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44B1 -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44B1
KR101942444B1 KR1020160172638A KR20160172638A KR101942444B1 KR 101942444 B1 KR101942444 B1 KR 101942444B1 KR 1020160172638 A KR1020160172638 A KR 1020160172638A KR 20160172638 A KR20160172638 A KR 20160172638A KR 101942444 B1 KR101942444 B1 KR 10194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art
counseling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205A (ko
Inventor
이은규
장훈
김명길
김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나인
Priority to KR102016017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이 수행하는 피상담자의 제1 단말과 상담 전문가의 제2 단말 간에 수행되는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접속을 인지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상기 제2 단말을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단말에 보유되면서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를 수신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 픽쳐보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픽쳐보드에 상기 제1 단말이 드로잉한 드로잉 결과물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피상담자의 표정 또는 상기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상호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REMOTE ART MENTAL STATE COUNSELLING}
본 발명은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요자가 보다 편안한 시간 및 장소에서 원격으로 심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폭력, 갈등, 사고,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는 정신과적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심리 치료, 심리 상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치열하고 각박한 현대 사회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고 보다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심리 치료 및 심리 상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현재 많은 수의 심리 상담 전문가들이 배출되고 있다.
하지만, 심리 치료를 포함한 정신과 진료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아직은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 및 상담을 받고자 나서지 못하는 현실이다.
선행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1437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그리고 원격으로 미술을 이용한 프로세스를 통해 정신 상담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원격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이 수행하는 피상담자의 제1 단말과 상담 전문가의 제2 단말 간에 수행되는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접속을 인지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상기 제2 단말을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단말에 보유되면서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를 수신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 픽쳐보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픽쳐보드에 상기 제1 단말이 드로잉한 드로잉 결과물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피상담자의 표정 또는 상기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상호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속성 정보인 거주지역, 상담분야, 연령을 고려하여 상담 전문가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리스트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상담 목적, 상담 도구, 상담 환경을 포함하는 상담 요구도와 추출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비교분석하는 단계; 및 비교분석결과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퍼센트 이상에 해당하는 상담 전문가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한 계산값이 기준 컷오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판단으로 산출하고,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병증 판단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정보는 인식된 표정을 격자로 형성하여 형성된 격자 내에 위치하는 눈썹, 입술꼬리, 눈, 팔자주름의 왜곡정도 및 변위차를 고려해 감정 상태가 구분되어져 구성된 정보에 해당하며, 상기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선택한 결과 자료,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가 각각 점수 척도로 계산되고 계산된 점수 척도를 통해 종합 분석된 계산값이 산출되어 이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는, 상기 제1 단말의 미술 자료 선택 결과 및 선택 미술 자료에 대한 의견 tex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상담자의 제1 단말과 상담 전문가의 제2 단말 간에 수행되는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단말에 보유되면서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를 수신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 픽쳐보드를 전송하며, 상기 픽쳐보드에 상기 제1 단말이 드로잉한 드로잉 결과물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문진 상담 모듈; 상기 제1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피상담자의 표정 또는 상기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화상 상담 모듈; 및 상기 제1 단말의 접속을 인지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상기 제2 단말을 매칭시키며, 이후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상호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상담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속성 정보인 거주지역, 상담분야, 연령을 고려하여 상담 전문가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리스트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상담 목적, 상담 도구, 상담 환경을 포함하는 상담 요구도와 추출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비교분석하며, 비교분석결과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퍼센트 이상에 해당하는 상담 전문가 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 관리 모듈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한 계산값이 기준 컷오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판단으로 산출하고,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병증 판단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안하게 그리고 원격으로 미술을 이용한 프로세스를 통해 정신 상담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으며, 원격 상담 결과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상담하기 어려운 정신병증 또는 성폭행 상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화상 상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2의 문진 상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 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시스템(10)은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상기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100)은 피상담자의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으며, 데스크톱, 모바일 기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200)은 상담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로 마찬가지로 데스크톱, 모바일 기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400)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의 매칭을 수행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이 이루어지는 처리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관리 서버(400)는 통신 모듈(410), 상담 관리 모듈(420), 화상 상담 모듈(430), 문진 상담 모듈(440) 및 DB(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통신 모듈(410)은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을 포함한 외부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담 관리 모듈(420)은 상기 제1 단말(100)의 접속을 인지하고 상기 제1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상기 제2 단말(200)을 매칭시키며, 이후 상기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의 상호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제2 단말(200)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100)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담 관리 모듈(420)은 상기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100)의 속성 정보인 거주지역, 상담분야, 연령을 고려하여 상담 전문가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리스트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추출하고, 상기 제1 단말(100)의 상담 목적, 상담 도구, 상담 환경을 포함하는 상담 요구도와 추출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비교분석하며, 비교분석결과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퍼센트 이상에 해당하는 상담 전문가 외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담 관리 모듈(420)은, 상기 제2 단말(200)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한 계산값이 기준 컷오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판단으로 산출하고,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병증 판단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표준 정보는 인식된 표정을 격자로 형성하여 형성된 격자 내에 위치하는 눈썹, 입술꼬리, 눈, 팔자주름의 왜곡정도 및 변위차를 고려해 감정 상태가 구분되어져 구성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합 분석한 계산 값은 상기 일부 선택한 결과 자료,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가 각각 점수 척도로 계산되고 계산된 점수 척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화상 상담 모듈(430)은 상기 제1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피상담자의 표정 또는 상기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제2 단말(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도 2의 화상 상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상기 화상 상담 모듈(430)은 표정 인식 모듈(431) 및 표정 분석 모듈(432)를 포함한다.
