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677B1 -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 Google Patents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677B1
KR101947677B1 KR1020170064995A KR20170064995A KR101947677B1 KR 101947677 B1 KR101947677 B1 KR 101947677B1 KR 1020170064995 A KR1020170064995 A KR 1020170064995A KR 20170064995 A KR20170064995 A KR 20170064995A KR 101947677 B1 KR101947677 B1 KR 10194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lamp
primer set
erwinia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9253A (en
Inventor
차재순
신두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677B1/en
Publication of KR2018012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1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용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LAMP용 프라이머 세트는 과수 화상병의 병원균인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특이성이 우수하고, 고가의 장비없이 현장에서 직접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진단 과정을 통해 과수 화상병의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and a method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using the primer set, wherein the primer set for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mer set for Erwinia amylobora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Erwinia amylobora directly from the field without expensive equipments,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vention of fruit burn disease through a simple diagnosis process.

Description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용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primer set for detection of Erwinia amylolbora,

본 발명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용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primer set for detection of Erwinia amilobora and uses thereof.

과수 화상병(fire blight)은 배, 사과 같은 인과류 과수에서 생기는 치명적인 병해로 식물병원세균에 의한 병이다. 이 화상병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병원균이 그 원인으로 밝혀져 있으며, 마치 화상을 입은 것처럼 배, 사과나무의 꽃, 가지, 열매 등을 까맣게 고사시킨다고해서 국내에서는 화상병으로 불린다. 미국과 캐나다 등 이미 54개국에서 발병한 것으로 알려진 과수 화상병은 우리나라 식물방역법상 최상위로 분류되는 수입금지병이다.Fire blight is a fatal disease caused by bacteria in plants such as pears and apples. It is known that Erwinia amylovora pathogen is the cause of this burning disease, and it is called a burn sickness in Korea because it is said that the fire, the flower of the apple tree, the branch and the fruit are blackened as if it was burned. Fruit-borne illnesses, which are already known to occur in 54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re the top-ranked insolvency recipients of the Korean Phytosanitary Act.

과수 화상병은 주로 식물의 새순에서 발생하지만 잎, 가지, 줄기, 꽃 및 열매에서도 발생한다. 꽃에서는 주로 암술머리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꽃잎까지 파급되며, 물에 데친 것처럼 수침상이 되었다가 쭈그러든 후, 흑갈색으로 변해 떨어지거나 흑갈색의 어린 열매로 나무에 매달려있게 된다. 열매에서는 뜨거운 물에 데인 것 같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흑색으로 변한다. 잎에서는 잎자루와 만나는 곳에서 검은색의 병반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엽맥을 따라 흘러내리듯이 발달하여 결국에는 잎이 검게 변해 말라 죽게 된다. 병의 증상은 꽃이 달린 가지로 진전되거나 인접한 가지로 진전되어 잎맥을 따라 흑갈색의 병반이 생기고, 증상이 심할 경우 줄기를 따라 세균 분출액이 나와 공기와 접촉하면 갈색으로 변하게 된다. 병이 진전됨에 따라 병든 잎은 말리고 쭈그러들게 되는데, 보통은 가지에 매달려 있게 되고, 병이 걸린 잔가지의 끝부분은 구부러지는 증상을 보인다. 병든 가지의 수피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졌다가 후에 위축되면서 단단해지게 되고, 줄기에 궤양증상이 보이는 가지의 수피는 물에 데친 것같은 수침상 병반을 나타내며, 짙은 색으로 함몰된 채 마르게 된다. Fruit burns occur mainly in plants, but also in leaves, branches, stems, flowers and fruits. It begins to occur mainly in the stigma of a flower and spreads to a petal. It becomes a needle-like shape as if it is poached in water and then it is shrunk and turns into a dark brown color or it hangs on a tree with a blackish brown little fruit. In fruit, spots appear like hot water and gradually turn black. In the leaves, black lesions begin to appear at the point where they meet with petiole, and develop like falling down along the veins, eventually the leaves turn black and die. Symptoms of the disease develop into flower-like branches or develop into adjacent branches, resulting in black-brown lesions along the veins. When the symptoms are severe, bacterial effusions come out along the stem and become brown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air. As the disease progresses, the diseased leaf dries and shrinks, usually hanging on the branches, and the tip of the diseased twigs showing signs of bending. The bark of the diseased branch is turned dark brown, then contracted after being shrunk, and the bark of the branch showing the ulcer symptoms on the stem represents a water-borne lesion on the stalk, and darkened with dark color.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수입이 늘어난 외국산 농산물에 병원균이 묻어 국내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과수 화상병은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피목 또는 기공 등을 통해 전염될 수 있고, 과수의 꽃이 피는 시기(개화기)에 새나 진드기, 벌, 나비 등의 곤충과 비바람을 타고 전염될 수 있으며, 진딧물, 매미충류, 혹 파릴, 노린재류 등의 흡즙해충 또는 바람에 의한 마찰 및 모래, 우박 등에 의한 상처를 통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ruit bottle bottle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to be infected with pathogens in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that have increased imports since the conclusion of a free trade agreement (FTA), are likely to be transmitted through lumps or pores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It can be transmitted by insects such as birds, mites, bees, and butterflies in the flowering season (flowering period), and it can be spread by wind and rain. It can be transmitted by insect pests such as aphids, lepidoptera, lepidoptera, It is known to spread through wounds.

