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272B1 -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272B1
KR101944272B1 KR1020170117061A KR20170117061A KR101944272B1 KR 101944272 B1 KR101944272 B1 KR 101944272B1 KR 1020170117061 A KR1020170117061 A KR 1020170117061A KR 20170117061 A KR20170117061 A KR 20170117061A KR 101944272 B1 KR101944272 B1 KR 10194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re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germ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훈
김상현
송진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02F1/017Structures with periodic or quasi periodic potential variation, e.g. superlattices, quantum wells
    • G02F1/01708Structures with periodic or quasi periodic potential variation, e.g. superlattices, quantum wells in an optical wavequid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9Non-linear optics for parametric generation or amplification of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10Materials and properties semicondu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1Function characteristic involv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클래딩층; 저마늄(Ge)을 포함하며, 상기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상에 위치하는 반도체 화합물층; 및 상기 코어 및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하면, 약 1.5 ㎛ 내지 15 ㎛의 넓은 파장 대역에서 투명한 저마늄(Ge)으로 구성된 반도체, 플루오르(F) 및 이트륨(Y) 계열의 유전체를 기반으로 하므로, 종래의 실리콘 기반의 광 변조기에 비해 넓은 파장 대역의 광에 적용할 수 있고, 유효 질량(effective mass)이 작은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또는 인듐아세나이드(InAs)와 같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한 반도체를 이용함으로써, FCEs(Free-carrier effects)로 인한 굴절률 변화(Δn)가 증가하여 광 변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MID-IR LIGHT PHASE MODUL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적외선 대역과 같은 장파장 대역의 광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하여 광 변조 성능이 향상된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광학 전자 집적 회로(OptoElectronic Integrated Circuit; OEIC) 연구는 전자 소자와 광 소자의 단순한 결합 및 공정 방법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실리콘 포토닉스(Si photonics)라고 불리는 기술에서 사용되는 근적외선(Near-IR) 통신 파장에 특화된 경우가 많다. 종래의 OEIC는 실리콘-온-인슐레이터(Silicon-On-Insulator; SOI) 기반의 광 도파관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리콘은 중적외선에 해당하는 장파장 대역에서 광 손실이 큰 물질이므로, SOI 기반 광 도파관을 사용 가능한 파장 범위는 제한적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칼코지나이드(chalcogenide) 글래스 등 다른 물질을 도파관으로 사용하는 기술도 일부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물질은 현재의 실리콘 기반 제조 기술과는 괴리가 있으며 전자 소자와의 집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광 위상 변조기(light phase modulator)는 광 캐리어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기 위해 이용되는데, 광 도파관에 인접한 MOS 커패시터의 중심에 전하의 축적을 유도하여 광 도파관의 굴절률을 변경함으로써 광 빔의 위상 변이(phase shift)를 야기하여 광을 변조시킨다.
종래의 MOS 커패시터 및 광 도파관은 주로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은 중적외선에 해당하는 장파장 대역에서 광 손실이 큰 물질이므로 SOI 기반의 광 변조기를 사용 가능한 파장 범위는 제한적이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8,901,576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7,599,5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투명한 저마늄(Ge)과 같은 반도체와, 플루오르(F) 및 이트륨(Y) 계열의 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적외선 광 도파관 및 유효질량이 작은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또는 인듐아세나이드(InAs)와 같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한 반도체를 이용함으로써, 장파장 대역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종래의 광 위상 변조기보다 위상 변조율이 향상된 광 위상 변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클래딩층; 저마늄(Ge)을 포함하며, 상기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상에 위치하는 반도체 화합물층; 및 상기 코어 및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극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는 저마늄-주석(Ge-Sn)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래딩층은 플루오르(F) 또는 이트륨(Y)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래딩층은 칼슘플루오라이드(CaF2) 또는 이트륨옥사이드(Y2O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은 인듐아세나이드(InAs),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갈륨스티븀(GaSb), 인듐갈륨스티븀(InGaSb), 인듐아세나이드스티븀(InA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은, 