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811B1 -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811B1
KR101947811B1 KR1020120128823A KR20120128823A KR101947811B1 KR 101947811 B1 KR101947811 B1 KR 101947811B1 KR 1020120128823 A KR1020120128823 A KR 1020120128823A KR 20120128823 A KR20120128823 A KR 20120128823A KR 101947811 B1 KR101947811 B1 KR 10194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bstrate
foldable substrate
present
shap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303A (ko
Inventor
유경열
김진욱
김병걸
김성우
전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8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2Shape memo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 및 상기 형상기억고분자 100wt%에 대해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FOLDERBLE SUBSTRAT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OLDERBLE SUBSTRAT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접힘과 펼침에 의한 피로 강도에 따른 균열 또는 주름 발생을 제거하여 표시장치의 밝기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평면형 표시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무거운 유리기판을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특히 노트북, PDA,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기재로 사용하고 있는 유리기판은 무겁고 잘 깨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무기질 기판을 가볍고 연속공정(roll-to-roll process)이 가능하며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기판(flexible plastic display substrate)으로 대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기판의 소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폴리에테르슐폰(Polyethersulfone: PES), 시클릭올레핀 공중합체(Cyclicolefin copolymer: COC)등이 일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기판으로 유리기판을 대체하려면 투명성, 기체 차단성, 내 화학성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조건인 고온 증착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150℃ 에서 250℃까지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 또한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물성을 만족하는 우수한 성능의 고분자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접힘과 펼침에 의한 피로 강도에 따른 균열 또는 주름 발생을 제거하여 표시장치의 밝기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 및 상기 형상기억고분자 100wt%에 대해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무기물은 니켈, 실리콘, 산화철, 전도성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 무기물은 표면을 개질하여 활성화 그룹이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 및 상기 형상기억고분자 100wt%에 대해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혼합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을 몰드에 채우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무기물은 산처리를 통해 표면을 개질하여 활성화 그룹이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인캡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과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 폴더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폴더블 기판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 및 상기 형상기억고분자 100wt%에 대해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로 제조된 폴더블 기판은 반복적인 굽힘과 펼침에 따른 손상이 없이 원상 회복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접합부 또는 연결부에서의 크랙이나 손상에 의한 밝기 감소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형상기억수지의 온도에 따른 손실탄성률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폴더블 기판의 저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폴더블 기판의 열흐름 거동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은 형상기억고분자로 탄성체의 망상 구조와 비슷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고정(단단한)상과 가역(부드러운)상과 같은 다양한 상들이 함께 존재하는 형태에 기인한다. 고정상은 열적으로 안정된 가교점과 같은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가교점'이란 재료의 최소한 어느 한 부분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는 크리스탈, 유리질 상 또는 엉켜있는 고분자 사슬이 될 수 있다. 반면 가역상은 형상기억고분자의 주된 부분이며 변형이나 회복에 있어서 탄성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일정 온도 이상에서 가역상은 '유체'의 형태가 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이는 반대로 말해,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가역상이 유리질 또는 크리스탈 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정 온도는 일반적으로 유발온도(triggered temperature)라고 부르며 유리 전이온도(Tg) 또는 용융점(Tm)이 이에 해당한다. 