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15B1 -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415B1
KR101943415B1 KR1020170071663A KR20170071663A KR101943415B1 KR 101943415 B1 KR101943415 B1 KR 101943415B1 KR 1020170071663 A KR1020170071663 A KR 1020170071663A KR 20170071663 A KR20170071663 A KR 20170071663A KR 101943415 B1 KR101943415 B1 KR 10194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roof
building
ai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4150A (en
Inventor
윤영순
Original Assignee
삼창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창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삼창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7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415B1/en
Publication of KR2018013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은 옥상 바닥의 내부 수분층과 외기가 연통되도록 상기 옥상 바닥의 표면층에서부터 단열층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 형상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 제1 개구부에 마련되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가 장착된 배출관, 제2 개구부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표면층에서부터 상기 단열층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 내지 15cm, 깊이 3 내지 12cm로 제거하여 마련되는 장방형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 및 외부 마감재를 포함하는 연통부,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는 히팅부,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 및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removing moisture on a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hole-shaped opening formed by removing from a surface layer of a roof top floor to a thermal insulation layer so that the inner water layer on the roof top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And an air inlet pipe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to allow air to flow in. The air inlet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so as to allow air to flow therein, A communicating portion including a rectangular moving passage provided by remov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from the surface layer to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to 15 cm, and a depth of 3 to 12 cm and a porous support and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A heating part provided on the inflow pipe to provide a temperature of the building roof, a temperature, humidity,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unit and the sensor unit for check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 tetram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arts of the discharging device and heating.

Description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water from a roof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바닥에 스며들어 있는 물기나 습기를 제거하는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옥상 바닥의 내부 단열재 층에 스며들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 층에 소정의 통로를 만들고, 상기 통로를 통하여 수분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or moisture from the roof of a build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removal system for removing moisture inside a floor by making a predetermined passage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to remove moisture permeating the inner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on the roof of a building, And methods.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은 콘크리트 등으로 슬라브 공사를 하고 그 위에 방수액 등으로 방수 처리를 한 후, 단열재 시공 및 누름 콘크리트로 바닥 공사를 한다. 단열재는 주로 발포성 단열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포성 단열재는 내부 및 표면에 마련된 다공성 공간에 수분이 함유될 가능성이 높다.Generally, the roof of a building is made of slabs such as concrete, waterproofed with waterproofing agent, and then subjected to thermal insulation and flooring with pressed concrete. The insulation material mainly uses foam insulation, and such foam insulation is likely to contain moisture in the porous space provided inside and on the surface.

건물 옥상은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생긴 물들이 전부 배수되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옥상 바닥 내부의 콘크리트와 단열재로 스며들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렇게 스며든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옥상 바닥에 균열이나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겨울철이 되면 결빙되어 동파 및 균열을 촉진 시키게 된다.The roof of the building is not entirely drained by rain or snow, but some of it is impregnated with concrete and insulation inside the roof. As the amount of water soaked increases over time, it causes cracks and corrosion on the floor of the rooftop, and especially in winter, it freezes and promotes freezing and cracking.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에서 이러한 균열을 방치할 경우, 옥상 바닥에 물이 스며드는 단계를 지나 누수현상을 유발하게 되고, 건물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이러한 건물 옥상 바닥의 균열 및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 보수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닥 보수공사로는 우레탄 공사와 같이 바닥을 노출방수 시스템으로 보수 방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f these cracks are left on the rooftop or roof of the building, it will lead to water leakage through the step of penetrating the floor of the roof and shorten the life of the building. In order to prevent cracks and leaks on the roof of the building, floors are to be repaired. In general, such floors are repaired and waterproofed by an exposed waterproof system like urethane construction.

그러나 이러한 보수공사에 의해서는 옥상 바닥 내부로 이미 스며들어 있는 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며, 이미 옥상 바닥에 물이 스며들어 있는 상태에서 방수재를 도포할 경우, 내부의 물이 온도 변화 등에 따라 냉각과 팽창을 반복하다가 특히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균열을 유도하고, 물의 부피팽창으로 인하여 바닥의 외부 방수재 층이 들뜨게 되는 현상을 유도하기도 한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water that has already permeated into the roof floor by such repair work.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water is already penetrated to the roof top floor, Repeated swelling induces cracks in the summer and winter, and causes the outer layer of floors to float due to the volume expansion of the water.