제1 기판상에 클래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클래딩층상에 저마늄(Ge)을 포함하는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상기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상에 희생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상에 반도체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을 상기 코어층상에 접합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이 상기 코어층상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희생층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 및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에 각각 전극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층은 저마늄-주석(Ge-Sn)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래딩층은 플루오르(F) 또는 이트륨(Y)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래딩층은 칼슘플루오라이드(CaF2) 또는 이트륨옥사이드(Y2O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은 인듐아세나이드(InAs),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갈륨스티븀(GaSb), 인듐갈륨스티븀(InGaSb), 인듐아세나이드스티븀(InA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하면, 약 1.5 ㎛ 내지 15 ㎛의 넓은 파장 대역에서 투명한 저마늄(Ge) 반도체, 플루오르(F) 및 이트륨(Y) 계열의 유전체를 기반으로 하므로, 종래의 실리콘 기반의 광 변조기에 비해 넓은 파장 대역의 광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질량(effective mass)이 작은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또는 인듐아세나이드(InAs)와 같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한 반도체를 이용하여, 굴절률 변화(Δn)가 증가하고 광 변조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도파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저마늄(Ge) 코어와 반도체층에 광이 구속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광의 파장 대역의 변화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한 굴절률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반도체 화합물층에 포함될 수 있는 Ⅲ-Ⅴ 화합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리콘-인슐레이터-실리콘 구조의 광 위상 변조기와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인슐레이터-저마늄(Ge) 구조의 광 위상 변조기의 위상 변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i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도파관(wave guide)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도파관은 기판(10), 기판(10)상에 위치하는 클래딩(cladding)층(20), 및 상기 클래딩층상에 위치하는 코어(30)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30)는 클래딩층(20)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31)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3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30)는 저마늄(germanium; Ge)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존의 광 전달 플랫폼에 주로 사용되는 반도체인 실리콘(silicon), 실리콘 산화물(silicon dioxide), 실리콘 질화물(silicon nitrode), 사파이어(sapphire) 등은 장파장 대역이 될수록 광 손실이 커서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는 적합하지 않은 반면, 저마늄(Ge) 및 저마늄 주석 합금(germanium tin alloy)은 중적외선 대역을 포함하는 약 1.5 ㎛ 내지 15 ㎛의 넓은 파장 대역에서 투명한 특성을 가지므로 장파장 대역 광에 대한 코어의 구성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광 도파관의 유효 굴절률은 제2층(32)의 폭(W)에 영향을 받으므로, 달성하고자 하는 유효 굴절률에 따라 상기 폭(W)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의 파장이 일정할 때 폭(W)이 넓어질수록 유효 굴절률이 증가하지만, 일정 너비 이상에서는 상승률이 줄어들어 포화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험에 의하면, 코어(30)층의 전체 두께(H) 및 제1층(31)의 두께(tslab)에 따른 유효 굴절률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제조 과정에서 두께에 다소 편차가 존재하더라도 안정적인 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광 도파관을 적용하여 제작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는 광 도파관의 코어(30)상에 위치하는 반도체 화합물층(40) 및 상기 코어(30) 및 반도체 화합물층(40)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극들(51, 52)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30)는 양으로 도핑된 물질(예를 들어, p-Ge)을 포함하고, 반도체 화합물층(40)은 음으로 도핑된 물질(예를 들어, n-InGaAs)을 포함하며, 각각 배치된 전극들(51, 52)에 의해 캐리어(carrier)/홀(hole)을 주입함으로써 광의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도 3은 상기 광 위상 변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로서, 광 위상 변조기의 저마늄(Ge) 코어와 반도체층에 광이 구속된 것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어(30)를 통해 홀(hole)이 모이고, 반도체 화합물층(40)을 통해 캐리어(carrier)가 모여서 중심에 구속된 광의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한 굴절률 변화에 있어서, 드루드 모델(Drude model)에 따르면, 광의 파장이 클수록, 물질의 유효질량이 작을수록 자유전자 효과(free-carrier effects)로 인한 유효굴절률 변화(Δn)와 수율 변화(Δα)가 커진다. 이와 같은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아래 수학식에서 알 수 있다.
