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105B1 -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105B1
KR101943105B1 KR1020120066687A KR20120066687A KR101943105B1 KR 101943105 B1 KR101943105 B1 KR 101943105B1 KR 1020120066687 A KR1020120066687 A KR 1020120066687A KR 20120066687 A KR20120066687 A KR 20120066687A KR 101943105 B1 KR101943105 B1 KR 10194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ell
welding
pad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1145A (en
Inventor
히로아키 우에타케
가즈미 사토
히데하루 오노데라
요시미 간노
다다히토 스즈키
이사무 시노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과제)소형의 외장 용기를 이용한 전기 화학 셀에 있어서, 대전류 방전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방법)베이스(1)와 덮개(6)로 이루어지는 외장 용기와, 상기 베이스(1) 중에 수납되는 셀(7)과,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전기 화학 셀로서, 상기 베이스(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2)과, 상기 베이스(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막(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단자(4)를 가지며, 상기 셀의 연장부인 셀 리드(8)와 상기 패드막(2)이, 용접에 의해 접속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을 제안한다.
(Problem) A large current discharge is possible in an electrochemical cell using a small external container.
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an outer container made of a base (1) and a lid (6), a cell (7) housed in the base (1), and an electrolyte, And a connection terminal (4)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film (2), wherein an extension of the cell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dummy cell lid (8) and the pad film (2) are connected by welding.

Description

전기 화학 셀 및 그 제조 방법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전기 화학 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hemical cell.

전기 화학 셀은, 종래, 시계 기능의 백업 전원이나 반도체의 메모리의 백업 전원이나 마이크로 컴퓨터나 IC 메모리 등의 전자 장치 예비 전원이나 솔라 시계의 전지나 모터 구동용의 전원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고, 근래는 전기 자동차의 전원이나 에너지 변환·저장 시스템의 보조 전력 저장 유닛 등으로서도 검토되고 있다.BACKGROUND ART An electrochemical cell is conventionally used as a back-up power supply for a clock function or a back-up power supply for a semiconductor memory, a spare power supply f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icrocomputer or an IC memory, a power source for a battery or a motor drive of a solar watch, And an auxiliary power storage unit of the energy conversion / storage system.

또, 종래의 전기 화학 셀은 코인이나 버튼과 같은 둥근 형상이기 때문에, 리플로우 납땜을 행하려면 단자 등을 케이스에 미리 용접해 둘 필요가 있고, 부품 점수의 증가 및 제조 공정수의 증가라는 점에서 코스트 업이 되고 있었다. 또, 기판형상으로, 단자의 스페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electrochemical cell has a round shape such as a coin or a button, it is necessary to weld a terminal or the like to the case in advance in order to perform reflow soldering. In view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It was cost-up.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erminal space in the form of a substrate,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목부를 갖는 용기에 발전 요소(이하, 셀이라고 칭한다)와 전해질을 수납하고, 개구부를 덮개로 봉지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n which a power generation el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ll) and an electrolyte are housed in a container having a concave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is sealed with a lid is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21695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16952

상기의 구성에 의한 전기 화학 셀은 메모리 백업 용도에 적합하고, 전기 화학 셀의 방전 전류로서는, 수μA 내지 경우 수mA의 범위이다. 그러나, 전기 화학 셀의 용도로서, 수백 밀리초 내지 수초의 펄스폭으로, 수백mA 내지 수A의 전류를 방전하여, 전자기기에 구비된 LED 등의 광원을 점멸시키거나, 소형의 모터를 간헐 구동하는 등의 새로운 용도가 나왔다(이하, 대전류 방전 용도라고 칭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전기 화학 셀에서는, 접속 저항치가 수Ω의 레벨이 되는 일이 있고, 방전의 개시시에 큰 전압 강하를 일으켜 버리고, 소정의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했다.The electrochemical cel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suitable for memory back-up use, and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electrochemical cell is in the range of several microamperes to several mA. However, as an applic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a current of several hundred mA to several A is discharged at a pulse width of several hundred milliseconds to several seconds to blink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provided in an electronic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arge current discharge use). In the electrochemical cell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may become a level of several ohms, causing a large voltage drop at the start of the discharge, and it is difficult to satisfy a predetermined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외장 용기를 이용한 전기 화학 셀에 있어서, 대전류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large current discharge in an electrochemical cell using a small external contai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은, 베이스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외장 용기와, 상기 셀의 연장부인 복수의 셀 리드와, 상기 외장 용기 중에 수납되는 셀과,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전기 화학 셀로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밸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과,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막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단자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셀 리드가, 용접에 의해 상기 패드막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an outer container made of a base and a lid, a plurality of cell leads as an extension of the cell, a cell accommodated in the outer container, and an electrolyte,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fil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ell leads is connected to the pad film by welding Is an electrochemical cell.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셀 리드와 패드막이 용접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해 현격히 낮은 접속 저항치를 실현한 전기 화학 셀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since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connected by welding,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ochemical cell realizing a significantly lower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conductive adhesive. Therefore, a large current discharge becomes possible.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패드막의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ad film is 5 占 퐉 or more and 100 占 퐉 or less.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패드막의 두께는 10㎛ 이상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ad film is 10 탆 or more and 30 탆 or less.

청구항 2 및 3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패드막의 아래에 위치하는 전극의 용해를 방지하는 동시에, 용접에 의해 베이스 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셀 리드와의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related to Claims 2 and 3, dissolution of the electrode located under the pad film is prevented, and bonding with the cell lead is enabled without damaging the base member by welding. Therefore, a large current discharge becomes possible.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패드막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ad film comprises aluminum.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패드막에 알루미늄을 포함함으로써, 패드막을 부드럽게 용접하기 쉽고, 또한, 알루미늄 자체가 갖는 낮은 전기 저항율에 의해 용접에 의한 접속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알루미늄을 포함함으로써 화확적으로 안정되며, 장기에 걸쳐 안정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luminum in the pad film, the pad film can be easily welded smoothly,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due to welding can be reduced by the low electric resistivity of aluminum itself.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luminum makes it possible to stably and stably discharge a large curre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청구항 5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용접이 초음파 용접 또는 빔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welding is ultrasonic welding or beam welding.

청구항 5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용접 또는 빔 용접을 이용함으로써, 베이스가 되는 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국소적인 영역에만 효율적으로 접속부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가 상기 부재의 접합 계면의 원자의 확산을 일으키므로 충분히 낮은 접속 저항치를 구비하는 전기 화학 셀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ultrasonic welding or beam weld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 only to the local region without damaging the member serving as the bas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ufficiently low connection resistance value. Therefore, a large current discharge becomes possible.

청구항 6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베이스가 세라믹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ase is made of ceramic or glass.

청구항 6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배선 저항과 접속 저항이 낮은 전기 화학 셀을, 유리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원재료로서 긴 유리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취하는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low wiring resistance and a low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realized by using glass. Since a long glass plate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glass plates to be taken.

청구항 7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셀 리드가 알루미늄, 니켈 또는 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ell lead is made of aluminum, nickel or copper.

청구항 7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접속 저항치를 충분히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related to claim 7,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sufficiently low.

청구항 8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셀 리드 중, 양극 및 음극의 상기 셀 리드 모두 상기 패드막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all of the cell lead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cell lead are welded to the pad film.

청구항 9에 관련된 발명은, 음극의 상기 셀 리드는, 상기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ell lead of the cath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

청구항 9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접속 저항치를 충분히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related to claim 9,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sufficiently low.

청구항 10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패드막과 상기 접속 단자는, 베이스 내부에 매설된 베이스 내 단자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pad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through a base terminal buried in the base.

청구항 10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의 베이스 내 단자를 가짐으로써, 배선 패턴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배선 저항치를 저감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0, since at least one conductive base in the base is provided on the base, the wiring pattern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wiring resistance value can be reduced. Therefore, a large current discharge becomes possible.

또, 청구항 10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내 단자가 베이스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패드막과 접속 단자가 접속됨으로써, 패드막과 접속 단자간의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저항을 충분히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외장 용기의 치수가 커져도 배선 저항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0, since the bas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pad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the length between the pad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sufficiently shortened. Therefore, the wiring resistance can be suppressed sufficiently low. It is also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wiring resistance value even if the size of the external container is increased. Therefore, a large current discharge becomes possible.

청구항 11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외장 용기는, 오목형상의 상기 베이스와 판형상의 덮개를, 직접 또는 접합 금속 부재를 개재하여 봉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1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ontainer is the one in which the base and the plate-like lid in a concave shape are directly or pinched with a bonding metal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be.

청구항 11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접속 저항치를 충분히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related to claim 1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sufficiently low.

청구항 12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장 용기의 외측의 층인 제1 베이스와 내측의 층인 제2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내 단자는 상기 제2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경계면에 연장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내 단자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composed of a first base which is an outer layer of the outer container and a second base which is an inner layer, the inner terminal passes through the second base,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base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the base extending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청구항 12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관통 구멍을 베이스의 저면에까지 관통시키는 방식과 비교하여, 전해질이 액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베이스 외측면으로의 누액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배선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셀 리드와 패드막은 용접에 의해 접속되므로, 도전성 접착제와 비교하여 현격히 접속 저항치를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2, leakage to the outside surface of the base, which is likely to occur when the electrolyte contains liquid, can be suppressed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In addition, the wiring resistance can be suppressed. Further, since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connected by weld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can be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청구항 13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패드막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연장 설치된 배선 패턴을 통해,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According to a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aspects, the pad fil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 wiring pattern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청구항 13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이 액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베이스 외측면으로의 누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셀 리드와 패드막은 용접에 의해 접속된 구조를 갖는 전기 화학 셀이므로, 현격히 낮은 접속 저항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related to claim 13, it is possible to suppress leakage to the outside surface of the base, which is likely to occur when the electrolyte contains liquid. Further, since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a structure connected by welding, a significantly lower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achieved.

청구항 14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배선 패턴은 전해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막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4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wiring pattern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electrolyte.

청구항 14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배선 패턴이 전해질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선 패턴은 용해되지 않고, 전기 화학 셀은 장기에 걸쳐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4, the wiring pattern is not exposed to the electrolyte. Therefore, the wiring pattern is not dissolved, and the electrochemical cell can maintain a stable qual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청구항 15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베이스는 평판형상이며, 상기 리소드는 오목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5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the ridges are concave.

청구항 15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배선 저항과, 접속 저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금속제 덮개를 관용되는 딥 드로잉 가공하는 등 하여 깊은 오목형상의 용기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전기 화학 셀을, 제조 코스트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15, the wiring resistance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In addition, a deep concave-shaped container can be made by deep drawing the metal lid. Therefore, a large-capacity electrochemical cell can be realize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청구항 16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리드는 작은 구멍을 가지며, 상기 작은 구멍은 봉지 마개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6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base or the lead has a small hole, and the small hole is sealed with a sealing plug.

청구항 16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을 주입하기 전에 용접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6, there is an advantage that welding can be performed before injecting the electrolyte.

청구항 17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접합 부재와 접하는 면에 스텝을 가지며, 상기 스텝에 상기 금속 접합 부재가 끼어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 또는 16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According to a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the fifteenth or sixteenth aspect, the base member has steps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joining member, and the metal join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step.

청구항 17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를 역상으로 한 상태로 전해질을 충전한 후에, 셀을 덮개 중에 배치해도, 덮개로 부터 넘쳐 나오는 전해질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이 충전된 상태여도 베이스와 덮개의 용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덮개의 작은 구멍은 불필요하고, 봉지 마개에 의한 봉지 공정도 생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ell is placed in the lid after the electrolyte is filled with the lid in a reverse phase, the electrolytic amount overflowing from the lid can be reduced.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olyte is charged, the base and the cover can be easily welded. Therefore, a small hole in the lid is unnecessary, and the sealing process by the sealing plug can be omitted.

청구항 18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는 평판형상이며, 금속 측벽을 개재하여 봉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8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and the lid are flat plate-like and are pinched through metal side walls.

청구항 18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배선 저항과, 접속 저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측면으로서 이용하는 통형상의 금속은 중공의 파이프 등의 규격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전기 화학 셀을, 제조 코스트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18, the wiring resistance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A tubular metal used as a side surface can be a standard pipe such as a hollow pipe. Therefore, a large-capacity electrochemical cell can be realize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청구항 19에 관련된 발명은, 양극의 상기 셀 리드는, 상기 금속 측벽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9 is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cell lead of the anode is connected to the metal sidewall.

청구항 19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접속 저항치를 충분히 낮게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Claim 19,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can be suppressed sufficiently low.

청구항 20에 관련된 발명은, 외장 용기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측면에 패드막을 형성하는 패드막 형성 공정과, 셀 리드와 상기 패드막을 용접으로 접속하는 셀 리드/패드막 용접 공정과, 셀을 베이스에 수납하는 공정과, 전해질을 충전하는 공정과, 덮개를 베이스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의 제조 방법이다.According to a twen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ase, comprising: a pad film forming step of forming a pad film on an inner side surface of a base constituting an external container; a cell lead / pad film welding step of welding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by welding; A step of charging the electrolyte, a step of charging the electrolyte, and a step of bonding the lid to the base.

청구항 20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외장 용기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측면에 패드막을 형성하는 패드막 형성 공정과,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패드막을 용접으로 접속하는 셀 리드/패드막 용접 공정과, 셀을 베이스에 수납하는 공정과, 전해질을 충전하는 공정과, 덮개를 베이스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므로, 접속 저항치가 충분히 낮은 전기 화학 셀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twen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case, comprising: a pad film forming step of forming a pad film on an inner side surface of a base constituting an external container; a cell lead / pad film welding step of welding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The step of filling the electrolyte into the base, and the step of bonding the lid to the base. Thus,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ufficiently low connection resistance value can be realized.

청구항 21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패드막의 용접 공정은, 초음파 용접 또는 빔 용접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0에 기재된 전기 화학 셀의 제조 방법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1 is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welding process of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uses ultrasonic welding or beam welding.

청구항 21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용접 또는 빔 용접을 이용하므로,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국소적인 영역에만 효율적으로 접속부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가 상기 부재의 접합 계면의 원자의 확산을 일으키므로 충분히 낮은 접속 저항치를 구비하는 전기 화학 셀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21, since ultrasonic welding or beam welding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necting portion efficiently only in the local region without damaging the ceramic member made of the bas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ufficiently low connection resistance value.

본 발명에 의하면, 셀 리드와 패드막이 용접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현격히 낮은 접속 저항치를 실현하고, 대전류 방전을 가능하게 한 전기 화학 셀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by welding,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ochemical cell capable of realizing a remarkably low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nd capable of large current discharg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conductive adhesive.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패드막과 베이스 내 단자 및 접속 단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셀 리드와 패드막의 용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제조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저항치의 내역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전기 화학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d film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bas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of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flow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details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ochemical cell.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은, 주로 퍼스널 컴퓨터나 소형의 휴대 기기 내부의 기판에 실장되어 이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외관도이다. 일례로서 직방체의 형상으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트랙형상이나 원통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은, 그 발전 요소인 셀을 수납하여 용기로서 기능하는 베이스(1)와, 그 개구부를 기밀하게 막기 위한 봉구판으로서 기능하는 덮개(6)를 외장 부품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의 외장 용기는, 이 베이스(1)와 덮개(6)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An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mounted on a substrate in a personal computer or a small portable device. 1 (a)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t is shown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may be a track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1) which functions as a container for storing a cell serving as a power generating element thereof, and a lid (6) functioning as a piercing plate for airtightly sealing the opening. The outer container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led by the base 1 and the lid 6.

도 1(b)는, (a)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목형상의 베이스(1) 중에 셀(7)이 수납되고, 또한 전해질이 충전되고. 오목형상의 베이스(1)의 상면에 일주 하여 설치된 접합 금속 부재(5)에 밀착된 덮개(6)에 의해 기밀하게 봉지되어 있다. 셀(7)은, 활물질과 활물질을 담지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이하, 금속 집전체라고 칭한다)로 이루어지는 1조의 전극 시트 사이에 절연성의 세퍼레이터를 끼워 권회법이나 적층법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양극 및 음극의 금속 집전체의 단부에는, 금속 집전체 그 자체를 가늘게 연장시킨 연장부나, 다른 가늘고 얇은 판이나 와이어형상의 리드를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연장부를 형성한 것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셀 리드(8)로 나타낸다. 양극, 음극의 각각의 셀 리드(8)는, 오목형상의 베이스(1)의 베이스 내측면(1a)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집전체 금속막인 패드막(2)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패드막(2)의 저면에는, 베이스 내측면(1a)과 베이스 외측면(1b)을 대략 수직으로 관통하여 접속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 구멍에는 텅스텐 등의 고융점 금속이 충전되어 기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내 단자(3)란, 베이스 내부에 매설된 단자를 말하며, 그 내부에 금속이 충전된 도전성의 관통 구멍 외, 관통 구멍의 내면에 금속막이 형성되어 도전성을 확보하고, 내부는 유리 등의 절연물이 충전되어 기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 내 단자(3)는, 패드막(2)과 베이스 외측면(1b)에 형성된 접속 단자(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셀(7)의 양극, 음극은 접속 단자(4)에 의해 실장되는 기판의 실장용 패턴에 접속되게 된다.Fig. 1 (b) is a view showing an AA section of Fig. 1 (a). The cells 7 are accommodated in the concave base 1 and the electrolyte is filled. And is hermetically sealed by a lid 6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bonded metal member 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base 1. The cell 7 is constituted by a winding method or a lamination method by inserting an insulating separator between a pair of electrode sheets composed of a current collector made of a metal carrying the active material and the active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tal current collector). An end portion of the metal current collector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formed by extending an elongated portion of the metal current collector itself or mechanically connecting another elongated thin plate or wire-shaped lead to form an extende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represented by a cell lead (8). Each of the cell leads 8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pad film 2 which is a pair of current collector metal film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of the concave base 1 by welding . The bottom surface of the pad film 2 is provided with a hole for connecting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and the base outer side surface 1b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hole is filled with a refractory metal such as tungsten to be airt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base terminal 3 refers to a terminal buried in the base, and a metal fil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ther than the conductive through hole filled with the metal to secure conductivity, And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is filled and airtight. The in-base terminal 3 electrically connects the pad film 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 formed on the base outer surface 1b.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cell 7 are connected to the mounting pattern of the substrate to be moun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4. [

여기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접속 저항치와 배선 저항치가 방전 특성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influence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nd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s an example.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정격 전압은, 2.6V이며, 정전 용량은 1F라고 가정한다.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셀이 갖는 이온 확산 저항치나 전자 저항치의 합계(A)와, 셀을 수납하는 외장 용기의 배선 저항치과 셀 리드와 패드막의 접속 저항치(이 배선 저항치과 접속 저항치의 합을 B로 한다)로 분리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방전 특성을 평가한다.It is assumed that the rated voltage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2.6V and the electrostatic capacity is 1F. The value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calculated from the sum (A) of the ion diffusion resistance value and the electron resistance value of the cell, the wiring resistance dental cell lead of the external container for storing the cell,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B), and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re evaluated.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1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1

표 1은, 앞의 등가 직렬 저항의 A의 값을 50mΩ로 하고, B를 3가지(케이스 1 내지 3)로 설정하여, 펄스형상의 방전 전류가 흘렀을 때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압 강하를 계산한 것이다. 전류는 1A로, 방전 펄스폭은 1000msec(1초)로 했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voltage drop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when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pulse shape flows, by setting the value of A of the previous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to 50 m? And setting B to three kinds (cases 1 to 3) will be. The current was 1 A and the discharge pulse width was 1000 msec (1 second).

