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960B1 - Girder for bridge - Google Patents

Girder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960B1
KR101946960B1 KR1020180082699A KR20180082699A KR101946960B1 KR 101946960 B1 KR101946960 B1 KR 101946960B1 KR 1020180082699 A KR1020180082699 A KR 1020180082699A KR 20180082699 A KR20180082699 A KR 20180082699A KR 101946960 B1 KR101946960 B1 KR 10194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main body
groov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만섭
Original Assignee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엠이엔지(주) filed Critical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8008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9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capable of securing convenience in construction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after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comprises: a through-hole; a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therein;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a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a connection body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therein.

Description

교량용 합성거더{Girder for bridge}Composite girder for bridges {Girder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합성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결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합성거더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which is easy to construct through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and which is easy to maintain after construction.

거더란,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교각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며, 거더의 상측으로는 각종 차량이나 사림이 이동할 수 있는 상판을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A girder is an upper structure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bridge pier. A plurality of girders are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bridge pier and an upper plate capable of moving various vehicles or vehicles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이러한 거더는 강도와 균열 저항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판으로 이동되는 각종 차량이나 사람의 하중으로 인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se girders flexibly correspond to strength, crack resistance, and the like, so that they can be prevented from collapsing due to loads of various vehicles or people moving to the upper plate even when they are installed on the bridge piers.

예컨대, 종래의 거더는 문헌(1)에서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보강재가 콘크리트의 타설과정을 통하여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부구조를 이루는 거더로 전해지는 하중이 교각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girder, as shown in the document (1), a reinforcing member having one side ope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through the concrete installation process.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load transmitted to the girder forming the upper structure, As shown in FIG.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거더는 압축 강도, 전단 강도, 휨 강도, 인장 강도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일체형으로 형성된 거더를 손쉽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거더를 설치한 후에 거더가 설치된 위치의 교각이나 거더와 연결된 상판이 손상되거나, 거더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보수를 이루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irder as in the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install the integrally formed girder even when the gird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er by sec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shear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When the girder is installed and the top plate connected to the pier or girder at the position where the girder is installed is damaged or any on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girder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is problem.

또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후에는 상부로 전달되는 압력이나 유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교량용 거더의 설치와, 해체는 물론이고, 교량용 거더의 유지보수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lexibly cope with the pressure or flow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after the bridg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Further, unnecessary cost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ridge girder increases as well as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bridge girder There was a problem.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370939(2003.01.21)(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0939 (Jan. 21, 20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교각의 상부로 편리하게 운반하여 신속한 시공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can be conveniently transpor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er through separate and combinable construction, so that rapid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둘째, 시공과, 해체가 용이한 구성을 통하여 거더 설치작업의 전체적인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작업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Second,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girder installation work is shortened through the construction which is easy to construct and disassembly, and the work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ly.

셋째, 사용중에 거더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보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ird, even if any one constituent of the girder is damaged during use,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damaged part and achieve a stable repair.

넷째,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나, 교각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그 설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교각의 형상이나 설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nstallation form variously according to the position to be installed or the shape of the bridge pier, so that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shape and installation form of the bridge pier to achieve a stable instal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합성거더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일측에 결합홈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ㅓ'자 형상으로,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이 형성된 본체의 일측 테두리 부위 상면과,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체의 일측 테두리 부위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체를 복수개 결합할 시, 상기 본체의 체결홈과 연결체의 연결홈에는 상기 안착홈에 상부가 안착되는 결합체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체는 상기 체결홈과 연결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공에는 교각의 상면에 구비된 볼트에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삽입공에 결합되게 상기 체결판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가 구비된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which is easy to construct through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which is easy to maintain after construction, A through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groov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therein, And a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ng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ng hole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Like shape having protruding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Wherein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ide edg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nd a top surface of a side edge of the coupling body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he coupling groove of the main body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coupling body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body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groove, And a fixing plate which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plate and which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which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he fastening plate is fastened to the bol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And an upper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t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A connecting member may be installed and configured.

