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180B1 -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 Google Patents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180B1
KR101944180B1 KR1020170069252A KR20170069252A KR101944180B1 KR 101944180 B1 KR101944180 B1 KR 101944180B1 KR 1020170069252 A KR1020170069252 A KR 1020170069252A KR 20170069252 A KR20170069252 A KR 20170069252A KR 101944180 B1 KR101944180 B1 KR 10194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ner tank
protrusion
filt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2384A (en
Inventor
송기장
Original Assignee
송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장 filed Critical 송기장
Priority to KR102017006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180B1/en
Publication of KR2018013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탱크와 착탈소켓과 고정부 및 필터부와 같이 구성요소를 최적화하고,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면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여과효율성을 향상시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되는 내측탱크(210)와; 상기 내측탱크(210)의 하단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착탈소켓(220)과; 상기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착탈소켓(220)의 고정 및 해제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230); 및 상기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 사이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탱크(210)는 내측에 제1수용공간(213)이 형성된 몸체(212)와; 상기 몸체(212)의 하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수용공간(213)과 연통되는 제2수용공간(217)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213)(217) 사이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120° ~ 150°의 각도(α)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유선형경사부(215)이 형성되는 돌출하우징(2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that optimizes components such as an inner tank, a removable socket, a fixed portion and a filter portion, and simplifies and simplifies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thereby improving ease of use and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To improve product competitivenes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ner tank 210 for receiving a fluid; A detachable socket 220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tank 210; A fixing part 230 formed between the inner tank 210 and the detachable socket 220 to support the detachable socket 220 to be fixed and released; And a filter unit 240 disposed between the inner tank 210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socket 22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The inner tank 210 includes a body 212 hav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13 formed therein,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12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is form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an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And a protruding housing 216 in which a streamlined slope 215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at an angle α of 120 ° to 150 ° is formed to induce a smooth flow of the fluid.

Description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탱크와 착탈소켓과 고정부 및 필터부와 같이 구성요소를 최적화하고,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면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여과효율성을 향상시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viscous fluid filtering device that optimizes components such as an inner tank, a detachable socket, a fixing portion and a filter portion, simplifies structure and configuration, Viscous fluid filtering device that improves filtration efficiency and enhances product competitiveness.

일반적으로, 굴, 잉크, 페인트, 각종 기름 및 구리스와 같은 고점성 유체는 그 제조과정 또는 사용과정 중에 이물질이 혼재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만 원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general, high-viscosity fluids such as oysters, inks, paints, various oils, and greases are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use thereof, so that the desire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only by removing such foreign substances.

이러한 목적으로 종래에는 메쉬망필터에 고점성유체를 단순히 통과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For this purpose, a method of simply passing a viscous fluid through a mesh net filter has been used.

그러나, 고점성유체는 그 자체의 응집력과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에 중력만으로는 메쉬망필터를 통과하기 어려워 고점성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고점성유체에 대한 고유의 기능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high-viscosity fluid has a large cohesive force and surface tension, it is difficult to pass through the mesh network filter only by gravity, so that the filtration process of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viscous fluid can not be perform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ality is lost.

또한, 고점성유체를 여과하는데 많은 여과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여과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고점성유체에 인위적으로 외력을 가했을 때 메쉬망필터가 외력에 의해 견디지 못하고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filtration time is required for filtration of a high viscosity fluid,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rtificially applied to the viscous fluid to shorten the filtration time, the mesh network filter can not withstand external force and tears hav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0901076호(고점성유체 필터링유닛) 및 특허 제10-0901077호(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Japanese Patent No. 10-0901076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Unit) and Japanese Patent No. 10-0901077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Apparatus).