여기서, 케이스 1은, B의 값, 즉 외장 용기의 배선 저항치와 셀 리드와 패드막의 접속 저항치가 충분히 작게 설계된 것이며, 20mΩ로 했다. 등가 직렬 저항의 합계치는, A와 B의 합계이며, 70mΩ이다. 방전 전류는 1A이기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 강하는, 전류와 등가 직렬 저항의 곱, 즉, 1A×0.07Ω=0.07V이다. 한편, 용량은 1F이기 때문에, 용량분이 관여하는 전압 강하는, (1A×1sec)/1F, 즉 1V가 된다. 따라서, 케이스 1에서는, 1A의 전류가 1000msec 방전함으로써, 양자의 전압 강하의 합인 0.07+1=1.07V가 된다.In Case 1, the value of B, that is,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external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f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designed to be sufficiently small and 20 m?. The total value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the sum of A and B, which is 70 m?. Since the discharge current is 1A, the voltage drop caused by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the product of the current and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that is, 1A x 0.07? = 0.07V.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pacity is 1F, the voltage drop involved by the capacity becomes (1A 占 sec) / 1F, that is, 1V. Therefore, in Case 1, when the current of 1A is discharged for 1000 msec, 0.07 + 1 = 1.07 V which is the sum of the voltage drops of both is obtained.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당초 2.6V로 충전되어 있었으므로, 이 방전이 종료된 시점에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2.6-1.07=1.53V의 전압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즉, 케이스 1에서는, 1A로 1000msec의 대전류 방전 용도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was initially charged at 2.6 V,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maintains a voltage of 2.6-1.07 = 1.53 V at the end of the discharge. That is, in the case 1, it can be said that a large current discharge application of 1000 msec can be realized at 1A.

표 1의 케이스 2, 케이스 3도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되어 있다. 케이스 3은, 종래의 도전성 접착제와 같은 접속 수단으로 셀 리드와 패드막이 접속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상정한 것이며, B의 값이 2000mΩ로 되어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합계는 2050mΩ에 이른다. 따라서, 등가 직렬 저항의 기여에 의한 전압 강하만으로, 2.05V이며, 이것에 용량이 기여하는 전압 강하 1V를 더하면, 3.05V가 되고, 당초의 정격 전압을 초과해 버린다. 즉,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1000msec의 펄스폭의 도중에 방전이 불가능해져 버리고, 대전류 방전은 실현할 수 없다.Case 2 and Case 3 in Table 1 are also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Case 3 assumes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n which a cell lead and a pad film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conventional conductive adhesive. The value of B is 2000 m?, And the total of equivalent series resistances reaches 2050 m ?. Therefore, the voltage drop due to the contribution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2.05 V, and the voltage drop of 1 V contributed by the capacitance is added to 3.05 V, which exceeds the original rated voltage. That i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can not discharge in the middle of a pulse width of 1000 msec, and large current discharge can not be realized.

케이스 2는, 케이스 1과 케이스 3의 중간에 상당하는 경우이다. 즉, 외장 용기의 배선 저항치와 셀 리드와 패드막의 접속 저항치가, 500mΩ에 머물고 있으므로, 등가 직렬 저항의 합계치는, 550mΩ로 되어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이 기여하는 전압 강하는 0.55V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량의 기여분의 전압 강하를 포함해도, 전압 강하의 합계치는, 1.55V에 머물고, 정격 전압의 값이 2.6V 이하이므로, 1A로 1000msec의 대전류 방전은 실현 가능하다.Case 2 corresponds to a case between the cases 1 and 3. That is, sinc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external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f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kept at 500 m?, The total value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550 m?, And the voltage drop contributed by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0.55 V. Therefore, even when the voltage drop of the contribution of capacitance is included, the total value of the voltage drop stays at 1.55 V and the rated voltage value is 2.6 V or less, so that a large current discharge of 1000 msec can be realized at 1A.

이상, 3가지의 케이스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냈다. B의 값이 낮은 케이스 1과 케이스 2의 경우가 대전류 방전 가능했지만, B의 값에 의한 전압 강하의 기여분은 방전 전류에 비례하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다. 만일 방전 전류가 2A인 경우에서는, 케이스 1의 등기 직렬 저항의 기여분의 전압 강하는 2A×0.07Ω=0.14V이며, 용량의 기여분의 전압 강하 2V와의 합계가 2.14V가 되고 대전류 방전은 또한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 2에 있어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기여분의 전압 강하는, 2A×0.55Ω=1.1V가 되고, 용량의 기여분의 전압 강하 2V와의 합계는 3.1V가 되고, 정격 전압 2.6V를 초과해 버리고, 이미, 대전류 방전은 불가능하다.In the above three cases, whether large current discharge is possible or not is show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ase of case 1 and case 2 in which the value of B is low enables large current discharge, but the contribution of the voltage drop due to the value of B is proportional to the discharge current. If the discharge current is 2A, then the voltage drop of the contribution of the write-in series resistance of Case 1 is 2A x 0.07? = 0.14 V, and the sum of the voltage drop of 2 volts of the contribution of the capacity is 2.14 V and a large current discharge is also possible . On the other hand, in case 2, the voltage drop of the contribution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2A x 0.55? = 1.1 V, and the sum of the voltage drop of 2 V and the contribution of the capacitance becomes 3.1 V, exceeding the rated voltage of 2.6 V , A large current discharge is impossible.

이와 같이, B의 값의 대소가 대전류 방전 가능한지의 여부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설계에 있어서는, 배선 저항치과 셀 리드와 패드막의 접속 저항치를 mΩ의 단위로 검토해 갈 필요가 있다.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f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in units of m? In the design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value of B largely affects whether large current discharge is possible or not.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2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2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3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3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4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4

B의 값은, 접속 저항치과 배선 저항치의 합이라고 했지만, 또한 이 2개의 관계에 대해서 표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 2 내지 4는, 한쪽의 극당의 접속 저항치를 1mΩ, 5mΩ, 10mΩ, 30mΩ, 100mΩ의 5종류로 했을 때의, 방전 초기의 바람직한 전압 강하의 범위로부터, 배선 저항치의 상한(단위는 mΩ)을 계산에 의해 구한 것이다. 여기서, 배선 저항치는 양극과 음극의 배선 저항치의 합이다.The value of B is the sum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dental wiring resistance values, and these two relationship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able 2. Tables 2 to 4 show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unit: m?) From the range of preferable voltage drop at the initial stage of discharge when five types of connection resistances per one pole are set to 1 m ?, 5 m ?, 10 m ?, 30 m ?, and 100 m? Which is obtained by calculation. Her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the sum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방전 초기의 전압 강하는, 실용 상 0.3V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0.2V 이내이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충전 전압이 2.6V이며, 방전 초기의 전압 강하가 0.3V라고 하면, 방전 에너지에 기여하는 방전의 초기 전압은, 전압 강하분을 공제한 2.3V이다. 이 경우의 방전 에너지를, 초기 전압이 2.6V일 때의 방전 에너지와 비교하면 약 78%를 유지할 수 있고, 허용할 수 있는 값이다. 초기의 전압 강하가 0.2V인 경우의 비율은 약 85%로, 전압 강하가 0.1V인 경우는 약 92%로 향상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oltage drop at the initial stage of the discharge is within 0.3 V in practical use. And more preferably 0.2V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voltage is 2.6 V and the voltage drop at the initial stage of the discharge is 0.3 V, the initial voltage of the discharge contributing to the discharge energy is 2.3 V minus the voltage drop. The discharge energy in this case can be maintained at about 78% when compared with the discharge energy when the initial voltage is 2.6 V, which is a permissible value. The ratio of the initial voltage drop of 0.2 V is about 85%, and when the voltage drop is 0.1 V, it is improved to about 92%.

소형의 전기 화학 셀에 있어서는, 단독의 전기 화학 셀의 등가 직렬 저항의 A의 값은 수십 mΩ 내지 수백 mΩ의 범위이지만, 여기에서는, 대표예로서 150mΩ인 경우를 계산했다. 표 2는, 단독의 전기 화학 셀의 배선 저항치의 상한이며, 표 3은, 상기 단독의 전기 화학셀을 2개 직렬로 접속한 경우의 1개의 전기 화학 셀의 배선 저항치의 상한, 표 4는, 상기 단독의 전기 화학 셀을 3개 직렬로 접속한 경우의 1개의 전기 화학 셀의 배선 저항치의 상한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화학 셀이기 때문에, 필요로 되는 정격 전압이 되도록, 직렬로 접속하여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직렬 접속하는 경우에도 통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mall-sized electrochemical cell, the value of A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of a single electrochemical cell is in the range of several tens of ohms to several hundreds of ohms. Here, as a typical example, the case of 150 m? Is calculated. Table 2 shows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of the single electrochemical cell. Table 3 shows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of one electrochemical cell when two single electrochemical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of one electrochemical cell when three of the single electrochemical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Since they are electrochemical cells, they are often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have the required rated volta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be used even when connecting in series.

여기서, 배선 저항치의 상한은, 초기의 전압 강하를 상술의 0.3V라고 하여 산출했다. 표 2에 있어서, 가로선이 그어진 란은, 전압 강하를 0.3V로 하면 배선 저항치의 상한은 0mΩ 이하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초기의 전압 강하가 0.3V를 초과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Here,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was calculated by assuming that the initial voltage drop was 0.3 V as described above. In Table 2, the column in which the horizontal line is drawn indicates that when the voltage drop is 0.3 V,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becomes 0 m? Or less. That is, the initial voltage drop exceeds 0.3V.

표 2에서는, 접속 저항치가 1mΩ이면, 방전 전류를 1A로 하면, 배선 저항치의 상한이 148mΩ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방전 전류를 크게 하여 1.75A까지 흐르게 하면, 배선 저항치의 상한이 19mΩ로 까지 저하한다. 이와 같이, 어느 정도 넓은 범위의 방전 전류치를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하려면 , 최대의 전류치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배선 저항치의 상한을 10mΩ대가 되도록 한다. 접속 저항치가 5mΩ인 경우의 상한치는, 접속 저항치가 1mΩ인 경우보다 8mΩ 낮을 뿐이다. 이 경우도, 배선 저항치를 10mΩ 이하로 제작하면, 1.75A까지 방전할 수 있다. 접속 저항치가 10mΩ인 경우는, 1.75A의 방전 전류에서 전압 강하가 0.3V를 초과해 버리지만, 배선 저항치가 20mΩ대이면, 1.5A까지 방전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In Table 2,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 m?,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1 A,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148 m?.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increased to 1.75 A,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decreases to 19 mΩ. In this way, in order to allow a discharge current value within a wider range to flow,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is set to 10 mΩ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current value. The upper limit value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5 m? Is only 8 m? Lower than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 m ?. Also in this case, i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made 10 m? Or less,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o 1.75 A.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0 mΩ, the voltage drop exceeds 0.3 V at a discharge current of 1.75 A, but i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20 mΩ, the discharge current can flow to 1.5 A.

한편, 접속 저항치가 100mΩ인 경우는, 초기의 전압 강하가 0.3V 이하로 억제되는 전류치는 0.75A 이하이며, 실질적으로 대전류 방전 용도에는 부적당하다. 접속 저항치가 30mΩ인 경우는, 접속 저항치가 100mΩ인 경우와 비교하여, 배선 저항치의 여유는 개선되지만, 1.5A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초기의 전압 강하가 0.3V를 초과해 버리므로, 접속 저항치로서는 역시 크다. 따라서, 접속 저항치는, 10mΩ 이하가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00 m?, The current value at which the initial voltage drop is suppressed to 0.3 V or less is 0.75 A or less, which is unsuitable for substantially large current discharge applications.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30 m OMEGA, the margin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00 m OMEGA. However, since the initial voltage drop exceeds 0.3 V when a current of 1.5 A is passed, Big. Therefore,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preferably 10 m? Or less.

2직렬로 접속한 경우는, 표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가 직렬 저항의 A가 150mΩ의 2배가 되기 때문에, 배선 저항치의 상한은 크게 억제되고, 또한, 최대의 방전 전류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방전 전류가 1A인 경우는, 등가 직렬 저항의 A에 의한 전압 강하가 1A×0.3Ω=0.3V이기 때문에, 접속 저항치가 1mΩ여도, 배선 저항치의 상한의 란은 가로 선으로 되어 있다. 2직렬인 경우는, 0.3V 이하의 전압 강하로 사용하는 조건에서는, 1A 이하의 방전 전류가 된다. 0.9A의 방전 전류에서는, 접속 저항치가 5mΩ인 경우는 배선 저항치의 상한은 6.5mΩ이지만, 접속 저항치가 10mΩ인 경우는, 0.90A의 방전 전류에서는 전압 강하가 0.3V를 초과해 버리고, 접속 저항치가 5mΩ 이하인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있다. 따라서, 직렬 접속 용도를 고려하면, 접속 저항치는 5mΩ 이하가 바람직하다.2 ar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Table 3, A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doubled to 150 m?, So that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greatly suppressed and the maximum discharge current also needs to be lowered. For example,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1 A, since the voltage drop due to the A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1 A 0.3 Ω = 0.3 V,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a horizontal line even i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 mΩ . In the case of two series, a discharge current of 1A or less is obtained under the condition of using a voltage drop of 0.3 V or less. At a discharge current of 0.9 A,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6.5 m?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5 m?, But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0 m ?, the voltage drop exceeds 0.3 V at the discharge current of 0.90 A, The difference is less than 5mΩ.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series connection use,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preferably 5 m? Or less.

3직렬의 경우는, 등가 직렬 저항의 A의 값이 150mΩ×3=450mΩ이기 때문에, 전압 강하가 0.3V 이하로 되기 위해서는, 최대 전류도 0.3V/0.45Ω, 즉 약 0.65A 정도가 된다.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저항치가 5mΩ인 경우는, 0.6A의 방전도 가능해지지만, 배선 저항치의 상한은 6mΩ가 된다. 접속 저항치가 1mΩ인 경우는, 배선 저항치의 상한은 14mΩ가 된다. 이와 같이, 직렬 접속하는 단수가 증가하면, 접속 저항치의 배선 저항치에 주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단독의 전기 화학 셀만으로의 사양만으로 검토하면, 실용성이 부족한 외장 용기가 되므로, 상기의 검토가 필요하다.3 series, the value of A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is 150 mΩ × 3 = 450 mΩ. Therefore, in order for the voltage drop to be 0.3 V or less, the maximum current is about 0.3 V / 0.45 Ω, that is, about 0.65 A. As shown in Table 4,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5 mΩ, discharge of 0.6 A is possible, but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6 mΩ. Whe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1 mΩ, the upper limit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14 mΩ. As described above, if the number of series connection increases, the influence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n the wiring resistance value becomes significant. Therefore, examination with only the specification of only an electrochemical cell results in an external container which is insufficient in practicality. .

그런데, 배선 저항치는, 패드막과 접속 단자 각각의 저항율, 면적과 그것들을 접속하는 배선이나 구조에 의존한다. 배선이 길어짐으로써 발생하는 배선 저항치의 증가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베이스 내 단자의 기여가 크다. 특히,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을 증대시켜 대전류 방전의 방전 전류나 방전 시간을 크게 혹은 길게 하려고 하면, 용기의 치수가 커지고, 이것에 따라 배선이 길어지기 쉽다. 베이스 내 단자를 이용하여 베이스의 표리를 직접 접속함으로써, 배선 저항치를 큰 폭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the wiring resistance value depends on the resistivity and the area of each of the pad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wiring or structure connecting them. Regarding the increase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wiring, the contribution of the terminal in the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Particularly, if the capacity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increas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scharging current or discharging time of the large current discharge, the dimensions of the container become large and the wiring tends to become long accordingly. By directly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ase using the in-base terminal,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한편, 셀 리드와 패드막의 접속 저항치의 저감은 용접에 의한 기여가 크다. 전기 화학 셀용의 도전성 접착제로서는, 도전 필러가 카본이나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지고, 바인더는 페놀 수지 등이 적합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접속 저항치는, 도전성 접착제의 도포 조건, 접속되는 금속의 표면 상태, 열경화 조건, 전기 화학 셀의 기판에의 실장 온도 조건 등에서 크게 다른 것 외에 도전성 접착제의 생산 로트에 의한 불균형에 기인하는 것도 있고, 대전류 방전 용도에서 요구되는 mΩ 단위로의 접속 저항치의 설계와 관리는 곤란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ecrease i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i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welding. As the conductive adhesive for electrochemical cells, the conductive filler is made of carbon or graphite, and the binder is preferably phenol resin. However,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largely different not only in the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conductive adhesive, the surface state of the metal to be connected, the heat curing condition, the mounting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n the substrate, and the like due to the imbalance caused by the production lot of the conductive adhesive 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manage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n units of m < [chi] > required for high current discharge applications.

