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388B1 -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388B1
KR101945388B1 KR1020170137275A KR20170137275A KR101945388B1 KR 101945388 B1 KR101945388 B1 KR 101945388B1 KR 1020170137275 A KR1020170137275 A KR 1020170137275A KR 20170137275 A KR20170137275 A KR 20170137275A KR 101945388 B1 KR101945388 B1 KR 10194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molding
forming
bui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묵
김해규
Original Assignee
최광묵
김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묵, 김해규 filed Critical 최광묵
Priority to KR102017013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8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건축용 마감재의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압출부(100)와; 상기 압출부(100)의 토출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성형부(200)와; 상기 성형부(200)의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상기 성형부(200)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Manufacturing system for flooring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건축용 마감재의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마감재는 금속, 석재나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금속재질의 마감재는 화재 시 화염과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단열성능 및 차음성능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석재재질의 마감재는 화재 시 화염과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가공 및 시공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비교적 큰 단점이 있다.
한편 목재재질의 마감재는 제조비용이 금속재질이나 석재재질의 마감재에 비하여 적어 비교적 경제적인 이점이 있으나 강도가 취약하고 화재 시 화염과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며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석재재질 및 목재재질의 장점을 모두 살린 인공 마감재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 등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는, 석분, 목분 및 수지를 혼합 및 교반한 후, 석분, 목분 및 수지의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함으로써, 석재, 목재 및 합성수지의 장점을 함께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고, 화재 시 화염과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성능 및 차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의 마감재는, 석분, 목분 및 수지를 혼합 및 교반한 후, 석분, 목분 및 수지의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에 있어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의 마감재는, 판상부재(제1부재, 블록, 제2부재 등)들로 성형한 후 복수의 판상부재들을 적층시켜 중간 부분에 연장홀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의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판상부재의 성형, 판상부재의 적층 과정을 거쳐 제조됨에 따라 그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며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로부터 마감재를 인라인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 및 제조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압출부(100)와; 상기 압출부(100)의 토출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성형부(200)와; 상기 성형부(200)의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상기 성형부(200)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성형부(200) 및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 사이에는, 상기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를 가압 및 냉각을 수행하는 가압냉각부(4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이동된 후 절단하는 절단부(510) 및 상기 절단부(510)에 의하여 절단된 건축용 마감재(10)가 적재되는 적재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판상의 건축용 마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여 압출된 건축용 마감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과정이 간단하며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복수의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에 있어서 판상의 부재 성형 후 적층과정없이 압출 및 냉각 과정을 거쳐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과정이 간단하며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중 압출부 및 성형부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서 Ⅴ-Ⅴ방향의 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길이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중 가압냉각부(4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중 수평이동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3의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중 절단부 및 적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압출부(100)와; 압출부(100)의 토출부(120)에 결합되어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성형부(200)와; 성형부(200)의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성형부(200)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건축용 마감재(1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조될 건축용 마감재(10)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건축용 마감재(10)는, 예로서 건물 등의 벽면, 바닥면 등에 설치되어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부재로서 설치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건축용 마감재(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에는 나무 문양, 목재문양 등의 문양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필름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마감재(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면 가압 등을 통하여 표면에 다양한 문양효과의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용 마감재(10)는, 일예로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마감재(1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미관을 위한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은, 미관을 위한 구성으로서 표면에 목재무늬 등이 형성된 합성수지, 자연 그대로의 느낌 및 촉감, 건강을 위하여 친환경 소재인 목재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마감재(10)의 하면은,건물의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건축용 마감재(10)의 하면이 바닥이나 벽면에 시멘트나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건축용 마감재(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요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요홈(12)은, 건축용 마감재(10)의 하면이 바닥이나 벽면에 시멘트나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건축용 마감재(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써 그 숫자 및 폭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용 마감재(10)는, 부재의 자중의 감소, 층간 소음 전달의 최소화 등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장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홀(11)은, 부재의 자중의 감소, 층간 소음 전달의 최소화 등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건축용 마감재(10)의 재질은,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을 거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의 판상부재로 분리된 후 일측면에 돌출홈이 형성되고 인접한 부재에 돌출홈이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가공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최종 