ’형상을 갖는 브라켓을 위주로 설명하였다.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n "a" or a "c" which surrounds an edge. Further, various shapes such as a hemisphe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Of course, may be appli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rackets having a "C" shape are mainly described in the drawings.

다음으로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단부가 삽입공(411)에 삽입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바(430)가 더 포함된다. 결합바(430)는 기본적으로 이완 및 수축 가능한 스프링인 스프링이며, 더 나아가 스프링을 매개로 하우징이 부착되거나 별도의 봉 등이 더욱 부착된 것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내측브라켓(410)과 외측브라켓(420)에 형성된 삽입공(411)에 이 결합바(430)의 양 단부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결합바(430)는 저장탱크(100)가 위치하는 환경조건에 따라 외력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nd a coupling bar 430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nd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1 to absorb the impact. The coupling bar 430 is basically a spring that is a spring that can be relaxed and contracted. Further, the coupling bar 430 can be formed by attaching a housing through a spring or by attaching a separate rod or the like. Both ends of the coupling bar 430 are fitted to the insertion hole 411 formed in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to connect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do. For this reas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joining bar 430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durability to absorb impact from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the storage tank 100 is located.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결합바(430)에는 스프링과 스프링 사이에 힌지가 내장되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단순한 충격량의 흡수기능에서 벗어나 원하는 위치로부터 다른 원하는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고, 보다 탄력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upling bar 430 may include a hinge between the spring and the spring and may be coupled through a hinge. In this case, the desired position may be freely connected from a desired position, The effect of absorbing the impact can be obtained more flexibly.

저장탱크(100)와 내측브라켓(410), 결합바(430), 외측브라켓(420), 측부프레임(210)이 결합된 형태를 보면 지지 구조체(200)의 사이공간에 저장탱크(100)가 마치 떠있는 듯이 위치하되, 지지 구조체(200)와 저장탱크(100) 사이에 결합바(430)가 위치하여 이 결합바(430)를 매개로 끼움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권투, 프로레슬링과 같은 경기장을 떠올리면 쉬운데, 권투, 프로레슬링 등에서 사용되는 경기장은 실제 경기가 이루어지는 필드와, 그 필드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된 링과, 이 링의 각 모서리마다 일정 간격을 두고 벌어져 위치하는 기둥과, 링의 모서리와 기둥을 각각 잇는 이음부로 구성된다. 권투나 프로레슬링의 경기 특성 상 링에 부딪히는 빈도가 많고, 링의 반동을 활용하는 기술도 존재하여 경기장이 상당한 충격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기장에 사용되는 링 결합방식이 바로 본 발명의 저장탱크(100)의 완충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것이다.The storage tank 100 and the inner bracket 410, the coupling bar 430, the outer bracket 420 and the side frame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bar 430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200 and the storage tank 100 and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bar 430 through the coupling bar 430. [ It is easy to come up with stadiums such as boxing and professional wrestling. The stadiums used in boxing, professional wrestling, etc. have a field where the actual competition takes place, a ring formed along the border of the field, And a joint which connects the corner of the ring and the column, respectively. In the boxing or professional wrestling competition, there are many incidents to hit the ring, and there is a technique to utilize the recoil of the ring, so that the stadium must be designed to withstand a considerable impact. And is applied to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100.

다만, 충격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되지는 않기 때문에 충격을 버틸 수 있는 수단 및 충격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시키거나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충격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since the impact is not always transmitted in the same direction, there is a need to include a means capable of supporting the impact and a means capable of dispersing the impact in various directions or accepting impact from various directions.

도 3은 내측브라켓 및 외측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내측브라켓 및 외측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의 일 측은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파트(412)를 추가로 포함하고, 돌출파트(412)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413)을 구비하며, 평탄면(413)의 일 측은 함입 형성되되 함입된 측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삽입공(411)을 포함하고 결합바(430)의 양 단에는 돌출 형성되어 평탄면(413)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나사산을 매개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3 and 4, one side of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further includes a convexly protruding part 412, and the protruding part 412 includes at least one flat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413 includes the insertion hole 411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embedded side is embedded and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coupling bar 430 to form a flat surface 413 are formed to be able to be attached and detached via a thread.

