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65B1 -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65B1
KR101944965B1 KR1020170020807A KR20170020807A KR101944965B1 KR 101944965 B1 KR101944965 B1 KR 101944965B1 KR 1020170020807 A KR1020170020807 A KR 1020170020807A KR 20170020807 A KR20170020807 A KR 20170020807A KR 101944965 B1 KR101944965 B1 KR 10194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biometric
information
use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088A (ko
Inventor
송상헌
김원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테크원
Publication of KR2018008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7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07C9/001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가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생체인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카드를 통해 생체인증을 수행한 후 생체인증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보안카드를 사용자 인증 영역의 사용자 인증 수단에 터치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사용자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car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가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생체인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카드를 통해 생체인증을 수행한 후 생체인증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보안카드를 사용자 인증 영역의 사용자 인증 수단에 터치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사용자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건물이나, 발전소, 가스 및 유류저장소, 무기고, 연구소 등과 같은 중요 시설물(이하 "사용자 인증 영역"이라 함)의 출입구에는 출입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허용된 출입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또는 "출입 통제 시스템"이라 불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런 종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출입자에게 출입자의 출입자 정보 및 출입자의 보안레벨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카드를 제공하고, 출입카드의 터치 시 출입카드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해당 출입자의 출입을 승인하고 있다.
그러나 카드 방식의 경우, 카드를 분실하거나, 퇴사자가 출입카드를 제대로 반납하지 않는 경우, 제3자가 쉽게 출입카드를 습득할 수 있고, 출입카드를 습득한 제3자가 출입카드를 도용하여 사용자 인증 영역을 쉽게 출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입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출입자(또는 "인증 대상자"라 함)의 얼굴인식,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생체인증을 적용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얼굴인식의 경우, 움직이는 출입자를 촬영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입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특정 지점을 보도록 하여 얼굴을 촬영하는 경우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출입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문인식 및 홍채인식 등의 생체인식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출입자가 직접 사용자 정보 리더기에 손가락 또는 눈 등의 해당 생체를 가져다 대도록 하여 지문정보 또는 홍채정보 등의 생체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므로, 출입 시 출입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많은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야 하므로 고사양의 서버를 필요로 하고, 이는 시스템의 구축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1-0044393호(2001.06.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가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생체인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카드를 통해 생체인증을 수행한 후 생체인증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보안카드를 사용자 인증 영역의 사용자 인증 수단에 터치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사용자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면 등록되어 있는 생체정보인 등록 생체정보와 획득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카드정보를 송신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및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상기 사용자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 시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주기적인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인증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상기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생체정보 검출부; 미리 등록된 등록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수행 결과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안카드정보를 송신하는 보안 제어부; 및 상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시 생체정보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상기 보안 제어부로 전송하여 생체정보 인증을 요청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외부기기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청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는,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인증 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부;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보안카드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카드리더기;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에 출입 가능한 인증 대상자들의 얼굴 특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을 출입할 수 있는 인증 대상자의 생체인증 보안카드의 카드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인증 성공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승인 실행부; 및 상기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에서 인증 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특징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특징정보들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주기적인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인증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승인 실행부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인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차단 및 허용하여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는,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증 제어부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인증 요청 신호를 방송하고,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상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제어부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실패 시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저장과 동시에 인증결과 삭제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인증결과 삭제시간 내에 상기 인증 결과정보가 사용자 인증장치로 송신되거나, 상기 인증결과 삭제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 인증장치가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사용자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과정; 생체인증 보안카드가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시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면 등록되어 있는 상기 등록 생체정보와 획득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결과정보 