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286B1 -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286B1
KR101946286B1 KR1020180092247A KR20180092247A KR101946286B1 KR 101946286 B1 KR101946286 B1 KR 101946286B1 KR 1020180092247 A KR1020180092247 A KR 1020180092247A KR 20180092247 A KR20180092247 A KR 20180092247A KR 101946286 B1 KR101946286 B1 KR 10194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 analog
analog
lab
workbench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덴탈
Priority to KR102018009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식재된 픽스쳐에 조립되어야 할 어버트먼트의 제작하는 과정에서 랩 아날로그를 고정하여 작업하기 위한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를 개시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는 치과용 임플란트 세트에 포함되는 랩 아날로그를 고정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있어서, 원반 형태의 몸체; 랩 아날로그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몸체 상에 형성되는 고정 홀; 및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커버 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Jig for lab analog of dental implant}
이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식재된 픽스쳐에 조립되어야 할 어버트먼트의 제작하는 과정에서 랩 아날로그를 고정하여 작업하기 위한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제조회사마다 또는 모델마다 다른 구조와 형태로 공급되고 있으며, 하나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세트에 포함되는 구성 부품의 수에도 차이가 있다.
도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10)는 이의 뿌리를 대신하여 환자의 잇몸에 식재되는 픽스쳐(Fixture, 12), 픽스쳐(12)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14), 어버트먼트(14)의 상부를 감싸며 환자의 치아를 대신하는 크라운(Crown, 16)으로 구성된다. 한편, 환자에게 치과용 임플란트(10)가 완전히 시술되기 전까지의 단계에서 필요한 구성품을 포함하게 되면, 픽스쳐(12), 어버트먼트(14), 크라운(16) 이외에 랩 아날로그(Lab Analog, 20) 및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 등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앞서도 설명하였지만,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은 제조사별로 모델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분이 완전한 구분은 아닌 것은 참고해야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10)는 환자의 잇몸에 식재된 픽스쳐(12)가 아물기까지 약 3~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치과용 임플란트(10)를 시술받는 환자의 치아 형태로 모델링되는 크라운의 제작까지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시간적인 제약, 그리고 실질적인 치료와 처방은 치과에서 치과의사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환자의 치아를 대신할 크라운(16)의 제작은 기공소에서 기공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공간적인 제약 등에 의해서 환자에게 치과용 임플란트가 완전히 시술되는 중간 과정에서 1회 사용된 후 폐기되는 랩 아날로그(20) 및 힐링 어버트먼트 등과 같은 구성품이 필요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10)의 시술 과정에서 1회 사용되고 폐기되는 랩 아날로그(20)는 그 외형이 환자의 잇몸에 식재되어 있는 픽스쳐(12)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는 기공소에서 픽스쳐(12)에 조립되기 위한 어버트먼트(14)와 크라운(16)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잇몸에 식재되어 있는 픽스쳐(12)와 동일한 조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기공소에서는 환자의 잇몸에 식재되어 있는 픽스쳐(12)를 대신하여 랩 아날로그(20)에 어버트먼트(14)를 조립한 상태에서 크라운(16)을 가공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크라운(16)의 모델링이 완성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4)는 랩 아날로그(20)에 조립이 된 상태에서 기공소에서 치과로 운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랩 아날로그(20)는 그 길이가 1~3cm 정도로 작아 기공사가 맨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4) 상에 크라운(16)을 제작할 수 없기에, 일반적으로는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별도의 지그(30)에 하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그를 흔히 스톤(ston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톤과 같은 지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랩 아날로그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석고 등으로 성형해야 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치과에서의 주문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랩 아날로그를 스톤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해야 함에 따라서 기공소에서의 전체적인 작업 공정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597389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938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597392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64677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273394호 일본특허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07276호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 치과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식재된 픽스쳐에 조립되어야 할 어버트먼트의 제작하는 과정에서 랩 아날로그를 고정하여 작업하기 위한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는 치과용 임플란트 세트에 포함되는 랩 아날로그를 고정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있어서, 원반 형태의 몸체; 랩 아날로그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몸체 상에 형성되는 고정 홀; 및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커버 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서 몸체의 하부에 고정 홀과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패킹 조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는 돔 형태를 이루며 몸체에 조립시 하단 둘레가 커버 시트 상에 하단이 접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서 몸체는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회전 몸체와 회전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외곽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서 회전 몸체에는 고정 홀에 조립되는 랩 아날로그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의하면 기공소에서 크라운 등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의하면 커버의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사시도.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단면도.
도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도면.
도6 및 도7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구성도.
도8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단면도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도면이며, 도6 및 도7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구성도이며, 도8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를 랩 아날로그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 작업대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의 몸체(110)는 적어도 2단을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는 중앙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의 둘레에는 중앙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는 둘레부가 형성된다.
몸체(110)의 중앙부에는 랩 아날로그(200)의 하부가 삽입되는 고정 홀(120)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홀(120)은 랩 아날로그(200)의 하측 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의 몸체(110) 하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킹 조립홈(140)이 고정 홀(120)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의 몸체(110)에는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돔 형태의 커버(160)가 씌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버 시트(150)가 형성된다. 커버 시트(150)는 몸체(110)에 대하여 커버(160)가 조립된 상태에서 먼지 등이 쉽게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가능한 기밀이 잘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의 몸체(110)는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회전 몸체(112)와, 회전 몸체(112)의 외부를 감싸는 외곽 몸체(114)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몸체(112)는 외곽 몸체(114)의 내측에 조립된 상태에서 베어링(116) 등의 매개수단을 통해서 외곽 몸체(1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공소의 작업자는 외곽 몸체(114)를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회전 몸체(112)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 몸체(112)의 외주면에는 논스립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홀(120)에 랩 아날로그(200)의 하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112)에 대하여 랩 아날로그(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 몸체(112) 상에는 고정수단(13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130)은 나사결합 등의 방식이 적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7 및 도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몸체(110)에 형성된 고정 홀(120)에 랩 아날로그(200)의 하단을 삽입시키고, 고정수단(130)을 조여 랩 아날로그(200)가 몸체(110)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를 테이블에 올려놓은 상태 또는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크라운을 가공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도9는 크라운을 모델링하는 작업을 하던 중, 혹은 크라운을 모델링하는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커버(160)를 씌워둔 상태의 도면이다.
도10은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패킹 조립홈(140)에 패킹(170)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110)의 하부가 패킹(170)에 의해서 닫힌 상태가 됨으로써 도9에서 보이는 경우에 비하여 기밀성이 더 좋게 된다.
도11은 이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2피스(2 piece)로 구성된 랩 아날로그(200)의 하부몸체를 미리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100)의 몸체(110)에 미리 끼워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기공소에서는 치과의 주문이 있을 경우에 비로소 해당 랩 아날로그를 작업대에 고정하는 작업부터 수행함에 따라서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었으나, 이처럼 사전에 랩 아날로그(200)를 고정시켜 두면 치과의 주문에서부터 납품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제조사별로 또는 모델별로 형태가 다른 랩 아날로그의 형태가 다른데, 랩 아날로그의 하부몸체 부분의 형태를 갖게 하여 상호 호환될 수 있게 하면 그동안 1회성으로 소비되고 폐기되었던 임플란트 부품의 일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랩 아날로그 작업대 110 : 몸체
112 : 회전 몸체 114 : 외곽 몸체
116 : 베어링 120 : 고정 홀
130 : 고정수단 140 : 패킹 조립홈
150 : 커버 시트 160 : 커버
170 : 패킹 200 : 랩 아날로그

