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022B1 -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022B1
KR101946022B1 KR1020160127063A KR20160127063A KR101946022B1 KR 101946022 B1 KR101946022 B1 KR 101946022B1 KR 1020160127063 A KR1020160127063 A KR 1020160127063A KR 20160127063 A KR20160127063 A KR 20160127063A KR 101946022 B1 KR101946022 B1 KR 101946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comments
user
servic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035A (ko
Inventor
윤정환
오경환
김군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0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06F17/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여부와 참여 정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는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은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 또는 댓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댓글 입력을 지원하며, 상기 댓글 및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댓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통해 확인하는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댓글 또는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이 수신되면,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s, display of replies}
본 발명은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여부와 참여 정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는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 홈 페이지, 블로그 등과 개인 컨텐츠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포털 서비스는 물론 기타 미디어 서비스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이 사용자의 댓글 입력을 허용하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 또는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의견을 댓글 형식으로 다른 사용자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댓글이란 '대답하다, 응수하다'를 뜻하는 영어 단어 '리플라이(reply)'를 한국어로 옮긴 것으로, 형태상 한자어 접두사 '대(對)'와 사이시옷(ㅅ)+'글'로 분해된다. 뜻대로 해석하면 '대답하는 글, 상대하는 글' 또는 줄여서 '답글' 정도로 풀이된다. '리플라이'를 줄여서 '리플'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댓글 서비스는 단순히 다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순서대로 댓글을 표시함으로써, 댓글의 수가 증가하면, 댓글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표시되는 페이지를 스크롤하거나 이동함으로써 확인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에는 댓글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추천, 비추천 등의 평가 입력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 또는 댓글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으나 단순히 추천, 비추천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제공할 뿐, 다양한 관점에서 댓글을 분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7784호, 2009년 9월 10일 등록(명칭: 콘텐트에 대한 코멘트를 기반으로 한 집단 감성 정보 검색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댓글을 읽거나 쓰는 동안 새로 입력된 다른 사용자들의 댓글이나,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또 다른 댓글, 추천 등의 선호도 정보 등 다수의 사용자의 반응 여부와 참여 내용을 해당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은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 또는 댓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댓글 입력을 지원하며, 댓글 및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댓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통해 확인하는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댓글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이 수신되면,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서비스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댓글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을 표시하고,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댓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댓글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이 수신되면,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댓글 인디케이터는 각 댓글에 대응하여 생성된 다수의 바(ba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댓글이 수신되면, 댓글에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댓글의 개수만큼 댓글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카운팅한 댓글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각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인기도 및 신선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의 길이, 색상, 명도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반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기도는 각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총 개수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는 인기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댓글과 그렇지 않은 댓글이 구분되도록 댓글에 대응하는 바의 길이, 색상, 명도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선호도 정보가 긍정의 선호도 정보 또는 부정의 선호도 정보인지 여부에 따라 댓글이 구분되도록, 댓글에 대응하는 바의 길이, 색상, 명도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신선도는 각 댓글의 입력 완료 시간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입력 완료 시간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각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인기도 및 신선도를 기초로 분석하여 댓글 순위 정보를 산정한 후, 댓글 순위 정보를 기초로 바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댓글 순위 정보에 따라 일정 수의 바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각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인기도 및 신선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바에 기 설정된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는 바 중 어느 하나의 바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바의 댓글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댓글이 표시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은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및 댓글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을 표시하는 단계;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및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반응을 다양한 관점, 예컨대 댓글의 개수, 상기 댓글에 대한 선호도 정보의 개수 또는 그의 내용 등을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댓글에 대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반응을 해당 페이지를 수동으로 새로고침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이슈가 되는 댓글, 주목해야 할 댓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웹 페이지 또는 유무선 앱을 구성하는 각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10a, 10b),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다수의 단말(10a, 10b)은 서비스 장치(20)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특정 장치(웹 서버 등)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또는 댓글 입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서비스 장치(20) 또는 특정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란 개인 홈 페이지, 블로그 등과 같은 개인 컨텐츠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또는 포털 사이트, 신문 사이트 등과 같은 특정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유무선 웹 서비스(web service) 또는 유무선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 등 사용자의 댓글 입력을 지원하는 서비스라면 그 어떠한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게시된 컨텐츠에 대응하여 댓글을 입력하고, 입력된 댓글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에 대응하여 또 다른 댓글을 입력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a)은 게시된 컨텐츠에 대응하여 댓글을 입력한 상태의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제2 단말(10b)은 상기 댓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댓글을 입력한 상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유무선 웹 페이지 또는 유무선 어플리케이션의 댓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서비스 장치(20)는 특정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시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입력된 댓글이 수신되면, 상기 댓글에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상기 카운팅한 결과,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수신된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댓글 인디케이터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댓글 인디케이터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자바 스크립트와 같은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코드로 구현된다. 