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97B1 -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97B1
KR101943997B1 KR1020167027475A KR20167027475A KR101943997B1 KR 101943997 B1 KR101943997 B1 KR 101943997B1 KR 1020167027475 A KR1020167027475 A KR 1020167027475A KR 20167027475 A KR20167027475 A KR 20167027475A KR 101943997 B1 KR101943997 B1 KR 10194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face
illumination
system time
currentl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082A (ko
Inventor
베이샤 황
바이커 린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7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은,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이 시스템 시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
본 개시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소형 스크린 키패드 이동 전화의 시장이 점진적으로 쇠퇴하면서, 대형 터치 스크린 이동 전화, 특히 스마트폰이 시장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대형 터치 스크린 이동 전화의 시장을 차지하는 것이 모든 이동 전화 제조사들의 주요 목표가 되었고,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확실히 이동 전화 제조사들이 대형 터치 스크린 이동 전화의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주요한 방법이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용자 경험 개선이 이동 전화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깊이 인식되었고, 이동 전화의 인간-기계 간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즉 이동 전화의 UI 인터페이스는 이동 전화의 사용자 경험의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동 전화의 UI 인터페이스의 설계 핵심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에 만족케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이 되는 것이다.
최근 시장의 임의의 주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이동 단말이든 또는 개인 컴퓨터 단말이든, 그 UI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정적인 뷰를 보여주고,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 후 시각적인 피로가 발생하면, 이는 일반적으로 스킨을 교체함으로써 해결된다.
최근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의 UI 인터페이스에 대해 일부 동적 효과가 실현되어,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looping)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생동감있게 만드는 목적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하는 것은 다량의 전력을 소비하고, 단말의 대기 시간을 축소한다.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은,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단말은,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작 및 결정 유닛;
시작 및 결정 유닛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 후,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유닛; 및
상기 검색 유닛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의 도식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의 다른 하나의 도식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후 이동 전화의 인터페이스의 도식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후 이동 전화의 인터페이스의 다른 하나의 도식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후 이동 전화의 인터페이스의 다른 하나의 도식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다른 하나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고, 이는 인터페이스의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하는 것이 다량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의 일시예를 도해하고,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101: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또는 개인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단말은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조정하지 않고, 단말이 동작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은 실시간으로 인터페이스를 조정하거나 시간 간격을 두고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대기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일 때,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단말은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은 단말의 내부 시간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시작 작동은, 단말이 대기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단말을 트리거하여 동작 상태로 전환시키는 작동을 지칭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대기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먼저 단말에 스위치 버튼 또는 다른 스위칭 액션이 구비되어야 하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동 전화 상의 홈 버튼 또는 이동 전화의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 전화 상의 홈 버튼 또는 이동 전화의 시작 버튼을 누른 후,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의 프로세서는 이동 전화를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다른 예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대기 상태에 있는 IPAD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클릭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클릭 액션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IPAD의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대기 상태에 있는 IPAD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IPAD를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로 다른 장치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트리거되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이동 전화가 전원 오프 상태일 때 사용자가 이동 전화의 측면에 있는 시작 버튼을 길게 누를(hold down) 경우, 상기 시작 버튼은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온 신호는 이동 전화가 시작하도록 트리거하고, 부팅 절차를 실현하고, 이로써 이동 전화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일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102: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가 단말 내에 기 설정되어 있고, 단말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획득한 후, 단말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간이 정오 12:00이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의 검색에 의해, 정오 12:00의 조명 음영 각도는 95도인 것이 결정되고, 시간이 오후 6:00이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의 검색에 의해, 오후 6:00의 조명 음영 각도는 180도인 것이 결정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는 구체적인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103: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찾은 후,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단말이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작 버튼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단말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단말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 후, 단말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여, 단말이 시스템 시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페이스의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하는 것이 다량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그로 인해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의 실시예를 도해하고,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201: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단말은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조정하지 않고, 단말이 동작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은 실시간으로 인터페이스를 조정하거나 시간 간격을 두고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대기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일 때,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단말은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은 단말의 내부 시간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이 대기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먼저 단말에 스위치 버튼 또는 다른 스위칭 액션이 구비되어야 하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동 전화 상의 홈 버튼 또는 이동 전화의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 전화 상의 홈 버튼 또는 이동 전화의 시작 버튼을 누른 후,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의 프로세서는 이동 전화를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다른 예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대기 상태에 있는 IPAD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클릭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클릭 액션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IPAD의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대기 상태에 있는 IPAD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IPAD를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로 다른 장치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트리거되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이동 전화가 전원 오프 상태일 때 사용자가 이동 전화의 측면에 있는 시작 버튼을 길게 누를(hold down) 경우, 상기 시작 버튼은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온 신호는 이동 전화가 시작하도록 트리거하고, 부팅 절차를 실현하고, 이로써 이동 전화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시간 장치를 그 안에 포함하고, 단말은 상기 시간 장치를 사용하여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202: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가 단말 내에 기 설정되어 있고, 단말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획득한 후, 단말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간이 정오 12:00이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의 검색에 의해, 정오 12:00의 조명 음영 각도는 95도인 것이 결정되고, 시간이 오후 6:00이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의 검색에 의해, 오후 6:00의 조명 음영 각도는 180도인 것이 결정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는 구체적인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203: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획득한 후,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단말은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 즉, 단말 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수정한다.
