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353B1 -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353B1
KR101945353B1 KR1020170154138A KR20170154138A KR101945353B1 KR 101945353 B1 KR101945353 B1 KR 101945353B1 KR 1020170154138 A KR1020170154138 A KR 1020170154138A KR 20170154138 A KR20170154138 A KR 20170154138A KR 101945353 B1 KR101945353 B1 KR 101945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tube
nozzle
combustion
angl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성
홍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5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6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7Rocket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이며,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로 추진기관의 연소관이 올려지는 경사 받침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기 연소관을 고정시키는 연소관 고정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 지지부, 상기 연소관의 노즐과 마주보게 위치되어 추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부를 포함하여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경사형 노즐의 경사 각도에 따라 연소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추진기관의 추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추력 시험의 정확도과 추력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VARIABLE GROUND COMBUSTION TES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RUST DIRECTION AND GROUND COMBUST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경사형 노즐을 가지는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 시 노즐의 경사각 만큼 연소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추진기관의 노즐은 연소가스의 운동에너지에 의한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추력을 발생시킨다.
추진기관은 모멘텀 추력과 압력 추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노즐의 중심축이 추진기관 연소실의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대형 발사체의 단분리 시점에서 동체 보호 및 액체 추진기관의 연료 공급 등 특수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추진기관의 경우 노즐의 중심축이 연소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계되는 경사형 노즐을 사용하고 있다.
추진기관은 지상 연소시험을 통해 주요 성능을 확인할 수 있고,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은 추진기관을 연소시험 치구에 고정시킨 후 추력이 발생하는 반대편에 즉, 노즐의 정면에 로드셀을 설치하고, 추진기관을 연소시켜 로드셀로 추진기관의 성능을 로드셀로 직접 측정하여 시험하고 있다.
그러나,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경우 노즐의 중심축이 로드셀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지상 연소시험 방법으로 추력을 로드셀로 측정하는 경우 노즐 경사각에 의해 손실이 발생된 추력을 측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 방법은 로드셀로 경사진 노즐에서 발생되는 추력을 직접 측정한 후 노즐 경사각에 의한 손실을 보정하고 있다.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 방법은 추력을 로드셀로 측정한 후 노즐 경사각에 의한 손실을 보정하더라도 실제 성능과 오차를 가지게 되고, 경사진 노즐의 방향에 의해 화염이 연소 시험장의 지표면이나 천장으로 분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 장치는 추진기관이 고정되는 연소시험 치구에서 경사진 노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직선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연소시험만 수행할 수 있었던 단점이 있었다.
선행특허 : 국내특허등록 제1046024호 '고속추진기관의 성능시험장치'(2011.06.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경사형 노즐의 경사 각도에 따라 연소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추진기관의 추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에 사용될 수 있는 지상 연소시험 장치이며,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로 추진기관의 연소관이 올려지는 경사 받침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기 연소관을 고정시키는 연소관 고정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 지지부, 상기 연소관의 노즐과 마주보게 위치되어 추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 지지부는 상단부 측이 상기 경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베이스 받침부 상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받침홈부에 삽입되는 받침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부재는 상기 받침홈부에 올려지는 받침바 및 상기 받침바의 양 단부 측에서 각각 세워져 상기 경사 받침부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단부 측이 경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각도 지지부의 하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도 지지부의 하단부 측을 전, 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각도 지지부의 하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받침부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블럭부재, 상기 이동블럭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며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이동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직선 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도 조절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 조절 제어부는 상기 노즐의 중심축방향이 상기 로드셀부의 추력 측정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각도로 위치되도록 경사 받침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경사 받침부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각도 조절 제어부로 전달하는 각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연소관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연소관 회전부; 및 상기 연소관의 노즐에 대한 경사 각도를 확인하는 노즐 각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관 고정부는 상기 연소관의 회전축과 상기 연소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연소관을 고정하는 제1연소관 고정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관 회전부는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연소관 고정척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 롤러부재 및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척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척 회전모터는 복수의 받침 롤러부재 중 어느 한 받침 롤러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상기 