즉, 서비스 장치(20)는 현재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등록된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기 삽입된 코드에 의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한 후 이를 다수의 단말(10a, 10b)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실시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에 반영하여 다수의 단말(10a, 10b)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수신한 다수의 단말(10a, 10b)은 별도의 새로고침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정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댓글이 입력되거나 현재 이슈가 되는 댓글이 무엇인지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통신부(11), 저장부(12), 표시부(13), 제어부(14) 및 입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단말 또는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서비스 장치(20) 또는 별도의 웹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와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20)로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게시된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입력된 댓글을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을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 또는 별도의 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입력된 댓글을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댓글, 특정 웹 페이지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는 서비스 장치(20) 또는 별도의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게시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댓글 인디케이터가 활성화되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10)의 표시부(13)를 통해 특정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최초로 게시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101),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이 게시되는 영역(103) 및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할 수 있는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영역(1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부(1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구분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영역(105)은 화면의 상하좌우, 그 어디라도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 상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들은 제어부(14)의 제어 하에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는 단말(1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20) 또는 특정 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이 웹 페이지에 게시되도록 상기 댓글을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상기 표시부(13)를 통해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 중 어느 하나의 바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상기 바에 대응하는 댓글이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입력부(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4)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5)는 댓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15)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5)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1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단말(10)은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을 수신하고,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댓글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이 직접 게시되는 댓글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가 직접 다수의 단말(10a, 10b)로 특정 웹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단말(10a, 10b)로 상기 웹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입력된 댓글을 수신하고, 상기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표시할 수 있는 댓글 인디케이터 모듈을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통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단말(10a, 10b)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하는 것으로,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댓글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다수의 단말(10a, 10b)로 상기 댓글과 상기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입력되는 댓글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22)의 동작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서비스 제어부(22)는 특정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게시된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입력된 댓글이 수신되면, 수신되는 댓글에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댓글 인디케이터가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카운팅한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가 1,000개 이상일 경우에만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댓글 인디케이터는 댓글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다수의 바(bar)로 구성되는 데,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댓글의 개수만큼 상기 댓글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바를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댓글의 총 개수가 1,000개일 경우, 댓글 인디케이터는 1,000개의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기준, 다시 말해 각 댓글별로 인기도(popularity) 및 신선도(freshness)를 기준으로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인기도란 댓글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수로,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댓글의 총 개수 또는 상기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개수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댓글의 총 개수와 상기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개수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신선도란 해당 댓글이 최근에 작성된 댓글인지 또는 예전에 작성된 댓글인지를 나타내는 지수로, 각 댓글의 입력 완료 시간 또는 각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입력 완료 시간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22)가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구성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101),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하나 이상의 댓글이 표시되는 영역(103) 및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영역(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는 서비스 제어부(22)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역(105)을 통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댓글이 표시되는 영역(103)은 서비스 제어부(22)가 카운팅한 댓글의 총 개수(107),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113) 및 상기 댓글을 입력한 작성자 정보(109),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11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댓글(113)에 대응하여 또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115)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20)의 인터페이스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시키고,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영역(105)에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댓글의 총 개수가 3개일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바를 포함하는 댓글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각 댓글별로 인기도를 분석하고, 인기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댓글과 그렇지 않은 댓글이 구분되도록, 상기 댓글에 대응하는 바의 길이, 색상, 명도 중 어느 하나를 조정하게 된다. 