제10-0575279호(2006.04.28. 공고)10-0575279 (2006.04.28. Announcement)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은 옥상 바닥 내부에 고여 있는 수분 내지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건조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을 제거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removal system of the roof of the building removes the moisture inside the roof of the building by discharging the moisture-containing air or the dry air into the inside of the roof top.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은 옥상 바닥의 내부 수분층과 외기가 연통되도록 상기 옥상 바닥의 표면층에서부터 단열층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 형상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 제1 개구부에 마련되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가 장착된 배출관, 제2 개구부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표면층에서부터 상기 단열층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 내지 15cm, 깊이 3 내지 12cm로 제거하여 마련되는 장방형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 및 외부 마감재를 포함하는 연통부,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는 히팅부,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 및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isture removal system of a building roof top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hole-shaped opening formed by removing from a surface layer of a roof top floor to a heat insulation layer so that the inner water layer of the roof top floor and the outside ai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a discharge device for forcibly discharging moisture-containing air, an inflow pipe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air inlet for supplying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 communicating portion including a rectangular moving passage provided by remov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from the surface layer at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to 15 cm, and a depth of 3 to 12 cm and a porous support and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A he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flow pipe to provide air, a temperature of the building roof, humidit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device and the heating unit by analyz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이동통로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 내지 절개부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 통로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passage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oove or cutout at a side thereof to suck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from th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또한, 상기 배출관 및 유입관의 단부 형상은 비 내지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복수로 절곡되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단부가 지면을 향하되 연직 방향과 40도 내지 50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flow pipe may be curved or curved in a plurality of shapes to prevent inflow of pollutants and wastewater and to induce the flow of air so that the end faces the ground and is provided at 40 to 50 degrees with the vertical direction .

또한, 상기 유입관 내지 배출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마련함으로써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using a venturi effect.

또한, 상기 센서부에서 습도, 조도, 온도 및 일사량의 환경요인을 체크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check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umidity, illuminance, temperature and irradiation amount, transmit the sensed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water removal system or automatically And the water removal system is operated.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방법은 옥상 바닥의 표면층에서부터 단열층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 형상의 개구부를 하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제1 개구부에 마련되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가 장착된 배출관을 설치하는 단계, 제2 개구부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표면층에서부터 상기 단열층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 내지 15cm, 깊이 3 내지 12cm로 제거하여 마련되는 장방형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 및 외부 마감재를 포함하는 연통부를 설치하는 단계,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에 히팅부를 마련하는 단계,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센서부를 하나 이상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 및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roof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t least one hole-shaped opening formed by removing from a surface layer of a roof top to a heat insulating lay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discharge pipe equipped with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air; providing an inflow pipe provided at a second opening to introduce outside air; and air is containe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 rectangular communicating passage formed by remov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from the surface layer to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to 15 cm, and a depth of 3 to 12 cm, and a communicating portion including a porous support and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Providing a heating portion in said inflow conduit to provide dry ai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sensor for check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solar irradiation in the step and the sensor unit for providing at least on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parts of the discharging device and heating.

또한, 상기 이동통로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 내지 절개부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 통로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passage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oove or cutout at a side thereof to suck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from th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또한, 상기 배출관 및 유입관의 단부 형상은 비 내지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복수로 절곡되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단부가 지면을 향하되 연직 방향과 40도 내지 50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flow pipe may be curved or curved in a plurality of shapes to prevent inflow of pollutants and wastewater and to induce the flow of air so that the end faces the ground and is provided at 40 to 50 degrees with the vertical direction .

또한, 상기 유입관 내지 배출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마련함으로써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using a venturi effect.