과수 화상병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발생된 나무를 중심으로 반경 100m 이내는 발생구역, 반경 2km 이내를 방제구역, 반경 5km 이내를 관리구역으로 정해 방제한다. 관리 구역의 병 확산을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병 발생상황을 예찰하고, 벌을 포함한 화분매개곤충 방사를 중단시켜야 한다.In the event of a fruit burning sickness, the occurrence area within a radius of 100m, the control area within a radius of 2km, the control area within a radius of 5km shall be controlled.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disease in the controlled area, periodic disease outbreaks should be monitored and radiation of pollen-borne insects including bees should be stopped.

강한 전염성을 갖고 있는 화상병은 한번 번지면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감염 확진 판정을 받으면 반경 100m 이내의 과수는 뿌리채 뽑아 땅에 묻어야 한다. 또한, 한번 화상병에 걸린 과원은 향후 5년간 과수나무를 재배할 수 없다. 현재까지 뚜렷한 예방법이 없기 때문에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도 치료제가 없어 과수원을 폐원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Once you have a strong infectious disease, you do not have any remedy, so if you are diagnosed as having an infection, your fruit should be picked up and buried in the soil within a radius of 100m. In addition, once a sickle sickle can not grow fruit trees for the next five years. Until now, there is no clear preventive method, so there is no treatment in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과수 화상병은 빠른 진단을 통한 적극적인 대처가 병 확산을 막는데 중요하지만, 일반적으로 과수 화상병의 진단은 먼저 나무에 나타난 증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실험실에서 정밀 검사를 통해 확진되기 때문에, 과수 화상병의 현장에서 병든 시료에 대한 즉석 검사를 시행하여 빠른 시간 내에 과수 화상병을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Fruit burns are important to prevent disease spreading through rapid diagnosis. However, in general, the diagnosis of fruit sickness is first confirmed by visual observation of the symptoms on the tree and then confirmed by close inspection in the laboratory. It is difficult to diagnose fruit sickness in a short time by carrying out instant inspection of diseased samples at the field of disease.

최근에는 PCR 기반의 진단방법보다 진일보한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고리매개 등온증폭) 반응이 개발되었다. LAMP 반응은 기존 PCR에서 증폭반응이 변성(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및 신장(extension)의 3단계로 이루어지던 것과는 다르게, 온도변화 없이 일정한 온도에서 어닐링 및 신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1시간 이내로 짧고, 온도 변화에 따른 DNA 손실 및 손상이 없으며, 일정온도만 유지하면 되기 때문에 고가의 장비 필요없이 간단한 항온기만으로 실험이 가능하여 현장 활용성이 높다. 또한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 서열의 6개 부위를 인지하는 특이적인 4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표적 유전자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다.More recentl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has been developed over PCR-based diagnostic methods. LAMP reaction can be annealed and stretched at a constant temperature without changing the temperature, unlike the case where the ampl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in three steps of denaturation, annealing and extension in the conventional PCR, so that the reaction time is 1 hour , And there is no DNA damage or damage due to temperature change. Sinc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nly a certai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perform experiments using only a simple thermostat without requiring expensive equipment, so that the application is high in the field. In addition, since four specific primers are used to recognize six regions of the gene sequence to be amplified, the specificity of the target gene is very high.