유발 온도 이상에서 잡아당기는 것과 같이 형상기억고분자에 변형이 가해지게 되면 시편의 고분자 사슬은 정렬을 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구조적인 엔트로피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엔트로피적으로 불안정한 또는 선호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미세한 회복 성능을 제외하고 변형이 가해진 상태에서 유발 온도로 급격히 냉각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먼저, 전이온도(T trans)보다 높은 상태의 온도(Td)에 있어 탄성을 가진 고무 성질을 나타내는 형상기억고분자 재료에 특정 변형을 가하여 변화를 준다. 이 때 고분자 사슬들은 변형에 맞추어 정렬을 이루게 된다. 변형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며 재료가 딱딱해질 수 있는 전이 온도 이하(Tf < Ttrans)로 냉각을 하게 되면 고분자를 구성하는 사슬은 움직일 수 없게 되고 잠재적 변형 에너지의 형태로 변화되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전이온도에서 주어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약간의 일시적인 회복이 일어나게 된다. 형상 회복은 일반적으로 온도를 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어떠한 외부의 힘 없이도 일어나게 되는데 저장되어 있던 변형 에너지가 고분자 사슬이 다시 움직일 수 있게 됨으로써 방출 되게 된다 변형을 회복하는 기본적인 힘은 고분자의 탄성으로부터 오는 엔트로피의 변화에서 기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형상기억고분자 수지와 일정한 전기 전도율을 가진 재료와 조합함으로써,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N-페닐 말레이미드(N-Phenyl maleimide)는 내열성 유기 단량체로 특정 분자 구조에 사용되면 거대 분자의 내부 회전 저항성을 증가시켜 재료의 열안정성을 높이는데 사용하거나 고분자간 상용성 및 충격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PS(Polystyrene), PMMA(Polymethylmetacrylat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chloride) 등에 도입되면 내열성 첨가제 또는 가교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중 축합 반응에 대한 사슬연장 억제제 또는 특수 형 고분자와 폴리이미드 수지의 첨가제로의 기능도 한다.
본 발명에서 N-페닐 말레이미드는 전술한 형상기억고분자의 고정(단단한)상의 역할을 하며, 형상기억고분자에 대해 70 내지 90wt%로 포함된다. N-페닐 말레이미드는 분자량이 173.17이고, 끓는점이 162~163℃이며, 녹는점이 86~90℃이고 C10H7NO2의 분자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2093619498-pat00001
<N-페닐 말레이미드>
상기 비스말레이미드(Bismaleimide)는 250℃까지의 고온 응용에 사용되며 고무에 연결된 말레이미드 분자는 타이어 같은 고무의 유연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비스말레이미드의 이중 결합은 고분자 형성 시 매트릭스(Matrix) 내에서 쉽게 히드록시(Hydroxy), 아민(Amine), 티올(Thiol)과 반응하여 각각 안정적으로 C-C, C-N 또는 C-S 결합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비스말레이미드는 전술한 형상기억고분자의 가역(부드러운)상의 역할로 내열성과 경도를 향상시키며, 형상기억고분자에 대해 1 내지 5wt%로 포함된다. 비스말레이미드는 분자량이 358.35이고, 끓는점이 156~158℃이며, 녹는점이 86~90도이고 C21H4N2O4의 분자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2093619498-pat00002
<비스말레이미드>
상기 스타이렌(Styrene)은 단량체로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코폴리머(Copolymer) 제조 시 주로 사용하며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있고, 열, 빛, 과산화물 촉매에 의해 서서히 중합이 진행되는 물질이다. 중합이 진행된 경우 17%정도의 체적 수축과 17.8 Kcal/mole 정도의 열이 발생하고, 부타디엔(Butadiene)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과의 공중합체는 합성고무와 플라스틱의 강인성이 조합된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스타이렌은 형상기억고분자의 Tg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형상기억고분자에 대해 10 내지 20wt%로 포함된다. 스타이렌은 분자량이 104.15이고, 끓는점이 145℃이며, 녹는점이 -30도이고 C8H8의 분자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2093619498-pat00003
<스타이렌>
상기 디쿠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는 탄성체에 대한 고무화제, 폴리올레핀(Polyolefin)에 대한 가교제, 폴리에스테르(Polyester)에 대한 중합 개시제,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조합할 때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같은 알케닐 아로마틱(Akenyl aromatic) 수지에 대한 방염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경화온도가 150 ℃정도인 중간 온도 유기 퍼옥사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디쿠밀 퍼옥사이드는 중합 개시제로 사용되며, 형상기억고분자에 대해 1 내지 5wt%로 사용된다. 디쿠밀 퍼옥사이드는 분자량이 270.37이고, 끓는점이 130℃이며, 녹는점이 39~41도이고 [C6H5C(CH3)2O]2의 분자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2093619498-pat00004
<디쿠밀 퍼옥사이드>
한편,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은 형상기억고분자에 더하여 전체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100wt%에 대해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무기물은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전도성 재료들로 예를 들어, 니켈(Ni), 실리콘 카바이드(SiC), 산화철(Fe3O4),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도성 재료들 중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다. 전도성 무기물은 상기 스티렌계 형상기억고분자와 혼합 시 상용성 부여를 위해 표면을 개질하여 활성화 그룹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와,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을 이용한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교반기와 온도계가 구비된 합성장치에 본 발명의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90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넣고 질소(N2)를 주입하여 교반을 시작한다. 약 110℃에서 24시간 동안 라디칼 중합(radical polymerization) 반응으로 액상 전구체(precursor)의 형상기억고분자를 제조한다.