또한, 상기 센서부에서 습도, 조도, 온도 및 일사량의 환경요인을 체크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check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umidity, illuminance, temperature and irradiation amount, transmit the sensed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water removal system or automatically And the water removal system is operated.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제거 시스템 및 방법은 효과적으로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여 내부를 건조 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 옥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보수 공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roof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dry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roof top floor,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 roof and reducing the cost of repair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의 설명도,
도 2는 흡입장치만으로 건물 옥상의 수분을 제거하는 시스템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4, 5, 6,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의 절차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통부 내지 이동통로에 관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 내지 배출관에 관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방법의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oisture removal system of a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ystem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building roof using only a suction devi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removal system of a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5, 6, 7 and 8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procedures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on a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mmunication part and a mov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inlet pipe or a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ilding roof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uilding roof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on a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물 옥상 바닥의 내부 단열층에 저장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옥상 바닥 내부의 단열재 층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동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 통로의 양 측에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한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stored in an internal heat insulating layer on a roof of a building as described above, wherein a moving pat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inside a roof top floor, The air containing moisture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moving path by providing openings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and out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ath.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은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로 설치된 상기 수분제거 시스템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강제 배출장치의 수를 줄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수분제거 시스템의 유입관과 다른 수분 제거 시스템의 배출관을 서로 연결하고, 마지막 배출관에 강제 배출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추가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water removal system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number of forced discharge apparatuses may be reduced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ter removal systems installed together. That is, by connecting the inlet pipe of one water removal system to the outlet pipe of another water removal system, and installing the forced discharge device in the last discharge pipe,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can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제거 시스템은 옥상 바닥의 내부 수분층과 외기(外氣)가 연통 되도록 상기 옥상 바닥의 표면층(270)에서부터 단열층(290)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hole) 형상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100,300)를 가지며, 이 가운데 제1 개구부(100)에 마련되어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110)가 장착된 배출관(130), 제2 개구부(300)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330), 상기 제1 개구부(100)와 제2 개구부(300)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되도록 이동 통로(210)가 마련된다.The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hole-shaped opening (not shown) formed by removing from the surface layer 270 of the roof floor to the insulation layer 290 so that the inner water layer on the roof top and the outside ai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discharge pipe 130 provided in the first opening 100 and equipped with a discharge device 110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and a discharge pipe 130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300, A moving passage 21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let 100 and the second opening 300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inlet pipe 330 to the second opening 300.

상기 이동통로(210)는 상기 표면층(270)에서부터 상기 단열층(290)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cm 내지 15cm, 깊이 3cm 내지 12cm로 제거하여 장방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통로(210)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230) 및 외부 마감재(250)를 포함하여 연통부(200)가 형성된다.The moving passage 210 is formed in a rectangle shape by remov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290 from the surface layer 270 at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cm to 15 cm and a depth of 3 cm to 12 cm, A porous support 230 and an external finishing member 250 are formed to cover the opening 200. [

또한,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330)에 마련되는 히팅부(310)와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500) 및 상기 센서부(50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110) 및 히팅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In order to provide dry air, one or more sensor units 500 for check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irradiation amount of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a heating unit 310 provided on the inflow pipe 330, And a control unit 70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device 110 and the heating unit 310 by analyzing data collected by the unit 500.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층까지 연결된 개구부를 마련하고 상기 개구부에 흡입장치(120)를 이용하여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을 흡입시켜 배출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옥상 바닥의 건조 및 수분제거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흡입장치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병행하기 위해 복수의 개구부(100, 300)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이동통로(210)를 통해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고 배출하는 것이다. 나아가 히팅부를 통해 고온 건조한 외부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210)에 유입시켜 효과적인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Of course, as shown in FIG. 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opening connected to the water layer and suck the moisture in the roof bottom by using the suction device 120 in the opening. However, in this case, can do. Therefore, in order to complement or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uction devic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assage 21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100 and 300 with the plurality of openings, Effectively moving and discharging it. Further, external air, which has been dried at a high temperature through a heating por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assage 210 to obtain an effective drying effect.

상기 히팅부(310)는 상기 유입관(330)에 마련되며 건조한 외부 공기를 내부에 유입시키도록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습도를 낮추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열선, 히팅 코일 내지 다양한 열 발생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부(310)는 상기 유입관(33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측에 부착되어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310 is provided in the inflow pipe 330 and functions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inflow air or to lower the humidity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inflow pipe 330. For this, a heating wire, a heating coil, or various heat generating devices may be provided. The heating part 3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flow pipe 330 or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flow pipe 330 in some cases.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은 센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500)는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여 수분 제거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히팅부(310) 또는 배출장치(110) 등의 동작 제어 기준을 제공하고 옥상 환경에 따라 수분 제거 시스템의 가동 정도 내지 횟수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The building roof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500. The sensor unit 500 can check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solar radiation on the roof of the building to determine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removal system.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standard of the heating unit 310 or the discharge device 110 is provided, and a criter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degree or frequency of the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rooftop environment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센서부(500)의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장치(110) 또는 상기 히팅부(31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매우 건조한 날씨인 경우 상기 히팅부(310)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줄일 수 있으며, 매우 습한 날씨인 경우 또는 매우 추운 날씨에서는 상기 히팅부(310) 내지 상기 배출장치(110)의 가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옥상 바닥의 수분제거를 효율적으로 진행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discharging device 110 or the heating unit 310 using the collected data of the sensor unit 5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very dry weather,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310 can be stopped or reduced. In case of very humid weather or very cold weather, by increas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310 or the exhaust unit 11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water from the roof bottom.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제거 시스템의 작동 원리는 도 1에 도시되어 설명되고, 작동 프로세스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도시되어 설명하고 있다. Thus,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moistur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described in FIG. 1, and the operation process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FIG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로(210)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측면홈(211) 내지 절개부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통로(2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수분 이동 이외에 측면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9, the moving passage 2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ide grooves 211 or a cut-out portion at a sid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moving passage 210 may include moisture Allow air to move.