상기 표정 인식 모듈(431)은 피상담자의 표정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표정 분석 모듈(432)은 인식된 표정 및 인식된 표정에 대한 상기 표준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표정 분석 모듈(432)은 인식된 표정을 격자로 형성하여 형성된 격자 내에 위치하는 눈썹, 입술꼬리, 눈, 팔자주름의 왜곡정도 및 변위차를 고려해 감정 상태를 수치화할 수 있다.
상기 문진 상담 모듈(440)은 상기 제1 단말(100)에, 상기 제2 단말(200)에 보유되면서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100)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를 수신해 상기 제2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100)로 픽쳐보드를 전송하며, 상기 픽쳐보드에 상기 제1 단말(100)이 드로잉한 드로잉 결과물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200)로 전송한다.
도 3b는 도 2의 문진 상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문진 상담 모듈(440)은 그림 분석 모듈(441) 및 속성 및 요구도 분석 모듈(442)를 포함한다.
상기 그림 분석 모듈(441)은 제1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그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예컨대, 보낸 그림에 대한 설정된 점수에 기초해 수신한 그림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점수는 사용자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심리상태에 관한 점수 척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속성 및 요구도 분석 모듈(442)은 제1 단말(100)의 속성 정보인 거주지역, 상담분야, 연령등을 분석할 수 있고, 제1 단말(100)의 상담 목적, 상담 도구, 상담 환경을 포함하는 상담 요구도가 분석할 수 있다.
상기 DB(450)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관리 서버(400)에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단말(100)은 복수의 미술 자료(310, 320, 330)을 수신할 수 있고, 질문 사항을 고려하여 피상담자의 선택에 따라 1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담 전문가는 피상담자의 표정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표정은 관리 서버(400)를 통해 정보 그대로 또는 가공된 표준 정보의 형태로 상담 전문가에게 보내질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피상담자는 전송받은 그림(401)을 보거나, 상담 전문가의 상담 내용을 고려해 드로잉(402)을 수행하여 관리 서버(400)를 통해 정보 그대로 또는 가공된 형태로 상담 전문가에게 보내질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5을 통해 설명된 내용은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시스템(10)이 제1 단말(100)의 접속을 인지하고 상기 제1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상기 제2 단말(200)을 매칭시킨다. 이때, 매칭을 위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속성 정보인 거주지역, 상담분야, 연령을 고려하여 상담 전문가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리스트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추출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상담 목적, 상담 도구, 상담 환경을 포함하는 상담 요구도와 추출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비교분석해 비교분석결과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퍼센트 이상에 해당하는 상담 전문가를 추천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단말(100)에는 상담 전문가에 의해 고려된 복수의 미술 자료가 전송되고 상기 제1 단말(100)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가 다시 관리 서버(400)를 통해 상담 전문가인 제2 단말(20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100)로 픽쳐보드가 전송되어 상기 픽쳐보드에 상기 제1 단말(100)이 드로잉한 드로잉 결과물이 관리 서버(400)를 통해 제2 단말(200)에 전달되는데, 이 때 상기 드로잉은 상담 전문가의 질의 또는 상담 전문가에 의해 전송된 미술 자료에 관한 드로잉 결과물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피상담자의 표정 또는 상기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가 제2 단말(2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10)의 관리 서버(400)는 상기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의 상호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제2 단말(200)로부터 상기 일부 선택된 결과, 상기 드로잉 결과물 및 상기 표정 또는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제1 단말(100)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10) 및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안하게 그리고 원격으로 미술을 이용한 프로세스를 통해 정신 상담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으며, 원격 상담 결과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상담하기 어려운 정신병증 또는 성폭행 상담 등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피상담자의 제1 단말과 피상담자의 제1 단말과 상담 전문가의 제2 단말 간에 수행되는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단말에 보유되면서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 자료에 상응하는 제1 자료를 수신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 픽쳐보드를 전송하며, 상기 픽쳐보드에 상기 제1 단말이 드로잉한 드로잉 결과물에 상응하는 제2 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문진 상담 모듈; - 이때, 상기 문진 상담 모듈은, 상기 제1 단말에는 상기 제2 단말에 보유되면서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촬영된 상담 전문가의 영상화면을 출력하게 하고, 상기 제2 단말에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미술 자료를 상기 제2 단말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촬영된 피상담자의 영상화면을 출력하게 함, - 이때, 상기 제1 자료는, 상기 제1 단말의 미술 자료 선택 결과 및 선택한 미술 자료에 대한 상기 제1 단말의 의견을 나타내는 text를 포함하여 구성됨, - 이때, 상기 드로잉 결과물은 상기 제2 단말의 질의에 대한 드로잉 결과물에 해당하거나, 상기 복수의 미술 자료 중 일부 선택된 결과에 대한 드로잉 결과물에 해당함 -
    상기 제1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피상담자의 표정 또는 상기 표정에 대한 표준 정보에 상응하는 제3 자료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화상 상담 모듈; - 이때, 상기 표준 정보는 인식된 표정을 격자로 형성하여 형성된 격자 내에 위치하는 눈썹, 입술꼬리, 눈, 팔자주름의 왜곡정도 및 변위차를 고려해 감정 상태가 구분되어져 수치화되어 구성된 정보에 해당함 - 및