다음, 전도성 무기물, 예를 들어, 조성물 내에서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COOH 그룹의 작용기를 도입하는 산처리 방법을 수행한다. 산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황산 60%(H2SO4)과 질산 60%(HNO3)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한 수용액을 제조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중성화될 때까지 세척과 여과 반복한 후, 저온 냉동고(-84℃)에서 6시간 동안 보관하고, 4일간 동결건조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전술한 산처리 방법으로 표면에 -COOH 작용기가 도입된 탄소나노튜브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기(IKA Ultra- Turrax T-25 Digital)에서 혼합하여 분산시킨다. 이때, 혼합은 회전속도 약 8,600rpm에서 30분간 실시하여,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을 기판의 형상이 구비된 몰드(mold)에 채운 후, 약 200℃에서 4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경화된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을 몰드로부터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폴더블 기판을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수지와 전도성 무기물을 혼합하여 폴더블 기판을 제조한다. 이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로 제조된 폴더블 기판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기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OLED)을 표시장치의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표시패널(LCD), 전계방출표시패널,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 등의 패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기판(110)을 포함한다. 폴더블 기판(110)은 전술한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로 제조된 기판이다. 폴더블 기판(110) 상에 기재 필름(12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115)가 형성되어, 폴더블 기판(110)과 기재 필름(120)을 접착한다. 기재 필름(120)은 폴리이미드(PI) 등의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진다.
기재 필름(120) 상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층(130R, 130G, 130B)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다. 제1 전극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의 애노드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의 캐소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130R), 녹색 발광층(130G) 및 청색 발광층(130B)을 포함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으로 풀컬러를 구현한다. 기재 필름(120)에 형성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밀봉하기 위한 인캡 필름(140)이 위치하고, 인캡 필름(140) 상에 보호 필름(150)이 위치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기재 필름(120) 상에 복수의 발광층(130R, 130G, 130B)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형성하고,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상에 보호 필름(150)과 일체로 이루어진 인캡 필름(140)을 부착하여 밀봉한다. 그리고, 폴더블 기판(110)에 접착제(115)를 도포하고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 기재 필름(120)과 부착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인가에 따른 발열 또는 표시장치의 구동시 발열온도에 감응하여, 굽힘과 펼침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로 작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로 제조된 폴더블 기판은 반복적인 굽힘과 펼침에 따른 손상이 없이 원상 회복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접합부 또는 연결부에서의 크랙이나 손상에 의한 밝기 감소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2개로 분리된 유기전계발광패널이 펼침에 따라 1개의 패널로 보여질 수 있는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그 설명을 간략히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폴더블 기판(210) 상에 접착제(215)가 형성되어, 폴더블 기판(210)과 기재 필름(220)을 접착한다. 이때, 기재 필름(220)은 2매로 분리되어 있어 각각의 기재 필름(220)에 제1 전극, 제2 전극 및 복수의 발광층(230R, 230G, 230B)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기재 필름(220)에 형성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밀봉하기 위한 인캡 필름(240)과 보호 필름(250)이 위치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20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인가에 따른 발열 또는 표시장치의 구동시 발열온도에 감응하여, 굽힘과 펼침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로 작동한다. 