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437B1 -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 Google Patents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437B1
KR101944437B1 KR1020160153854A KR20160153854A KR101944437B1 KR 101944437 B1 KR101944437 B1 KR 101944437B1 KR 1020160153854 A KR1020160153854 A KR 1020160153854A KR 20160153854 A KR20160153854 A KR 20160153854A KR 101944437 B1 KR101944437 B1 KR 10194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cover
drones
magnetic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6083A (en
Inventor
김성하
Original Assignee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437B1/en
Publication of KR2018005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드론의 원격 조종을 위한 탑승공간이 구비된 탑승용 이동체에 설치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공간과 상기 탑승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탑승용 이동체의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드론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는 자성착지베이스; 및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상기 드론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조작부를 포함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safety and control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ing and unloading pad device for a dron installed in a boarding mobile body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for remote control of a dron, wherein the boarding and landing space of the dron and the boarding space are partitioned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frame of the movable body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arding space and having a visibility hole at one side thereof to secure a view of landing and landing of the drones; A magnetic landing bas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the landing skid of the dron being selectively magnetically coupled; And a power supply manipulation portion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so that the landing skid is separated when the drones are taken off by selective magnetic attraction and the landing position of the landing skid is guided at the landing of the drones And a pivot shaft for pivoting the pivot shaft.

Description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본 발명은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개선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ke-off and landing pad apparatus for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ke-off landing pad apparatus for a drone in which safety and handling convenience are improved.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UAV; 이하 '드론'이라 함)는 조종사의 탑승 없이 원격 조종에 의해 제어되는 비행체를 의미하며, 위험 지역, 오염 지역 등의 임무를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In general, a UAV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on") means a vehicl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without being carried by a pilot, and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quickly and safely carry out tasks such as dangerous areas and polluted areas It is developing rapidly.

이와 같은 드론은 군수분야의 정보수집용으로 초기 개발되었으나 구조, 경비, 운수 등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완구용, 레저용 등으로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is type of drones was initially developed for information gathering in the military field, but its application range is expanding due to its structure, cost, and transportation. Recently, it has been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for toys and leisure.

그러나, 촬영 및 레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중소형 드론의 경우, 사용자에게 그립된 몸체가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면 날개가 구동되어 비행을 시작하는 방식으로 고속회전되는 날개 등에 의해 몸체를 그립한 사용자의 신체적인 부상을 유발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mall-sized drones widely used for photography and leisure, when the gripped body is disposed at an appropriate height, the wing is driven to start the flight, There is a high risk of causing physical injury.

또한, 비행이 종료된 드론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내장된 착륙 알고리즘을 통해 구조물 등에 설정된 목표위치로 착륙 되는데, 착륙과정에서 착지된 드론이 날개의 잔여 회전이나 관성과 같은 잔여동력으로 인해 목표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넘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flying dragon is landed at the target position set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or the built-in landing algorithm. In the landing process, the landed dragon is moved from the target position due to the remaining power of the w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etached or falls and is broken.

특히, 드론이 소형보트 등과 같이 협소한 탑승공간을 갖는 이동체로 착륙되는 경우에는 착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드론이 침수 파손되거나 분실될 위험성이 높았으며, 사용자와의 충돌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when the drones are landed on a mobile body having a narrow space such as a small boat,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drones deviating from the landing position are damaged or lost, and serious problems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3849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8495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개선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ke-off landing pad apparatus for a drone in which safety and maneuverability are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드론의 원격 조종을 위한 탑승공간이 구비된 탑승용 이동체에 설치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공간과 상기 탑승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탑승용 이동체의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드론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는 자성착지베이스; 및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상기 드론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시홀은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가 설치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ke-off and landing pad apparatus for a drone installed on a boarding mobile body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for remote control of a dron,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frame of the movable body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arding space and having a visibility hole at one side thereof to secure a view of landing and landing of the drones; A magnetic landing bas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the landing skid of the dron being selectively magnetically coupled;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so that the landing skid is separated when the drones are taken off by selective magnetic attraction and the landing position of the landing skid is guided when the drones are landed, The cover includes a fixed cover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a rotary co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fixed cover and provided with the magnetic landing base, And a locking means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over.

또한, 상기 자성착지베이스는 상기 가시홀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링형 몸체부와,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형 몸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landing base includes a ring-shaped body mounted on the rim of the visibility hole, and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provided along the ring-shaped body so as to correspond to a landing radius of the landing skid.