    상기 제1 단말의 접속을 인지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상기 제2 단말을 매칭시키며, 이후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상호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료, 상기 제2 자료 및 상기 제3 자료를 모두 고려하여 종합 분석한 뒤 상기 제1 단말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상담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담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속성 정보인 거주지역, 상담분야, 연령을 고려하여 상담 전문가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리스트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추출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상담 목적, 상담 도구, 상담 환경을 포함하는 상담 요구도와 추출한 상담 전문가의 전문성을 비교분석한 뒤 비교분석결과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퍼센트 이상에 해당하는 상담 전문가를 추천하고,
    상기 제1 자료, 상기 제2 자료 및 상기 제3 자료를 종합 분석한 계산값이 기준 컷오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판단으로 산출하고,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병증 판단으로 산출하되, 상기 제1 자료, 상기 제2 자료 및 상기 제3 자료가 각각 점수 척도로 계산되고 계산된 점수 척도를 통해 종합 분석된 계산값이 산출되어 이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상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72638A 2016-12-16 2016-12-16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KR10194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38A KR101942444B1 (ko) 2016-12-16 2016-12-16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38A KR101942444B1 (ko) 2016-12-16 2016-12-16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205A KR20180070205A (ko) 2018-06-26
KR101942444B1 true KR101942444B1 (ko) 2019-01-25

Family

ID=6278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638A KR101942444B1 (ko) 2016-12-16 2016-12-16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4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367A1 (ko) * 2019-09-04 2021-03-11 주식회사 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42077A (ko) * 2019-09-04 2021-04-16 (주)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03704B1 (ko) *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KR102403703B1 (ko) *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미술 심리검사를 위한 객체의 메타정보 추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시스템 및 이에 의해서 수행되는 방법
KR102403702B1 (ko) *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음성, 텍스트, 그림 데이터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장치 및 이에 의해서 수행되는 미술 심리분석 방법
KR20220098589A (ko) * 2021-01-04 2022-07-12 (주)알에프캠프 사용자 별 감정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42434B1 (ko) * 2021-11-11 2022-09-14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의 생성과 사용자의 심리상태 정보제공 방법
KR102442435B1 (ko) * 2021-11-11 2022-09-14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한 상호작용 그림 데이터 수집 및 미술역량 평가와 학업성취도 예측이 가능한 인공지능 시스템
WO2023033242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음성, 텍스트, 그림 데이터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방법
WO2023033244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한 상호작용 그림 데이터 수집 및 미술역량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WO2023033245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WO2023033243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미술 심리검사를 위한 객체의 메타정보 추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001B1 (ko) * 2019-01-30 2020-06-15 이재욱 그림 그리기 체험 및 감정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술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235587B1 (ko) 2019-04-11 2021-04-02 이관희 만다라 및 타로를 이용한 심리 분석 및 투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70B1 (ko) * 2010-02-11 2011-1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 진단 장치, 내담자 단말장치, 치료사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리 진단 방법
KR20140132864A (ko) * 2013-05-08 2014-11-19 김행우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KR20150005406A (ko) * 2013-07-05 2015-01-14 신창중 이미지를 이용한 성격 유형 및 심리 검사 방법
KR20150121305A (ko) * 2014-04-18 2015-10-29 현철우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03430A (ko) * 2014-07-01 2016-01-11 (주)메쏘드소프트 미술 치료 방법 및 미술 치료 서버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39A (ko) * 2019-09-04 2021-03-12 (주)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42077A (ko) * 2019-09-04 2021-04-16 (주)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41804B1 (ko) * 2019-09-04 2021-04-19 (주)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11069B1 (ko) 2019-09-04 2023-03-17 (주)알에프캠프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045367A1 (ko) * 2019-09-04 2021-03-11 주식회사 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8589A (ko) * 2021-01-04 2022-07-12 (주)알에프캠프 사용자 별 감정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31766B1 (ko) 2021-01-04 2022-08-16 (주)알에프캠프 사용자 별 감정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033243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미술 심리검사를 위한 객체의 메타정보 추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23033245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WO2023033244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한 상호작용 그림 데이터 수집 및 미술역량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WO2023033242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음성, 텍스트, 그림 데이터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방법