204: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 후, 단말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의 주 인터페이스(subject interface)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현재 주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조명 음영을 더 리프레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상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단말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단말이 단말 내에 기 설정된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여, 단말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페이스의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하는 것이 다량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그로 인해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이동 전화를 켤 때, 이동 전화가 이동 전화의 현재 시스템 시간이 오전 6:00이라고 결정하면, 조정 후의 이동 전화의 인터페이스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이동 전화가 이동 전화의 현재 시스템 시간이 정오 12:00이라고 결정하면, 조정 후의 이동 전화의 인터페이스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이동 전화가 이동 전화의 현재 시스템 시간이 오후 6:00이라고 결정하면, 조정 후의 이동 전화의 인터페이스는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의 실시예를 도해하고, 다음 구성들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작 및 결정 유닛(401);
상기 시작 및 결정 유닛(401)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 후,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유닛(402); 및
상기 검색 유닛(402)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유닛(403).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내의 시작 및 결정 유닛(401)은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검색 유닛(402)은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조정 유닛(403)은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시작 및 결정 유닛(401)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여, 단말이 시스템 시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페이스의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하는 것이 다량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그로 인해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의 실시예를 도해하고, 이는 다음 구성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작 및 결정 유닛(401), 검색 유닛(402), 및 조정 유닛(403)이고, 그 기술적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며,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시작 및 결정 유닛(401)은 구체적으로, 단말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직전에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조정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구간이 만료되면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조정 유닛(403)은,
상기 검색 유닛(402)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유닛(501); 및
업데이트 유닛(501)이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하도록 구성되는 리프레시 유닛(502);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의 주 인터페이스(subject interface)이면,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현재 주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면,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시작 및 결정 유닛(401)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검색 유닛(402)이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조정 유닛(403) 내에 있는 업데이트 유닛(501)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고, 리프레시 유닛(502)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한다.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것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의 주 인터페이스(subject interface)이면,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현재 주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는 것과, 및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면,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조명 음영을 더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리프레시 유닛(502)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단말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단말 내에 기 설정된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하여, 단말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페이스의 동적 효과를 순환반복하는 것이 다량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그로 인해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한다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 내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이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정신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 방식 및 응용 범위 상에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요약하면, 명세서의 내용이 본 개시에 대한 한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는,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는, 시스템 시간과 조명 음영 각도 사이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면서,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것임 - ; 및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의 주 인터페이스(subject interface)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현재 주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6. 단말로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시작 및 결정 유닛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한 후,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 여기서 상기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는, 시스템 시간과 조명 음영 각도 사이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면서,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것임 - ;
    검색 유닛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 유닛이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 유닛이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실행하는, 단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의 주 인터페이스(subject interface)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현재 주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실행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실행하는, 단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실행하는, 단말.