생성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가 주기적인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인증결과가 성공인지를 판단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과정; 및 상기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과정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승인 실행부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승인 실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결과정보 생성과정은, 메인 제어부가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상기 메인 제어부가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요청 단계;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생체정보를 보안 제어부로 제공하는 생체인증 요청 단계; 보안 제어부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생체정보와 보안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 수행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메인 제어부로 리턴하는 인증 결과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결과정보 생성 과정은, 상기 메인 제어부가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인증 요청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과정은, 사용자 인증장치가 상기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가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인증 요청 신호를 방송하는 생체인증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걸어가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웍쓰루(Walk-through) 얼굴인식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 향상과 동시에 사용자가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얼굴인식을 이용한 사용자인증 실패 시 자신이 소유한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통해 생체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인증 성공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가지는 보안카드를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의 리더기에 대면 인증 성공 인증 결과정보의 존재만으로 승인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사용자가 리더기에 손가락을 가져다 대거나 눈을 댈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을 위한 인증 대상자들에 대한 생체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 구축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생체인증 보안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카드 및 사용자 인증장치에서의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안카드 및 사용자 인증장치에서의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 보안카드의 인증 결과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생체인증 보안카드(100) 및 사용자 인증장치(200)를 포함한다.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외형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화면(31), 보안칩(2) 및 생체인식 센서(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카드형태, 직육면체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지의 편리성, 디스플레이 수단의 화면(31), 보안칩(2) 및 생체인식 센서(61)의 구성의 편의성을 위해 카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생체인식 센서(61)를 통해 사용자(1)의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사전에 보안 관리자에 의해 인증된 후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보안칩(2) 내부에 구성되는 저장수단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등록 후 생체인식 센서(61)를 통해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등록된 사용자(1)의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지문정보, 홍채정보, 자문정보, 정맥정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사용자 인증장치(200)로부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카드정보를 사용자 인증장치(200)로 제공한다. 상기 보안카드정보는 상기 인증 결과정보 이외에도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고유의 정보인 카드식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진입하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걸어오는 사용자(1)를 촬영하는 카메라(111)를 포함하여,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얼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증 성공 시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처리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은 출입문 개폐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로부터 보안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안카드정보로부터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카드식별정보 및 인증 결과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카드식별정보에 의한 생체인증 보안카드(100) 인증을 수행하고, 생체인증 보안카드(100)가 인증된 카드이고 인증 결과정보가 인증 성공 결과 정보이면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처리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생체인증 보안카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메인 제어부(10), 메인 저장부(20), 디스플레이부(30), 전원부(40), 보안 제어부(50), 생체정보 검출부(6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부(7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10)는 생체인증 모드, 지문 센서 기능 버튼 모드, 사용자 인증 모드 및 기능 설정 모드를 전환하면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에 따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증 영역에서의 생체인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생체인증 모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카드 사용 인증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지문 센서 기능 버튼 모드는 상기 생체정보가 지문정보인 경우 지문센서를 기능 버튼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모드이며, 상기 기능 설정 모드는 기능 메뉴 테이블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 삭제, 변경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모드이다. 메인 제어부(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메뉴 테이블 및 기능 메뉴 테이블에 등록된 기능들에 대한 기능 실행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기능 메뉴 테이블은 다수의 기능들에 대한 메뉴가 탑다운(Top Down) 방식으로 정의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기능 메뉴 테이블은 멤버십 카드, 교통 카드, 신용카드, 인증서 및 장치관리가 상위 메뉴에 구성되고, 멤버십 메뉴의 하위 메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십 카드가 등록되어 메뉴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위 장치관리 메뉴는 장치 일련번호, 즉 보안카드의 고유의 카드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카드식별정보, 생체정보 및 메뉴 등을 초기화하고 새롭게 생체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초기화, 사용자 인증 모드를 설정 및 설정 해제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모드 설정, 근거리 무선통신부(70)를 온/오프 할 수 있는 On/Off를 포함하는 통신설정 및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등의 하위 메뉴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 저장부(20)는 또한, 메뉴에서 하위 메뉴에 등록된 카드, 예를 들어, 상위 신용카드 메뉴의 하위 메뉴에 등록된 K카드 및 S 카드에 대한 신용 카드정보가 기능 실행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으며, 상위 메뉴인 장치관리 메뉴의 하위 통신설정 메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70)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설정 정보가 기능 실행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사용될 카드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의 카드식별정보는 상술한 K카드, S카드 등과 같은 등록카드의 카드식별정보가 아니라 생체인증 보안카드(100) 자체의 카드식별정보이다.