이 중 특허 제10-0901077호의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유체저장탱크(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유체저장탱크(20)와 연결되는 필터링유닛(30)과, 상기 필터링유닛(30)과 연결되는 유체배출관(40)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로, 상면 중앙부는 원형으로 절개되어 있고, 전면은 개폐가능하도록 도어(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단에는 에어주입수단(23a)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컨트롤패널부(12)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저장탱크(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외측탱크(21)와, 상기 외측탱크(21)에 삽입되는 내측탱크(22)와, 상기 외측탱크(21)와 내측탱크(22)의 상면을 밀폐하는 덮개(23)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탱크(21)는 상기 하우징(10) 상면 중에서도 중앙부에 원형으로 절개된 부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에 원주를 따라 각각 상부플랜지(21a)와 하부플랜지(21b)가 형성되어, 상부플랜지(21a)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볼트결합되고, 상기 내측탱크(22)는 상단이 개방되고, 꿀, 페인트, 잉크, 구리스의 고점성유체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측탱크(21)보다 그 직경을 작게 구성하여 외측탱크(21)의 내측면과 내측탱크(22)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거리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탱크(22)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플랜지(22a)가 형성되고, 하단 중앙에는 유출관(22b)이 형성되되, 상기 내측탱크(22)의 플랜지(22a)는 상기 외측탱크(21)의 상부플랜지(21a)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유출관(22b)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중앙부에 원형으로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일정부분이 삽입되어 내측탱크(22) 내부에 저장된 고점성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외측탱크(21)의 상부플랜지(21a)와 내측탱크(22)의 플랜지에는 각각 실리콘오링(S01, S02)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탱크(21)와 내측탱크(22)를 단단하게 결속시키기 위하여 클램프(24)가 사용되되, 상기 클램프(24)는 상기 외측탱크(21)의 상부플랜지(21a)와 내측탱크(22)의 플랜지(22a)를 동시에 파지함으로써, 내측탱크(2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23)는 상기 컨트롤패널부(12)의 신호에 따라 에어를 내측탱크(22)로 안내하는 에어주입수단(23a)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주입수단(23a)에는 외부에서 에어를 상기 유체저장탱크(20) 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에어주입관(23b)이 연결되되, 상기 에어주입수단(23a)은 니들밸브와 코크 및 에어압을 점검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링유닛(30)은 상기 내측탱크(22)의 유출관(22b)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상부소켓(31)과, 상기 상부소켓(31)의 저면에 밀착 설치되는 메쉬망필터(32)와, 상기 메쉬망필터(32)의 저면에 밀착 설치되는 스테인레스타공망(33)과, 상기 상부소켓(31)의 외주면 하측부가 삽입되는 하부소켓(3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소켓(31)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유체흐름홀(31a)이 형성되고, 이 유체흐름홀(31a)의 내주면 상단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소켓(31)의 나선은 상기 내측탱크(22)의 유출관(22b)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며, 상기 상부소켓(31)은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깊이의 요홈부(31b)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 환형의 끼움홈(31c)이 유체흐름홀(31a) 주변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1c)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패킹(P1)이 설치되되, 상기 제1패킹(P1)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메쉬망필터(32)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고점성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스테인레스타공망(33)은 상기 메쉬망필터(32)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복수개의 관통홀(33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쉬망필터(32)와 스테인레스타공망(33) 사이에는 제2패킹(P2)이 설치되고, 상기 제2패킹(P2)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소켓(34)은 상기 유체배출관(2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내주면에 단턱부(34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소켓(34)은 양측에 각각 관통홀(34b)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34b)의 양측에 각각 고정편(34c)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34c)에는 고정편(34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레버(34d)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레버(34d)는 상단부가 핀에 의하여 고정편(34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체배출관(40)은 상기 필터링유닛(30)의 하부소켓(34)에 연결되어 여과된 고점성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그 관로상에는 밸브(41)가 설치된 것이다.1 and 2, the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of Patent No. 10-0901077 includes a housing 10, a fluid storage tank 20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 filtering unit 30 inserted into the fluid storage tank 20 and connected to the fluid storage tank 20 and a fluid discharge pipe 40 connected to the filtering unit 30, A door 11 is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on the front face thereof, an air injection means 23a is contro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The fluid storage tank 20 includes a cylindrical outer tank 21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10 and open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 tank 22, and an outer tank 21 and an inner tank 22, And the outer tank 21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a circularly cut portion in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has an upper flange 21a and a lower flange 21b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 flange 21b is formed so that the upper flange 21a is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ner tank 22 is opened at the upper end and the high viscosity fluid of honey, paint, ink, The diameter of the inner tank 2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tank 21 so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ank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ank 22, A flange 22a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end and an outflow pipe 22b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The flange 22a of the inner tank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a of the upper tank 21, , And the outlet pipe (22b) has a circ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 portion of the inner tank 2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incised portion of the inner tank 22 to discharge the viscous fluid stored in the inner tank 22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flange 21a of the outer tank 21 and the inner tank 2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silicone O-rings S01 and S02 and a clamp 24 is used for tightly connecting the outer tank 21 and the inner tank 22, The inner tank 22 is prevented from being shaken by grasping the upper flange 21a of the outer tank 21 and the flange 22a of the inner tank 22 at the same time, The air injection means 23a for guiding air to the inner tank 22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air injection means 23a and the air injection means 23a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fluid storage tank 20 The air injection means 23a is connected to the needle valve 23a, And an instrument panel capable of checking the air pressure. The filtering unit 30 includes an upper socket 31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22b of the inner tank 22, A stainless steel perforated net 33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esh net filter 32 and a lower socket 30 to which a lower sid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ocket 31 is inserted The upper socket 3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upper and lower fluid flow holes 31a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ocket 31. A spiral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uid flow hole 31a. The spiral of the upper socket 31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ipe 22b of the inner tank 22 and the upper socket 31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31b having a certain dep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An annular fitting groove (31c) is formed around the fluid flow hole (31a) at its bottom face, and the fitting groove (3 1c is provided with a first packing P1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nd the first packing P1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 upper edge of the mesh net filter 32 is strongly pressed to thereby prevent the viscous fluid from leak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a are formed radially below the mesh net filter 32 and the stainless net perforation network 33 is provided between the mesh net filter 32 and the stainless perforated net 33 The second packing P2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nd the lower socket 34 is connected to the fluid discharge pipe 20 and has a stepped portion 34a Through holes 34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ocket 34 and fixing pieces 34c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s 34b. A rotation lever 34d that rotates about the fixing piece 34c is provided, and the rotation lever 34d 34d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iece 34c by a pin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socket 34 of the filtering unit 30 so that the filtered high- And a valve 41 is provided on the pipe.