현재 국내에서는 과수 화상병과 증상이 매우 유사한 과수 가지검은마름병(black shoot blight)에 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지만, 과수 화상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과수 화상병의 병원균인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우수한 LAMP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신속정확하게 과수 화상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In Korea, there are many studies on black shoot blight,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of fruit sickness,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fruit sicknes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method for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ing fruit sickness on the spot by using a LAMP primer set having excellent specificity to Erwinia amylobora, a pathogenic bacterium of fruit sickness.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572143호에는 '나무 조각으로부터의 소나무 재선충의 DNA 추출 방법, 소나무 재선충의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나무 조각으로부터의 소나무 재선충 검출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7-0030190호에는 'LAMP를 이용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검출용 프라이머 및 그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용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Korean Patent No. 1572143 discloses a DNA extraction method of pine tree reed from a piece of wood, a LAMP primer set of pine tree creeper and a method for detecting pine tree reed from a piece of wood,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30190 Discloses a primer for detec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using LAMP and a use thereof. However, the LAMP primer set for detection of Erwinia amilobor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use are not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LAMP 반응을 사용하여 과수 화상병을 유발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를 개발하였고,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E. pyrifoliae) 및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시린개(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를 대상으로 LAMP 반응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LAMP 프라이머 세트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만을 특이적으로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that causes a fruit-burning disease using LAMP reaction, See, E. pyrifoliae and Pseudomonas silvin pv. As a result of performing LAMP reaction on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 it was confirmed that the LAMP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nd precisely detects only Erwinia amyloborans,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검출용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ligonucleotide primers of SEQ ID NO: 1;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2;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3; And a set of LAMP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rimers for detection of Erwinia amylovora comprising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comprising the LAMP primer set and a reagent for carrying out an amplification rea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AMP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using the LAMP primer set.

본 발명에 따른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를 검출용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 방법은 등온 조건에서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반응시간이 짧고, 온도변화에 따른 DNA 손상 및 손실이 적어 증폭 효율이 우수하며,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항온기에서 반응 및 검출이 가능하여 질병이 발생한 현장에서 신속 정확하게 과수 화상병을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과수 화상병과 유사한 과수 가지마름 및 가지검은마름병의 병원균인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시린개(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및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Erwinia pyrifoliae)에는 반응하지 않는 특이성 및 민감도가 우수한 프라이머 세트로,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을 통한 과수 화상병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rwinia amylobora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amplify a gene under isothermal conditions, so that the reaction time is relatively short, and DNA damage and loss The amplification efficiency is excellent and reaction and detection can be performed in a thermostat in which a constant temperature is maintai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fruit sickness bottle quickly and accurately at the site where the disease occurs. In addition, 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seudomonas silvin pv. It is a primer set with excellent specificity and sensitivity that does not react to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and Erwinia pyrifoliae . It is a useful primer set which is useful for the diagnosis of fruit sickness disease through detection of Erwinia amylobora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LAMP 반응을 위한 서열번호 1 내지 5의 프라이머 위치 및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AMP용 Ea-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약어 Ea),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E. pyrifoliae, 약어 Ep) 및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시린개(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약어 Pss)의 여러 균주를 대상으로 LAMP 반응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3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LAMP용 Buhlmann-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a),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Ep) 및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시린개(Pss)의 여러 균주를 대상으로 LAMP 반응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4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LAMP용 CN-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a),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Ep) 및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시린개(Pss)의 여러 균주를 대상으로 LAMP 반응을 수행한 결과로, (A)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B)는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 시린개, (C) 및 (D)는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에 대한 결과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primer positions and base sequences of SEQ ID NOS: 1 to 5 for LAMP reac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Erwinia amylovora (abbreviation Ea), E. pyrifoliae (abbreviation Ep) and Pseudomonas syllin pv. The results of LAMP reaction on several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abbreviation Pss).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 of Erwinia amylobora (Ea), Erwinia pyrioperias (Ep) and Pseudomonas sylivia pv. The results of the LAMP reaction on various strains of Pseudomonas spp.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Erwinia amilobora (Ea), Erwinia piri polyA (Ep) and Pseudomonas syllin pv. As a result of LAMP reaction on several strains of Pseudomonas spp . , (A), Pseudomonas sp . (C) and (D) are the results for Erwinia polypolye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검출용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ligonucleotide primers of SEQ ID NO: 1;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2;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3; And a set of LAMP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rimers for detection of Erwinia amylovora comprising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4.

본 명세서에서, 용어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등온증폭법)'는 기존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법과 달리 등온의 조건에서 증폭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LAMP 반응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4종의 프라이머(F3, B3, FIP, BIP)가 필요하고,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2종의 프라이머를 추가하여 최종 6종의 각기 다른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가 반응에 필요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is a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amplification reaction under an isothermal con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ur kinds of primers (F3, B3, FIP, BIP) are basically required for the LAMP reaction, and two types of primers are added to improve the reaction speed. The final six kinds of oligonucleotide primers having different base sequences It is necessary for the reaction.