이때, 상기 본체의 일측 테두리 부위 하단과, 상기 연결체의 일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연결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공에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몸체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를 갖는 고정부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연결공에 몸체가 연결되고, 교각의 콘크리트 타설공에 상기 걸림부가 위치되어 타설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를 통하여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립부재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horizontal connection hole is further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a side edge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end of a side edge of the connection body, and a horizontal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connection hole, The assembl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through the concrete in which the piercing part is located and the piercing part is placed is further coupled to the pier Lt; / RTI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교각의 상부로 편리하게 운반하여 신속한 시공을 이룰 수 있다.First, it can be conveniently transpor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er through separable and combinable construction to achieve rapid construction.

둘째, 시공과, 해체가 용이한 구성을 통하여 거더 설치작업의 전체적인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작업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다.Second,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girder installation work can be shortened through the construction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dismantle, and the work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ly.

셋째, 사용중에 거더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보수를 이룰 수 있다.Third, even if any on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girder is damaged during us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damaged part and perform stable maintenance.

넷째,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나, 교각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그 설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교각의 형상이나 설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를 이룰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nstallation form variously according to the position to be installed or the shape of the bridge pier, so that it can flexibly respond to the shape and installation form of the bridge pier and can achieve a stable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인 교량용 합성 거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용 합성 거더가 교각에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교량용 합성 거더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교량용 합성 거더의 또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인 교량용 합성 거더의 또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ridge pie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combined state of the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still another coupling state of the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still another coupling state of a composi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일측에 결합홈(11)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1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공(13a)이 형성된 삽입홈(13)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관통공(12)과 대응되는 삽입공(14)이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홈(15)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관통공(12)과 대응되는 연결공(21)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과 대응되는 고정공(22)이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23)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ㅓ'자 형상으로,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24)이 형성된 연결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15)이 형성된 본체(10)의 일측 테두리 부위 상면과, 상기 연결홈(24)이 형성된 연결체(20)의 일측 테두리 부위 상면에는 안착홈(10a,20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와 연결체(20)를 복수개 결합할 시, 상기 본체(10)의 체결홈(15)과 연결체(20)의 연결홈(24)에는 상기 안착홈(10a,20a)에 상부가 안착되는 결합체(30)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체(30)는 상기 체결홈(15)과 연결홈(24)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31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체결판(31)과, 상기 체결판(3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관통공(32a)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상기 안착홈(10a,20a)에 안착 결합되는 고정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공(14)에는 교각(1)의 상면에 구비된 볼트(P)에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41a)이 형성된 체결판(41)과, 상기 삽입공(14)에 결합되게 상기 체결판(4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42)가 구비된 연결부재(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12 formed in one side of a U-shape having a coupling groove 11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groove 1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12 formed in an end of the through hole 12 An insertion hole 14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a are formed and an insertion hole 14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are formed in a low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5 A fixing hole 22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connection hole 2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connecting member 2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24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0 and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23 formed to be insertable in the connecting groove 11, And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15 is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20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24 is formed The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groove 15 of the body 10 and a connecting body 20, And the coupling body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5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4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24,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a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plate 31. The fastening plate 31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a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1a are formed in the insertion holes 14 so as to be fastened to the bolts P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s 1, A connection member 40 having a fastening plate 41 formed thereon and an upper protrusion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41 t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4 is installed.

상기 본체(10)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교량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교각(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교각(1)에 설치되는 연결부재(40)를 통하여 고정 설치된다.1 and 2,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bridge pier 1 constituting a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preferably a connecting member 40 provided on the bridge pier 1 .

이때, 상기 본체(10)는 교각(1)의 상부에 설치를 이루는 경우, 본체(10)의 상부로 놓이는 상판(2)과, 상판(2)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무게를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er 1, the weight of the car or the pedestrian mov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2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t is preferable to form a metal material which can withstan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에 결합홈(11)을 형성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으로는 상기 결합홈(11)과 연통되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볼트(P)를 통하여 고정핀(2)이 결합 될 수 있는 관통공(1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관통공(12)과 대응되는 본체(12)의 하단에는 연결부재(40)의 상부돌기(42)가 삽입 결합 될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body 10 is formed in a U-shape having a coupling groove 1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is vertically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groove 1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12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2 can be coupled through the bolt P.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2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with an upper portion And an insertion hole 1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42 can be inserted and coupled.

상기 결합홈(11)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결합홈(11)으로 연결체(20)의 체결돌기(23)가 끼움 결합 되어 본체(10)의 일측으로 연결체(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1 to 4, the coupling recess 11 of the coupling body 2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recess 11 of the coupling body 20 to connect the coupling body 20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Detachably coupled.