상기한 본 출원인의 특허 제10-901077호의 청구항 1을 기초로 하여 도면부호를 기재한 것으로, 누락된 구성요소의 설명 또는 도면부호는 특허 제10-901077호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Th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on the basis of claim 1 of the present applicant's patent 10-901077, and the description or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missing components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patent document 10-901077.

한편, 종래의 필러팅장치의 필터링유닛에 결합되는 유체배출관과의 결합관계가 복잡하고 다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됨으로써, 분해 및 조립이 어렵고, 여과과정 중 누수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upling relation with the fluid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filtering unit of the conventional pilling apparatus is complicated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there is a risk of leakage of water during the filtration process.

또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제품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lusion of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deteriora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901076호(2009.06.03. 공고)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901076 (published on Mar. 3, 2009)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901077호(2009.06.03. 공고)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901077 (published on Mar. 3, 20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탱크와 착탈소켓과 고정부 및 필터부와 같이 구성요소를 최적화하고,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면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여과효율성을 향상시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timize components such as an inner tank, a detachable socket, a fixed portion and a filter portion, Viscous fluid filtering device that improves filtration efficiency and enhances product competitiven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되는 내측탱크와; 상기 내측탱크의 하단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착탈소켓과; 상기 내측탱크와 착탈소켓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착탈소켓의 고정 및 해제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내측탱크와 착탈소켓 사이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탱크는 내측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 사이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120° ~ 150°의 각도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유선형경사부가 형성되는 돌출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하우징은 상기 몸체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부에 1차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이 안착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부에 2차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이 안착되는 제3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소켓은 상단에서 일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어 1차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에서 일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제3돌출부가 삽입되어 하단에 필터부를 압박하여 2차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안착홈; 및 상기 제2안착홈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detachable socket detachably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inner tank; A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detachable socket to support the detachable socket so as to be fixed and released; And a filter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detachable socket to filter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fluid; The inner tank includes a body hav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having an angle of 120 ° to 150 ° so as to induce a smooth flow of flui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spaces And a protruding housing in which a streamlined inclined portion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is formed; The protruding housing includes a first protru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dy;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having a first packing for receiving a first sealing force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third protrusion on which a second packing is mounted, the second protrus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in the second protrusion and providing a secondary sealing force at a lower end thereof;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socket and inserted with the second projection to maintain a primary sealing force;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third projection to press the filter portion at the lower end to maintain a secondary sealing force; And a drain hole penetrating downwar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to allow the fluid filtered in the filter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수용공간의 일측에는, 유체가 하방으로 원활하게 흐름되어 유체의 잔존을 방지하도록 유도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lope part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fluid smoothly flows downward to prevent the fluid from remaining.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착탈소켓의 외주연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링크방식으로 잠금 및 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링크형 클램프; 및 상기 링크형 클램프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돌출하우징의 제1돌출부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자리홈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형 클램프의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져 상기 내측탱크에서 착탈소켓이 착탈되게 구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type clamp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detachable socket, and the locking and releasing actions are performed in a linking manner; And one end is fixed to a seat groove formed in a plane with the first protrusion of the protruded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nk type clamp so that the link type clamp is engaged and released so that the detachable socket is detached from the inner tank And a plurality of hooks for guiding the hooks.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부는, 상기 착탈소켓의 제2안착홈에 안착되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 상에 안착되어 유체를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의 테두리에 일정폭으로 안착되어 상기 여과지의 여과공정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단으로 안착되는 제3돌출부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여과지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portion may include: a perforated net seated in a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detachable socket; A filter paper placed on the perforated line to filter the fluid; And a fixing protrud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filter paper from flowing arbitrarily due to the urging force of the third protrusion which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edge of the filter paper and seated at the upper en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filter paper, ; ≪ / RTI >

본 발명에 있어서, 내측탱크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진입되어 착탈소켓으로 유출될 때 유체의 점성을 분산시켜 유체의 흐름속도를 증가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내측탱크의 일측에 구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게 구성되어 유체의 점성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내측탱크의 내측과 고정축 사이에 구성되어 1차 밀폐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패킹하우징; 및 상기 내측탱크의 외측과 고정축 사이에 구성되어 2차 밀폐력 및 고정축을 지지하는 지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ank is provided with an inner tank that disperses the viscosity of the fluid when it enters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flows out to the detachable socket to shorten the working time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And a stirring part for supporting the efficiency to be improved; Wherein the agitating portion includes a fixed shaft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tank; A stirring blade configured to be freely rot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to disperse the viscosity of the fluid; A packing housing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ank and the fixed shaft so that a primary sealing force is applied; And a support housing configur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ank and the fixed shaft to support the secondary sealing force and the fixed shaft.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탱크와 착탈소켓과 고정부 및 필터부와 같이 구성요소를 최적화하고,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면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여과효율성을 향상시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components such as the inner tank, the detachable socket, the fixed portion and the filter portion, and to simplify and simplify the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t is effective.