그리고, 상기 링형 몸체부는 상기 랜딩스키드의 접촉 충격이 완화되도록 탄성 재질로 구비되되, 상면부에 상기 전자석이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시홀은 상기 전자석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에 의해 커버됨이 바람직하다. The ring-shaped body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alleviate a contact impact of the landing skid, and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through which the electromagnets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ring-shaped body. The visibility holes ar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is preferably covered by a mesh member.

삭제delete

또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하면부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락홀부와, 상기 락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되, 레버 조작에 따라 신축된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에 삽입 및 구속되는 신축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lock means includes a pair of lock hol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and a pair of lock hole portions which are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pivot cover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lock hole portions, And a stretching bar inserted and constrained in the hole portio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선택적인 자기인력 형성을 통해 충분한 비행출력이 확보된 상태로 드론이 이륙되고 착륙시 드론의 잔여 동력으로 인한 유동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비행 중 드론이 자기인력에 의해 착지위치로 안내될 수 있어 제품의 조종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magnetic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is selectively formed to secure sufficient flying power, the dragon is taken off and the flow due to residual power of the drone is prevented during landing, so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It can be guided to the landing position by the human force, and the handling convenie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드론의 이착륙시 탑승공간을 보호하는 커버하는 커버부의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되어 안전한 조종이 가능하면서도 드론의 이착륙 경로에 대한 시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시홀의 테두리측 자성착지베이스의 자기인력으로 드론의 손쉬운 착륙 조종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Secondly, a visibility hole can be formed at one side of a cover part for protecting the boarding space during the take-in and landing of the dron, so that safe maneuvering is possible and a sight for the take-off and landing path of the dron can be provided. The maneuver enables the drones to be easily landed and maneuvered, which can improve the safety and control convenience of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셋째, 상기 자성착지베이스가 커버부의 회동커버에 설치되어 상하 회동되므로 탑승공간측으로 회동된 자성착지베이스를 통해 드론의 이륙시 세팅 및 착륙된 드론의 수거시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ird, since the magnetic landing bas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cover of the cover portion and rotated up and down, the convenience of picking up the landed drones can be remarkably improved through the magnetic landing base rotated toward the boarding space.

넷째, 상기 보호커버의 상면부에 전자석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가 덧댐됨에 따라 보호커버 및 가시홀을 통한 시야 확보 기능이 유지되면서도 자기장의 영향 면적이 확대되어 드론의 착륙시 조종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Fourth,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overlaps with the ferromagnetic mash member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is enlarged while maintaining the visibility securing function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visible hole,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가 장착된 탑승용 이동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회동커버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고정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oarding mobile body equipped with a take-off and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ke-off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ke-off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rotating state of a rotary cover in a take-off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fixing means in the take-off and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ake-off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ake-off and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 tigh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가 장착된 탑승용 이동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회동커버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고정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ke-off and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 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 rotating state of a rotary cover in a take-off and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fixing means in the dock for take-off and landing pa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ake-off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100)는 커버부(10), 자성착지베이스(20), 그리고 전원공급조작부(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take-off pad apparatus 100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10, a magnetic landing base 20, and a power supply operation portion 40 .

여기서, 상기 드론(d)은 사람의 탑승 없이 원격조종에 의해 비행되는 무인비행체로, 원격지에 배치된 드론 조종기(m1)와 무선 신호 연결되어 드론 조종기(m)의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Here, the drone (d) is a unmanned aerial vehicle flying by remote control without boarding a person,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drone manipulator (m1) disposed at a remote location and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flight control signal of the drone manipulator (m).

그리고, 상기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100)는 드론(d)의 이륙 위치 제공, 착륙 위치 안내 및 착륙된 드론(d)의 수거 등을 목적으로 탑승용 이동체(s)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The take-off landing pad apparatus 100 for a drone is installed in a moving sail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ake-off position of a dragon d, a landing position guide, and collecting a landed drones d.

여기서, 상기 탑승용 이동체(s)는 드론(d)을 원격 조종하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보트, 차량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탑승용 이동체(s)에는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1)이 구비된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arding vehicle (s) is understood to include a boat, a vehicle, and the like capable of being moved by a user who manages the drones (d) while the boarding vehicle (s) A passenger compartment 1 is provided.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0)는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상부프레임(r)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1)의 상부를 커버한다. 1 and 2, the cover unit 1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r of the boarding vehicle 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arding space 1.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r)은 보트나 차량의 지붕프레임 또는 차양막/조명/구명부품 등이 설치되도록 탑승공간(1)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롤바, 탑 등의 구조프레임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upper frame r includes a structural frame such as a roll bar, a tower, and the lik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boarding space 1 so that a roof frame, a sunshade, .

즉, 상기 커버부(10)는 구조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차양막 내지는 지붕프레임을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붕프레임의 상면부에 덧댐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cover part 1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uctural frame in place of the shade film or the roof frame, or may be installed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roof frame.