특히, 도 4에서는 서로 분리된 2개의 패널(L panel, R panel)이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폴더블 기판(210)이 펼쳐져 있을 때에는 2개의 패널(L panel, R panel)이 서로 붙어있어 하나의 패널로 보이도록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표시장치는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로 제조된 폴더블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반복적인 굽힘과 펼침에 따른 손상이 없이 원상 회복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접합부 또는 연결부에서의 크랙이나 손상에 의한 밝기 감소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에 관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N-페닐 말레이미드 90wt%, 비스말레이미드 5wt%, 디쿠밀 퍼옥사이드 5wt%를 혼합하여 형상기억수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N-페닐 말레이미드 70wt%, 비스말레이미드 5wt%, 스타이렌 20wt%, 디쿠밀 퍼옥사이드 5wt%를 혼합하여 형상기억수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N-페닐 말레이미드 85wt%, 비스말레이미드 10wt%, 디쿠밀 퍼옥사이드 5wt%를 혼합하여 형상기억수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4
N-페닐 말레이미드 80wt%, 비스말레이미드 5wt%, 스타이렌 10wt%, 디쿠밀 퍼옥사이드 5wt%를 혼합하여 형상기억수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5
N-페닐 말레이미드 75wt%, 비스말레이미드 5wt%, 스타이렌 15wt%, 디쿠밀 퍼옥사이드 5wt%를 혼합하여 형상기억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형상기억수지의 온도에 따른 손실탄성률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냈었다. 그리고, 일예로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형상기억수지의 최종 생성물의 화학구조식을 하기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3619498-pat00005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실험예 2에 따라 제조된 형상기억수지는 Tg가 236℃이고 손실탄성률이 약 150 정도로 나타나 손실탄성률이 가장 낮으면서 Tg도 높게 나타났다.
전술한 실험예 2의 형상기억수지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한 후 몰드에 주입하고 경화시켜 최종 폴더블 기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0.5wt%에서 2wt%로 달리하여 각각 폴더블 기판을 제조한 후, 폴더블 기판의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여 도 7에 나타내었고, 열흐름 거동을 측정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0.5wt%일 때에는 저항이 2.0×106으로 나타났으나,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늘수록 저항이 감소하다가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1.0wt%일 때부터는 더 이상 저항 값이 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0.5 wt%에서 2.0wt%로 늘수록 열 흐름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로 제조된 폴더블 기판은 손실탄성률이 낮고 저항과 열 흐름이 형상기억소재로 이상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폴더블 기판은 반복적인 굽힘과 펼침에 따른 손상이 없이 원상 회복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기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접합부 또는 연결부에서의 크랙이나 손상에 의한 밝기 감소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표시장치 110 : 폴더블 기판
115 : 접착제 120 : 기재 필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폴더블 기판; 및
    상기 폴더블 기판 상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며, 서로 분리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널은 각각,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는 인캡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폴더블 기판은 N-페닐 말레이미드 70 내지 88wt%, 비스말레이미드 1 내지 5wt%, 스타이렌 10 내지 20wt%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형상기억고분자, 및 상기 형상기억고분자 100wt%에 대해 전도성 무기물 1 내지 5wt%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의 기재 필름에 각각 대응하는 표시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은 상기 폴더블 기판이 펼쳐지면 마주보는 측면이 서로 붙는 표시장치.