즉, 기존의 옥상 바닥 수분 제거 시스템이 상기 제1 개구부(100)와 제2 개구부(300) 사이에 마련된 이동통로(2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이동하여 제거되는 것임에 반해, 본원 발명은 길이 방향 이외에 상기 이동통로(210)의 측면 방향에서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의 유입 내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rooftop bottom water removal system removes mois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path 210 provided between the first opening 100 and the second opening 300, So that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210 can be introduced or discharg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측면홈(211)은 그 형상이나 크기, 갯수에 제한이 없이 상기 이동통로(210)의 측면으로부터의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슬릿이나 슬롯의 형태, 그리고 다양한 중공의 조합, 또는 절개부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side grooves 211 can be variously modified so that moisture can be introduc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oving path 210 without limitation to the shape, size, and number of the side grooves 211.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hole, in the form of a slit or slot, and a combination of various hollows, or as an incis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130) 및 유입관(330)의 단부 형상은 비 내지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복수로 절곡되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단부가 지면을 향하되 연직 방향과 40도 내지 50도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130 and the inflow pipe 33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curved or curved shapes to prevent inflow of pollutants and wastewater and to induce the flow of air, But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40 to 50 degrees.

즉, 외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관(330)을 통해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설치되는 건물 옥상의 환경이나 설치 요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rovided with a curved shape or a curved shape so that outside air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ipe 330 and can be separated and fastene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r installation requirements.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330) 내지 배출관(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마련함으로써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파이프(관) 내에서 보다 직경이 작은 부분을 지날 때 유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함과 동시에 유체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유입관(330) 내지 배출관(130)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구성 부분이 결합되거나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직경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Also,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let pipe 330 and the discharge pipe 13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using the venturi effect. Tha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fluid decreases relatively while the portion of the pipe (tube) passes through the smaller diameter portion, and the velocity of the fluid increases. To this end, the inlet pipe 330 and the outlet pipe 130 may have a diameter varia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parts having different diameters or by being formed in an inclined shape.

벤츄리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과 내부 공기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다. 예컨대, 동일 직경의 관(pipe)으로 제작하지 않고 직경이 상이한 관들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이동 통로(210)에서의 공기의 이동속도를 낮추거나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유입과 배출의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By using the venturi effec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air, and various designs are possib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lower or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air in the moving passage 210 by combin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instead of making pipes of the same diameter, will be.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은 센서부(500) 및 제어부(700)를 가지며 나아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800)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내지 선택,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11 to 12, the building roof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500 and a control unit 700, and further includes a user's remote control or selection , And automatic control can be performed.

상기 센서부(500)에서 습도, 조도, 온도 및 일사량의 환경요인을 체크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8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동작 할 수 있는 것이다.The sensor unit 500 check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umidity, illuminance, temperature and irradiation amount, and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800,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isture removal system or to set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o that the moisture removal system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상기 센서부(500)는 건물 옥상의 환경을 센싱하기 위해 건물의 각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에 함께 부착되거나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500)의 센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배출장치(110) 내지 히팅부(3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700)는 건물 옥상과 떨어진 장소에 마련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도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와 같은 소형화 장치로 마련되어 건물 옥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ensor unit 500 may be provided at each position of the building for sensing the environment of the building roof and may be attached or installed together with the water removal system. The control unit 700, which receives the sensed data of the sensor unit 500 and controls the discharging device 110 to the heating unit 310, may be provided at a remote place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may be remotely controlled. And may be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경우에 따라서, 상기 센서부(500)의 데이터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거나 분류될 수 있다. 즉, 주변 환경이나 건물의 종류 등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필요한 곳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후 시스템의 적용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수분 제거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다. In some cases, the data of the sensor unit 500 may be stored or classified into a separate database. That is, the data of the places where the moisture removal system is needed such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type of the building can be collected and utiliz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system in the future, and an effective moisture removal system can be operated by utilizing the data.