또한, 관통공(1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결합홈(11)으로 연결체(20)의 체결돌기(23)가 결합 되는 경우, 상기 결합홈(11)과 체결돌기(23)의 결합 부위로 고정핀(2)이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체(10)와 연결체(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루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23 of the connecting body 2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11 of the main body 10, the fastening protrusion 23 of the through- The fixing pin 2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upling body 20,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upling body 20 is configured to be rigid.

이는 즉,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체(20)는 상기 관통공(12)과 대응되는 연결공(21)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과 대응되는 고정공(22)이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23)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돌출 구비된 'ㅓ'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결합을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체(10)의 관통공(12)에 결합되는 고정핀(2)과, 본체(10)의 삽입공(1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0)의 구성을 통하여 상호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That is, the connecting body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has a connecting hole 2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2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fastening protrusion (23)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coupling groove (11) The fixing pin 2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coupling is made and the fixing pin 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 of the main body 10 14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40. [

그리고 상기 본체(14)의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20)의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개의 연결홈(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5 are formed at one edge of the main body 14 so as to face downward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4 are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coupling body 20 in a downward direction .

상기 체결홈(15)과 연결홈(24)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체(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상기 본체(10), 연결체(20)를 교각(1)의 상부에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에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upling grooves 15 and the coupling grooves 24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upling bodies 3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2 to 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ier 1, a plurality of piercing rods 20 can b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예컨대, 본체(10)와, 연결체(20)를 결합한 후, 본체(10)와 결합 된 연결체(20)의 일측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 또는 연결체(20)를 결합하거나, 연결체(20)와 결합된 본체(10)의 일측으로 연결체(2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체(30)의 구성을 통하여 복수개의 본체(10)와 연결체(30)를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1 and 2,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body 20 coupled with the main body 10 after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to connect the connecting body 20 to one side of the body 10 coupled to the connecting body 20, the plurality of bodies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body 30, (30) can be firm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체(30)는 상기 체결홈(15)과 연결홈(24)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31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체결판(31)과, 상기 체결판(3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관통공(32a)이 형성된 판 형상의 고정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upling body 30 includes a coupling plate 31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1a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5 and the coupling groove 24, And a plate-shaped fixing plate 3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32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a.

또한, 상기 본체(10)와 연결체(20)는 결합체(30)의 고정판(32)이 결합 되는 부위에 안착홈(10a,20a)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seating grooves 10a and 20a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plate 32 of the coupling body 30 is coupled.

이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안착홈(10a)과, 연결체(20)의 안착홈(20a)에 결합체(30)가 밀착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32)에 형성된 관통공(32a)으로 볼트(P)를 체결하여 본체(10), 연결체(20), 결합체(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루게 구성된다.1 to 4, a coupling body 30 is tightly coupled to a seating groov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a seating groove 20a of the coupling body 20, and the fixing plate 32 The coupling body 20 and the coupling body 30 are tightened by fastening the bolts P to the through holes 32a formed in the main body 10,

더하여,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량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교각(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재(40)는 교각(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치하거나, 형성된 교각(1)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1 constitut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as described above. Such a connecting member 40 is installed in advanc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ier 1, Or separate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er 1 formed.

또한, 상기 연결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교각(1)의 상면에 구비된 볼트(P)에 체결공(41a)을 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판(41)과, 상기 체결판(4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삽입공(14)에 체결되는 상부돌기(42)로 구성된다.1 and 2, the connecting member 40 includes a fastening plate 41 coupled to a bolt P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idge 1 through a fastening hole 41a, And an upper protrusion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41 and fastened to the insertion hole 14 of the main body 10.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40)는 교량의 하부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설치되는 본체(10)와 연결체(20)의 결합 부위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교량(1)의 하부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교각(1)을 형성하는 경우, 미리 위치를 설정하여 교각(1)에 설치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members 40 are provid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installed to form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1) is formed, the position is set in advance and is provided in the bridge pier (1).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 테두리 부위 하단과, 상기 연결체(20)의 일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연결공(10b,20b)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공(10b,20b)에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몸체(51)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52a)를 갖는 고정부(5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연결공(10b,20b)에 몸체(51)가 연결되고, 교각(1)의 콘크리트 타설공(1a)에 상기 걸림부(52a)가 위치되어 타설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를 통하여 교각(1)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립부재(5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Horizontal connection holes 10b and 20b ar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one side edge of the connection body 20, 20b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ith a fixing part 52 having a locking part 52a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51 which is shaped like a letter shape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holes 10b, 20b An assembling member 5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1 through a concrete to which the body 51 is connected and the piercing hole 52a is positioned on the concrete piercing hole 1a of the pier 1, .