또한 메인 저장부(20)는 후술할 보안 저장부(51)의 용량이 적게 형성되는 경우 생체데이터의 일부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이 될 수 있으며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외부에 구성되면 화면(31)을 구비하며, 메인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인증 결과정보 등과 같은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화면(31)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사용자가 생체정보가 지문정보가 적용되고 지문인식 센서가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지문인식 센서의 사전에 정의된 분할 영역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메뉴 테이블의 메뉴들 중 일부 메뉴에 대한 트리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는 적어도 2*3의 메뉴 항목이 표시될 수 있는 문자 LCD 또는 그래픽 LCD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바코드 등이 표시되도록 그래픽 LCD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픽 LCD가 적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0)에는 선택된 멤버십 카드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원부(40)는 전원버튼을 포함하며, 전원버튼이 눌리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전체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40)는 전원버튼의 눌림에 대한 버튼 신호를 메인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버튼 신호는 추후 설명될 사용자 인증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보안 제어부(50)는 신용카드에 적용되는 금융 보안칩(2)의 형태로 구성되며, 생체정보, 신용카드의 카드정보 및 본 발명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 및 카드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보안 저장부(51)를 포함하고 RF 안테나(53)와 연결되어 RF 안테나(53)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생체정보의 등록 시 등록 생체정보의 일부는 메인 저장부(20)에 저장되고, 보안 저장부(51)는 나머지만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안 제어부(50)의 생체정보 인증부(52)는 메인 제어부(10)로부터 생체정보 검출부(60)를 통해 검출된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지문인증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포함된 생체정보와 보안 저장부(51)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보안 저장부(51)에 저장한 후,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메인 제어부(10)로 리턴한다.
또한, 보안 제어부(50)는 RF 안테나(53)를 통해 RF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10)로 RF 신호 수신 통지 신호를 메인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생체정보 검출부(60)는 생체정보 센서(61)를 포함하여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메인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생체정보 검출부(60)는 생체정보가 지문인 경우 지문 검출부가 될 수도 있고, 생체정보가 홍채인 경우 홍채 검출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 지문 센서 기능 버튼 모드를 설정하여 생체정보 센서(61)를 입력수단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문 검출부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근거리 무선통신부(7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외부기기와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7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통신 등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제어부(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메인 제어부(10)는 생체정보 획득부(11), 생체정보 등록부(12), 생체정보 인증 조회부(13) 및 기능 설정부(14)를 포함하며, 생체정보가 지문정보이고 지문 센서 기능 버튼 모드가 구성되는 경우 지문 버튼 모드 실행부(15)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10)는 사용자 생체정보 등록 모드, 생체정보 인증 모드, 지문센서 기능 버튼 모드, 기능 설정 모드, 사용자 인증 모드 등을 전환하면서 해당 모드의 동작을 제어한다.
생체정보 획득부(11)는 생체정보 검출부(60)를 구동하고, 구동된 생체정보 검출부(60)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한다.
메인 제어부(10)의 생체정보 등록부(12)는 최초 구동 시, 생체정보가 보안 저장부(51)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생체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때, 생체정보 등록 모드를 설정하고, 생체 등록 모드에서 생체정보를 등록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고, 이후 생체정보 획득부(11)를 통해 획득되는 생체정보를 보안 제어부(50)로 전송한다. 그러면 보안 제어부(50)는 생체정보를 암호화하여 보안 저장부(51)에 저장한다. 상기 생체정보의 등록 시 생체정보 등록부(12)는 생체정보 등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사람만 생체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비밀번호 관리자는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정당한 소지자가 될 수도 있고,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 영역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관리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관리되고 관리자에 의해 생체정보가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생체정보 등록부(12)는 등록할 등록 생체정보를 분할하여 제1분할 등록 생체정보를 메인 저장부(20)에 저장하고, 나머지 등록 생체정보인 제2분할 등록 생체정보만을 보안 제어부(50)로 전송하여 보안 저장부(51)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생체정보 인증 조회부(13)는 생체정보 등록 후 생체정보 획득부(11)를 통해 생체정보가 획득되면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인증 요청 정보를 보안 제어부(50)로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정보를 리턴받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고, 전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기능 설정부(14)는 상술한 다수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해 메인 제어부(10)는 생체정보 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모드를 설정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지문 버튼 모드 실행부(15)는 생체정보 검출부(60)의 생체정보 센서(61)를 입력 수단으로 처리하고, 생체정보 센서(61)의 생체정보 센서 인식 영역에서 지문정보가 형성되는 패턴에 의한 버튼 인식 처리, 인식된 버튼의 연속 입력 및 시간에 의한 버튼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영상부(110), 카드리더기(120), 승인 실행부(130), 저장부(140) 및 인증 제어부(15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부(110)는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걸어오는 사용자(1)를 촬영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111) 및 상기 영상을 미리 설정된 영상처리 설정에 따라 처리하여 인증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12)를 포함한다.
