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766B1 - Cleaning module for filter - Google Patents

Cleaning module for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66B1
KR101948766B1 KR1020170013573A KR20170013573A KR101948766B1 KR 101948766 B1 KR101948766 B1 KR 101948766B1 KR 1020170013573 A KR1020170013573 A KR 1020170013573A KR 20170013573 A KR20170013573 A KR 20170013573A KR 101948766 B1 KR101948766 B1 KR 10194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tating
fluid
connec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9594A (en
Inventor
김민정
최정호
Original Assignee
김민정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최정호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102017001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66B1/en
Publication of KR2018008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46/0071
    • B01D46/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에 의한 공기흐름에 의해 회전하며, 필터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회전부 및 회전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과집진기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기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크리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which is rotated by air flow and includes a rotation part formed with a jet port through which a fluid is jetted by a filter and a fluid supply part supplying fluid to the rotation part, The filter can be cleaned automatically.

Description

필터 크리닝 모듈 및 필터 크리닝 모듈이 구비된 여과집진기{Cleaning module for filter}Filter cleaning module and filter cleaning module [

본 발명은 필터 크리닝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표면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필터;와, 송풍기에 의한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필터 상부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clean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cleaning module that includes a filter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 rotation part that is rotated by air flow by a blower and has a jet port through which a fluid is injected onto the filter, And a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luid to the filter cleaning module.

일반적으로, 여과집진기란,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 물질이나 공장 등의 배출 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배출을 방지하는 대기오염 방지 장치를 의미한다.In general, a filter and dust collector means an air pollution prevention device that filters out or prevents the emission of harmful particles contained in various particulate matter in the air or exhaust gas from factories, etc., which cause air pollution.

이러한 여과집진기의 여과방식에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방식과 유리섬유·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 즉 백필터(bag filter)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includes a surface filtration method in which dus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filter paper such as a thin paper or fiber and a filtration cloth in which a thick layer of filter medium such as glass fiber or cotton fiber is formed into a bag shape or a plate shape, There is an internal filtration method that collects dust in the fiber layer of the bag filter.

한편, 처음에는 여과재의 여과작용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먼지층이 여과재의 구멍을 메워 더욱 촘촘하게 되므로 제거효율이 높아진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is separated only by the filtration action of the filter material at first. However, since the dust layer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over time becomes more compact by filling the hole of the filter material, the removal efficiency becomes high.

보통 먼지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99%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 먼지를 모으는 원리는 충돌, 직접차단, 정전기력에 의한 표면침착, 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In general, when the size of the dust is 1.0 탆 or more, the efficiency is 99% or more. The principle of collecting dust in this device is a combination of collision, direct blocking, surface deposition by electrostatic force, and diffusion.

한편, 종래의 여과집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와 리시버탱크와 다이어프램밸브와 블로어튜브와 셀플레이트와 필터로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ilter dust collector includes a compressor, a receiver tank, a diaphragm valve, a blower tube, a cell plate, and a filter.

이러한 종래의 여과집진기에서 필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축기에서In order to remove th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in such a conventional filter dust collector,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해야 하므로, 진동 및 소음이 크며, 폭발의 위험성이 있었고, 탈진시에 흡입구 방향으로 공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하며, 구조상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습윤조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t is necessary to use compressed air that is generated, so there is a great vibration and noise,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a reverse flow of air in the direction of intake port occurs in case of exhaus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wid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in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또한, 필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과집진기 전체의 작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작업이 실시되어야 한다.Further, in order to remove the dust of the filter, the operation must be carried out with the entire operation of the filter and dust collector stopped.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여과집진기에 의하면, 필터의 먼지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그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ilter dust collector, much time is consumed to remove dust from the filter,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0803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8908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크리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cleaning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집진기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를 크리닝할 수 있는 필터 크리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Which is capable of cleaning the filter cleaning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동력 없이 송풍기의 송풍력으로 작동하는필터 크리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cleaning module that operates with the wind power of the blower without additional p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기가 작동하는 동안 계속 필터를 크리닝할 수있는 필터 크리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cleaning module that is capable of continuously cleaning the filter while the blower is oper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진 제거뿐만 아니라 필터에 대한 화학적 처리도가능한 필터 크리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cleaning module capable of chemical treatment on filters as well as dust remov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크리닝 모듈이 구비되는 여과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and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 filter cleaning modu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은, 상부 표면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필터와, 송풍기에 의한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필터 상부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 injection port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jected on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And a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fluid to the rotation unit.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 직접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unit that rotates directly by the air flow; And a second rotating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rotating part and rotated by a rotating force of the first rotating part.