상기 센서부(500)는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계 내지 습도센서,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측정수단,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계 내지 온도센서 그리고 일사량을 센싱하는 일사량 측정수단 등 다양한 측정 수단이 활용될 수 있으며, 센싱된 값을 상기 제어부(700) 내지 사용자 휴대용 단말(800)에 송신하며, 센싱된 값을 수신한 상기 제어부(700)는 다시 상기 히팅부(310) 내지 상기 제1 개구부(100)의 배출장치(11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500 may be a hygrometer or a humidity sensor that senses humidity, an illuminance measurement unit that senses illuminance, a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emperature, a temperature sensor, and a solar radiation amount measurement unit that senses a solar radiation amount. The controller 700 transmits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700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800 and the control unit 700 receiving the sensed value again transmits the sensing value to the discharging unit 310 of the heating unit 310, (110) and the lik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500)에서 측정된 값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800)로 송신하고 송신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800)에서 직접 상기 히팅부(310) 내지 제어부(7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800)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 PDA 내지 태플릿 PC 등이 활용될 수 있다.12,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5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800 and the user selects the heating unit 800 direct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800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310) to the control unit 700. [0031] The user portable terminal 800 may be a general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개구부(100, 300) 및 이동통로(210)를 마련하여 건물 옥상 바닥의 내부 수분층의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lurality of openings 100 and 300 and a moving passage 210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moisture from the inner water layer of the roof of a building.

건물의 옥상 바닥 표면층(270)에서부터 콘크리트 내부의 단열층(290)까지 이어지도록 굴착하여 그 부분의 단열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공간에 상기 단열재에 스며있던 수분이 모이게 한다. 이때, 유입된 물은 공기와 함께 흡입장치(120)로 흡입된다. 흡입장치에 의하여 물이 흡입되어 제거되면, 단열재 상부의 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단열재 내부의 물이 상기 홈으로 모이게 된다.So as to extend from the rooftop bottom surface layer 270 of the building to the heat insulating layer 290 inside the concrete so as to remov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refrom and collect the moisture seep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to the removed space. At this time, the inflow water is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120 together with the air. When the water is sucked and removed by the suction device, the water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llects in the groove by the pressure due to the concrete load 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단열재에 홈을 생성하여 형성된 공기 및 수분의 이동통로 양쪽에 환풍기, 통풍장치 내지 강제 배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물을 제거하여 옥상 바닥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수분 제거 시스템에서 단열재에 형성된 이동통로란 단열재에 홈을 형성하여 물이 고이도록 하여 바람을 불어줘서 그 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단열재의 홈과 동일한 뜻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ventilators, ventilation devices, or forced discharge devices on both sides of the air and water flow path formed by forming grooves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water can be remov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inside of the roof top can be dried. In a water removal system, a moving path form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a groov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s a part for evaporating water by forming a groove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water is made hot and the wind is blown.

상기 통풍장치는 공기 흡입형이거나 공기 배출형일 수 있다. 통풍 장치가 공기 흡입형인 경우, 상기 단열재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홈)에 모여든 물 및 습기를 빨아들여 제거하게 되고, 공기 배출형의 통풍장치는 상기 모여든 물 및 습기를 통기관을 통하여 바깥으로 불어서 밀어낸다. 이상 설명한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 내지 생략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may be an air intake type or an air exhaust type.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an air suction type, water and moisture gathered in a moving passage (groov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ucked and removed, and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air discharge type blows the collected water and moisture through the ventilation pipe Push it out.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dded or omitted as necessary.

건물의 넓이, 옥상 바닥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대체로 옥상 바닥에 설치된 단열재의 두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건물 넓이가 넓어지면 100∼200m2당 루프드레인을 중심으로 하여 앞,뒤 각 1개소의 수분 증발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and number of the water removal system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thickness of the roof floor, and the like. Sinc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material installed on the roof top is generally fixed,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water evaporation system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op drain at a rate of 100 to 200 m 2 when the building width becomes wider.

