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035B1 -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035B1
KR101942035B1 KR1020180024137A KR20180024137A KR101942035B1 KR 101942035 B1 KR101942035 B1 KR 101942035B1 KR 1020180024137 A KR1020180024137 A KR 1020180024137A KR 20180024137 A KR20180024137 A KR 20180024137A KR 101942035 B1 KR101942035 B1 KR 10194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quid storage
storage tank
liquid
ej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봉환
Original Assignee
임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봉환 filed Critical 임봉환
Priority to KR102018002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05F17/027
    • C05F17/027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젝터와 교반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액이 분리된 축산분뇨를 슬러지 발생없이 미세하게 쪼개면서 고속 발효시켜 미네랄이 풍부한 천연 액비로 만들고, 이를 축사(우사나 돈사)에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저감, 건강하고 유익한 사육환경 제공, 토양 살포시 토양오염을 막고 유기농 토양으로 개질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An apparatus that circulates livestock by making high-speed fermentation of livestock manure in its natural state}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젝터와 교반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액이 분리된 축산분뇨를 슬러지 발생없이 미세하게 쪼개면서 고속 발효시켜 미네랄이 풍부한 천연 액비로 만들고, 이를 축사(우사나 돈사)에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저감, 건강하고 유익한 사육환경 제공, 토양 살포시 토양오염을 막고 유기농 토양으로 개질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학비료, 오폐수, 축산분뇨 등은 인간의 의식주를 연명하는데 필요악으로서 자연이 갖는 정화능력을 넘어선지 오래다.
때문에,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발생한 오폐수 등이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고,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식물과 가축은 오히려 인간의 생명까지 위협하고 있다.
특히, 축산분뇨는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규제 강화로 인해 폐기처리하는데 어려움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축산분료를 액비로 제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화학약품이나 응집제, 침전제, pH 조절제 등을 사용하고, 분해형 종속영양미생물을 일부 투입하여 분해하거나 혹은 발효 분해하는 방식으로 시도되는 것이어서 이때 발생되는 슬러지를 감소시킬 수 없는 한계에 봉착해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발생되는 심한 악취로 인해 엄청난 민원이 발생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생기는 부폐균과 병원균은 또다른 인체 감염원이 되기도 하며, 특히 황(S)은 분해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워 사실상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처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우사나 돈사와 같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심각한 수준이어서 주거민들이 지속적으로 제기하는 가장 높은 등급의 민원이기도 하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살아있는 토양은 기본적으로 토양 1g 당 2억 마리 이상의 미생물이 살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계속되는 화학비료와 농약살포, 그리고 대기오염으로 산성화된 빗물이 토양의 미생물 성장을 저해하여 1g 당 4천만 마리 이하로 떨어지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영양성분이 끊임없이 씻겨 유실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질 좋은 농산물을 기대할 수는 없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66279호(2010.06.18.) 가축분료를 이용한 기능성 퇴비 및 액비 제조 장치 국내 등록특허 제10-1248110호(2013.03.21.)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이젝터와 교반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액이 분리된 축산분뇨를 슬러지 발생없이 미세하게 쪼개면서 고속 발효시켜 미네랄이 풍부한 천연 액비로 만들고, 이를 축사(우사나 돈사)에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저감, 건강하고 유익한 사육환경 제공, 토양 살포시 토양오염을 막고 유기농 토양으로 개질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액비저장조(100)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개방된 상단에 직경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된 판형 거치대(110)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중앙부 바닥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2수중펌프(120,130)와; 상기 거치대(110)의 길이 중앙부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거치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2이젝터(140,150)와; 상기 거치대(1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교반반응조(300)와; 상기 교반반응조(300)의 직하방 위치의 액비저장조(100)에 설치된 제3수중펌프(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이젝터(140,150)의 각 입구단에는 제1,2수중펌프(120,130)의 각 출구단과 호스로 연결되고, 제1,2이젝터(140,150)의 각 출구단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배출호스(H1,H2)와 각각 연결되어 배출액이 액비저장조(100)의 원주방향으로 고속분사되면서 액비저장조(100)에 저장되어 있는 축산분뇨를 고속으로 회전 교반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반반응조(300)의 둘레 일부 상측에는 유입구(320)가 형성되고, 둘레 일부 하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320)에는 제3수중펌프(310)의 출구단에 연결된 호스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330)에는 상기 액비저장조(100)로 교반반응액을 배수할 수 있도록 호스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이젝터(140,1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축산분뇨를 흡입하는 흡입관(200)과, 상기 흡입관(200)의 선단에 경사연결부(210)를 통해 일체화되며 흡입관(20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사관(220)과, 