도 1은 종래의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의 필터링유닛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의 일부 분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돌출하우징과 착탈소켓 및 필터부의 결합상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의 일부 분해 정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ing unit of a conventional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FIG. 2 is a state in use of a conventional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front view of a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ruding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chable socket and a filter portion in a coupled stat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xploded front view of a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on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 예>&Lt; Embodiment 1 >

제1실시 예의 필터링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탱크(210)와, 상기 내측탱크(210)의 일단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착탈소켓(220) 및 상기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부(230)를 포함한다.3 to 5, the filter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inner tank 210, a detachable socket 220 detachab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inner tank 210, And a fixing part 230 mounted between the detachable socket 220 and the detachable socket 220.

또한, 상기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에 구성되어 고점성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지지하는 필터부(240)를 포함한다.And a filter unit 240 formed in the inner tank 210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socket 220 to support a foreign substance contained in the viscous fluid to be filtered.

상기 내측탱크(210)는 내측에 고점성유체가 진입되어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유출되면서 필터부(240)에 여과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inner tank 21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filter unit 240 so that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high-viscosity fluid enters the inner tank 210 and flows out downward under pressure.

상기 내측탱크(210)는 내측에 고점성유체(이하, '유체'라 통칭한다)가 진입되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213)이 형성되는 몸체(212)와, 상기 몸체(212)의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214) 및 상기 몸체(21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하우징(216)을 포함한다.The inner tank 210 includes a body 212 hav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13 in which a high viscosity fl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uid') is received and accommodated, And a protruding housing 216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212. The flange 214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212,

상기 플랜지(214)는 몸체(2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212)의 수용공간(213)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lange 214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212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213 of the body 212.

상기 돌출하우징(216)은 내측에 상기 제1수용공간(213)과 연통되어 유체가 진입되는 제2수용공간(217)이 형성되고, 착탈소켓(220)이 착탈되게 고정되는 것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truding housing 216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a second receiving space 217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to enter a fluid therein and fixing the attaching / .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213)과 제2수용공간(217) 사이에는 유체가 제1수용공간(213)에서 제2수용공간(217)으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선형경사부(215)를 포함한다.A streamlin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to guide the flui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smoothly 215).

상기 유선형경사부(215)는 수직면에 대하여 120°~ 150°의 각도(α)를 가지면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213)으로 진입된 유체가 제2수용공간(217)으로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제1수용공간(213)에 유체의 잔존을 방지하게 된다.The streamlined inclined portion 215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with an angle α of 120 ° to 150 ° with respect to a vertical plane so that the fluid entering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13 flows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17 So that the fluid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이 경우, 상기 각도(α)가 120°미만이면 유체의 고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150°초과하면 제1 및 제2수용공간(213)(217) 사이의 면적이 확대되어 내측탱크(210)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angle? Is less than 120 °, the time required for flowing the fluid due to the high viscosity of the fluid is delayed, and the working time is added. If the angle is more than 150 °,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spaces 213 The inner tank 210 is relatively increased in volum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213)은 몸체(212)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217)은 돌출하우징(216) 측에 형성된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21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truding housing 216.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217)의 일측에는 상기 제2수용공간(217)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안정적으로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경사부(218)가 형성된다.An inclined portion 21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so that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can flow out stably.

상기 경사부(218)는 30°~ 60°로 형성되어 유체의 원활한 흐림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경사부(218)를 생략할 수도 있다.The inclined portion 218 is formed at an angle of 30 ° to 60 ° so as to support smooth fluidization of the fluid. Of course, the inclined portion 218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상기 돌출하우징(216)은 제1 내지 제3돌출부(2162)(2164)(2166)로 구성된다.The protruding housing 216 is composed of first to third protrusions 2162, 2164 and 2166.

상기 제1돌출부(2162)는 몸체(212)의 하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외주연에 고정부(230)의 걸고리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돌출부(2162)의 외주연에는 상기 걸고리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가 위치되는 지점에 평면을 가지는 자리홈(2163)이 형성된다.The first protrusion 216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212, and the hook of the fixing part 230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In this case, a seat groove 2163 having a plan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hook is located so that the hook can be stably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rojection 2162.

상기 제2돌출부(2164)는 상기 제1돌출부(2162)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착탈소켓(220)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가지도록 한다.The second protrusion 2164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sion 216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socket 220 to provide a sealing force.