이러한 구성은 교각(1)의 상부로 연결부재(40)를 통하여 본체(10)와 연결체(20)를 설치한 후, 상기 본체(10)와 연결부재(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수평연결공(10b)으로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조립부재(50)의 몸체(51)를 결합하고, 상기 조립부재(50)의 고정부(52)는 교각(1)에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공(1a)에 위치시켜,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1a)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통하여 고정부(52)가 견고하게 설치되는 경우, 고정부(52)와 연결된 몸체(51)를 통하여 본체(10)의 일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fter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1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40,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is further strengthened 2 to 5, the body 51 of the assembl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hole 10b formed in the main body 10, When the fixing part 52 is firmly installed through the concrete placed in the concrete installation hole 1a and the fixing part 52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installation hole 1a formed in the bridge pier 1, So that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an b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body 51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교량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교각(1)의 상부로 상기 본체(10), 연결체(20), 결합체(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가 이루어진 본체(10), 연결체(20), 결합체(30)의 상부로 교량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상판(2)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2 to 4, the main body 10, the connecting body 20, and the connecting body 30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ier 1 as a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top plate 2 constitut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can be easily instal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connecting body 20,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교각(1)의 상부로, 본체(10), 연결체(20)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only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ier 1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구조를 이루는 교각(1)의 상부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10), 연결체(20), 결합체(30)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신속한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견고한 결합을 통하여 상판(2)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교각(1)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도 본체(10), 연결체(20), 결합체(30)가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유지, 보수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the connecting body 20, and the connecting body 30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1 constitut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can be easily transported, The connecting body 20 and the connecting body 30 can be easily handled whil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2 is transmitted to the bridge pier 1 through the rigid coupling after the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is damaged during use,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replaced, and stable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교각 2: 상판
3: 체결핀 10: 본체
10a,20a: 안착홈 10b,20b: 수평연결공
11: 결합홈 12,32a: 관통공
13: 삽입홈 13a: 체결공
14: 삽입공 15: 체결홈
20: 연결체 21: 연결공
22: 고정공 23: 체결돌기
24: 연결홈 30: 결합체
31: 체결판 31a: 결합돌기
32: 고정판 40: 연결부재
41: 체결판 41a: 체결공
42: 상부돌기 50: 조립부재
51: 몸체 52: 고정부
52a: 걸림부
1: Pier 2: Top plate
3: fastening pin 10: body
10a, 20a: seat groove 10b, 20b: horizontal connecting hole
11: coupling groove 12,32a: through hole
13: insertion groove 13a: fastening hole
14: insertion hole 15: fastening groove
20: connecting member 21: connecting hole
22: fixing hole 23: fastening projection
24: connection groove 30: coupling
31: fastening plate 31a: engaging projection
32: fixing plate 40: connecting member
41: fastening plate 41a: fastening hole
42: Upper projection 50: Assembly member
51: body 52:
52a:

Claims (2)