상기 4종의 기본 프라이머는 외부(outer) 프라이머 2종과 내부(inner) 프라이머 2종으로 구성되며, 외부 프라이머는 정방향 외부(forward outer, F3) 프라이머와 역방향 외부(backward outer, B3) 프라이머 2 종으로 구성되고 반응의 비순환기(non-cyclic step) 동안 DNA 이중 가닥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내부 프라이머는 정방향 내부 프라이머(forward inner primer, FIP)와 역방향 내부 프라이머(backward inner primer, BIP) 2종으로 구성되고 고리매개 등온증폭반응에 필수적인 고리(loop)를 만들 수 있도록 정방향 및 역방향 염기서열에 해당하는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다. 추가 2종 프라이머는 정방향 고리(forward loop, LF) 프라이머와 역방향 고리(backward loop, LB) 프라이머 2종으로 구성되며 내부(inner) 프라이머가 결합하지 않는 염기서열에 부착하여 고리매개등온증폭 반응을 가속화시킨다.The four basic primers are composed of two types of outer primers and two inner primers. The outer primers include a forward outer (F3) primer and a backward outer (B3) primer And serves to release DNA duplexes during the non-cyclic step of the reaction. The internal primers consist of forward internal primer (FIP) and backward inner primer (BIP), and are designed to bind to both forward and reverse base sequences so as to form a loop necessary for the ring-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eaction. And consists of the corresponding nucleotides. The additional two primers are composed of forward loop (LF) primer and backward loop (LB) primer and attached to the base sequence that does not bind the inner primer to accelerate ring-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eaction .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LAMP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추가로 포함하여 총 5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세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t of LAMP prim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t of 5 kinds of oligonucleotide primers including oligonucleotide primers of SEQ ID NO: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LAMP 반응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 프라이머, 외부 프라이머 및 고리 프라이머로 구성된 세트이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는 정방향 외부 프라이머인 F3이고,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는 역방향 외부 프라이머인 B3이고,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는 정방향 내부 프라이머인 FIP이며,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는 역방향 내부 프라이머인 BIP이며,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는 정방향 고리 프라이머인 LF이다.The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for the LAMP reaction, and is a set composed of an internal primer, an external primer, and a ring primer. Specifically, the primer of SEQ ID NO: 1 is F3 which is a forward external primer, the primer of SEQ ID NO: 2 is B3 which is a reverse external primer, the primer of SEQ ID NO: 3 is FIP which is a forward internal primer and the primer of SEQ ID NO: Primer BIP, and the primer of SEQ ID NO: 5 is a forward link primer LF.

본 발명의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는 각 프라이머의 서열 길이에 따라, 서열번호 1, 2 및 5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 19개 이상, 20개 이상, 21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서열번호 3 및 4 내의 35개 이상, 36개 이상, 37개 이상, 38개 이상, 39개 이상, 40개 이상, 41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22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 19개 이상, 20개 이상, 21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ligonucleotide pr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15 or more, 16 or more, 17 or more, 18 or more, 19 or more, 20 or more, 21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35, at least 37, at least 38, at least 39, at least 40, at least 41 contiguous nucleotides in SEQ ID NOS: 3 and 4, RTI ID = 0.0 > oligonucleotides < / RTI > For example, a primer (22 oligonucleotides) of SEQ ID NO: 1 may comprise at least 15, at least 16, at least 17, at least 18, at least 19, at least 20, at least 21 nucleotides in the sequence of SEQ ID NO: RTI ID = 0.0 > oligonucleotides < / RTI >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프라이머"는 복제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연장 산물의 합성을 시작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 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primer " refers to a single strand of oligonucleotide sequence complementary to the nucleic acid strand to be duplicated and may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ynthesis of the primer extension product. The length and sequence of the primer should allow the synthesis of the extension product to begin. The specific length and sequence of the primer will depend on the primer usag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ionic strength, as well as the complexity of the desired DNA or RNA target.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ligonucleotide used as a primer may also include a nucleotide analogue such as phosphorothioate, alkylphosphorothioate, or peptide nucleic acid, or And may include an intercalating agen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용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it for detection of Erwinia amylobora comprising a set of LAMP primers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and a reagent for carrying out an amplification reaction.

본 발명의 키트에서, 상기 LAMP 프라이머 세트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중합효소, dNTPs 및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I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primer set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agent for performing the amplification reaction may include a DNA polymerase, dNTPs, a buff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er guide describing optimal reaction performing conditions. The manual is a printed document that explains how to use the kit, for example, how to make the buffer, the reaction conditions presented, and so on. The brochure includes instructions on the surface of the package including the brochure or leaflet in the form of a brochure, a label attached to the kit, and a kit. In addition, the brochure includes information that is disclosed or provided through an electronic medium such as the Internet.

본 발명은 또한,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과수 화상병 의심 시료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Isolating the genomic DNA from the suspect sample of the fruit bottle;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LAMP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Amplifying the target sequence by performing amplification reaction using the separated genomic DNA as a template and using the LAMP primer set; And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And detecting the product of the amplification step. The method of detecting Erwinia amilobora is also provided.