이 경우, 상기 제2돌출부(2164)는 상기 제1돌출부(2162) 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단턱구조를 이루게 됨에 따라, 상기 착탈소켓(220)에 상기 제2돌출부(2164)가 삽입되고, 상기 제1돌출부(2162)는 상기 착탈소켓(220)의 일단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2164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rotrusion 2162,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164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socket 220, The first protrusion 2162 is retained in the one end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또한, 상기 제2돌출부(2164)의 하단에는 착탈소켓(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제1패킹(2165)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2164 includes a first packing 2165 for supporting a sealing force of the second protrusion 2164 in a state where the second protrusion 2164 is inserted into the socket 220.

상기 제1패킹(2165)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킹(2165)이 상기 제2돌출부(2164)의 하단면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돌출부(2164)과 착탈소켓(220)과의 밀폐력을 지지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first packing 2165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or silicon and is formed in an O-ring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packing 2165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econd projection 2164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or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it supports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164 and the detachable socket 220.

상기 제3돌출부(2166)는 상기 제2돌출부(2164)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착탈소켓(220) 사이에 구성되는 필터부(240)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부(240)와 착탈소켓(220) 사이에 밀폐력이 증대되도록 지지한다.The third protrusion 2166 extends from the second protrusion 2164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urges the filter 240 formed between the detachable sockets 220 so that the filter 240 and the detachable socket 220 So as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또한, 상기 제3돌출부(2166)의 하단에는 착탈소켓(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부(240)를 압박함과 동시에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제2패킹(2167)을 포함한다.The second protrusion 2166 includes a second packing 2167 for supporting the filter unit 240 while supporting the filter unit 24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socket 220 so that the sealing force is improved.

상기 제2패킹(2167)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킹(2167)이 상기 제3돌출부(2166)의 하단면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돌출부(2166)와 필터부(240)와의 밀폐력을 지지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second packing 2167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is formed in an O-ring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packing 2167 is formed on the lower end face of the third projection 2166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or shape that supports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third projection 2166 and the filter unit 240 can be used.

상기 착탈소켓(220)은 상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제1안착홈(222)과, 상기 제1안착홈(222)에서 일정깊이 형성되는 제2안착홈(224) 및 상기 제2안착홈(224)에서 외부 즉, 유체배출관(40)으로 유체가 이송되도록 관통되는 유출공(226)을 포함한다.The detachable socket 220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222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end thereof, a second seating groove 224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irst seating groove 222, 224 through which the fluid is delivered to the outside, i.e., the fluid discharge pipe 40.

또한, 상기 착탈소켓(220)의 일단 즉, 상단부에는 고정부(230)의 링크형 클램프가 고정되고, 타단 즉, 하단부에는 상기 유체배출관(4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a link clamp of the fixing part 230 is fixed to one end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that is, the upper end, and on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ipe 4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that is, the lower end.

상기 제1안착홈(222)은 상기 내측탱크(210)의 제2돌출부(2164)가 삽입되어, 상기 제2돌출부(2164)에 구성된 제1패킹(2165)에 의해 밀페력이 지지되도록 한다.The first seating groove 2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jection 2164 of the inner tank 210 so that the first packing 2165 formed on the second projection 2164 supports the pressing force.

상기 제2안착홈(224)은 내측에 필터부(240)와 상기 내측탱크(210)의 제3돌출부(2166)가 삽입되어, 상기 제3돌출부(2166)에 의해 필터부(240)가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공간을 형성한다.The filter seat 240 and the third protrusion 2166 of the inner tank 21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 groove 224 and the filter seat 240 is fixed by the third projection 2166 Thereby forming a space for maintaining a fixed state.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착탈소켓(220)의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는 링크형 클램프(232) 및 상기 내측탱크(210)의 제1돌출부(2162)에 고정되는 걸고리(234)를 포함한다.The fixing part 230 includes a link clamp 232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and a hook 234 fixed to the first protrusion 2162 of the inner tank 210 .

상기 링크형 클램프(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결합관계로 구성되어 링크작용을 통해 일단이 상기 걸고리(234)에 걸림 또는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측탱크(210)의 돌출하우징(216)에서 착탈소켓(220)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링크형 클램프(232)는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출하우징(216)에 착탈소켓(220)이 견고하게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ink clamp 232 is formed in a linking relationship so that one end of the link clamp 232 is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hook 234,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housing 216 of the inner tank 210 The detachable socket 220 is detachably supported. In this case, since the link clamp 232 is a general technical ide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or shape may be used so long as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socket 220 can be firmly fixed and released to the protruding housing 216.

상기 걸고리(234)는 상기 내측탱크(210)의 돌출하우징(216)의 외주연 일측에 고정되러 상기 링크형 클램프(232)의 일단이 걸림 또는 해제되도록 지지한다.The hook 234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rotruding housing 216 of the inner tank 210 to support one end of the link clamp 232 to be hooked or released.

상기 필터부(240)는 상기 착탈소켓(220)과 돌출하우징(216) 사이에 구성되어 내측탱크(210)로 진입된 유체가 유체배출관(40)으로 배출될 때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filter unit 240 is disposed between the detachable socket 220 and the protruding housing 216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when the fluid entering the inner tank 210 is discharged to the fluid discharge pipe 40 And the like.