도 2(a), (b)는, 각각 베이스(1)의 베이스 내측면(1a)과 베이스 외측면(1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베이스 내측면(1a)에는, 도전성 재료 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패드막(2)이 배치되어 있다. 패드막(2)의 하면에는, 파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베이스 내 단자(3)가 각각 4개 설치되고, 베이스(1)의 외측면에 배치된 접속 단자(4)(동일하게 파선으로 나타낸다)에 수직으로 접속되어 있다.2 (a) and 2 (b) are views showing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and the base outer side surface 1b of the base 1, respectively. A pair of pad films 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disposed on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shown in Fig. 2 (a). Four base terminals 3 shown by broken line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film 2 and four connection terminals 4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 Respectively.

또한, 여기서, 패드막(2)은, 일례로서의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만, 단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나, 길이 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늘어놓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패드막(2)은, 반드시 베이스 내 단자(3) 상에 형성되는 것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Here, although the pad films 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as an example, they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r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d film 2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on the in-base terminal 3.

패드막(2)은, 알루미늄이나 티탄 등의 화확적으로 안정된 밸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며, 용해하기 어려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들 막은, 예를 들면, 증착, 이온 플래팅이나 스퍼터링 등의 주지의 막형성 방법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이들 방법에 따르는 경우는, 우선, 텅스텐 등의 금속이 관통 구멍에 인쇄법 등에 의해 충전·소성되어 기밀한 베이스 내 단자(3)가 완성된 후에 형성한다. 진공 중에서 성막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음양의 패드막(2)을 각각 구성하도록,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2개의 개구를 갖도록 패터닝한 금속제 등의 마스크를 준비하여, 성막의 챔버 중에 수납하고, 진공 배기계에서 소정의 진공도로 배기한 후, 밸브 금속 재료를 증발시키거나 밸브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타겟을 물리적으로 이온으로 두드려 재료를 날려, 베이스(1)의 내측면에 성막한다. 이들 성막법으로는, 성막의 조건이 제어하기 쉽기 때문에, 형성한 막의 저항율이 낮고, 또한 액체가 침투하기 어려운 고밀도인 막을 형성할 수 있다.The pad film 2 is a film made of a valve metal which is stabilized with high definition such as aluminum or titanium and is made of a material difficult to dissolve. These films can be deposited according to a known film forming method such as evaporation, ion plating, sputtering,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se methods, first, a metal such as tungsten is filled and fired in a through hole by a printing method or the like to form an airtight terminal 3 in the base. In the case of film formation in vacuum, for example, a mask made of metal or the like patterned so as to have two openings spa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prepared so as to constitute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ad films 2, After evacuation to a predetermined degree of vacuum in a vacuum exhaust system, the valve metal material is evaporated or the target made of the valve metal material is physically blown with ions to blow off the material, and the fil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 With these film forming methods, it is possible to form a film having a low resistivity of a formed film and a high-density film in which a liquid is difficult to permeate because the condition of film formation is easy to control.

또, 알루미늄의 막은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서도 형성 가능하다. 고온에서는 산화하기 쉬운 알루미늄에 있어서도, 150℃ 이하의 온도로 배선 패턴을 형성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인쇄법이므로, 증착법 등의 박막 형성 기술과 비교하여 두껍고, 수십 미크론의 후막도 용이하다.The aluminum film can also be formed by a screen printing method. A technique capable of forming a wiring pattern at a temperature of 150 占 폚 or less has been developed even in aluminum which is easily oxidized at a high temperature. Since it is a printing method, it is thicker than a thin film forming technique such as a vapor deposition method, and a thick film of tens of microns is also easy.

또한, 알루미늄막은 전기 도금법에 의해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메틸설폰과 염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도금액을 이용하여, 약 40㎛의 막두께로 형성한 막이, 표면이 평활하고, 막의 내부도 균일한 막인 것이 알려져 있다.The aluminum film can also be produced by an electroplating method. It is known that a film formed with a film thickness of about 40 占 퐉 by using a plating solution composed of dimethylsulfone and aluminum chloride has a smooth surface and a uniform film inside.

도 2(b)에 나타내는 베이스 외측면(1b)에는, 패드막(2)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접속 단자(4)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4)는, 리플로우 처리 등에 의해, 실장 기판의 패턴에 설치된 크림 땜납 등으로 기판에 고착된다. 접속 단자(4)는, 예를 들면,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 텅스텐의 패턴에, 니켈과 금으로 이루어지는 도금막이 실시되어 있다. 부호 번호 1c로 나타내어지는 베이스 측면 오목부에도 텅스텐이나 이들 도금 재료가 패터닝되고 접속 단자의 일부로서 기능한다.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4 are provided on the base outer side surface 1b shown in FIG. 2 (b) so as to face the pad film 2. The connection terminals 4 are fixed to the substrate by cream solder or the like provided on the pattern of the mounting substrate by reflow processing or the like. In the connection terminal 4, for example, a plating film made of nickel and gold is applied to a tungsten pattern formed by the printing method. Tungsten or the plating material is also patterned on the base side concave portion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c and functions as a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계속해서, 패드막(2)의 두께에 대해서 설명한다. 막두께는 5㎛ 이상이고 또한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으로 30㎛의 범위가 좋다. 막두께가 얇으면 막내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포러스가 연결되어 전해질이 패드막의 아래에 있는 텅스텐에 침투하여 텅스텐의 전해 부식을 일으키기 쉬운 것, 및, 후술과 같이, 용접으로 셀 리드(8)와 접속될 때, 용접의 조건이 매우 한정되어 신뢰성 있는 접합의 실현이 어려워지는 것에 의한다. Next, the thickness of the pad film 2 will be described.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5 占 퐉 or more and 100 占 퐉 or less. Preferably, a range of 10 m to 30 m is preferable. When the film thickness is thin, the fine porous film existing in the film is connected, and the electrolyte penetrates into the tungsten underlying the pad film and tends to cause electrolytic corrosion of tungsten. , The welding conditions are very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reliable welding.

두께 약 1.3㎜의 소다 라임 유리판에, 패드막(2)의 두께가 5㎛인 알루미늄막을 이온 플래팅법에 의해 형성한 후, 두께가 80㎛인 알루미늄의 박판을 초음파 용접으로 용접시키는 실험을 실시했다. 셀 리드 5개 중 1개의 샘플은 유리판에 미소한 크랙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5㎛는 막두께로서는 실용상의 하한치이다. 실용적으로는, 막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n aluminum film having a thickness of 5 占 퐉 was formed on a soda-lime glass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3 mm by an ion plating method and then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80 占 퐉 was welded by ultrasonic welding . In one sample of five cell leads, small cracks were observed on the glass plate. Therefore, the film thickness of 5 mu m is the lower limit of practical use. Practically,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한편, 증착법이나 이온 플래팅법에 따른 알루미늄의 증착 레이트는, 1시간당 3㎛~10㎛이다. 증착 시간을 고려하면 30㎛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성막 시간은 길어도 4~5시간 정도이다. 100㎛정도까지 두껍게 형성한 경우는, 성막 시간은 장시간에 이르지만, 용접으로 셀 리드(8)에 접속할 때의 용접 조건을 넓게 취할 수 있고, 하지가 되는 세라믹에 크랙이 유발될 가능성을 매우 낮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position rate of aluminum according to the vapor deposition method or the ion plating method is 3 탆 to 10 탆 per hour. Considering the deposition time, the thickness is preferably 30 占 퐉 or less, and the film formation time in this case is about 4 to 5 hours. When the thickness is increased up to about 100 탆, the film forming time is long, but the welding condition when connecting to the cell lead 8 by welding can be made wider, and the possibility of causing cracks in the underlying ceramic is very low .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구체적인 용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는, 셀(7)에 접속하는 한 쌍의 셀 리드(8)와 한 쌍의 패드막(2)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 쌍의 셀 리드(8)의 선단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막(2)의 표면에 놓여진 후, 셀 리드(8)의 상면으로부터 용접되고, 패드막(2)과 셀 리드(8)가 접합된다. 용접을 이용함으로써,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접합 계면에서, 각각의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원자적인 확산이 일어나고, 강고한 접합이 가능해진다. 도 3(a)의 8a는, 용접한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용접이므로, 접합 계면에 자연 산화막 등의 오염이 존재해도, 접속 저항이 mΩ대, 혹은 mΩ 이하의 충분히 낮은 접합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 방법과 비교하여, 접속 저항을 10분의 1 내지 100분의 1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접속 저항치의 불균형을 억제하고, 또한 경시 변화가 적은 접합이 가능해진다.Next, a specific welding method of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pair of cell leads 8 connected to a cell 7 and a pair of pad films 2. Fig. 3 (a), the tip ends of the pair of cell leads 8 are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pad film 2 and then wel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lead 8, The cell lid 8 is bonded. By using the welding, atomic diffusion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respective members occurs at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and strong bonding is possible. 8A in Fig. 3 (a) schematically shows a welded area. Therefore, even if there is contamination of the natural oxide film or the like at the bonding interfac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ufficiently low bonding resistance of mΩ or less or mΩ or less. As a result,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reduced to one tenth to one hundredth of that of the bonding method using a conductive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unbalance i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can be suppressed, and bonding with little change with time becomes possible.

또, 접합 포인트를 복수 설정함으로써, 접속 저항치를 더 저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사이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셀 리드(8)를 변형시켜 용기의 내부에 셀(7)을 수납시키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용접의 박리 등의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외, 완성된 전기 화학 셀의 내진동 특성이나 낙하 충격 특성 등의 기계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by setting a plurality of joint points,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tensile strength between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cell lead 8 can be deform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peeling of the wel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housing the cell 7 inside the container and to improve the mechanical reliability such as the vibration resistance characteristic and drop impact characteristic of the completed electrochemical cell .

셀 리드(8)와 패드층(2)의 용접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용접, 빔 용접, 저항 용접 등의 국소적인 용접 방법이 적합하다. 즉, 이들 용접 수단은, 용접의 대상이 되는 부분이 국소적이므로 열적 영향은 용접부 근방에만 머물고, 셀(7) 자체에 대한 영향을 피할 수 있다. 또, 셀 리드(8)의 재료, 두께, 패드막(2)의 재료와 관통 구멍의 배치 등을 변경함으로써, 용접의 기계적 혹은 열적인 충격에 의한 구성 부재에 대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세라믹스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1)에 대해서도 크랙의 발생에 의한 부재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welding of the cell lid 8 and the pad layer 2, a local welding method such as ultrasonic welding, beam welding, or resistance welding is suitable. That is, these welding means are localized in the portion to be welded, so that the thermal influence stays only in the vicinity of the welded portion, and the influence on the cell 7 itself can be avoided. In addition, by changing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cell lead 8, the material of the pad film 2, the arrangement of the through hole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component due to the mechanical or thermal impact of welding.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damage to the member due to the occurrence of cracks even in the base 1 made of a material such as ceramics.

도 3(b)는, 초음파 용접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초음파 용접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패드막(2) 상에 셀 리드(8)를 위치 결정하여 밀착시키지만, 이 때, 셀(7)은 초음파 용접용 팁(9)의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베이스(1)의 밖에 놓여진다. 다음에, 초음파 용접용 팁(9)을, 이동 기구에 의해 셀 리드(8)의 상면에 적당한 가압력을 가지고 맞닿게 한다. 초음파 용접용 팁(9)은 혼 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혼의 선단에 별도 부착된다. 초음파 용접용 팁(9)의 팁 선단(9a)은, 셀 리드(8)와의 접촉면이 되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셀 리드(8)의 표면에 적절히 침투하도록 표면에 요철 패턴이 실시되어 있는 것(널(knurl) 가공)이 바람직하다. Fig. 3 (b)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method of ultrasonic welding. 3 (b), first, the cell lid 8 is position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d membrane 2. At this time, the cell 7 is held by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ase 1. Next,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is abutt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lead 8 with a suitable pressing force by a moving mechanism.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n tip or separately attached to the tip of the horn. The tip end 9a of the tip 9 for ultrasonic welding is a portion to be a contact surface with the cell lead 8 and includes a concavo-convex pattern on the surface so as to properly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cell lead 8 (Knurl processing) is preferable.

초음파 용접용 팁(9)이 셀 리드(8)를 적당한 가압력으로 맞닿게 한 후에, 초음파 용접기의 발진 기구가 수십 KHz로 이루어지는 초음파를 혼에 더하면, 초음파 용접용 팁(9)이 주파수로 접합 부분을 조정한다. 이로 인해,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계면은, 금속 재료의 청정한 표면들의 밀착면이 되고, 수십 밀리초 내지 수백 밀리초의 약간의 시간으로 압접할 수 있다. 앞의 도 3(a)의 셀 리드와 패드막의 용접 영역(8a)으로 나타내어진 셀 리드(8)의 표면의 요철 패턴은, 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초음파 용접용 팁(9)의 요철 패턴이 전사되어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요철 패턴으로 나타내어진 영역(8a)이 용접 영역이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접합되어 있는 부분은, 초음파 용접용 팁(9)의 선단에 가공된 볼록부에 의해 오목해진 부분뿐이며, 그 이외의 영역은, 셀 리드와 패드막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유지한 상태이다.When the ultrasonic wave welding tip 9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orn 8 with an appropriate pressing force and then the ultrasonic wave welding machine's oscillation mechanism adds ultrasonic waves of several tens of KHz to the horn, . As a result, the interface between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becomes a close contact surface of clean surfaces of the metal material, and can be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a slight time of several tens of milliseconds to several hundreds of milliseconds. The concavo-convex pattern of the surface of the cell lead 8 indicated by the welding area 8a of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shown in Fig. 3 (a) Which is shown schematically. The region 8a indicated by the concavo-convex pattern is a welding region, but microscopically, the portion bonded is only the portion recessed by the convex portion processed at the tip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A slight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초음파 용접용 팁(9)이 셀 리드(8)의 표면에 맞닿을 때에, 큰 충격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동 기구에는, 덤퍼 등의 충격 흡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베이스 재료에 대한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take care not to cause a large impact when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ell lead 8. The moving mechanism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such as a damper. As a result, damage to the base material can be reduced.

셀 리드(8)의 치수(리드의 폭과 두께)와 패드막(2)의 치수(종횡의 치수와 두께) 및 초음파 용접용 팁(9)의 치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전기 화학 셀의 여러 가지의 치수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에 나타낸 초음파 용접 영역의 폭치수(d)는, 0.5㎜이어도 충분하고, 소형의 전기 화학 셀의 제작에 적합하다. 또한, 기계적인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패드막(2)의 대략 전체 면적을 덮도록 설계된 초음파 용접용 팁(9)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경우도 적절한 용접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베이스 내 단자나 베이스 재료에 영향은 없고, 충분히 큰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dimensions (lead width and thickness) of the cell lead 8, the dimensions (longitudinal dimension and thickness) of the pad film 2 and the dimension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mension d of the ultrasonic welding region shown in Fig. 3 (a) may be 0.5 mm, which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small electrochemical cell.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even in the case of ultrasonic welding using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designed to cover the substantially entire area of the pad film 2, by setting appropriate welding conditions, And a sufficiently large mechanical strength can be obtained.

또한, 초음파 용접에 있어서는, 진동 뿐만 아니라, 열에너지와 기계적인 압접력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3(a)에서는, 셀 리드(8)로서 가는 판형상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와이어여도 되고, 초음파 용접용 팁(9)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시켜 이용하면 된다. Further, in ultrasonic welding, not only vibration but also thermal energy and mechanical pressing force can be used in combination. 3 (a), an example of a thin plate shape is shown as the cell lead 8. However, it may be a wire, and the shape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다음에, 빔 용접의 경우를 설명한다. 빔 용접으로서 레이저 용접과 전자빔 용접이 대표적이다. 이들 용접은, 국소적 가공이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비접촉법이므로, 용접 단자의 열과 마모에 의한 열화가 없다. 그 때문에, 재현성이 좋다. 또, 금속을 용융시키는데 충분한 에너지 밀도를 가지므로, 단시간의 가공이 가능하다. 전자 빔 용접은, 에너지 밀도가 매우 높은 것, 전자빔의 주사성이 풍부한 것, 그리고, 용접 대상의 베이스(1)와 셀 리드(8)을 갖는 셀(7)을 진공 중에 두고, 전자빔을 진공 중에서 조사하여 용접하는 것을 제외하면, 레이저 용접과 같다.Next, a case of beam welding will be described. Laser welding and electron beam welding are typical examples of beam welding. These weldings are not only not only local machining but also non-contact welding, so there is no deterioration due to heat and abrasion of welding terminals. Therefore, the reproducibility is good. In addition, since it has an energy density sufficient for melting the meta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achining in a short time. Electron beam welding is carried out by placing an electron beam in a vacuum state in which the energy density is high, the electron beam scanning property is abundant, and the cell 7 having the base 1 and the cell lead 8 to be welded is placed in vacuum It is the same as laser welding, except that it is irradiated and welded.