상기 분사관(220)을 밀폐하도록 끼워져 조립되는 흡입관(200)과 동일 직경의 배출관(230)과, 상기 배출관(230)의 분사관(220) 위치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240)과, 상기 흡기공(240)을 포함한 흡입관(200)과 배출관(230)의 연결부위를 밀봉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챔버(250)와, 상기 흡기공(240)의 직상방 위치에 해당하는 공기챔버(250) 상에 연통배관된 흡기관(260)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320)에는 도입관(322)이 교반반응조(300)의 내부에 배관되고, 상기 도입관(322)의 단부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분배관(324)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324)의 양단에는 각각 제1,2분출관(326,328)이 연결되되 상기 제1분출관(326)은 교반반응조(300)의 수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분출관(328)은 교반반응조(300)의 내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젝터와 교반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액이 분리된 축산분뇨를 슬러지 발생없이 미세하게 쪼개면서 고속 발효시켜 미네랄이 풍부한 천연 액비로 만들고, 이를 축사(우사나 돈사)에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저감, 건강하고 유익한 사육환경 제공, 토양 살포시 토양오염을 막고 유기농 토양으로 개질하는데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이젝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교반반응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비의 대장균 검출시험예를 보인 시료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비의 살모넬라 검출시험예를 보인 시료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고액이 분리된 축산분뇨에 광물의 각종 미량원소 및 미생물을 이용한 촉매제를 교반반응기를 통해 투입하여 미네랄이 풍부한 액비로 자원화하고, 고속발효를 촉진하는 과정에서 악취를 현저히 줄임은 물론 슬러지 잘게 조각내 제거함으로써 토양 환경을 개선하고, 이 액비를 축사에 살포하였을 때 축사를 정화할 수 있어 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토양에 살포시 유기농 토양으로 개질하여 화학약품이 배제된 건강한 유기농 토양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비는 성분 분석결과, 비소, 카드뮴, 수은, 납 등의 유해성분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크롬, 구리, 니켈, 아연 등은 규정범위보다 현저히 낮은 함유량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 이를 통해 유해성도 제거하고, 친환경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비저장조(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비저장조(100)는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처리효율과 처리량을 늘릴 필요가 있을 때에는 다수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액비저장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액비저장조(100)에는 고액이 분리된 축산분뇨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개방된 상단에는 직경방향으로 가로질러 일정폭의 판형 거치대(110)가 고정된다.
상기 거치대(110)는 탈부착형으로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중앙부 바닥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1,2수중펌프(120,130)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대(110)의 길이 중앙부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거치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2이젝터(140,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이젝터(140,150)는 축산분료를 폭기시키는 일종의 폭기수단으로서, 액비저장조(100)에 발생된 슬러지를 포함한 축산분료를 고속분사시켜 교반시킬 때 산소가 풍부한 외부공기를 도입하여 슬러지를 포함한 축산분뇨에 혼합시킴으로써 고속발효를 촉진시키면서 슬러지의 분해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2이젝터(140,150)의 각 입구단에는 제1,2수중펌프(120,130)의 각 출구단과 호스로 연결되고, 제1,2이젝터(140,150)의 각 출구단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배출호스(H1,H2)와 각각 연결되어 배출액이 액비저장조(100)의 원주방향으로 고속분사되면서 액비저장조(100)에 저장되어 있는 축산분뇨(향후 액비가 됨)를 고속으로 회전 교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부유되는 슬러지는 자연스럽게 액비저장조(100)의 중심으로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슬러지는 다시 제1,2수중펌프(120,130)에 의해 퍼 올려져 제1,2이젝터(140,150)를 통해 고속분사되면서 잘게 쪼개지며, 그 과정에서 산소와의 혼합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고, 추후 고속발효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분해 제거되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축산분료를 처리하여 액비를 만들 때 슬러지가 거의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악취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동반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이젝터(140,150)는 도 2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이젝터(140,1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이를 테면 축산분뇨를 흡입하는 흡입관(200)과, 상기 흡입관(200)의 선단에 경사연결부(210)를 통해 일체화되며 흡입관(20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사관(220)과, 상기 분사관(220)을 밀폐하도록 끼워져 조립되는 흡입관(200)과 동일 직경의 배출관(230)과, 상기 배출관(230)의 분사관(220) 위치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240)과, 상기 흡기공(240)을 포함한 흡입관(200)과 배출관(230)의 연결부위를 밀봉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챔버(250)와, 상기 흡기공(240)의 직상방 위치에 해당하는 공기챔버(250) 상에 연통배관된 흡기관(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관(260)의 상단에는 공기 흡입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밸브(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연결부(210)가 필요한 이유는 큰 직경의 흡입관(200)에서 작은 직경의 분사관(220)으로 축산분뇨가 이동하면서 속도가 빨라질 때 수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구성된 제1,2이젝터(140,150)는 분사관(220)을 통해 유속이 빨라지면서 고속분사될 때 흡기공(240) 주변에서 유속차에 의한 벤츄리효과가 발생되어 공기챔버(250)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빨려 들어가면서 축산분뇨에 혼합되게 된다.
