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626B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626B1
KR101946626B1 KR1020160179088A KR20160179088A KR101946626B1 KR 101946626 B1 KR101946626 B1 KR 101946626B1 KR 1020160179088 A KR1020160179088 A KR 1020160179088A KR 20160179088 A KR20160179088 A KR 20160179088A KR 101946626 B1 KR101946626 B1 KR 101946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regeneration
regeneration tank
regen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118A (ko
Inventor
임형석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6017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6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를 연수로 재생하는 재생제가 포함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재생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기 재생제를 향해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재생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재생탱크로부터 낙하되어 배출되는 재생수를 저장하는 연수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
본 발명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도 조절이 용이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수(Hard Water)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연수(Soft Water)를 생성할 수 있다.
수돗물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되는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화된 관이나 수질오염 등으로 인해 철, 아연, 납, 수은 등 각종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들도 포함되어 있다.
물속에 포함되는 중금속들은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를 세척할 때 금속이온과 지방산이 결합되어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금속성 이물질은 피부와 접촉하여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며 노화를 촉진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수기는 Na+형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 등을 사용하여 물속에 포함되는 경도 성분들을 Na+이온과 교환하여 경도 성분은 흡착하고 Na+이온은 방출하여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선행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9112호)에 개시된 내용과 같이, 일반적으로, 재생제(Regenerant)와 원수를 일정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재생된 원수를 배출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를 사용하여 재생된 원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경우 개폐밸브에 Na+이온이 흡착되어 개폐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거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9112호(공개일:2010.12.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밸브를 사용하여 재생수의 배출을 조절하지 않으며, 원수의 염도 조절이 용이한 연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원수를 연수로 재생하는 재생제가 포함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재생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기 재생제를 향해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재생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재생탱크로부터 낙하되어 배출되는 재생수를 저장하는 연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탱크는 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에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탱크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온수부와 냉수부로 나누는 분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연수탱크는 상기 재생탱크의 상기 온수부와 연통되는 온수 연수탱크 및 상기 재생탱크의 상기 냉수부와 연통되는 냉수 연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수를 재생제에 분사하고 원수가 낙하하는 과정에 재생제를 통과하며 재생될 수 있으므로 재생수를 생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재생수는 재생탱크에서 연수탱크로 자유 낙하하여 배출되므로 개폐밸브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개폐밸브의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다.
셋째, 재생수는 재생탱크에서 연수탱크로 자유 낙하하여 배출되므로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여 재생수의 염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분사노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수의 배출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재생탱크(100), 분사노즐(200) 및 연수탱크(300)를 포함한다.
재생탱크(100)는 원수(W)를 연수(SW)로 재생하는 재생제(R)가 포함되는 내부공간(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재생제(R)는 블럭형태 또는 분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생탱크(100)의 내부공간(100a)의 저면에 구비되며, 재생제(R)와 재생탱크(100)의 상부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200)은 재생탱크(100)의 상부에 삽입되며, 재생제(R)를 향해 원수(W)를 공급할 수 있다.
분사노즐(200)은 앞서 설명한 재생제(R)와 재생탱크(100)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재생제(R)의 표면을 향해 원수(W)를 공급할 수 있다.
분사노즐(200)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수탱크(300)는 재생탱크(100)와 연통되며, 재생탱크(100)로부터 낙하되어 배출되는 연수(SW)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연수탱크(300)는 재생된 연수(SW)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분사노즐(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분사노즐(200)은 재생탱크(100)의 상부 중심에 삽입될 수 있으며, 원수(W)를 공급하는 공급라인(5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재생탱크(100)의 상부면은 재생탱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커버(40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200)은 커버(400)의 중심에 삽입되어 재생제(R)의 표면을 향해 원수(W)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200)은 재생탱크(10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200)은 원수(W) 공급라인(500)와 연통되는 여러 개의 분기라인(51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사노즐(200)은 원수(W)를 분사하거나 방울 형태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재생제(R)를 향해 원수(W)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200)에 의하여 원수(W)가 재생제(R)의 표면에 공급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원수(W)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재생제(R)에 스며들어 재생탱크(100)의 저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원수(W)는 재생제(R)와 반응하여 교환되게 되며, 점차 재생수(SW)로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W)가 재생제(R)를 통과하며 재생탱크(100)의 저면에 이르면 재생수(SW)로 변환되며, 재생탱크(100)로부터 연수탱크(30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분사노즐(200)을 통해 재생탱크(100)로 공급되는 원수(W)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계를 포함하여 공급되는 원수(W)의 양을 제어하는 이유는 생성되는 연수(SW)의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개폐밸브가 없이 재생수(SW)를 재생탱크(100)로부터 연수탱크(300)로 자유 낙하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재생탱크(100)에 저장된 재생제(R)의 농도가 일정하고, 재생탱크(100)로 공급되는 원수(W)의 양도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재생제(R)를 거쳐 재생탱크(100)의 저면에 도달할 때 생성되는 재생수(SW)의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W)와 재생제(R)가 일정 시간동안 반응하도록 재생탱크(100)를 차폐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폐밸브가 필요하지 않아 개폐밸브의 유지보수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생탱크와 상기 연수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유입구로 자유낙하하는 재생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둘레부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탱크(100)는 저면에 배출구(120)가 형성되고, 연수탱크(300)는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유입구(30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탱크(100)에서 재생제(R)와 반응하여 재생된 재생수(SW)는 재생탱크(100)에 머물러 있지 않고 바로 연수탱크(300)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W)가 재생제(R)를 거친 후 바로 연수탱크(300)로 유입되도록 하여 재생수(SW)의 염도가 수압이나 수온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된 연수(SW)의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와 같이, 재생탱크(100), 분사노즐(200) 및 연수탱크(300)를 포함한다.
이 때, 재생탱크(100)에는 내부공간(100a)을 온수부(150)와 냉수부(160)로 나누는 분할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분할부재(110)에 의하여 재생탱크(100)가 온수부(150)와 냉수부(160)로 나뉠 경우 온수부(150)와 냉수부(160)에 저장된 재생제(R1, R2) 역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200)을 통해 온수부(150)와 냉수부(160)에 공급되는 온수(W1)와 냉수(W2)는 각각 재생제(R1, R2)와 반응하며, 온수 재생수(SW1)와 냉수 재생수(SW2)가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 재생수(SW1)와 냉수 재생수(SW2)가 따라 생성됨에 따라 연수탱크(300) 역시 온수 연수탱크(310)와 냉수 연수탱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온수 연수탱크(310)는 재생탱크(100)의 온수부(150)와 연통될 수 있으며, 냉수 연수탱크(320)는 재생탱크(100)의 냉수부(16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탱크(100)의 온수부(150)에 저장된 재생제(R1)를 통과하며 재생된 재생수(SW1)는 온수부(150)의 배출구(150a)를 통해 온수 연수탱크(310)의 유입구(310a)로 유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재생탱크(100)의 냉수부(160)에 저장된 재생제(R2)를 통과하며 재생된 재생수(SW2)는 냉수부(160)의 배출구(160a)를 통해 냉수 연수탱크(320)의 유입구(320a)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재생탱크(100)의 상부에는 재생제(R1, R2)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재생탱크(100)에는 커버(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200)에 원수(W1, W2)를 공급하는 공급라인(500)은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원수(W)가 재생제(R)를 통과한 후 자유 낙하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재생되는 재생수(SW)의 염도 조절이 용이하며, 별도의 개폐밸브가 필요하지 않아 개폐밸브의 유지보수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재생탱크 100a: 내부공간
110: 분할부재 120: 배출구
150: 온수부 150a: 배출구
160: 냉수부 160a: 배출구
200: 분사노즐 300: 연수탱크
300a: 유입구 310: 온수 연수탱크
310a: 온수 유입구 320: 냉수 연수탱크
320a: 냉수 유입구 400: 커버
500: 공급라인 510: 분기라인
R,R1,R2: 재생제 W,W1,W2: 원수
SW,SW1,SW2: 재생수

