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036B1 - 자세 균형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균형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036B1
KR101945036B1 KR1020150191385A KR20150191385A KR101945036B1 KR 101945036 B1 KR101945036 B1 KR 101945036B1 KR 1020150191385 A KR1020150191385 A KR 1020150191385A KR 20150191385 A KR20150191385 A KR 20150191385A KR 101945036 B1 KR101945036 B1 KR 10194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data
load
measuring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141A (ko
Inventor
김명권
배창환
신영준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9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0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4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 측정자의 하중을 위치별로 분할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판상의 프레임 상부에 분할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를 통해 피 측정자의 하중을 분할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통해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는 연산단계와 상기 연산단계를 통해 판단된 자세 균형 결과를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세 균형 판단방법{pose balance judgment method}
본 발명은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 측정자의 하중을 위치별로 분할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자세 불균형시 관절과 근육에 무리가 오며,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들어 평균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자세 불균형으로 인한 척추 측만증이나, 근골격 장애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척추 측만증이나, 근골격 장애는 바른 자세를 통해 재활 치료를 수행해야 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바른 자세를 취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314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와 같이 혼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자세균형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반면, 종래의 자세 균형 진단장치는 단순히 앉은 자세 또는 서있는 자세의 균형에 대해서만 판단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활 치료를 요구하는 신경계 손상 환자의 재활이나 하지의 정형외과적 수술 이후 재활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314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이 불안정할 경우, 이를 피 측정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 측정자의 기립 또는 착좌 등의 자세의 종류에 관계없이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 측정자가 올바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은 판상의 프레임 상부에 분할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를 통해 피 측정자의 하중을 분할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통해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는 연산단계와 상기 연산단계를 통해 판단된 자세 균형 결과를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 이전에 피 측정자의 신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와 연산단계 사이에 동작 입력부를 통해 피 측정자가 취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동작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단계는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 중 하중이 측정되는 하중 측정부의 각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중 측정부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연산하고, 신체 부위에 따른 신체 부위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신체 부위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단계 이후에 도전성 전극부를 통해 접촉한 피 측정자의 신체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자극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극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측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형태로 측정단계, 연산단계, 안내단계, 자극단계는 반복 수행되며, 상기 자극단계를 통해 피 측정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가할 때 전기적 자극에 의한 하중 측정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극단계와 측정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의하면,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이 불안정할 경우, 이를 피 측정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의하면, 피 측정자의 기립 또는 착좌 등의 자세의 종류에 관계없이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에 의하면, 피 측정자가 올바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판상의 프레임 상부에 분할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를 통해 피 측정자의 하중을 분할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2)와 상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통해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는 연산단계(S3)와 상기 연산단계(S3)를 통해 판단된 자세 균형 결과(기울어진 방향 또는 올바른 자세를 위한 안내)를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는 안내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산단계(S3)는 기 설정된 각 하중 측정부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형태에 대해서 연산하여 각 하중 측정부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 중 하중이 측정되는 하중 측정부의 각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중 측정부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연산하고, 신체 부위에 따른 신체 부위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신체 부위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다른 신체 부위를 통해 접촉하고 있더라도 자세의 균형을 판단하고, 피 측정자에게 자세가 어느쪽으로 기울어 있는지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 측정자가 각 하중 측정부의 상부에 양측 발로 기립하고 있을 경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 중 하중이 측정되는 하중 측정부의 각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하여 하중 측정부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양측 발이라는 것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부터 양측 발로 기립한 상태의 신체 부위별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자세의 균형을 판단하고,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입력단계(S1), 동작 입력단계(S3), 자극단계(S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단계(S1)는 측정단계 이전에 피 측정자의 신체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
이는 피 측정자별로 다른 신체구조를 가질 수 있음에 따라 피 측정자별로 다른 키, 몸무게, 앉은키, 허리둘레, 가슴둘레, 발크기 등의 신체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산하여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데이터를 비교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게 된다.