상기 필터부(240)는 타공망(242)과, 여과지(244) 및 고정와셔(246)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240 includes a perforated network 242, a filter paper 244, and a fixing washer 246.

상기 타공망(242)은 상기 착탈소켓(220)의 제2안착홈(224)에 안착되어 여과지(244)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 및 하중에 의해 상기 여과지(24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여과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한다.The perforated network 242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224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to prevent the filter paper 244 from being damaged by pressure and load of fluid acting on the filter paper 244, Support the process to be performed.

이 경우, 상기 타공망(242)의 타공의 크기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결정된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perfora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2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fluid, an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 demand of the user, or the like.

상기 여과지(244)는 상기 타공망(242) 상에 안착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여과지(244)의 종류 또는 크기는 유체의 종류 및 사용목적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여과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lter paper 244 is seated on the perforated network 242 and function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In this case, the type or size of the filter paper 244 may be various paper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fluid, the purpose of use, or the user's demand.

상기 고정와셔(246)는 상기 여과지(244)의 테두리 일정범위를 압박하여, 유체의 여과공정 중 압력 또는 하중에 의해 상기 여과지(244)가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와셔(246)의 크기는 여과지(244)의 여과범위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과지(244)에 압박을 작용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fixing washer 246 presses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filter paper 244 so as to prevent the filter paper 244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by a pressure or a load during filtration of the fluid so as to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Function.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fixing washer 246 may be any size as long as it can hold the filter paper 244 in a fixed stat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ilter paper 244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ltering range of the filter paper 244.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는, 본 출원인의 특허 제10-901077호와 같이, 내측탱크(210)의 수용공간(213)에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내측탱크(210)의 상단을 밀폐시킨 후 압력을 가하면,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유체가 내측탱크(210)의 돌출하우징(216) 일단에 압박되어 고정된 필터부(240)의 여과지(244)를 통과하면서, 상기 여과지(244)의 여과공정을 통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착탈소켓(220)의 일단에 고정된 유체배출관(4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The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luid in the receiving space 213 of the inner tank 210 and to seal the upper end of the inner tank 210, as in the patent No. 10-901077 of the present applicant, The fluid is pushed by one end of the protruding housing 216 of the inner tank 21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paper 244 of the fixed filter 240 by the pressure acting on the filter paper 244,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is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proces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discharge pipe 40 fixed to one end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또한, 상기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는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과 고정부(230) 및 필터부(240)와 같이 구성요소를 최적화하고,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면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The high viscous fluid filtering device can be used by optimizing the components such as the inner tank 210, the detachable socket 220, the fixing part 230 and the filter part 240 and simplifying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

또한, 필터부의 여과지 상에 고정와셔를 고정함으로써, 유체에 대한 여과공정 중 상기 여과지에 작용하는 압력 및 하중에 의해 상기 여과지가 임의로 어느 한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효율성을 향상시켰다.Further, by fixing the fixing washer on the filter paper of the filter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paper from being pushed by any one of them due to the pressure and the load acting on the filter paper during the filtration process for the fluid, thereby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제2실시 예>&Lt; Embodiment 2 >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실시 예의 내측탱크(2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수용되어 하방으로 유출되는 유체의 점성을 분산시켜 필터부(240)를 통해 여과공정이 수행될 때 여과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지지하는 교반부(2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inner tank 210 of the second embodiment improves the filtration efficiency when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filter unit 240 by dispersing the viscosity of the fluid received inside and flowing out downward. (Not shown).

상기 교반부(250)는 상기 내측탱크(2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고정축(252)과, 상기 고정축(252)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254)와, 상기 내측탱크(210)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축(252)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패킹하우징(256) 및 상기 내측탱크(210)의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축(252)을 지지하는 지지하우징(258)을 포함한다.The stirring unit 250 includes a fixed shaft 252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tank 210, at least one stirring blade 254 configured to be freely rotated on the fixed shaft 252, A packing housing 256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ank 210 to seal the fixed shaft 252 and a support housing 258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ank 210 and supporting the fixed shaft 252, .

상기 고정축(252)은 상기 내측탱크(210)에 횡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고정되어 교반날개(254)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xed shaft 252 is fixed transversely to the inner tank 210 to support the stirring vane 254 so as to rotate smoothly.

이 경우, 상기 고정축(252)의 내측탱크(2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측탱크(210)의 크기나 사용목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inner tank 21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ank 210 of the fixed shaft 252, and the inner tank 21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inner tank 210 and the purpose of use.

상기 교반날개(254)는 상기 고정축(252)에 구성되어 내측탱크(210)의 제1수용공간(213)으로 진입된 유체에 대한 점성을 분산시켜 빠른 흐름과 필터부(240)에 의해 여과가 신속히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여과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한다.The stirring vane 254 is formed on the fixed shaft 252 to disperse the viscosity of the fluid enter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213 of the inner tank 210, So that the overall fil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상기 교반날개(254)에는 상기 고정축(252)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베어링 또는 부싱을 포함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축(252)에 교반날개(254)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25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irring vane 254 includes a bearing or a bushing so as to freely rotate on the fixed shaft 252.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irring wing 254 may be fixed to the fixed shaft 252, and the fixed shaft 252 may be rotated.