또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2 회전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상기 분사구를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ota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rotating portion, a jetting portion formed 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forming the jetting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w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rotated by the air flow.

또한, 상기 제2 회전부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제2 연결부, 일측이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rotary par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that is rotatably provided and receives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par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pipe portion for supplying the fluid to one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날개부의 설치각도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part is adjusted by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wing part.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분사부의 단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 부가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 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pipe portion, a body portion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ion fixed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and a coupling member rotatably coupling the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controll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engaging member.

또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필터와 상기 송풍기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 기 파이프부가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lter and the blower, a body portion to which the pipe portion is fixedly couple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body portion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second rotating part is adjus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engaging member.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의 몸체부에는,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 직접 회전하는 날개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dy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lade that rotates directly by the air flow.

또한, 상기 유체는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lu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compressed air.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균일한 각도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의 단부에 각각 상기 제1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부의 날개는 복수 개의 제1 회전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pipe section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at uniform angular intervals, and the first rotation section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pipe sections. The wings of the first rotation section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otation sections So that the unit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 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회전부는 회전 과정에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부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otating part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pipe s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pacing distance from the pipe section so as not to bump against each other during the rotation process.

또한, 상기 필터(F)는, 4개의 사면을 가지는 사각뿔대 형상의 돌출여과부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lter (F)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filtration portion of a quadrangular pyramidal shape having four slopes is formed in a lattice pattern.

또한, 상기 필터(F)는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F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또한, 상기 필터 크리닝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를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 filter and dust collector including the filter cleaning modul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집진기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기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작동함으로써, 송풍기가 작동하는 동안 계속 필터를 크리닝 할 수 있으며, 분진 제거뿐만 아니라 필터에 대한 화학적 처리도 가능한 필터 크리닝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lean the filter while the blower is operating by operating the blower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filter is not interrup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filter cleaning module capable of chemical treatment on a filter as well as removal.

또한, 필터를 세라믹재질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필터 상부에 4개의 사면을 가지는 사각뿔대 형상의 돌출여과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격자패턴을 이룸으로써, 기존의 평면형태의 필터보다 여과면적이 증가하여 여과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is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filtering portions having a shape of quadrangular pyramids having four slopes are formed on the filter to form a lattice pattern, the filtration area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lanar type filter, .

도 1은 종래의 여과집진기의 모습을 보인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전체 모습을 보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구성 중 필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제1 회전부만 회전될 때 분사되는 유체의 분포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제1 회전부만 회전될 때 분사되는 유체의 분포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가 동작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분사되는 유체의 분포를 나타낸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이 적용된 집진기의 모습을 보인 상세도
1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filter and dust collector
FIG.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in a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of a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of fluid ejected when only the first rotating part of the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of a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of fluid ejected when only the first rotating part of the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of the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of a fluid ejected according to rotation of a first rotation part and a second rotation part of a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to which a filte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a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의 구성 중 필터(F)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a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F of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of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는 제1 회전부(110)와 제2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회전부(101)와 유체공급부(130) 및 상부 표면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필터(F)를 포함한다.2 to 4,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unit 101 including a first rotation unit 110 and a second rotation unit 120, 130) and a filter (F) whos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constant pattern.

제1 회전부(110)는 송풍기(W)에서 제공되는 송풍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필터(F)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단부에 형성된다. The first rotary part 11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wind power supplied from the blower W and a jet port through which the fluid is jetted by the filter F is formed at the end.

이러한 제1 회전부(110)는 제1 연결부(111), 분사부(112), 및 날개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이 2개의 제1 회전부(110)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할 파이프부(122)의 개수에 따라 3개 이상의 제1 회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otary part 1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11, a jet part 112 and a wing part 113.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first rotating parts 110 are shown, but three or more first rotating part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ipe parts 122 to be described later.

제1 연결부(111)는 후술하는 제2 회전부(120)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rotation part 120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이프부(12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분사부(112)와 날개부(113)가 제1 연결부에 설치된다.The jet part 112 and the wing part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ave part 122.

이러한 제1 연결부(111)는 고정부(111a), 몸체부(111b), 그리고 연결부재(11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1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111a, a body portion 111b, and a connecting member 111c.