배출장치(110)의 동력은 대략 0.1 마력∼2마력으로서 이는 필요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분의 함량이 많은 옥상 바닥을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동력이 큰 배출장치(110)가 필요할 것인 바, 상기 배출장치(110)의 가격 및 효율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ower of the discharge device 110 is approximately 0.1 horsepower to 2 horsepower, which can be used differently as needed. For example, in order to evaporate a rooftop floor hav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a large-capacity discharging device 110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price and efficiency of the discharging device 110, .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제거 시스템은, 건물 공사 시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건물의 보수공사와 더불어 설치할 수 있다. 건물 공사와 함께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옥상 바닥의 균열이나 깨어짐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옥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옥상 보수공사가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The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the time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can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repair work of the building. When the water removal system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building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and cracks on the floor of the roof in advance, so that the life of the roof can be extended. In some cases, it is not necessary to repair the roof.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시스템을 건물 옥상의 보수 공사와 더불어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옥상 보수 공사를 하면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설치하고, 바닥 작업을 마친 후, 우레탄 등의 방수재 공사를 더할 경우 방수 효과는 탁월하다.Further, the water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repair work on the building roof. In this case, when the water removal system is installed while the roof is being renovat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such as urethane is added after completion of the floor work, the waterproof effect is excellent.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방법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building roof,

옥상 바닥의 표면층(270)에서부터 단열층(290)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 형상의 개구부를 하나 이상 마련하는 단계(S100), 제1 개구부(100)에 마련되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110)가 장착된 배출관(130)을 설치하는 단계(S200), 제2 개구부(300)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330)을 설치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개구부(100)와 제2 개구부(300)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연통부(200)를 설치하는 단계(S400),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330)에 히팅부(310)를 마련하는 단계(S500),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센서부(500)를 하나 이상 마련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센서부(50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110) 및 히팅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700)를 포함한다.(S100) of providing one or more hole-shaped openings formed by removing from the surface layer (270) of the roof top to the heat insulating layer (290) A step S200 of installing a discharge pipe 130 to which the discharge device 110 is installed so as to discharge the air and a step S300 of installing an inflow pipe 330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300 to introduce outside air, (S400) of installing the communicating part (200) so that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is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opening part (100) and the second opening part (300) A step S600 of providing at least one sensor unit 500 for check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 temperature, a humidity, an illuminance and a radiation amount of the roof of the building, 500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the discharging device 110 and the heating unit 310 And a control step of (S700).

상기 연통부(200)를 설치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1 개구부(100)와 제2 개구부(300)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표면층(270)에서부터 상기 단열층(290)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 내지 15cm, 깊이 3 내지 12cm로 제거하여 장방형의 이동통로(210)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로(210)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230) 및 외부 마감재(250)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tep S400 of installing the communication part 200, moisture is contained between the first opening part 100 and the second opening part 300 so that air can be moved from the surface layer 270 to the heat insulating layer 290) with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to 15 cm and a depth of 3 to 12 cm to provide a rectangular moving passage 210, a porous support 230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ssage 210, And providing a finishing material 250.

상기 이동통로(210)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측면홈(211) 내지 절개부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통로(2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The moving passage 2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ide groove 211 or a cut-out portion at a side thereof to suck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210.

또한, 상기 배출관(130) 및 유입관(330)의 단부 형상은 비 내지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복수로 절곡되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단부가 지면을 향하되 연직 방향과 40도 내지 50도로 마련될 수 있다.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130) and the inflow pipe (330) are bent or curved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pollutants and wastewater and to induce a flow of air. 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130) Lt; / RTI > to 50 degrees.

또한, 상기 유입관(330) 내지 배출관(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마련함으로써 벤츄리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330) and the discharge pipe (13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센서부(500)에서 습도, 조도, 온도 및 일사량의 환경요인을 체크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8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500 may check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umidity, illuminance, temperature and irradiation amount, transmit the sensed data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800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moisture removal system, The moisture removal system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valu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수분 제거 장치를 개선하여, 환경적인 요인, 검토가 필요한 요소들을 함께 적용하여 보다 우수한 건조 효과 및 사용 상의 편리성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의 사용 및 작동의 편리성을 위해 제어기능 및 사용자 휴대용 단말 등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자동 및 선택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water from the roof of a building improve the existing water removal apparatus, and apply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factors to be examined together, And it has been improved to enable automatic and selective control by using devices such as a control function and a user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ce of use and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건물 옥상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water from the roof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conomical and effective water removal system and method by removing moisture from a building roof using a simple structure.