물론, 상기 커버부(10)가 상기 지붕프레임의 상면부에 덧댐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10)의 회동커버(10b)는 상기 지붕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된 부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urning cover 10b of the cover portion 10 is disposed at a portion deviated from the roof frame when the cover portion 10 is overlapped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of frame.

이때, 상기 커버부(10)는 드론(d) 내지 탑승공간(1)의 크기를 초과하는 판형 부재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프레임(r)의 상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탑승공간(1)과 상기 드론(d)의 이착륙공간(2)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10 is formed as a plate member exceeding the size of the drone (d) to the boarding space (1), and horizontally install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r) And the take-off and landing space (2) of the drones (d) can be mutually partitioned.

여기서, 상기 드론(d)의 이착륙공간(2)은 상기 드론(d)이 비행을 시작하기 위해 이륙되거나 비행을 종료하기 위해 착륙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드론(d)은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륙되고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로 착륙될 수 있다. Here, the take-off and landing space 2 of the dragon d means a space where the dragon d is landed to start flying or to end the flight, And can be land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0.

이처럼, 상기 커버부(10)에 의해 상기 드론(d)을 조종하는 사용자가 위치된 탑승공간(1)과 드론(d)의 비행 시작 내지 비행 종료 지점이 되는 이착륙공간(2)이 분리되므로 조종 미숙 등으로 인해 드론(d)이 정확한 이착륙 경로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the landing space 1 in which the user who manages the drones d is located and the landing and landing space 2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r the flying end point of the drones d is separated by the cover unit 10, The user can be safely protected even if the drone (d) is separated from the correct take-off and landing path due to immaturity or the like.

한편,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상기 드론(d)의 랜딩스키드(m)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10)의 일측에 구비된다.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unit 10 so that the landing skid m of the drone d is selectively magnetically coupled.

여기서, 상기 랜딩스키드(m)는 이착륙시 발생된 충격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드론(d)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랜딩스키드(m)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지면과 접하는 하단부에 상술된 강자성체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landing skid m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es d as a portion for protecting the gas from impacts generated during landing and landing. At this time, the landing skid m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nickel, or cobalt.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the ferromagnetic material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landing skid m.

그리고,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전력 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preferably includes electromagnets selectively magnetized according to power supply.

즉, 전력 공급에 따라 전자석(20b)이 자화되면 자기장의 인력을 통해 상기 랜딩스키드(m)가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고정되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랜딩스키드(m)가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electromagnet 20b is magnetized according to the electric power supply, the landing skid m is fixed to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through the attraction of a magnetic field. Whe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landing base 20.

물론,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코일과 강자성체로 구비된 대형 전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생산 및 조립편의성을 위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가 복수의 전자석(20b)과, 전자석(20b)이 설치되는 링형 몸체부(20a)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서 도시 및 설명한다.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20b,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20b, and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20b.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may be a large-sized electromagnet including a coil and a ferromagnetic body. And a ring-shaped body portion 20a provided with a ring-shaped body portion 20b.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드론(d)의 이륙 및 착륙이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1 to 6, the power supply manipulation unit 40 may include a magnetic landing base (not shown) for guiding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es d through selective magnetic attraction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20 to the power supply.

즉,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상기 드론(d)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m)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d)의 착륙시 자기인력에 의해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That is,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separates the landing skid m from the landing skid m when the drones d are taken off, The power supply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controlled.

이때,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전자석(20b)에 공급되면 자성착지베이스(20)의 인접영역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기형성된 자기장이 제거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20b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a magnetic field may be formed in the adjacent region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Once blocked, the pre-formed magnetic field can be removed.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내부 전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간소화를 위해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메인전원부(s1)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로써 설명한다. Here,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separate internal power supply such as a battery.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s1 of the boarding vehicle s As an example.

즉,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상기 전자석(20b)과 상기 메인전원부(s1) 간의 접속 및 단락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can control connection and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magnet 20b and the main power unit s1.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에 의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드론(d)이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로 이동되면, 랜딩스키드(m)가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자성 결합되어 드론(d)이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drones d are mov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0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by the power supply operation portion 40, And can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landing base 20 to fix the drones d.