본 발명의 방법은 과수 화상병 의심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수 화상병 감염 의심 시료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사과 또는 배의 꽃, 가지, 열매 등일 수 있다. 상기 시료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TAB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Wizard prep 키트(Promega 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AMP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solating genomic DNA from a suspect sample of the fruit bottle. The suspect sample of the fungal inf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n apple or a pear flower, branch, fruit, and the like. Methods for isolating genomic DNA from the sample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CTAB method may be used, or a Wizard prep kit (Promega) may be used. Using the separated genomic DNA as a template, an amplification reac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LAMP prim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mplify the target sequence.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검출 방법에서, 상기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는 63~67℃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의 온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mplifying the target sequence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63 to 67 ° C,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65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표적 서열은 검출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성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적 서열의 증폭시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증폭반응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물질을 이용한 표지는 증폭반응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증폭 반응액에 첨가하면 증폭 산물이 합성되면서 방사성이 증폭 산물에 혼입되어 증폭 산물이 방사성으로 표지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ed target sequence may be labeled with a detectable labeling substance. When the target sequence is amplified, Cy-5 or Cy-3 is labeled at the 5'-end of the primer and the ampl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When the target sequence is amplified, Can be labeled with a detectable fluorescent labeling substance. When the radioactive isotope is added to the amplification reaction solution, a radioactive isotope such as 32 P or 35 S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amplification product while the amplification product is synthesized, so that the amplification product can be labeled as radioactive .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 산물의 검출은 형광 측정, DNA 칩, 겔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다. 겔 전기영동은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 측정 방법은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증폭반응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되며, 이렇게 표지된 형광은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측정 방법은 증폭반응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증폭 반응액에 첨가하여 증폭 산물을 표지한 후, 방사성 측정기구, 예를 들면, 가이거 계수기(Geiger counter) 또는 액체 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 방법은 검출 시간을 측정하여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정량화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증폭반응 수행 시에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DNA 농도에 따른 형광물질 등의 검출 시간을 정량화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amplification product can be performed through fluorescence measurement, DNA chip, gel electrophoresis, radioactive measurement, or phosphorescence measure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one method of detecting the amplification product, gel electrophoresis can be performed. Gel electrophoresis can be performed us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or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mplification product. In the fluorescence measurement method, when Cy-5 or Cy-3 is labeled at the 5'-end of the primer and the ampl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the target sequence is labeled with a fluorescent label capable of detecting the target. Can be measured. In addition, in the radioactive measurement method, a radioactive isotope such as 32 P or 35 S is added to the amplification reaction solution to label the amplified product, and then a radioactive measurement instrument, for example, a Geiger counter or liquid The radioactivity can be measured using 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In addition, the detection method may be a method including measuring the detection time to quantify Erwinia amiloborrhoea. The quantification may be performed to quantify the detection time of the fluorescent substanc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DNA concentration by comparing with the standard curve when the amplification reaction using the prime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균주의 준비1. Preparation of strain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균주(YKB12316, YKB12317, YKB12318, YKB12319, YKB 12320, YKB12321, YKB12322, YKB12323),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 균주(YKB12324, YKB12325, YKB12326, YKB12327, YKB12328, KACC13945, KACC13946, KACC13947, KACC13948, KACC13949, KACC13951, KACC13952),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시린개(SHPS005, SHPS007, SHPS022, SHPS0056, WSPS039, WSPS042, WSPS048, WSPS050)는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YKB), 안동대학교 임상식물병리학 실험실(SHPW, WSPS), 농업유전자원센터 미생물은행(KACC)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YKB12324, YKB12325, YKB12326, YKB12327, YKB12328, KACC13945, KACC13946, KACC13947, KACC13948, YAC12318, YKB12318, YKB12318, YKB12318, YKB12221, YKB12321, YKB12322, YKB12323), Erwinia amilobolus strain KACC13949, KACC13951, KACC13952), Pseudomonas sp. Pv . (SHPW, WSPS), and the Center for Microbial Biotechnology (KACC)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the Department of Crop Protection (YKB), RDA and SHP0056, WSPS039, WSPS056, WSPS039, Were used.

2. 2. LAMPLAMP 프라이머의Primer 제작 making

과수 화상병 병원균인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를 LAMP 반응을 통해 검출하기 위해, LAMP용 primer 설계 프로그램인 Primer-Explorer V4 software (http://primerexplorer.jp/e/index.html)를 이용하여 도 1과 같이 표적서열 6곳을 인식하는 외부 프라이머(F3, B3), 내부 프라이머(FIP:F1c+F2, BIP:B1c+B2) 및 증폭반응을 가속화시켜주는 루프 프라이머(LF)를 제작하였다.In order to detect ERWINIA AMILORBORA, a fruit-borne pathogen pathogen, through the LAMP reaction, primer-Explorer V4 software (http://primerexplorer.jp/e/index.html), which is a primer design program for LAMP, (FIP: F1c + F2, BIP: B1c + B2) and a loop primer (LF) for accelerating the amplification reaction were prepared.