  11.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1개 이상의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명령어는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로 하여금,
    시작 작동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상기 시작 작동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을 결정하고 - 여기서 상기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는, 시스템 시간과 조명 음영 각도 사이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면서,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것임 - ,
    시간 및 조명 음영 각도의 대응표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상기 단말의 현재 시스템 시간에 대응하는 조명 음영 각도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것;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단말의 주 인터페이스(subject interface)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현재 주 인터페이스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주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조명 음영을 리프레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현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된 조명 음영 각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67027475A 2014-03-27 2015-03-26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 KR101943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19836.3 2014-03-27
CN201410119836.3A CN104951036B (zh) 2014-03-27 2014-03-27 一种界面调整方法及终端
PCT/CN2015/075132 WO2015144071A1 (en) 2014-03-27 2015-03-26 Interface adjustment method and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082A KR20160129082A (ko) 2016-11-08
KR101943997B1 true KR101943997B1 (ko) 2019-01-30

Family

ID=5416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475A KR101943997B1 (ko) 2014-03-27 2015-03-26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11707A1 (ko)
JP (1) JP2017519265A (ko)
KR (1) KR101943997B1 (ko)
CN (1) CN104951036B (ko)
WO (1) WO2015144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9101B (zh) * 2020-10-31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254A (ja) 1999-03-29 2000-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陰影設定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JP2002304637A (ja) 2001-02-06 2002-10-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透明オブジェクトのリアルタイムな影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157170A (ja) 2008-12-30 2010-07-15 Kaadeikku Corporation:Kk 全方向影投下レンダラー
US20110012901A1 (en) 2009-06-29 2011-01-20 Anton Kaplanyan Method, computer graphics image render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data storage medium for computing of indirect illumination in a computer graphics image of a scene
JP2012522283A (ja) 2009-03-27 2012-09-2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画像における陰影生成方法
US20130318458A1 (en) * 2011-11-21 2013-11-28 Kenton M. Lyons Modifying Chrome Based on Ambient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692A (ja) * 1997-10-27 1999-05-21 Nikon Corp 補間装置
JP2000099237A (ja) * 1998-09-24 2000-04-07 Toshiba Corp 表示・入力装置
US8713458B2 (en) * 2007-02-15 2014-04-29 Nokia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s
EP2132960B1 (en) * 2007-03-29 2012-05-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atural daylight mimicking system and user interface
CN101321299B (zh) * 2007-06-04 201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视差生成方法、生成单元以及三维视频生成方法及装置
CN100520807C (zh) * 2007-12-28 2009-07-29 北京交通大学 基于多尺度总体变分商图像的独立分量分析人脸识别方法
KR20110019861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29309B1 (ko) * 2009-11-04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에너지관리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제품
US20120218282A1 (en) * 2011-02-25 2012-08-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CN102185971A (zh) * 2011-04-25 2011-09-14 北京百纳威尔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桌面显示处理方法及装置
CN102300004A (zh) * 2011-09-14 2011-12-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背光灯亮度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02903146B (zh) * 2012-09-13 2015-09-16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用于场景绘制的图形处理方法
CN102999264A (zh) * 2012-11-09 2013-03-27 Tcl通力电子(惠州)有限公司 桌面背景自动设置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3019560B (zh) * 2012-11-29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界面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40122458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3281436B (zh) * 2013-04-27 2015-03-1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调节移动终端屏幕亮度的方法及移动终端
US9398144B2 (en) * 2013-10-24 2016-07-19 Cellco Partnership Mobile device mode of operation for visually impaired users
US10096296B2 (en) * 2013-11-13 2018-10-09 Red Hat, Inc. Temporally adjusted application window drop shadow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254A (ja) 1999-03-29 2000-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陰影設定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JP2002304637A (ja) 2001-02-06 2002-10-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透明オブジェクトのリアルタイムな影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157170A (ja) 2008-12-30 2010-07-15 Kaadeikku Corporation:Kk 全方向影投下レンダラー
JP2012522283A (ja) 2009-03-27 2012-09-2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画像における陰影生成方法
US20110012901A1 (en) 2009-06-29 2011-01-20 Anton Kaplanyan Method, computer graphics image render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data storage medium for computing of indirect illumination in a computer graphics image of a scene
US20130318458A1 (en) * 2011-11-21 2013-11-28 Kenton M. Lyons Modifying Chrome Based on Ambient Cond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082A (ko) 2016-11-08
US20170011707A1 (en) 2017-01-12
CN104951036A (zh) 2015-09-30
JP2017519265A (ja) 2017-07-13
CN104951036B (zh) 2017-12-15
WO2015144071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9481B (zh) 终端上的模式切换方法和装置
EP2787423B1 (en) Standby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US95374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ate switching method based on electronic device
CN102799489B (zh) 对终端进行控制的方法、装置及终端
PH12016500217A1 (en) Mobile operating system
RU262794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домашним источником питания
WO2017101362A1 (zh) 一种智能终端的功耗管控方法及系统
CN104486824A (zh) 移动终端的节能方法及装置
CN102446396A (zh) 一种移动终端控制电子设备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5517109A (zh) 移动终端中控制无线局域网后台扫描的方法和装置
TWM517960U (zh) 控制通信的終端
CN104836869A (zh) 一种移动通信终端和移动通信终端开机方法
KR101943997B1 (ko) 인터페이스 조정 방법 및 단말
CN103916545A (zh) 一种状态切换方法及电子设备
CN103870290A (zh) 一种切换方法和设备
WO2015184822A1 (zh) 移动终端的省电方法及装置
CN107589821A (zh) 一种时间显示方法和智能手表
JP7231535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の制御方法、スマートデバイスの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CN10548763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965759B (zh) 一种控制终端的方法及终端
CN103399689A (zh) 一种解锁界面快捷方式生成及显示方法和装置
CN203872251U (zh) 一种用于移动设备的计时控制装置
US9268388B2 (en) Power saving method
WO2014169617A1 (zh) 终端的省电方法、装置及终端
WO2015131627A1 (zh) 一种降低智能终端无线显示功耗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