Figure 112017088882477-pat00001
도 5를 참조하면, 광의 파장 대역의 변화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한 굴절률 변화를 알 수 있는데, 동일한 조건에서 인풋 광의 파장이 2 ㎛, 4 ㎛, 6 ㎛ 로 길어질수록 굴절률 변화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물질에 대하여 파장이 길어질수록 밴드 필링 효과(band-filling effect)에 의한 영향은 무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구성요소 및 광의 굴절률 변화를 크게 만들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은 실리콘(Si)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실리콘(Si) 대상 설비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광 도파관 및 광 위상 변조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래딩(20)은 광이 코어(30)에 구속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는, 코어의 제2층(32)에 구속되도록) 코어(30)에 비해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클래딩(20)은 저마늄(Ge)과 마찬가지로 중적외선 대역에서 투명한 특성을 가진 플루오르(fluorine; F) 또는 이트륨(yttrium; Y)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클래딩(20)은 칼슘플루오라이드(Calcium Fluoride; CaF2) 또는 이트륨옥사이드(Yttrium Oxide; Y2O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파장대(예를 들어, 1.3 ㎛, 1.55 ㎛)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SiO2를 클래딩으로 사용하였는데, SiO2는 중적외선의 광을 흡수하므로 손실이 크다. 이에 비해, 칼슘플루오라이드(CaF2) 또는 이트륨옥사이드(Y2O3)의 경우, 중적외선 대역에서 투명하고 굴절률이 작아 광을 손실 없이 가둘 수 있다.
코어(30)는 클래딩(20)의 전면상에 위치하는 제1층(31)과, 제1층(31)상에 위치하며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32)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30)는 저마늄(Ge)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실리콘 산화물(SiO2)을 재료로 사용한 플랫폼이 장파장 대역에서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과 달리, 저마늄(Ge)은 중적외선 대역을 포함하는 약 1.5 ㎛ 내지 15 ㎛의 넓은 파장 대역에서 투명할 뿐만 아니라 유효질량(effective mass)이 작은 특성을 가지므로,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한 광의 굴절률 변화를 대폭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화합물층(40)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듐아세나이드(InAs) 또는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와 같이 1.5 ㎛ 내지 15 ㎛의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해 투명하면서, 유효질량이 작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화합물층(40)을 구성하는 상기 물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인듐(In), 갈륨(Ga), 비소(As), 스티븀(Sb)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합물(InxGa1-xAsySb1-y)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40)은 갈륨스티븀(GaSb), 인듐갈륨스티븀(InGaSb), 인듐아세나이드스티븀(InAs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반도체 화합물층에 포함될 수 있는 Ⅲ-Ⅴ 화합물이 도시되어 있다. 그래프에 표시된 화합물 중 음영으로 표시된 영역 T에 포함되는 화합물들은, 유효질량이 충분히 작으면서 동시에 1.5 ㎛ 내지 15 ㎛의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해 투명한 특성을 갖는 물질이다. 하지만 도시된 Ge, InGaAs, InAs, GaSb, GaInSb, InSb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반도체 화합물층의 구성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동작에 있어서, 코어(30)는 양으로 도핑된 저마늄(p-Ge)을 포함하고, 반도체 화합물층(40)은 음으로 도핑된 Ⅲ-Ⅴ 화합물 (예를 들어, n-InAs 또는 n-InGaAs 등)을 포함하며, 각각 배치된 전극들(51, 52)에 의해 캐리어/홀을 주입함으로써 광의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어(30)를 통해 홀(hole)이 모이고, 반도체 화합물층(40)을 통해 캐리어(carrier)가 모여서 중심에 구속된 광의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도 7은 실리콘-인슐레이터-실리콘(SIS) 구조의 광 위상 변조기와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인슐레이터-저마늄(Ge) 구조의 광 위상 변조기의 위상 변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 변조기 구조, 즉 음으로 도핑된 실리콘(n-Si)과 양으로 도핑된 실리콘(p-Si) 사이에 MOS 커패시터를 형성하여 광의 위상을 변조하는 구조에 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변조기의 구조, 즉 음으로 도핑된 반도체 화합물층(예를 들어, n-InGaAs)과 양으로 도핑된 저마늄층(p-Ge)을 이용하는 구조에서 광의 위상 변이(phase shift) 효율이 4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은, 광 도파관의 코어의 폭(W)은 2 ㎛이고, 두께(H)는 1 ㎛이며, 화합물층과 코어 사이의 산화물층 두께는 5 ㎚인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이는 최적의 조건이 아닌 예시적인 값에 