즉, 내측브라켓(410)이나 외측브라켓(420)은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파트(412)를 형성한다. 이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반구형의 형태로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구형의 형상을 적용하는 경우 단순 평면에 삽입공(411)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더욱 다양한 각도로 결합바(430)를 끼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돌출파트(412)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413)이 구비되고, 평탄면(413)의 일 측은 함입 형성되되 함입된 측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공(411)을 포함한다. 즉, 다양한 각도와 위치로 평탄면(413)을 형성한다면, 이 평탄면(413)에 하나씩의 삽입공(411)이 형성되므로 하나의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을 사용하더라도 다양한 각도와 위치의 삽입공(411)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적절한 예시로 축구공을 살펴볼 수 있는데, 축구공의 표면을 구성하는 오각형 및 육각형을 하나의 평탄면(413)으로 이해하고, 해당 평탄면(413)마다 삽입공(411)을 형성한다면,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 삽입공(411)이 형성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form a convexly protruding part 412. This is seen as a hemispheric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When the hemispherical shape is applied, the joining bar 430 can be fitted into the joining bar 430 at a more various angle than in the case of forming the insertion hole 411 in the simple plane. In addition, the protruding part 41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at surface 413, and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413 includes an insertion hole 411 in which a threaded side is formed in the recessed side. That is, if the flat surface 413 is formed at various angles and positions, one insertion hole 411 is formed in the flat surface 413, so that even if on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used, It becomes possible to hold the insertion hole 411 at an angle and position. If a pentagon and a hexagon constituting the surface of the soccer ball are regarded as one flat surface 413 and an insertion hole 411 is formed for each flat surface 413,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sertion hole 411 is formed at various angles and positions.

또한 결합바(430)의 양 단에도 돌출 형성된 외주면을 따라 삽입공(411)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나사산을 매개로 평탄면(413)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바(430)가 나사산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끼움결합 되므로, 결합바(430)가 심한 충격에도 삽입공(411)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내장된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upling bar 430 can be detached from the flat surface 413 by forming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insertion hole 411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coupling bar 430, So that the coupling bar 430 can absorb and mitigate the impact through the built-in spring without falling out from the insertion hole 411 even in a severe impact.

다음으로 돌출파트(412)는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저장탱크(100)의 외부 표면 및 측부프레임(210)의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융기된 것이다. 이러한 돌출파트(412)에는 복수의 평탄면(413)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면체 구조물에는 다양한 기울기로 연장된 복수의 평탄면(413)이 표면을 이루고 있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평탄면(413)의 기울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The protruding part 412 is then raised from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210 to facilitate angle adjustment. The protruding part 412 may form a polyhedra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413 are formed at different slopes.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413 extending at various slopes are formed on the polyhedral structure, and one of the slopes of the various flat surfaces 413 can be selected and used as needed.

추가적으로 측부프레임(21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융기되어 돌출파트(412)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지지대(440)를 매개로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돌출파트(412)가 마치 버섯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도록 한 것으로서, 탄성계수가 작은 지지대(440)를 매개로 연결되므로 이 지지대(440)가 충격을 추가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일정 수준 휘도록 할 수도 있어 기존의 돌출파트(412)만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더욱 진보된 형태의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을 형성할 수 있다. And is further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through a support 440 which is rai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210 and is less elastic than the protruding part 412. This is because the protruding part 412 is shaped like a mushroom and is connected via a support 440 having a small elastic modulus, so that the support 440 can absorb the impact additionally,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can be formed more advanced than the case including only the conventional protruding part 412. [

도 5는 완충층을 형성한 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ing base on which a buffer layer is formed.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지지대(440)의 내부공간에는 소프트폼 재질로 적층된 완충층(450)이 추가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완충층(450)은 역시 충격으로부터 돌출파트(412)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방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여기에 더욱 튼튼한 구조로서, 완충층(450) 사이에 육각기둥 형태의 허니콤 구조를 더 형성하거나 별도의 내장재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5, a buffer layer 450 laminated with a soft foam material is further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440 to buffer vibrations applied from the outside. This buffer layer 450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rotruding part 412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from the impact. As a more robust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hexagonal columnar honeycomb structure between the buffer layers 450, or to add a separate interior material.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면,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의 일 면에는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함입된 내주면에는 나사산과 복수개의 멈춤돌기가 형성된 회전홈(211)이 더 형성되고, 지지대(440)는 회전홈(2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돌출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회전홈(211)과 결합되는 결합돌기(441)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3 and 4,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urface there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are provided with a rotation groove The support base 44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441 protruding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groove 211 and coupled with the rotation groove 211 via a thread formed on the protrud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o.