받침 롤러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의 외주면과의 마찰로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관 회전부는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이 내부에 위치되는 척 장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 장착되는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 상기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각도 측정부는 상기 노즐이 내부에 위치되는 원형의 노즐 삽입 공간이 구비된 노즐 삽입본체부재 및 상기 노즐 삽입본체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의 경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는 기준 평면에서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직선 상에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노즐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와 제2메인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하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의 사이에는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과 노즐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보조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서 상기 연소관 회전부와 상기 노즐 각도 측정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연소관의 회전축과 상기 연소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연소관을 고정하는 제2연소관 고정척 및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 가이드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이 내부에 위치되는 척 장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 장착되는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의 일 실시예는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 방법이며, 상기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사형 노즐의 중심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확인하는 상기 노즐의 경사 각도 확인단계, 상기 노즐의 경사 각도로 상기 연소관을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 상기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 후 상기 연소관을 연소시켜 로드셀부로 추력을 측정하는 추력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는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 받침부 상에 연소관을 올려놓고 연소관 고정부로 연소관의 위치를 고정한 다음 경사 받침부의 경사 각도를 노즐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각도 지지부로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경사형 노즐의 경사 각도에 따라 연소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추진기관의 추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추력 시험의 정확도과 추력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로 위치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에 대한 지상 연소시험이 가능하여 치구 제작에 따른 비용을 감소하고, 지상 연소시험 시 소요되는 전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소관 회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노즐 각도 측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은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연소 시험장의 바닥에 올려져 고정되는 베이스 받침부(100)를 포함한다.
베이스 받침부(100)의 일측에는 힌지축이 구비되고, 힌지축에는 경사 받침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경사 받침부(200)의 상부에는 추진기관(1)의 연소관(1a)이 올려지며 경사 받침부(200)의 상부에 올려지는 연소관(1a)은 연소관 고정부(21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연소관 고정부(210)는 연소관(1a)을 감싸 연소관(1a)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며, 연소관 고정부(2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로 연소관(1a)이 올려지고 연소관(1a)의 일부분을 감싸는 하부 고정부재(211), 하부 고정부재(2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소관(1a)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상부 고정부재(212)를 포함한다.
하부 고정부재(211)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제1플랜지부재(211a)가 구비되고, 상부 고정부재(212)에는 제1플랜지부재(211a)와 겹쳐져 위치되는 제2플랜지부재(212a)가 구비되어 하부 고정부재(211)와 상부 고정부재(212)는 제1플랜지부재(211a)와 제2플랜지부재(212a)가 겹쳐지게 위치한 후 볼트 체결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하부 고정부재(211)의 상부면은 연소관(1a)이 삽입되는 반원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부 고정부재(212)의 상부면은 연소관(1a)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형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연소관(1a)은 하부 고정부재(211)의 반원형 삽입부 내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하부 고정부재(211)의 상부로 상부 고정부재(212)가 볼트 체결로 결합됨으로써 경사 받침부(200)의 상부 측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연소관 고정부(210)는 경사 받침부(200)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어 연소관(1a)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추진기관(1)은 연소관(1a)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1b)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1)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연소관(1a)의 노즐(1b)은 중심축방향이 연소관(1a)의 중심축방향과 기울어진 경사 각도(α)를 가지고 연소관(1a)의 후측에 위치된다.
경사 받침부(200)는 베이스 받침부(100)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받침부(100)가 안착된 연소 시험장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 각도(α')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상부에 올려지는 연소관(1a)의 노즐(1b) 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는 각도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각도 지지부(300)는 상단부 측이 경사 받침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 측이 베이스 받침부(100) 상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받침홈부(110)에 삽입되는 받침대부재(301)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부재(301)는 받침홈부(110)에 올려지는 받침바(301a), 받침바(301a)의 양 단부 측에서 각각 세워져 경사 받침부(200)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바(301b)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베이스 받침부(100)의 상부면에는 받침대부재(301)의 하단부 즉, 받침바(301a)가 삽입되는 받침홈부(110)가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된다.