KR1020120128823A 2012-11-14 2012-11-14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4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23A KR101947811B1 (ko) 2012-11-14 2012-11-14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23A KR101947811B1 (ko) 2012-11-14 2012-11-14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03A KR20140062303A (ko) 2014-05-23
KR101947811B1 true KR101947811B1 (ko) 2019-02-13

Family

ID=5089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823A KR101947811B1 (ko) 2012-11-14 2012-11-14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716A (ko) 2019-09-20 2021-03-31 희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4720A (ko) 2019-09-20 2021-03-3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지지체
KR20210036164A (ko) * 2019-09-25 2021-04-02 울산과학기술원 빛을 이용한 형상기억 접착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2722B2 (ja) * 2015-12-25 2020-08-19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471936B1 (ko) * 2015-12-31 2022-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6850541B2 (ja) * 2016-03-03 2021-03-31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443A (ja) * 1999-02-04 2000-08-15 Sekisui Chem Co Ltd 導電性繊維強化形状記憶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443A (ja) * 1999-02-04 2000-08-15 Sekisui Chem Co Ltd 導電性繊維強化形状記憶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716A (ko) 2019-09-20 2021-03-31 희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4720A (ko) 2019-09-20 2021-03-3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지지체
KR20210036164A (ko) * 2019-09-25 2021-04-02 울산과학기술원 빛을 이용한 형상기억 접착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0432B1 (ko) 2019-09-25 2021-05-11 울산과학기술원 빛을 이용한 형상기억 접착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03A (ko)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811B1 (ko)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폴더블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Son et al. Exploiting π–π stacking for stretchable semiconducting polymers
He et al. Super tough and spontaneous water‐assisted autonomous self‐healing elastomer for underwater wearable electronics
Huang et al. Bioinspired engineering of sacrificial bonds into rubber networks towards high-performance and functional elastomers
Shanks et al. General purpose elastomers: structure, chemistry, physics and performance
JP5613691B2 (ja)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板用フェノ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プラスチック基板素材
Khalifeh Polymers in Organic Electronics: Polymer Selection for Electronic, Mechatronic, and Optoelectronic Systems
Yang et al. Spontaneously healable thermoplastic elastomers achieved through one-pot living ring-opening metathesis copolymerization of well-designed bulky monomers
Yan et al. Self-healing polysiloxane elastomer based on integration of covalent and reversible networks
KR101481263B1 (ko) 강인화 에폭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강인화 에폭시 수지
Au-Duong et al. Synthetic concept of intrinsically elastic luminescent polyfluorene-based copolymers via RAFT polymerization
Wei et al. Fabrication of carboxyl nitrile butadiene rubber 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thermal conductivity using Al2O3@ PCPA@ GO hybrids
CN103122143A (zh) 尼龙聚合物复合材料
KR102196530B1 (ko) 전도성 입자 또는 강화 필러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기기의 제조방법
Wang et al. Hydrogen bonding-derived healable polyacrylate elastomers via on-demand co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 and tert-butyl acrylate
Peng et al. High-performance self-healing polymers
Huang et al. Facile strategy for the biomimetic heterogeneous design of elastomers with mechanical robustness, malleability, and functionality
Wang et al. Near-Amorphous Conjugated Polymers: An Emerging Class of Semiconductors for Flexible Electronics
Liu et al. Healable, recyclable and mechanically robust elastomers with multiple dynamic cross-linking bonds
Huang et al. Boron nitride and hyperbranched polyamide assembled recyclable polyisoprene vitrimer with robust mechanical properties,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remoldability
Prathumrat et al. Shape memory elastomers: A review of synthesis, design, advanced manufacturing, and emerging applications
Wang et al. Combining multiple hydrogen bonds and boronic ester chemistry towards mechanically robust and creep resisting elastomer vitrimer
Gu et al. Highly thermally conductive, electrically insulated and flexible cellulose nanofiber-based composite films achieved via stereocomplex crystallites cross-linked graphene nanoplatelets
Zhu et al. Upgrade SBS into vitrimers with excellent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Lv et al. Robust, healable and hydrophobically recoverable polydimethylsiloxane based supramolecular material with dual-activate hard se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