또한, 상기 교반날개(254)는 고정축(2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하여 여과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stirring vanes 254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252 to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또한, 상기 교반날개(254)는 유체의 점성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stirring vanes 254 can be any structure or shape that can effectively disperse the viscosity of the fluid.

상기 패킹하우징(256)은 상기 내측탱크(210)의 내측면과 고정축(25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내측탱크(210)와 고정축(252) 사이공간으로 유체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cking housing 25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ank 210 and the fixed shaft 252 to support the fluid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ank 210 and the fixed shaft 252 .

상기 지지하우징(258)은 상기 내측탱크(210)의 외측면과 고정축(25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내측탱크(210)에 고정축(252)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킹하우징(256)을 통해 1차 밀폐력을 가지고, 상기 지지하우징(258)을 통해 2차 밀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support housing 258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ank 210 and the fixed shaft 252 so that the fixed shaft 252 is stably fixed to the inner tank 210, So as to have a primary sealing force through the packing housing 256 and have a secondary sealing force through the support housing 258. [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high-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210: 내측탱크 212: 몸체
213: 제1수용공간 214: 플랜지
215: 유선형 경사부 216: 돌출하우징
2162: 제1돌출부 2163: 자리홈
2164: 제2돌출부 2165: 제1패킹
2166: 제3돌출부 2167: 제2패킹
217: 제2수용공간 218: 경사부
220: 착탈소켓 222: 제1안착홈
224: 제2안착홈 226: 유출공
230: 고정부 232: 링크형 클램프
234: 걸고리 240: 필터부
242: 타공망 244: 여과지
246: 고정와셔 250: 교반부
252: 고정축 254: 교반날개
256: 패킹하우징 258: 지지하우징
210: inner tank 212: body
213: first accommodation space 214: flange
215: streamlined slope 216: protruding housing
2162: first protrusion 2163: seat groove
2164: second protrusion 2165: first packing
2166: third projection 2167: second packing
217: second accommodation space 218: inclined portion
220: detachable socket 222: first seat groove
224: second seating groove 226: outlet hole
230: Fixing part 232: Link clamp
234: hooks 240: filter part
242: perforated network 244: filter paper
246: Fixing washer 250:
252: fixed shaft 254: stirring blade
256: packing housing 258: support housing

Claims (5)