받침대부재(301)는 상단부 측이 경사 받침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복수의 받침홈부(1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경사 받침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경사 받침부(200)의 후측 즉, 경사 받침부(200)에 올려진 연소관(1a)의 후측에는 노즐(1b)과 마주볼 수 있도록 로드셀부(310)가 구비된다.
로드셀부(310)는 연소관(1a)의 노즐(1b)에서 발생되는 추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포함한다.
로드셀부(310)는 연소관(1a)이 연소될 때 노즐(1b)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측정하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경사 받침부(200)는 노즐(1b)의 중심축방향이 로드셀부(31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각도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는 노즐(1b)의 경사 각도(α)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노즐(1b)의 중심축방향이 로드셀부(310)의 수직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단부 측이 경사 받침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 지지부(300)의 하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도 지지부(300)의 하단부 측을 전, 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지지부(300)는 상단부 측에 경사 받침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제1힌지축(300a)이 구비되고, 하단부 측에 직선 이동부(40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제2힌지축(300b)이 구비된다.
직선 이동부(400)는 각도 지지부(300)의 하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베이스 받침부(100)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블럭부재(410), 이동블럭부재(41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며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스크류부재(420), 이동 스크류부재(420)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 이동부(400)는 스크류 회전모터(430)의 회전에 의해 이동 스크류부재(420)가 회전하고, 이동 스크류부재(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블럭부재(410)가 전, 후 이동하면서 경사 받침부(2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직선 이동부(400)는 유압 실린더, 레크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직선 이동 구조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도 조절 제어부(400a)를 더 포함하고,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노즐(1b)의 중심축방향이 로드셀부(310)의 추력측정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각도로 위치되도록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노즐(1b)의 경사 각도(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전달받아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가 노즐(1b)의 경사 각도(α)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를 감지하는 각도 감지센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도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를 전달받아 입력되거나 전달받은 노즐(1b)의 경사 각도(α)와 동일한 경사 각도(α')로 경사 받침부(20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각도 감지센서는 경사 받침부(200)의 하부 측 또는 베이스 받침부(100)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기울기가 변경되는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감지된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가 노즐(1b)의 경사 각도(α)와 동일할 때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을 정지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경사 받침부(200) 상에 위치되며 연소관 고정부(210)를 회전시키는 연소관 회전부(500), 연소관(1a)의 노즐(1b)에 대한 경사 각도(α)를 확인하는 노즐 각도 측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경사 받침부(200)의 상부에서 연소관 회전부(500)와 노즐 각도 측정부(700)의 사이에 위치되어 연소관(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소관 회전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연소관 고정부(210)는 연소관(1a)의 회전축과 연소관(1a)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연소관(1a)을 고정하는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연소관 고정척(213)은 중앙에 연소관(1a)이 위치되는 원형의 연소관 고정공간이 구비된 원형의 제1척본체부재(213a), 제1척본체부재(213a)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연소관 고정공간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전, 후 이동하여 연소관(1a)의 외주면을 물어 고정하는 복수의 제1조우부재(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관 고정공간은 전, 후면이 개방된 공간으로 연소관(1a)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1연소관 고정척(213)은 원형의 제1척본체부재(213a), 제1척본체부재(213a)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조우부재(213b)를 포함하는 것이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웨지 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웨지 플런저가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하면 이 웨지플런저에 결합된 제1조우부재(213b)가 가이드면을 따라 밀리는 이동 경사돌기로 인해 공작물을 클램핑시키는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로 풀려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제1조우부재(213b)를 동시에 전, 후 이동시키는 구조는 관체를 고정하는 공지의 관체 고정용 척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연소관 회전부(500)는 경사 받침부(20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 롤러부재(510),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회전시키는 척 회전모터(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롤러부재(510)는 경사 받침부(200) 상에 장착되는 제1롤러 장착브라켓트(51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척 회전모터(520)는 복수의 받침 롤러부재(510) 중 어느 한 받침 롤러부재(51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받침 롤러부재(510)의 외주면에는 제1척본체부재(213a)의 외주면 즉,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외주면과의 마찰로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찰부(511)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소관 