레이저 용접에서는, 스폿 용접이나 심 용접(펄스 발진이나 연속 발진)을 이용할 수 있다. YAG 레이저에 의한 스폿 용접의 경우를 이하에 설명한다.In laser welding, spot welding or seam welding (pulse oscillation or continuous oscillation) can be used. The case of spot welding with a YAG laser will be described below.

레이저 발진기, 전송 파이버, 베이스(1)와 셀 리드(8)의 위치 결정과 표면 관찰을 위한 동축 CCD 모니터를 준비하고, 셀 리드(8)와 패드막(2)를 적당한 가압력을 가지고 밀착시킨 후에, 리드(8)의 표면측으로부터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를 조사할 때는, 패드막(2)과 셀 리드(8)의 접합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내뿜거나, 글로브 박스 등을 이용하여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axial CCD monitor for positioning and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base 1 and the cell lid 8 is prepared and the cell lid 8 and the pad film 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proper pressing force , And the laser is irradiat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ead (8).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of the junction between the pad film 2 and the cell lead 8, it is preferable to emit an inert gas such as argon or nitrogen or use an inert gas atmosphere using a glove box or the like Do.

도 3(c)는,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레이저 용접에 의한 접속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검은 원으로 나타낸 8a는 레이저가 조사되어 용접된 용접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알루미늄은 YAG 레이저의 1064㎚의 흡수율이 낮지만(고반사율 재료), 레이저 조사부가 가열되고, 가열의 중심부로부터 서서히 용해부가 넓어져 간다. 가열은 셀 리드(8)의 하면으로부터 접합하는 하측의 패드막(2)의 표면에 이르러, 패드막(2)의 표면 부분을 용해시켜, 셀 리드(8)와 패드막(2)이 접합된다.Fig. 3 (c) shows the connection of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by laser welding. A black circle 8a in the drawing indicates a welded area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Aluminum has a low absorption rate of 1064 nm of the YAG laser (high reflectivity material), but the laser irradiating portion is heated, and the melted portion gradually spread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ating. The heating reaches the surface of the lower pad film 2 bon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ell lead 8 to dissolve the surface portion of the pad film 2 so that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are bonded .

레이저 용접의 경우도, 용접 영역을 증가시켜 접속 저항치를 더 저하시키고, 또, 용접의 기계적인 강도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c)에서는, 각각의 패드막에서 2점씩 스폿 용접을 하고 있다.In the case of laser welding, it is also preferable to increase the welding area to further lower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nd also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welding. In Fig. 3 (c), spot welding is performed at two points on each pad film have.

또, 도 3(a) 및 도 3(c)에서는, 하나의 패드막에 1개의 셀 리드를 용접하고 있었지만 셀 리드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 활물질을 담지하는 금속 집전체의 길이가 긴 경우는, 금속 집전체에 복수의 셀 리드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셀 리드를 하나의 패드막에 접속할 수 있으면 저항분을 저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3 (a) and 3 (c), one cell lead is welded to one pad film, but a plurality of cell leads may be provided. When the length of the metal current collector carrying the active material is long, a plurality of cell leads can be provided in the metal current collector. In this case, if the plurality of cell leads can be connected to one pad film, the resistance can be reduced, which is preferable.

이상은, 용접법으로서 초음파 용접과 빔 용접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용접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수단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폿 저항 용접이나 아크 용접 등의 용접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ultrasonic welding and the beam welding have been described above as the welding method, the weld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other mean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welding method such as spot resistance welding or arc welding.

외장 용기의 베이스 재료로서, 세라믹스는 관용되는 재료이지만, 세라믹스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다 라임 유리나 내열 유리 등도 사용 가능하다. 유리는 소재로서 긴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소형의 패키지인 경우는, 1매의 유리에 많은 캐비티수를 설정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의 저비용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이들 유리에 오목부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화확적인 에칭법, 샌드 블레스트와 같은 물리적 방법, 혹은 고온 분위기에 있어서 형을 이용하여 오목부와 관통 구멍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As the base material of the outer container, ceramics is a commonly used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o ceramics. Soda lime glass or heat-resistant glass can also be used. Since a long glass can be used as a material, in the case of a small package, it is possible to set a large number of cavities in one piece of glass, and the cost of the base member can be expected to be reduced. As means for forming concave portions and through holes in these glasses, concave portions and through holes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using a chemical etching method, a physical method such as sand blast, or a mold in a high-temperature atmosphere.

또, 관통 구멍의 내면에 알루미늄막을 형성한 후, 열팽창 계수를 매칭시킨 유리 페이스트를 관통 구멍에 충전하고, 탈바인더 및 소성을 실시함으로써, 기밀하게 도전성을 갖는 베이스 내 단자(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베이스 내 단자(3)가 용해할 걱정은 없다. 따라서, 베이스 내 단자(3)를 덮도록 패드막(2)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베이스 내 단자(3)의 내면을 형성하는 막은 알루미늄으로 한정되지 않고, 티탄 등의 그 외의 밸브 금속을 포함하는 막이어도 된다.The inner terminal 3 having airtight conductivity can be formed by filling the through hole with a glass paste matched with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fter forming an aluminum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performing binder removal and firing have. In this case, there is no fear that the in-base terminal 3 will dissolv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pad film 2 so as to cover the in-base terminal 3. The film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base terminal 3 is not limited to aluminum but may be a film containing other valve metals such as titanium.

계속해서, 셀(7)에 관해서 설명한다. 셀(7)은, 두께가 5㎛~50㎛인 알루미늄박이나 동박을 금속 집전체로 하고, 그 표면에 활물질을 도공이나 접착법에 의해 담지한 음양의 한 쌍의 전극 시트 사이에, 절연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끼워 권회, 적층, 접음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한 발전 요소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경우는, 활물질의 대표적인 재료로서, 활성탄 내지 탄소를 들 수 있다. 리튬 이온 2차 전지에서는, 양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코발트산리튬(LiCoO2), 니켈산리튬(LiNiO2), 망간산리튬(LiMn2O4), 인산철리튬(LiFePO4) 등의 화합물이 이용되고, 음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흑연이나 코크스 외 실리콘 산화물 등이 이용된다. 활물질 페이스트는, 상기의 활물질에, 도전 보조제, 바인더, 분산제 등을 혼합하여 적당한 점도로 조절한 것이며, 이것을 롤러 코팅, 스크린 코팅, 닥터 블레이드법 등의 방법에 의해, 집전체의 양면 또는 편면에 도공한다. 도공 후에, 건조, 프레스 공정을 얻어 전극 시트가 형성된다.Subsequently, the cell 7 will be described. The cell 7 is made of an aluminum foil or a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5 탆 to 50 탆 as a metal current collector and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sheets supported on the surface thereof with an active material by a coating method or an adhesive method, Which is formed by winding, laminating, folding, or the like. In the case of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tivated carbon or carbon may be used as a representative material of the active material. I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lithium nickel oxide (LiNiO 2 ), lithium manganese oxide (LiMn 2 O 4 ), iron phosphate lithium (LiFePO 4 )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example, graphite, silicon oxide other than coke, and the like are used. The active material paste is prepared by mixing a conductive auxiliary agent, a binder, a dispersant, and the like to the above-mentioned active material and adjusting the viscosity to an appropriate viscosity. The active material paste is coa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by roller coating, screen coating, do. After coating, drying and pressing are performed to form an electrode sheet.

세퍼레이터는, 양극 및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규제하는 것이며, 큰 이온 투과도를 가지며,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절연막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내열성이 요구되는 환경에 있어서는, 유리 섬유 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세퍼레이터의 구멍 직경, 두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 기기의 전류치나, 전기 화학 셀의 내부 저항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 세라믹스의 다공질체를 세퍼레이터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parator restric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n insulating film having a high ion permeability and a predetermine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For example, in an environment where heat resistance is required, resins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polyphenylene sulf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amide, and polyimide may be used in place of glass fiber. The hol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separato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value of the equipment to be used and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electrochemical cell.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orous body of ceramics as a separator.

전해질은 비수용매와 지지염을 포함한다. 또, 전해질은 액체여도 고체여도 된다. 전해질의 비수용매로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γ-부티롤락톤, 술포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또는 메틸에틸카보네이트 중 어느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된다. 특히,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γ-브티롤락톤, 술포란과 같은 비점이 높은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복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고온 환경 하에 있어서 용매의 기화를 막고, 용기의 내부 압력을 억제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comprises a non-aqueous solvent and a support salt. The electrolyte may be either liquid or solid. The non-aqueous solvent of the electrolyte is used as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rolactone, sulfolane, acetonitril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or methyl ethyl carbonat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a single or a composite selected from a solvent having a high boiling point such as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rolactone, and sulfolane. By using these solv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lvent from vaporizing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to suppres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지지염은 전해질 양이온과 전해질 음이온을 포함한다. 전해질 양이온으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제4급 포스포늄염, 이미다졸리움염, 피롤리디늄염, 포스포늄염, 또는 티오시안염, 리튬염, 등의 일종 이상의 염이 사용된다. 전해질 음이온으로서는 BF4 -, PF6 -, ClO4 -, CF3SO3 -, 또는 N(CF3SO2)2 -이 이용된다.Support salts include electrolyte cations and electrolyte anions. As the electrolyte cation, at least one kind of salt such as a quaternary ammonium salt, a quaternary phosphonium salt, an imidazolium salt, a pyrrolidinium salt, a phosphonium salt, a thiocyanic salt, a lithium salt, or the like is used. As the electrolyte anion, BF 4 - , PF 6 - , ClO 4 - , CF 3 SO 3 - , or N (CF 3 SO 2 ) 2 - are used.

또, 전해질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유도체나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인산에스테르폴리머, PVDF 등을 비수용매, 지지염과 병용 하고, 겔형상 또는 고체형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The electroly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thylene oxide derivative or a polymer containing a polyethylene oxide derivative, a polymer containing a polypropylene oxide derivative or a polypropylene oxide derivative, a phosphoric acid ester polymer, PVDF, etc. in combination with a non- Or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olid.

또, LiS/SiS2/Li4SiO4의 무기 고체 전해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해질로서, 피리딘계나 지환식 아민계, 지방족아민계나 이미다졸리움계의 이온성 액체나 아미딘계 등의 상온 용융염을 이용해도 상관없다.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of LiS / SiS 2 / Li 4 SiO 4 may also be used. As the electrolyte, a pyridine-based, alicyclic amine-based, aliphatic-amine-based or imidazolium-based ionic liquid or a room temperature molten salt such as an amidine-based electrolyte may be used.

계속해서, 베이스(1)와 덮개(6)의 봉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덮개(6)는 베이스(1)의 덮개 접합에 이용하는 접합 금속 부재(5)와 열팽창 계수가 매칭되도록 선택되고, 예를 들면 철·코발트·니켈 합금인 코발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코발의 0.1㎜ 내지 0.2㎜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판이고, 표면에는 2㎛ 내지 4㎛ 정도의 두께로 전해 니켈 도금이나 무전해 니켈 도금이 실시된 것이 이용된다. Next, encapsulation of the base 1 and the lid 6 will be described. The lid 6 is selected so as to match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with the bonding metal member 5 used for the lid bonding of the base 1, and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cobalt such as iron, cobalt, nickel alloy is used. Concretely, it is a thi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 mm to 0.2 mm of the nose, and the surface is coated with electrolytic nickel plating or electroless nickel plating with a thickness of about 2 to 4 μm.

양자를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이용되는 저항 심 용접에서는, 덮개(6)를 접합 금속 부재(5)에 맞닿게 한 후에, 덮개(6)의 장변측의 대략 중심의 2점에, 대향한 사다리꼴 형상의 롤러 전극를 배치하여 저전압 대전류를 단시간 흐르게 하고, 덮개(6)의 가용접(스폿 용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덮개(6)는 임시로 고정되고, 용접 작업 중의 진동 등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In the resistance seam welding which is used as a method of welding the both, after the lid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joint metal member 5, two points substantially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of the lid 6, A roller electrode is disposed so that a low voltage high current is allowed to flow for a short time, and a usable soldering (spot welding) of the lid 6 is performed. Thus, the lid 6 is temporarily fixed, and the position is not shifted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during the welding work.

계속해서, 예를 들면, 장변의 단으로부터 롤러 전극으로 장변을 따르도록 베이스(1)와 덮개(6)가 이동하여 용접된다. 다음에, 베이스(1)와 덮개(6)는 90도 회전되고, 마찬가지로 단변이 용접된다. 이와 같이 하여, 덮개(6)의 일주에 걸쳐 용접이 행해진다. 상술한 가고정에 있어서도, 본 저항 심 용접에 있어서도, 덮개(6)와 접합 금속 부재(5)의 계면에서, 금과 니켈의 확산이 발생하고, 기밀하고 강고한 확산 접합층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덮개(6)는, 베이스(1)에 기밀하게 봉지된다.Subsequently, for example, the base 1 and the lid 6 are moved and welded along the long side from the end of the long side to the roller electrode. Next, the base 1 and the lid 6 are rotated 90 degrees, and the short side is likewise welded. In this way, welding is per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lid 6. Fig. Also in the above-mentioned temporary fixing, diffusion of gold and nickel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id 6 and the bonding metal member 5 in the present resistance seam welding, and a diffusion bonding layer that is hermetic and strong is formed. As a result, the lid 6 is hermetically sealed to the base 1.

베이스(1)와 덮개(6)의 용접은, 레이저의 주사 조사를 이용해도 가능하다. 가용접을 상술과 같이 실시한 후, 레이저를, 리드를 일주하도록 주사 조사한다. 이로 인해, 덮개(6)와 접합 금속 부재(5)의 계면에서 확산 접합층이 형성된다. 이 경우, 덮개(6)의 접합측의 면에 은과 동으로 이루어지는 납재의 시트를 붙임으로써, 용융 온도를 납재의 온도까지 저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Welding of the base 1 and the lid 6 can also be performed by laser irradiation. After the fingertip is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is scanned so as to line up the lead. As a result, the diffusion bonding layer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id 6 and the bonding metal member 5.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lower the melting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of the brazing material by attaching a sheet of brazing material made of silver and copper to the surface of the lid 6 on the joining side.

또한, 전해질이 상온에서 액체형상의 용매나 지지염으로 이루어지고, 덮개(6)를 봉지하기 전에 전해질을 충전하는 공정을 채용하는 경우는, 액체가 덮개(6)와 접합 금속 부재(5)의 계면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심 용접을 이용한 접합은 가능하다. 심 용접은, 롤러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레이저의 주사 조사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계면에 액체가 존재해도 기밀한 용접이 가능해지는 것은, 계면에 존재하는 액체는, 용접시에 근방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므로 증발하여 비산하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lyte is made of a liquid solvent or a support salt at room temperature and the electrolyte is filled before sealing the lid 6,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is sealed between the lid 6 and the joint metal member 5 Or may exist at the interface. Even in such a case, joining using seam welding is possible. The seam welding may be a roller electrode or a laser irradiation. The reason why hermetic welding is possible even if a liquid exists at the interface is considered to be that the liquid present at the interface evaporates and splashes because the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weld rapidly increases at the time of welding.

계속해서,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 내 단자의 구조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Subsequently, a modifica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 modification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n the bas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변형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변형예의 배선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베타형상의 배선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변형예의 다른 배선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내는 전기 화학 셀에서는, 베이스 내 단자(3)를 베이스의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직접 관통시킨 것이 아니라, 베이스 내 단자(3)를 베이스의 저면부를 구성하는 2매의 판인 베이스 저면 구성판(1d)(제2 베이스)과 베이스 저면 구성판(1e)(제1 베이스)의 계면에서 세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계면에는, 배선 패턴(10)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 패턴(10)은, 베이스 내 단자(3)와 접속하고, 수평하게 연장되어 외면에 노출되고, 또한 접속 단자(4)에 접속된 구성이다. 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is modification. Fig. 4 (b) is a view showing the wiring pattern of the present modification example, and shows an example of a beta-shaped wiring pattern. Fig. 4 (c) shows an example of another wiring pattern of this modification. In the electrochemical cell shown in Fig. 4A, the in-base terminal 3 is not directly pass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base, but the in-base terminal 3 is connected to the base 2, And has a structure er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constituent plate 1d (second base) and the base bottom surface constituent plate 1e (first base). At this interface, a wiring pattern 10 is provided. The wiring pattern 10 is connected to the in-base terminal 3, horizontally extended,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4.