예컨대,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가 100개이고, 제2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가 50개일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인기도가 높은 댓글과 그렇지 않은 댓글이 구분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117, 119, 121이 지시하는 바(bar)와 같이 그 길이를 달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댓글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의 개수를 긍정의 선호도 정보(예를 들면, '좋아요', '추천'), 부정의 선호도 정보(예를 들면, '싫어요', '비추천')를 카운팅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바의 길이, 색상, 명도 중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긍정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댓글에 대응하는 바와, 부정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댓글에 대응하는 바는 119 및 121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바의 길이를 서로 상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단순히 바의 길이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하는 구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의 길이뿐 아니라, 바의 너비, 색상 및 명도 등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는 다수의 댓글에 대응하는 바를 포함하는 댓글 인디케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댓글 인디케이터는 댓글의 총 개수, 예컨대 어느 하나의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댓글(제1 댓글 및 제2 댓글 모두 포함)의 총 개수가 1, 485개일 경우, 제어부(14)는 상기 댓글의 개수만큼 대응하는 바를 생성하고 이를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영역(105)을 통해 표시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123이 지시하고 있는 바(bar)는 댓글에 대하여 입력된 긍정의 선호도 정보의 개수가 높은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127이 지시하는 바(bar)는 댓글에 대한 부정의 선호도 정보의 개수가 높은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댓글에 대응하는 바의 길이를 통해 상기 댓글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데, 다른 사용자로부터 많은 댓글이 입력된 댓글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많은 선호도 정보가 입력된 댓글은 다른 사용자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댓글의 개수 또는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개수에 따라 바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이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댓글의 수가 일정 개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댓글에 대응하는 바 영역의 일정 영역을 통해 이를 표현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129와 같이,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댓글의 개수가 일정 개수, 예컨대 100개 이상일 경우, 상기 바의 일정 영역의 색상, 명도 중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수의 댓글 중 다른 사용자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댓글이 무엇인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의 현재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지시하고 있는 댓글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125와 같이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데, 예컨대 표시부(13) 상에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 상단에 위치하는 댓글,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댓글의 위치를 가리키도록 댓글 인디케이터의 특정 표식(125)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바 중 어느 하나의 바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에 대응하는 댓글이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131이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특정 위치에서 댓글이 입력되고 있을 경우, 말풍선 형태로 현재 댓글이 입력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133이 지시하는 바(bar)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133이 지시하는 바(bar)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133이 지시하는 바(bar)에 대응하는 댓글이 요약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댓글 인디케이터는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단순히 표시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댓글로의 자유로운 이동, 현재 댓글이 입력되고 있는 위치 등을 표시하는 네비게이터(navigator)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상기 댓글에 대응하는 바의 길이, 너비, 색상 또는 명도를 통해 표시하는 것과 동시에 기 설정된 특정 효과, 예컨대 바의 깜박거림, 물결 형태의 이동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제1 댓글, 상기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2 댓글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기도 및 신선도를 산출하고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함수를 통해 댓글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제2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3 댓글도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수학식 1]
Comments Index(CI) = F(P, F) (여기서, P는 인기도(Popularity), F는 신선도(Freshness)임)
상기 함수 F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다양한 함수가 적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인기도 및 신선도의 합 또는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산출된 댓글 지수를 기초로 댓글 순위 정보를 산정하고, 이를 기초로 바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일정 수의 바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댓글이 먼저 입력된 후에, 상기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제2 댓글이 입력되었다 하더라도 제2 댓글에 대한 댓글 순위가 높을 경우, 제2 댓글에 대응하는 바를 먼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그 다음에 제1 댓글에 대응하는 바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위 100개에 해당되는 바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인 댓글 분석을 위한 댓글 분석 모듈(22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다양한 관점, 예컨대 댓글의 개수, 상기 댓글에 대한 선호도 정보의 개수 또는 그의 내용 등을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댓글은 물론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많은 댓글 중 사용자의 반응이 높은 댓글로 쉽게 이동하거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저장부(23)는 댓글 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다수의 단말(10a, 10b)로부터 입력된 댓글(23a)을 부여된 댓글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댓글(23a)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댓글(23a)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댓글 인디케이터(23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되는 댓글(23a), 댓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10a, 10b) 및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예컨대 특정 유무선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특정 컨텐츠가 게시된 상태라 가정한다.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다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은 댓글을 입력하여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게시할 수 있다(S101 ~ S103).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10a)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제1 댓글을 입력한 단말이며, 상기 제2 단말(10b)은 상기 제1 단말(10a)이 입력한 제1 댓글에 대응하여 제2 댓글을 입력한 단말이라 가정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다수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S105). 이때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제1 댓글의 수만을 카운팅할 수도 있다. 카운팅한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S107), 서비스 장치(20)는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시키게 된다(S109). 이때의 댓글 인디케이터는 상기 댓글의 총 개수에 대응하는 바를 포함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기 설정된 인기도 및 신선도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S111), 분석 결과를 댓글 인디케이터에 반영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13).