회전부(500)는 척 회전모터(520)의 회전력을 벨트 또는 체인 등의 동력 전달구조를 이용하여 척 회전모터(520)의 회전력을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연소관 회전부(500)는 벨트 구조로 척 회전모터(520)의 회전력을 제1연소관 고정척(213)으로 전달하여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회전시키는 경우 전동 효율이 좋고 소음이 적은 V벨트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연소관 회전부(500)는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V벨트 또는 체인이 감겨질 수 있는 V벨트 풀리부 또는 스프로킷부, 척 회전모터(520)의 샤프트에 구비되며 V벨트 또는 체인이 감겨질 수 있는 V벨트 풀리부재 또는 스프로킷부재를 포함하여 V벨트 또는 체인으로 척 회전모터(520)의 회전력을 제1연소관 고정척(213)으로 전달하여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관 회전부(500)는 제1연소관 고정척(213)이 내부에 위치되는 척 장착공간이 구비되며 경사 받침부(200) 상에 장착되는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530),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53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530)는 경사 받침부(200) 상에 이격되게 세워지는 수직 프레임부와 2개의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원호 프레임부를 포함한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540)는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53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2롤러 장착브라켓트(54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롤러 장착브라켓트(540a)는 원호 프레임부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제1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540)는 제2롤러 장착브라켓트(54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제1연소관 고정척(213)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1연소관 고정척(213)의 위치를 지지한다.
연소관 회전부(500)는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회전시켜 제1연소관 고정척(213)을 관통하여 장착된 연소관(1a)을 회전시킴으로써 노즐 각도 측정부(700)로 노즐(1b)의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노즐(1b)의 중심축방향이 기준 평면인 경사 받침부(200)의 상부면에 대해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연소관(1a)을 위치시킴으로써 노즐(1b)이 기준평면을 기준으로 한 최대 각도인 노즐(1b)의 경사 각도(α)로 연소관(1a)이 정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도 6을 참고하면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600)는 연소관(1a)의 회전축과 연소관(1a)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연소관(1a)을 고정하는 제2연소관 고정척(610), 경사 받침부(20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연소관 고정척(6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 가이드 롤러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가이드 롤러부재(620)는 경사 받침부(200) 상에 장착되는 제3롤러 장착브라켓트(62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연소관 고정척(610)은 중앙에 연소관(1a)이 위치되는 원형의 연소관 고정공간이 구비된 원형의 제2척본체부재(611), 제2척본체부재(611)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연소관 고정공간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전, 후 이동하여 연소관(1a)의 외주면을 물어 고정하는 복수의 제2조우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관 고정공간은 전, 후면이 개방된 공간으로 연소관(1a)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2연소관 고정척(610)은 원형의 제2척본체부재(611), 제2척본체부재(61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조우부재(612)를 포함하는 것이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웨지 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웨지 플런저가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하면 이 웨지플런저에 결합된 제2조우부재(612)가 가이드면을 따라 밀리는 이동 경사돌기로 인해 공작물을 클램핑시키는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로 풀려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제2조우부재(612)를 동시에 전, 후 이동시키는 구조는 관체를 고정하는 공지의 관체 고정용 척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600)는 제2연소관 고정척(610)이 내부에 위치되는 척 장착공간이 구비되며 경사 받침부(200) 상에 장착되는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630),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63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연소관 고정척(6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제2연소관 고정척(610)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630)는 경사 받침부(200) 상에 이격되게 세워지는 수직 프레임부와 2개의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며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원호 프레임부를 포함한 아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640)는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63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4롤러 장착브라켓트(64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4롤러 장착브라켓트(640a)는 원호 프레임부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제2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640)는 제4롤러 장착브라켓트(64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연소관 고정척(6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제2연소관 고정척(6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2연소관 고정척(610)의 위치를 지지한다.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600)는 연소관을 제2연소관 고정척(610)으로 물어 고정하고, 제2연소관 고정척(6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연소관 회전부(500)에 의해 회전되는 연소관(1a)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소관(1a)이 연소관 회전부(500)의 회전 중심축과 연소관(1a)의 중심축방향이 일치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노즐 각도 측정부(7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을 참고하면 노즐 각도 측정부(700)는 노즐(1b)이 내부에 위치되는 원형의 노즐 삽입 공간(700a)이 구비된 노즐 삽입본체부재(710), 노즐 삽입본체부재(7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720)를 포함한다.