일측에 결합홈(11)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1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12)과, 상기 관통공(12)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체결공(13a)이 형성된 삽입홈(13)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관통공(12)과 대응되는 삽입공(14)이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홈(15)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관통공(12)과 대응되는 연결공(21)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과 대응되는 고정공(22)이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23)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ㅓ'자 형상으로, 일측 테두리에는 하향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24)이 형성된 연결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15)이 형성된 본체(10)의 일측 테두리 부위 상면과, 상기 연결홈(24)이 형성된 연결체(20)의 일측 테두리 부위 상면에는 안착홈(10a,20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와 연결체(20)를 복수개 결합할 시, 상기 본체(10)의 체결홈(15)과 연결체(20)의 연결홈(24)에는 상기 안착홈(10a,20a)에 상부가 안착되는 결합체(30)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체(30)는
상기 체결홈(15)과 연결홈(24)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31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체결판(31)과, 상기 체결판(3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관통공(32a)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상기 안착홈(10a,20a)에 안착 결합되는 고정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공(14)에는 교각(1)의 상면에 구비된 볼트(P)에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41a)이 형성된 체결판(41)과, 상기 삽입공(14)에 결합되게 상기 체결판(4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42)가 구비된 연결부재(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합성거더.
A through hole 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groove 1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on the end of the through hole 12, The insertion hole 14 having the hole 13a is formed and the insertion hole 14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5 are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 main body 10,
A fixing hole 22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a connection hole 2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coupling body 20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4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
A seating groove 10a or 20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15 is formed an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edge of the coupling body 20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24 is formed,
When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grooves 24 of the connecting groove 15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body 20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s 10a and 20a An assembling body 30 on which an upper portion is seated is provided,
The coupling body (30)
A coupling plate 31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1a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5 and the coupling groove 24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1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late 31, And a fixing plate (32) which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through hole (32a) formed therein and is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10a, 20a)
The insertion hole 14 is formed with a fastening plate 41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1a formed to be fastenable to the bolts P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1, And a connecting member (40) provided with an upper projection (4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4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일측 테두리 부위 하단과, 상기 연결체(20)의 일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연결공(10b,20b)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결공(10b,20b)에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몸체(51)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52a)를 갖는 고정부(5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연결공(10b,20b)에 몸체(51)가 연결되고, 교각(1)의 콘크리트 타설(1a)공에 상기 걸림부(52a)가 위치되어 타설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를 통하여 교각(1)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립부재(5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합성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orizontal connection holes 10b and 20b are formed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one side edge of the connecting body 20,
A fixing part 52 having an engaging part 52a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51 having a letter shap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connection holes 10b and 20b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The body 51 is connected to the holes 10b and 20b and the hooking part 52a is placed on the concrete pouring la of the bridge pier 1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er 1 through the pouring concrete (50) is further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50).


KR1020180082699A 2018-07-17 2018-07-17 Girder for bridge KR101946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99A KR101946960B1 (en) 2018-07-17 2018-07-17 Girder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99A KR101946960B1 (en) 2018-07-17 2018-07-17 Girder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960B1 true KR101946960B1 (en) 2019-02-12

Family

ID=6536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699A KR101946960B1 (en) 2018-07-17 2018-07-17 Girder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96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939B1 (en) 2000-02-15 2003-02-05 주식회사신성 Bridge beam
KR20080078307A (en) * 2007-02-23 2008-08-27 김정인 Continuous bridge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939B1 (en) 2000-02-15 2003-02-05 주식회사신성 Bridge beam
KR20080078307A (en) * 2007-02-23 2008-08-27 김정인 Continuous brid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4218A (en) Modular building connectors
CN102021889A (en) Bridge erection method
AU2014268090B2 (en) Suspended scaffolding structure and connector therefor
CN107989366B (en) Be used for beam form bearing structure subassembly
CN109811665A (en) The installation method of assembled heavy type steel corbel
CN110469052B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connecting piece,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946960B1 (en) Girder for bridge
KR101335382B1 (en) Constru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with internal hinge structure
CN107313508B (en) Prefabricated assembly type main and secondary beam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KR100832100B1 (en) Temporal structure and temporal setting method for stress control of the pylon base
CN106545115B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ed steel concrete composite slab
KR102071872B1 (en) the girder for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ck composite
CN215104723U (en) Steel-concrete combined beam bridge structure
KR200404527Y1 (en) Connecting device of the Scaffolding System
KR100739932B1 (en) Joint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KR102151576B1 (en) Steel composite bridge
CN112144383B (en) Assembl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10981B1 (en) inspection walkway of bridge
CN212357938U (en) Anti-overturning combined bridge
CN211646745U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slab and steel beam
CN212001801U (en) Connecting structure of limiting assembly and prefabricated external wall panel
EP3147430A2 (en) Fastening system for an elongated composite member, a stress distribution member, and a pylon
KR101986819B1 (en) Reinforcement assembly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042413A (en) Assembly type laminated plate anchoring structure convenient to construct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KR101683694B1 (en) Structure of girder supporting by cable and steel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