즉, 피 측정자 별로 다른 신체구조와 관계없이 개인별로 맞춤형 자세 균형을 판단하고,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S2)와 연산단계(S4) 사이에 동작 입력부를 통해 피 측정자가 취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동작 입력단계(S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입력단계(S3)는 피 측정자가 취하는 동작을 동작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고, 피 측정자의 동작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부가 기 설정된 기준 동작 데이터에서 피 측정자가 취한 동작과 가장 유사한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피 측정자의 동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동작에 따른 자세 및 자세 균형을 판단하고, 안내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피 측정자가 스쿼트 동작을 취하게 되면, 동작 입력단계(S3)를 통해 입력된 피 측정자의 동작을 입력받고 피 측정자가 취한 동작과 가장 유사한 동작에 대한 데이터(스쿼트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가 기 설정된 기준 동작 데이터에서 추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기준 동작 데이터에서 추출된 데이터와 피 측정자가 취한 동작을 통해 인식한 동작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동작과 기준 동작과의 차이점을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여 피 측정자가 올바른 자세로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단계(S5) 이후에 도전성 전극부를 통해 접촉한 피 측정자의 신체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자극단계(S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자극단계(S6)가 수행되는 동안 측정단계(S2)가 동시에 수행되는 형태로 측정단계(S2), 연산단계(S4), 안내단계(S5), 자극단계(S6)는 반복 수행되며, 상기 자극단계(S6)를 통해 피 측정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가할 때 전기적 자극에 의한 하중 측정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극단계(S6)와 측정단계(S2)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 측정자에 자세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검출에서부터 연산, 안내, 자극까지 순서대로 반복하여 수행되며, 다만, 하중의 검출을 위한 측정단계(S2)와 자극단계(S6)는 교번하여 복수 횟수 반복된다.
예를 들면, 측정단계(S2), 연산단계(S4), 안내단계(S5), 자극단계(S6)순으로 1회차 판단 및 안내가 수행된 이후 측정단계(S2), 자극단계(S6), 측정단계(S2), 자극단계(S6)와 같이 측정단계(S2), 자극단계(S6)가 교번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된 이후 다시 측정단계(S2), 연산단계(S4), 안내단계(S5), 자극단계(S6)순으로 2회차 판단 및 안내가 수행되는 형태로 반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판상의 프레임(1) 상부에 분할, 형성되어 피 측정자의 하중을 분할하여 측정하는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2)와 상기 프레임(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2)로부터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자세 균형 판단 결과를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출력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부(4)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 있다.
또한, 피 측정자의 신체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5)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5)는 버튼, 다이얼, 터치패드 형태이거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상기 출력부(4)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5)를 통해 입력된 신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준 데이터를 연산한 후 비교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는 신체 부위에 따른 신체 부위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는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2) 중 하중이 측정되는 하중 측정부(2)의 각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중 측정부(2)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연산하고,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의 신체 부위별 데이터 중 연산된 신체 부위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하중 측정부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연산하고, 신체 부위에 따른 신체 부위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신체 부위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다른 신체 부위를 통해 접촉하고 있더라도 자세의 균형을 판단하고, 출력부(4)를 통해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균형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세 균형 판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피 측정자의 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동작 입력부(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입력부(6)는 프레임(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피 측정자의 자세, 동작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동작 입력부(6)는 카메라로 구성되어 피 측정자의 동작에 따른 이미지를 얻거나, 초음파,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피 측정자와의 거리(피 측정자의 팔과 동작입력부 사이의 거리 등)를 통해 제어부는 피 측정자가 취하는 동작을 연산하게 된다.