카드리더기(120)는 RF방식의 카드리더기 및 NFC 방식의 카드리더기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로부터 보안카드정보를 읽어 인증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승인 실행부(130)는 인증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인증 성공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장치가 될 수 있으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출입통제장치인 경우 상기 인증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인증 영역을 출입할 수 있는 사용자(1)들 각각의 얼굴에 대한 얼굴 특징정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카드식별정보 등을 저장한다.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60)는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 UWB) 등의 무선통신프로토콜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증 제어부(150)는 영상획득부(151), 얼굴인식부(152), 제1사용자 인증부(153), 보안 카드정보 획득부(154), 제2사용자 인증부(155) 및 승인부(156)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획득부(151)는 영상부(110)를 제어하여 영상부(11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
얼굴인식부(152)는 상기 영상획득부(151)를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사람(1)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 성공에 따른 얼굴인식 성공(또는 실패)정보 및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특징정보를 제1사용자 인증부(153)로 출력한다.
제1사용자 인증부(153)는 얼굴인식부(152)로부터 얼굴인식 성공정보 및 얼굴 특징정보를 입력받고, 얼굴 특징정보가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얼굴 특징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승인부(156)로 인증 성공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제1사용자 인증부(153)는 얼굴인식부(152)로부터 얼굴인식 실패정보가 입력되면 일실시예에 따라 얼굴인식 실패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사용자 인증부(155)로 얼굴인식 실패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보안카드정보 획득부(154)는 실시예에 따라 카드리더기(120) 및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6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보안카드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한다.
보안카드정보 획득부(154)는 일실시예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사용자 인증부(153)로부터 얼굴인식 실패 통지 신호의 수신 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사용자 인증부(155)는 보안카드정보 획득부(154)를 통해 보안카드정보가 획득되면 보안카드정보에 포함된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카드식별정보와 동일한 카드식별정보가 저장부(14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생체인증 보안카드(100)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보안카드정보에 포함된 인증 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실패이면 인증 실패 처리를 수행하고, 인증 성공이면 승인부(156)로 인증 성공 신호를 출력한다.
승인부(156)는 일실시예에 따라 제1사용자 인증부(153) 및 제2사용자 인증부(15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가 입력되면 승인 실행부(130)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승인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사용자 인증부(153) 및 제2사용자 인증부(155) 둘 모두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승인 실행부(130)를 제어하여 해당 승인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사용자 인증장치(200)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영상획득부(151), 얼굴인식부(152), 제1사용자 인증부(153) 및 승인부(156)는 얼굴인식 인증 서버로 구성하고, 보안카드정보 획득부(154) 및 제2사용자 인증부(155) 및 승인부(156)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서버형태로 구성되는 얼굴인식 인증 서버,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 서버, 영상부(110), 카드리더기(120), 승인 실행부(130)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망, 즉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서버 구성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카드 및 사용자 인증장치에서의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시스템이 구동되면 영상부(110)를 구동하여 웍쓰루 얼굴인식을 개시한다(S111).
얼굴인식이 개시되면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영상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의해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접근하는 사람, 즉 인증 대상자가 검출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13), 인증 대상자가 검출되면 영상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얼굴인식을 수행한다(S115).
얼굴인식이 수행되면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얼굴인식에 성공하는지 실패하는지를 판단하고(S117), 얼굴인식 성공 시 얼굴인식에 따라 획득된 얼굴 특징정보와 미리 등록된 얼굴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그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119).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승인 실행부(130)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고(S144),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S145).
반면,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얼굴인식에 실패하거나(S117), 얼굴인식과 상관없이 카드리더기(120) 또는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50)를 통해 보안카드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137).
이때 인증 대상자는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의 생체정보 검출부(60)의 생체정보 센서(61)에 인증 대상자의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져다 댈 것이다.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구동되면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123).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는 생체인증 보안카드(100)에 구성된 전원버튼 등과 같은 버튼(미도시)이 눌리거나 생체정보 센서(11)의 터치되거나 사용자 인증장치(200)로부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 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4의 제1실시예의 경우 버튼이 눌리거나 생체정보 센서(61)가 터치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되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사용자 인증정보인 생체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S125) 후, 생체정보 검출부(60)를 통해 생체정보가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27).
상기 모니터링 중에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입력된 생체정보와 보안 저장부(51)에 저장된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129).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생체정보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 성공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고(S131), 생체정보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한다(S133).