패드막(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막이 5㎛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된 것이다. 셀(7)에 접속하는 한 쌍의 셀 리드(8)는, 패드막(2)에 용접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해질이 충전된 후, 베이스(1)와 덮개(6)는 기밀하게 봉지되고, 외장 용기를 구성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luminum film is formed to a thickness of 5 占 퐉 to 100 占 퐉 in the pad film 2. A pair of cell leads 8 connected to the cell 7 are connected to the pad film 2 by welding. After the electrolyte is filled, the base 1 and the lid 6 are air-tightly sealed to form an external container.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세라믹판(1e)의 계면에는, 베이스 내 단자(3)에 접속하는 텅스텐 등의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10)이,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타형상으로 넓은 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세라믹판의 베이스 저면 구성판(1e)의 장변측의 단부에 수평하게 인출되고,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장부가 접속 전극(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타형상의 배선 패턴으로 하고 있으므로, 배선 패턴이 갖는 저항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4 (b), a wiring pattern 10 made of a metal film of tungsten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in-base terminal 3 is formed on the interface of the lower ceramic plate 1e, And is installed in a wide area. Then, it is horizontally drawn out to an end portion on the long side of the bas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plate 1e of the ceramic plate, and extends to the side surface. The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4. Since such a beta-shaped wiring pattern is use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한편, 도 4(c)는, 폭(d)의 직선의 배선 패턴(10a)이, 베이스 내 단자(3)에 대응하는 각 포인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것이다. 이와 같이, 배선 패턴은 베타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이 경우에는, 배선 패턴(10a)이 갖는 저항치는, 앞의 도 4(b)와 비교하여 높아진다. 그 때문에, 베이스 내 단자의 수와, 폭(d)과, 길이(L1와 L2)와, 배선 패턴의 시트 저항치를 감안하여, 배선 패턴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 (c) shows a wiring pattern 10a of a straight line of width d extending outward from each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base terminal 3. Thus, the wiring pattern is not limited to the beta shape. In this case, howeve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10a is higher than that of FIG. 4 (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wiring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erminals in the base, the width d, the lengths L1 and L2, and the sheet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상기의 배선 저항치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d와 L1, L2를 각각 0.2㎜, 3㎜, 2㎜로 하고, 배선 패턴(10a)의 시트 저항치를 10mΩ로 한다. 이 수치는, 약 10㎛의 두께의 텅스텐막의 시트 저항치의 대표적인 값이다. 길이 L1의 부분의 배선 패턴의 저항치는, 10mΩ×(3㎜/0.2㎜)=150mΩ가 된다. 길이 2㎜의 배선 패턴의 저항치는, 동일한 계산으로, 100mΩ로 산출된다. 도면에서는, 4개의 배선 패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4개의 배선 패턴의 병렬 저항치를 계산하면 30mΩ가 된다. 양극 및 음극 모두 같은 배선 패턴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배선 패턴이 갖는 개략의 저항치는 60mΩ로 추측된다.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wiring resistance value will b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d and L1 and L2 are 0.2 mm, 3 mm and 2 mm, respectively, and the sheet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10a is 10 m ?. This value is a typical value of the sheet resistance of a tungsten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u m. The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at the portion of the length L1 becomes 10 m? X (3 mm / 0.2 mm) = 150 m ?. The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having a length of 2 mm is calculated to be 100 m? In the same calculation. In the drawing, since four wiring patterns are provided,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these four wiring patterns is calculated to be 30 mΩ. Since the same wiring pattern is used for bot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approximate resistance value of this wiring pattern is estimated to be 60 m ?.

배선 패턴의 폭(d)을 더 굵게 하여 0.4㎜로 하면, 동일한 계산으로, 4개의 배선 패턴의 병렬 저항치는 15mΩ로 산출되므로, d의 값에 0.2㎜를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절반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d의 값을 0.6㎜로 하면, 배선 패턴의 병렬 저항치는 10mΩ이며, d의 값을 0.8㎜까지 넓히면 배선 패턴의 병렬 저항치는 7.5mΩ가 된다. 이와 같이, d의 값을 조절하여, 충분히 낮은 값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외장 용기의 배선 저항치로서는, 상기의 배선 패턴의 저항치에 더하여, 측면의 영역의 배선 저항치와 접속 단자의 배선 저항치를 합계한 값이 된다. When the width d of the wiring pattern is made thicker to 0.4 mm,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the four wiring patterns is calculated to be 15 m? By the same calculat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0.2 mm is used for the value of d, have. Thus, if the value of d is 0.6 mm,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is 10 m?, And if the value of d is widened to 0.8 mm,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the wiring pattern becomes 7.5 m ?. Thus, it can be seen that a sufficiently low value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value of d. Note that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external container is the sum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above-described wiring pattern and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side area and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connection terminal.

본 변형예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관통 전극(3)은, 베이스의 상측면과 외측면을 직접 관통한 구조가 아니어도 되고, 적절한 저항치를 갖는 배선 패턴(10 및 10a)과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대전류 방전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filled penetrating electrode 3 does not have to have a structure that directly penetrates the upper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base, and by combining with the wiring patterns 10 and 10a having appropriate resistance values, And can be used for a purpose of high current discharge.

계속해서, 베이스의 저면과 측벽에 관통 영역을 설치한 예를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변형예의 전기 화학 셀의 단면도이다. 또, 도 5(b)는, 본 변형예의 베이스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덮개 접속용 금속층(5)은 생략되어 있다. 또, 도 5(a)에 나타낸 보호막(11)도 생략되어 있다. 이 보호막(11)에 관해서는, 후술한다.Next, an example in which a through area is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nd the side wall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is modification. 5 (b)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base of this modified example, and the cover-connecting metal layer 5 is omitted. The protective film 11 shown in Fig. 5 (a) is also omitted. The protective film 11 will be described later.

베이스(1)의 베이스 내측면(1a)에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베타형상의 배선 패턴(10)이 설치되고, 그 위에 패드막(2)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 패턴(10)은 텅스텐 등의 고융점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 배선 패턴(10)은 베이스(1)의 내측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베이스(1)의 저면과 측벽의 사이를 관통하여 측면에 노출되고, 베이스(1)의 측면으로부터 더 접속 단자(4)에 접속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도 5(a)에서는, 패드막(2)이 음양의 양쪽극에 설치되어 있지만, 적어도 양극에 대응하는 배선 패턴(10) 상에 형성되면 된다.A base wiring pattern 10 functioning as a current collector is provided on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of the base 1 and a pad film 2 is provided thereon. The wiring pattern 10 is made of a refractory metal such as tungsten. The wiring pattern 10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base 1 and is exposed through the sid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 and the side surface and is further exten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 4). 5 (a), the pad film 2 is provided on both poles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electrodes, but it may be formed on the wiring pattern 10 corresponding to at least the positive electrode.

셀(7)에 접속하는 셀 리드(8)는, 길이 L3과 L4의 배선 패턴(10)과, 길이 L5의 배선 패턴의 측면부(부호 번호 10b로 나타냈다)의 합계의 길이의 패턴을 경유하여 접속 단자(4)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선 저항치에 있어서, 배선 패턴(10 및 10b)의 길이의 합계치가 문제가 된다. 여기서, L4는, 베이스의 측벽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이다. 이하에, 배선 패턴(10 및 10b)이 갖는 배선 저항치의 개략예를 나타낸다.The cell lead 8 connected to the cell 7 is connected via the pattern of the total length of the wiring pattern 10 of the lengths L3 and L4 and the side portion of the wiring pattern of the length L5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4. Therefore, in the wiring resistance valu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wiring patterns 10 and 10b becomes a problem. Here, L4 i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base. A schematic example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s of the wiring patterns 10 and 10b is shown below.

수치예로서, L3, L4, L5의 값으로서 각각 3.4㎜, 0.8㎜, 0.5㎜로 한다. 이 치수는, 나중의 실시예 1에서 나타내는 장변이 10㎜, 단변이 5㎜, 높이가 3㎜인 직방체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패키지를 상정한 수치이다. 즉, L4의 값은, 측벽의 두께이며, L5의 값은 베이스 저면의 두께이다. 또, L3의 값은, 양극과 음극의 2개의 패드막을 나란히 배치해도 증착법에 있어서 2개를 충분히 분리할 수 있도록 고려한 값이며, L4와의 가산치가 장변의 절반의 길이보다 작지만 가능한 한 가까운 수치가 선택되어 있다. 2개의 시트 저항치로서 니켈과 금 도금이 실시된 텅스텐막의 패턴부(L3과 L5)를 5mΩ, 텅스텐만의 막이 되는 L4에서는 10mΩ로 한다. 또, 배선 패턴의 폭(d2)은, 3.0㎜로 한다. 여기서, d2의 수치는, 단변의 길이 5㎜에서 2개의 측벽의 두께 1.6㎜를 공제한 값인 3.4㎜(베이스의 내저면의 단변)에 가까운 수치를 채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패턴의 배선 저항치를 억제하고 있다.As numerical values, values of L3, L4 and L5 are set to 3.4 mm, 0.8 mm, and 0.5 mm, respectively. This dimension is a numerical value assuming a ceramic package compris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long side of 10 mm, a short side of 5 mm, and a height of 3 m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value of L4 is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and the value of L5 is the thickness of the base bottom. Also, the value of L3 is a value considering that two of the two pad film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vapor deposition method sufficiently. When the added value to L4 is smaller than the half length of the long side, . As the two sheet resistance values, the pattern portions L3 and L5 of nickel and gold-plated tungsten film are set to 5 m OMEGA, and to 10 m OMEGA in L4 which is a tungsten film only. The width d2 of the wiring pattern is 3.0 mm. Here, the numerical value of d2 is a value close to 3.4 mm (the short sid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obtained by subtracting 1.6 mm of the thickness of the two side walls at the short side length of 5 mm, The resistance value is suppressed.

L3의 부분은, 배선 저항치는 그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로 계산하는 것으로 하면, 길이는 절반인 1.7㎜가 되기 때문에, 배선 저항치는, 5mΩ×(1.7㎜/3㎜)=2.83mΩ, 즉 2.9mΩ이다. 동일한 계산으로부터, L4의 부분은 2.7mΩ, 측면인 10b에 해당하는 L5의 부분은 0.9mΩ이며, 합계치로서 약 6.5mΩ이다. 양극에서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을 형성하므로, 상기의 L3의 부분의 배선 저항치는 2.9mΩ로부터 더 저감하게 된다.If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calculated by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hereof, the length of the portion L3 is 1.7 mm, which is half the length. Therefor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5 mΩ × (1.7 mm / 3 mm) = 2.83 mΩ, ie, 2.9 mΩ . From the same calculation, the portion of L4 is 2.7 m?, The portion of L5 corresponding to 10b on the side is 0.9 m?, And the sum is about 6.5 m ?. In the anode, since the pad film made of aluminum is formed,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portion of L3 is further reduced from 2.9 m ?.

배선 저항치가 양극 및 음극을 합하여 약 13mΩ이고, 한쪽 극의 접속 저항치가 1mΩ 이하이면,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독의 전기 화학 셀에서는, 1.75A의 방전 전류에 있어서도, 초기의 전압 강하는 0.3V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저항치는 14mΩ보다 작기 때문에, 2직렬로 접속한 경우에는 0.90A의 방전 전류에 있어서도 초기의 전압 강하는 0.3V 이하이다. 또, 표 4에 의하면, 배선 저항치는 14mΩ보다 작기 때문에, 3직렬로 해도, 0.60A의 방전 전류에서 초기의 전압 강하가 0.3V 이하이다. 즉, 본 변형예는, 대전류 방전 용도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Table 2, in the case of a single electrochemical cell, even when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about 13 m OMEGA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f one electrode is 1 m OMEGA, the initial voltage drop is 0.3 V or less. Similarly, as shown in Table 3, sinc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smaller than 14 m OMEGA, the initial voltage drop is 0.3 V or less even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0.90 A when two series connection is made. According to Table 4, sinc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smaller than 14 m?, The initial voltage drop is 0.3 V or less at a discharging current of 0.60 A even if three series are used. In other words, this modified example can be used for a large current discharge purpose.

다음에 보호막(11)에 관해서 설명한다.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배선 패턴(10)의 내면측이 전해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본 변형예에서는, 도 5(c) 또는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막이 설치되어 있다. 도 5(c)에서는, 패드막(2)이 베이스 측벽 내측면(1f)에까지 연장되어 성막되어 있다(부호 번호 2a로 나타낸다). 베이스 측벽 내측면까지 성막함으로써, 베이스의 베이스 내측면(1a)과 측벽 내측면(1f)의 경계 부근의 패드막(2)이 얇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c)에서는, 2a의 부분과 2a의 근방 영역을 보호막(11)으로 한다. 이로 인해, 배선 패턴(10)은 그 전면을 상술한 적절한 두께의 패드막(2)으로 피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배선 패턴(10)의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protective film 11 will be described. A protective film is provided in this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5 (c) or 5 (d) so that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wiring pattern 10 functioning as a current collector does not contact the electrolyte. 5 (c), the pad film 2 is formed to extend to the base side wall inner side surface 1f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d film 2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and the side wall inner side surface 1f from being thinned. Therefore, in Fig. 5 (c), the protective film 11 is defined as a region 2a and a region in the vicinity of 2a. This makes it possible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iring pattern 10 with the above-described pad film 2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thereby preventing electrolytic corrosion of the wiring pattern 10. [

도 5(d)는, 패드막(2)과는 다른 재료의 막을 보호막(11)으로서 이용하고, 배선 패턴(10)의 내면측을 피복하여, 배선 패턴(10)이 전해질과 접촉하는 것을 막고 있다. 여기서 보호막(11)은, 배선 패턴(10)의 표면 및 베이스 재료의 밀착성, 내전해질 특성, 전해질의 비침투성, 기판에 실장시의 온도 특성, 성막이나 도포 등의 용이성, 경화 온도 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또, 보호막(11)은, 1층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막이 코트된 다층막이어도 된다. 보호막(11)으로서는, 무기 코팅재, 부틸계 고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베이스의 내열 수지 등, 에폭시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경화 온도에 있어서는, 에폭시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은 약 100℃, 무기 코팅재에서는 약 120~150℃, 폴리아미드이미드나 폴리이미드는 약 230℃~270℃이다. 이와 같이, 보호막(11)의 경화 온도는 알루미늄의 융점보다 낮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2)을 형성한 후에 보호막(11)을 도포해도 패드막(2)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5D shows a case where a film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d film 2 is used as the protective film 11 to cover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wiring pattern 10 to prevent the wiring pattern 10 from contacting the electrolyte have. Here, the protective film 1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iring pattern 10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of the base material, electrolyte characteristics, non-permeability of the electrolyt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mounting on the substrate, easiness of film formation or application, . The protective film 11 is not limited to one layer but may be a multilayer film in which a plurality of films are coated. As the protective film 11, an epoxy-based ultraviolet curable resin or the like such as an inorganic coating material, a butyl rubber, a polyimide, a heat resistant resin based on a polyamideimide, or the like can be used. The curing temperature is about 100 占 폚 for the epoxy-based ultraviolet curable resin, about 120 to 150 占 폚 for the inorganic coating material, and about 230 to 270 占 폚 for the polyamideimide and the polyimide. As described above, the curing temperature of the protective film 11 is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aluminum. Therefore, even if the protective film 11 is applied after the pad film 2 made of aluminum is formed, the pad film 2 is not affected.

이상으로부터,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배선 저항치를 충분히 낮은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보호막(11)에 의해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배선 패턴(10)이 전해질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대전류 방전 용도로 안정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lso in this modification, the wiring resistance value can be suppressed to a sufficiently low value. Since the wiring pattern 10 functioning as a current collector is not exposed to the electrolyte by the protective film 11, it is possible to stably use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intended high current discharge purpose.

계속해서, 한층 더한 변형예에 대해서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a)의 전기 화학 셀은, 세라믹스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1)와,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덮개(6a)를 외장 용기로 한 것이며,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의 내부에는, 상술한 발명과 같이, 셀(7)과, 한 쌍의 셀 리드(8)와, 한 쌍의 패드막(2)과, 베이스 내 단자(3)와 전해질이 수납되고, 셀 리드(8)와 패드막(2)은 용접에 의해 접속된 것이다.Subsequently, further modified exampl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electrochemical cell of Fig.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a base 1 made of a flat plate of ceramics and a metal lid 6a made of a concave metal are used as external containers. In the inside of the vessel, a cell 7, a pair of cell leads 8, a pair of pad films 2, an in-base terminal 3 and an electrolyte are housed, The leads 8 and the pad film 2 are connected by welding.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6a)는, 셀(7) 등을 덮도록, 그 개구부를 베이스(1)의 주위에 설치된 접합 금속 부재(5)에 맞닿게 하여 용접되어 있다. 이 용접에는, 레이저에 의한 심 용접이 바람직하다. 또, 심 용접을 행할 때는, 도 6(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주사 조사된다. 롤러 전극을 이용한 저항 심 용접으로는, 롤러 전극이 덮개(6a)의 단차에 접촉하기 쉽고, 롤러 전극을 접합부에 적절히 맞닿게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6 (a), the lid 6a is welded so as to cover the cell 7 and the like, with the opening of the lid 6a being in contact with the metal member 5 provided around the base 1. For this welding, seam welding with a laser is preferable. When seam welding is performed, scanning irradiation is perform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a). In the resistance seam welding using the roller electrode, the roller electrode is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ep of the lid 6a, and it becomes difficult to bring the roller electrode into contact with the joint portion properly.

덮개(6a)에서는, 덮개(6a)의 저면부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베이스(1)와 리드(6a)를 용접한 후에, 전해질을 이 작은 구멍으로부터 충전하고, 그 후에 봉지 마개(6b)를 이용하여 기밀하게 봉지할 수 있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로 인해, 베이스 접합용 금속층(5)과 덮개(6a)의 접합면의 사이에 전해질이 존재함에 따른, 봉지 작업의 능률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베이스(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패드막(2)의 재료나 그 두께의 범위, 베이스 내 단자(3)의 구조나 그 개수,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접합 수단은, 상술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lid 6a, a small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lid 6a. This is intended to enable the electrolyte to be filled from this small hole after the base 1 and the lead 6a are welded, and thereafter to be hermetically sealed with the sealing plug 6b. This can prevent a reduction in the efficiency of the sealing operation due to the presence of the electrolyte between the bonding surface of the metal layer for base bonding 5 and the lid 6a.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pad film 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 and the structure and number of the terminals 3 in the base and the bonding means of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6(b)에 나타내는 전기 화학 셀은, 도 6(a)와 같은 구성이지만, 평판형상의 베이스(1)의 주위에 배치되는 접합 금속 부재(5)가, 베이스에 설치된 스텝에 끼워넣어져 있어, 접합 금속 부재(5)와 베이스 내측면의 높이의 차가 충분히 작게 억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6a)를 역상으로 한 상태로 전해질을 충전한 후에, 셀(7)을 덮개(6a) 중에 배치해도, 덮개(6a)로부터 넘쳐 나오는 전해질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b)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해질이 충전된 상태에서도 베이스(1)와 덮개(6a)의 용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덮개(6a)의 작은 구멍은 불필요하고, 봉지 마개(6b)에 의한 봉지 공정도 생략할 수 있다.The electrochemical cell shown in Fig. 6 (b) has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6 (a), but the bonded metal member 5 disposed around the base 1 in a flat plate- And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joint metal member 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is suppressed to be sufficiently small.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electrolytic amount overflowing from the lid 6a even if the cell 7 is placed in the lid 6a after filling the electrolyte with the lid 6a in a reverse phase. 6 (b), the base 1 and the lid 6a can be easily welded even when the electrolyte is filled. Therefore, a small hole in the lid 6a as shown in Fig. 6 (a) is unnecessary, and the sealing process by the sealing plug 6b can be omitted.