Claims (6)

  1. 치과용 임플란트 세트에 포함되는 랩 아날로그를 고정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에 있어서,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외곽 몸체;
    랩 아날로그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몸체 상에 형성되는 고정 홀; 및
    상기 회전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커버 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 홀과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는 패킹 조립홈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조립홈의 하부에는 패킹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돔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커버 시트 상에 접하도록 조립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에는 상기 고정 홀에 조립되는 랩 아날로그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6. 삭제
KR1020180092247A 2018-08-08 2018-08-08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KR10194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47A KR101946286B1 (ko) 2018-08-08 2018-08-08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47A KR101946286B1 (ko) 2018-08-08 2018-08-08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286B1 true KR101946286B1 (ko) 2019-02-11

Family

ID=6536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47A KR101946286B1 (ko) 2018-08-08 2018-08-08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45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유니덴탈 치과 임플란트 제작용 랩 아날로그와 스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5008A1 (en) 2007-05-29 2009-08-27 Immediate Implant Technologies, Llc Oral Implant Placement System and Method
WO2017178197A1 (en) * 2016-04-14 2017-10-19 Valoc Ag Cementing a dental restoration to a b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5008A1 (en) 2007-05-29 2009-08-27 Immediate Implant Technologies, Llc Oral Implant Placement System and Method
WO2017178197A1 (en) * 2016-04-14 2017-10-19 Valoc Ag Cementing a dental restoration to a b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45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유니덴탈 치과 임플란트 제작용 랩 아날로그와 스톤
KR102303708B1 (ko) * 2019-10-18 2021-09-17 주식회사 유니덴탈 치과 임플란트 제작용 랩 아날로그와 스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US7393210B2 (en) Dental implant device and correction device therefor
KR101333416B1 (ko) 인공치아 가공기의 어버트먼트용 지그
EP1704829B1 (en) Abutment set for a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KR20060056898A (ko) 보철 마운팅 장치 및 어셈블리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KR101946286B1 (ko)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작업대
WO2015194449A1 (ja) 人工歯
KR102407250B1 (ko) 임플란트 3d 프린팅 모형용 랩 아날로그
KR101790839B1 (ko)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11446122B2 (en) Dental abutment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abutment
JP2008246131A (ja) ジルコニア製インプラントブリッジの作製方法
CN105555224A (zh) 利用计算机辅助设计、计算机辅助制造的定制型牙科用种植牙种植体的制造方法
KR101753161B1 (ko) 어버트먼트 가공장치
US20100086900A1 (en) Coping-analogue kit
KR102086403B1 (ko) 치아 보철물용 내부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금속 구조체
KR101997032B1 (ko) 치과 수복물 가공용 가공테이블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수복물 가공방법
KR20210046145A (ko) 치과 임플란트 제작용 랩 아날로그와 스톤
JP2023145659A (ja) 歯科用ブランク
KR101823099B1 (ko) 티타늄 소재의 베이스와 세라믹 소재의 크라운으로 구성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200491790Y1 (ko) 치과 임플란트용 랩 아날로그
JP2020531069A (ja) ブランクの配置方法
JP2014198132A (ja) スキャニング器具
KR101629960B1 (ko)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작을 위한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작방법
KR20210017176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