Claims (6)

  1. 공급되는 원수를 재생수로 만들기 위한 재생제가 포함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재생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기 재생탱크에 수용된 재생제의 상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재생제를 향해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재생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재생탱크로부터 자유낙하되어 배출되는 재생수가 공급되는 연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탱크는 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수탱크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자유낙하하는 재생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재생탱크와 상기 연수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유입구로 자유낙하하는 재생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둘레부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 중심에 구비되는 연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재생탱크의 상부에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수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탱크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온수부와 냉수부로 나누는 분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연수탱크는,
    상기 재생탱크의 상기 온수부와 연통되는 온수 연수탱크; 및
    상기 재생탱크의 상기 냉수부와 연통되는 냉수 연수탱크;
    를 포함하는 연수기.
KR1020160179088A 2016-12-26 2016-12-26 연수기 KR10194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88A KR101946626B1 (ko) 2016-12-26 2016-12-26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88A KR101946626B1 (ko) 2016-12-26 2016-12-26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118A KR20180075118A (ko) 2018-07-04
KR101946626B1 true KR101946626B1 (ko) 2019-02-11

Family

ID=6291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088A KR101946626B1 (ko) 2016-12-26 2016-12-26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6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57Y1 (ko) * 2002-09-02 2002-12-02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연수탱크
KR100814612B1 (ko) * 2006-12-26 2008-03-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474B1 (ko) * 1999-08-05 2002-09-1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연수기
KR100926077B1 (ko) * 2008-10-29 2009-11-11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57Y1 (ko) * 2002-09-02 2002-12-02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연수탱크
KR100814612B1 (ko) * 2006-12-26 2008-03-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118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05B2 (en) Water control valve
US31520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ion exchange resin
US8398850B2 (en) Water treatment feeder device and a water treatment feeder system
JP7362624B2 (ja) タンクの水垢防護手段を備えた水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KR101946626B1 (ko) 연수기
US8349183B2 (en) Water conditioner assembly
US4104165A (en) Water softening system
MX351306B (es) Sistema de tratamiento de agua.
US10495230B1 (en) Piston valve with annular passages
KR101874012B1 (ko) 다기능 필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연수기
KR20150062887A (ko) 전환 밸브 모듈을 포함하는 연수기
US6290845B1 (en) Water softener tank
KR102376601B1 (ko) 수처리 샤워장치
JPH09187681A (ja) 薬剤徐放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及び薬剤徐放カートリッジ
CN201864629U (zh) 家用软水器
KR20080005511U (ko) 연수기의 재생장치
KR101069014B1 (ko) 재생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3086603A3 (en) Chlor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01902A (ko) 필터장치
US3433259A (en) Water softening valve
CA1119324A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592789B1 (ko)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US11808366B1 (en) Piston valve with annular passages
KR20190035294A (ko) 연수기의 재생 수행 방법
KR20040047152A (ko) 샤워기에 직결되는 자동재생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