고정부(111a)는 파이프부(122)의 단부에 고정되며, 몸체부(111b)는 연결부 재(111c)에 의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고정부와 몸체부의 내부에는 파이프부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The fixing portion 111a is fixed to an end portion of the pipe portion 122 and the body portion 111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by a connecting member 111c.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transmitted from the pipe portion can pass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fixe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몸체부(111b)에는 후술할 분사부(112)의 단부와 날개부(113)의 단부가 균등한 각도 간격으로 체결된다. The end of the jetting section 112 and the end of the blade section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astened to the body section 111b at equal angular intervals.

특히 몸체부의 내부공간은 분사부(11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제2 회전부로부터의 유체가 고정부(111a)와 몸체부(111b)를 통해 분사 부(112)로 제공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jetting portion 112, so that the fluid from the second rotating portion can be supplied to the jetting portion 112 through the fixing portion 111a and the body portion 111b.

연결부재(111c)는 고정부와 몸체부 사이에 위치하여 몸체부가 고정부에 대해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베어링, 베어링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11c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body portion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and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bearing, a bearing pad, or the like.

이러한 연결부재의 체결력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부에 체결된 몸체부의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By adjust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ody fastened to the fixing portion can be adjusted.

분사부(112)는 상술한 제1 연결부(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연결부(111)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분사구를 형성한다.The jetting section 112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111 and forms an inje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111.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부(112)의 단부는 필터(F) 측을 향하도록 벤딩(Bending)된다. The end of the jetting section 112 where the jetting port is formed is bent to face the filter F side.

이러한 분사구를 통해서 파이프부(122)의 내부와 제1 연결부(111)의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유체가 필터(F) 측으로 분사된다.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 section 122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section 111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to the filter F side.

상술한 유체의 분사에 의해서, 필터(F)에 부착된 분진이 필터(F)로부터 탈락될 수 있고 탈락된 분진이 다시 필터(F)에 부착되지 않도록 필터(F)를 유체이동의 하향방향으로 위치되어 필터(F)가 효과적으로 크리닝 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injection of the fluid, the dust adhered to the filter F can be removed from the filter F and the filter F can be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luid movement so that the removed dust does not adhere to the filter F again So that the filter F can be effectively cleaned.

날개부(113)는 제2 본체부(111b)가 송풍력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제2 본체부에 설치된다. The wing portion 113 is installed o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111b is rotated by the wind power.

이러한 날개부(113)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분사부(112)와 함께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2 본체부(111b)에 설치된다.The wing portions 113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together with the jetting portions 112 and installed i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111b.

이러한 날개부(113)에 의해 송풍기(W)에서 생성되는 송풍력(즉 송풍기에 위해 내부로부터 필터(F)를 통과하여 송풍기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힘)으로 제1 연결부(111)(구체적으로는 제2 본체부)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분사부(112)도 함께 회전되어,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가 분사되는 영역이 증대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is formed by the wing part 113 by the blowing force generated from the blower W (that is, the forc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 from inside the blower to the blower) The second main body) can be rotated, and accordingly, the jetting section 112 is also rotated, so that the area of jetting the fluid jetted through the jetting port can be increased.

한편, 이러한 제1 회전부(110)의 설치각도는 복수 개의 제1 회전부(110)가 동일한 방향 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irst rotation part 110 should be such that the plurality of first rotation parts 110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이러한 날개부(113)의 설치각도에 따라 제1 회전부(110)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연결부재(111c)의 체결력, 즉 베어링의 마찰력, 패드의 두께 및 소재의 종류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rotary part 1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wing part 113 and is adjus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111c, that i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earing, the thickness of the pad, .

상술한 제1 연결부(111)와 분사부(112)와 날개부(113)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110)에 의하면, 유체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l)을 갖는 원형 영역에 분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rotating part 110 including the first connecting part 111, the jetting part 112 and the wing part 113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flows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art 111 Can be injected into a circular area having a constant radius l.