노즐 삽입 공간(700a)의 중심(C)을 연소관 회전부(500)의 회전 중심, 연소관(1a)의 중심축 방향과 직선 상에 위치된다.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720)는 기준 평면에서 노즐 삽입 공간(700a)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직선 상에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노즐(1b)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 제2메인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한다.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는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는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하부 측에 위치된다.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와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는 연소관 회전부(500)로 연소관(1a)이 회전될 때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노즐(1b)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와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의 사이에는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노즐(1b)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보조 거리측정센서(723)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 거리측정센서(723)는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와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의 사이에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노즐(1b)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여 노즐(1b)의 경사 각도(α)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연소관 회전부(500)와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720)는 각도 조절 제어부(40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연소관 회전부(500)로 연소관(1a)을 회전시키면서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와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 보조 거리측정센서(723)로부터 측정되는 거리 정보 즉,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노즐(1b)과의 사이 거리 정보를 전달받아 노즐(1b)의 경사 각도(α)를 확인한다. 즉, 각도 조절 제어부(400a)에는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연소관(1a)의 회전 중심 즉, 연소관(1a)의 중심축방향과의 거리가 입력되어 있고,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와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 보조 거리측정센서(723)로부터 측정되는 거리 정보 즉, 노즐 삽입 공간(700a)의 내주면과 노즐(1b)과의 사이 거리 정보를 전달받아 노즐(1b)의 경사 각도(α)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721)로 측정된 거리가 최대이고,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722)로 측정된 거리가 최소일 때 연소관 회전부(500)의 작동을 정지하여 노즐(1b)이 기준평면을 기준으로 한 최대 각도인 노즐(1b)의 경사 각도(α)로 연소관(1a)이 정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직선 이동부(400)를 작동시켜 확인된 노즐(1b)의 경사 각도(α)에 맞게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를 조절한다.
각도 조절 제어부(400a)는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변화되는 경사 받침부(200)의 각도를 각도 감지센서로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가 노즐(1b)의 경사 각도(α)와 동일할 때 직선 이동부(400)의 작동을 정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로써,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은 연소관(1a)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1b)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1)의 지상 연소시험 방법이며, 연소관(1a)의 중심축방향을 기준으로한 경사형 노즐(1b)의 중심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α)를 확인하는 노즐(1b)의 경사 각도 확인단계(S100), 노즐(1b)의 경사 각도(α)로 연소관(1a)을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S200),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 후 연소관(1a)을 연소시켜 로드셀부(310)로 추력을 측정하는 추력 측정단계(S300)를 포함한다.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S200)는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관(1a)의 경사 각도(α')를 조절한다.