상기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특이적 LAMP용 프라이머(Ea-프라이머) 세트의 구체적인 염기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specific base sequence of the Erwinia amyloborrhoea-specific LAMP primer (Ea-primer) set i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1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1

room 시예Sime 1.  One. LAMP용For LAMP 프라이머primer 세트의  Set of 에르위니아Erwinia 아밀로보라Look at Amilo 특이적 검출 확인 Specific detection confirmation

5 μM 농도의 F3 및 B3 프라이머 각각 1 ㎕, 40 μM 농도의 FIB 및 BIP 프라이머 각각 1 ㎕, 10 μM 농도의 LF 프라이머 1 ㎕, Isothermal master mix(OptiGene, 영국) 15 ㎕, 증류수 4 ㎕ 및 DNA 1 ㎕를 혼합하여 최종 25 ㎕가 되도록 제조한 후, 65℃에서 30분 동안 증폭반응을 수행하였다. 또한, Isothermal master mix에 들어있는 형광염색제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휴대용 실시간 형광광도계인 Instrument Genie Ⅲ(OptiGene) 장비를 이용하여 증폭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였다.1 μl each of the F3 and B3 primers at a concentration of 5 μM, 1 μl each of the FIB and BIP primers at a concentration of 40 μM, 1 μl of the 10 μM concentration of the LF primer, 15 μl of the isothermal master mix (OptiGene, UK), 4 μl of distilled water, Were mixed to prepare a final volume of 25 μl, followed by amplification reaction at 65 ° C for 30 minutes. In addition, the amplification reaction was confirmed in real time using Instrument Genie Ⅲ (OptiGene), a portable real-time fluorescent photometer capable of detecting the fluorescent dye contained in the isothermal master mix in real time.

그 결과,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 amylovora),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E. pyrifoliae) 및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 시린개(Pseudomonas syringae pv . syringae) 중에서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해서만 증폭 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본 발명의 LAMP 반응에 사용된 균주 및 해당 LAMP 결과(증폭 피크 시간)을 정리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Ea-프라이머 세트가 과수 화상병의 병원균인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E. amylovora , E. pyrifoliae , and Pseudomonas syllin pv . Pseudomonas syringae pv . syringae ), it was confirmed that the amplification reaction was performed only on Erwinia amylobora (Fig. 2). The strain used in the LAMP re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rresponding LAMP result (amplification peak time)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It was confirm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Ea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detect Erwinia amyloborrha, a pathogenic bacterium of the fruit flask.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2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2

+ : DNA 증폭반응이 일어남+: DNA amplification reaction occurs

- : DNA 증폭반응이 일어나지 않음-: DNA amplification reaction does not occur

* : 증폭 피크 시간*: Amplification peak time

실시예 2. Example 2. BuhlmannBuhlmann -- 프라이머의Primer 특이성 분석 Specificity analysis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LAMP 프라이머 세트를 기술한 이전 보고(Andreas B. J Microbiol Methods 2013, 92(3):332-9)에서 제시된 프라이머 세트(Buhlmann-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균주들을 대상으로 LAMP 반응을 수행하여, 특이성 또는 민감도를 분석하였다.A primer set (Buhlmann-primer) set forth in a previous report (Andreas B. J Microbiol Methods 2013, 92 (3): 332-9) describing a LAMP primer set for Erwinia amylobora was synthesized and used in Example 1 The LAMP reaction was performed on the strains used and the specificity or sensitivity was analyzed.

그 결과, Buhlmann-프라이머 세트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뿐만 아니라,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 YKB 12325 및 KACC 13951, 슈도모나스 시린개 pv . 시린개 WSPS 039에서도 증폭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Buhlmann-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LAMP 반응에 사용된 균주 및 해당 LAMP 결과(증폭 피크 시간)을 정리하면 하기 표 3과 같다. Buhlmann 프라이머 세트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외의 균주에 대해서도 비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의 LAMP용 Ea-프라이머 세트가 Buhlman-프라이머 세트보다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특이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the Buhlmann-primer set was found to contain not only Erwinia amylobolas but also Erwinia piri polytensis YKB 12325 and KACC 13951, Pseudomonas chinensis pv . It was confirmed that the amplification reaction also occurs in the serine-derived WSPS 039 (FIG. 3). The strain used in the LAMP reaction using the Buhlmann-primer set and the corresponding LAMP result (amplification peak time) are summarized in Table 3 below. Since the Buhlmann primer set showed a nonspecific response to strains other than Erwinia amylobora, it was confirmed that the EA primer set for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uperior to the Buhlman primer set for Erwinia amylobora .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3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3