그리고, 상기 드론 조종기(m1)를 조작하여 상기 드론(d)이 구동되면,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를 통해 자성착지베이스(2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자기장이 제거됨과 동시에 드론(d)이 이륙될 수 있다. When the drone (d)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drone manipulator (m1), power supply to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interrupted and the magnetic field is removed through the power supply manipulation part (40) ) Can be taken off.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드론(d)을 직접 그립하는 위험성이 제거되면서도, 자기인력에 의해 고정된 드론(d)이 탑승용 이동체(s)의 속도, 주변환경의 풍향/풍속에 적합한 비행 출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륙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종 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us, while the risk of the user gripping the drones d is eliminated, the dragon d fixed by the magnetic attraction secures the flight output suitable for the speed of the moving sail s and the wind direction / wind speed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take off stably in a state, and therefore the handling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에 의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비행 중인 드론(d)이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측으로 이동되면 랜딩스키드(m)가 자기장의 인력에 의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측으로 당겨져 자성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dragon d is being moved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over unit 10 while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powered by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Can be attracted to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side by magnetic attraction and magnetically coupled.

즉, 랜딩스키드(m)가 자기장의 인력 영향 범위 내로 이동되면, 자기인력에 의해 드론(d)의 착지위치가 안내될 수 있으므로 드론(d)의 착륙시 조종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anding skid m is moved within the influenc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the landing position of the drones d can be guided by the magnetic attraction, so that the handling convenience at the time of landing the drones d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착륙된 드론(d)이 자기인력에 의해 고정되어 날개의 잔여 회전력이나 관성 등으로 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착지 후 잔여 동력으로 인한 넘어짐 파손이나 안전사고, 분실 등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anded drones (d) are fixed by the magnetic attraction and the movement can be prevented due to residual torque or inertia of the w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safety accident or loss due to residual power after landing .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드론(d)의 이착륙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도록 상기 드론 조종기(m1)와 유무선 신호 연결되어 제어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may be directly operated by a user and controlled by the user so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landing and landing operation of the drones d. lt; RTI ID = 0.0 > m1 < / RTI >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0)는 고정커버(10a), 회동커버(10b), 그리고 락킹수단(10c)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1 to 3, the cover 10 may include a fixed cover 10a, a rotating cover 10b, and a locking unit 10c.

여기서, 상기 고정커버(10a)는 상기 상부프레임(r)에 지지 및 고정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부(10) 및 상기 탑승용 이동체(s) 간의 결합을 유지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Here, the fixed cover 10a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upper frame r and substantially retains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ver portion 10 and the moving vehicle s.

그리고, 상기 회동커버(10b)는 상기 고정커버(10a)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도 4a와 같이, 상기 고정커버(10a)와 평탄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상기 탑승공간(1)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The rotary cover 10b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fixed cover 10a so as to extend toward the boarding space 1 as shown in Figure 4b in a state where the fixed cover 10a is flatly installed with the fixed cover 10a, And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상기 회동커버(10b)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커버(10b)의 상하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cover 10b, and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rotating cover 10b .

이에 따라, 상기 드론(d)이 자성착지베이스(20) 상에 용이하게 세팅되어 이륙될 수 있으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착지된 드론(d)이 손쉽게 수거될 수 있다. Thus, the drones d can be easily set on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and taken off, and the drones d landed on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can be collected easily.

상세히, 상기 회동커버(10b)가 상기 탑승공간(1)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론(d)을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상면부에 고정킬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의 고정 후 상기 회동커버(10b)를 상측으로 복원 이동시켜 드론(d)의 이륙을 위한 세팅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d)의 이륙시 세팅과정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user can fix the drones 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while the rotating cover 10b is rotated toward the boarding space 1, And the setting process for taking off the drones d can be performed by restoring the rotating cover 10b upward. Accordingly,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the setting process at the take-off of the drones d can be improved.

또한, 고정커버(10a)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동커버(10b)의 자성착지베이스(20)에 상기 드론(d)이 착지 및 고정되면, 상기 회동커버(10b)를 탑승공간(1)측으로 회동시켜 드론(d)이 손쉽게 수거될 수 있다. When the dragon d is landed on and fixed to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of the rotary cover 10b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xed cover 10a, the rotary cover 10b is rotated toward the boarding space 1 So that the drones d can be collected easily.

이때, 상기 락킹수단(10c)은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즉, 상기 락킹수단(10c)에 의해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드론(d)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안정적으로 착륙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의 비행 추진시 반력으로 인한 회동커버(10b)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means 10c selectively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over 10b. That is, the drones d can be stably landed on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cover 10b is restricted by the locking means 10c,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over 10b due to the reaction force during flight propulsion is prevented and the air can be stably taken off.