즉,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S200)는 베이스 받침부(100)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 받침부(200) 상에 연소관(1a)을 올려놓고 연소관 고정부(210)로 연소관(1a)의 위치를 고정한 다음 경사 받침부(200)의 경사 각도(α')를 노즐(1b)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각도 지지부(300)로 경사 받침부(200)의 위치를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은 노즐(1b)의 중심축이 추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부(31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로드셀부(310)로 연소관(1a)의 추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은 경사형 노즐(1b)이 적용된 추진기관(1)의 경사형 노즐의 경사 각도(α)에 따라 연소관(1a)의 경사 각도(α')를 조절하여 추진기관(1)의 추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추력 시험의 정확도과 추력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로 위치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1)에 대한 지상 연소시험이 가능하여 치구 제작에 따른 비용을 감소하고, 지상 연소시험 시 소요되는 전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 추진기관 1a : 연소관
1b : 노즐 100 : 베이스 받침부
110 : 받침홈부 200 : 경사 받침부
210 : 연소관 고정부 211 : 하부 고정부재
211a : 제1플랜지부재 212 : 상부 고정부재
212a : 제2플랜지부재 213 : 제1연소관 고정척
213a : 제1척본체부재 213b : 제1조우부재
300 : 각도 지지부 300a : 제1힌지축
300b : 제2힌지축 301 : 받침대부재
301a : 받침바 301b : 회전바
310 : 로드셀부 400 : 직선 이동부
400a : 각도 조절 제어부 410 : 이동블럭부재
420 : 이동 스크류부재 430 : 스크류 회전모터
500 : 연소관 회전부 510 : 받침 롤러부재
510a : 제1롤러 장착브라켓트 511 : 마찰부
520 : 척 회전모터 530 :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
540 : 제1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 540a : 제2롤러 장착브라켓트
600 :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 610 : 제2연소관 고정척
611 : 제2척본체부재 612 : 제2조우부재
620 : 받침 가이드 롤러부재 620a : 제3롤러 장착브라켓트
630 :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 640 : 제2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
640a : 제4롤러 장착브라켓트 700 : 노즐 각도 측정부
700a : 노즐 삽입 공간 710 : 노즐 삽입본체부재
720 :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 721 :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
722 :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 723 : 보조 거리측정센서
S100 : 경사 각도 확인단계 S200 :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
S300 : 추력 측정단계

Claims (21)

  1. 삭제
  2.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에 사용될 수 있는 지상 연소시험 장치이며,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로 추진기관의 연소관이 올려지는 경사 받침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기 연소관을 고정시키는 연소관 고정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 지지부; 및
    상기 연소관의 노즐과 마주보게 위치되어 추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지지부는,
    상단부 측이 상기 경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베이스 받침부 상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받침홈부에 삽입되는 받침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부재는,
    상기 받침홈부에 올려지는 받침바; 및
    상기 받침바의 양 단부 측에서 각각 세워져 상기 경사 받침부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4.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에 사용될 수 있는 지상 연소시험 장치이며,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로 추진기관의 연소관이 올려지는 경사 받침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기 연소관을 고정시키는 연소관 고정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 지지부;
    상기 연소관의 노즐과 마주보게 위치되어 추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부; 및
    상단부 측이 상기 경사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각도 지지부의 하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도 지지부의 하단부 측을 전, 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각도 지지부의 하단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받침부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블럭부재;
    상기 이동블럭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며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이동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선 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도 조절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제어부는 상기 노즐의 중심축방향이 상기 로드셀부의 추력 측정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각도로 위치되도록 경사 받침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받침부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각도 조절 제어부로 전달하는 각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9.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에 사용될 수 있는 지상 연소시험 장치이며,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로 추진기관의 연소관이 올려지는 경사 받침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기 연소관을 고정시키는 연소관 고정부;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 지지부;
    상기 연소관의 노즐과 마주보게 위치되어 추력을 측정하는 로드셀부;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연소관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연소관 회전부; 및