불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건의 변화에 따라 광의 굴절률이 달라지므로, 위상 변이가 최대가 되는 조건은 이용하고자 하는 광의 파장 및 광 변조기 구성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실리콘 산화물(SiO2)을 재료로 사용한 플랫폼이 장파장 대역에서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과 달리, 저마늄(Ge) 및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는 중적외선 대역을 포함하는 약 1.5 ㎛ 내지 15 ㎛의 넓은 파장 대역에서 투명할 뿐만 아니라 유효질량(effective mass)이 작은 특성을 가지므로, 광 변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i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에에 의하면, 격자 부정합이 없는 에피택시(epitaxy) 성장 구조를 이용한 웨이퍼 접합(wafer bonding) 및 에피택셜 리프트 오프(Epitaxial Lift-Off; ELO) 기법에 의하여 광 위상 변조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에피택셜 리프트 오프(ELO) 기법을 이용한 광 도파관의 제작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 및 제1 기판(10)상에 형성된 클래딩층(20)이 제공되고, 상기 클래딩층(20)상에 코어층(30)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도시된다.
먼저, 기판(100)을 준비하고, 기판(100)상에 희생층(110), 코어층(30) 및 클래딩층(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희생층(100) 및 코어층(30) 사이에 에치스톱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희생층(100) 및 에치스톱층은 전자 수송 특성이 우수한 Ⅲ-V족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 및 에치스톱층은 갈륨아세나이드(GaAs)로 이루어지며, 희생층(110)은 알루미늄갈륨아세나이드(Al(Ga)As)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층(30)은 저마늄(Ge) 또는 저마늄(Ge)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클래딩층(20)은 플루오르(F) 또는 이트륨(Y)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클래딩층(20)의 증착 시 기판(100)을 3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증착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적외선 광 도파관의 투과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어, 상기 기판(100)상에 증착된 클래딩층(20)과 제1 기판(10)상에 증착된 클래딩층(20)을 서로 접합한다. 실시예에서, 접합 전에 클래딩층(20)의 표면상에 형성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고, 표면을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활성화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클래딩층(20)이 접합된 상태에서 희생층(110)을 식각함으로써 기판(100)을 분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희생층(110)의 식각에 사용되는 식각 용액은 불화수소(HF)를 포함하는 친수성 용액, 예를 들어, 불화수소(HF)와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W)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식각 용액은 기체 버블링(gas bubbling)을 억제하기 위한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및/또는 아세톤(acetone)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에치스톱(etch-stop)층이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에치스톱층은 희생층(110)이 식각되는 동안 코어층(30)이 식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층(30)의 상부 표면 일부를 적절한 깊이로 식각함으로써 광 도파관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코어층(30)은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31)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32)으로 나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도파관의 유효 굴절률은 제2층(32)의 폭(W)에 영향을 받으므로, 달성하고자 하는 유효 굴절률에 따라 상기 폭(W)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8d 내지 도 8f를 참조하면, 저온 조건 하에서 에피택시(epitaxy) 성장을 이용하여 광 도파관이 제조되는 예시적인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 및 제1 기판(10')상에 형성된 클래딩층(20')이 제공된다.
이어, 도 8e와 같이 클래딩층(20')상에 코어층(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증착 기법을 이용할 수 있고, 기판을 3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증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층(30')의 상부 표면 일부를 적절한 깊이로 식각함으로써 광 도파관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코어층(30')은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31')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32')으로 나뉠 수 있다. 광 도파관의 유효 굴절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2층(32')의 폭(W)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광 도파관을 이용하여 광 위상 변조기를 생성하기 위한 나머지 과정이 수행된다.