제1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반경은 분사부(112)의 길이(l)에 대응하므로The turning radius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length l of the jetting section 112

분사부의 길이는 후술할 파이프부(122)의 길이보다 작게하여 복수 개의 분사부가 회전 과정에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부의 길이를 필터(F) 직경의 1/4보다 최대 유체의 분사범위(반지름 d의 원형 범위) 내The length of the jetting portion should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pipe portion 122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a plurality of jetting portions do not hit each other in the course of rotation, and the length of the jetting portion is set to be smaller than 1/4 of the diameter of the filter F Within the maximum fluid ejection range (circular range of radius d)

의 길이만큼 작게 형성하여(필터직경*1/4 > l1 >필터직경*1/4-d) 필터(F)의 모든 영역에 유체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lter diameter * 1/4> 11> filter diameter * 1/4-d) so as to be able to jet the fluid to all the regions of the filter F.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회전부(110)가 제2 회전부(12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달리함(S1≠S2)으로써 분사부(112)의 길이를 파이프부(1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더라도 서로 부딪히지 않고 회전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6, a plurality of first rotary parts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otary part 120 (S1? S2) so that the length of the jet part 112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pipe part 112. In other words, Even if the length of the guide part 12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part 122, it can be rotated without colliding with each other.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회전부에 의해 유체 분사 영역이 중첩됨으로써 필터(F)의 중앙 영역에서의 분진 제거 효율이 더 상승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dust removal efficienc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lter F can be further increased by overlapping the fluid injection regions by the plurality of first rotation portions.

다음으로, 제2 회전부(120)는 상술한 제1 회전부(110)가 단부에 회전 가능하Next, the second rotation part 120 is rotatable about the end of the first rotation part 110

게 설치되어 제1 회전부(1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한다.And rotates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rotary part 110. [

이러한 제2 회전부(120)는 제2 연결부(121)를 중심으로 파이프부(122)가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second rotation part 120 is formed by symmetrically coupling the pipe part 122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제2 연결부(121)는 제1 연결부(111)와 동일하게 고정부, 몸체부, 그리고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may include a fixing part, a body part, and a connection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고정부는 송풍기(W)와 필터(F)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며, 몸체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fixing part is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blower (W) and the filter (F), and the body par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fixing part by the connecting member.

고정부와 몸체부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유체공급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pass,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unit and the body.

몸체부에는 후술할 파이프부(122)의 한 쪽 단부가 고정된다. 특히 몸체부의 내부공간은 파이프부(12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유체공급부(130)로부터의 유체가 제2 연결부(121)를 통해 파이프부(122)로 제공될 수 있다.One end of a pipe portion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Particularly,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pipe portion 122, so that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portion 130 can be supplied to the pipe portion 122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1.

또한, 몸체부는 파이프부(122)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된 제1 회전부(110)가회전함에 따라 생성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rotates by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e portion 122.

연결부재는 고정부와 몸체부 사이에 위치하여 몸체부가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베어링, 베어링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body portion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and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bearing, a bearing pad, or the like.

이러한 연결부재의 체결력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부에 체결된 몸체부의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By adjust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ody fastened to the fixing portion can be adjusted.

파이프부(122)는 중공관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2 회전부(12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다. 도 4에는 파이프부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중심부(121)에 대칭적으로 연결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pipe portion 122 is provided with a hollow tube and receives fluid from the second rotating portion 121. In FIG. 4, a pipe portion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121.

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중심부(121)를 중심으로 3개의 파이프부가 120도 각도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거나, 4개의 파이브부가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ree pipe portions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120 degrees at an equal angle around the central portion 121, or four of the five portions may be disposed at an angle of 90 degrees.

상술한 제2 연결부(121)와 파이프부(122)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10)가 제1 연결부(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제2 회전부(121)를 중심으로 파이프부(122)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하는 파이프부(122)의 단부가 형성하는 원궤적을 따라 제1 회전부(110)가 회전될 수 있다.6, when the first rotation part 110 rotates arou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rotation part 120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and the pipe part 122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pipe section 122 causes the pipe section 122 to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section 121 and the first rotation section 110 can be rotated along a circular path defined by the end of the pipe section 122 .

이에 의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범위가 전체 필터(F) 영역으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7,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jection range of the fluid jetted from the jetting section 112 is increased to the entire filter F region.

제2 회전부(120)의 회전속도는 제1 회전부(110)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의 연결부재의 체결력, 즉 베어링의 마찰력, 패드의 두께 및 소재의 종류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otation part 120 can be controlled by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part 110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at i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earing, .

또한, 제2 연결부의 몸체부(121b)에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 (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제2 회전부(120)가 추가 회전력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lad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body portion 121b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 be rotated by a blowing force of the blower, so that the second rotation portion 120 may have an additional rotational force.

유체공급부(130)는 상술한 제2 연결부(121)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2 연결부(121)에 연결된다.The fluid supply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to supply the flui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described above.