100: 제1 개구부 110: 배출장치
120: 흡입장치(통풍장치) 130: 배출관
200: 연통부 210: 이동통로
211: 측면 홈 230: 지지체
250: 마감재 270: 표면층
280: 방수층 285: 슬라브
290: 단열층 300: 제2 개구부
310: 히팅부 330: 유입관
500: 센서부 700: 제어부
800: 휴대용 단말
100: first opening 110: discharge device
120: suction device (ventilation device) 130: discharge pipe
200: communicating part 210: moving passage
211: side groove 230: support
250: Finishing material 270: Surface layer
280: Waterproof layer 285: Slab
290: insulation layer 300: second opening
310: Heating part 330: Inflow pipe
500: sensor part 700: control part
800: Portable terminal

Claims (10)

옥상 바닥의 내부 수분층과 외기가 연통되도록 상기 옥상 바닥의 표면층에서부터 단열층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 형상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
제1 개구부에 마련되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가 장착된 배출관;
제2 개구부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표면층에서부터 상기 단열층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 내지 15cm, 깊이 3 내지 12cm로 제거하여 마련되는 장방형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 및 외부 마감재를 포함하는 연통부;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에 마련되는 히팅부;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 및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되거나 분류됨으로써 주변 환경 및 건물의 종류에 따른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습도, 조도, 온도 및 일사량의 환경요인을 체크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분 제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One or more hole-shaped openings formed by removing from the surface layer of the roof top to the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inner water layer on the roof top and the outside air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 discharge pipe provided at the first opening and equipped with a discharge device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containing water or moisture;
An inflow pipe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to introduce outside air;
Wherein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removed from the surface layer by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to 15 cm, and a depth of 3 to 12 cm so that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can be move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 communicating portion including a porous support and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A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inflow pipe to provide dry air;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check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irradiation amount of the building roof;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discharging device and the heating unit; / RTI >
The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is stored or classified as a separate database to utilize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type of building,
The sensor unit check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umidity, illuminance, temperature and irradiation amount, and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isture removal system or automatically change the moisture removal system Wherein the water treatment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 내지 절개부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 통로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passag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oove or cutout at a side thereof to suck air containing moisture or water on th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및 유입관의 단부 형상은 비 내지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복수로 절곡되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단부가 지면을 향하되 연직 방향과 40도 내지 50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flow pipe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folded or curved shapes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 or wastewater and to induce a flow of air so that the end portions are directed to the ground and are provided at 40 to 50 degrees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of water removal system of the bui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내지 배출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마련함으로써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r different diameters, thereby using the venturi effect.
삭제delete 옥상 바닥의 표면층에서부터 단열층까지 제거하여 마련되는 홀 형상의 개구부를 하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제1 개구부에 마련되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도록 배출장치가 장착된 배출관을 설치하는 단계;
제2 개구부에 마련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가 공기가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표면층에서부터 상기 단열층을 길이 1m 내지 10m, 너비 5 내지 15cm, 깊이 3 내지 12cm로 제거하여 마련되는 장방형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다공성 지지체 및 외부 마감재를 포함하는 연통부를 설치하는 단계;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입관에 히팅부를 마련하는 단계;
건물 옥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일사량과 같은 환경 요인을 체크하는 센서부를 하나 이상 마련하는 단계 ;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배출장치 및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되거나 분류됨으로써 주변 환경 및 건물의 종류에 따른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습도, 조도, 온도 및 일사량의 환경요인을 체크하고 센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분 제거 방법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방법이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방법.
Providing one or more hole-shaped openings provided by removing from the surface layer of the roof top to the insulating layer;
Providing a discharge pipe provided in the first opening and equipped with a discharge device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Installing an inflow pipe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to introduce outside air;
Wherein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removed from the surface layer by a length of 1 m to 10 m, a width of 5 to 15 cm, and a depth of 3 to 12 cm so that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can be move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Providing a communication portion including a porous support and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Providing a heating portion in said inflow conduit to provide dry air;
Providing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check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irradiation amount of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A control step of analyz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discharging device and the heating unit; / RTI >
The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is stored or classified as a separate database to utilize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type of building,
The sensor unit check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umidity, illuminance, temperature and irradiation amount, and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isture removal method or automatically remove the moistur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value Wherein the water is removed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요홈 내지 절개부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 통로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의 수분 내지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ving passag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ecesses or cuts on its side to suck air containing moisture or moisture from th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및 유입관의 단부 형상은 비 내지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복수로 절곡되거나 커브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단부가 지면을 향하되 연직 방향과 40도 내지 50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flow pipe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folded or curved shapes so as to prevent inflow of pollutants and wastewater and to induce a flow of air so that the end portions face the ground and are provided at 40 to 50 degrees from the vertical direction A method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roof of a build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내지 배출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이하게 변경되거나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마련함으로써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수분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or different diameters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using a venturi effect.