이 경우, 흡기공(240)이 배출관(230)의 접속단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빨려들어 가는 과정에서 와류를 형성시키게 되고, 이 와류는 균일 교반력을 강화시켜 슬러지를 쪼개는 효과와 공기를 충분히 분사시키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게 하여 준다.
때문에, 이러한 제1,2이젝터(140,150)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면 이것만으로도 슬러지 파쇄효과를 거둘 수 있어 슬러지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110)의 상면 일측에는 교반반응조(300)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반응조(300)의 직하방 위치의 액비저장조(100)에는 제3수중펌프(310)가 설치된다.
아울러, 도 3의 예시와 같이, 교반반응조(300)의 둘레 일부 상측에는 유입구(320)가 형성되고, 둘레 일부 하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3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320)에는 제3수중펌프(310)의 출구단에 연결된 호스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330)에는 상기 액비저장조(100)로 교반반응액을 배수할 수 있도록 호스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333)에는 개폐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입구(320)에는 도입관(322)이 교반반응조(300)의 내부에 배관되고, 상기 도입관(322)의 단부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분배관(324)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324)의 양단에는 각각 제1,2분출관(326,328)이 연결되되 상기 제1분출관(326)은 교반반응조(300)의 수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분출관(328)은 교반반응조(300)의 내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입관(322)과 분배관(324)은 50mm의 직경을 가져야 하고, 상기 제1,2분출관(326,328)은 30mm의 직경을 가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50mm 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되면 슬러지에 의해 막힘현상이 유발되고, 30mm 보다 크게 되면 유속이 떨어지면서 슬러지가 잘게 쪼개지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제1,2분출관(326,328)은 반드시 서로 분출방향이 달라야 하는데, 한 쪽은 내벽을 치게 하여 슬러지의 쪼개짐을 극대화시키면서 투입되는 반응촉매제와의 혼합분산성을 좋게 하고, 다른 쪽은 수면을 치게 하여 수충격에 의한 마찬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반응조(300)에는 반응촉매제가 투입되는데, 상기 반응촉매제는 분해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광물과 미생물 및 고속발효에 따른 발효촉진을 위한 미생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촉매제는 100g을 기준으로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써모액티노마이세테스(Thermoactinomycetes), 바실러스 세레우스(Bbacillus cereus)를 포함하는 호기성미생물 0.2g과; 코코피트와 미강 혼합분말 15g과; 케일분말 2.5g과; 신선초즙 10g과; 그래뉼 형태의 셀루로오스 섬유 4.5g과; 알로펜(Allophane) 분말 12g과; 토르마린 분말 10g과; 규산염 분말 15g 및 나머지 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호기성미생물은 발효를 촉진하기 위한 미생물이고, 상기 코코피트와 미강 혼합분말은 발효촉진 균체의 증식과 활성화 및 부패 방지와 악취 휘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케일분말은 양귀비목 배추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케일의 잎과 뿌리를 증숙한 후 말려 분쇄한 것으로서, 풍부한 섬유질에 의한 흡착력 강화 및 유해물질분해 기능이 뛰어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신선초즙은 미나리과의 식물로 여러해살이 초본인 신선초로부터 추출된 액으로서, 플라보노이드 및 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독성물질 제거와 악취를 줄이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그래뉼 형태의 셀루로오스 섬유는 천연 흡착제로서, 독소 흡수 및 유분 흡수력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인 재료로서 악취제거에도 기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알로펜(Allophane) 분말은 다공질의 알로펜 점토광물을 0.01mm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미분화시킨 것으로, 알로펜은 화산재의 풍화과정에서 생기는 점토광물로서 예외적으로 결정구조를 갖지 않는 이른 바, 비정질점토이다. 이것은 유기질 콜로이드 입자인 부식(腐植)과 결합하기 쉬워 포름알데히드를 흡수 제거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르마린은 전기적으로서 원적외선 방출 효과와, 탈취능력, 정화능력이 뛰어난 광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규산염은 풍부한 미네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반응촉매제를 활용하여 액비를 만들게 되면 이젝터에 의한 교반, 고속발효, 액비 혼합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아래 [그림 1]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그림 1]