실시예 3. Example 3. CNCN -- 프라이머의Primer 특이성 분석 Specificity analysis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LAMP 프라이머 세트를 기술한 이전 보고(중국공개특허 제104388577호)에서 제시된 프라이머 세트(CN-프라이머)를 합성하여 본 발명의 Ea-프라이머 세트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균주들을 대상으로 LAMP 반응을 수행하여, 특이성 또는 민감도를 비교하였다.A primer set (CN-primer) presented in a previous report (Chinese Patent Laid-Open No. 104388577) describing a LAMP primer set for Erwinia amylobora was synthesized and the E-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ain Were subjected to LAMP reactions and compared for specificity or sensitivity.

그 결과, 본 발명의 Ea-프라이머 세트에서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균주에서만 증폭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CN-프라이머 세트에서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외에도,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 균주 시료에서 증폭반응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및 표 4).As a result, in the E-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mplification reaction was performed only in the strain of Erwinia amiloborrhoea. In addition, in the CN-primer set, in addition to Erwinia amilobora, amplification reaction was performed in the sample of Erwinia polyphea strain (Fig. 4 and Table 4).

이를 통해, CN-프라이머 세트는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 병원체 외에 에르위니아 피리폴리애 균주에 대해서 비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의 LAMP용 Ea-프라이머 세트가 CN-프라이머 세트보다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에 대한 특이성이 높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Thus, since the CN-primer set exhibited a nonspecific response to the Erwinia polyphea strain in addition to the target pathogen to be detected, the E-primer set for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CN- primer set for Erwinia amilobor An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drug is high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4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4

실시예 4Example 4 . 현장진단을 통한 . Through field diagnosis 에르위니아Erwinia 아밀로보라Look at Amilo 검출 분석 Detection analysis

본 발명의 LAMP용 Ea-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과수 화상병을 진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과수 화상병의 발생 과수원, 미발생 과수원 및 의심 과수원에서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 유무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whether diagnosis of a fruit-burning disease can be made on the spot using the EA-primer set for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of Erwinia amylobora in the fruit orchard, Respectively.

그 결과, 과수 화상병 발생 과수원의 가지마름병 증상을 보인 가지(Twig canker)에서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가 검출되었고, 건강한 가지(Healthy twig)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과수 화상병 미발생 과수원의 건강한 가지에서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가 검출되지 않았고, 과수 화상병 의심 과수원의 가지마름병 증상을 보인 가지에서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표 5). As a result, Erwinia amylobora was detected in the twig canker showing symptoms of blooming of the orchid bloom in the orchard, and it was not detected in the healthy twi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rwinia amylobora was not detected in the healthy branches of the fruit birds without fruit bruising, and that Erwinia amylobora was not detected in the branches exhibiting symptoms of blooming of fruit trees susceptible to fruit blooms (Table 5 ).

이를 통해, 본 발명의 Ea-프라이머 세트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를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현장에서 직접 과수 화상병을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Ea primer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iagnose fruit sickness in the field by accurately detecting Erwinia amylobora.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5
Figure 112017050221912-pat00005

* : 과수 화상병 진단 날짜*: Date of fruit tree diagnosis

** : 과수 화상병 발생 과수원**: fruit orchards occur in fruit orchards

*** : 과수 화상병 미발생 과수원***: No fruit bloom in the fruit orchard

**** : 과수 화상병 발생 의심 과수원****: Suspected fruit orchards occur in fruit orchards

1 : 가지마름병 증상을 보이는 가지1: Branches showing symptoms of warts

2 : 건강한 가지2: healthy branches

<11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130> PN17188 <160> 5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3 primer <400> 1 ataataagag aatggcgcta tg 22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3 primer <400> 2 tctacatctc cacctttgg 19 <210> 3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IP primer <400> 3 taatgaagtt gaatctcagg catgagaaaa aatccattgt aaaaccttcg 50 <210> 4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P primer <400> 4 gatggattgc ttagtgagct cagccaatct ctccacaacc g 41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F primer <400> 5 aaagttgttt tcatcccacg ga 22 <110>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130> PN17188 <160> 5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3 primer <400> 1 ataataagag aatggcgcta tg 22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3 primer <400> 2 tctacatctc cacctttgg 19 <210> 3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IP primer <400> 3 taatgaagtt gaatctcagg catgagaaaa aatccattgt aaaaccttcg 50 <210> 4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IP primer <400> 4 gatggattgc ttagtgagct cagccaatct ctccacaacc g 41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F primer <400> 5 aaagttgttt tcatcccacg ga 22

Claims (6)