동작 입력부(6)를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 또는 피 측정자와의 거리를 통해 연산된 피 측정자의 동작 데이터를 제어부가 기 설정된 기준 동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동작에 따른 자세 균형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2)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전극부(7)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전극부(7)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접촉한 피 측정자의 신체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도전성 전극부(7)를 통해 피 측정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가할 때 전기적 자극에 의한 하중 측정부(2)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도전성 전극부(7)와 하중 측정부(2)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교번하여 동작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프레임
2 : 하중 측정부
3 : 제어부
4 : 출력부
5 : 입력부
6 : 동작 입력부
7 : 도전성 전극부

Claims (5)

  1. 판상의 프레임 상부에 분할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를 통해 피 측정자의 하중을 분할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하중 데이터를 통해 연산된 비교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는 연산단계와;
    상기 연산단계를 통해 판단된 자세 균형 결과를 피 측정자에게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단계 이전에 피 측정자의 신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단계와 연산단계 사이에
    동작 입력부를 통해 피 측정자가 취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동작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입력부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피 측정자와의 거리를 통해 피측정자의 동작을 입력받으며,
    상기 연산단계가 상기 동작 입력부를 통해 피 측정자의 동작을 입력받고 피 측정자가 취한 동작과 가장 유사한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가 기 설정된 기준 동작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피 측정자가 취한 동작을 통해 인식한 동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되,
    입력된 신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준 데이터를 연산한 후 비교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피 측정자의 자세 균형을 판단하며,
    상기 안내단계 이후에
    도전성 전극부를 통해 접촉한 피 측정자의 신체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자극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극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측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형태로 측정단계, 연산단계, 안내단계, 자극단계는 반복 수행되며,
    상기 자극단계를 통해 피 측정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가할 때 전기적 자극에 의한 하중 측정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극단계와 측정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교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균형 판단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단계는
    복수 개의 하중 측정부 중 하중이 측정되는 하중 측정부의 각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중 측정부와 접촉하는 피 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연산하고,
    신체 부위에 따른 신체 부위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신체 부위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중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균형 판단방법.
  5. 삭제
KR1020150191385A 2015-12-31 2015-12-31 자세 균형 판단방법 KR10194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85A KR101945036B1 (ko) 2015-12-31 2015-12-31 자세 균형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85A KR101945036B1 (ko) 2015-12-31 2015-12-31 자세 균형 판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41A KR20170080141A (ko) 2017-07-10
KR101945036B1 true KR101945036B1 (ko) 2019-02-01

Family

ID=5935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385A KR101945036B1 (ko) 2015-12-31 2015-12-31 자세 균형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49B1 (ko) * 2018-03-23 2019-04-17 (주)리라이브 스마트 저울을 이용한 스쿼트 트레이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850A (ja) * 2012-03-07 2013-09-19 Sony Corp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15160049A (ja)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利用者姿勢の評価報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314Y1 (ko) 2000-09-08 2001-03-02 주식회사휴먼테크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KR101373761B1 (ko) * 2012-04-30 2014-03-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KR102060129B1 (ko) * 2013-08-05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면 센싱을 이용한 동작 인식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850A (ja) * 2012-03-07 2013-09-19 Sony Corp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15160049A (ja)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利用者姿勢の評価報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4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7727B (zh) 站立辅助方法和设备
KR100635906B1 (ko) 체중 부하 및 관절의 각도를 변수로 이용한 하지 재활 훈련장치 및 하지 재활 훈련 방법
JP6692018B2 (ja) 歩行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歩行トレーニング器
Wüest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ertial sensor-based Timed" Up and Go" test in individuals affected by stroke.
JP6631250B2 (ja) 立位姿勢評価装置
KR101879209B1 (ko)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KR20190081350A (ko) 하지 재활용 보행 밸런스 모니터링 시스템
US10952660B2 (en) Berg bal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40113261A1 (en) Training apparatus
US20130032413A1 (en) Bodyweight distribution and postur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94060A (ko) 바른 스쿼트 운동을 위한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JP6281876B2 (ja) 運動器評価システム及び運動器評価方法
EP3834721B1 (en) Sensing device and sensing data processing method
KR101945038B1 (ko) 자세 균형 판단장치
US20200375503A1 (en) Lower limb muscle strength evalu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lower limb muscle strength evaluation program, lower limb muscle strength evaluation device, and lower limb muscle strength evaluation system
US8670822B2 (en) Body fat measurement device
JP2017006632A (ja) 電気刺激装置
KR102131694B1 (ko) 보행훈련 장치의 훈련효과 시험 및 평가방법
KR101502765B1 (ko) 생체 정보 측정을 이용한 운동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5036B1 (ko) 자세 균형 판단방법
KR101648044B1 (ko) 스쿼트 트레이닝 시스템
US10094731B2 (en) Standing position evaluation apparatus, standing position evalu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6798204B2 (ja) 立位姿勢評価装置
KR101556108B1 (ko) 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
TWI657800B (zh) 步態分析方法與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