이러한 구성은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결합바(430),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받는 충격을 충분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결합바(430)가 단순하게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과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에 고정되어있다면, 스프링이 내장되었다고 하더라도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 해당 충격에 따른 힘을 스프링이 흡수하는 데에 한계를 갖는다. 이 때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됨으로써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의 돌출파트(412)에 형성된 삽입공(411)이 함께 회전되어 일정한 범위를 움직일 수 있어 결합바(430)의 스프링이 일부 이완되어 보다 높은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대(440)를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회전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저장탱크(100)와 측부프레임(21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회전홈(211)을, 지지대(440)에는 회전홈(2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돌출된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를 매개로 회전홈(211)과 결합되는 결합돌기(441)를 더 형성한다. 즉, 회전홈(211)에 결합돌기(441)가 나사산결합을 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되어 결과적으로는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can be rotated from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So that the impact received by the motor 420 is sufficiently reduced. More specifically, if the coupling bar 430 is simply fixed to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nd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even if the spring is embedded, The spring has a limitation in absorbing the force due to the impact.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rotated without being fixed to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so that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formed on the protruding part 412 of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The insertion hole 411 can be rotated together to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spring of the coupling bar 430 is partially relaxed so that a higher impact amount can be absorbed. Therefore, if the support base 44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from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rotated to hav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are provided with rotation grooves 21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ith projections formed on the support table 44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grooves 211, And a coupling protrusion 441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rotation groove 211 through the thread. That is,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s 441 are threadedly engaged with the rotation grooves 211, the inner brackets 410 and the outer brackets 420 are rotated as necessary.

이러한 구성을 통해 기존과 대비하여 결합바(430)가 강한 충격으로 눌리거나 부러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회전하는 것을 활용하여 삽입공(411)을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이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을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활용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coupling bar 430 is pushed or broken by a strong impact can b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and the rotation of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is utilized, 411 are not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in all directions,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can be rotated and moved to a desired position.

또, 회전 구성을 통해 불필요한 삽입공(411)의 형성을 줄일 수 있으며 앞선 설명에 따라 결합바(430)가 더욱 높은 충격량을 버틸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일정한 방향으로만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이거나, 그 충격량이 충분히 결합바(430)가 버틸 수 있는 한계를 가진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이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으로부터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라면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욱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rmation of unnecessary insertion holes 411 through the rotation structure, and the coupling bar 430 can be configured to hold a higher impact amount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However, , There may occur a situation in which the amount of the impact is sufficiently large that the coupling bar 430 can hol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hat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fixed without being rotated from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In this c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form a separate fixing means.

이에 따라 지지대(440)의 단부에는 절곡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432)을 포함하는 결합플레이트(431)가 형성되고,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의 일 면에는 관통공(43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홈(212)이 더 형성되며,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은 관통공(432)을 관통하여 고정홈(212)에 고정되는 패스너(414)를 매개로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upling plate 431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4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440 and a through hole 432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432 and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12. The fixing groove 21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432, And is coupled to either the storage tank 100 or the side frame 210 via a fastener 414 that is fixed to the side frame 210.

결합플레이트(431)는 지지대(440)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마치 밀짚모자의 챙 과 같은 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플레이트(431)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32)이 형성된다. 또,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의 일 면에는 이 관통공(43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홈(21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탱크(100) 및 측부프레임(210)의 고정홈(212)과 내측브라켓(410) 및 외측브라켓(420)에 형성된 결합플레이트(431)의 관통공(432)을 일치시키고 나사,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잠금수단인 패스너(414)를 매개로 고정시킨다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아 결합바(430)의 안정적인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coupling plate 431 is bent and exten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440, and is formed as a ring-like plate like a straw hat. One or more through holes 432 are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431.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212 which is embed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32 and in whic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readed. The through holes 432 of the engaging plate 431 formed on the inner bracket 410 and the outer bracket 420 are aligned with the fixing grooves 212 of the storage tank 100 and the side frame 210, A fastener 414, which is a locking means such as a nut, or the like, it is no longer rotated, and the joining bar 430 is stably inserted and fix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and function of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저장탱크 110: 보관부
120: 투입부 130: 배출부
200: 지지 구조체 210: 측부프레임
211: 회전홈 212: 고정홈
220: 하부프레임 230: 상부프레임
400: 완충수단 410: 내측브라켓
411: 삽입공 412: 돌출파트
413: 평탄면 414: 패스너
420: 외측브라켓 430: 결합바
431: 결합플레이트 432: 관통공
440: 지지대 441: 결합돌기
450: 완충층
100: Storage tank 110: Storage part
120: input unit 130:
200: support structure 210: side frame
211: rotation groove 212: fixing groove
220: lower frame 230: upper frame
400: buffer means 410: inner bracket
411: insertion hole 412: protruding part
413: flat surface 414: fastener
420: outer bracket 430: coupling bar
431: coupling plate 432: through-hole
440: Support base 441:
450: buffer layer