상기 인증 결과정보가 저장된 후, 상기 인증 대상자가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를 사용자 인증장치(200)의 카드리더기(120) 또는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50)에 인접시키면,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사용자 인증장치(200)로부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된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카드정보를 사용자 인증장치(200)로 전송한다(S135).
보안카드정보의 수신 여부 모니터링 중에(S137) 보안카드정보를 수신한(S135)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보안카드정보로부터 카드식별정보를 검출하고(S139), 검출된 카드식별정보와 미리 등록된 카드식별정보들을 비교하여 보안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보안카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141).
보안카드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상기 보안카드정보에 포함된 인증 결과정보가 인증 성공 정보인지를 판단하고(S143), 인증 성공이면 승인 실행부(130)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 처리를 수행하고(S144), 인증 실패이면 인증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S145).
얼굴인식에 실패한 상기 인증 대상자는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에서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진입할 수 없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안카드 및 사용자 인증장치에서의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로, 도 4와 동일한 과정에 대해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식별부호가 사용된 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장치(200)가 획득된 영상에 의한 얼굴인식에 실패하면(S117)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150)를 통해 보안카드(100)로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213).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200)는 접근하는 인증 대상자가 아직 누구인지 모르고 생체인증 보안카드(100) 또한 식별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인증 요청 신호를 방송한다. 상기 인증 요청 신호는 가능한 상기 인증 대상자의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만 수신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가지고 짧은 거리까지만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면 보안카드(100)는 상기 인증 요청 신호에 의해 사용자 인증 이벤트를 발생시켜 S123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 보안카드의 인증 결과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한다.
인증 결과정보가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추후 다시 생체정보 인증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를 분실하고 제3자가 생체인증 보안카드(100)를 습득하는 경우, 제3자가 사용자 인증영역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증 결과정보는 주기적으로 삭제되도록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인증 결과정보의 관리방법을 설명하면, 보안 제어부(50)는 인증 결과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311).
인증 결과정보가 생성되어 보안 저장부(52)에 저장되면 보안 제어부(50)는 인증결과 삭제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S313).
인증결과 삭제 시간이 카운트되기 시작하면 보안 제어부(50)는 카운트되는 인증결과 삭제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고(S315), 인증결과 삭제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보안 저장부(51)에 저장된 인증 결과정보를 삭제한다(S319).
반면 인증결과 삭제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보안 제어부(50)는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카드정보가 RF 안테나(53)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부(70)를 통해 전송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317), 인증 결과정보가 사용자 인증장치(200)로 송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결과 삭제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어도 보안 저장부(51)로부터 인증 결과정보를 삭제한다(S319).
상기 설명에서는 보안 제어부(50)가 인증 결과정보를 관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메인 제어부(10)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보안 제어부(50)는 인증 결과정보가 생성되어 보안 저장부(51)에 저장되면 인증 결과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었음을 메인 제어부(10)로 통지하고, 인증 결과정보가 사용자 인증장치(200)로 전송되었으면 이 또한 메인 제어부(10)로 통지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사람 2: 보안칩
10: 메인 제어부 11: 생체정보 획득부
12: 생체정보 등록부 13: 생체정보 인증 조회부
14: 기능 설정부 15: 지문 버튼 모드 실행부
20: 메인 저장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전원부 50: 보안 제어부
51: 보안 저장부 52: 생체정보 인증부
53: RF 안테나 60: 생체정보 검출부
61: 생체정보 센서 70: 근거리무선통신부
100: 생체인증 보안카드 110: 영상부
111: 카메라 112: 영상처리부
120: 카드리더기 130: 승인 실행부
140: 저장부 150: 인증 제어부
151: 영상획득부 152: 얼굴인식부
153: 제1사용자 인증부 154: 보안카드정보 획득부
155: 제2사용자 인증부 156: 승인부
160: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 200: 사용자 인증장치

Claims (13)

  1.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면 등록되어 있는 생체정보인 등록 생체정보와 획득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카드정보를 송신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및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상기 사용자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 시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주기적인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인증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상기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생체정보 검출부;
    미리 등록된 등록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입력되는 생체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수행 결과에 따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며,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안카드정보를 송신하는 보안 제어부; 및
    상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인증 모드 및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시 생체정보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상기 보안 제어부로 전송하여 생체정보 인증을 요청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외부기기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청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는,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인증 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부;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보안카드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카드리더기;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에 출입 가능한 인증 대상자들의 얼굴 특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을 출입할 수 있는 인증 대상자의 생체인증 보안카드의 카드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인증 성공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승인 실행부; 및