도 8g를 참조하면, 제2 기판(200), 및 상기 제2 기판(200)상에 증착된 희생층(210), 상기 희생층(210)상에 증착된 반도체 화합물층(40)이 제공된다. 이어,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40)을 상기 광 도파관의 식각된 코어층(30)상에 접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기판(200), 희생층(210)의 구성 물질과 증착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반도체 화합물층(40)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듐아세나이드(InAs) 또는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와 같이 1.5 ㎛ 내지 15 ㎛의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해 투명하면서, 유효질량이 작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화합물층(40)을 구성하는 상기 물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인듐(In), 갈륨(Ga), 비소(As), 스티븀(Sb)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합물(InxGa1 - xAsySb1 -y)로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8h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40)이 코어층(30)상에 접합된 상태에서 희생층(210)을 식각함으로써 제2 기판(200)을 분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희생층(210)의 식각 방법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며, 실시예에 따라 에치스톱(etch-stop)층이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에치스톱층은 희생층(210)이 식각되는 동안 반도체 화합물층(40)이 식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i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층(30) 및 상기 반도체 화합물층(40)에 각각 전극들(51, 52)을 배치하여 광 위상 변조기를 제조한다. 코어(30)는 양으로 도핑된 저마늄(p-Ge)을 포함하고, 반도체 화합물층(40)은 음으로 도핑된 Ⅲ-Ⅴ 화합물(예를 들어, n-InAs 또는 n-InGaAs 등)을 포함하며, 배치된 전극들(51, 52)에 의해 캐리어/홀을 주입함으로써 광의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광 위상 변조기에 의하면, 1.5 ㎛ 내지 15 ㎛의 넓은 파장 대역에서 투명한 저마늄(Ge), 플루오르(F) 및 이트륨(Y) 계열의 유전체를 기반으로 하므로, 종래에 약 2 ㎛ 이하의 파장에 국한되어 있던 광학 전자 집적 회로(OptoElectronic Integrated Circuit; OEIC)의 커버리지(coverage)를 약 10 ㎛ 이상의 파장까지 확장할 수 있고, 유효 질량(effective mass)이 작은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또는 인듐아세나이드(InAs)와 같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한 반도체를 이용함으로써, FCEs(Free-carrier effects)로 인한 굴절률 변화(Δn)가 증가하여 광 위상 변조 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는 가스 센서(gas sensor) 및 헬스케어(health-care)에 필요한 바이오 센서 등의 기초 기반이 되는 것으로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대에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기판
20: 클래딩
30: 코어
31: 코어 제1층
32: 코어 제2층
40: 반도체 화합물층
51, 52: 전극
100, 200: 기판
110, 210: 희생층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중적외선에 투명한 클래딩층;
    저마늄(Ge)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하며, 상기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을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상에 위치하며, 저마늄(Ge) 또는 실리콘(Si)보다 유효질량이 작은 물질로 구성되는 화합물 반도체층;
    상기 코어층과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중적외선에 투명한 절연체층; 및
    상기 코어층 및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저마늄-주석(Ge-Sn)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은 플루오르(F) 또는 이트륨(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은 칼슘플루오라이드(CaF2) 또는 이트륨옥사이드(Y2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은 인듐아세나이드(InAs), 갈륨안티모니(GaSb) 및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7. 제1 기판상에 중적외선에 투명한 클래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클래딩층상에 저마늄(Ge)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하는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상기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상에 희생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상에 저마늄(Ge) 또는 실리콘(Si)보다 유효질량이 작은 물질로 구성되는 화합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 및 상기 코어층상에 각각 중적외선에 투명한 절연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 및 상기 코어층상에 각각 형성된 절연체층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이 상기 코어층상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희생층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 및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에 각각 전극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저마늄-주석(Ge-Sn)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은 플루오르(F) 또는 이트륨(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층은 칼슘플루오라이드(CaF2) 또는 이트륨옥사이드(Y2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은 Ⅲ-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은 인듐아세나이드(InAs), 갈륨안티모니(GaSb) 및 인듐갈륨아세나이드(In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의 제조방법.