형상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426880호에 개시된 마감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압출부(100)는,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압출부(100)에 의하여 공급되는 성형물질은, 건축용 마감재(10)의 성형을 위한 물질로서 별도의 교반장치에 의하여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부(100)에 대한 성형물질의 공급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측에 설치되어 성형물질을 이송하는 성형물질이송부와, 상측에서 성형물질을 공급받아 압출부(100)의 일단으로 주입하도록 하는 성형물질공급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부(100)는, 일예로서 일단에서 성형물질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성형물질을 타단에 결합된 성형부(200)로 성형물질을 압출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141) 및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하여 일단에서 성형물질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성형물질을 타단에 결합된 성형부(200)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스크류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부(100)와 성형부(200)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주입부를 가지는 성형부(200)에 대한 성형물질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성형물질가이드부(2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성형물질가이드부(250)는, 압출부(100)와 성형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주입부를 가지는 성형부(200)에 대한 성형물질의 원활한 공급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성형물질가이드부(250)은, 단면형상이 원형인 압출부(100)의 토출부(120)와 형합되는 일단을 가지며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인 성형부(100)와 형합되는 타단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부(200)는, 압출부(100)의 토출부(120)에 결합되어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성형부(200)는,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판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함을 고려하여 건축용 마감재(1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공동부(203)이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200)는, 공동부(203)의 저면에 부착요홈(12)의 형성을 위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0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용 마감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하나 이상의 연장홀(11)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는데, 연장홀(11)의 형성을 위하여 성형부(200)는, 연장홀형성부(20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홀형성부(202)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연장홀(11)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는데, 연장홀(11)의 형성을 위하여 성형부(20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연장홀형성부(202)는, 압출부(200)에 인접한 쪽에서 성형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공동부(203)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202a)와, 일단이 돌출지지부(202a)의 상단과 결합되고 공동부(20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성형부(200)의 끝단으로 연장된 연장부(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202a)는, 압출부(200)에 인접한 쪽에서 성형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공동부(203)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연장부(202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202b)는, 일단이 돌출지지부(202a)의 상단과 결합되고 공동부(20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성형부(200)의 끝단-성형부(200)의 토출부-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연장부(202b)는, 일단이 돌출지지부(202a)의 상단과 결합되어 지지되고 나머지 부분은, 성형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됨으로써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물질이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연장홀(11)의 형성된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축용 마감재(10)는, 판상부재의 성형과 함께 연장홀(11)도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연장홀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한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제조비용 또한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성형부(200)는, 건축용 마감재(10)의 성형효과를 극대화하여 성형부(200)를 통과하는 성형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건축용 마감재(10)의 성형효과를 극대화하여 성형부(200)를 통과하는 성형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성형부(20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가열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열부는, 전기인가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성형부(200)를 이루은 하우징(250)의 내주면에 가열된 물이 흐르는 가열유로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는, 성형부(200)의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성형부(200)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된 컨베이어벨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는, 건축용 마감재(10)의 접촉상태의 유지 및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복수의 풀리(310)들에 의하여 회전되는 벨트부(322)와, 벨트부(3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벨트부(322)에 결합되는 판상의 결합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부(200)를 통과한 성형물질은, 고온 고압 상태에서 성형되면서 외부로 토출됨에 따라서 성형부(2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성형부(200) 및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 사이에는,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를 가압 및 냉각을 수행하는 가압냉각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냉각부(400)는, 성형부(200) 및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를 가압 및 냉각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압냉각부(400)는,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가 통과되도록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된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는,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가 통과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는,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가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가압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를 통과하는 건축용 마감재(10)의 두께가 가변될 수 있는바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는 상하로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하부가압냉각부(410)는,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부가압냉각부(410)가 상하로 이동되어 건축용 마감재(10)의 두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 중 적어도 하나는, 통과하는 성형물질을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바, 성형물질을 냉각하는 냉각부(41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412)는, 통과하는 성형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냉각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냉각부(412)는,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에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된 