이후, 상기의 분석 결과를 상기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표시하고 있는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로 전송하게 된다(S115 ~ 117)
여기서, 서비스 장치(20)는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생성된 댓글의 개수,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생성된 선호도 정보의 개수 또는 긍정의 선호도 정보의 개수, 부정의 선호도 정보의 개수 등과 같이 개수를 기준으로 인기도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바의 길이, 명도, 색상 중 어느 하나를 달리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으며, 댓글 또는 선호도 정보의 입력 시간 정보를 기초로 신선도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기도 및 신선도를 기초로 댓글에 대한 댓글 순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댓글 순위 정보에 따라 바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상위 N개에 해당하는 댓글에 대응하는 바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댓글 인디케이터는 해당 댓글로의 이동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각각의 댓글에 대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반응을 한 눈에 확인하는 것은 물론, 특정 댓글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댓글의 개수, 댓글에 대응하여 생성된 선호도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바의 길이, 색상, 명도 등을 제어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관점, 예컨대 댓글 내의 입력된 텍스트를 분석하고 긍정의 표현이 포함되는 지 부정의 표현이 포함되는 지 여부를 따라 분석할 수 있으며, 댓글의 총 입력된 문자수를 기초로 분석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여부와 참여 정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는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일목요연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는 특정 주제, 컨텐츠에 대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반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10a: 제1 단말 10b: 제2 단말
11: 통신부 12: 저장부 13: 표시부
14: 제어부 15: 입력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2a: 댓글 분석 모듈
23: 서비스 저장부 23a: 댓글 23b: 댓글 인디케이터
30: 통신망 100: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

Claims (16)

  1. 삭제
  2. 서비스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을 표시하고, 각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총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인기도를 표시할 수 있는 댓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이 게시되는 영역 및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할 수 있는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을 카운팅한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댓글 또는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이 수신되면, 각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총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인기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단말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이 게시되는 영역 및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할 수 있는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을 카운팅하여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서비스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게시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댓글 또는 상기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 중 하나 이상의 댓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각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의 총 개수 또는 댓글에 대응하여 입력된 선호도 정보의 총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인기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분석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여 댓글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이 게시되는 영역 및 상기 댓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표시할 수 있는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 댓글을 카운팅하여 댓글의 총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댓글 인디케이터를 활성화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16. 삭제
KR1020160127063A 2016-09-30 2016-09-30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46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63A KR101946022B1 (ko) 2016-09-30 2016-09-30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63A KR101946022B1 (ko) 2016-09-30 2016-09-30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698A Division KR101781939B1 (ko) 2012-10-16 2012-10-16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035A KR20160119035A (ko) 2016-10-12
KR101946022B1 true KR101946022B1 (ko) 2019-02-08

Family

ID=5717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63A KR101946022B1 (ko) 2016-09-30 2016-09-30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34B1 (ko) 2016-12-07 2017-11-13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동일 사용자의 닉네임 목록을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26107A (ko)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에코브릿지컴퍼니 댓글에 기반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
KR102476662B1 (ko) * 2020-11-11 2022-12-12 신하영 다수의 사용자의 코멘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5062155A (zh) * 2022-08-18 2022-09-16 广州市千钧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间评论快速审核的方法、装置及相关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4761A (ja) 2003-05-12 200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由意見分析システム
US20120011006A1 (en) 2010-07-09 2012-01-12 Richard Schultz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Analysis Of Opinion Dat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84B1 (ko) 2007-12-24 2009-09-21 한성주 콘텐트에 대한 코멘트를 기반으로 한 집단 감성 정보 검색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4761A (ja) 2003-05-12 200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由意見分析システム
US20120011006A1 (en) 2010-07-09 2012-01-12 Richard Schultz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Analysis Of Opinion Dat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윤정 외 3명. 'TRIB: 블로그 댓글 분류 및 시각화 시스템.' 정보처리학회논문지 D, 제16-D권, 제5호, pp. 817-824. 2009.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035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448B2 (en) Web page ad slot identification
KR101946022B1 (ko)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145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personalized home screens respective of user queries
US10061760B2 (en) Adaptive layout of content in a digital magazine
EP3155501B1 (en) Accessibility detection of content properties through tactile interactions
CN105320425A (zh) 基于场境的用户界面的呈现
CN103309927A (zh) 用于基于用户活动的动态内容更新的方法和系统
MX2014006732A (es) Herramienta de analisis rapido para programas de aplicacion de hoja de calculo.
KR101781939B1 (ko) 댓글을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6033361A (zh) 一种应用页面呈现、应用页面数据更新方法及装置
US20190066536A1 (en) Braille generator and converter
JP2015518227A (ja) 装置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ホーム画面を動的に表示するための方法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U20142090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URL handling
US10747755B2 (en) Method for providing immediate result for user input, and apparatus therefor
JP2020525933A (ja) グラフィカルキーボード内からの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へのアクセス
US202203182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creation and moderation in a digital platform
KR20150106180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03354B1 (ko) 지도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37633A (ko) 웹 브라우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US10163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user engagement data received from a user with portions of a webpage visited by the user
CN110888583A (zh) 页面显示方法、系统、装置和电子设备
US11902223B2 (en) Intelligent assistant content generation
JP71444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6203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an inventory database with automatic lab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