Claims (8)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저장대상이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측부면을 둘러싸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 구조체;
상기 저장탱크의 외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며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내측브라켓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에 분산 배치되어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외측브라켓과,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단부가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스프링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결합바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일 측은,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돌출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을 구비하되 복수의 상기 평탄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된 다면체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탄면은, 내측으로 수직하게 함입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의 양 단은, 외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삽입공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에 나사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
In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A storage tank in which a storage object is stored;
A side frame surrounding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a low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frame to support a lower end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 inner bracket disper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 outer bracket disper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hock absorber installed between the outer brackets, the shock absorbers being inserted into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Wherein one side of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further include a convexly protruding part,
Wherein the protruding part comprises a polyhedral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flat surface and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formed at different slopes,
Wherein the flat surface includes a rotation insertion hole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vertically inward,
Wherein both ends of the coupling bar are formed with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of the rotary insertion ho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re threadedly coupled to the flat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 구조체는,
상기 측부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상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에는 상기 외측브라켓이 분산 배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내측브라켓이 분산 배치되고,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 단부가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삽입된 상기 결합바를 매개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support structur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upper frame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frame and covering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The outer bracket is dispersed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The inner bracket is dispersed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Wherein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absorb the impact via the coupling bars that are provided betwee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and have both end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파트는,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융기된 것으로서, 상기 돌출파트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through a support having a small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at of the projecting part as rai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부공간에는,
소프트폼 재질로 적층된 완충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Wherein a buffer layer laminated with a soft foam material is further formed to buffer vibrations externally applied to the buffer tank.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의 일 면에는,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함입된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회전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돌출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회전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On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urther formed with a rotation groove formed with a thread,
[0028]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groove and engaging with the rotating groove through a thread formed on a protru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절곡 연장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결합플레이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의 일 면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내측브라켓 및 상기 외측브라켓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측부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지대를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완충지지 구조체.
8. The method of claim 7,
At the end of the support,
A coupling plat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A fix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support frame is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side frame via a fastener tha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KR1020160088035A 2016-07-12 2016-07-12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KR1019489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35A KR101948978B1 (en) 2016-07-12 2016-07-12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35A KR101948978B1 (en) 2016-07-12 2016-07-12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67A KR20180007167A (en) 2018-01-22
KR101948978B1 true KR101948978B1 (en) 2019-02-15

Family

ID=6109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035A KR101948978B1 (en) 2016-07-12 2016-07-12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97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98B1 (en) * 2021-07-26 2022-01-06 주식회사 아성켐 Organic solvent subdivision transfer device
KR102647761B1 (en) * 2023-04-19 2024-03-14 이도훈 All-in-one hot water system for vehicles
KR102647757B1 (en) * 2023-04-19 2024-03-14 이도훈 All-in-one hot water system for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08B1 (en) * 2008-03-10 2008-07-15 (주)동명산업 Sectional water tank having shock absorber
US20150368039A1 (en) * 2013-03-22 2015-12-24 Brian Lee Cochrum Framed Transport And Distribution Container For Bulk Granular Produc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004A (en) * 1988-12-08 1990-06-15 Maruwa:Kk Shock resistant settling tank
KR20110039722A (en) * 2009-10-12 2011-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xing structure for an independence type storage tank
KR20140009751A (en) * 2012-07-13 2014-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rgo hold for shi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08B1 (en) * 2008-03-10 2008-07-15 (주)동명산업 Sectional water tank having shock absorber
US20150368039A1 (en) * 2013-03-22 2015-12-24 Brian Lee Cochrum Framed Transport And Distribution Container For Bulk Granular Product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98B1 (en) * 2021-07-26 2022-01-06 주식회사 아성켐 Organic solvent subdivision transfer device
KR102647761B1 (en) * 2023-04-19 2024-03-14 이도훈 All-in-one hot water system for vehicles
KR102647757B1 (en) * 2023-04-19 2024-03-14 이도훈 All-in-one hot water system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67A (en)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978B1 (en) Support Structure for Storage Tank
US10082189B2 (en) Vibration-isolating and impact-absorbing case comprising vibration-damping footing
JP6871417B2 (en) Seismic isolation device
JP5654575B2 (en) Energy absorption and transmission materials
JP4455431B2 (en) Vibration absorber
JP2008542148A5 (en)
US8342752B2 (en) Isolation bearing restraint devices
KR101312958B1 (en) Vibration decresing apparatus of heavy object
CN208309655U (en) A kind of damping type building
KR101375336B1 (en) The anti-vibration mount for an earthquake-proof
CN210725649U (en) Balanced damping device of rack
KR102419977B1 (en) Table leg structure
JP6910058B2 (en) Seismic isolation device
JP2000266116A (en) Swinging bearing type base isolation device
JP5988708B2 (en) Anti-vibration mount with anti-rolling mechanism
JP5429669B2 (en) Baseball or softball protector cushioning structure
CN206358519U (en) Iron wire net cage
JP4440746B2 (en) Seismic device for structure
JP6905707B2 (en) palette
JP2007078012A (en) Base isolation device
JP6836752B2 (en) Seismic reduction deck, rack seismic structure and storage load collapse prevention structure
CN212153908U (en) High-strength steel structure support column for factory building
JP6306910B2 (en) Anti-sway structure using anti-sway tool of suspension support device
KR101081439B1 (en) Bearing apparatus for structure
JP2015105704A (en) Vibration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