계속해서,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본변형예에서 이용하는 베이스를 나타냈다. 본 변형예에서는, 베이스(1)가, 세라믹스제의 평판과, 평판에 접합된 금속제의 통형상의 측면(12)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오목형상의 용기를 이루고 있다. 베이스의 베이스 내측면(1a)에는, 베이스의 외측면에 직접 관통하는 베이스 내 단자(3)가 설치되고, 그 위에 패드막(2)이 한 쌍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금속 측벽(12)은, 열팽창율이 베이스의 평판과 매칭되도록 선택되고, 평판에 납재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반대측의 개구부는, 덮개(6)의 접합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덮개(6)를 봉지하기 위한 접합 금속 부재(5)는 불필요하고, 금속 측벽(12) 그 자체가 접합 금속 부재(5)의 역할도 다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적어도 덮개(6)와 접합하는 면에는, 니켈과 금의 도금막이 실시되어 있고, 덮개(6)는, 도금면에 맞닿게 되어, 저항 심 용접이나 레이저 심 용접을 이용하여 접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ubsequently, another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7 (a) shows a base used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base 1 is composed of a flat plate made of ceramics and a cylindrical side surface 12 made of metal joined to a flat plate, thereby forming a concave container.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is provided with an in-base terminal 3 that penetrates directly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and a pair of pad films 2 are disposed thereon. The metal sidewall 12 made of metal is selected so that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atches the flat plate of the base, and is joined to the flat plate with a brazing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s on the opposite side form a bonding surface of the lid 6. [ The bonding metal member 5 for sealing the lid 6 is unnecessary and the metal side wall 12 itself serves also as the bonding metal member 5. [ Therefore, at least a plated film of nickel and gold is provided on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lid 6, and the lid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ated surface, so that bonding can be performed by resistance seam welding or laser seam welding .

도 7(b)는, 베이스를 이용한 전기 화학 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셀(7)에 접속하는 한 쌍의 셀 리드(8)가 용접 수단으로 패드막(2)에 접속되고, 베이스 내 단자(3)에 의해, 접속 단자(4)에 접속되어 있다. 용기 내에는, 도시를 생략한 전해질이 충전되어, 덮개(6)에 의해 기밀하게 봉지되어 있다. 패드막의 재질이나 그 두께는 상술과 같다. 금속 측벽(12)은, 금속제이므로, 여러가지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 형상은, 모서리, 트랙형상, 타원, 원 등의 선택이 가능하다. 특히, 규격품의 중공 파이프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하면, 전기 화학 셀의 높이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데다가,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7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emical cell using a base. A pair of cell leads 8 connected to the cell 7 are connected to the pad film 2 by welding means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4 by the in- An electrolyte (not shown) is filled i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6 is hermetically sealed.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pad film a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tal side wall 12 is made of metal, it can be processed into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shape can be selected as an edge, a track shape, an ellipse, a circle,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hollow pipe of a standard product is cut and used to an arbitrary length, the height of the electrochemical cell can be freely determin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7(c)에 나타내는 전기 화학 셀에서는, 도 7(b)와 같이 금속제의 금속 측벽(12)을 이용하고 있지만, 패드막(2)은 양극측으로만 한정한 예이다. 양극측의 리드(8b)는 패드막(2)에 접속되는 한편, 음극측의 셀 리드(8c)는, 금속제의 금속 측벽(12)의 내측에 용접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극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4)는, 금속 측벽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금속 측벽(12)이 금속제이고, 또한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크기 때문에, 음극측의 배선 저항치는 낮게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셀도 대전류 방전이 가능해진다. In the electrochemical cell shown in Fig. 7 (c), the metal side wall 12 made of metal is used as shown in Fig. 7 (b), but the pad film 2 is an example limited only to the anode side. The lead 8b on the positive electrode side is connected to the pad film 2 while the cell lead 8c o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metal side wall 12 made of metal. 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4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sidewall. Because of this, since the metal side wall 12 is made of metal and the path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is large,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n the cathode side is suppressed to be low. Therefore, the electrochemical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becomes capable of large current discharge.

계속해서, 또한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기 화학 셀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며,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오목형상의 용기(1)의 내저면(1a)에는, 상술과 같이 알루미늄막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2)이 설치되고, 베이스 내 단자(3)에 의해 접속 단자(4)에 접속된 구성을 이룬다. 본 변형예에서는, 패드막은 하나만 설치되고, 권회법이나 적층법 등에 의해 구성된 셀(7)에 접속하는 한 쌍의 셀 리드(8) 중, 양극측(8b)이 패드막에 초음파 용접으로 접속되어, 충분히 낮은 접속 저항치를 실현하고 있다.Subsequently, another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shows a cross section of an electrochemical cell. A pad film 2 made of an aluminum film is provid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1a of a concave container 1 made of ceramics, (3) to the connection terminal (4). In this modified example, only one pad film is provided, and the anode side 8b of the pair of cell leads 8 connected to the cell 7 constituted by the winding method or the lamination method is connected to the pad film by ultrasonic welding , A sufficiently low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realized.

한편, 음극측의 셀 리드(8c)는 덮개(6)의 내면측에 접속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음극측의 셀 리드(8c)의 재질이 각각 알루미늄, 동, 또는 니켈의 박판이나 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여도, 금속제의 덮개(6)에 초음파 용접, 레이저 스폿 용접, 저항 스폿 용접, 아크 용접 등의 주지의 용접법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극측도 접속 저항치를 충분히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ell lead 8c o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lid 6. Even if the material of the cell lead 8c on the cathode side is made of a thin plate or a foil of aluminum, copper or nickel, the lid 6 is made of metal such as ultrasonic welding, laser spot welding, resistance spot welding, It is possible to connect by a welding meth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athode-sid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sufficiently low.

음극측의 접속 단자는 용기 저면(1b)으로부터 측면을 따라 접합 금속 부재(5)에 연장 설치되어 있고, 덮개(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연장 설치되는 부분을 연장 설치부(4b)로 했다. 연장 설치부(4b)의 도체의 길이, 폭과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연장 설치부의 직류 저항치를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음극측의 배선 저항치를 크게 증대시키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on the cathode side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1b of the container along the side surface to the joining metal member 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d 6. [ And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as the extending portion 4b. By adjusting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nductor of the extension mounting portion 4b, the DC resistance value of the extend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so that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n the cathode side can be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용기(1) 내에는 도시를 생략한 전해질이 충전되고, 덮개(6)가 접합 금속 부재(5)에 용접되어 기밀 용기를 이룬다. 리튬 이온 2차 전지에서는 음극의 집전체 재료로서 동박, 셀 리드로서는 니켈의 박판이 관용되지만, 본 변형예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기밀 특성을 갖는 고신뢰의 소형, 박형의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An electrolyte (not shown) is filled in the container 1, and the lid 6 is welded to the joint metal member 5 to form an airtight container. I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copper foil is used as a current collector material and a thin plate of nickel is used as a cell lead. However, this modified example can be appl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mall-sized and th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high airtightness and high reliability.

또한, 연장 설치부는 본 변형예에서는 용기의 외측에 설치했다. 덮개(6)와 접속 단자(4)의 접속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접합 금속 부재(5)의 하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내면에 도체 재료를 형성하여 접속 단자(4)에 접속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용이하다.Further, the extending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d 6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 is not limited to this but a structure may be employe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nding metal member 5 and a conductor materia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4 It is also easy to do.

(실시예 1)(Example 1)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 플로우를 참조하면서, 실시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외장 용기로서, 도 1(a) 및 (b)에 나타내는 오목형상을 이루는 베이스(1)와, 덮개(6)를 준비했다. 베이스(1)는, 장변이 10㎜, 단변이 5㎜, 높이가 2.85㎜이며, 베이스(1)의 저변의 두께는 0.5㎜이다. 재료로서는, 세라믹스로 전자 부품의 패키지를 제조할 때의 표준적인 재료를 이용했다. 재료의 항절 강도는 400㎫, 영율은 310GPa이다. 패드막(2)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텅스텐을 충전하고, 그 표면을 니켈과 금으로 도금한 내경 0.2㎜의 베이스 내 단자(3)를, 베이스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직접 관통하도록, 각각 4개 설치했다. 베이스 외측면(1b)에는, 한 쌍의 접속 단자(4)가 배치되고, 베이스 내 단자(3)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단자에는 니켈을 하지로 한 금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S10).Next, a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anufacturing flow of the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shown in Fig. First, as an external container, a base 1 and a lid 6 which are concave in shape as shown in Figs. 1 (a) and 1 (b) are prepared. The base 1 has a long side of 10 mm, a short side of 5 mm, a height of 2.85 mm, and a thickness of the base of the base 1 is 0.5 mm. As a material, a standard material for manufacturing a package of electronic parts with ceramics was used. The transverse strength of the material is 400 MPa and the Young's modulus is 310 GPa. The inner terminal 3 having an inner diameter of 0.2 mm in which tungsten is filled and its surface is plated with nickel and gold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pad film 2 is to be formed so as to directly penetrate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Four were installed.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4 are disposed on the base outer surface 1b and connected to the in-base terminal 3. The connection terminal is gold-plated with nickel (S10).

다음에, 베이스 내측면(1a)에는, 알루미늄의 증착막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패드막(2)을 형성했다. 패드막(2)의 치수는, 장변 2.4㎜, 단변 2㎜로 두께는 약 25㎛이다(S11).Next, on the base inner side surface 1a, a pair of pad films 2 made of a vapor-deposited film of aluminum was formed. The dimensions of the pad film 2 are 2.4 mm long side, 2 mm short side and about 25 탆 in thickness (S11).

한편, 덮개(6)는, 두께 0.15㎜의 코바르판을 준비하고, 표면을 전해 니켈 도금했다(S20).On the other hand, as the cover 6, a 0.15 mm-thick Kovar plate was prepared, and its surface was electroplated with nickel (S20).

계속해서 셀(7)의 준비를 한다. 20㎛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집전체에 활성탄, 도전 보조재, 바인더 및 증점재로 이루어지는 활물질을 도공법에 의해 코팅하여 시트 전극으로 했다(S30).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금속 집전체의 일단에, 두께가 80㎛이고 폭이 2㎜, 길이 8㎜의 알루미늄의 박판을 초음파 용접으로 부착하여 셀 리드(8)로 했다(S31). 셀 리드(8)가 용접된 음양 한 쌍의 시트형상의 전극 사이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끼운 후, 권심을 넣어, 트랙형상으로 감았다. 그 후, 권심을 취출하고, 간극을 가볍게 눌러 권회 전극으로 했다(S32).Subsequently, the cell 7 is prepared. A metal collector made of aluminum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was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consisting of activated carbon, a conductive auxiliary material, a binder and a thickening material by a coating method to obtain a sheet electrode (S30). After cutting to an appropriate length, a sheet of aluminum having a thickness of 80 m, a width of 2 mm and a length of 8 mm was attached to one end of the metal current collector by ultrasonic welding to obtain a cell lead 8 (S31). A separator made of polytetrafluoroethylene wa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sheet-shaped electrodes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where the cell lid 8 was welded, and then a core was inserted and wound in a track shape. Thereafter, the core was taken out and lightly pressed to make a winding electrode (S32).

계속해서, 초음파 용접을 행한다. 먼저 준비한 베이스(1)의 패드막(2)의 표면에, 셀 리드(8)를 밀착시켜 위치 결정했다. 초음파 용접은, 셀 리드를 한쪽씩 행했다(S33). 초음파 용기의 발진 주파수는 40KHz로 행했다. 용접 혼은 철제이며,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초음파 용접용 팁(9)은 혼의 선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초음파 용접용 팁(9)의 표면에는, 2×1.5㎜의 영역에, 0.2㎜피치의 하운드투스 체크형상의 요철 패턴(널)을 설치했다. 산의 높이와 골의 바닥의 차는 0.2㎜이다. 용접의 모드는. 용접 중에 셀 리드(8)에 공급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 모드로 하고, 용접 에너지의 설정치를 15J로 하고, 용접 시간의 최대치를 60msec로 했다. 초음파 용접용 팁(9)이, 에어 기구에 의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셀 리드(8)의 표면에 강하한 후, 셀 리드(8)의 표면에 침투하여,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계면의 사이에서 진동함으로써 용접이 행해진다. Subsequently,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The cell lead 8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d film 2 of the base 1 prepared in advance and positioned. In the ultrasonic welding, the cell leads were placed one by one (S33).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ultrasonic vessel was set at 40 KHz. The welding horn is made of iron, and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made of the same material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tip of the horn. On the surface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a concavo-convex pattern (plate) of a hound to tooth check shape having a pitch of 0.2 mm was provided in a region of 2 x 1.5 mm.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mountain and the bottom of the goal is 0.2 mm. The mode of welding is. A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to be supplied to the cell lead 8 during welding was set. The set value of the welding energy was set to 15J,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welding time was set to 60 msec.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is lowered by the air mechanism onto the surface of the cell lead 8 made of aluminum and then penetrates the surface of the cell lead 8 to form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So that welding is performed.

용접 종료후, 셀 리드(8)를 접도록 하여 셀(7)을 베이스(1) 중에 수납했다. 이 때에, 셀 리드(8)가 접합 금속 부재(5)에 혼촉하지 않도록 주의했다(S34). 셀의 쇼트를 회피하기 위해서이다.After the welding was finished, the cell lid 8 was folded so that the cell 7 was housed in the base 1. At this time, care was taken so that the cell lead 8 did not interfere with the joint metal member 5 (S34). In order to avoid shorting of the cell.

다음에, 셀(7)이 수납된 베이스(1)를, 액체의 전해질 중에 침지시키고, 1시간 진공 탈포했다. 여기서, 전해질의 지지염은 스피로비피롤리듐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이며, 비수용매로서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의 혼합액을 이용했다(S35). 계속해서, 대기압으로 되돌려, 전해질 중으로부터 셀(7)이 수납된 베이스(1)를 취출한 후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덮개(6)를 접합 금속 부재(5)에 맞닿게 하고, 장변측의 2점의 가용접을 행하고, 계속해서 장변측과 단변측을 이 순서로 연속해서 저항 심 용접을 행하고 기밀하게 봉지했다(S36).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작했다.Next, the base 1 in which the cell 7 was housed was immersed in a liquid electrolyte and defoamed for 1 hour under vacuum. Here, the supporting salt of the electrolyte is spirobipyrrolidium tetrafluoroborate, and a mixture of poly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is used as a nonaqueous solvent (S35). Subsequently, after returning to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aking out the base 1 containing the cells 7 from the electrolyte, the lid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nding metal member 5 under a nitrogen atmosphere, (S36). Then,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are successively subjected to resistance seam welding in this order and airtightly sealed (S36). Thus,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of Example 1 was produced.

제작한 실시예 1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기 특성 검사를 행했다(S37). 항목으로서는 등가 직렬 저항 및 용량의 측정을 행했다. 등가 직렬 저항은, AC1KHz로의 교류 저항법을 이용했다. 또, 용량은, 방전법(2V-1V간에서 측정 전류를 10mA로 했다)을 이용했다. The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of Example 1 were inspected (S37). As an item,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and the capacitance were measured.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was AC resistance of AC1KHz. The capacity was measured by a discharging method (measurement current was set to 10 mA between 2 V and 1 V).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동일한 치수로 이루어지는 시트 전극을 이용하여 셀(7)을 제작했다. 여기서, 셀 리드는, 재질 및 폭과 두께는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길이는 40㎜로 했다. 다음에, 동일한 전해질을 충전하여, 알루미늄 래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용기에 수납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예의 알루미늄 래미네이트 패키지를 이용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작했다. 이 비교예 1은, 패드막을 갖지 않으므로, 접속 저항은 실용치인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A cell 7 was fabricated using a sheet electrode having the same dimens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Here, the material, width and thickness of the cell lead are the same as in Example 1, but the length is 40 mm. Next, the same electrolyte was filled and housed in an outer container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film. Thus,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aluminum laminate packag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produced. In this Comparative Example 1, since the pad film is not provided, the connection resistance shows a practical value.