  13.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중적외선에 투명한 클래딩층;
    저마늄(Ge)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하며, 상기 클래딩층상에 직접 위치하는 제1층 및 중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제2층을 포함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상에 위치하는 화합물 반도체층;
    상기 코어층과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중적외선에 투명한 절연체층; 및
    상기 코어층 및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되,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은, 인듐(In), 갈륨(Ga), 비소(As), 인(P) 및 안티모니(Sb)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저마늄(Ge) 또는 실리콘(Si)보다 작은 유효 질량(effective mass)을 가지고, 중적외선 파장대역의 광에 대하여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KR1020170117061A 2017-09-13 2017-09-13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61A KR101944272B1 (ko) 2017-09-13 2017-09-13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61A KR101944272B1 (ko) 2017-09-13 2017-09-13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272B1 true KR101944272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061A KR101944272B1 (ko) 2017-09-13 2017-09-13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2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9584B2 (en) 2005-10-05 2009-10-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lanar MID-IR integrated microphotonics
JP2011232567A (ja) * 2010-04-28 2011-11-17 Nec Corp 半導体光配線装置
JP2014126728A (ja) * 2012-12-27 2014-07-07 Fujikura Ltd 光導波路素子及び光変調器
US8901576B2 (en) 2012-01-18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photonics wafer using standard silicon-on-insulator processes through substrate removal or transfer
KR20160087960A (ko) * 2015-01-14 2016-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흡수 광변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1927A (ko) * 2010-06-11 2017-02-28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단일분자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9584B2 (en) 2005-10-05 2009-10-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lanar MID-IR integrated microphotonics
JP2011232567A (ja) * 2010-04-28 2011-11-17 Nec Corp 半導体光配線装置
KR20170021927A (ko) * 2010-06-11 2017-02-28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단일분자 검출장치
US8901576B2 (en) 2012-01-18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photonics wafer using standard silicon-on-insulator processes through substrate removal or transfer
JP2014126728A (ja) * 2012-12-27 2014-07-07 Fujikura Ltd 光導波路素子及び光変調器
KR20160087960A (ko) * 2015-01-14 2016-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흡수 광변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155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butt-coupled electro-absorptive modulators
US9341868B2 (en) Silicon-based electro-optical device
CN103137777B (zh) 半导体光学器件
US20090263078A1 (en) Optical device
US20070104441A1 (en) Laterally-integrated waveguide photodetector apparatus and related coupling methods
WO2011101632A1 (en) Electro-optic device
WO2013155378A1 (en) Hybrid optical modulator
US66531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pacitive structure including single crystal silicon
KR100244049B1 (ko) 반도체 장치
EP2908169A1 (en) Electro-optical modulator
US10962810B2 (en) Strained germanium silicon optical modulator array including stress materials
Lee et al. Hetero-epitaxy of high quality germanium film on silicon substrate for optoelectronic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JP2018041957A (ja) 光電変換デバイスおよび光電変換デバイスの動作波長の制御方法
KR101944272B1 (ko) 중적외선 광 위상 변조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5824929B2 (ja) 光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20100117059A1 (en) Light modulation comprising si-ge quantum well layers
CN105759468B (zh) 基于斯塔克效应的soup结构光电调制器及制作方法
Shin et al. Bulk Undoped GaAs–AlGaAs Substrate-Removed Electrooptic Modulators With 3.7-V-cm Drive Voltage at 1.55$\mu $ m
Fujikata et al. High-performance Si optical modulator with strained p-SiGe layer and its application to 25 Gbps optical transceiver
KR102099336B1 (ko) 저마늄을 이용한 적외선 광 도파관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30136392A1 (en) Vertically coupled wavelength tunable photo-detector/opto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Liu et al. High performance Ge devices for electronic-photonic integrated circuits
CN111758065B (zh) 光调制器
Tseng et al. Heterogeneous Integration of Group IV Semiconductors on Si by RMG Method for Implementing High-Speed Optoelectronic Devices
Tseng et al. GeSn waveguide photodetectors fabricated by rapid-melt-growt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