그리고, 상기 락킹수단(10c)에 의해 상기 회동커버(10b)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회동커버(10b)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드론의 이륙시 세팅과정 또는 착륙된 드론의 수거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restraining state of the pivot cover 10b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10c, the pivot cover 10b is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setting process at the time of taking-off of the dron or the collecting process of the landed dron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상기 고정커버(10a)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r)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 사이를 따라 다단 배치된 커버판(1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fixed cover 10a includes a pair of fixed frames 11 fixed to the upper frame 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ver plate 12 arranged in a multi-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1)은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 탄소섬유강화수지 재질의 바형 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frame 11 is a bar-shaped member made of a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which is light and has high strength.

그리고, 한쌍의 고정프레임(11)이 상기 드론(d)의 크기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호 이격 배치된 각각 사이에 커버판(12) 및 회전커버(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r)에 고정된다. The pair of fixed frames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interval exceeding the size of the drones d and the cover plate 12 and the rotary cover 10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ixed to the upper frame r.

여기서, 상기 각 고정프레임(11)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커버(10b)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15)가 구비된다. Here, a hinge connection part 15 to which the rotary cover 10b is connec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fixed frames 11.

이때, 상기 회동커버(10b)는 상기 힌지연결부(15)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판(12)은 상기 회동커버(10b)가 힌지 연결된 고정프레임(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다단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The rotary cover 10b may be pivo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connection part 15. The cover plate 12 may be fixed to the rotary frame 10b And ar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toward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회동커버(10b)는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가 설치되는 회동판(13)과, 상기 회동판(13)의 양측단을 지지하되 상기 힌지연결부(15)에 연결되는 회동판지지프레임(14)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rotary cover 10b includes a rotary plate 13 on which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s installed and a rotary plate 13 that supports both side ends of the rotary plate 13 and is connected to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5.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frame 14.

이에 따라, 상기 드론(d) 내지 탑승공간(1)의 폭방향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에, 변화된 폭에 대응되는 규격의 회동판(13) 및 커버판(12)을 교체 조립함에 따라 제품이 용이하게 호환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width of the drone (d) to the boarding space (1) is changed, the rotary plate (13) and the cover plate (12) .

또한, 상기 탑승공간(1)의 길이방향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변화된 길이에 대응되는 규격의 고정프레임(11)을 교체 조립하고 커버판(12)의 배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제품이 용이하게 호환 사용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size of the boarding space 1 is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frame 11 of the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length is replaced and the number of the cover plates 12 is adjusted, Can be used.

이때, 상기 커버판(12)은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유선형의 표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판(12)은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이동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구배진 표면 프로파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론(d)의 이착륙을 안내하면서도, 탑승용 이동체(s)의 성능 저하가 방지되는 고품질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late 12 is provided so as to have a streamlined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arding moving body s.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late 12 is provided with a downwardly sloping surface profile toward the rear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arding vehicle s.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product that prevents deterior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boarding vehicle s while guiding the taking-off and landing of the drones d.

여기서, 상기 커버판(12) 및 상기 회동판(13)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소정의 탄성력과 높은 강도를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광투과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ver plate 12 and the rotary plate 13 are preferably made of an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having a high heat resistance and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 high strength. The cover plate 12 and the rotary plate 13 are made of a polycarbonat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ight transmittance .

이에 따라, 상기 탑승공간(1)의 사용자가 드론(d)의 비행 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of the boarding space 1 can easily check the flight path of the drones d.

또한, 상기 락킹수단(10c)은 상기 고정커버(10a)의 하면부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락홀부(17)와, 상기 락홀부(17)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커버(10b)의 하면부에 결합되는 신축바(1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means 10c includes a pair of lock hole portions 1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10a and a locking hole portion 17b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cover 10b, And a stretching bar 16 which is joined to the lower portion.

상세히, 상기 락홀부(17)는 상기 각 고정프레임(11)의 하면부에 고정되며, 상기 신축바(16)는 상기 회동판(13)의 하면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신축바(16)는 레버(16a) 조작에 따라 신축되도록 구비되며, 신축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각 락홀부(17)와 대향 배치된다. In detail, the lock hole portion 17 is fixed to a bottom portion of each fixed frame 11, and the extensible bar 16 is fixed to a bottom portion of the rotatable plate 13. At this time, the extensible bar 16 is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16a, and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re disposed to face the respective lock hole portions 17.

이에 따라, 도 5b와 같이, 상기 레버(16a)가 일방향 조작되면, 신장된 신축바(16)의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17)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5B, when the lever 16a is operated in one direction, both ends of the elongated stretchable bar 16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 hole portion 17 and the rotation of the pivot cover 10b can be restrained .