삭제delete
KR1020170071663A 2017-06-08 2017-06-08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KR1019434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663A KR101943415B1 (en) 2017-06-08 2017-06-08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663A KR101943415B1 (en) 2017-06-08 2017-06-08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50A KR20180134150A (en) 2018-12-18
KR101943415B1 true KR101943415B1 (en) 2019-01-30

Family

ID=6495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663A KR101943415B1 (en) 2017-06-08 2017-06-08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4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866B1 (en) * 2019-06-21 2020-02-10 정승태 Water drying method in building rooftop floor
RU2801910C1 (en) * 2022-10-03 2023-08-18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Дорохов Roof drying method (embodi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08B1 (en) * 2021-04-08 2022-02-14 삼창엔지니어링(주) Method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basement fl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79B1 (en) * 2004-06-26 2006-04-28 삼창엔지니어링(주)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KR101619101B1 (en)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Icicle preventing heating pad
KR101683571B1 (en) * 2016-04-05 2016-12-07 윤상훈 Vent pipe assembly for water-proofing of roof
KR101732099B1 (en) * 2016-06-21 2017-05-04 (주)이넥스 전문건설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roofto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79B1 (en) * 2004-06-26 2006-04-28 삼창엔지니어링(주)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KR101619101B1 (en) * 2015-07-03 2016-05-10 주식회사 지티이 Icicle preventing heating pad
KR101683571B1 (en) * 2016-04-05 2016-12-07 윤상훈 Vent pipe assembly for water-proofing of roof
KR101732099B1 (en) * 2016-06-21 2017-05-04 (주)이넥스 전문건설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roofto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866B1 (en) * 2019-06-21 2020-02-10 정승태 Water drying method in building rooftop floor
RU2801910C1 (en) * 2022-10-03 2023-08-18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Дорохов Roof drying method (embodi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50A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888B1 (en) Interconnected double hull construction for basements
KR101943415B1 (en)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US11686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roofs
KR101595860B1 (en) Drying apparatus for Inside the floor rooftop
Blom Venting of attics and pitched, insulated roofs
KR101314342B1 (en) Drainpipe's freeze and burst preventing apparatus
JP2000055413A (en) Cooling/heating system using ground heat, building furnished with cooling/heating facility, and cooling/ heating method
KR100575279B1 (en) A system for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JP3148898U (en) Geothermal building
JP7054083B2 (en) A construction method that uses a heat conductive plate to prevent the roof from freezing with waste heat from heating and melts the snow on the roof.
CN201106254Y (en) Exhausting equipment for heat preserving roofing
JP2012097459A (en) Ventilation system of building
JP4420733B2 (en) Snow melting processing equipment
KR102310890B1 (en) Temperature control type modular home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KR101578394B1 (en) A building floor leakage protection system
Essah Domestic cold pitched roofs in the UK-Effect of using different roof insulation materials
EP33460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moisture and impurities from the structure
JP2014077574A (en) Lumber dryer utilizing geothermal heat and solar heat
KR200368111Y1 (en) A system for removing and drying water in a roof of a building
EP11314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lab with embedded tubes for circulation of a gas
Turnbull et al. VENTILATION OF DAIRY BARNS WITH POROUS CEILING INLET SYSTEMS—
JP201710628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method and program
JP2021041948A (en) tank
Jurgelevic Moisture and Building Defects in basement
Dell et al. Performance Concerns with Wood Frame At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