여기서, 유체는 압축공기일 수 있다. 따라서 유체공급부에서 제공된 압축공기는 제2 회전부와 제1 회전부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사부(112)를 통해 필터(F)를 향해 분사되며, 필터(F)에 부착된 분진은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F)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Here, the fluid may be compressed air. Accordingly,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is finally injected toward the filter F through the injection unit 112 via the second rotary unit and the first rotary unit, and the dust adhered to the filter F is filtered by the filter F).

상술한 제1 회전부(110)와 제2 회전부(120)와 유체공급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클리닝 장치(100)에 따르면, 여과집진기의 작동 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기(W)가 작동하는 기간 내내 송풍기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필터(F)를 클리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ter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first rotation unit 110, the second rotation unit 120 and the fluid supply unit 130 described above, The filter F can be cleaned with no force using the blowing force of the blower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blower W is operated.

한편, 필터(F)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사면을 가지는 사각뿔대 형상의 돌출여과부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필터(F) 상부의 여과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여과율이 상승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 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iltration portion having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having four slopes is formed in a lattice pattern. As a result, the filtration are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F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iltration rate.

또한, 필터(F)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침전되는 이물질 속의 세균의 번식을 방지해 주고, 항균작용을 통해 여과물의 오염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Further, by forming the filter (F) with a ceram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acteria in the foreign matter to be precipitated, and to reduce the contamination rate of the filtrate through the antibacterial action.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클리닝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클리닝 장치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units of the filt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W)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날개부(113)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날개부(113)가 이동하며, 날개부(113)의 이동에 의해 제1 연결부(111) 및 분사부(112)가 회전된다.6,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air blower W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ing 113, so that the wing 113 moves, and by the movement of the wing 113, The connecting portion 111 and the jetting portion 112 are rotated.

이때, 상술한 제1 회전부(110)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부(122)가 제2 연결 부(12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제1 회전부(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 작하면 그 힘에 의해 제1 회전부가 연결된 파이프부(122)가 제2 연결부(12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반대로 제2 회전부(110)가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그 힘에 의해 제1 회전부가 연결된 파이프부(122)가 제2 연결부(12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서,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가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pipe section 122 is rotated about the second connection section 121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section 110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first rotation part 110 starts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pipe part 122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part starts to rotate clockwise abou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by the force, When the second rotation part 110 starts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ipe part 122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part starts to rotate counterclockwise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 by the force. By this process, the first rotation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120 are rotated.

한편, 유체공급부(130)가 제2 연결부(121)로 유체를 공급하면, 제2 연결 부(121)에서 파이프부(122)로, 다시 파이프부(122)에서 제1 연결부(111), 다시 제1 결부(111)에서 분사부(112)로 유체가 공급되며, 분사부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유체공급부(130)로부터 공급받은 유체가 필터(F) 측으로 분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luid supply unit 130 supplies the flui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1,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1 to the pipe unit 122, again from the pipe unit 122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11,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to the jetting portion 112 and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ing portion 130 is jetted toward the filter F through the jetting port formed at the end of the jetting portion.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궤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필터(F) 전체 영역에 유체가 분사되어 필터(F)에 부착된 분진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The locus of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is as shown in FIG. 7, and the fluid is sprayed to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F, so that the dust or the like attached to the filter F can be effectively removed.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크리닝 모듈(100)의 동작 에 따르면, 여과집진기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기(W)의 송풍력을이용하여 무동력으로 필터(F)를 효과적으로 클리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F can be smoothly driven by the blowing force of the blower W without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It can be effectively cleaned.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크리닝 모듈(100)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 크리닝 모듈(100)는 여과규모, 여과방식, 사용장소 및 목적 등에 따라 여과집진기 내에 다수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10,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may be construct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and the filter cleaning modul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an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ltration scale, the filtration method, It can be used by attaching a large number.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필터 크리닝 모듈
101: 회전부
110: 제1 회전부 111: 제1 연결부
111a: 고정부 111b: 몸체부
111c: 연결부재 112: 분사부
113: 날개부 120: 제2 회전부
121: 제2 연결부 122: 파이프부
130: 유체공급부 W: 송풍기
F : 필터 140: 돌출여과부
100: Filter cleaning module
101:
110: first rotating part 111: first connecting part
111a: Fixing portion 111b: Body portion
111c: connecting member 112:
113: wing portion 120: second rotating portion
121: second connection part 122: pipe part
130: fluid supply unit W: blower
F: filter 140: protruding filtration part