그리고, 도 5a와 같이, 상기 레버(16a)가 타방향 조작되면 축소된 신축바(16)의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17)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동커버(10b)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5A, when the lever 16a is manipulated in the other direction, both end portions of the contracted bar 16 are released from the lock hole portion 17, so that the rotary cover 10b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이에 따라, 단순한 레버조작만으로 회동커버(10b)의 구속 상태가 전환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us, the restraint state of the rotary cover 10b is switched only by the simple lever operation, and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커버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드론(d)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13b)에 의해 커버되는 가시홀(13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one side of the cover 10, a visibility hole 13a is formed to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13b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so as to secure the visibility of landing and landing of the drones d.

여기서, 상기 가시홀(13a)은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동판(13)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3b)는 상기 가시홀(13a)의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시홀(13a)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ible hole 13a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rotary plate 13 of the rotary cover 10b. The protective cover 13b may have an outer diameter exceed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visible hole 13a and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dge of the visible hole 13a.

여기서, 투영성은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의미하며, 투영성 재질이라는 의미는 부재에 의해 가려진 건너편에 위치된 사물이나 환경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재질이라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projectivity means transparency to visible light, and transparency material means that the object or environmen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covered by the member is a visually recognizable material.

예를 들어, 상기 보호커버(13b)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투영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protective cover 13b is preferably made of an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such as polyethylene or polycarbonate, and having high transparency.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0)의 하부측 탑승공간(1)에 위치된 사용자가 상기 가시홀(13a)을 통해 상기 드론(d)의 이착륙 경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a user located in the lower side boarding space 1 of the cover portion 10 can easily check the take-off and landing path of the drones d through the visible hole 13a, thereby improving the handling convenience of the product .

즉, 탑승공간(1)에 위치된 사용자가 가시홀(13a)을 통해 드론(d)의 기체가 확인되도록 드론(d)의 비행 위치를 제어하면 랜딩스키드(m)가 가시홀(13a)의 테두리측 자성착지베이스(20)와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자기인력에 의해 랜딩스키드(m)가 당겨져 자성 결합되므로 드론(d)의 착륙시 조종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located in the boarding space 1 controls the flying position of the dron d so that the base of the dron d is confirmed through the sight hole 13a, And the landing skid m is pulled and magnetically coupled by the magnetic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so that the handling convenience during landing of the drones d can be remarkably improved have.

또한, 상기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13b)에 의해 탑승공간(1)에 위치된 사용자에게 이착륙공간(2)에 대한 시야가 제공되면서도 이착륙 중의 드론(d)이 탑승공간(1)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드론(d)의 경로 이탈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차단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visor for the take-off and landing space 2 is provided to the user located in the boarding space 1 by the protective cover 13b of the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drones d during the landing and landing are moved toward the boarding space 1 So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blocking various safety accidents due to the deviation of the path of the drones (d).

그리고,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링형 몸체부(20a)와,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형 몸체부(20a)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전자석(20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includes a ring-shaped body portion 20a mounted on the rim of the visibility hole 13a and a ring-shaped body portion 20b along the ring-shaped body portion 20a so as to correspond to a landing radius of the landing skid 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20b to be installed.

여기서,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은 상기 랜딩스키드(m)의 하단부와 접하는 원의 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anding radius of the landing skid m is preferably understood to mean a radius of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landing skid m.

이때, 상기 링형 몸체부(20a)는 상기 전자석(20b)의 자화에 대응하여 자화될 수 있는 강자성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랜딩스키드(m)와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ring-shaped body 20a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magnetiz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gnetization of the electromagnet 20b, but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링형 몸체부(20a)에는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을 따라 복수의 장착홀(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전자석(20b)은 상기 각 장착홀(21)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21 are formed in the ring-shaped body portion 20a along the landing radius of the landing skid m. The respective electromagnets 20b are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s 21 And can be installed along the landing radius of the landing skid m.

그리고, 상기 전자석(20b)의 코일부는 상기 장착홀(21)의 하부 개구를 따라 인출되어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il portion of the electromagnet 20b may be drawn along the lower opening of the mounting hole 21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40. [

이때, 상기 전자석(20b)은 그의 상단부가 상기 장착홀(21)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유격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링형 몸체부(20a)에서 상기 전자석(20b)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장착홀(21)의 테두리 부분이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 20b is preferably fixed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downward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clear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hole 21. In the ring-shaped body 20a, So that the rim of the mounting hole 21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hole 21 can function as a damper.

이에 따라, 상기 랜딩스키드(m) 및 전자석(20b) 간의 직접 접촉에 따른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us, the impact due to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landing skid m and the electromagnet 20b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링형 몸체부(20a)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호커버(13b)의 외경 미만의 내경을 갖는 연통홀(22)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communication hole 22 having an inner diameter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ective cover 13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20a.