제작한 비교예 1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대해서, 실시예 1과 같이 전기 특성 검사를 행했다.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of Comparative Example 1 were tes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의 등가 직렬 저항은, 310mΩ였다. 또, 용량은 170mF였다. 비교예 1의 등가 직렬 저항의 측정치는, 320mΩ였다. 또, 용량은 실시예 1과 대략 같은 180mF였다. 즉, 패드막과 셀 리드의 용접에 의해도 배선 저항치는 실용 레벨로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 중, 셀 리드(8)의 저항치를 포함하는 외장 용기의 저항분을 비교한 것이 표 5이다.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of Example 1 was 310 mΩ. The capacity was 170 mF. The measured value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320 m?. The capacity was about 180 mF, which is about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wiring resistance value can be suppressed to a practical level even by welding the pad film and the cell lead. Table 5 compares resistance values of the outer container includ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ell lead 8 among the values of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5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5

표 5에서, 접속 저항치 등의 란의 2.4mΩ의 수치는, R1 셀 리드(8)와 패드막(2)의 사이의 접속 저항치와, 이하의 3개의 배선 저항치의 합계이다. 3개의 배선 저항치란, R2 패드막(2) 자체의 저항치와, R3 베이스 내 단자(3)의 저항치와, R4 접속 단자(4)의 저항치이다. R1, R2, R3, R4는 도 10에 나타냈다. 접속 저항치 등에 나타낸 2.4mΩ는, 별도로 측정 샘플을 제작하여 실측한 값이다. 충전 관통 구멍(3)은, 상술과 같이, 1개의 패드막(2)에 대해서 6개 배치하고 있으므로, 충전 관통 구멍(3)의 저항치(R3)는, 이들 6개의 관통 구멍이 기여한 저항치로 되어 있다. 본 접속 저항 등의 값은, 비교예의 알루미늄 래미네이트 패키지에서는, 셀 리드가 그대로 패키지 외로 노출되어 측정기의 측정 단자에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0mΩ로 하고 있다. 또한, 수치는 모두, 양극과 음극의 합이다. In Table 5, the numerical value of 2.4 m? In column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r the like is the sum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R1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and the following three wiring resistance values. The three wiring resistance values a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2 pad film 2 itsel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3 in-base terminal 3,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4 connection terminal 4. R1, R2, R3, and R4 are shown in Fig. The value of 2.4 m? As shown in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nd the like is a measured value obtained by separately producing a measurement sample. As described above, since six charging through holes 3 are arranged for one pad film 2, the resistance value R3 of the charging through hole 3 becomes a resistance value contributed by these six through holes have. In the aluminum laminate packag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value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and the like is 0 m? Because the cell l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ckage as it is and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terminal of the measuring device. Further, the numerical values are all the sum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표 5의 접속 저항치 등의 수치는, 한쪽만의 전극으로 1.2mΩ, 양극에서 2.4mΩ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R1 내지 R4까지의 각각의 수치가 충분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셀 리드와 패드막의 접속 저항치는, 별도로 행한 다수개의 실험으로부터, 패드막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증착막의 저항율을 6.6μΩ㎝로 하면 1mΩ 이하로 산출된다. 알루미늄의 증착막은, 통상, 벌크의 값(2.75μΩ㎝)의 2.2배 내지 2.7배 정도로 되므로, 6.6μΩ㎝는, 2.4배에 상당하는 값이 되고, 타당하다고 생각된다.Th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n Table 5 are 1.2 m OMEGA for one electrode and 2.4 m OMEGA for the anode, so tha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values from R1 to R4 is sufficiently low.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is calculated to be 1 m? Or less when the resistivity of the deposited film of aluminum constituting the pad film is set to 6.6 mu OMEGA cm from a number of experiments conducted separately. Since the deposition film of aluminum usually has about 2.2 to 2.7 times the value of the bulk (2.75 mu OMEGA cm), 6.6 mu OMEGA cm has a value corresponding to 2.4 times, which is considered to be valid.

또, 베이스 내 단자(3)가 접속 단자(4)에 6개 직접 접속하는 구조에 의해, R1과 R2와 R3의 합계로 이루어지는 배선 저항치도 충분히 낮게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표 5의 합계치의 란에서는, 실시예 1의 합계는, 5.2mΩ이며, 알루미늄 래미네이트 패키지의 합계치인 13.6mΩ와 동등한 값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by virtue of the structure in which six in-base terminals 3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4, the wiring resistance value comprising the sum of R1, R2, and R3 is sufficiently low. Therefore, in the column of the total value in Table 5, the total of Example 1 is 5.2 m?, Which is equivalent to the total value of 13.6 m? In the aluminum laminate packag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의 접속 저항치를,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속 수단에 의한 경우의 접속 저항치와 비교하는 목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베이스(1)와 알루미늄의 박판을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접속 저항치를 구했다. 도전성 접착제의 주된 도전성 필러는, 그래파이트와 카본이다. 표 6에 결과를 나타냈다.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abov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with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n the case of connection means using a conductive adhesive agent, the same base 1 as in Example 1 and a thin plate of aluminum were connect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agent to obtain a connection resistance value . The main conductive fillers of the conductive adhesive are graphite and carbon. Table 6 shows the results.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6
Figure 112012049455330-pat00006

도전성 접착제(D1, D2)는, 활성탄과 카본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을 혼련하여 시트형상으로 한 전극을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에 접착하는 경우에 관용되는 것이다. 또, D3는, 도전 도료이며,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에 뛰어난 젖음성으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접속 면적은 약 4㎟, 경화 온도는 150℃에서 30분으로 했다.The conductive adhesives D1 and D2 are commonly used when an electrode made by kneading activated carbon, carbon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owder into a sheet shape is bonded to aluminum or stainless steel. D3 is a conductive paint, and can be applied to aluminum or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wettability. The connection area was about 4 mm 2, and the curing temperature was set at 150 캜 for 30 minutes.

접속 저항치는, D3을 이용한 경우에도 9.4Ω이며, D1과 D2에서는 10Ω를 초과한 값이었다. 이러한 값으로는 충방전에 의해 대폭적인 전압 강하를 일으키므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대전류 방전에는 부적당하다. 실시예 1의 접속 저항치는, 상기와 같이 1mΩ 이하였기 때문에, 비교예 2의 경우와 비교하여 3자릿수나 낮은 수치를 달성하고 있다. 표 6에는, 단위면적당(1㎠)으로 환산한 접속 저항치가 기재되어 있지만, 접속 면적이 1㎠로 확대되어도 300mΩ 이상이며, 접속 저항치로서는 너무 큰 값이다.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속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소형의 외장 용기를 이용한 전기 화학 셀에는 부적당하다. 즉, 종래 방법인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셀 리드와 패드막을 접속한 전기 화학 셀에 비해, 셀 리드와 패드막을 용접에 의해 접속한 본원 발명에 관련된 전기 화학 셀의 접속 저항치는 매우 낮은 값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was 9.4? Even in the case of using D3, and the values exceeded 10? In D1 and D2. Such a value causes a significant voltage drop du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hus is unsuitable for a large-current disch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f Example 1 was 1 m? Or less as described above, the numerical value was reduced by three digits compared to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n Table 6,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converted into the unit area (1 cm 2) is described. However, even if the connection area is enlarged to 1 cm 2,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300 mΩ or more. The connection using the conductive adhesive is unsuitable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ing a small external container inten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chemica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connected by welding is very low as compared with the electrochemical cell in which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are connected using the conductive adhesive as the conventional method Able to know.

계속해서, 실시예 1에서 작성한 샘플의 리플로우 처리에 있어서의 열의 영향을 검토했다. 본 샘플을 최고 온도 270℃가 수 초 인가되는 리플로우 장치로 리플로우 처리한 후, 외장 용기 외관을 광학 현미경으로 면밀하게 관찰했다. 베이스(1)에 크랙의 발생은 일절 확인되지 않았다. 또, 베이스(1)와 덮개(6)의 저항 심 용접부는 물론, 베이스 하측면의 관통 전극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도 전해질의 누액은 없었다.Subsequently, the influence of heat in the reflow process of the sample prepared in Example 1 was examined. This sample was subjected to reflow treatment with a reflow apparatus having a maximum temperature of 270 DEG C for several seconds, and the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xternal container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No cracks were found in the base 1. In addition, not only the resistance seam welded portions of the base 1 and the lid 6 but also the electrolyte leakage in the vicinity of the penetrating electrode opening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또한, 셀 리드(8)와 패드막(2)을 초음파 용접하는 조건으로, 동일 부재를 별도 용접하여, 접합 계면의 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셀 리드(8)와 패드막(2)를 초음파 용접한 샘플을, 수지에 묻어 고형화한 후, 한 방향으로부터 서서히 연마를 행하고 면밀하게 관찰했다. 이 결과, 셀 리드(8)의 단면에는, 초음파 용접 팁의 요철이 전사되어, 팁의 볼록부가 침투한 근방은, 패드막을 이루는 알루미늄막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 팁의 오목부에 맞닿은 근방은, 알루미늄막의 패드와는 수㎛의 간극이 관찰되었다. 즉, 초음파 용접 팁의 요철에 대응한 접합 포인트에서 셀 리드(8)와 패드막(2)이 접합한 형태였다. 그리고, 패드막(2)의 하면에 닿는 세라믹스의 단면에는, 베이스 내 단자(3)가 형성된 근방을 포함하여 크랙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Further, the same member was separately welded under the condition of ultrasonic welding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and the cross-section of the bonding interface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 sample obtained by ultrasonically welding the cell lid 8 and the pad film 2 was put on a resin to be solidified and then polished gradually from one direction and observed closely.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were transferred to the end face of the cell lead 8, and the vicinity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tip penetrated into the aluminum film of the pad film. In the vicinity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tip, a gap of several micrometers was observed from the pad of the aluminum film. That is,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were joined at the joint point corresponding to the concavo-convex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Incidentally, no cracks were observed on the end face of the ceramics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film 2 including the vicinity of the vicinity of the inside terminal 3 in the base.

이상으로부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직접 접속하는 베이스 내 단자의 배치에 의해 배선 저항치를 낮게 억제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셀 리드(8)와 패드막(2)을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시키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접속 저항치도 충분히 낮고, 대전류 방전 용도의 전기 화학 디바이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적절한 용접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베이스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접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뛰어난 전기 화학 셀을 제작 가능하다.From the above, it is possible to employ a structure in which the wiring resistance value is suppressed to be low by arranging the terminals in the base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are connected by ultrasonic welding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ochemical device for a large current discharge with a sufficiently low connection resistance value. By setting appropriate welding conditions, the base can be welded without damaging the base, so that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can be manufactured.

(실시예 2)(Example 2)

셀 리드(8)와 패드막(2)을 접합시키는 공정을, YAG 레이저에 의한 스폿 용접에 의해 실시했다. 또한, 질소를 내뿜음으로써 용접시의 접합부의 산화를 방지했다.The step of joining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was carried out by spot welding with a YAG laser. In addition, nitrogen was spraye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joint at the time of welding.

알루미늄의 세판은 두께가. 80㎛이고, 폭이. 2㎜(실시예 1에서 셀 리드(8)에 이용한 것과 동일)이다. 세라믹제의 오목형상 용기는, 실시예 1과는 달리, 변형예 2에서 설명한 도 4(c)에 나타내는 구조와 같은 구조이며, 베이스의 도중까지 관통하는 베이스 내 단자는 6개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의 저면의 두께는, 실시예 1보다 얇은 0.3㎜이며, 베이스 내측면에 알루미늄을 증착법으로 약 25㎛의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패드막의 치수는, 3㎜×1.3㎜의 직사각형형상이다. The slab of aluminum is thick. Lt; / RTI > (The same as that used for the cell lead 8 in Embodiment 1).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ave container made of ceramic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shown in Fig. 4 (c) described in the second modification, and six in-base terminals penetrating to the middle of the base are provide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is 0.3 mm, which is thinner than that of Example 1, and aluminu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to a thickness of about 25 탆 by vapor deposition. The dimension of the pad film is a rectangular shape of 3 mm x 1.3 mm.

용접은 다음과 같이 행했다. 우선 알루미늄막에 셀 리드(8)를 충분히 밀착시켰다. 계속해서, 밀착을 유지하도록 리드(8)의 선단부의 네 모서리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누른 후, YAG 레이저로 2개소를 스폿 용접했다. 여기서 용접 조건은, 피크 출력이 300W이고 펄스 폭은 1msec로 한, 즉, 1펄스의 에너지는 0.3J이다.Welding was done as follows. First, the cell lid 8 was sufficien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luminum film. Subsequently, the positions of the four corners of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lead 8 were mechanically pressed so as to maintain the close contact, and then two portions were spot-welded with the YAG laser. Here, the welding conditions are such that the peak output is 300 W and the pulse width is 1 msec, that is, the energy of one pulse is 0.3 J.

이와 같이 하여 셀 리드를 접속한 샘플의 배선 저항치와 접속 저항치의 합계치를 측정했다. 측정은, 베이스 저면에 얇은 동제 리드를 납땜한 후, 셀 리드와 동제의 리드간을 상술한 저항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합계치로부터 셀 리드와 동제의 리드의 배선 저항치분을 공제한 저항치(접속 저항치와 베이스의 배선 저항치의 합)는, 약 38 내지 40mΩ의 범위였다. 동일한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은 초음파 용접 장치(단, 초음파 용접용 팁(9)을 교환하고, 용접 영역이 2.0×0.5㎜인 영역에서 용접했다)를 이용하여 용접한 경우의 상기의 저항치(접속 저항치와 베이스의 배선 저항치의 합)도 거의 같은 범위였다. 이로 인해, 레이저 용접한 경우의 접속 저항치는, 초음파 용접한 경우의 그것과 거의 같다고 추측된다.In this way, the total of the wiring resistance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of the sample to which the cell lead was connected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by soldering a thin copper lead to the base bottom, and then measuring the resistance between the lead of the cell lead and the copper lead using the above-described resistance meter. The resistance value (the sum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nd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bas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cell lead and the copper lead from the total value was about 38 to 40 m ?. The same sample was subjected to the above-described resistance value ((a)) in the case of welding using a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ultrasonic welding tip 9 was exchanged and welded in a welding region of 2.0 x 0.5 mm) The sum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and the wiring resistance value of the base).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n the case of laser welding is almost the same as that in the case of ultrasonic welding.

본 샘플과는 별도로, 동일한 용접 조건으로 레이저 용접한 개소의 단면 관찰을 실시했다. 광학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에 의하면, 알루미늄의 셀 리드(8)와 하측의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2)의 접속 개소는, 약 120㎛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접속되어 있었다. 또, 본 접속 영역의 주변의 세라믹스에는 크랙 등의 손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용접 수단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방법도 가능하다.Separately from this sample, the cross-section of the laser welded part under the same welding conditions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cross section observation by the optical microscope,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cell lead 8 made of aluminum and the pad film 2 made of the lower aluminum vapor deposition film were connected in a region having a diameter of about 120 탆. No damage such as cracks was found in the ceramics around this connection area. As a result, a method using a laser as a welding means is also possible.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 2 모두 베이스의 재료는 세라믹스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의 재료가 유리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다 라임 유리(두께 약 1.3㎜)의 표면(한쪽 면)에, 이온 플래팅법에 따라 알루미늄막을 성막했다. 두께는 5㎛로 했다. 이 알루미늄 표면에, 초음파 용접을 이용하여, 두께가 80㎛이고 폭이 2㎜인 알루미늄의 세판(실시예 1에서 셀 리드(8)에 이용한 것과 동일하다)를 용접했다. 초음파 용접은 발진 주파수는 62.5KHz로 했다. 초음파 용접 팁의 선단의 면적은, 장변이 2㎜이고 단변은 0.5㎜이며, 선단의 표면에는, 하운드투스 체크형상의 요철이 가공되어 있다.In Examples 1 and 2, the base material was ceramics.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base material is glass will be described. An aluminum film was formed on the surface (one side) of soda lime glass (thickness about 1.3 mm) according to the ion plating method. The thickness was 5 mu m. The aluminum surface was welded with an aluminum foil (same as that used in the cell lead 8 in Example 1) having a thickness of 80 mu m and a width of 2 mm by ultrasonic welding. For ultrasonic weld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was 62.5 KHz. The area of the distal end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is 2 mm on the long side and 0.5 mm on the short side, and the surface of the distal end is processed with irregularities in the shape of a hound tooth check.

본 용접 조건에 있어서 알루미늄의 세판은 알루미늄막에 확실히 용접되고, 한편, 소다라임 유리에 크랙을 유발하는 일은 없었다. 초음파 용접에 의한 2개의 알루미늄의 세판간의 배선 저항치와 접속 저항치의 합계치를 측정한 후, 배선 저항치분을 공제하여, 접속 저항치를 산출했다. 이 때, 이온 플래팅 성막에 의한 알루미늄막의 저항율을 3.8μΩ㎝로 하면, 접속 저항치는 1mΩ 이하로 산출되었다.Under these welding conditions, the aluminum foil was reliably welded to the aluminum foil, while the soda lime glass was not cracked. After measuring the sum of the wiring resistance values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s between the two aluminum foils by ultrasonic weld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wiring resistance value. At this time, when the resistivity of the aluminum film due to the ion plating film formation was 3.8 mu OMEGA cm,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was calculated to be 1 m OMEGA or less.

따라서, 베이스 재료는 세라믹스에 한정되지 않고 소다라임 유리와 같은 취성 재료여도 가능하다. 소다 라임 유리나 내열 유리에 베이스 내 단자를 형성하는 기술은 상술과 같이 공지이므로, 본 발명의 패드막과 조합함으로써, 대전류 용도의 전기 화학 셀의 베이스 재료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base material is not limited to ceramics but may be a brittle material such as soda lime glass. The technique of forming the terminal in the base on the soda lime glass or the heat-resistant glass is known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can be used as the base material of the electrochemical cell for high current use by combining with the pa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4)(Example 4)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세라믹스 재료는, 항절 강도가 350㎫이고 영률이 280GPa이며, 전자 부품의 패키지로서 표준적인 것이다. 두께가 0.3㎜인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판에, 내경이 0.3㎜인 베이스 내 단자를 피치 0.5㎜로 XY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한 샘플을 준비했다. 베이스 내 단자의 개구면에는, 이들 베이스 내 단자를 서로 접속하도록 베타형상의 텅스텐의 패턴을 표면, 이면 모두에 설치했다. 텅스텐의 두께는 10㎛이며, 표면은 니켈과 금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셀 리드로서, 판두께가 80㎛이고 폭이 2㎜인 알루미늄의 세판을, 도금된 텅스텐의 표면에 위치 결정하고, 초음파 용접에 의해 용접했다. 초음파 용접기와 초음파 용접 팁은, 실시예 3과 동일하다. The ceramics material used in this embodiment has a transverse stiffness of 350 MPa and a Young's modulus of 280 GPa, and is a standard package for electronic parts. A sample was prepared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in the bas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0.3 mm were provided in a pitch of 0.5 mm in the XY direction on a plate made of ceramics having a thickness of 0.3 mm. On the opening surfaces of the terminals in the base, a beta-shaped pattern of tungsten was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so as to connect the terminals in the base to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ungsten is 10 μm, and the surface is plated with nickel and gold. As a cell lead, an aluminum foil having a plate thickness of 80 mu m and a width of 2 mm wa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d tungsten, and was welded by ultrasonic welding. The ultrasonic welder and the ultrasonic welding tip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third embodiment.