유체를 수용되는 내측탱크(210)와, 상기 내측탱크(210)의 하단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착탈소켓(220)과, 상기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착탈소켓(220)의 고정 및 해제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230) 및 상기 내측탱크(210)와 착탈소켓(220) 사이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240)를 포함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탱크(210)는 내측에 제1수용공간(213)이 형성된 몸체(212)와; 상기 몸체(212)의 하단에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수용공간(213)과 연통되는 제2수용공간(217)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213)(217) 사이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120° ~ 150°의 각도(α)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유선형경사부(215)이 형성되는 돌출하우징(216)과; 상기 제1수용공간(213)으로 진입되어 착탈소켓(220)으로 유출될 때 유체의 점성을 분산시켜 유체의 흐름속도를 증가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교반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하우징(216)은 상기 몸체(212)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돌출부(2162)와, 상기 제1돌출부(2162)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부에 1차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2165)이 안착되는 제2돌출부(2164) 및 상기 제2돌출부(2164)에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단부에 2차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2167)이 안착되는 제3돌출부(2166)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소켓(220)은 상단에서 일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2164)가 삽입되어 1차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안착홈(222)과, 상기 제1안착홈(222)에서 일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제3돌출부(2166)가 삽입되어 하단에 필터부(240)를 압박하여 2차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안착홈(224) 및 상기 제2안착홈(224)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필터부(240)에서 여과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유출공(226)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250)는 상기 내측탱크(2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고정축(252)과, 상기 고정축(2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게 구성되어 유체의 점성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교반날개(254)와, 상기 내측탱크(210)의 내측과 고정축(252) 사이에 구성되어 1차 밀폐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패킹하우징(256) 및 상기 내측탱크(210)의 외측과 고정축(252) 사이에 구성되어 2차 밀폐력 및 고정축(252)을 지지하는 지지하우징(2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
A detachable socket 220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tank 210 and a detachable socket 220 formed between the inner tank 210 and the detachable socket 220, And a filter unit 240 disposed between the inner tank 210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socket 220 to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A fluid filtering device comprising:
The inner tank 210 includes a body 212 hav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13 formed therein,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12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is form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an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17 A protruding housing 216 in which a streamlined slope 215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at an angle? Of 120 ° to 150 ° is formed to induce a smooth flow of the fluid;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increased by dispersing the viscosity of the fluid when the fluid enters the first receiving space 213 and flows out to the detachable socket 220,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And an agitating part (250)
The protruding housing 216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162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dy 212 and a first packing 2165 exten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216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ing a primary sealing force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third protrusion 2166 extending from the second protrusion 2164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econd packing 2167 for providing a second sealing force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164,
The detachable socket 220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222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and adapted to receive the second projection 2164 to maintain a primary sealing force, A second seating groove 224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224 to receive the third projection 2166 and press the filter 240 to maintain a secondary sealing force, And an outlet hole (226) through which the fluid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gitating unit 250 includes a fixed shaft 252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tank 210 and a stirring member 254 configured to be freely rot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252 to disperse the viscosity of the fluid. A wing 254 and a packing housing 256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ank 210 and the fixed shaft 252 so as to apply a primary sealing force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ank 210 and the fixed shaft 252 And a support housing (258)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ary sealing force and the fixed shaft (25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217)의 일측에는, 유체가 하방으로 원활하게 흐름되어 유체의 잔존을 방지하도록 유도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부(2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ope part (218)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17) to induce the fluid to smoothly flow downward to prevent the fluid from remai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착탈소켓(220)의 외주연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링크방식으로 잠금 및 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링크형 클램프(232) 및 상기 링크형 클램프(232)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돌출하우징(216)의 제1돌출부(2162)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자리홈(2163)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형 클램프(232)의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져 상기 내측탱크(210)에서 착탈소켓(220)이 착탈되게 구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걸고리(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clamps 232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and configured to be locked and unlocked in a linking manner, One end is fixed to a seat groove 2163 formed in a plane with the first protrusion 2162 of the protruding housing 21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2161. The link clamp 232 is engaged and disengaged, And a plurality of hooks (234) for detachab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etachable socket (220) from the detachable socket (2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40)는, 상기 착탈소켓(220)의 제2안착홈(224)에 안착되는 타공망(242)과, 상기 타공망(242) 상에 안착되어 유체를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지(244) 및 상기 여과지(244)의 테두리에 일정폭으로 안착되어 상기 여과지(244)의 여과공정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단으로 안착되는 제3돌출부(2166)의 압박력에 의해 상기 여과지(244)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와셔(2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240 includes a perforated network 242 that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224 of the detachable socket 220 and a filter paper 244 that is seated on the perforated network 242 to filter the fluid, And the filter paper 244 is arbitrarily mov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third protrusion 2166 which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edge of the filter paper 244 and seated at the upper en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filter paper 244 And a fixing washer (246)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so as to impr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삭제delete
KR1020170069252A 2017-06-02 2017-06-02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KR101944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52A KR101944180B1 (en) 2017-06-02 2017-06-02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52A KR101944180B1 (en) 2017-06-02 2017-06-02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84A KR20180132384A (en) 2018-12-12
KR101944180B1 true KR101944180B1 (en) 2019-01-30

Family

ID=6467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52A KR101944180B1 (en) 2017-06-02 2017-06-02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1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2281B (en) * 2022-09-27 2023-09-29 湖北野蜂谷蜂业有限公司 Honey production filtration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450B1 (en) * 2007-06-20 2009-03-11 신광식 A Filter
KR100901077B1 (en) * 2009-01-13 2009-06-03 송기장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076B1 (en) 2009-01-13 2009-06-03 송기장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unit
KR101252569B1 (en) * 2011-05-31 2013-04-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Module configuration of hydrogen purification separation membrane module for the reduce of concentration polariz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450B1 (en) * 2007-06-20 2009-03-11 신광식 A Filter
KR100901077B1 (en) * 2009-01-13 2009-06-03 송기장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84A (en)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5560B2 (en) Filter device
US4725354A (en) Filtering system
EP2000218A1 (en) Self regulating vent for a paint supply vessel.
KR101944180B1 (en)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Device
EP3109521A1 (en) Faucet valve housing assembly
JP2012232280A (en) Case structure of fluid pressure device
US9084952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US20080156711A1 (en) Water filter assembly and filter cartridge for use therewith
KR20150079937A (en) A gas distribution assembly
MX2007002947A (en) Fuel filter cartridge and keyed end cap.
KR20100020467A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fluid with safety system
BRPI0706944A2 (en) union set for connection between an outlet container and a distributor container
JP6505834B2 (en) Filter device
US10571039B1 (en) Serviceable valve carousel system
JPWO2004078318A1 (en) Filter device
KR20130086319A (en) Impeller device and system
US20230026027A1 (en) Filter cartridge for a whole house water filtering system
KR100901077B1 (en)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apparatus
CN112261979B (en) On-line filter
KR100901076B1 (en) High viscosity fluid filtering unit
EP3741440A1 (en) Filtration device
JP2005288293A (en) Filter
CN209201940U (en) Case lid, liquid reserve tank and unmanned vehicle
CN109890477B (en) Filter device
EP3922595A1 (en) Backup valve for closed transfer cou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