이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3b)가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링형 몸체부(20a)가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면 상기 보호커버(13b)의 상면부 테두리가 상기 연통홀(21)의 테두리 하면에 의해 구속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호커버(13b)가 가시홀(13a)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있다. Accordingly, when the ring-shaped body portion 20a is coupled along the rim of the visible hole 13a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cover 13b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rim of the visible hole 13a, Can be restrain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hole 21 and the protective cover 13b can be fixed to the sight hole 13a without any other fixing means, so that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보호커버(13b)의 상면부는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상면부와 연속된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3b may be continuou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여기서, 상기 링형 몸체부는 상기 드론(d)의 규격별 중량 및 랜딩스키드(m)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으로 구비되되, 상기 드론(d)의 규격별 중량 및 랜딩스키드(m) 반경에 대응되도록 장착홀(21)의 배치 및 개수가 조절된 복수 세트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ing-shaped body is provided at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drones d and the radius of the landing skid m, and is moun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eight of the dron d and the radius of the landing skid m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sets in which the arrangement and the number of the holes 21 are adjusted.

즉, 상기 드론(d)의 규격별로 상이한 중량 및 랜딩스키드(m) 반경에 따라 복수 세트의 링형 몸체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다. That is, one of a plurality of sets of the ring-shaped bodies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different weights and landing skid (m) radii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drone (d) and mounted on the rim of the visible hole 13a.

이때, 상기 각 링형 몸체부의 장착홀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택된 링형 몸체부에 전자석이 삽입 고정됨에 따라 드론(d)의 규격에 적합한 자성착지베이스(20)가 손쉽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unting holes of the respective ring-shaped bodies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the electromagne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lected ring-shaped body portion, so that the magnetic landing base 20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drones d can be easily manufactured Product productivity and compati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서는 매쉬부재(5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도시 및 설명한다. Meanwhil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ake-off and landing pad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mesh member 50 of this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시홀(13a)에는 상기 전자석(20b)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 the visible hole 13a may be provided with a ferromagnetic mesh member 50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20b.

여기서, 상기 매쉬부재(50)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의 강자성체 전선이 직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강자성체 판재에 랜딩스키드(m)의 단부 크기 미만으로 복수의 타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mesh member 50 may be formed by woven a ferromagnetic material wire such as iron, cobalt, nickel,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res formed in the ferromagnetic plate material with a size smaller than the end size of the landing skid m Do.

즉, 상기 매쉬부재(50)는 드론(d)의 기체가 통과할 수 없으면서도 탑승공간(1)의 하부에 위치된 사용자가 이착륙공간(2)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mesh member 50 can provide a field of view in which a user located below the boarding space 1 can visually confirm the take-off and landing space 2 while the gas of the drones d can not pass therethrough .

여기서, 상기 매쉬부재(50)는 상기 보호커버(13b)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호커버(13b)에 덧댐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쉬부재(50)가 상기 보호커버(13b)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Here, the mesh member 50 may be used in place of the protective cover 13b and may be overlapped with the protective cover 13b. In this embodiment, the mesh member 50 may be protected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ver 13b.

이때, 상기 매쉬부재(50)는 상기 전자석(20b)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석(20b)와 자화시 연동 자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랜딩스키드(m)에 대한 자성 결합 면적 및 자기장의 영향영역이 증가되는 효과를 통해 상기 드론(d)의 착륙시 조종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sh member 5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20b and become an interlocking magnet for the electromagnet 20b. Accordingly, the handling convenience during landing of the drone (d) can be further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magnetic coupling area and the magnetic field on the landing skid (m).

즉, 상기 매쉬부재(50)의 테두리부는 상기 링형 몸체부(20a)의 상면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전자석(20b)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연통홀(22) 및 보호커버(13b) 사이를 따라 상기 링형 몸체부(20a)의 하면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석(20b)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rim of the mesh member 50 may exten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20a and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ctromagnet 20b. The communication hole 22 and the protective cover 13b Shaped body portion 20a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omagnet 20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10: 커버부
10a: 고정커버 10b: 회동커버
11: 고정프레임 12: 커버판
13: 회동판 13a: 가시홀
13b: 보호커버 14: 회동판지지프레임
20: 자성착지베이스 20a: 링형 몸체부
20b: 전자석 10c: 락킹수단
40: 전원공급조작부 50: 매쉬부재
100: a take-off pad device for a drone 10:
10a: Fixed cover 10b: Rotation cover
11: fixed frame 12: cover plate
13: Rotor plate 13a: Visible hole
13b: protective cover 14: pivot plate supporting frame
20: magnetic landing base 20a: ring-shaped body part
20b: electromagnet 10c: locking means
40: power supply control unit 50: mesh member