Figure 112018020512711-pat00001
즉, 반응을 통해 안정된 부식물질(N,P,S 포함), 불활성물질, CO2, H2O, N2를 생산하여 토양내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농작물, 동식물의 성장과 인간의 건강에 기여하게 된다.
특히, 이를 우사나 돈사 등의 축사에 살포하게 되면 악취 물질을 빠르게 분해 처리하기 때문에 악취 억제를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고, 병원균의 번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축사 환경개선에도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대장균 시험용 시료를 만들고,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되는지 확인하였다.
확인 방법은, E. coli를 판별하는 선택배지 Coliform agar(Merck)에 시료 원액과 희석액을 100㎕씩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평판배지에 형성된 콜로니가 적색 또는 청록색을 띄는지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적색 또는 청록색을 띄는 콜로니가 검출되지 않아 병원성 대장균은 음성(불검출)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병원성 살모넬라 시험용 시료를 만들고, 살모넬라가 검출되는지 확인하였다.
확인 방법은, 살모넬라를 판별하는 선택배지 SS Agar(Difco)에 원액 시료와 희석시료를 100㎕씩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평판배지에 형성된 콜로니가 흑갈색을 띄는지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흑갈색을 띄는 콜로니가 검출되지 않아 병원성 살모넬라도 음성(불검출)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비의 성분 분석을 통해 유해성분 함량을 확인하였는 바, 하기한 표 1과 같이 양호하였다.
Figure 112018020512711-pat00002
100: 액비저장조
200: 흡입관
300: 교반반응조

Claims (3)

  1.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액비저장조(100)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개방된 상단에 직경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된 판형 거치대(110)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중앙부 바닥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2수중펌프(120,130)와; 상기 거치대(110)의 길이 중앙부에는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거치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2이젝터(140,150)와; 상기 거치대(1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교반반응조(300)와; 상기 교반반응조(300)의 직하방 위치의 액비저장조(100)에 설치된 제3수중펌프(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이젝터(140,150)의 각 입구단에는 제1,2수중펌프(120,130)의 각 출구단과 호스로 연결되고, 제1,2이젝터(140,150)의 각 출구단은 상기 액비저장조(100)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2배출호스(H1,H2)와 각각 연결되어 배출액이 액비저장조(100)의 원주방향으로 고속분사되면서 액비저장조(100)에 저장되어 있는 축산분뇨를 고속으로 회전 교반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교반반응조(300)의 둘레 일부 상측에는 유입구(320)가 형성되고, 둘레 일부 하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320)에는 제3수중펌프(310)의 출구단에 연결된 호스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330)에는 상기 액비저장조(100)로 교반반응액을 배수할 수 있도록 호스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젝터(140,1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축산분뇨를 흡입하는 흡입관(200)과, 상기 흡입관(200)의 선단에 경사연결부(210)를 통해 일체화되며 흡입관(20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사관(220)과, 상기 분사관(220)을 밀폐하도록 끼워져 조립되는 흡입관(200)과 동일 직경의 배출관(230)과, 상기 배출관(230)의 분사관(220) 위치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240)과, 상기 흡기공(240)을 포함한 흡입관(200)과 배출관(230)의 연결부위를 밀봉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챔버(250)와, 상기 흡기공(240)의 직상방 위치에 해당하는 공기챔버(250) 상에 연통배관된 흡기관(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20)에는 도입관(322)이 교반반응조(300)의 내부에 배관되고, 상기 도입관(322)의 단부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분배관(324)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324)의 