서열번호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의 검출용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프라이머 세트.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1;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2;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3; And a LAMP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rimer set for detection of Erwinia amylovora comprising the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용 LAMP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AMP 프라이머 세트.The LAMP primer s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bora further comprises an oligonucleotide primer of SEQ ID NO: 5. 제1항 또는 제2항의 LAMP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용 키트. A kit for detection of Erwinia amylobora comprising the LAMP primer set of claim 1 or 2 and a reagent for carrying out an amplification rea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중합효소, dNTPs 및 버퍼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4. The k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agent for carrying out the amplification reaction comprises a DNA polymerase, dNTPs and a buffer. 과수 화상병 의심 시료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 또는 제2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의 검출 방법.
Isolating the genomic DNA from the suspect sample of the fruit bottle;
Amplifying the target sequence by performing amplification reaction using the separated genomic DNA as a template and using the oligonucleotide primer set of claim 1 or 2; And
And detecting the product of said amplification ste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AMP 반응은 65℃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MP reaction is performed at 65 &lt; 0 &gt; C.
KR1020170064995A 2017-05-26 2017-05-26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KR101947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95A KR101947677B1 (en) 2017-05-26 2017-05-26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995A KR101947677B1 (en) 2017-05-26 2017-05-26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253A KR20180129253A (en) 2018-12-05
KR101947677B1 true KR101947677B1 (en) 2019-02-13

Family

ID=6474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995A KR101947677B1 (en) 2017-05-26 2017-05-26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6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454A (en) * 2021-06-16 2022-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mer set for discriminating strain of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329B1 (en) * 2020-10-16 2022-05-30 대한민국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OUBAKR MORADI ET AL. EUR J PLANT PATHOL VOL.133 PP.609_620
ANDREAS BUHLMANN ET AL.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VOL.92 PP.332_339
GENBANK ACCESSION NO. FN666575.1
TODD N. TEMPLE ET AL. PLANT DIS. VOL.95 PP.423_43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454A (en) * 2021-06-16 2022-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mer set for discriminating strain of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KR102586238B1 (en) 2021-06-16 2023-10-11 대한민국 Primer set for discriminating strain of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253A (en)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Coloniza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maize roots at different depths in the soil profile respond differently to phosphorus inputs on a long-term experimental site
Kumar et al. Rapid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lternaria solani in tomato
Chen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pecific PCR and LAMP assays for the rapid detection of Phytophthora melonis
Li et al. Specific and sensitive detection of Phytophthora nicotianae by nested PCR an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s
CN110951838A (en) Primer, probe, kit and application for detecting meloidogyne hapla based on RPA-LFD technology
Brault et al. Variability of Orobanche ramosa populations in France as revealed by cross infestations and molecular markers
Thakur et al. Identification of allele specific AFLP markers linked with bacterial wilt [Ralstonia solanacearum (Smith) Yabuuchi et al.] resistance in hot peppers (Capsicum annuum L.)
KR101947677B1 (en) LAMP primer set for detecting Erwinia amylovora and uses thereof
Phahladira et al. Widespread occurrence of “Candidatus liberibacter africanus subspecies capensis” in Calodendrum capense in South Africa
Larsen et al. Development of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quantifying Verticillium albo-atrum DNA in resistant and susceptible alfalfa
Gherghel et al. The development of a species‐specific test to detect H ymenoschyphus pseudoalbidus in ash tissues
CN109825604B (en) Molecular marker closely linked with peach aphid resistance character, primer,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peach aphid resistance character and application of primer, kit and method
Masikane et al. Novel approaches and methods for quantifying Phytophthora cinnamomi in avocado tree roots
CN111850155A (en) Application of specific target primer in simultaneous and rapid identification of two pathogenic bacteria of strawberry infection
CN105821135B (en) Molecular labeling and application with muskmelon downy mildew resistance gene close linkage
CN104673890B (en) Cotton black aphid PCR quick determination methods based on specific SS COI primers
KR101834763B1 (en) Composition for diagnosing soybean wild fire and use thereof
KR101788785B1 (en) A method, composition, and kit for the identification of Goodyera x maximo-velutina
Rajendran et al. Nucleic acid based detection technique for Ganoderma lucidum in coconut
CN113789401B (en) Primer for detecting phytophthora nicotianae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151109B1 (en) Identification method for cymbidium species of oriental orchid using by cross-species transferable microsatellite markers and primers for amplification thereof
KR20200075637A (en) Primers for multiple detection of the virus in Cucurbitaceae and detection method by using the same
Sutyemez Comparison of AFLP polymorphism in progeny derived from dichogamous and homogamous walnut genotypes
Constable et al. The distribution of grapevine yellows disease associated with the Buckland Valley grapevine yellows phytoplasma
CN104250665B (en) No. 5 microspecies RTQ-PCR detection primers of Ralstonia solanacearu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