Claims (5)

드론의 원격 조종을 위한 탑승공간이 구비된 탑승용 이동체에 설치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공간과 상기 탑승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탑승용 이동체의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드론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는 자성착지베이스; 및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상기 드론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시홀은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가 설치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A loading / unloading pad apparatus for a drone installed in a boarding mobile body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for remote control of a drone,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frame of the boarding mobile body so as to partition the take-off and landing space of the dron and the boarding space so as to cover an upper part of the boarding space and to have a visible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secure a take-
A magnetic landing bas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the landing skid of the dron being selectively magnetically coupled; And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agnetic landing base so that the landing skid is separated when the drones are taken off by selective magnetic attraction and the landing position of the landing skid is guided when the drones are landed,
The visibility hole is covered by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cover unit includes a fixed cover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a rotating co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fixed cover to mount the magnetic landing base, and a locking unit selectively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cover For the dro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착지베이스는
상기 가시홀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링형 몸체부와,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형 몸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ic landing base
A ring-shaped body mounted on the rim of the visible hole,
And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installed along the ring-shaped body so as to correspond to a landing radius of the landing ski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몸체부는 상기 랜딩스키드의 접촉 충격이 완화되도록 탄성 재질로 구비되되, 상면부에 상기 전자석이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시홀은 상기 전자석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에 의해 커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ing-shaped body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reduce a contact impact of the landing skid,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through which the electromagnets are fitted and fixed,
Wherein the visibility hole is covered by a ferromagnetic material mesh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하면부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락홀부와,
상기 락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되, 레버 조작에 따라 신축된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에 삽입 및 구속되는 신축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ans
A pair of lock hol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And a stretchable ba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ivot cover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lock hole portions, wherein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are inserted and constrained in the lock hole portion.
KR1020160153854A 2016-11-18 2016-11-18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KR101944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54A KR101944437B1 (en) 2016-11-18 2016-11-18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54A KR101944437B1 (en) 2016-11-18 2016-11-18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83A KR20180056083A (en) 2018-05-28
KR101944437B1 true KR101944437B1 (en) 2019-01-30

Family

ID=6245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54A KR101944437B1 (en) 2016-11-18 2016-11-18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4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629B1 (en) * 2018-12-13 2020-04-22 주식회사 씨원 CCTV control system
KR102086930B1 (en) * 2018-12-13 2020-04-20 조현주 CCTV control system
CN117944919B (en) * 2024-03-27 2024-06-11 山西中创天达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autonomous take-off and land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6575A1 (en) 2014-03-21 2015-09-24 Brandon Borko System for 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by interception of small uavs
KR101617594B1 (en) * 2015-09-01 2016-05-02 오영동 Landing device for drone to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092A (en) * 2010-07-08 2012-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docking helicopter using magnet
KR20140038495A (en) 2014-03-05 2014-03-28 진정회 The rotor blade drone safety landing pack
KR102016546B1 (en) * 2014-11-27 2019-08-30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Unmanned-flight reconnaissanc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6575A1 (en) 2014-03-21 2015-09-24 Brandon Borko System for 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by interception of small uavs
KR101617594B1 (en) * 2015-09-01 2016-05-02 오영동 Landing device for drone to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83A (en)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754B2 (en) Device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 drone, and an associated aircraft
KR101944437B1 (en) 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US9527596B1 (en) Remote controlled aerial reconnaissance vehicle
US9033281B1 (en) Remote controlled aerial reconnaissance vehicle
CN214003829U (en) Suspended load stabiliz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U2016338690B2 (en) Parachute deployment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926415B2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ES2782353T3 (en) Improved drone structure
EP3841013B1 (en) External containment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793271B2 (en) Drone and associated airborne intervention equipment
EP3309055A1 (en) Autonomous 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 and payload delivery system with safe return
US20050230555A1 (en) Aerial delivery device
US20100282897A1 (en) Unmanned Aerial Surveillance Device
JP2017081544A (en) Unmanned aircraft having wind guide part
JP6714236B2 (en) Water rescue equipment
WO2015177376A1 (en) Mechanical structure for a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EP1066098A2 (en) Remotely controlled aircraft
RU2381959C1 (en) Aircraft system of rescue operations support
KR101858009B1 (en) Drone for inspecting bridge
US12012188B2 (en) Rapid aerial extraction systems
KR102309610B1 (en) Vehicle fixed drone station
KR101883223B1 (en) Payload of A Drone
EP2738093B1 (en) Method of landing of a surveillanc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d a surveillance unmanned aerial vehicle
CN205396549U (en) Unmanned aerial vehicle retrieves parachute device
CA3219996A1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