상기 용접 조건으로 용접한 샘플의 용접 단면의 관측을 실시예 1과 같이 행했다. 다수개 배열한 관통 구멍의 개구부 근방을 광학 현미경으로 열심히 관찰했지만, 세라믹에 크랙은 관찰되지 않았다. 즉, 음극용 집전체측은, 알루미늄의 패드막을 설치하지 않는 설계로 해도, 양극의 동일한 용접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양극과 음극에서 다른 용접 수단을 준비할 필요는 없고, 제조 상 편리하다. The welding cross section of the sample welded under the above welding conditions was observ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lthough the vicinity of the openings of the through hole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cracks were not observed in the ceramic. That is, even if the current collector for the negative electrode is designed not to be provided with an aluminum pad film, the same welding means for the positive electrode can be appli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 welding means for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it is convenient in manufacturing.

전기 화학 셀로서 안정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상술과 같이, 베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양극용의 집전체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판금속의 코트가 필요하지만, 음극용의 집전체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알루미늄의 패드막은, 최저한, 양극용의 집전체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 때, 음극용의 집전체는, 베이스 내 단자를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텅스텐막이며 그 표면을 니켈과 금의 도금을 실시한 막이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stably function as an electrochemical cell, a current collector for a positive electrod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a base as described above is required to be a coat in a sheet metal such as aluminum, but it is not always necessary for a current collector for a negative electrode. The above-mentioned aluminum pad film may be provided at least to the current collector for the positive electrode. At this time, the current collector for the negative electrode is a tungsten film used for forming terminals in the base, and the surface thereof is plated with nickel and gold.

셀 리드(8)와 패드막(2)을 접속하는 상술한 용접이, 또 한쪽의 셀 리드(8)와 텅스텐막의 접속에도 적용할 수 있으면, 제조상 편리하다. It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the above-described welding connecting the cell lead 8 and the pad film 2 to the connection of the cell lead 8 and the tungsten film.

(실시예 5)(Example 5)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나타낸 셀 리드(8)는 모두 알루미늄이었다. 실시예 5에서는 셀 리드(8)의 재질이 니켈인 경우를 나타낸다. 니켈제의 리드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용의 리드로서 관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니켈 리드는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집전체에 접속된 후, 또 한쪽의 단부를 외장 용기의 내부에서 패드막에 접속한다.All of the cell leads 8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 to 4 were aluminum. In Embodiment 5, the material of the cell lead 8 is nickel. The lead made of nickel is commonly used as a lead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nickel lead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copper foi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ad film inside the outer container.

실시예 1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두께 0.5㎜의 세라믹제의 판에, 두께 5㎛의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패드막을 형성했다. 폭이 6㎜이고 두께가 100㎛로 이루어지는 니켈제의 리드를 배치하여 초음파 용접을 행했다. 초음파 용접용 팁의 표면에는, 4㎜×3㎜의 영역에, 0.7㎜ 피치의 하운드투스 체크형상의 요철 패턴을 설치했다. 그 산과 골의 바닥의 차는 0.30㎜이다. 본 팁을 니켈 리드의 표면에 밀착시켰다. 용접의 모드는, 용접 시간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하고, 정용접 시간은 0.15초로 했다. 에어의 압력은 0.1㎫, 용접 에너지는 22.1줄, 용접 진폭은 약 13㎛의 조건으로, 충분한 용접 강도의 용접이 가능했다.Aluminum of 5 탆 in thickness was vapor-deposited on a ceramic plate of 0.5 mm in thicknes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in Example 1 to form a pad film. A lead made of nickel having a width of 6 mm and a thickness of 100 탆 was disposed and subjected to ultrasonic welding. On the surface of the ultrasonic welding tip, a concavo-convex pattern of a hound to tooth check shape having a pitch of 0.7 mm was provided in a region of 4 mm x 3 mm.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mountain and the bottom of the goal is 0.30 mm. This tip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nickel lead. The mode of welding was set to a method of specifying the welding time, and the time of the positive welding was set to 0.15 seconds. The welding pressure was 0.1 MPa, the welding energy was 22.1 lines, and the welding amplitude was about 13 μm.

접합한 부재를 상술과 같이 수지에 묻은 후에 연마를 행하고, 접합부의 단면 관찰을 실시했다. 상세한 관찰을 행했지만, 세라믹부에 크랙의 존재는 없었다. 따라서, 셀 리드에 니켈제의 리드를 이용한 경우도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전기 화학 셀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Polishing was performed after attaching the bonded member to the resi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onded portion was observed. Although detailed observations were made, there was no crack in the ceramic part. Therefore, when a lead made of nickel is used for the cell lead, the electrochemical cell hav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용으로서 니켈 리드를 접속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은, 전해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성의 도료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film made of aluminum in which the nickel lead i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paint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실시예 6)(Example 6)

본 실시예에서는, 셀 리드(8)는 동박인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예 5와 동일한 세라믹스판을 준비했다. 5㎛의 막두께로 형성된 알루미늄의 패드막 상에 폭이 6㎜이고 두께가 20㎛로 이루어지는 동박을 5매 포개어 배치했다. 실시예 5와 동일한 초음파 용접용 팁을 이용했다. 동박의 표면에 초음파 용접 팁을 밀착시켜 용접했다. 용접의 조건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했다. 즉, 용접의 모드는, 용접 시간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하고, 정용접 시간은 0.15초, 에어의 압력은 0.1㎫, 용접 에너지는 22.1줄, 용접 진폭은 약 13㎛의 조건으로 했다. 이 조건으로 충분한 용접 강도의 용접이 가능하고, 동박이 벗겨지는 일은 없었다.In this embodiment, the cell lead 8 is a copper foil. The same ceramic span as in Example 5 was prepared. Five copper foils having a width of 6 mm and a thickness of 20 占 퐉 were superimposed and placed on an aluminum pad film having a thickness of 5 占 퐉. The same ultrasonic welding tip as in Example 5 was used. The ultrasonic welding tip wa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pper foil and welded. The conditions of the welding were the same as those in Example 5. That is, the mode of welding was set to a method of specifying the welding time, and the conditions were set such that the positive welding time was 0.15 second, the air pressure was 0.1 MPa, the welding energy was 22.1 lines, and the welding amplitude was about 13 mu m. Under this condition, welding with sufficient welding strength was possible, and the copper foil was not peeled off.

접합한 부재를 상술과 같이 수지에 묻은 후에 연마를 행하고, 접합부의 단면 관찰을 실시했다. 상세한 관찰을 행했지만, 세라믹부에 크랙의 존재는 없었다. 따라서, 셀 리드에 동박의 리드를 이용한 경우도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전기 화학 셀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Polishing was performed after attaching the bonded member to the resi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onded portion was observed. Although detailed observations were made, there was no crack in the ceramic part. Therefore, when a lead of a copper foil is used for the cell lead,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또한, 동박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용의 집전체인 경우는, 상기 동박을 접속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은, 전해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성의 도료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pper foil is a current collecto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t is preferable that the aluminum foil pad film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coating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변형예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그 외 여러 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청구항에서 한정하지 않는 한, 덮개는 금속으로 한정되지 않고, 세라믹, 유리,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료에 따라서 여러가지 봉지의 수단이 가능하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difications and 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can be adop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unless limited to the claims, the cover is not limited to metal, but ceramic, glass,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and various sealing mean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material.

또,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낸 전기 화학 셀은, 베이스의 저면이 기판에 수평하게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화학 셀의 치수에 따라서, 실장 방향을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덮개(6a)의 높이 치수가 클 때는, 전기 화학 셀을 기판에 수평하게 부착할 수도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의 패턴을 약간 변경하여 대응할 수 있다.The electrochemical cell shown in Figs. 6 and 7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is attached horizontally to the substrate, and the mounting direction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imensions of the electrochemical cell.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cover 6a is large, the electrochemical cell may be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substrate. In order to do so,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slight change in the pattern of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on the base.

1:베이스
1a:베이스 내측면
1b:베이스 외측면
1c:베이스 측면
1d:베이스 저면 구성판
1e:베이스 저면 구성판
1f:베이스 측벽 내측면
2:패드막
3:베이스 내 단자
4:접속 단자
4b:연장 설치부
5:접합 금속 부재
6:덮개
6a:캐비티형 덮개
6b:봉지 마개
7:셀
8:셀 리드
8a:셀 리드와 패드막의 용접 영역
8b:양극의 셀 리드
8c:음극의 셀 리드
9:초음파 용접용 팁
9a:팁 선단
10, 10a, 10b:배선 패턴
11:보호막
12:금속 측벽
1: Base
1a: base inner side
1b: outer surface of the base
1c: Base side
1d: base bottom plate
1e: base bottom plate
1f: inner side surface of base side wall
2: pad film
3: Terminal in base
4: Connection terminal
4b: extension part
5: bonded metal member
6: Cover
6a: Cavity type cover
6b: a sealing plug
7: Cell
8: Cell Lead
8a: welding area of cell lead and pad film
8b: cell lead of positive electrode
8c: cell lead of the cathode
9: Tips for ultrasonic welding
9a: tip of the tip
10, 10a, 10b: wiring pattern
11: Shield
12: metal side wall

Claims (21)

베이스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외장 용기와, 상기 외장 용기 중에 수납되는 셀과,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전기 화학 셀로서,
상기 셀의 연장부인 복수의 셀 리드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밸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패드막과,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패드막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단자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셀 리드가, 용접에 의해 상기 패드막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패드막과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매설된 베이스 내 단자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내 단자는 상기 베이스 내측면과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접속하는 구멍에 고융점 금속이 충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A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an outer container made of a base and a lid, a cell accommodated in the outer container, and an electrolyte,
A plurality of cell leads, which are extensions of the cells,
A pad film made of a valve metal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film,
At least one of the cell leads is connected to the pad film by welding,
Wherein the pad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base terminal buried in the base, and the in-bas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s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vertically through holes, Is filled in the electrochemical ce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막의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ad film is 5 占 퐉 or more and 100 占 퐉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막의 두께는 10㎛ 이상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ad film is 10 占 퐉 or more and 30 占 퐉 or les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막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ad film comprises aluminu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 초음파 용접 또는 빔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elding is ultrasonic welding or beam weld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세라믹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is made of ceramic or glas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리드가 알루미늄, 니켈 또는 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ell lead is made of aluminum, nickel or copp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리드 중, 양극 및 음극의 상기 셀 리드 모두 상기 패드막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ll of the cell leads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cell lead are welded to the pad fil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극의 상기 셀 리드는, 상기 덮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cell lead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ver.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용기는, 오목형상의 상기 베이스와 판형상의 덮개가, 직접 또는 접합 금속 부재를 개재하여 봉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outer container comprises a concave base and a plate-like lid which are pinched directly or through a joint metal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장 용기의 외측의 층인 제1 베이스와 내측의 층인 제2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내 단자는 상기 제2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경계면에 연장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내 단자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comprises a first base which is an outer layer of the outer container and a second base which is an inner layer,
Wherein the in-bas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second base,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nd is connected to the in-base termina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막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연장 설치된 배선 패턴을 개재하여,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ad fil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via a wiring pattern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은 전해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막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wiring pattern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so as not to be exposed to an electroly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평판형상이며, 상기 덮개는 오목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the lid is concav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덮개는 작은 구멍을 가지며, 상기 작은 구멍은 봉지 마개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ase or the cover has a small hole, and the small hole is sealed with a sealing plug.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접합 금속 부재와 접하는 면에 스텝을 가지며, 상기 스텝에 상기 접합 금속 부재가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ase has a step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joint metal member, and the joint metal member is embedded in the step.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덮개는 평판형상이며, 금속 측벽을 개재하여 봉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and the lid are flat plate-like, and are pinched through a metal sidewall.
청구항 18에 있어서,
양극의 상기 셀 리드는, 상기 금속 측벽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cell lead of the anode is connected to the metal sidewall.
외장 용기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측면에 패드막을 형성하는 패드막 형성 공정과,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패드막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단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셀 리드와 상기 패드막을 용접으로 접속하는 셀 리드/패드막 용접 공정과,
셀을 베이스에 수납하는 공정과,
전해질을 충전하는 공정과,
덮개를 베이스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막과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매설된 베이스 내 단자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 내 단자는 상기 베이스 내측면과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접속하는 구멍에 고융점 금속이 충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의 제조 방법.
A pad film forming step of forming a pad film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se constituting the external container,
Forming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film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 cell lead / pad film welding step of connecting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by welding,
A step of housing the cell in a base,
A step of charging the electrolyte,
And joining the cover to the base,
Wherein the pad film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base terminal buried in the base, and the in-bas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s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ase vertically through holes, Is filled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패드막의 용접 공정은, 초음파 용접 또는 빔 용접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tep of welding the cell lead and the pad film uses ultrasonic welding or beam welding.
KR1020120066687A 2011-06-24 2012-06-21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431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0850 2011-06-24
JP2011140850 2011-06-24
JP2012091033A JP6058909B2 (en) 2011-06-24 2012-04-12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JP-P-2012-091033 2012-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45A KR20130001145A (en) 2013-01-03
KR101943105B1 true KR101943105B1 (en) 2019-01-28

Family

ID=4778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687A KR101943105B1 (en) 2011-06-24 2012-06-21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5) JP6058909B2 (en)
KR (1) KR1019431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74A1 (en) * 2020-07-17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325B2 (en) * 2013-02-27 2017-03-29 京セラ株式会社 Electrode substrate, battery case and battery
US9851327B2 (en) * 2014-06-02 2017-12-26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Photopatternable glass micro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JP2016092344A (en) * 2014-11-11 2016-05-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JP6749804B2 (en) * 2015-07-15 2020-09-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JP6749803B2 (en) * 2015-07-15 2020-09-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JP2017037968A (en) * 2015-08-10 2017-02-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JP6705689B2 (en) * 2016-04-21 2020-06-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JP6705702B2 (en) * 2016-06-13 2020-06-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US11830672B2 (en) 2016-11-23 2023-11-2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Ultracapacitor for use in a solder reflow process
JP6912228B2 (en) * 2017-03-17 2021-08-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JP7298662B2 (en) * 2017-09-01 2023-06-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Sealed power storage device
JP7205050B2 (en) * 2017-09-01 2023-0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Sealed power storage device
WO2020022022A1 (en) * 2018-07-26 2020-0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Electricity storag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942A (en) * 2003-07-28 2005-03-10 Kyocera Corp Case for battery, and battery
JP2010141026A (en) * 2008-12-10 2010-06-24 Taiyo Yuden Energy Device Co Ltd Electrochemical device
WO2011058834A1 (en) * 2009-11-11 2011-05-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Electronic part, element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3180B (en) * 1987-12-17 1991-08-26 Philips Nv ELECTROLYTE CAPACI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LYT CAPACITOR
JPH10154490A (en) * 1996-11-26 1998-06-09 Sony Corp Negative electrode lead of battery
JP4768912B2 (en) * 2000-11-28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coin-type battery
JP2003324296A (en) * 2002-04-26 2003-11-14 Fuji Kobunshi Kogyo Kk Heat sink made of electrolytic corrosion preventing metal
JP5099964B2 (en) * 2003-12-25 2012-12-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03421B2 (en) * 2005-02-23 2012-03-28 京セラ株式会社 Ceramic container and battery 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same
JP4773133B2 (en) * 2005-04-25 2011-09-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or secondary battery
US8563166B2 (en) * 2005-07-29 2013-10-22 Seiko Instruments Inc. Electrochemical cell
JP2007273906A (en) * 2006-03-31 2007-10-18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2007273699A (en) * 2006-03-31 2007-10-18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2010027411A (en) * 2008-07-21 2010-02-04 Toyota Motor Corp Sealed battery
KR101067168B1 (en) * 2009-10-13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typ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32636B2 (en) * 2010-07-08 2012-09-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942A (en) * 2003-07-28 2005-03-10 Kyocera Corp Case for battery, and battery
JP2010141026A (en) * 2008-12-10 2010-06-24 Taiyo Yuden Energy Device Co Ltd Electrochemical device
WO2011058834A1 (en) * 2009-11-11 2011-05-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Electronic part, element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74A1 (en) * 2020-07-17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76810A (en) 2017-04-20
JP2018061050A (en) 2018-04-12
JP6236518B2 (en) 2017-11-22
JP2017098554A (en) 2017-06-01
JP6248174B2 (en) 2017-12-13
JP6058909B2 (en) 2017-01-11
JP6513772B2 (en) 2019-05-15
JP2013030750A (en) 2013-02-07
JP2018061051A (en) 2018-04-12
KR20130001145A (en) 2013-01-03
JP6513773B2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05B1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591047B (en) Electrochemical cell
JP5777001B2 (en)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US20090011330A1 (en) Electrochemical Cell
JP5099964B2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2842699B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6912228B2 (en) Electronic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JP4965809B2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chemical cell
JP5731836B2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210900A (e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05702B2 (en) Electrochemical cell
JP6705689B2 (en) Electrochemical cell
JP5815951B2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16081B2 (en) How to manufacture an electrochemical cell
JP6749804B2 (en) Electrochemical cell
JP2016058583A (en) Electrochemical cell
JP6032684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JP2017037968A (en) Electrochemical cell
JP2017037969A (en) Electrochemical cell
JP2017028275A (en) Electrochemical cell
JP6749803B2 (en) Electrochemica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