Claims (15)

상부 표면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필터;
송풍기에 의한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필터 상부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 직접 회전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2 회전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상기 분사구를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제2 연결부, 일측이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파이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날개부의 설치각도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A filter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 rotating portion rotatable by an air flow by a blower and having a jet port through which a fluid is injected onto the filter;
And a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fluid to the rotation unit,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first rotating unit that rotates directly by the air flow; And a second rotating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rotating part and rotated by a rotating force of the first rotating part,
The first rotating part
A first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rotating portion, a jetting portion formed 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o form the jetting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w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rotated by the wing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art which is rotatably provided to receive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t one side and the fluid connection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 / RTI >
Wherein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part is adjusted by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w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분사부의 단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 부가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 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art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pipe portion, a body portion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ion fixedly coupled with an end portion of the wing portion, and a coupling member rotatably coupling the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rotating speed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adjus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upling member.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필터와 상기 송풍기 사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 기 파이프부가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second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ilter and the blower, a body part to which the pipe part is fixedly coupled, and a coupling memb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body part to the fixing part,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otation part is adjus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upling member.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몸체부에는,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 직접 회전하는 날개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dy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lade that rotates directly by the air flow.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comprises compressed air.
삭제delet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균일한 각도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의 단부에 각각 상기 제1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부의 날개는 복수 개의 제1 회전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ipe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at uniform angular intervals,
Wherein the first rotating portion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pipe portions, and the vanes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re installed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rotating portions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부 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회전부는 회전 과정에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부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rotating part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pipes hav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pipe part so as not to bump against each other during the rotation process.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는,
4개의 사면을 가지는 사각뿔대 형상의 돌출여과부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F)
Characterized in that the quadrangular pyramid-shaped protruding filtration portion having four slopes is formed in a lattice pattern.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는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크리닝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F)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청구항 제1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필터 크리닝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A filter cleaner comprising the filter cleaning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 6, 7, 8, 9, 11, 12, 13 and 14.



















KR1020170013573A 2017-01-31 2017-01-31 Cleaning module for filter KR101948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73A KR101948766B1 (en) 2017-01-31 2017-01-31 Cleaning module for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73A KR101948766B1 (en) 2017-01-31 2017-01-31 Cleaning module for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594A KR20180089594A (en) 2018-08-09
KR101948766B1 true KR101948766B1 (en) 2019-02-20

Family

ID=6325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573A KR101948766B1 (en) 2017-01-31 2017-01-31 Cleaning module for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66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233A (en) * 1994-08-26 1996-03-05 Nec Corp Refuse removing mechanism of air filter
KR100890803B1 (en) 2002-10-18 2009-03-30 주식회사 포스코 Rotating type bag filter device of dust collecting equipment
KR20100024775A (en) * 2008-08-26 2010-03-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1031830B1 (en) * 2009-04-14 2011-05-02 김희순 Apparatus for cleaning a filter of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594A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526B2 (en) Filter dust collector
US7850750B2 (en) Modularized hybrid dust collector
US20210402337A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091631B1 (en) System configuration of pulsed cleaned panel-style filter elements and methods
AU5097990A (en) Cyclonic separator for removing and recovering airborne particles
US10464004B2 (en) Bag filter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accumulation
KR101948766B1 (en) Cleaning module for filter
KR20090102975A (en) Circular type Air Injection Nozzles having Two Circular Slits and Filter Cleaning System using Them
KR20120119638A (en) Cleaning apparatus of bag filter unit
CN110062667B (en) Contact type brush cleaner
KR101777960B1 (en) Cleaning apparatus for filter
KR20180039985A (en) Anti-accumulation bagfilter dust collector
KR101639010B1 (en) Dust Collector Apparatus
KR101439575B1 (en) Nozzle, dry cleaner, dry cleaner system
JP2009214063A (en) Filter cartridge for pulse-jet type dust collector
KR20170003509U (en) Filter module for dust collector using pyro screen and device for dust collecting using the same
KR102042851B1 (en) Dust Collector
JP4953535B2 (en) Filter cleaning apparatus and granul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1031830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filter of dust collector
KR20190140816A (en) A blow pipe and dust collector
KR200492247Y1 (en) Wet type scrubbers
JPH10230122A (en) Removal device for impurity
CN115779591A (en) Dust collector with excellent long-distanc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RU2090690C1 (en) Working member of head surface cleaning device
SU1558484A1 (en) Electric precip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