    상기 영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에서 인증 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특징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특징정보들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및 주기적인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인증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승인 실행부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차단 및 허용하여 통제하는 출입 통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는,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증 제어부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인증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인증 요청 신호를 방송하고,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상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제어부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실패 시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는,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저장과 동시에 인증결과 삭제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인증결과 삭제시간 내에 상기 인증 결과정보가 사용자 인증장치로 송신되거나, 상기 인증결과 삭제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인증 결과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9. 사용자 인증장치가 사용자 인증 영역으로 걸어오는 사용자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과정;
    생체인증 보안카드가 사용자 인증 이벤트의 발생 시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면 등록되어 있는 등록 생체인증정보와 획득된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 결과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결과정보 생성과정;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가 주기적인 인증 결과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인증 보안카드로부터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수신 시 상기 인증 결과정보의 인증결과가 성공인지를 판단하는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과정; 및
    상기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과정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승인 실행부를 제어하여 인증 성공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승인 실행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인증 결과정보 생성과정은,
    메인 제어부가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상기 메인 제어부가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요청 단계;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생체정보를 보안 제어부로 제공하는 생체인증 요청 단계;
    보안 제어부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생체정보와 보안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 수행에 대한 인증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메인 제어부로 리턴하는 인증 결과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과정보 생성 과정은,
    상기 메인 제어부가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인증 요청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생체인증 보안카드 인증과정은,
    사용자 인증장치가 상기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가 얼굴인식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인증 요청 신호를 방송하는 생체인증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170020807A 2017-01-24 2017-02-16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11 2017-01-24
KR20170010811 2017-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88A KR20180087088A (ko) 2018-08-01
KR101944965B1 true KR101944965B1 (ko) 2019-02-07

Family

ID=6322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07A KR101944965B1 (ko) 2017-01-24 2017-02-16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39A (ko) * 2020-11-09 2022-05-17 비아 유한회사 무인 소독 출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3610A1 (en) 2018-09-14 2020-03-19 SOLOVEV, Sergei, Vladimirovich A method for automatic contactless authentication
KR102060563B1 (ko) 2018-12-31 2020-02-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 및 안면 데이터를 이용한 인증 제공 방법 및 장치
TWI725443B (zh) * 2019-06-03 2021-04-21 銓鴻資訊有限公司 用於第三方認證的身分的註冊與存取控制方法
KR102442132B1 (ko) * 2020-08-05 2022-09-13 한국도로공사 토큰 결제용 블록체인 id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결제 시스템
KR102517815B1 (ko) * 2020-09-21 2023-04-04 코나아이 (주) 사용자 단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스마트 카드의 동작 방법
KR102640368B1 (ko) * 2020-11-19 2024-02-28 한국도로공사 토큰 결제용 블록체인 결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결제 시스템
KR102601100B1 (ko) * 2021-06-09 2023-11-13 주식회사 앤오픈 사용자 인증 장치 및 사용자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93A (ko) 2001-02-16 2001-06-05 김영익 인간의 얼굴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및 보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39A (ko) * 2020-11-09 2022-05-17 비아 유한회사 무인 소독 출입 시스템
KR102466186B1 (ko) * 2020-11-09 2022-11-14 주식회사 비아 무인 소독 출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88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65B1 (ko)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1095640B1 (en) Proximity-based system for automatic application or data access and item tracking
US20230316279A1 (en) Automated Service-Based Order Processing
KR102263895B1 (ko) 신뢰할 수 있는 장치
US11875622B2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8499164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tilizing unique biometric signatur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217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edential activation layered security
US20060107067A1 (en) Identification card with bio-sensor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20150172287A1 (en) Biometric security and authent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11997087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TW201545125A (zh) 門禁裝置及其註冊系統與方法
KR102243963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TWI745891B (zh) 認證系統、認證終端、使用者終端、認證方法、及程式產品
KR20150093044A (ko) Nfc를 이용한 근태관리시스템
US10057258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CN110070014A (zh) 基于生物识别特征的识别方法及其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14092665A1 (en) Integrat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in self-service machines
KR102340398B1 (ko) 출입 통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7440772B2 (ja) 認証システム
US202401856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edential activation layered security
Pałka et al. Mobile border verification of travellers based on fingerprints: experimental studies
CN112017350A (zh) 一种门禁控制系统以及门禁设备
WO2015075490A2 (en)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