KR102415104B1 (ko) * 2021-11-11 2022-06-30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모델을 기초로 피검사자에 의한 그림 데이터로부터 피검사자의 감정을 분석하는 방법
KR102485910B1 (ko) * 2021-11-11 2023-01-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사용자가 생성한 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시스템
KR102415107B1 (ko) * 2021-11-11 2022-07-0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미술 심리분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5102B1 (ko) * 2021-11-11 2022-07-0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심리 파악에 유의미한 그림 주제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을 분석하는 장치
KR102415106B1 (ko) * 2021-11-11 2022-07-0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기반 미술 심리분석 방법
KR102442434B1 (ko) * 2021-11-11 2022-09-14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의 생성과 사용자의 심리상태 정보제공 방법
KR102442435B1 (ko) * 2021-11-11 2022-09-14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한 상호작용 그림 데이터 수집 및 미술역량 평가와 학업성취도 예측이 가능한 인공지능 시스템
KR102476446B1 (ko) * 2021-11-11 2022-12-1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심리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476447B1 (ko) * 2021-11-11 2022-12-1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미술 심리분석용의 그림데이터 정제와 함께 압축율을 향상시키는 장치
KR102415105B1 (ko) * 2021-11-11 2022-07-0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기반 미술 심리분석 시스템
KR102485913B1 (ko) * 2021-11-11 2023-01-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미술역량을 평가함으로써, 역량 평가의 편차, 시간 및 비용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
KR102485914B1 (ko) * 2021-11-11 2023-01-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미술역량을 기반으로 학업성취도를 예측함으로써, 부족한 학업성취도를 미술활동을 통해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시스템
KR102485911B1 (ko) * 2021-11-11 2023-01-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모델의 객관적 판단을 통해 그림 데이터의 의미해석에 대한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시스템
KR102485912B1 (ko) * 2021-11-11 2023-01-1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해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객체의 라벨링을 유도하는 시스템
KR102415101B1 (ko) * 2021-11-11 2022-06-30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피검사자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와 그림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감정을 분석하는 장치
KR102415103B1 (ko) * 2021-11-11 2022-06-30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음성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인공지능모델를 기초로 심리를 분석하는 장치
KR102403702B1 (ko) *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음성, 텍스트, 그림 데이터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장치 및 이에 의해서 수행되는 미술 심리분석 방법
KR102403703B1 (ko) *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 미술 심리검사를 위한 객체의 메타정보 추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 시스템 및 이에 의해서 수행되는 방법
KR102403704B1 (ko) *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205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444B1 (ko)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시스템
US10489830B2 (en) Aggregation of rating indicators
US20130289991A1 (en) Application of Voice Tags in a Social Media Context
CN110460899B (zh) 弹幕内容的展示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344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domain knowledge to automatically identify solution to a problem
KR101444726B1 (ko) 고객 맞춤형 피부 진단 및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 시스템 및 기록매체
US10043102B1 (en) Database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dynamic and interactive mobile imag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US20190294679A1 (en) Resolving an undesired document artifact
US11263403B2 (en) Interpreting a most likely meaning of a phrase
CN116415594A (zh) 问答对生成的方法和电子设备
US11481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cene builder
US20200034358A1 (en) Generating a reliable response to a query
KR20050054379A (ko) 피.디.에이를 이용한 치매환자의 돌보미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진료방법
KR20150092390A (ko) 음성기반 이미지 파일 태깅장치 및 그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이미지 파일 검색방법
KR20200083159A (ko) 사용자 단말에서의 사진 검색 방법 및 시스템
US974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 patient based on an analysis of multimedia content
CN110162769B (zh) 文本主题输出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5447300A (zh) 一种医疗信息共享方法、系统及其终端
KR10242284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상 컨텐츠의 언어 위기를 관리하는 방법
US11720558B2 (en) Generating a timely response to a query
US20220114337A1 (en) Identifying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CN115017324A (zh) 实体关系抽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600262B2 (en) Recogni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5730047A (zh) 一种智能问答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CN114186039A (zh) 一种视觉问答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