    상기 연소관의 노즐에 대한 경사 각도를 확인하는 노즐 각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고정부는 상기 연소관의 회전축과 상기 연소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연소관을 고정하는 제1연소관 고정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회전부는,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연소관 고정척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 롤러부재; 및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척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척 회전모터는 복수의 받침 롤러부재 중 어느 한 받침 롤러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상기 받침 롤러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의 외주면과의 마찰로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마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회전부는,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이 내부에 위치되는 척 장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 장착되는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 상기 제1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연소관 고정척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각도 측정부는,
    상기 노즐이 내부에 위치되는 원형의 노즐 삽입 공간이 구비된 노즐 삽입본체부재; 및
    상기 노즐 삽입본체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의 경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각도 감지센서부는,
    기준 평면에서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직선 상에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노즐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와 제2메인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하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제2메인 거리측정센서의 사이에는 상기 노즐 삽입 공간의 내주면과 노즐과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보조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받침부의 상부에서 상기 연소관 회전부와 상기 노즐 각도 측정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소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연소관의 회전축과 상기 연소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연소관을 고정하는 제2연소관 고정척; 및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 가이드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이 내부에 위치되는 척 장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 받침부 상에 장착되는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
    상기 제2롤러 장착용 프레임부재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연소관 고정척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척회전 가이드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20. 삭제
  21.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에서 기울어진 중심축방향을 가지는 노즐이 구비되는 경사형 노즐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지상 연소시험 방법이며,
    상기 연소관의 중심축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사형 노즐의 중심축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확인하는 상기 노즐의 경사 각도 확인단계;
    상기 노즐의 경사 각도로 상기 연소관을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 및
    상기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 후 상기 연소관을 연소시켜 로드셀부로 추력을 측정하는 추력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관 위치 설정단계는 베이스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사 받침부 상에 연소관을 올려놓고 연소관 고정부로 연소관의 위치를 고정한 다음 경사 받침부의 경사 각도를 노즐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각도 지지부로 상기 경사 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KR1020170154138A 2017-11-17 2017-11-17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KR10194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38A KR101945353B1 (ko) 2017-11-17 2017-11-17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38A KR101945353B1 (ko) 2017-11-17 2017-11-17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353B1 true KR101945353B1 (ko) 2019-02-07

Family

ID=6536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138A KR101945353B1 (ko) 2017-11-17 2017-11-17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35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744B1 (ko) 차량용 머플러의 파이프 고정장치
US200702100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amping a tube in an orbital welder
WO20051106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tubes in an orbital welder
WO2013118917A1 (ja) 内径測定装置
CN113909766B (zh) 一种相贯线焊缝焊接设备及方法
KR101945353B1 (ko) 추력 방향 조절이 가능한 지상 연소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 연소시험 방법
KR20180116589A (ko) 파이프 용접 장치
KR102229338B1 (ko) 용접용 클램프
EP0623812A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on earth the thrust of thrusters for use in space
CN115854887B (zh) 一种距离测量机构及方法
CN115401376B (zh) 一种天然气lng管道的焊接用自动定位装置及方法
CN109048178A (zh) 一种环焊缝的自动焊接工装
KR102340605B1 (ko) 원통형 블록 조립을 위한 정렬지그 장치
CN105910758A (zh) 落体质心光心重合度测量机构、测量方法及调整方法
CN219978528U (zh) 一种用于工程测距的激光测距装置
KR930010452B1 (ko) 관로(管路)의 검사장치
CN215375164U (zh) 一种用于检测火电站施工焊缝的x射线探伤机
KR100622264B1 (ko) 원전 수조내 중수로형 핵연료다발 제원측정 및 검사기기
TWI700145B (zh) 銲道檢測裝置及方法
CN117308851B (zh) 一种桥梁钢结构角焊缝检测装置
CN220689999U (zh) 一种汽车部件焊接检具
CN219301532U (zh) 一种高精度墙面测距仪
JPH09216057A (ja) 管の変形防止溶接装置および方法
CN218883411U (zh) 一种小径管现场探伤用便携式x射线探伤仪的可调节支架
JP2002205250A (ja) 管端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