유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에는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입구(413) 및 배출구(414)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는, 여전히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바 추가 냉각을 위하여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의 후류 측에 설치된 보조냉각부(4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냉각부(420)는, 상부가압냉각부(410) 및 하부가압냉각부(41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조냉각부(420)는, 건축용 마감재(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421)와, 지지부(421)의 상측에 설치되어 건축용 마감재(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롤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냉각부(420)는, 복수의 이송롤러(422)의 상측에 설치되어 물을 건축용 마감재로 분사하는 물분사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는, 무한한 길이를 가질 수 없는바, 수평이동가이드부(300)의 끝단에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이동된 후 절단하는 절단부(510) 및 절단부(510)에 의하여 절단된 건축용 마감재(10)가 적재되는 적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510)는, 수평이동가이드부(300)의 끝단에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이동된 후 절단하는 구성으로서, 톱 등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적재부(500)는, 절단부(510)에 의하여 절단된 건축용 마감재(10)가 적재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적재부(500)는, 상측에 복수의 건축용 마감재(10)가 적층되는 경우 적재높이가 변동되는바,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별도의 추가공정없이 압출 성형을 통하여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방법으로서도 구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제조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정으로서,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압출단계와; 압출단계에서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단계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단계는,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한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는, 압출단계에서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한 성형부(2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단계는, 성형단계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한 수평이동가이드부(3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건축용 마감재
100 : 압출부 200 : 성형부
300 : 수평이동가이드부

Claims (3)

  1. 석분, 목분 및 수지가 혼합 및 교반된 성형물질을 압출하는 압출부(100)와;
    상기 압출부(100)의 토출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출부(100)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물질을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성형하는 성형부(200)와;
    상기 성형부(200)의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상기 성형부(200)에 의하여 성형된 판형상의 건축용 마감재(10)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200)는, 상기 건축용 마감재(1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공동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부(200)는, 상기 건축용 마감재(1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연장홀(11)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도록하는 연장홀형성부(202)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홀형성부(202)는, 상기 압출부(100)에 인접한 쪽에서 상기 성형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공동부(203)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202a)와, 일단이 상기 돌출지지부(202a)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공동부(20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성형부(200)의 끝단으로 연장된 연장부(20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200) 및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 사이에는, 상기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건축용 마감재(10)를 가압 및 냉각을 수행하는 가압냉각부(4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300)를 통과한 건축용 마감재(10)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이동된 후 절단하는 절단부(510) 및 상기 절단부(510)에 의하여 절단된 건축용 마감재(10)가 적재되는 적재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KR1020170137275A 2017-10-23 2017-10-23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4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275A KR101945388B1 (ko) 2017-10-23 2017-10-23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275A KR101945388B1 (ko) 2017-10-23 2017-10-23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388B1 true KR101945388B1 (ko) 2019-02-07

Family

ID=6536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275A KR101945388B1 (ko) 2017-10-23 2017-10-23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291A (ko) * 2020-11-18 2022-05-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열전도성 시트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704B1 (ko) * 2011-06-21 2011-10-14 (주)동신폴리켐 투광 조절용 복층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704B1 (ko) * 2011-06-21 2011-10-14 (주)동신폴리켐 투광 조절용 복층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291A (ko) * 2020-11-18 2022-05-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열전도성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411396B1 (ko) 2020-11-18 2022-06-22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열전도성 시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086B2 (en) Panel of roofing shingles
US20120292809A1 (en) Continuous forming system utilizing up to six endless belts
CN104070710A (zh) 一种木塑复合板及其制造方法
US8323545B2 (en) Co-extrusion process for making decorative moldings having simulated wood appearance and decorative molding made thereby
KR101945388B1 (ko) 건축용 마감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37994B1 (ko) 무늬 시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늬 시트 제조방법
US810068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oor mat using double conveyor system
KR101131687B1 (ko) 벽돌 제조장치
WO2022238858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panels
KR101601078B1 (ko)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US3798854A (en) Prefinished wallboard
CN111535544A (zh) 塑胶地板及塑胶地板的生产设备和生产工艺
CN109487982B (zh) 具数码打印的塑胶发泡地板及其制造设备与成型方法
CN110678615A (zh) 多层构建元件、其生产方法及生产线
EP4088949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nel
KR20180092428A (ko) 팽창질석보드의 제조방법
KR200396435Y1 (ko) 다층건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359582B1 (ko) 표면입체무늬 형성된 세멘트재 압출성형의 창문틀제조장치 및 그 창문틀
KR101330514B1 (ko) 복층 합성수지 패널의 굴곡성형장치
KR20200036856A (ko) 캘린더, 바닥판 생산라인 및 생산방법
KR100462159B1 (ko) 중공판재의 제조장치
KR102508737B1 (ko) 엠보싱 알루미늄 호일시트를 이용한 건식난방 시공방법
KR101581394B1 (ko) 엠보 형성이 가능한 금형
KR200244366Y1 (ko) 중공판재와 그 제조장치
KR20130047139A (ko) 복층 합성수지 패널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