양단에는 각각 제1,2분출관(326,328)이 연결되되 상기 제1분출관(326)은 교반반응조(300)의 수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분출관(328)은 교반반응조(300)의 내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KR1020180024137A 2018-02-28 2018-02-28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KR10194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137A KR101942035B1 (ko) 2018-02-28 2018-02-28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137A KR101942035B1 (ko) 2018-02-28 2018-02-28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035B1 true KR101942035B1 (ko) 2019-01-24

Family

ID=6527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137A KR101942035B1 (ko) 2018-02-28 2018-02-28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0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302A (en) * 1992-07-20 1993-10-12 George Schmidt Liquid fertilizer apparatus
KR19990083889A (ko) * 1999-08-26 1999-12-06 김경원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966279B1 (ko) 2009-12-30 2010-06-28 주식회사 시노펙스 가축분료를 이용한 기능성 퇴비 및 액비 제조 장치
KR101248110B1 (ko) 2010-12-16 2013-03-28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KR20170034971A (ko) * 2015-09-21 2017-03-30 김부열 탈취기능이 내장된 액비 제조장치
KR101801066B1 (ko) * 2016-05-18 2017-11-27 전필재 축산분뇨 파쇄 및 배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302A (en) * 1992-07-20 1993-10-12 George Schmidt Liquid fertilizer apparatus
KR19990083889A (ko) * 1999-08-26 1999-12-06 김경원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966279B1 (ko) 2009-12-30 2010-06-28 주식회사 시노펙스 가축분료를 이용한 기능성 퇴비 및 액비 제조 장치
KR101248110B1 (ko) 2010-12-16 2013-03-28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KR20170034971A (ko) * 2015-09-21 2017-03-30 김부열 탈취기능이 내장된 액비 제조장치
KR101801066B1 (ko) * 2016-05-18 2017-11-27 전필재 축산분뇨 파쇄 및 배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5430B (zh) 一种生猪屠宰废水处理方法
US6649397B1 (en) Microbial culture liqu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differing in characteristics and living in symbiosis and metabolites thereof, carriers and adsorbents containing the active components of the culture liquors and utilization of the same
US9260351B2 (e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animal effluent
Banks et al. Treatment of meat wastes
JP4527610B2 (ja) 生ゴミ等の肥料化方法及び肥料化装置
CN108793587A (zh) 一种养猪场尿泡粪废液的快速处理方法
CN112919936A (zh) 一种厨余垃圾、粪便垃圾及农作物秸秆循环利用方法
JP2015131287A (ja) 微生物作用を利用した下水処理水による河川汚染の浄化システム
KR101942035B1 (ko) 축산분뇨를 천연상태로 고속발효시켜 액비를 만들어 순환시키는 장치
CN210620525U (zh) 养殖粪污水肥联产装置
PL194741B1 (pl) Urządzenie do obróbki zanieczyszczonego medium i sposób obróbki zanieczyszczonego medium
JP2006326386A (ja) 有機汚泥水の処理方法
CN103230921A (zh) 一种发酵装置及其微生物发酵分解处理方法
CN111392957A (zh) 一种养殖废水处理装置
CN210419791U (zh) 有机垃圾处理设备
CN212864589U (zh) 一种餐厨垃圾降解设备
US6284012B1 (en) Kelp/seaweed extract biocatalyst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210393863U (zh) 一种养殖废水臭氧处理设备
KR101730932B1 (ko) 고속 유기물 산화조를 갖는 가축분뇨 액비화 처리시스템 및 그 액비화 처리방법
JP4848139B2 (ja) 曝気タンク構造
KR19990083809A (ko)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6110371A (en) Process and device for fat separation
CN211999367U (zh) 畜禽养殖废水处理装置
CN211664906U (zh) 基于悬浮填料生物膜技术的水产养殖尾水处理装置
CN112551823B (zh) 一种黑臭河生态恢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